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523A -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523A
KR20230158523A KR1020237033777A KR20237033777A KR20230158523A KR 20230158523 A KR20230158523 A KR 20230158523A KR 1020237033777 A KR1020237033777 A KR 1020237033777A KR 20237033777 A KR20237033777 A KR 20237033777A KR 20230158523 A KR20230158523 A KR 20230158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operating surface
insertion direction
gravity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미 나가시마
요시히로 고이즈미
슌 오야
šœ 오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04556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4451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20105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91134A/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58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52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Landscapes

  • Ink Jet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카트리지는,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하중을 받는 제 1 조작면과, 삽입 자세에서, 중력 상방향측에 위치하는 상면을 구성하는 주면과, 삽입 자세에서, 상면을 구성하며, 주면보다 중력 하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2 조작면으로서, 회전 장착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하중을 받는 제 2 조작면을 구비하고, 제 2 조작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주면과 삽입 방향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다.

Description

카트리지
본 개시는 카트리지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평방향을 따른 장착방향으로 카트리지를 이동시켜,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140011 호 공보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용자는 카트리지 중 장착방향의 바로 앞측의 후면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에 하중을 부가하여 카트리지를 장착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인쇄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는,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하는 경우에, 장착 완료까지 복수방향으로의 카트리지의 이동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각 이동을 위한 하중이 카트리지에 가해진 경우, 가해진 하중이 분산되어, 장착시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외형이 커진 경우,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에 착탈할 때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1) 본 개시의 제 1 형태에 의하면,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삽입 자세에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수평방향을 따른 삽입 방향의 바로 앞측에 위치하는 제 1 조작면으로서, 상기 삽입 방향을 향하여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삽입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하중을 받는 제 1 조작면과, 상기 삽입 자세에서, 중력 상방향측에 위치하는 상면을 구성하는 주면과, 상기 삽입 자세에서, 상기 상면을 구성하며, 상기 주면보다 중력 하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2 조작면으로서, 상기 중력 하방향을 향하여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중력 하방향의 성분을 갖는 회전 장착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하중을 받는 제 2 조작면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 자세에서 상기 삽입 방향 및 상기 중력 하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를 본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제 2 조작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 1 조작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다.
(2) 본 개시의 제 2 형태에 의하면,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와 연통하며, 중심축을 갖는 액체 공급부와,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미리 정한 위치까지 삽입하는 방향인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을 따른 중심축방향과 직교하는 삽입 방향에서의 안쪽측에 위치하는 전면과, 상기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면과 대향하는 제 1 조작면으로서, 상기 삽입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하중을 받는 제 1 조작면과,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액체 도입부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부를 갖는 바닥면으로서, 중력 하방향의 성분을 갖는 회전 장착 방향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 중 상기 삽입 방향의 안쪽측을 회전 지점으로 한 회전 장착 방향에서의 안쪽측에 위치하는 바닥면과, 상기 중심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과 대향하는 상면으로서, 상기 전면과 상기 제 1 조작면을 연결하는 상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면은 상기 전면으로부터 상기 삽입 방향과는 반대의 분리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주면과, 상기 주면보다 상기 바닥면측에 위치하는 제 2 조작면으로서, 상기 중력 하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생기는 상기 회전 장착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하중을 받는 제 2 조작면을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삽입 자세에서, 상기 삽입 방향 및 상기 중력 하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를 본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제 2 조작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하나의 조작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다.
(3) 본 개시의 제 3 형태에 의하면,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는, 수평방향을 따른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미리 정한 위치까지 삽입된 후에,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 중 상기 삽입 방향의 안쪽측을 회전 지점으로 하여, 중력 하방향의 성분을 갖는 회전 장착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삽입 자세에서 상기 삽입 방향의 바로 앞측에 위치하는 제 1 조작면으로서, 상기 삽입 방향을 향하여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하중을 받는 제 1 조작면과, 상기 삽입 자세에서 상기 회전 장착 방향의 바로 앞측에 위치하는 제 2 조작면으로서, 상기 중력 하방향을 향하여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 장착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하중을 받는 제 2 조작면과, 상기 삽입 자세에서 상기 회전 장착 방향의 바로 앞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조작면을 향함에 따라서 내측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으로서, 상기 제 2 조작면에 접속된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 자세에서, 상기 삽입 방향 및 상기 중력 하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를 본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제 2 조작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제 1 각도는, 상기 경사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제 2 각도보다 작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로서의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카트리지 장착부에 카트리지가 장착된 도면이다.
도 3은 카트리지 장착부와 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카트리지 장착부를 +Z방향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제 1 종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 종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제 1 종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종 카트리지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장착 과정을 설명하는 제 1 도면이다.
도 10은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장착 과정을 설명하는 제 2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을 Y방향과 Z방향에 평행한 YZ 평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장착 과정을 설명하는 제 3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를 YZ 평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A. 실시형태:
A-1. 인쇄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로서의 인쇄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공간축이 XYZ축이 묘사되어 있다. X축, Y축, Z축의 화살표가 향하고 있는 방향은, 각각 X축, Y축, Z축을 따른 정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X축, Y축, Z축을 따른 정의 방향을, 각각 +X방향, +Y방향, +Z방향으로 한다. X축, Y축, Z축의 화살표가 향하고 있는 방향과 역의 방향이, 각각 X축, Y축, Z축을 따른 부의 방향이다. X축, Y축, Z축을 따른 부의 방향을, 각각 -X방향, -Y방향, -Z방향으로 한다. X축, Y축, Z축을 따른 방향으로 정부를 문제삼지 않는 것을, 각각 X방향, Y방향, Z방향이라 한다. 이 이후에 도시하는 도면, 및 설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인쇄 시스템(1)은 인쇄 장치(10)와, 인쇄 장치(10)에 액체인 잉크를 공급하는 카트리지(4)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인쇄 장치(10)는 액체로서의 잉크를 토출 헤드(22)로부터 토출하는 잉크젯 프린터이다. 이 인쇄 장치(10)는 포스터 등의 넓은 지면의 용지(A2 내지 A0 등)에 인쇄를 실행하는 대형의 프린터이다. 인쇄 장치(10)는 카트리지 장착부(6)와, 제어부(31)와, 캐리지(20)와, 토출 헤드(22)와, 구동 기구(30)를 구비한다. 또한, 인쇄 장치(10)는 인쇄 장치(10)의 동작을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15)을 구비한다.
카트리지 장착부(6)는 +Y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1 장치벽(67)을 갖는다. 제 1 장치벽(67)은 카트리지(4)의 수용실(61)로의 출입구인 삽발 개구부(insertion/removal opening)(674)를 갖는다. 이 삽발 개구부(674)를 거쳐서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수용실(61)에 수용되거나, 수용실(61)로부터 카트리지(4)가 분리된다. 카트리지 장착부(6)에는, 복수의 카트리지(4)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랙,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4색의 잉크에 대응하여 4종류의 카트리지(4)가 1개씩, 즉, 합계 4개의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된다. 블랙의 잉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4K)라고도 하며, 옐로우의 잉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4Y)라고도 하며, 마젠타의 잉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4M)라고도 하며, 시안의 잉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4C)라고도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카트리지(4K)는 카트리지(4C, 4M, 4Y)보다 많은 액체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4K)를 제 1 종 카트리지(4A)라고도 하며, 카트리지(4C, 4M, 4Y)를 제 2 종 카트리지(4B)라고도 한다.
