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747A -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파종기 - Google Patents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747A
KR20230158747A KR1020220058249A KR20220058249A KR20230158747A KR 20230158747 A KR20230158747 A KR 20230158747A KR 1020220058249 A KR1020220058249 A KR 1020220058249A KR 20220058249 A KR20220058249 A KR 20220058249A KR 20230158747 A KR20230158747 A KR 20230158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eeds
opening
unit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업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58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8747A/ko
Publication of KR20230158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2Hand tools for making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깨 등과 같이 사람의 손으로 파종하기에는 수량 조절이 어려운 비교적 작은 크기의 씨앗을 정량 토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매개부재와 개폐부재가 저장블럭에 연결된 상태에서 저장블럭의 수용공간에 파종 가이드블럭을 위치시킨 다음, 케이싱 유닛을 핸들링부재에 끼움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부품 간 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성의 간소화를 통해 제조원가 절감을 가능하게 하고, 부품 간 조립 및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여 제품의 양산성과 사후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파종기{Sowing machine capable of planting seeds of various sizes}
본 발명은 씨앗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참깨 등과 같이 사람의 손으로 파종하기에는 수량 조절이 어려운 비교적 작은 크기의 씨앗을 정량 토출할 수 있게 하고,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자동으로 심을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류, 옥수수, 팥, 메밀, 참깨, 좁쌀, 파, 무, 배추 등과 같이 평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작물의 파종은 토양의 표층에 적당한 깊이의 파종공간을 형성하고, 파종공간에 적정 개수의 종자를 뿌린 후 토양을 덮어 파종공간을 메워주는 파종법인 점파(dibbling)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점파는 통상적으로 호미 등과 같은 농기구를 사용하는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참깨 등과 같이 비교적 크기가 작은 종자는 손으로 개수를 헤아리기 어려워 파종 시 파종공간에 다량의 씨앗이 파종됨에 따라 성장과정에서 불필요한 식재를 구분하여 제거해야 하는 등의 추가적인 노동력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93644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파종구(10)가 하단에 결합된 고정파이프(12)에 끼워지고 지지관(20) 상에서 작동되게 장치된 작동스프링(14)에 의해서 관형상의 종자통체(16)가 승강 작동 가능케 구성하고, 종자통체(16)의 승강작동으로 종자통체(16)내에 수납된 종자가 일정 파종 분량씩 파종구(10)의 토출 개구를 통해
토출되게 구성한 파종기가 개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종래의 파종기는 반원통 형상의 작동구(32)가 조절구(34)에 대면 작동되게 하여 파종 분량만큼 종자를 하류로 이송되게 하는 종자 이송 작동체(30)를 구비하되, 상기 작동구(32)의 포켓부(36)에는 각기 다른 크기를 가지는 사다리꼴 형태의 종자 이송홈이 형성되고, 상기 포켓부(36)의 하부에는 하강 작동 시 파종구(10)의 토출 개구까지 미칠만큼 긴 길이의 흙제거대(38)가 연장 형성되게 구성하고, 상기 조절구(34)의 안내판재에 종자 유입공을 형성하고 그 하부의 유도 안착면 상의 포켓구(36)와 대면 위치에는 차폐스프링을 장치하여 구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종자를 정량 토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파종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비교적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고가이며, 파종공간 형성을 위해 돌출 형성된 파종구(10) 주변에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어서 종자 파종시 스프링이 반복적으로 토양에 부딪히게 됨에 따라 손상이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1996-000672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자동으로 심을 수 있게 하고, 구성이 간소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게 하고, 부품의 손상이나 파손을 억제시킬 수 있게 하며, 제품의 조립 및 분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심을 수 있게 하는 파종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는, 매개부재와 개폐부재가 저장블럭에 연결된 상태에서 저장블럭의 수용공간에 파종 가이드블럭을 위치시킨 다음, 케이싱 유닛을 핸들링부재에 끼움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부품 간 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성의 간소화를 통해 제조원가 절감을 가능하게 하고, 부품 간 조립 및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여 제품의 양산성과 사후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는 핸들링부재에 하강 압력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파종 가이드블럭의 공간형성부를 이용하여 토양에 씨앗 파종을 위한 공간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케이싱 유닛이 매개부재를 가압하고 이에 따라 개폐부재가 슬라이딩되게 하여 저장블럭에 저장되어 있는 작은 크기의 씨앗이 토출구를 통해 토양에 떨어지게 함으로써, 파종 작업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개폐부재가 토양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동작을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부품의 내구성 향상 및 씨앗 토출을 위한 동작 구현의 원활함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파종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파종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과는 다른 각도에서 보인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케이싱 유닛을 제거한 상태에서 보인 측면도.
