KR20200109965A -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 - Google Patents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965A
KR20200109965A KR1020190029874A KR20190029874A KR20200109965A KR 20200109965 A KR20200109965 A KR 20200109965A KR 1020190029874 A KR1020190029874 A KR 1020190029874A KR 20190029874 A KR20190029874 A KR 20190029874A KR 20200109965 A KR20200109965 A KR 20200109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opening
table body
closing
storage sp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7994B1 (ko
Inventor
송인영
Original Assignee
송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인영 filed Critical 송인영
Priority to KR1020190029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994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47B83/045Tables combined with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획일적인 테이블 구조에서 벗어나, 상대적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테이블(식탁)에 휴대하고 있는 물품이나 의류 또는 가방 등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수납 물품의 사이즈에 따라 수납 공간을 조정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블에 있어서, 소정 형태로 형성되는 테이블 바디; 및 상기 테이블 바디의 상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면 커버체;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블 바디과 상면 커버체 사이에 제1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제1 수납 공간과 구획되고, 그 제1 수납 공간의 하부에서 상기 테이블 바디에 제2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TABLE COMPRISING MULTI-STORAGE SPACE}
본 발명은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획일적인 테이블 구조에서 벗어나, 상대적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테이블(식탁)에 휴대하고 있는 물품이나 의류 또는 가방 등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수납 물품의 사이즈에 따라 수납 공간을 조정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table)은 일반 가정에나 음식점에서 조리된 음식이나 각종 물품을 안치하여 음식을 시식하거나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가구의 한 종류이다.
테이블은 보편적으로 원형이나 사각형상의 판넬 또는 직육면체 형상의 판넬과 판넬에 결합하여 수평지지하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테이블의 종류로서 판넬의 상면에 식기 등을 비치하여 사용되는 식사테이블 또는 티(tea)테이블 등이 있으며, 판넬의 상면에 각종 물품 등을 비치 또는 적재할 수 있으며 판넬 하부로는 수납부를 형성하고 서랍 등을 부가설치하여 물품을 수납하는 테이블 등이 있다.
이 중 수납부를 구비한 테이블은 상면에 물품이 적재될 뿐만아니라 수납부에 물품 등이 수납될 수 있으므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테이블은 그 크기 및 형상이 한정되어 있는 관계로 다수의 물품을 비치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으며 테이블이 비치되는 공간의 형상에 따라 변형하여 사용 것도 불가능하다.
특히, 식당 등의 음식점에서는 손님들의 가방과 같은 휴대 물품이나 의류를 별도로 보관하는데 공간적 제약뿐만 아니라, 분실의 우려가 있는 문제로 인하여 주변 공간에 휴대 물품을 놓거나 의자에 걸어놓게 되는데, 이 경우 음식물이 튀거나 냄새가 베이는 문제와 분실 문제를 여전히 안고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 방편으로 통형상 의자의 내부 공간에 소형 물품 등을 보관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으나, 겨울철 의류과 같이 부피가 큰 의류나 백팩 등의 보관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02549(2018.09.28.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68349(2017.06.19.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1990-0009824(1990.10.20.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0-0002649(2010.03.10.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테이블(식탁)에 휴대하고 있는 물품이나 의류 또는 가방 등을 수납할 수 있으며, 다양한 복수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여 수납 물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 물품의 사이즈에 따라 수납 공간을 조정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큰 의류나 팩백과 같은 가방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테이블에 있어서, 상부 측에 하나 이상 구획 형성되는 제1 수납 공간, 및 테이블을 구성하는 테이블 바디의 몸통부에 하나 이상 구획 형성되는 제2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테이블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납 공간은 복수의 종방향 구획 부재에 의해 구획되어 복수의 수납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종방향 구획 부재는 이웃하는 구획 부재 간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제2 수납 공간의 각 수납 공간의 사이즈가 조정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 공간과 제2 수납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체가 투명하게 이루어져 수납 공간에 수납된 물품을 외부로부터 확인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테이블에 있어서, 소정 형태로 형성되는 테이블 바디; 및 상기 테이블 바디의 상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면 커버체;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블 바디과 상면 커버체 사이에 제1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제1 수납 공간과 구획되고, 그 제1 수납 공간의 하부에서 상기 테이블 바디에 