인쇄 장치(10)는 +Y방향측의 전면에 교환용 커버(13)를 갖는다. 교환용 커버(13)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교환용 커버(13)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6)의 개구가 나타나며, 카트리지(4)의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카트리지 장착부(6)에 카트리지(4)가 장착되면, 액체 유통관으로서의 튜브(24)를 거쳐서 캐리지(20)에 마련된 토출 헤드(22)에 잉크가 공급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두 차이를 이용하여 카트리지(4)로부터 토출 헤드(22)에 잉크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 장착부(6) 내의 잉크의 액면과 토출 헤드(22)와의 수두 차이에 의해 잉크가 토출 헤드(22)에 공급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인쇄 장치(10)의 도시하지 않은 펌프 기구에 의해, 카트리지(4) 내의 잉크를 흡인하는 것에 의해, 잉크가 토출 헤드(22)에 공급되어도 좋다. 또한, 튜브(24)는, 잉크의 종류마다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되며, 액체로서의 잉크가 인쇄 장치(10)에 공급할 수 있는 상태를 "장착 완료 상태"라고도 한다.
토출 헤드(22)에는, 잉크의 종류마다 노즐이 마련되어 있다. 토출 헤드(22)는, 노즐로부터 인쇄 용지(2)를 향하여 잉크를 토출하여 문자나 화상 등의 데이터를 인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쇄 장치(10)는 카트리지 장착부(6)가 캐리지(20)의 움직임과는 연동하지 않는, 이른바 "오프 캐리지 타입"이라 하는 프린터이다. 캐리지(20)에 카트리지 장착부(6)가 마련되며, 캐리지(20)와 함께 카트리지 장착부(6)가 이동하는, 이른바 "온 캐리지 타입"이라 하는 프린터에도 본 개시의 기술은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31)는 인쇄 장치(10)의 각 부의 제어나, 카트리지(4)와의 신호의 주고받음을 실행한다. 캐리지(20)는 토출 헤드(22)를 인쇄 용지(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구동 기구(30)는 제어부(3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캐리지(20)를 왕복동시킨다. 구동 기구(30)는 타이밍 벨트(32)와, 구동 모터(34)를 구비한다. 타이밍 벨트(32)를 거쳐서 구동 모터(34)의 동력을 캐리지(20)에 전달하는 것에 의해, 캐리지(20)가 X방향을 따른 방향인 주 주사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또한, 인쇄 장치(10)는 인쇄 용지(2)를 +Y방향인 부 주사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반송 기구를 구비한다. 인쇄가 실행될 때에는, 반송 기구에 의해 인쇄 용지(2)가 부 주사방향으로 이동하며, 전면 커버(11) 상에 인쇄 완료 후의 인쇄 용지(2)가 출력된다.
또한, 캐리지(20)를 주 주사방향으로 이동시킨 인쇄 영역 외의 위치에는, 홈 포지션이라 불리는 영역이 마련되어 있으며, 홈 포지션에는, 정상적으로 인쇄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인터넌스를 실행하는 메인터넌스 기구가 탑재되어 있다. 메인터넌스 기구는, 토출 헤드(22)의 바닥면측에서 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가압되며, 노즐을 둘러싸도록 폐공간을 형성하는 캡 부재(8)나, 토출 헤드(22)의 노즐면에 가압하기 위해, 캡 부재(8)를 승강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승강 기구나, 캡 부재(8)가 토출 헤드(22)의 노즐면에 가압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폐공간에 부압을 도입하는 도시하지 않은 흡인 펌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쇄 시스템(1)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인쇄 용지(2)를 반송하는 부 주사방향을 따른 축을 Y축으로 하고, 중력 하방향을 따른 축을 Z축으로 하고, 캐리지(20)의 이동방향을 따른 축을 X축으로 한다. 여기에서, "인쇄 시스템(1)의 사용 상태"는 수평인 면에 인쇄 시스템(1)이 설치된 상태를 말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 주사방향을 +Y방향, 그 역방향을 -Y방향으로 하고, 중력 하방향을 -Z방향, 중력 상방향을 +Z방향으로 한다. X방향과 Y방향은 수평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또한, 인쇄 시스템(1)을 전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을 +X방향으로 하고, 그 역방향을 -X방향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착을 위해 카트리지 장착부(6)에 카트리지(4)가 삽입되는 삽입 방향이 -Y방향이며,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이 +Y방향이다. 따라서, 카트리지 장착부(6) 중, -Y방향측을 안쪽측이라고도 하며, +Y방향측을 바로 앞측이라고도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카트리지(4)의 배열방향이 X방향이 된다.
도 2는 카트리지 장착부(6)와 카트리지(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카트리지(4K, 4M, 4Y)는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장착이 완료된 장착 완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카트리지(4C)는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삽입이 완료된 삽입 완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카트리지(4)는, 수평방향을 따른 삽입 방향(D1)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6)의 미리 정한 위치까지 삽입된 후에, 카트리지 장착부(6) 중 삽입 방향(D1)의 안쪽측을 회전 지점(698)으로 하고, 중력 하방향의 성분을 갖는 회전 장착 방향(D2)으로 회전 이동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장착이 완료된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할 때에는, 장착 과정이 실행된다. 장착 과정은, 단자 접속 과정과, 단자 접속 과정의 다음에 실행되는 공급부 접속 과정을 갖는다. 단자 접속 과정은, 제 1 장치벽(67)의 삽발 개구부(674)를 거쳐서, 카트리지(4)를 수평방향을 따른 삽입 방향(D1)으로 이동시켜, 카트리지 장착부(6)의 수용실(61)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미리 정한 위치까지 삽입하는 과정이다. 미리 정한 위치는, 카트리지(4)의 후술하는 카트리지측 단자와, 카트리지 장착부(6)의 후술하는 장치측 단자의 접촉이 완료되는 위치이다. 공급부 접속 과정은, 장치측 단자와 카트리지측 단자의 접촉을 유지한 상태로, 카트리지 장착부(6)의 후술하는 액체 도입부와 카트리지(4)의 후술하는 액체 공급부를 접속하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는, 공급부 접속 과정에서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회전 지점(698)을 중심으로, 카트리지(4)의 제 1 조작면(47)측을 화살표에 나타내는 회전 장착 방향(D2)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액체 도입부와 액체 공급부가 접속된다. 또한, 장착 완료 상태에서는, 카트리지(4)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1 장치벽(67)측에 마련된 맞물림 형성체에 의해 맞물리는 것에 의해 장착 완료 상태가 보지되어 있다.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취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카트리지(4)의 제 1 조작면(47)측을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회전 지점(698)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 장착 방향(D2)은 반대방향인 접속 해제방향(D3)으로 후단(47)측을 회전 이동시킨다. 이 회전 이동시에, 맞물림 형성체에 의한 맞물림이 해제된다. 접속 해제방향(D3)으로 카트리지(4)를 회전 이동시켜 카트리지(4)가 삽입 완료 상태가 된 후에, 분리방향(D4)인 +Y방향으로 카트리지(4)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카트리지(4)가 취출된다.
A-2. 카트리지 장착부의 상세 구성:
도 3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카트리지 장착부(6)를 +Z방향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이해의 용이를 위해, 카트리지 장착부(6)의 일부의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해, X방향을 폭방향, Y방향을 안길이방향, Z방향을 높이방향이라고도 한다. 이하에 있어서, 특별히 상태에 대한 기재가 없는 경우에는,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초기 배치 상태일 때의 카트리지 장착부(6)를 전제로 각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는 카트리지(4)가 수용되는 수용실(61)을 형성한다. 수용실(61)은, 대략 직방체형상이다. 수용실(61) 중, 각 카트리지(4C, 4M, 4Y, 4K)를 수용하는 부분인 슬롯(61C, 61M, 61Y, 61K)은 대체로 각 카트리지(4C, 4M, 4Y, 4K)의 외관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4K)는 다른 카트리지(4C, 4M, 4Y)에 비해, 수용하는 액체의 양을 크게 하기 위해 X방향의 치수가 크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롯(61K)의 폭은 다른 슬롯(61C, 61M, 61Y)의 폭보다 크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는 수용실(61)을 형성하는 6개의 장치벽(62, 63, 64, 65, 66, 67)을 갖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 "벽"은 단일의 벽에 부가하여, 복수의 벽에 의해 구성된 벽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 1 장치벽(67)은 카트리지(4)를 수용실(61)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때에 통과시키는 삽발 개구부(674)를 형성한다. 제 2 장치벽(62)은 수용실(61)의 -Y방향측의 벽을 형성한다. 제 2 장치벽(62)은 Y방향에 있어서 제 1 장치벽(67)과 대향한다. 제 2 장치벽(62)은 인쇄 장치(10)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대체로 수직인 벽이다.