도 6은 도 2의 Ⅵ-Ⅵ 선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파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상태도.
도 8은 도 7의 Ⅷ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위치복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과정 및 이에 따른 추가적인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기재 내용과 중복되는 이하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파종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파종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과는 다른 각도에서 보인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케이싱 유닛을 제거한 상태에서 보인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Ⅵ-Ⅵ 선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파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상태도이며, 도 8은 도 7의 Ⅷ 부분 확대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위치복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파종기는 사람의 손으로 파종하기에는 수량 조절이 어려운 비교적 작은 크기의 씨앗을 정량 토출하기 위한 것으로, 핸들링부재(1)와 케이싱 유닛(2)과 파종 가이드블럭(3)과 저장블럭(4)과 개폐유닛(5)과 위치복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핸들링부재(1)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로드부(11)와 상기 로드부(11)의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가능하게 하는 파지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 유닛(2)은,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부(11)의 타측에 연결되어서 상기 핸들링부재(1)와 함께 승강 동작을 하게 되고, 내측에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게 하는 설치공간(2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 유닛(2)과 핸들링부재(1) 간의 연결은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보조수단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조립 및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홈(201)(201)과 돌기(111)(111) 간의 끼움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종 가이드블럭(3)은 상기 케이싱 유닛(2)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핸들링부재(1)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우징부(31)와 공간 형성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부(31)는 도 2 및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상기 케이싱 유닛(2)의 외부로 노출 가능한 상태로 나머지 부분이 그 케이싱 유닛(2)의 설치공간(20)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부품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내측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 형성부(32)는 토양을 파고들어 갈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31)로부터 돌출 형성되어서, 토양에 상기 씨앗의 파종을 위한 공간을 형성시켜 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공간 형성부(32)는 상기 하우징부(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제품의 조립 및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우징부(31)와 별개로 형성된 후 그 하우징부(31)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블럭(4)은 도 6 및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종 가이드블럭(3)의 내측공간에 배치되고, 씨앗 토출을 위한 토출구(413a)가 형성되어 있는 씨앗 저장부(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핸들링부재(1)와 함께 승강 가능하도록 그 핸들링부재(1)에 연결된다. 상기 토출구(413a)를 한정하는 면에는 씨앗 토출시 그 씨앗이 파손되지 않도록 스폰지(도시되지 않음)와 같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성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개폐유닛(5)은 상기 저장블럭(4)의 토출구(413a)를 폐쇄시키는 제1위치(도 6 참고) 및 개방시키는 제2위치(도 7 참고)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파종 가이드블럭(3)의 내측공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개폐유닛(5)은 회전동작에 의해 저장블럭(4)의 토출구(413a)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협소한 공간에서의 부품 최적 배치를 위해 본 실시예와 같이 슬라이딩식 개폐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유닛(5)은 슬라이딩식 개폐 구조를 갖는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동작을 하는 개폐부(51)와 하강 동작을 하면서 개폐부(51)의 슬라이딩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2)가 채용되었다.
