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422B1 -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 - Google Patents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422B1
KR102523422B1 KR1020220054621A KR20220054621A KR102523422B1 KR 102523422 B1 KR102523422 B1 KR 102523422B1 KR 1020220054621 A KR1020220054621 A KR 1020220054621A KR 20220054621 A KR20220054621 A KR 20220054621A KR 102523422 B1 KR102523422 B1 KR 102523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eeds
casing unit
opening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만
김은규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희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희진
Priority to KR1020220054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2Hand tools for making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02Dibble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4Single-grain seeders with or without suction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깨 등과 같이 사람의 손으로 파종하기에는 수량 조절이 어려운 비교적 작은 크기의 씨앗을 정량 토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매개부재와 개폐부재가 저장블럭에 연결된 상태에서 저장블럭의 수용공간에 파종 가이드블럭을 위치시킨 다음, 케이싱 유닛을 핸들링부재에 끼움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부품 간 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성의 간소화를 통해 제조원가 절감을 가능하게 하고, 부품 간 조립 및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여 제품의 양산성과 사후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Sowing machine for small grain seeds}
본 발명은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참깨 등과 같이 사람의 손으로 파종하기에는 수량 조절이 어려운 비교적 작은 크기의 씨앗을 정량 토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류, 옥수수, 팥, 메밀, 참깨, 좁쌀, 파, 무, 배추 등과 같이 평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작물의 파종은 토양의 표층에 적당한 깊이의 파종공간을 형성하고, 파종공간에 적정 개수의 종자를 뿌린 후 토양을 덮어 파종공간을 메워주는 파종법인 점파(dibbling)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점파는 통상적으로 호미 등과 같은 농기구를 사용하는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참깨 등과 같이 비교적 크기가 작은 종자는 손으로 개수를 헤아리기 어려워 파종 시 파종공간에 다량의 씨앗이 파종됨에 따라 성장과정에서 불필요한 식재를 구분하여 제거해야 하는 등의 추가적인 노동력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93644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파종구(10)가 하단에 결합된 고정파이프(12)에 끼워지고 지지관(20) 상에서 작동되게 장치된 작동스프링(14)에 의해서 관형상의 종자통체(16)가 승강 작동 가능케 구성하고, 종자통체(16)의 승강작동으로 종자통체(16)내에 수납된 종자가 일정 파종 분량씩 파종구(10)의 토출 개구를 통해
토출되게 구성한 파종기가 개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종래의 파종기는 반원통 형상의 작동구(32)가 조절구(34)에 대면 작동되게 하여 파종 분량만큼 종자를 하류로 이송되게 하는 종자 이송 작동체(30)를 구비하되, 상기 작동구(32)의 포켓부(36)에는 각기 다른 크기를 가지는 사다리꼴 형태의 종자 이송홈이 형성되고, 상기 포켓부(36)의 하부에는 하강 작동 시 파종구(10)의 토출 개구까지 미칠만큼 긴 길이의 흙제거대(38)가 연장 형성되게 구성하고, 상기 조절구(34)의 안내판재에 종자 유입공을 형성하고 그 하부의 유도 안착면 상의 포켓구(36)와 대면 위치에는 차폐스프링을 장치하여 구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종자를 정량 토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파종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비교적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고가이며, 파종공간 형성을 위해 돌출 형성된 파종구(10) 주변에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어서 종자 파종시 스프링이 반복적으로 토양에 부딪히게 됨에 따라 손상이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1996-000672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성이 간소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게 하고, 부품의 손상이나 파손을 억제시킬 수 있게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조립 및 분해 효율을 높일 수있게 하는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는 사람의 손으로 파종하기에는 수량 조절이 어려운 비교적 작은 크기의 씨앗을 정량 토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가능하게 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핸들링부재; 상기 핸들링부재와 함께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로드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 유닛; 상기 케이싱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핸들링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일부는 