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812U - 진공청소기용 연장관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연장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812U
KR20000017812U KR2019990003459U KR19990003459U KR20000017812U KR 20000017812 U KR20000017812 U KR 20000017812U KR 2019990003459 U KR2019990003459 U KR 2019990003459U KR 19990003459 U KR19990003459 U KR 19990003459U KR 20000017812 U KR20000017812 U KR 200000178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ocking
inner pipe
stopp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32204Y1 (ko
Inventor
김승곤
Original Assignee
김승곤
광동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곤, 광동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승곤
Priority to KR2019990003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204Y1/ko
Priority to PCT/KR1999/000366 priority patent/WO2000053074A1/en
Priority to AU45331/99A priority patent/AU4533199A/en
Publication of KR200000178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8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2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용 연장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내측 파이프(10)에 끼워져 외측 파이프(20)의 내측에 고정된 레버본체(30)와, 이 레버본체(30)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 파이프(10)의 안내홈(11)과 걸림홈(12)에 안내되거나 걸리는 스토퍼(50)와, 상기 스토퍼(50)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60)와, 상기 스토퍼(50)를 이동시키는 레버(40)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레버(40)의 조작만으로 상기 내측 파이프(10)가 이동되거나 고정될 수 있음으로써 진공청소기용 연장관(9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연장관(90)의 길이 조절을 위한 구성이 단순화되어 조립 및 작동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연장관{A METAL EXTENSION PIPE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연장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장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연장관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연장관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비교적 단순한 부품을 구성하여 제작공정 및 고장빈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연장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진동청소기의 연장관은 대부분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진공청소기의 연장관은 단순히 결합가능한 복수개의 연결관으로 분리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연결관들의 수량을 선택하여 각각 결합시킴으로써 연장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었으나, 이러한 연장관의 구조는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연장관의 길이를 선택할 수 없었으며, 그 결합 및 분리와 작동상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연장관의 연결부위에 여러부품을 부설하여 연장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감금 및 해제수단의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이 빈번히 발생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8-2366호에 개시된 진공청소기용 금속재 연장관에 의해 다소 해소될 수 있었으나, 상기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98-2366호에 개시된 진공청소기용 금속재 연장관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조가 복잡하고, 길이조절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이러한 연장관(100)은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홈(200a)이 적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내측관(200)과, 상기 걸림홈(200a)에 걸리도록 일단부에 스토퍼(400a)가 절개 형성되고 그 좌.우측으로 모서리가 라운드진 잠금단(400b)이 절개 형성되어 상기 내측관(200)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지 않도록 끼워지는 레버본체(400)과, 상기 스토퍼(400a)가 돌출 되도록 전방의 확관고정부(850)에 스토퍼도피홈(830)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본체(400)의 둘레에 잠금단(400b)이 노출되게 결합되는 외측관(900)과, 상기 잠금단(400b)이 걸림 및 해제되도록 일단부의 좌.