장치 상벽(63)은 수용실(61)의 +Z방향측의 벽을 형성한다. 장치 바닥벽(64)은 Z방향에 있어서 장치 상벽(63)과 대향하며, 수용실(61)의 -Z방향측의 벽을 형성한다. 장치 바닥벽(64)은 지지 부재(61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장치 바닥벽(64)은 복수의 장치 개구부(614)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치 개구부(614)는 슬롯(61C, 61M, 61Y, 61K)을 따라서 4개 형성되어 있다. 장치 상벽(63) 및 장치 바닥벽(64)은 제 2 장치벽(62)과 제 1 장치벽(67)과 교차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만난다"나 "교차한다"는 (ⅰ) 2개의 요소가 서로 교차하여 실제로 만나는 상태, (ⅱ) 한쪽의 요소를 연장시킨 경우에 다른쪽의 요소에 만나는 상태, 및 (ⅲ) 상호의 요소를 각각 연장한 경우에 서로의 요소가 만나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제 1 장치 측벽(65)은 수용실(61)의 +X방향측의 벽을 형성한다. 제 2 장치 측벽(66)은 X방향에 있어서, 제 1 장치 측벽(65)과 대향하며, 수용실(61)의 -X방향측의 벽을 형성한다. 제 1 장치 측벽(65) 및 제 2 장치 측벽(66)은, 제 2 장치벽(62)과, 제 1 장치벽(67)과, 장치 상벽(63)과, 장치 바닥벽(64)과 교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는 추가로, 지지 부재(610)와, 액체 도입부(642)와,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와, 장치 안내부(602)와, 맞물림 형성체(677)를 갖는다. 지지 부재(610)는 장착되는 카트리지(4)의 수에 따라서, 복수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부재(610)는 4개 마련되어 있다. 지지 부재(610)는 수용실(61)의 중력 하방향측의 장치 바닥벽(64)을 형성한다. 지지 부재(610)는 카트리지(4)를 중력 하방향측인 -Z방향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지지 부재(610)는 Y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재이다. 지지 부재(610)는 오목형상이다. 지지 부재(610)는 장치 바닥벽(64)을 형성하는 주벽(613)과, 제 1 지지 측벽(611)과, 제 2 지지 측벽(612)을 갖는다.
주벽(613)은 중력 하방향측에 위치하는 오목형상의 바닥부를 형성한다. 주벽(613) 중, 제 1 장치벽(67)측의 단부에는, 장치 개구부(614)가 형성되어 있다. 장치 개구부(614)는, 주벽(613)의 두께방향으로 주벽(613)을 관통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 측벽(611)은 주벽(613)의 +X방향측 단부로부터 중력 상방향인 +Z방향으로 솟아오른다. 제 2 지지 측벽(612)은 주벽(613)의 -X축방향측 단부로부터 +Z방향으로 솟아오른다. 제 1 지지 측벽(611)과 제 2 지지 측벽(612)은 X방향으로 대향한다.
장치 안내부(602)는, 카트리지(4)를 삽입 방향(D1) 및 분리방향(D4)으로 안내한다. 장치 안내부(602)는 지지 부재(610)마다 마련되어 있다. 장치 안내부(602)는 제 1 지지 측벽(611)과 제 2 지지 측벽(612)의 각각에 마련되어 있다. 장치 안내부(602)는 제 1 지지 측벽(611)과 제 2 지지 측벽(612)에 마련된 돌기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 측벽(611)에 마련된 제 1 장치 안내부(602a)는, 제 1 지지 측벽(611)으로부터 제 2 지지 측벽(612)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이다. 제 1 장치 안내부(602a)는 Y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또한, 제 1 장치 안내부(602a)는 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제 2 지지 측벽(612)에 마련된 제 2 장치 안내부(602b)는, 제 2 지지 측벽(612)으로부터 제 1 지지 측벽(611)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이다. 제 2 장치 안내부(602b)는, Y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또한, 제 2 장치 안내부(602b)는 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도입부(642)는, 카트리지(4)의 액체를 받아들인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도입부(642)는 중심축(CA1)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심축(CA1)은 Z방향에 대해 +Y방향으로 4°경사져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6)의 초기 배치 상태에서는, 액체 도입부(642)는, 수용실(61) 내에 위치하는 일이 없이, 수용실(61)보다 -Z방향측에 위치한다. 즉, 액체 도입부(642)는 지지 부재(610)에 대해 수용실(61)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수용실(61)에 삽입되는 경우에, 액체 도입부(642)에 카트리지(4)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액체 도입부(642)의 선단부(642b)는, 회전 지점(698)을 중심으로 지지 부재(610)를 회전 장착 방향(D2)으로 회전 이동시켜 장치 개구부(614)를 누르는 것에 의해, 수용실(61) 내에 배치된다. 즉, 회전 지점(698)은 지지 부재(610)를 회전 이동시켜 장치 개구부(614)를 중력 하방향측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장치 개구부(614)를 거쳐서 액체 도입부(642)의 선단부(642b)를, 수용실(61) 내에 배치시킨다.
도 3에 도시하는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는, 카트리지(4)의 후술하는 공급부 위치결정부에 받아들여지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4)의 액체 공급부의 액체 도입부(642)에 대한 움직임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의 액체 공급부의 위치결정이 실행된다. 카트리지 장착부(6)의 초기 배치 상태에서는,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는, 수용실(61) 내에 위치하는 일이 없이, 수용실(61)보다 -Z방향측에 위치한다. 즉,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는, 지지 부재(610)에 대해 수용실(61)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수용실(61)에 삽입되는 경우에,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에 카트리지(4)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의 타단부(644b)는, 회전 지점(698)을 중심으로 지지 부재(610)를 회전 장착 방향(D2)으로 회전시켜 장치 개구부(614)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수용실(61) 내에 배치된다. 즉, 회전 지점(698)은 지지 부재(610)를 회전시켜 장치 개구부(614)를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장치 개구부(614)를 거쳐서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의 타단부(644b)를 수용실(61) 내에 배치시킨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는 추가로, 장치측 단자부(70)를 갖는다. 장치측 단자부(70)는 카트리지(4)의 장착 완료 상태에서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측 단자와 접촉하는 장치측 단자를 갖는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물림 형성체(677)는 지지 부재(610)보다 +Y방향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맞물림 형성체(677)는 삽발 개구부(674)보다 -Z방향측에 위치한다. 맞물림 형성체(677)에는, 각 슬롯(61C 내지 61K)에 대응하여 도시하지 않은 탄성을 갖는 장착 맞물림부가 4개 배치되어 있다.