상기 케이싱 유닛의 외부로 노출 가능한 상태로 나머지 부분이 그 케이싱 유닛의 설치공간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상기 설치공간과 소통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와, 토양에 상기 씨앗의 파종을 위한 공간을 형성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토양을 파고들어 갈 수 있게 하는 공간 형성부를 포함하는 파종 가이드블럭; 상기 파종 가이드블럭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씨앗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씨앗 저장부에는 씨앗 토출을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저장블럭; 상기 저장블럭의 토출구를 폐쇄시키는 제1위치 및 개방시키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파종 가이드블럭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개폐부재; 사용자에 의한 상기 핸들링부재의 조작으로 그 핸들링부재와 함께 상기 케이싱 유닛이 함께 하강되는 경우에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 유닛으로부터 인가된 동력을 상기 개폐부재 측에 전달시키는 매개부재; 및 상기 케이싱 유닛의 하강 동작 및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 동작 이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개부재는, 일측이 상기 개폐부재에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저장블럭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일측과 타측 사이의 일영역에는 상기 케이싱 유닛의 하강시 그 케이싱 유닛에 의해 가압되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동작을 위한 동력을 전달시켜 줄 수 있게 하는 하강 가압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 유닛은 상기 케이싱 유닛의 하강시에 상기 매개부재의 하강 가압면을 가압시키는 가압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블럭은, 상기 씨앗 저장부로부터 상기 핸들링부재 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유닛의 중심에 배치되는 관 형상의 중심관부와, 각각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중심관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케이싱 유닛의 상승 위치과 하강 위치를 규제할 수 있게 하는 한 쌍의 스토퍼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스토퍼부들에 사이에서 상대이동되는 것으로, 하강시에는 상기 한 쌍의 스토퍼부들 중 어느 하나에 걸리고 상승시에는 다른 하나에 걸리는 위치규제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블럭의 씨앗 저장부는, 씨앗이 수용되는 제1공간부와, 상기 제1공간부의 하측에 마련되고 그 제1공간부보다 폭이 좁은 통로를 가지는 제2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폭이 상기 제1공간부보다는 크고 상기 제1공간부보다는 작게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3공간부와, 상기 제1공간부에 수용된 씨앗을 상기 제2공간부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테이퍼진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저장블럭의 토출구와 선택적으로 소통되는 종자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매개부재와 동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3공간부에 위치된 씨앗들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밀어 내는 푸싱턱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토출구와 종자 구멍이 소통되는 경우에 상기 씨앗들을 상기 파종 가이드블럭의 공간 형성부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종 가이드블럭의 공간 형성부는, 평평한 면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토양의 상면을 평평하게 다지는 평활면부와 상기 평활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토양을 파고들어 갈 수 있게 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는, 매개부재와 개폐부재가 저장블럭에 연결된 상태에서 저장블럭의 수용공간에 파종 가이드블럭을 위치시킨 다음, 케이싱 유닛을 핸들링부재에 끼움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부품 간 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성의 간소화를 통해 제조원가 절감을 가능하게 하고, 부품 간 조립 및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여 제품의 양산성과 사후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는 핸들링부재에 하강 압력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파종 가이드블럭의 공간형성부를 이용하여 토양에 씨앗 파종을 위한 공간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케이싱 유닛이 매개부재를 가압하고 이에 따라 개폐부재가 슬라이딩되게 하여 저장블럭에 저장되어 있는 작은 크기의 씨앗이 토출구를 통해 토양에 떨어지게 함으로써, 파종 작업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개폐부재가 토양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동작을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부품의 내구성 향상 및 씨앗 토출을 위한 동작 구현의 원활함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와는 다른 각도에서 보인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일부 구성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파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상태도.