우측에 일방향으로 라운드진 단턱(520a)을 구비한 잠금홈(520)이 형성되고 일단 내주부에 스토퍼 레일홈이 형성되어 상기 확관고정부(85)의 둘레에 끼워지는 자체회전이 가능한 레버(600)로 구성되어, 상기 연장관(100)을 원하는 길이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레버(600)를 잡고 일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고, 내측관(200)으로부터 외측관(900)을 일방향으로 당겨 길이를 조절한 후, 다시 상기 레버(600)를 타방향으로 다시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장관(100)은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레버(600)를 양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고 있었고, 그 구조가 복잡하여 각 부품을 제작하는 작업성이 저하되었으며,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연장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연장관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연장관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비교적 단순한 부품을 구성하여 제작공정 및 고장빈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연장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걸림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이 걸림홈의 일측을 연통하여 안내홈이 형성된 내측 파이프와, 상기 내측 파이프와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통공부를 갖는 결합부가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통공부의 양측에는 지지장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의 반대편에는 록킹홀이 형성된 외측 파이프와, 상기 내측 파이프에 끼워져 안내홈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내주면에 안내돌부가 돌설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제 1끼움홈이 형성되며, 외주면 중앙부에 걸림턱을 구비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상기 외측 파이프와 결합되도록 상기 록킹홀에 끼워지는 록킹부가 형성된 레버본체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걸림턱에 안착되어 이동하도록 내측면 양측에 걸림단이 형성되고, 내측면 일측에는 상기 내측 파이프의 걸림홈에 안착되어 걸리는 걸림부가 돌설되며, 외측면 일측에는 제 2끼움홈이 형성되고, 외측면 타측에는 단턱을 구비한 각홀이 천공된 스토퍼와, 상기 내측 파이프에 결합된 레버본체의 제 1끼움홈과 상기 레버본체의 가이드 레일에 결합된 스토퍼의 제 2끼움홈에 각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스토퍼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내측 파이프와 외측 파이프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내측 파이프의 일단에 억지끼움되는 패킹 및 상기 외측 파이프의 통공부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의 각홀에 형성된 단턱에 걸려 고정되도록 내측면 일측에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부의 양측에는 상기 외측 파이프의 지지장공부에 끼워져 안내되는 지지돌부가 돌설된 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연장관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은 상기 내측 파이프와 외측 파이프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외측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나팔모양의 날개가 탄성을 구비하여 일단부 외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내측 파이프의 안내홈에 맞춤 결합되도록 조립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연장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청소기용 연장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연장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레버와 스토퍼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로, 4a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4b는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진공청소기용 연장관이 결합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로, 5a는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5b는 작동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측 파이프 11 : 안내홈
12 : 걸림홈 20 : 외측 파이프
21 : 통공부 22 : 결합부
23 : 지지장공부 24 : 록킹홀
30 : 레버본체 31 : 가이드 레일
32 : 제 1끼움홈 33 : 안내돌부
34 : 록킹부 35 : 걸림턱
40 : 레버 41 : 걸림돌부
42 : 지지돌부 50 : 스토퍼
51 : 제 2끼움홈 52 : 각홀
53 : 걸림부 54 : 걸림단
55 : 단턱 60 : 탄성부재
70 : 패킹 71 : 날개
72 : 조립부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내지 도 4a 및 도 4b를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측 파이프(10)와, 외측 파이프(20), 상기 내측 파이프(10)에 결합되는 레버본체(30)와, 상기 레버본체(30)에 결합되는 스토퍼(50)와, 상기 스토퍼(50)와 레버본체(30)에 설치되는 탄성부재(60)와, 상기 내측 파이프(10)와 외측 파이프(20)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내측 파이프(10)에 설치되는 패킹(70)과, 상기 외측 파이프(20)를 관통하여 스토퍼(50)에 결합되는 레버(40)로 구성된다.
이러한 각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내측 파이프(10)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걸림홈(12)이 다수개 형성되고, 이 걸림홈(12)의 일측을 연통하여 안내홈(11)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 파이프(20)는 상기 내측 파이프(10)와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일단에 통공부(21)를 구비한 결합부(22)가 형성되며, 상기 통공부(21)의 양측에는 지지장공부(23)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21)의 반대편에는 록킹홀(24)이 형성된다.
상기 레버본체(30)는 상기 내측 파이프(10)에 끼워져 안내홈(11)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내주면에 안내돌부(33)가 돌설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제 1끼움홈(32)이 형성되며, 외주면 중앙부에 걸림턱(35)을 구비한 가이드 레일(31)이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상기 외측 파이프(20)와 결합되도록 상기 외측 파이프(20)의 록킹홀(24)에 끼워지는 록킹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가이드 레일(31)의 걸림턱(35)에 안착되어 이동하도록 내측면 양측에 걸림단(54)이 형성되고, 내측면 일측에는 상기 내측 파이프(10)의 걸림홈(12)에 안착되어 걸리는 걸림부(53)가 돌설되며, 외측면 일측에는 제 2끼움홈(51)이 형성되고, 외측면 타측에는 단턱(55)을 구비한 각홀(52)이 천공된다.