A-3. 카트리지의 상세 구성:
도 5는 제 1 종 카트리지(4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 종 카트리지(4A)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제 1 종 카트리지(4A)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종 카트리지(4A)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XYZ축은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삽입 자세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삽입 자세는,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삽입이 완료된 삽입 완료 상태일 때의 카트리지(4)의 자세와 동일하다. 제 1 종 카트리지(4A)와 제 2 종 카트리지(4B)의 상이한 점은, 액체 수용체(401)의 폭이다. 제 1 종 카트리지(4A)는 제 2 종 카트리지(4B)보다 폭이 큰 점이다. 이에 의해, 제 1 종 카트리지(4A)의 액체 수용부(450)의 용적은, 제 2 종 카트리지(4B)의 액체 수용부(450)의 용적보다 크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종 카트리지(4A)와 제 2 종 카트리지(4B)에서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제 1 종 카트리지(4A)를 도시하여 카트리지(4)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의 외형은 대략 직방체형상이다. 카트리지(4)에 있어서, 카트리지 장착부(6)로 삽입 방향(D1)인 -Y방향을 따른 방향이 장측방향이며, X방향이 폭방향으로서의 단측방향이며, Z방향이 중력 하방향, 즉, 높이방향이다. 카트리지(4)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치수가 가장 크고, 단측방향의 치수가 가장 작다. 폭방향은 삽입 자세에서, 삽입 방향(D1)과 중력 하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는 외각을 구성하는 카트리지 본체(41)와, 카트리지 본체(41)에 장착된 회로 기판(50)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 본체(4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카트리지 본체(41)는 액체 수용체(401)와 액체 수용체(401)에 끼워맞춤에 의해 장착된 어댑터(402)를 구비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 본체(41)는 일체여도 좋다.
액체 수용체(401)와 어댑터(402)는 각각,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를 예를 들면,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성형된다. 액체 수용체(401)와 어댑터(402)는 동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상이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액체 수용체(401)는 액체로서의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부(450)와, 액체 공급부(442)를 갖는다. 액체 공급부(442)는 액체 수용부(450)와 연통한다. 액체 공급부(442)는, 액체 수용체(401)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부재이며, 중심축(CA2)을 갖는다. 중심축(CA2)은 삽입 완료 상태에서는, Z방향에 평행이다. 중심축(CA2)을 따른 방향을 중심축방향이라고도 한다. 삽입 방향(D1)은 중심축(CA2)을 따른 중심축방향과 직교한다.
어댑터(402)는 액체 수용체(401)의 바닥면측에 장착된다. 어댑터(402)는 액체 공급부(442)를 수용하는 오목형상의 공급부 배치부(831)를 갖는다. 공급부 배치부(831)의 바닥면에는 삽입 개구부(446)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개구부(446)는 액체 도입부(642)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삽입 개구부(446)는 액체 공급부(442)의 선단 개구인 공급부 선단부(442a)와 Z방향으로 대향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41)는 전면(42)과, 후면으로서 제 1 조작면(47)과, 상면(43)과, 바닥면(44)과, 제 1 측면(45)과, 제 2 측면(46)과, 코너부(89)를 갖는다. 각 면(42, 43, 44, 45, 46, 47)은 각 벽(42, 43, 44, 45, 46, 47)이라고도 한다.
전면(42)과 제 1 조작면(47)은 삽입 자세에서, 삽입 방향(D1)을 따른 Y방향에 있어서 대향한다. 전면(42)은 삽입 자세에서 삽입 방향(D1)의 안쪽측, 즉 삽입 방향(D1)의 선단측인 -Y방향측의 선단면을 형성한다. 제 1 조작면(47)은 삽입 자세에서 삽입 방향(D1)의 바로 앞측, 즉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방향(D4)인 +Y방향측에 위치하는 면을 형성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조작면(47)은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삽입할 때에, 이용자에 의해 삽입 방향(D1)을 향하여 가압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4)를 삽입 방향(D1)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하중(FD1)을 받는다. 이 제 1 하중(FD1)은 카트리지(4)를 삽입 방향(D1)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이다. 제 1 조작면(47)은, 상면(43) 중 +Y방향측의 단부, 즉 후술하는 제 2 조작면(435)의 +Y방향측의 단부로부터 바닥면(44)이 위치하는 측으로 연장된다. 제 1 조작면(47)은 평면형상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면형상"은 요철이 없는 평면에 부가하여, 다소의 요철을 포함하는 면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자세, 및 폭방향으로부터 본 측면에서 보아, 제 1 조작면(47)은, 삽입 방향(D1)에 대해 대략 수직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자세, 및 폭방향으로부터 본 측면에서 보아, 제 1 조작면(47)과 삽입 방향(D1)이 이루는 각도(AGa)는, 86°±2°이다. 즉, 제 1 조작면(47)의 법선 벡터(V1)의 방향과, 삽입 방향(D1)이 이루는 각도는, 4°±2°의 범위이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각도(AGa)는 90°여도 좋다. 상기와 같이 "제 1 조작면(47)은, 삽입 방향(D1)에 대해 대략 수직"은, 제 1 조작면(47)과 삽입 방향(D1)이 이루는 각도(AGa)가 90°인 상태에 부가하여, 84° 이상 90° 이하인 상태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43)과 바닥면(44)은 중심축(CA2)의 중심축방향인 Z방향에 있어서 대향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면(44)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액체 도입부(642)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부(446)와, 공급부 위치결정부(448)를 갖는다. 바닥면(44)은 카트리지(4)의 장착 완료 상태에서, 카트리지(4)의 하측의 면을 형성한다. 바닥면(44)은 카트리지 장착부(6) 중 삽입 방향(D1)의 안쪽측을 회전 지점(698)으로 한 회전 장착 방향(D2)에 있어서의 안쪽측, 즉 회전 장착 방향(D2)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면이다. 공급부 위치결정부(448)는 장착 과정에 있어서,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를 받아들여, 액체 공급부(442)의 액체 도입부(642)에 대한 위치결정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장착 과정 중, 공급부 접속 과정에 있어서, 공급부 위치결정부(448)는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를 받아들여, 회전 장착 방향(D2)과 교차하는 방향의 공급부 위치결정부(448)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에 의해, 액체 도입부(642)에 대한 액체 공급부(442)의 위치결정을 실행한다. 공급부 위치결정부(448)는 바닥면(44)에 형성되며, 바닥면(44)의 외표면으로부터 오목한 오목부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43)은 중심축방향인 Z방향에 있어서, 바닥면(44)과 대향한다. 상면(43)은 카트리지(4)의 장착 완료 상태에 있어서, 카트리지(4)의 상측의 면을 형성한다. 상면(43)은 삽입 자세에서 회전 장착 방향(D2)의 바로 앞측, 즉, 회전 장착 방향(D2)과는 반대방향인 접속 해제방향(D3)의 안쪽측에 위치한다. 상면(43)은 전면(42)과 제 1 조작면(47)을 연결한다. 상면(43)은 주면(432)과, 경사면(433)과, 제 1 조작면(47)에 접속된 제 2 조작면(435)을 갖는다. 주면(432)과, 경사면(433)과 제 2 조작면(435)은 평면형상이다.