도 7은 도 6의 Ⅶ 부분 확대도.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기재 내용과 중복되는 이하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와는 다른 각도에서 보인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일부 구성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파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상태도이며, 도 7은 도 6의 Ⅶ 부분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는 사람의 손으로 파종하기에는 수량 조절이 어려운 비교적 작은 크기의 씨앗을 정량 토출하기 위한 것으로, 핸들링부재(1)와 케이싱 유닛(2)과 파종 가이드블럭(3)과 저장블럭(4)과 개폐부재(6)와 매개부재(5)와 탄성부재(71)(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핸들링부재(1)는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로드부(11)와 상기 로드부(11)의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가능하게 하는 파지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 유닛(2)은, 도 2 및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부(11)의 타측에 연결되어서 상기 핸들링부재(1)와 함께 승강 동작을 하게 되고, 내측에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게 하는 설치공간(2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 유닛(2)과 핸들링부재(1) 간의 연결은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보조수단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조립 및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홈(201)(201)과 돌기(111)(111) 간의 끼움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종 가이드블럭(3)은 상기 케이싱 유닛(2)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핸들링부재(1)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우징부(31)와 공간 형성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부(31)는 도 1 및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상기 케이싱 유닛(2)의 외부로 노출 가능한 상태로 나머지 부분이 그 케이싱 유닛(2)의 설치공간(20)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상기 설치공간(20)과 소통되는 수용공간(3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 형성부(32)는 토양을 파고들어 갈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31)로부터 돌출 형성되어서, 토양에 상기 씨앗의 파종을 위한 공간을 형성시켜 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공간 형성부(32)는 상기 하우징부(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제품의 조립 및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우징부(31)와 별개로 형성된 후 그 하우징부(31)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블럭(4)은 도 4 및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종 가이드블럭(3)의 수용공간(311)에 배치되고, 씨앗 토출을 위한 토출구(41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413a)를 한정하는 면에는 씨앗 토출시 그 씨앗이 파손되지 않도록 스폰지(도시되지 않음)와 같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성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개폐부재(6)는 상기 저장블럭(4)의 토출구(413a)를 폐쇄시키는 제1위치(도 5 참고) 및 개방시키는 제2위치(도 6 참고)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파종 가이드블럭(3)의 수용공간(311)에 설치된다.
이러한 개폐부재(6)는 회전동작에 의해 저장블럭(4)의 토출구(413a)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협소한 공간에서의 부품 최적 배치를 위해 본 실시예와 같이 슬라이딩식 개폐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개부재(5)는 상기 케이싱 유닛(2)으로부터 인가된 동력을 상기 개폐부재(6) 측에 전달시켜서 사용자에 의한 상기 핸들링부재(1)의 조작으로 그 핸들링부재(1)와 함께 상기 케이싱 유닛(2)이 함께 하강되는 경우에 상기 개폐부재(6)를 토출구(413a)를 개방시키는 제2위치(도 6 참고)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즉, 이러한 매개부재(5)는 케이싱 유닛(2)과 개폐부재(6) 간의 동력전달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싱 유닛(2)과 저장블럭(4) 사이의 자투리 공간에 설치되되 일측은 저장블럭(4)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개폐부재(6)에 연결되어서, 상기 개폐부재(6)의 동작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협소한 공간에서의 부품 최적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탄성부재(71)(72)는 상기 케이싱 유닛(2)의 하강 동작 이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와 같이 스프링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변형 이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에 의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매개부재(5)와 개폐부재(6)가 저장블럭(4)에 연결된 상태에서 그 저장블럭(4)의 수용공간(311)에 파종 가이드블럭(3)을 위치시킨 다음, 케이싱 유닛(2)을 핸들링부재(1)에 끼움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부품 간 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간소화된 구성을 가짐으로써 제조원가 절감을 가능하게 하고, 부품 간 조립 