상기 개폐부(51)는 상기 저장블럭(4)의 토출구(413a)를 폐쇄시키는 제1위치 및 개방시키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블럭(4)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토출구(413a)와 선택적으로 소통되는 종자 구멍(5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52)는 상기 저장블럭(4)이 핸들링부재(1)와 함께 하강되는 경우에 상기 공간 형성부(32)의 경사면(322a)에 접촉되어서 상기 개폐부(51)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면(5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51)와 가이드부(52)는 별개로 제작되어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제품의 양산성과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서로 일체로 형성되되 수직운동을 하는 가이드부(52)가 상기 공간 형상부(32)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수평운동을 하는 개폐부(51)에 대해 직교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복원수단은 상기 개폐유닛(5)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케이싱 유닛(2)과 파종 가이드 블럭(3) 사이에 배치되어서 그 케이싱 유닛(2)과 저장블럭(4)의 하강 동작시에 탄성력을 보유하게 되고, 도 5의 (b)와 같이 그 탄성력에 의해 케이싱 유닛(2)과 저장블럭(4)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6)가 채용되었다.
상기 탄성부재(6)는 상기 케이싱 유닛(2)의 하강 동작 이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와 같이 스프링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변형 이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에 의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파종기는, 도 6과 같이 상기 개폐유닛(5)이 저장블럭(4)에 연결된 상태에서 파종 가이드블럭(3)의 내측공간에 저장블럭(4)을 위치시킨 다음, 케이싱 유닛(2)을 핸들링부재(1)에 끼움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부품 간 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간소화된 구성을 가짐으로써 제조원가 절감을 가능하게 하고, 부품 간 조립 및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여 제품의 양산성과 사후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핸들링부재(1)에 하강 압력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파종 가이드블럭(3)의 공간형성부(32)를 이용하여 토양에 씨앗 파종을 위한 공간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파종 가이드블럭(30)이 토양에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케이싱 유닛(2)이 저장블럭(4) 및 개폐유닛(5)과 함께 하강을 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개폐유닛(5)의 가이드면과 공간형성부의 경사면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그 개폐유닛(5)의 개폐부가 슬라이딩을 하여 저장블럭(4)에 저장되어 있는 작은 크기의 씨앗이 토출구(413a)를 통해 토양에 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파종 작업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하고 씨앗의 정량 배출이 가능한 장점과, 파종 가이드블럭의 공간형성부에 의한 파종공간 확보 이후 개폐유닛(5)이 개폐동작을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개폐유닛(5)과 토양 간의 접촉이 최소화되어서 부품의 내구성 향상 및 씨앗 토출을 위한 동작 구현의 원활함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채용된 개폐유닛(5)은, 도 8 및 도 9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개폐부(5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파동 가이드블럭(3)의 천정면(413a)에 접촉 및 접촉해제되며 일측과 타측 사이의 힌지 포인트부(531)가 상기 저장블럭(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매개부(53)를 포함하여서, 하강 동작 이후 상기 탄성부재(6)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매개부(53)의 타측이 상기 파동 가이드블럭(3)의 천정면(413a)에 접촉됨으로써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개폐유닛(5)의 위치복원수단 구현을 위해 별도의 구성에 의하지 않고 그 개폐유닛(6)과 파동 가이드블럭(3) 자체의 구조로 구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구조의 간소화 및 부품의 최적배치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저장블럭(4)은, 상기 씨앗 저장부(41)와 일체로 형성되는 관 형상의 중심관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심관부(42)는 상기 씨앗 저장부(41)로부터 상기 핸들링부재(1) 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유닛(2)의 중심에 배치된 상태에서 그 케이싱 유닛(2)에 끼움 결합된다.