제2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바디의 외면은 개폐 가능한 하나 이상의 개폐 도어를 포함하는 개폐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 수단은 상기 개폐 도어가 일변 측을 축으로 회동 개폐되는 회동 개폐 방식, 레일을 따라 선형이동하여 개폐되는 슬라이딩 개폐 방식, 또는 개폐 도어 자체가 벨로우즈 형태나 자바라 형태로 구성되어 자체의 부피가 축소 및 확장하여 개폐되도록 이루어지는 자체 개폐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바디의 상면에는 일단이 중심에 위치되고 타단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구획 벽체가 구획 형성되어 그 제1 구획 벽체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개방된 제1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 커버체가 상기 테이블 바디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구획 벽체와 상기 상면 커버체의 하면 간에 형성되어 상기 상면 커버체가 평면 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 및 상기 상면 커버체는 투명 재질 또는 빛투과성의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 수단은 상기 상면 커버체의 하면과 상기 제1 구획 벽체 간이 1개소 이상에서 요철 결합될 수 있는 홈부와 돌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바디의 제2 수납 공간은 복수의 수납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수납 공간의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는 제2 수납공간 사이즈 조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납공간 사이즈 조정수단은 상기 테이블 바디의 중심에 형성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외연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상하단 결합 보어; 일단부는 각각 상기 상하단 결합보어의 가이드 홈에 이동가능하면서 탈락방지되게 구비되고, 타단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한 쌍의 회전바;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바 사이에 구비되며, 플렉시블(flexible) 재질의 벨로우즈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테이블(식탁)에 소형의 휴대 물품이나 의류 또는 가방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여러 형태의 복수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여 수납 물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수납 공간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수신 여부나 수납 물품의 존재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수납 물품의 사이즈에 따라 수납 공간을 조정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큰 의류나 팩백과 같은 가방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성과 기능성 및 제품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의 일 실시 예에서 일부 구성부들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을 구성하는 제2 수납 공간의 개폐수단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을 구성하는 제2 수납공간 사이즈 조정수단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에 포함되는 개폐 도어가 여닫이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에 포함되는 개폐 도어가 자바라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에 포함되는 개폐 도어가 미닫이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방 전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개폐 도어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은, 테이블 또는 식탁에 있어서, 크게 상부 측에 복수 구획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수납 공간, 및 테이블 바디의 몸통부에 형성되는 제2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테이블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수납 공간은 복수의 종방향 구획 부재에 의해 구획되어 복수의 수납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획 부재는 이웃하는 구획 부재 간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제2 수납 공간의 각 수납 공간의 사이즈가 조정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수납 공간과 제2 수납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체가 투명하게 이루어져 수납 공간에 수납된 물품을 외부로부터 확인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의 일 실시 예에서 일부 구성부들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을 구성하는 제2 수납 공간의 개폐수단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을 구성하는 제2 수납공간 사이즈 조정수단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아래의 설명에서 "제1", "제2"의 표현은 수납 공간의 구분을 위한 표현(즉, 기수적 표현)임을 전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은, 테이블(table) 또는 식탁(이하, "테이블"로 통칭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형태로 형성되는 테이블 바디(100); 및 상기 테이블 바디(100)의 상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면 커버체(200);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블 바디(100)과 상면 커버체(200) 사이에 하나 이상의 제1 수납 공간(310)이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제1 수납 공간(310)과 구획되며, 그 제1 수납 공간(310)의 하부에서 상기 테이블 바디(100)에 하나 이상의 제2 수납 공간(320)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도면부호 111은 제1 수납공간(310)과 제2 수납공간(320)을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이다. 다시 말해서, 구획 플레이트(111)는 제1 수납공간(31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또는 제2 수납공간(320)의 천정면을 형성하는 바닥 플레이트 또는 천정 플레이트이다.