및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여 제품의 양산성과 사후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 6과 같이 핸들링부재(1)에 하강 압력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파종 가이드블럭(3)의 공간형성부를 이용하여 토양에 씨앗 파종을 위한 공간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도 7과 같이 케이싱 유닛(2)이 매개부재(5)를 가압하고 이에 따라 개폐부재(6)가 슬라이딩되게 하여 저장블럭(4)에 저장되어 있는 작은 크기의 씨앗이 토출구(413a)를 통해 토양에 떨어지게 함으로써, 파종 작업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개폐부재(6)가 토양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동작을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부품의 내구성 향상 및 씨앗 토출을 위한 동작 구현의 원활함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채용된 매개부재(5)는, 일측이 상기 개폐부재(6)에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저장블럭(4)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일측과 타측 사이의 일영역에는 상기 개폐부재(6)의 개방동작을 위한 동력을 전달시켜 줄 수 있게 하는 하강 가압면(5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케이싱 유닛(2)의 하강시 하강 가압면(51)이 가압됨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운동에 따른 회전력을 상기 개폐부재(6)에 인가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매개부재(5)는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씨앗 파종을 한 이후에 상기 핸들링부재(1)의 하강 가압력이 해제되어 도 5와 같이 탄성부재(71)(72)의 탄성력으로 케이싱 유닛(2)이 원래의 위치로 상승되는 경우에, 그 케이싱 유닛(2)의 가압리브(21)에 걸리는 상승 가압면(52)을 포함하여서, 상기 케이싱 유닛(2)과 함께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싱 유닛(2)의 하강시 매개부재(5)의 하강 가압면(51)을 가압하는 구성 및 상승시 상승 가압면(52)을 가압하는 구성은, 케이스 유닛과는 별개로 제작되어서 그 케이싱 유닛(2)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구성의 간소화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싱 유닛(2)과 일체로 형성되는 가압리브(21)가 상기 매개부재(5)의 하강 가압면(51) 및 상승 가압면(52)을을 가압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저장블럭(4)은, 상기 씨앗 저장부(41)와 일체로 형성되는 관 형상의 중심관부(42)와 그 중심관부(4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스토퍼부(4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심관부(42)는 상기 씨앗 저장부(41)로부터 상기 핸들링부재(1) 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유닛(2)의 중심에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스토퍼부(43)들은 각각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중심관부(4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케이싱 유닛(2)의 상승 위치과 하강 위치를 규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케이싱 유닛(2)은 상기 한 쌍의 스토퍼부(43)들에 사이에서 상대이동되는 것으로, 하강시에는 상기 한 쌍의 스토퍼부(43)들 중 어느 하나에 걸리고 상승시에는 다른 하나에 걸리는 위치규제리브(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케이싱 유닛(2)의 하강 및 상승 동작시에 그 케이승 유닛에 마련된 위치규제리브(22)가 상기 저장블럭(4)의 한 쌍의 스토퍼부(43)들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케이싱 유닛(2)의 불필요한 추가 하강 동작 및 상승 동작에 의해 부품 간 반복적인 간섭으로 응력이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
상기 저장블럭(4)의 씨앗 저장부(41)는, 다양한 공간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씨앗의 정량 토출 및 원활한 공급을 위해 제1공간부(411)와 제2공간부(412)와 제3공간부(413)와 경사부(4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공간부(411)는 씨앗이 수용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2공간부(412)는 상기 제1공간부(411)의 하측에 마련되고 그 제1공간부(411)보다 폭이 좁은 통로를 가지는 부분이며, 상기 제3공간부(413)는 상기 제2공간부(412)의 하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폭이 상기 제1공간부(411)보다는 크고 상기 제1공간부(411)보다는 작게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413a)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며, 상기 경사부(414)는 상기 제1공간부(411)에 수용된 씨앗을 상기 제2공간부(412)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테이퍼진 경사면을 가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씨앗 저장부(41)에 저장된 씨앗들이 상기 제1공간부(411)에 저장될 수 있게 하고, 도 7과 같이 경사부(414)를 통해 제2공간부(412) 측으로 안내된 소량의 씨앗들을 제3공간부(413)에 있는 토출구(413a)를 통해 정량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개폐부재(6)는, 상기 씨앗 저장부(41)의 토출구(413a)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파종 가이드블럭(3) 내에 배치되어서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평판형의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부(61)와 그 슬라이딩부(6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안내부(662)를 포함하여서 구조의 간소화 및 성형의 원활함을 이룰 수 있게 한다.