상기 저장블럭(4)의 씨앗 저장부(41)는, 다양한 공간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씨앗의 정량 토출 및 원활한 공급을 위해 제1공간부(411)와 제2공간부(412)와 제3공간부(413)와 경사부(4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공간부(411)는 씨앗이 수용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2공간부(412)는 상기 제1공간부(411)의 하측에 마련되고 그 제1공간부(411)보다 폭이 좁은 통로를 가지는 부분이며, 상기 제3공간부(413)는 상기 제2공간부(412)의 하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폭이 상기 제1공간부(411)보다는 크고 상기 제1공간부(411)보다는 작게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413a)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며, 상기 경사부(414)는 상기 제1공간부(411)에 수용된 씨앗을 상기 제2공간부(412)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테이퍼진 경사면을 가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씨앗 저장부(41)에 저장된 씨앗들이 상기 제1공간부(411)에 저장될 수 있게 하고, 도 7과 같이 경사부(414)를 통해 제2공간부(412) 측으로 안내된 소량의 씨앗들을 제3공간부(413)에 있는 토출구(413a)를 통해 정량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파종 가이드블럭(3)의 공간 형성부(32)는, 토양에 파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토양을 파고드는 돌출된 구조가 채택되는 것으로 족하나, 본 실시예는 평평한 면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토양의 상면을 평평하게 다지는 평활면부(321)와 상기 평활면부(321)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토양을 파고들어 갈 수 있게 하는 돌출부(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파종 공간 형성과 함께 파종이 요구되지 않는 토양의 나머지 부분을 평탄하게 할 수 있어서 파종 작업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322)에는 상기 개폐유닛(5)의 가이드면(521)에 접촉되는 경사면(322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과정 및 이에 따른 추가적인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a)와 같이 파종 가이드블럭(3)의 돌출부(322)를 이용하여 토양에 1차적으로 파종위치를 세팅하고, 이후 (b)와 같이 개폐유닛(5)의 가이드부(52)가 경사면(322a)을 타고 내려 오면서 경사면에 들러 붙은 흙을 밀어내어 2차적으로 완전한 씨앗 파종을 위한 파종공간을 형성시키고, 이렇게 형성된 파종공간에 (c)와 같이 씨앗이 심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씨앗의 정량 파종을 가능하게 하고, 파종 이후 (d)와 같이 개폐유닛(5)의 가이드부(52)가 연직 방향을 따라 상승하도록 구성되어서 씨앗을 훼손할 우려가 없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핸들링부재 11:로드부
111:돌기 12:파지부
2:케이싱 유닛 20:설치공간
21:가압리브 22:위치규제리브
201:홈 3:파종 가이드블럭
31:하우징부 32:공간 형성부
321:평활면부 322:돌출부
322a:경사면 4:저장블럭
41:씨앗 저장부 411:제1공간부
412:제2공간부 413:제3공간부
413a:토출구 414:경사부
42:중심관부 5:개폐유닛
51:개폐부 511:종자 구멍
52:가이드부 521:가이드면
53:매개부 531:힌지 포인트부
6:탄성부재

Claims (5)

  1. 사람의 손으로 파종하기에는 수량 조절이 어려운 비교적 작은 크기의 씨앗을 정량 토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가능하게 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핸들링부재;
    상기 핸들링부재와 함께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로드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 유닛;
    상기 케이싱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핸들링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일부는 상기 케이싱 유닛의 외부로 노출 가능한 상태로 나머지 부분이 그 케이싱 유닛의 설치공간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상기 설치공간과 소통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와, 토양에 상기 씨앗의 파종을 위한 공간을 형성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토양을 파고들어 갈 수 있게 하는 공간 형성부를 포함하는 파종 가이드블럭;
    상기 파종 가이드블럭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씨앗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씨앗 저장부에는 씨앗 토출을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링부재와 함께 승강 가능하도록 그 핸들링부재에 연결되는 저장블럭;
    상기 저장블럭의 토출구를 폐쇄시키는 제1위치 및 개방시키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블럭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토출구와 선택적으로 소통되는 종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로부터 상기 공간 형성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저장블럭이 핸들링부재와 함께 하강되는 경우에 상기 공간 형성부의 경사면에 접촉되어서 상기 개폐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개폐유닛; 및