상기 테이블 바디(10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태를 갖는 함체 형태 또는 통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상기 테이블 바디(100)는 상광하협의 원추대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테이블 바디(100)의 외연은 개폐 가능한 하나 이상의 개폐 수단을 포함하여 개폐 수단의 폐쇄 시 그 내부의 제2 수납 공간(320)은 외부로 격리되고, 개방 시에는 제2 수납 공간(320)으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 수단은 개폐 도어(110)가 일변 측을 축으로 회동 개폐되는 회동 개폐 방식, 레일을 따라 선형이동하여 개폐되는 슬라이딩 개폐 방식, 또는 개폐 도어 자체를 벨로우즈 형태나 자바라 형태로 구성하여 개폐할 수 있는 자체 개폐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 다른 실시 예들의 설명에서 설명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 수단은 공간 활용성을 고려하여 회동 개폐 방식보다는 슬라이딩 개폐 방식이나 자체 개폐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개폐 수단이 슬라이딩 개폐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테이블 바디(100)의 복수 개소의 외연 상단과 하단 각각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21), 및 상기 가이드 레일(121)을 따라 이동하며 개폐 도어(110)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는 롤러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개폐 도어(110) 및 상기 상면 커버체(200)는 투명 재질 또는 빛투과성의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면 커버체(200)과 테이블 바디(100)의 상단, 즉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제1 수납 공간(210)을 복수 형성하기 위한 구획 벽체(211)의 상단 간에 형성되어 상면 커버체(200)가 테이블 바디(10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테이블 바디(100)에 안착된 상태에서 평면 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탈 방지 수단은 상기 상면 커버체(200)의 하면과 상기 테이블 바디(100)의 상단(즉, 제1 수납 공간(210)을 복수 형성하기 위한 구획 벽체(211)의 상단) 간이 1개소 이상에서 요철 결합될 수 있는 홈부와 돌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테이블 바디(100)의 상면에는 일단이 중심에 위치되고 타단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구획 벽체(211)가 구획 형성되어 그 구획 벽체(211) 사이에 제1 수납 공간(310)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1 수납 공간(310)은 상면 커버체(200)에 의해 커버되는 경우, 외연 측, 즉 반경방향 측을 통해 제1 수납 공간(310)으로 물건을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수납 공간(310)은 반경반향 외연이 수납 인입출구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테이블 바디(100)에 형성되는 제2 수납 공간(320)은 복수로 구획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테이블 바디(100)는 내부 중심에 지지축(131)이 형성되고, 그 지지축(131)에서 반경방향으로 복수 연장되는 구획 벽체(132)가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제2 수납 공간(310)은 복수의 수납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구획 벽체(132)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획된 복수의 제2 수납 공간(310)은 앞서 설명한 개폐 도어(110)의 구성과 연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테이블 바디(100)에 복수 형성되는 제2 수납 공간(320)의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는 제2 수납공간 사이즈 조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제2 수납공간 사이즈 조정수단은, 테이블 바디(100)의 중심에 형성되는 지지축(131)과, 상기 지지축(13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외연에 가이드 홈(141)이 형성되는 상하단 결합 보어(140)와, 일단부는 각각 상하단 결합보어(140)의 가이드 홈(141)에 이동가능하면서 탈락방지되게 구비되고, 타단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한 쌍의 회전바(142),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바(142) 사이에 구비되는 구획 부재(143)를 포함한다.