상기 탄성부재(60)는 상기 내측 파이프(10)에 결합된 레버본체(30)의 제 1끼움홈(32)과 상기 레버본체(30)의 가이드 레일(31)에 결합된 스토퍼(50)의 제 2끼움홈(51)에 각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스토퍼(50)에 인장력을 부여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부재((60)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70)은 상기 내측 파이프(10)와 외측 파이프(2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내측 파이프(10)의 일단에 억지끼움되는 것으로, 상기 내측 파이프(10)와 외측 파이프(2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외측 파이프(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나팔모양의 날개(71)가 탄성을 구비하여 일단부 외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내측 파이프(10)의 안내홈(11)에 맞춤 결합되도록 조립부(72)가 돌출 형성된 것이다.
상기 레버(40)는 상기 외측 파이프(20)의 통공부(21)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50)의 각홀(52)에 형성된 단턱(55)에 걸려 고정되도록 내측면 일측에 걸림돌부(4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부(41)의 양측에는 상기 외측 파이프(20)의 지지장공부(23)에 끼워져 안내되는 지지돌부(42)가 돌설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관계를 도 3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본체(30)를 내측 파이프(10)에 결합시키되, 상기 안내돌부(33)가 내측 파이프(10)의 안내홈(11)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호 결합시킨다.
상기 내측 파이프(10)에 레버본체(30)가 결합되면, 상기 내측 파이프(10)의 일단에 상기 패킹(70)을 억지끼움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패킹(7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조립부(72)가 상기 안내홈(11)에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억지끼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패킹(70)의 끼움부에는 다수개의 환형돌기를 형성하거나,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내측 파이프(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파이프(10)에 레버본체(30)와 패킹(70)이 결합되면, 상기 레버본체(30)의 가이드 레일(31)에 스토퍼(50)를 끼워 결합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50)의 내측면 양측에 형성된 걸림단(54)이 상기 가이드 레일(31)의 걸림턱(35)에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걸림부(53)가 내측 파이프(10)의 걸림홈(12)에 안착되도록 상호 결합한다.
상기 스토퍼(50)가 레버본체(30)에 결합되면, 상기 스토퍼(50)의 제 2끼움홈(51)에 상기 탄성부재(60)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타단은 상기 레버본체(30)에 형성된 제 1끼움홈(32)에 고정시켜 상기 스토퍼(50)가 제 1끼움홈(32) 측으로 인장력을 받도록 한다. 이는 상기 스토퍼(5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 상기 걸림부(53)가 항상 걸림홈(1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내측 파이프(10)를 상기 외측 파이프(20)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하여 상기 레버본체(30)와 스토퍼(50)가 결합된 부위가 상기 외측 파이프(20)의 결합부(22) 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즉, 상기 스토퍼(50)의 각홀(52)이 상기 결합부(22)에 형성된 통공부(21)와 일치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각홀(52)이 보이도록 한다.
이때, 상기 레버본체(30)에 형성된 록칭부(34)가 외측 파이프(20)에 형성된 록킹홀(24)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레버본체(30)의 내경에서 상기 내측 파이프(10)가 유동되도록 하고, 레버본체(30)와 외측 파이프(20)는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상기 레버(40)의 걸림돌부(41)를 상기 통공부(21)로 삽입하여 상기 걸림돌부(41)가 스토퍼(50)의 각홀(52)에 형성된 단턱(55)에 걸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돌부(41)가 단턱(55)에 끼워져 걸리게 됨과 동시에 상기 레버(40)의 걸림돌부(41)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돌부(42)가 상기 외측 파이프(20)의 지지장공부(23)에 끼우지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부(41)는 탄성을 갖는 걸림편이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이 단턱(55)에 걸리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레버(40)가 외측 파이프(20)의 통공부(21)를 관통하여 스토퍼(50)의 단턱(55)에 걸리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내측 파이프(10)와 외측 파이프(20) 그리고 레버본체(30)와 스토퍼(50), 탄성부재(60), 패킹(70)과 같은 구성요소의 상호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상호 결합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 5a 및 도 5b를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5a는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가 결합된 초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50)가 탄성부재(60)의 인장력에 의해 화살표(C) 방향으로 당겨진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50)의 걸림부(53)가 내측 파이프(10)의 걸림홈(12)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측 파이프(10)와 외측 파이프(20)의 이동 즉, 연장관(90)의 길이조절은 불가능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레버(40)가 외측 파이프(20)의 통공부(21)를 관통하여 내측 파이프(10)에 결합된 레버본체(30)의 스토퍼(5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50)는 내측 파이프(10)의 걸림홈(12)에 안착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내측 파이프(10)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은 방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내측 파이프(1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연장관(9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먼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40)를 화살표(D) 방향으로 당긴다.