주면(432)은 3개의 면(431, 433, 435) 중 가장 큰 면이다. 주면(432)은 전면(42)으로부터 삽입 방향(D1)과는 반대방향의 분리방향(D4)을 따라서 연장된다. 주면(432)은 삽입 방향(D1)에 평행이다. 경사면(433)은 주면(432)으로부터 분리방향(D4)측으로 연장된다. 경사면(433)의 +Y방향측의 단부는 제 1 조작면(47)에 접속되어 있다. 경사면(433)은 분리방향(D4)측을 향함에 따라서, 즉 제 1 조작면(47)을 향함에 따라서, 바닥면(44)측인 카트리지 본체(41)의 내측쪽에 위치하도록 삽입 방향(D1)에 대해 경사진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삽입 자세, 및 측면에서 보아, 경사면(433)과 삽입 방향(D1)이 이루는 제 2 각도(AG2)는 10° 이상 35° 이하의 범위이다. 제 2 조작면(435)은 경사면(433)과 제 1 조작면(47)을 연결한다. 제 2 조작면(435)은 이용자에 의해 중력 하방향을 향하여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생기는 카트리지(4)를 회전 장착 방향(D2)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하중(FD2)을 받는다. 제 2 하중(FD2)의 방향은 대체로 중력 하방향이다. 또한, 회전 장착 방향(D2)은 중력 하방향의 성분을 갖는다. 삽입 자세에서, 제 2 조작면(435)은 주면(432)보다 중력 하방향측에 위치한다. 삽입 자세, 및 측면에서 보아, 제 2 조작면(435)과 삽입 방향(D1)이 이루는 제 1 각도(AG1)는, 제 2 각도(AG2)보다 작다. 제 1 각도(AG1)는, 예를 들면 2° 이하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0°이다. 제 2 조작면(435)은 삽입 자세, 및 한쪽측면 보아 중력 하방향과 대략 수직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중력 하방향과 대략 수직"은, 제 2 조작면(435)과 중력 하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인 상태에 부가하여, 90°±2°의 범위에 있는 상태도 포함한다. 또한, 상술의 기재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삽입 자세, 및 측면에서 보아, 제 2 조작면(435)과 삽입 방향(D1)이 이루는 제 1 각도(AG1)는, 제 1 조작면(47)과 삽입 방향(D1)이 이루는 각도(AGa)보다 작다. 또한, 중력 하방향과, 제 2 하중(FD2)의 방향은 대체로 동일하다. 또한, 회전 장착 방향(D2)에 있어서, 제 2 조작면(435)을 통하는 카트리지(4)의 회전 궤적의 접선방향은, 측면에서 보아, 제 2 조작면(435)과 대략 수직으로 만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면(433)에 의해, 제 2 조작면(435)의 상측에는 제 1 공간(SP1)이 생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측면(45)과 제 2 측면(46)은 폭방향인 X방향으로 대향한다. 제 1 측면(45)과 제 2 측면(46)은 각각, 삽입 자세에서, Y방향과 Z방향에 평행이다. 제 1 측면(45)은 +X방향측에 위치하는 면이다. 제 2 측면(46)은 -X방향측에 위치하는 면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너부(89)는, 전면(42)과 바닥면(44)이 교차하는 코너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코너부(89)는,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형상의 단자 배치부(90)를 갖는다. 회로 기판(50)은 단자 배치부(90)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는 추가로, 단차면(87)과, 대향면(431)을 갖는다. 단차면(87)은 어댑터(402)에 의해 형성된 면이다. 단차면(87)은 바닥면(44) 중 분리방향(D4)측인 +Y방향측의 단부로부터 상면(43)측으로 솟아오르는 면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면(87)에는, 카트리지 맞물림부(497)가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맞물림부(497)는 단차면(87)의 외표면으로부터 오목한 오목부이다. 카트리지 맞물림부(497)는 장착 완료 상태에서 장착 맞물림부(697)가 인입되는 것에 의해, 장착 맞물림부(697)와 맞물린다. 이 맞물림에 의해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한 장착 완료 상태가 유지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향면(431)은 액체 수용체(401)에 의해 형성된 면이다. 대향면(431)은 액체 수용체(401)의 바닥면이 된다. 대향면(431)은, 중심축(CA2)을 따른 중심축방향에 있어서 제 2 조작면(435)과 대향한다. 대향면(431)은, 바닥면(44)보다 중력 상방향측에 위치한다. 즉, 중심축(CA2)을 따른 중심축방향에 대해, 대향면(431)은, 제 2 조작면(435)과 바닥면(44)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본체(41)가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향면(431)의 하측에는 제 2 공간(SP2)이 생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41)를 수용하는 최소 용적의 가상 직방체를 점선으로 나타내는 가상 직방체(VC)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 1 조작면(47) 중 회전 장착 방향(D2)측의 단부(47b) 이외의 제 1 부분(47a)과, 제 2 조작면(435)은 가상 직방체(VC)의 내측에 위치한다. 단부(47b)는 제 1 조작면(47) 중 대향면(431)이 만나는 부분이다. 제 1 부분(47a)과 제 2 조작면(435)이 가상 직방체(VC)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 본체(41)가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대향면(431) 중 제 1 조작면(47)에 접속된 접속 부분(431b)을 제외한 제 2 부분(431a)은 가상 직방체(VC)의 내측에 위치한다. 제 2 부분(431a)이 가상 직방체(VC)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 본체(41)가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A-4. 카트리지의 장착 과정:
도 9는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장착 과정을 설명하는 제 1 도면이다. 도 10은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장착 과정을 설명하는 제 2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을 Y방향과 Z방향에 평행한 YZ 평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장착 과정을 설명하는 제 3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를 YZ 평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우선, 회로 기판(50)의 카트리지측 단자(521)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장치측 단자(721)가 접촉하는 미리 정한 위치까지, 카트리지(4)를 삽입 방향(D1)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단자 접속 과정이 실행된다. 단자 접속 과정에서는, 이용자는, 제 1 조작면(47)을 삽입 방향(D1)을 향하여 가압한다. 이에 의해, 제 1 조작면(47)은 삽입 방향(D1)을 향한 제 1 하중(FD1)을 받는다. 제 1 조작면(47)은 제 2 조작면(435)으로부터 바닥면(44)이 위치하는 측으로 연장된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조작면(47)은, 카트리지(4)의 삽입 자세, 및 측면에서 보아, 삽입 방향(D1)과 대략 수직이다. 즉, 제 1 조작면(47)의 법선 벡터(V1)의 방향은, 삽입 방향(D1)과 대략 평행이다. 이에 의해, 이용자가 제 1 조작면(47)을 삽입 방향(D1)을 향하여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생기는 제 1 하중(FD1)이 분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보다 작은 힘으로 제 1 조작면(47)을 삽입 방향(D1)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4)를 삽입 방향(D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 1 하중(FD1)의 방향을 제 1 조작면(47)에 대해 90°에 가까운 방향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하중(FD1)이 삽입 방향(D1) 이외로 분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는 보다 작은 힘으로 제 1 조작면(47)을 삽입 방향(D1)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4)를 삽입 방향(D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D1)으로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측 단자(521)와 장치측 단자(721)가 접촉하는 미리 정한 위치까지, 카트리지(4)를 삽입 방향(D1)을 따라서 이동시켜 단자 접속 과정이 완료된 후에, 공급부 접속 과정이 실행된다. 즉, 이용자는 제 2 조작면(435)을 중력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회전 지점(698)을 중심으로 하여, 중력 하방향 성분을 갖는 회전 장착 방향(D2)으로 카트리지(4)를 회전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부 위치결정부(448)가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를 받아들이는 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442)의 액체 도입부(642)에 대한 위치결정이 개시된다. 이어서, 액체 공급부(442)가 액체 도입부(642)에 삽입되고 접속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의 장착은 완료된다. 여기에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자세, 및 측면에서 보아, 제 2 조작면(435)과 삽입 방향(D1)이 이루는 제 1 각도(AG1)는, 경사면(433)과 삽입 방향(D1)이 이루는 제 2 각도(AG2)보다 작다. 이에 의해, 제 2 조작면(435)과 중력 하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경사면(433)으로 중력 하방향이 이루는 각도보다 90°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하중(FD2)의 방향을 제 2 조작면(435)에 대해 90°에 가까운 방향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면(433)을 중력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보다 제 2 하중이 중력 하방향 이외로 분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를 회전 장착 방향(D2)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 2 조작면(435)을 중력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4)의 장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회전 장착 방향(D2)으로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자세, 및 측면에서 보아, 제 2 조작면(435)은 중력 하방향과 대략 수직이다. 이에 의해, 공급부 접속 과정시에, 제 2 조작면(435)에 가해지는 제 2 하중이 분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카트리지(4)를 회전 장착 방향(D2)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 2 조작면(435)을 중력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카트리지(4)의 장착시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의 장착 완료 상태에서는, 카트리지(4)의 액체 공급부(442)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액체 도입부(642)가 접속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의 액체 수용부(450)에 수용된 액체가, 액체 공급부(442)를 거쳐서 액체 도입부(642)에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공급부(442)로부터 액체 도입부(642)에 액체가 공급되는 한편, 카트리지 장착부(6)의 액체 저류부(699)에 수용된 공기가 기포가 되어, 액체 도입부(642), 액체 공급부(442)를 유통하여 액체 수용부(450)에 유통된다. 이에 의해, 액체 수용부(450)의 기액 교환이 실행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4)가 액체 수용부(450)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를 가지며, 이 대기 연통로를 거쳐서 기액 교환이 실행되어도 좋다. 대기 연통로는 액체 공급부(442)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액체 수용부(450)를 형성하는 벽에 형성된다.