상기 구획 부재(143)는 플렉시블(flexible) 재질의 벨로우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바(142)와 구획 부재(143)는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한 구획 벽체(132)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수납 공간(310)에 휴대용 물품을 보관할 수 있고, 제2 수납 공간(320)에는 옷이나 가방과 같은 큰 물품을 보관할 수 있으며, 특히 제2 수납공간(320)은 제2 수납공간 사이즈 조정수단이 구성됨으로써 보관하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 공간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물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에 포함되는 개폐 도어(110)의 다른 실시 형태들을 예시한 것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도어(110)는 여닫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도어(110)는 폐쇄 시 지그재그로 접철되는 자바라 형태 또는 벨로우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을 구성하는 개폐 도어(110)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예시한 것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도어(110)는 미닫이 형태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개폐 도어(11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수납 공간(320)을 형성하는 천정 플레이트(111)와 저면 플레이트(112)의 외연에 가이드 홈(또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도어 바디에는 상기 가이드 홈(또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레일 부재가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8은 도 7의 개폐 도어의 변형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개방 시 개폐 도어(110)가 자중으로 일측으로 자동 이동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수납 공간(320)을 형성하는 천정 플레이트(111)와 저면 플레이트(112)의 외연에 이동 가이드홈(113)이 형성되되 정면에서 바라볼 때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경사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연장 형성된 스토퍼홈(114)이 형성되며, 홈 깊이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얕아지도록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가이드홈(113)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부재 또는 이동돌기를 갖는 개폐 도어(110)는 레일부재(또는 이동돌기)가 스토퍼홈(114)에 안착되어 테이블 바디(100)의 다른 부위(고정 바디)와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 있게 되고, 개방 시에는 개폐 도어(110)를 이동시켜 레일부재(또는 이동돌기)가 스토퍼홈(114)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경사진 이동 가이드홈(113)을 따라 개폐 도어(110)가 자중으로 열리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에 의하면, 의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테이블(식탁)에 소형의 휴대 물품이나 의류 또는 가방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며, 여러 형태의 복수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여 수납 물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 공간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수신 여부나 수납 물품의 존재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수납 물품의 사이즈에 따라 수납 공간을 조정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큰 의류나 팩백과 같은 가방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성과 기능성 및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테이블 바디 110: 개폐도어
111: 천정 플레이트(또는 바닥 플레이트) 112: 저면 플레이트
113: 이동 가이드홈 114: 스토퍼홈
121: 가이드 레일 122: 롤러 부재
131: 지지축 132: 구획 벽체
140: 결합보어 141: 가이드 홈
142: 회전바 143: 구획 부재
200: 상면 커버체 211: 구획 벽체
310: 제1 수납 공간 320: 제2 수납 공간

Claims (10)

  1. 테이블에 있어서,
    상부 측에 하나 이상 구획 형성되는 제1 수납 공간, 및 테이블을 구성하는 테이블 바디의 몸통부에 하나 이상 구획 형성되는 제2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테이블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납 공간은 복수의 종방향 구획 부재에 의해 구획되어 복수의 수납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종방향 구획 부재는 이웃하는 구획 부재 간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제2 수납 공간의 각 수납 공간의 사이즈가 조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 공간과 제2 수납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체가 투명하게 이루어져 수납 공간에 수납된 물품을 외부로부터 확인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
  4. 테이블에 있어서,
    소정 형태로 형성되는 테이블 바디; 및 상기 테이블 바디의 상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면 커버체;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블 바디과 상면 커버체 사이에 제1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제1 수납 공간과 구획되고, 그 제1 수납 공간의 하부에서 상기 테이블 바디에 제2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바디의 외면은 개폐 가능한 하나 이상의 개폐 도어를 포함하는 개폐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 수단은 상기 개폐 도어가 일변 측을 축으로 회동 개폐되는 회동 개폐 방식, 레일을 따라 선형이동하여 개폐되는 슬라이딩 개폐 방식, 또는 개폐 도어 자체가 벨로우즈 형태나 자바라 형태로 구성하여 개폐되도록 이루어지는 자체 개폐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바디의 상면에는 일단이 중심에 위치되고 타단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구획 벽체가 구획 형성되어 그 제1 구획 벽체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개방된 제1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 커버체가 상기 테이블 바디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구획 벽체와 상기 상면 커버체의 하면 간에 형성되어 상기 상면 커버체가 평면 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 및 상기 상면 커버체는 투명 재질 또는 빛투과성의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 수단은