    상기 개폐유닛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켜 주기 위한 위치복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파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복원수단은, 상기 케이싱 유닛 및 상기 개폐유닛의 하강 동작 이후 원래의 위치로 상승될 수 있게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파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일측은 상기 개폐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파동 가이드블럭의 천정면에 접촉 및 접촉해제되며 일측과 타측 사이의 힌지 포인트부가 상기 저장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매개부를 포함하여서, 하강 동작 이후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매개부의 타측이 상기 파동 가이드블럭의 천정면에 접촉됨으로써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파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블럭의 씨앗 저장부는,
    씨앗이 수용되는 제1공간부와, 상기 제1공간부의 하측에 마련되고 그 제1공간부보다 폭이 좁은 통로를 가지는 제2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폭이 상기 제1공간부보다는 크고 상기 제1공간부보다는 작게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3공간부와, 상기 제1공간부에 수용된 씨앗을 상기 제2공간부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테이퍼진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파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 가이드블럭의 공간 형성부는, 평평한 면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토양의 상면을 평평하게 다지는 평활면부와 상기 평활면부에 대해 돌출 형성되어 토양을 파고들어 갈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개폐유닛의 가이드면에 접촉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
KR1020220058249A 2022-05-12 2022-05-12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파종기 KR20230158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249A KR20230158747A (ko) 2022-05-12 2022-05-12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249A KR20230158747A (ko) 2022-05-12 2022-05-12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파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747A true KR20230158747A (ko) 2023-11-21

Family

ID=8898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249A KR20230158747A (ko) 2022-05-12 2022-05-12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87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59464A (zh) * 2024-03-13 2024-04-12 安徽省农业科学院棉花研究所 棉花播种机
CN117859464B (zh) * 2024-03-13 2024-05-31 安徽省农业科学院棉花研究所 棉花播种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725A (ko) 1994-07-12 1996-02-23 나이토 하루오 물약병과 같은 밀봉용기의 멸균방법 및 멸균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725A (ko) 1994-07-12 1996-02-23 나이토 하루오 물약병과 같은 밀봉용기의 멸균방법 및 멸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59464A (zh) * 2024-03-13 2024-04-12 安徽省农业科学院棉花研究所 棉花播种机
CN117859464B (zh) * 2024-03-13 2024-05-31 安徽省农业科学院棉花研究所 棉花播种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8840B1 (ko) 파종기
KR20120114496A (ko) 마늘 파종기
KR100895093B1 (ko) 다용도 씨앗 파종기
KR20150085163A (ko) 작물 파종기
KR20230158747A (ko)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파종기
KR101782017B1 (ko) 한 손용 씨앗 파종기
KR20070093644A (ko) 다품종 파종기
KR102161879B1 (ko) 휴대용 파종기
KR102523422B1 (ko)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
WO2021000035A1 (en) Pneumatic seed meters
KR20210097944A (ko) 수동 점파종기
KR101880949B1 (ko) 작업성을 향상시킨 휴대용 파종기
KR102026779B1 (ko)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
KR102291280B1 (ko) 육묘판 씨앗 파종기
KR20150108726A (ko) 파종기
KR200428578Y1 (ko) 파종기
KR101743451B1 (ko) 인삼씨 파종 장치
KR100510954B1 (ko) 점파 파종기
TWI682708B (zh) 附掛式雜糧播種裝置
KR200399582Y1 (ko) 다품종 파종기
US4896797A (en) Seed stick
KR101883183B1 (ko) 비료와 물 공급이 가능한 살포기
KR20230032138A (ko) 저가 보급을 위한 소립 종자용 직립형 파종기
KR20200134803A (ko) 씨앗의 균일한 위치와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파종기
KR101708229B1 (ko) 자동파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