또한, 카트리지(4)의 장착 완료 상태에서는,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맞물림부(497)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장착 맞물림부(697)와 맞물리는 것에 의해, 장착 완료 상태가 유지된다. 장착 맞물림부(697)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1 장치벽(67)측에 위치하는 맞물림 형성체(677)에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우선 이용자는 카트리지(4)의 제 1 조작면(47)측을 중력 상방측으로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회전 지점(698)을 중심으로 중력 상방향 성분을 갖는 접속 해제방향(D3)으로 카트리지(4)를 이동시킨다. 이 이동의 과정에 있어서, 스프링으로 구성된 장착 맞물림부(697)가 카트리지(4)에 의해 변위하는 것에 의해 장착 맞물림부(697)와 카트리지 맞물림부(497)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카트리지(4)가 삽입 자세가 될 때까지 접속 해제방향(D3)으로 이동한 후에, 이용자는, 카트리지(4)의 제 1 조작면(47)측을 파 지하고 분리방향(D4)으로 카트리지(4)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카트리지(4)가 분리된다.
여기에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카트리지(4C, 4M, 4Y, 4K)가 X방향으로 나열되어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카트리지(4)끼리의 사이의 공간은 작다. 따라서, 카트리지(4)를 파지하고 분리방향(D4)으로 카트리지(4)를 이동시키기 위해, 카트리지(4)의 측면(45, 46)을 파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에 있어서, 경사면(433)에 의해 제 2 조작면(435)의 상측에는 제 1 공간(SP1)이 생기고, 단차면(87)에 의해 대향면(431)의 하측에는 제 2 공간(SP2)이 생긴다. 이 제 1 공간(SP1)이나 제 2 공간(SP2)에 의해,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의 분리시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공간(SP2)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이용자는 제 2 공간(SP2)에 손을 넣는 것에 의해 대향면(431)에 대해 중력 상방향으로 밀어올릴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삽입 자세에서, 제 1 공간(SP1) 및 제 2 공간(SP2)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이용자는 제 1 공간(SP1) 및 제 2 공간(SP2)에 손을 넣는 것에 의해, 제 2 조작면(435)과 대향면(431)을 파지하여 카트리지(4)를 분리방향(D4)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는, 상면(43)을 구성하는 주면(432)과, 상면(43)을 구성하고, 주면(432)보다 중력 하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2 조작면(435)을 갖는다. 이에 의해, 주면(432)과 제 2 조작면(435)이 동일한 높이 위치가 되는 경우에 비해, 카트리지(4)의 외형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는 제 2 조작면(435)을 향함에 따라서 내측쪽에 위치하는 경사면(433)을 갖는다. 환언하면, 카트리지(4)는, 분리방향(D4)을 향함에 따라서 바닥면(44) 측에 위치하도록 삽입 방향(D1)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433)을 갖는다. 이에 의해서도, 카트리지(4)의 외형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카트리지(4)의 외형이 커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4)의 중량이 작아지거나, 이용자가 카트리지(4)를 파지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이용자는 카트리지(4)를 인쇄 장치(10)에 착탈할 때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할 때에, 제 1 조작면(47)에 가해지는 제 1 하중(FD1)이나 제 2 조작면(435)에 가해지는 제 2 하중(FD2)이 카트리지(4)를 전진시키는 방향 이외로 분산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의 장착 과정에 있어서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B. 다른 실시형태:
B-1. 다른 실시형태 1:
본 개시는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잉크 카트리지로 한정되지 않으며, 잉크 이외의 다른 액체를 분사하는 임의의 인쇄 장치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각종의 인쇄 장치 및 그 카트리지에 적용 가능하다.
(1) 팩시밀리 장치 등의 화상 기록 장치
(2)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장치용의 칼라 필터의 제조에 이용되는 색재를 분사하는 인쇄 장치
(3)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나, 면발광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의 전극 형성에 이용되는 전극재를 분사하는 인쇄 장치
(4) 바이오 칩 제조에 이용되는 생체 유기물을 포함한 액체를 분사하는 인쇄 장치
(5) 정밀 피펫으로서의 시료 인쇄 장치
(6) 윤활유의 인쇄 장치
(7) 수지액의 인쇄 장치
(8) 시계나 카메라 등의 정밀 기계에 핀 포인트로 윤활유를 분사하는 인쇄 장치
(9) 광통신 소자 등에 이용되는 미소 반구 렌즈(광학 렌즈) 등을 형성하기 위해 자외선 경화 수지액 등의 투명 수지액을 기판 상에 분사하는 인쇄 장치
(10) 기판 등을 에칭하기 위해 산성 또는 알칼리성의 에칭액을 분사하는 인쇄 장치
(11) 다른 임의의 미소량의 액적을 토출시키는 액체 분사 헤드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
또한 "액적"은, 인쇄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액체 상태를 말하며, 입자형상, 눈물형상, 실형상으로 꼬리를 갖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액체"는 인쇄 장치가 분사시킬 수 있는 것 같은 재료이면 좋다. 예를 들면, "액체"는, 물질이 액상일 때 상태의 재료이면 좋으며, 점성이 높거나, 또는 낮은 액상태의 재료, 및 콜로이드 용액, 겔수, 그 외의 무기 용제, 유기 용제, 용액, 액상 수지, 액상 금속과 같은 액상태의 재료도 "액체"에 포함된다. 또한, 물질의 하나의 상태로서의 액체 뿐만 아니라, 안료나 금속 입자 등의 고형물로 이루어지는 기능 재료의 입자가 용매에 용해, 분산 또는 혼합된 것 등도 "액체"에 포함된다. 또한, 액체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상기 실시형태로 설명한 바와 같은 잉크나 액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잉크는 일반적인 수성 잉크 및 유성 잉크 및 젤 잉크, 핫멜트 잉크 등의 각종 액체형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B-2. 다른 실시형태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의 주면(432)이나 경사면(433)은 평면형상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경사면(433)은 카트리지(4)의 외측쪽으로 볼록하게 되는 곡면형상이나, 카트리지(4)의 내측쪽으로 오목하게 되는 곡면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경사면(433)은, 복수의 평면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경사면(433)은 주면(432)과 제 2 조작면(435)을 연결하는 면이면 좋으며, 예를 들면 중력 하방향을 따른 면이어도 좋다.