    상기 상면 커버체의 하면과 상기 제1 구획 벽체 간이 1개소 이상에서 요철 결합될 수 있는 홈부와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바디의 제2 수납 공간은 복수의 수납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수납 공간의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는 제2 수납공간 사이즈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납공간 사이즈 조정수단은
    상기 테이블 바디의 중심에 형성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외연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상하단 결합 보어;
    일단부는 각각 상기 상하단 결합보어의 가이드 홈에 이동가능하면서 탈락방지되게 구비되고, 타단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한 쌍의 회전바;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바 사이에 구비되며, 플렉시블(flexible) 재질의 벨로우즈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획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
KR1020190029874A 2019-03-15 2019-03-15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 KR102357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874A KR102357994B1 (ko) 2019-03-15 2019-03-15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874A KR102357994B1 (ko) 2019-03-15 2019-03-15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965A true KR20200109965A (ko) 2020-09-23
KR102357994B1 KR102357994B1 (ko) 2022-02-03

Family

ID=7270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874A KR102357994B1 (ko) 2019-03-15 2019-03-15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9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001B1 (ko) 2023-01-19 2023-03-14 주식회사 노벨홀딩스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824Y1 (ko) 1988-12-29 1990-10-20 이수인 탁자용 잡화 수납구
KR200294424Y1 (ko) * 2002-06-21 2002-11-13 이효제 회전식 다용도 수납 테이블
JP2005074190A (ja) * 2003-09-04 2005-03-24 Okamura Corp 多目的家具
KR20100002649U (ko) 2008-08-30 2010-03-10 서승완 수납형 식탁
KR20100044330A (ko) * 2008-10-22 2010-04-30 강희전 야외용 대기실
KR101452452B1 (ko) * 2013-08-23 2014-10-22 사회복지법인 주내자육원 사용이 편리한 조립용 책상
KR20160092214A (ko) * 2015-01-27 2016-08-04 이준환 회전식 가변형 분리벽을 이용한 자유로운 식품수납용기
KR20170068349A (ko) 2015-12-09 2017-06-19 이휘상 수납공간의 분리와 합체가 가능한 물품보관함
KR101902549B1 (ko) 2016-07-15 2018-09-28 최은주 슬라이딩식 확장형 테이블이 구비된 수납장 겸용 테이블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824Y1 (ko) 1988-12-29 1990-10-20 이수인 탁자용 잡화 수납구
KR200294424Y1 (ko) * 2002-06-21 2002-11-13 이효제 회전식 다용도 수납 테이블
JP2005074190A (ja) * 2003-09-04 2005-03-24 Okamura Corp 多目的家具
KR20100002649U (ko) 2008-08-30 2010-03-10 서승완 수납형 식탁
KR20100044330A (ko) * 2008-10-22 2010-04-30 강희전 야외용 대기실
KR101452452B1 (ko) * 2013-08-23 2014-10-22 사회복지법인 주내자육원 사용이 편리한 조립용 책상
KR20160092214A (ko) * 2015-01-27 2016-08-04 이준환 회전식 가변형 분리벽을 이용한 자유로운 식품수납용기
KR20170068349A (ko) 2015-12-09 2017-06-19 이휘상 수납공간의 분리와 합체가 가능한 물품보관함
KR101902549B1 (ko) 2016-07-15 2018-09-28 최은주 슬라이딩식 확장형 테이블이 구비된 수납장 겸용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994B1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319470A (en) Refrigerator shelf
US4714305A (en) Spice rack
US11147387B2 (en) Under-bed storage unit
US10925391B1 (en) Hinged shelf container
JP2022517601A (ja) 再構成可能な居住空間
KR20200109965A (ko)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
US9247807B1 (en) Buffet serving and seating table
US1447145A (en) Shoe case
US264749A (en) potts
KR101748414B1 (ko)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US11957247B2 (en) Under-bed storage unit freestanding
KR200473931Y1 (ko) 캠핑용 멀티 박스
KR20190108708A (ko) 조립식 테이블
US3058793A (en) All-purpose table
JP2006335475A (ja) 食べ物容器保管台
CN209733004U (zh) 橱柜
KR20150102458A (ko) 다기능 복합 가구
KR20130056523A (ko) 다용도 주방가구
US458071A (en) District of
KR20220077028A (ko) 가변식 걸이대를 포함하는 콤비네이션 서랍장
AU2020100259A4 (en) Hinged shelf container
KR102032206B1 (ko)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
RU2635783C2 (ru) Складной стол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бели
KR101866383B1 (ko) 접이식 선반
US20230015770A1 (en) Portable floating table supported by counterwe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