상기 레버(40)를 화살표(D)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일단이 레버본체(30)의 제 1끼움홈(32)에 고정된 상기 탄성부재(60)가 인장되면서, 상기 걸림부(53)가 내측 파이프(10)의 걸림홈(12)에 이탈되면서 상기 스토퍼(50)가 화살표(D)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측 파이프(10)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50)의 걸림부(53)가 걸림홈(12)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걸림부(53)는 내측 파이프(10)의 안내홈(11)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능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내측 파이프(10)는 타 부품에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측 파이프(10)의 일단에 끼워진 패킹(70)은 그 일단 외주면에 나팔모양의 날개(71)가 자체 탄성을 구비하여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내측 파이프(10)가 이동될 때, 상기 날개(71)가 외측 파이프(2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내측 파이프(10)를 통과하는 먼지나 이물질이 상기 내측 파이프(10)와 외측 파이프(20)의 연결부위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장관(90)의 길이가 조절되면, 상기 레버(40)를 당기고 있떤 힘을 제거한다. 상기 레버(40)를 당기고 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레버(40)와 스토퍼(50)는 상기 탄성부재(60)의 인장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걸림부(53)가 정지된 위치의 걸림홈(12)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즉, 상기 레버(40)를 당기고 있던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레버(40)가 도 5b에 도시된 화살표(E) 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재(60)의 인장력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고, 따라서, 상기 스토퍼(50)의 걸림부(53)가 레버본체(30)의 가이드 레일(31)에서 이동하여 상기 내측 파이프(10)의 걸림홈(12)에 안착되어, 상기 내측 파이프(10)의 이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사용자는 단순히 상기 레버(40)만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내측 파이프(1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연장관(90)의 길이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연장관은 내측 파이프에 끼워져 외측 파이프의 내측에 고정된 레버본체와, 이 레버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 파이프의 안내홈과 걸림홈에 안내되거나 걸리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스토퍼를 이동시키는 레버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레버의 조작만으로 상기 내측 파이프가 이동되거나 고정될 수 있음으로써 진공청소기용 연장관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연장관의 길이 조절을 위한 구성이 단순화되어 조립 및 작동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1.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걸림홈(12)이 다수개 형성되고, 이 걸림홈(12)의 일측을 연통하여 안내홈(11)이 형성된 내측 파이프(10);
    상기 내측 파이프(10)와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통공부(21)를 갖는 결합부(22)가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통공부(21)의 양측에는 지지장공부(23)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21)의 반대편에는 록킹홀(24)이 형성된 외측 파이프(20);
    상기 내측 파이프(10)에 끼워져 안내홈(11)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내주면에 안내돌부(33)가 돌설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제 1끼움홈(32)이 형성되며, 외주면 중앙부에 걸림턱(35)을 구비한 가이드 레일(31)이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상기 외측 파이프(20)와 결합되도록 상기 록킹홀(24)에 끼워지는 록킹부(34)가 형성된 레버본체(30);
    상기 가이드 레일(31)의 걸림턱(35)에 안착되어 이동하도록 내측면 양측에 걸림단(54)이 형성되고, 내측면 일측에는 상기 내측 파이프(10)의 걸림홈(12)에 안착되어 걸리는 걸림부(53)가 돌설되며, 외측면 일측에는 제 2끼움홈(51)이 형성되고, 외측면 타측에는 단턱(55)을 구비한 각홀(52)이 천공된 스토퍼(50);
    상기 내측 파이프(10)에 결합된 레버본체(30)의 제 1끼움홈(32)과 상기 레버본체(30)의 가이드 레일(31)에 결합된 스토퍼(50)의 제 2끼움홈(51)에 각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스토퍼(50)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60);
    상기 내측 파이프(10)와 외측 파이프(2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내측 파이프(10)의 일단에 억지끼움되는 패킹(70); 및
    상기 외측 파이프(20)의 통공부(21)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50)의 각홀(52)에 형성된 단턱(55)에 걸려 고정되도록 내측면 일측에 걸림돌부(4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부(41)의 양측에는 상기 외측 파이프(20)의 지지장공부(23)에 끼워져 안내되는 지지돌부(42)가 돌설된 레버(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연장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70)은 상기 내측 파이프(10)와 외측 파이프(2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외측 파이프(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나팔모양의 날개(71)가 탄성을 구비하여 일단부 외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내측 파이프(10)의 안내홈(11)에 맞춤 결합되도록 조립부(7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연장관.