C. 다른 형태:
본 개시는 상술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에 기재하는 각 형태 중의 기술적 특징에 대응하는 실시형태의 기술적 특징은, 상술의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 혹은, 상술의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히, 교체나, 조합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기술적 특징이 본 명세서 내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지 않으면, 적절히,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본 개시의 제 1 형태에 의하면,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삽입 자세에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수평방향을 따른 삽입 방향의 바로 앞측에 위치하는 제 1 조작면으로서, 상기 삽입 방향을 향하여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삽입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하중을 받는 제 1 조작면과, 상기 삽입 자세에서, 중력 상방향측에 위치하는 상면을 구성하는 주면과, 상기 삽입 자세에서, 상기 상면을 구성하고, 상기 주면보다 중력 하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2 조작면으로서, 상기 중력 하방향을 향하여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중력 하방향의 성분을 갖는 회전 장착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하중을 받는 제 2 조작면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 자세에서, 상기 삽입 방향 및 상기 중력 하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를 본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제 2 조작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 1 조작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 2 조작면이 주면보다 중력 하방향측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의 외형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에 착탈할 때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제 2 조작면과 삽입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제 1 조작면과 삽입 방향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다. 이에 의해, 제 2 조작면과 중력 하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제 1 조작면과 중력 하방향이 이루는 각도보다 90°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하중의 방향을 제 2 조작면에 대해 90°에 가까운 방향으로 할 수 있으므로, 제 2 하중이 분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를 회전 장착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 2 조작면을 중력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의 장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회전 장착 방향으로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 상기 형태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가 갖는 액체 도입부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부를 가지는 바닥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조작면은, 상기 제 2 조작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이 위치하는 측에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 1 조작면이 제 2 조작면에서 바닥면이 위치하는 측으로 연장되는 것에 의해, 제 1 하중의 방향을 제 1 조작면에 대해 90°에 가까운 방향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하중이 분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작은 힘으로 제 1 조작면을 삽입 방향을 향하여 가압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를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의 장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에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3) 상기 형태에 있어서, 추가로 외각을 형성하는 카트리지 본체로서, 상기 제 1 조작면과 상기 제 2 조작면을 갖는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제 1 조작면 중 상기 회전 장착 방향측의 단부 이외의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조작면은 상기 카트리지 본체를 수용하는 최소 용적의 가상 직방체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 1 조작면의 제 1 부분과 제 2 조작면이 가상 직방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 본체가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4)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면은, 상기 제 1 조작면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는, 추가로 상기 제 2 조작면과 대향하며, 상기 제 1 조작면에 접속된 대향면을 가지며, 상기 대향면 중, 상기 제 1 조작면에 접속된 접속 부분을 제외한 제 2 부분은, 상기 가상 직방체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대향면 중 제 2 부분이 가상 직방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 본체가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5)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삽입 자세 또한 상기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제 1 조작면은 상기 삽입 방향과 대략 수직이며, 상기 제 2 조작면은 상기 중력 하방향과 대략 수직이어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 1 조작면에 가해지는 제 1 하중이 분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카트리지를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제 1 조작면을 가압하는 힘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형태에 의하면, 제 2 조작면에 가해지는 제 2 하중이 분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카트리지를 회전 장착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 2 조작면을 중력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카트리지의 장착시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6) 본 개시의 제 2 형태에 의하면,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와 연통하며, 중심축을 갖는 액체 공급부와,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미리 정한 위치까지 삽입하는 방향인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을 따른 중심축방향과 직교하는 삽입 방향에서의 안쪽측에 위치하는 전면과, 상기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면과 대향하는 제 1 조작면으로서, 상기 삽입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하중을 받는 제 1 조작면과,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액체 도입부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부를 갖는 바닥면으로서, 중력 하방향의 성분을 갖는 회전 장착 방향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 중 상기 삽입 방향의 안쪽측을 회전 지점으로 한 회전 장착 방향에서의 안쪽측에 위치하는 바닥면과, 상기 중심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과 대향하는 상면으로서, 상기 전면과 상기 제 1 조작면을 연결하는 상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면은, 상기 전면으로부터 상기 삽입 방향과는 반대의 분리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주면과, 상기 주면보다 상기 바닥면측에 위치하는 제 2 조작면으로서, 상기 중력 하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생기는 상기 회전 장착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하중을 받는 제 2 조작면을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삽입 자세에서 상기 삽입 방향 및 상기 중력 하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를 본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제 2 조작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 1 조작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 2 조작면이 주면보다 중력 하방향측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의 외형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에 착탈할 때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제 2 조작면과 삽입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제 1 조작면과 삽입 방향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다. 이에 의해, 제 2 조작면과 중력 하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제 1 조작면과 중력 하방향이 이루는 각도보다 90°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하중의 방향을 제 2 조작면에 대해 90°에 가까운 방향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하중이 분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작은 힘으로 제 2 조작면을 중력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를 회전 장착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의 장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회전 장착 방향으로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7) 상기 형태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 2 조작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을 가지며, 상기 중심축방향에 대해, 상기 대향면은, 상기 제 2 조작면과 상기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카트리지 본체가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8)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추가로, 상기 주면으로부터 상기 분리방향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면으로서, 상기 분리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바닥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삽입 자세, 및 상기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제 2 조작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제 1 각도는, 상기 경사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제 2 각도보다 작아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카트리지는 제 2 조작면을 향함에 따라서 바닥면측에 위치하는 경사면을 갖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의 외형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에 착탈할 때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제 2 조작면과 삽입 방향이 이루는 제 1 각도는 경사면과 삽입 방향이 이루는 제 2 각도보다 작다. 이에 의해, 제 2 조작면과 중력 하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경사면과 중력 하방향이 이루는 각도보다 90°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하중의 방향을 제 2 조작면에 대해 90°에 가까운 방향으로 할 수 있으므로, 경사면을 중력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보다 제 2 하중이 분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를 회전 장착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 2 조작면을 중력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의 장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회전 장착 방향으로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9) 본 개시의 제 3 형태에 의하면,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상기 카트리지는 수평방향을 따른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미리 정한 위치까지 삽입된 후에,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 중 상기 삽입 방향의 안쪽측을 회전 지점으로서, 중력 하방향의 성분을 갖는 회전 장착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장착이 완료된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삽입 자세에서 상기 삽입 방향의 바로 앞측에 위치하는 제 1 조작면으로서, 상기 삽입 방향을 향하여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하중을 받는 제 1 조작면과, 상기 삽입 자세에서 상기 회전 장착 방향의 바로 앞측에 위치하는 제 2 조작면으로서, 상기 중력 하방향을 향하여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 장착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하중을 받는 제 2 조작면과, 상기 삽입 자세에서 상기 회전 장착 방향의 바로 앞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조작면을 향함에 따라서 내측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으로서, 상기 제 2 조작면에 접속된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 자세에서 상기 삽입 방향 및 상기 중력 하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를 본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제 2 조작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제 1 각도는, 상기 경사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제 2 각도보다 작다. 