상기 슬라이딩부(61)는 상기 저장블럭(4)의 토출구(413a)와 선택적으로 소통되는 종자 구멍(6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매개부재(5)와 동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3공간부(413)에 위치된 씨앗들을 상기 토출구(413a) 측으로 밀어 내는 푸싱턱(6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662)는 상기 슬라이딩부(6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61)의 이동에 따라 상기 토출구(413a)와 종자 구멍(610)이 소통되는 경우에 상기 씨앗들을 상기 파종 가이드블럭(3)의 공간 형성부(32)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종 가이드블럭(3)의 공간 형성부(32)는, 토양에 파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토양을 파고드는 돌출된 구조가 채택되는 것으로 족하나, 본 실시예는 평평한 면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토양의 상면을 평평하게 다지는 평활면부(321)와 상기 평활면부(321)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토양을 파고들어 갈 수 있게 하는 돌출부(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파종 공간 형성과 함께 파종이 요구되지 않는 토양의 나머지 부분을 평탄하게 할 수 있어서 파종 작업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핸들링부재 11:로드부
111:돌기 12:파지부
2:케이싱 유닛 20:설치공간
21:가압리브 22:위치규제리브
201:홈 3:파종 가이드블럭
31:하우징부 311:수용공간
32:공간 형성부 321:평활면부
322:돌출부 4:저장블럭
41:씨앗 저장부 411:제1공간부
412:제2공간부 413:제3공간부
413a:토출구 414:경사부
42:중심관부 43:스토퍼부
5:매개부재 51:하강 가압면
52:상승 가압면 6:개폐부재
61:슬라이딩부 610:종자 구멍
611:푸싱턱 662:안내부
71,72:탄성부재

Claims (5)

  1. 사람의 손으로 파종하기에는 수량 조절이 어려운 비교적 작은 크기의 씨앗을 정량 토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가능하게 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핸들링부재;
    상기 핸들링부재와 함께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로드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 유닛;
    상기 케이싱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핸들링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일부는 상기 케이싱 유닛의 외부로 노출 가능한 상태로 나머지 부분이 그 케이싱 유닛의 설치공간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상기 설치공간과 소통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와, 토양에 상기 씨앗의 파종을 위한 공간을 형성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토양을 파고들어 갈 수 있게 하는 공간 형성부를 포함하는 파종 가이드블럭;
    상기 파종 가이드블럭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씨앗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씨앗 저장부에는 씨앗 토출을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저장블럭;
    상기 저장블럭의 토출구를 폐쇄시키는 제1위치 및 개방시키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파종 가이드블럭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개폐부재;
    사용자에 의한 상기 핸들링부재의 조작으로 그 핸들링부재와 함께 상기 케이싱 유닛이 함께 하강되는 경우에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 유닛으로부터 인가된 동력을 상기 개폐부재 측에 전달시키는 매개부재; 및
    상기 케이싱 유닛의 하강 동작 및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 동작 이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매개부재는, 일측이 상기 개폐부재에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저장블럭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일측과 타측 사이의 일영역에는 상기 케이싱 유닛의 하강시 그 케이싱 유닛에 의해 가압되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동작을 위한 동력을 전달시켜 줄 수 있게 하는 하강 가압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 유닛은 상기 케이싱 유닛의 하강시에 상기 매개부재의 하강 가압면을 가압시키는 가압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블럭의 씨앗 저장부는, 씨앗이 수용되는 제1공간부와, 상기 제1공간부의 하측에 마련되고 그 제1공간부보다 폭이 좁은 통로를 가지는 제2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폭이 상기 제1공간부보다는 크고 상기 제1공간부보다는 작게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3공간부와, 상기 제1공간부에 수용된 씨앗을 상기 제2공간부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테이퍼진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저장블럭의 