KR2019990003459U 1999-03-05 1999-03-05 진공청소기용 연장관 KR200232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459U KR200232204Y1 (ko) 1999-03-05 1999-03-05 진공청소기용 연장관
PCT/KR1999/000366 WO2000053074A1 (en) 1999-03-05 1999-07-08 A telescoping pipe for a vacuum cleaner
AU45331/99A AU4533199A (en) 1999-03-05 1999-07-08 A telescoping pipe for a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459U KR200232204Y1 (ko) 1999-03-05 1999-03-05 진공청소기용 연장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812U true KR20000017812U (ko) 2000-10-05
KR200232204Y1 KR200232204Y1 (ko) 2001-09-13

Family

ID=1957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459U KR200232204Y1 (ko) 1999-03-05 1999-03-05 진공청소기용 연장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32204Y1 (ko)
AU (1) AU4533199A (ko)
WO (1) WO200005307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675A (ko) * 2000-08-03 2002-02-09 윤해숙 진공청소기 연장관의 길이조절장치
KR200449273Y1 (ko) * 2008-06-17 2010-07-01 강혁 조립식 선반 설치용 홀더
KR101435009B1 (ko) * 2012-09-26 2014-10-20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회전식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7561B1 (fr) * 2004-11-05 2009-05-01 Groupe Aubret Soc Par Actions Lance d'aspiration
CN1799487A (zh) * 2005-09-16 2006-07-12 邬永龙 吸尘器用伸缩式吸尘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5223A (en) * 1956-10-08 1959-05-05 Hoover Co Telescopic tube coupling with step adjustment means
US3351359A (en) * 1964-12-23 1967-11-07 Electrolux Corp Adjustable length wand
US5836620A (en) * 1996-09-10 1998-11-17 Kinergy Industrial Co., Ltd. Telescopic extension wand for vacuum clea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675A (ko) * 2000-08-03 2002-02-09 윤해숙 진공청소기 연장관의 길이조절장치
KR200449273Y1 (ko) * 2008-06-17 2010-07-01 강혁 조립식 선반 설치용 홀더
KR101435009B1 (ko) * 2012-09-26 2014-10-20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회전식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2204Y1 (ko) 2001-09-13
AU4533199A (en) 2000-09-28
WO2000053074A1 (en) 200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92705A1 (en) Telescopic extension for a household applian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reof
JP4529658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KR20020045527A (ko) 진공청소기의 신축형 흡입관
KR200232204Y1 (ko) 진공청소기용 연장관
KR20050086377A (ko) 에어 댐퍼 및 글러브 박스
JP2000145861A (ja) エアダンパー
KR20050038618A (ko) 유체 시스템용 플러그-인 커플링
KR200164119Y1 (ko) 진공청소기용 금속재 연장관
EP3396224A1 (en) Lock mechanism for tubular body
KR100213359B1 (ko) 진공청소기용 연장관
JP2000088028A (ja) エアダンパー
JP2000145862A (ja) エアダンパー
JP3243144U (ja) ワイパーユニットおよびそのコネクタ
KR200376447Y1 (ko) 우산의 지지 리브
JP3202740B2 (ja) 挟持具
CN116687314A (zh) 吸引阀门及内窥镜
JP2575000B2 (ja) 洋傘の傘骨連結体
KR19990064785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길이조절장치
JP3247291B2 (ja) 内視鏡用バルブ装置
KR200400908Y1 (ko) 미니 스프링클러용 관연결구
JPH02104320A (ja) 掃除機用の吸引パイプ
KR200202888Y1 (ko) 변기용 수세장치의 체크밸브 결합구조
JP2573553Y2 (ja) ワイヤジョイント
KR200270895Y1 (ko) 우산 손잡이 결합구조
KR100242331B1 (ko) 트레일러연결구의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