토출구와 선택적으로 소통되는 종자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매개부재와 동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3공간부에 위치된 씨앗들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밀어 내는 푸싱턱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토출구와 종자 구멍이 소통되는 경우에 상기 씨앗들을 상기 파종 가이드블럭의 공간 형성부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부는, 매개부재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 유닛의 하강으로 상기 매개부재의 타측이 회전운동할 경우에 회동이 이루어지는 상기 매개부재의 일측으로부터 동력을 인가받아 상기 제2위치로 밀려나면서 상기 종자구멍을 토출구와 소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블럭은, 상기 씨앗 저장부로부터 상기 핸들링부재 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유닛의 중심에 배치되는 관 형상의 중심관부와, 각각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중심관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케이싱 유닛의 상승 위치과 하강 위치를 규제할 수 있게 하는 한 쌍의 스토퍼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스토퍼부들에 사이에서 상대이동되는 것으로, 하강시에는 상기 한 쌍의 스토퍼부들 중 어느 하나에 걸리고 상승시에는 다른 하나에 걸리는 위치규제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 가이드블럭의 공간 형성부는, 평평한 면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토양의 상면을 평평하게 다지는 평활면부와 상기 평활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토양을 파고들어 갈 수 있게 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
KR1020220054621A 2022-05-03 2022-05-03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 KR102523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621A KR102523422B1 (ko) 2022-05-03 2022-05-03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621A KR102523422B1 (ko) 2022-05-03 2022-05-03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422B1 true KR102523422B1 (ko) 2023-04-20

Family

ID=8614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621A KR102523422B1 (ko) 2022-05-03 2022-05-03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4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725A (ko) 1994-07-12 1996-02-23 나이토 하루오 물약병과 같은 밀봉용기의 멸균방법 및 멸균장치
KR19980057017U (ko) * 1997-01-23 1998-10-15 최종태 수동식 분말 비료공급기
KR20120004159U (ko) * 2012-03-12 2012-06-12 황병철 씨앗 파종기, 점파종기, 다용도파종기, 미립자파종기
KR20150085163A (ko) * 2014-01-13 2015-07-23 임흥빈 작물 파종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725A (ko) 1994-07-12 1996-02-23 나이토 하루오 물약병과 같은 밀봉용기의 멸균방법 및 멸균장치
KR19980057017U (ko) * 1997-01-23 1998-10-15 최종태 수동식 분말 비료공급기
KR20120004159U (ko) * 2012-03-12 2012-06-12 황병철 씨앗 파종기, 점파종기, 다용도파종기, 미립자파종기
KR20150085163A (ko) * 2014-01-13 2015-07-23 임흥빈 작물 파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756B1 (ko) 마늘 파종기
US5673638A (en) Resilient seed firming attachment for a planting machine
CN106922258B (zh) 一种播种装置
KR102228840B1 (ko) 파종기
KR101666986B1 (ko) 인삼씨 낱개분리기 및 인삼씨 파종기
KR102523422B1 (ko) 소립 종자용 씨앗 파종기
KR20150085163A (ko) 작물 파종기
CN201479578U (zh) 可调穴距型孔的精量穴播器
EP0695496A1 (en) Hand held seeder
CN211931300U (zh) 一种手持式定量播种器
CN110692325B (zh) 播种用点种装置
KR20230158747A (ko) 다양한 크기의 씨앗을 심을 수 있는 파종기
KR20210097944A (ko) 수동 점파종기
KR102161879B1 (ko) 휴대용 파종기
KR102026779B1 (ko) 휴대용 직파 종자 파종기
CN108541424B (zh) 一种定量分种器及其播种装置
CN108243675B (zh) 分种器、播种装置以及播种机
KR20150108726A (ko) 파종기
TWI682708B (zh) 附掛式雜糧播種裝置
KR102291280B1 (ko) 육묘판 씨앗 파종기
KR101759625B1 (ko) 버섯 재배용 봉지 액상 종균 접종기
CN210275079U (zh) 一种播种间距能调节的播种机
CN213343311U (zh) 一种辣椒种植点播装置
US1023894A (en) Seed-planting mechanism.
CN112602410A (zh) 一种改进型蔬菜种植用播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