이 형태에 의하면, 카트리지는 제 2 조작면을 향함에 따라서 내측쪽에 위치하는 경사면을 갖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의 외형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에 착탈할 때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에서, 제 2 조작면과 삽입 방향이 이루는 제 1 각도는, 경사면과 삽입 방향이 이루는 제 2 각도보다 작다. 이에 의해, 제 2 조작면과 중력 하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경사면과 중력 하방향이 이루는 각도보다 90°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하중의 방향을 제 2 조작면에 대해 90°에 가까운 방향으로 할 수 있으므로, 경사면을 중력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보다 제 2 하중이 분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를 회전 장착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 2 조작면을 중력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의 장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회전 장착 방향으로의 조작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 형태 외에,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를 구비한 인쇄 시스템 등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
1: 인쇄 시스템 2: 인쇄 용지
4, 4C, 4M, 4Y, 4K: 카트리지 4A: 제 1 종 카트리지
4B: 제 2 종 카트리지 6: 카트리지 장착부
8: 캡 부재 10: 인쇄 장치
13: 교환용 커버 15: 조작 버튼
20: 캐리지 22: 토출 헤드
24: 튜브 30: 구동 기구
31: 제어부 32: 타이밍 벨트
34: 구동 모터 41: 카트리지 본체
42: 전면 43: 상면
44: 바닥면 45: 제 1 측면
46: 제 2 측면 47: 제 1 조작면
47a: 제 1 부분 47b: 단부
50: 회로 기판 61: 수용실
61C, 61M, 61Y, 61K: 슬롯 62: 제 2 장치벽
63: 장치 상벽 64: 장치 바닥벽
65: 제 1 장치 측벽 66: 제 2 장치 측벽
67: 제 1 장치벽 70: 장치측 단자부
87: 단차면 89: 코너부
90: 단자 배치부 401: 액체 수용체
402: 어댑터 431: 대향면
431a: 제 2 부분 431b: 접속 부분
432: 주면 433: 경사면
435: 제 2 조작면 442: 액체 공급부
442a: 공급부 선단부 446: 삽입 개구부
448: 공급부 위치결정부 450: 액체 수용부
497: 카트리지 맞물림부 521: 카트리지측 단자
602: 장치 안내부 602a: 제 1 장치 안내부
602b: 제 2 장치 안내부 610: 지지 부재
611: 제 1 지지 측벽 612: 제 2 지지 측벽
613: 주벽 614: 장치 개구부
642: 액체 도입부 642b: 선단부
644: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 644b: 타단부
674: 삽발 개구부 677: 맞물림 형성체
697: 장착 맞물림부 698: 회전 지점
699: 액체 저류부 721: 장치측 단자
831: 공급부 배치부 AG1: 제 1 각도
AG2: 제 2 각도 AGa: 각도
CA1: 중심축 CA2: 중심축
D1: 삽입 방향 D2: 회전 장착 방향
D3: 접속 해제방향 D4: 분리방향
FD1: 제 1 하중 FD2: 제 2 하중
SP1: 제 1 공간 SP2: 제 2 공간
V1: 법선 벡터 VC: 가상 직방체

Claims (9)

  1.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삽입 자세에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수평방향을 따른 삽입 방향의 바로 앞측에 위치하는 제 1 조작면으로서, 상기 삽입 방향을 향하여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삽입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하중을 받는 제 1 조작면과,
    상기 삽입 자세에서, 중력 상방향측에 위치하는 상면을 구성하는 주면과,
    상기 삽입 자세에서, 상기 상면을 구성하며, 상기 주면보다 중력 하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2 조작면으로서, 상기 중력 하방향을 향하여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중력 하방향의 성분을 갖는 회전 장착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하중을 받는 제 2 조작면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 자세에서 상기 삽입 방향 및 상기 중력 하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를 본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제 2 조작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 1 조작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은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가 갖는 액체 도입부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부를 갖는 바닥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조작면은 상기 제 2 조작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이 위치하는 측으로 연장되는
    카트리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외각(contour)을 형성하는 카트리지 본체로서, 상기 제 1 조작면과 상기 제 2 조작면을 갖는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제 1 조작면 중 상기 회전 장착 방향측의 단부 이외의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조작면은 상기 카트리지 본체를 수용하는 최소 용적의 가상 직방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카트리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면은 상기 제 1 조작면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는 추가로, 상기 제 2 조작면과 대향하며, 상기 제 1 조작면에 접속된 대향면을 가지며,
    상기 대향면 중, 상기 제 1 조작면에 접속된 접속 부분을 제외한 제 2 부분은 상기 가상 직방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카트리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자세 또한 상기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제 1 조작면은 상기 삽입 방향과 대략 수직이며,
    상기 제 2 조작면은 상기 중력 하방향과 대략 수직인
    카트리지.
  6.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와 연통하며, 중심축을 갖는 액체 공급부와,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미리 정한 위치까지 삽입하는 방향인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을 따른 중심축방향과 직교하는 삽입 방향에서의 안쪽측에 위치하는 전면과,
    상기 삽입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면과 대향하는 제 1 조작면으로서, 상기 삽입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하중을 받는 제 1 조작면과,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액체 도입부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부를 갖는 바닥면으로서, 중력 하방향의 성분을 갖는 회전 장착 방향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 중 상기 삽입 방향의 안쪽측을 회전 지점으로 한 회전 장착 방향에서의 안쪽측에 위치하는 바닥면과,
    상기 중심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과 대향하는 상면으로서, 상기 전면과 상기 제 1 조작면을 연결하는 상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면은,
    상기 전면으로부터 상기 삽입 방향과는 반대의 분리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주면과,
    상기 주면보다 상기 바닥면측에 위치하는 제 2 조작면으로서, 상기 중력 하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생기는 상기 회전 장착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하중을 받는 제 2 조작면을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삽입 자세에서 상기 삽입 방향 및 상기 중력 하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를 본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제 2 조작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하나의 조작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은
    카트리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 2 조작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을 가지며,
    상기 중심축방향에 대해, 상기 대향면은 상기 제 2 조작면과 상기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는
    카트리지.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추가로, 상기 주면으로부터 상기 분리방향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면으로서, 상기 분리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바닥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삽입 자세 또한 상기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제 2 조작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제 1 각도는 상기 경사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제 2 각도보다 작은
    카트리지.
  9.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수평방향을 따른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미리 정한 위치까지 삽입된 후에,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 중 상기 삽입 방향의 안쪽측을 회전 지점으로 하여, 중력 하방향의 성분을 갖는 회전 장착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장착이 완료되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삽입 자세에서 상기 삽입 방향의 바로 앞측에 위치하는 제 1 조작면으로서, 상기 삽입 방향을 향하여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하중을 받는 제 1 조작면과,
    상기 삽입 자세에서 상기 회전 장착 방향의 바로 앞측에 위치하는 제 2 조작면으로서, 상기 중력 하방향을 향하여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 장착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하중을 받는 제 2 조작면과,
    상기 삽입 자세에서 상기 회전 장착 방향의 바로 앞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조작면을 향함에 따라서 내측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으로서, 상기 제 2 조작면에 접속된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 자세에서 상기 삽입 방향 및 상기 중력 하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를 본 측면에서 보아, 상기 제 2 조작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제 1 각도는 상기 경사면과 상기 삽입 방향이 이루는 제 2 각도보다 작은
    카트리지.
KR1020237033777A 2021-03-19 2022-03-09 카트리지 KR202301585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45568 2021-03-19
JP2021045568A JP2022144519A (ja) 2021-03-19 2021-03-19 カートリッジ
JP2021099174 2021-06-15
JPJP-P-2021-099174 2021-06-15
JPJP-P-2022-010594 2022-01-27
JP2022010594A JP2022191134A (ja) 2021-06-15 2022-01-27 カートリッジ
PCT/JP2022/010222 WO2022196482A1 (ja) 2021-03-19 2022-03-09 カートリッ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523A true KR20230158523A (ko) 2023-11-20

Family

ID=8332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777A KR20230158523A (ko) 2021-03-19 2022-03-09 카트리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40102A1 (ko)
EP (1) EP4309902A1 (ko)
KR (1) KR20230158523A (ko)
BR (1) BR112023018221A2 (ko)
MX (1) MX2023010793A (ko)
TW (1) TWI804235B (ko)
WO (1) WO202219648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0011A (ja) 2012-02-06 2012-07-26 Seiko Epson Corp カートリッジ及び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4950B2 (ja) * 2002-11-26 2005-03-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6043922A (ja) * 2004-07-30 2006-02-16 Canon Inc インクタンク、インクタンクホルダ、前記インクタンクの装着方法および記録ヘッドカートリッジ
JP2006056118A (ja) * 2004-08-19 2006-03-02 Canon Inc インクタンク、インクタンクホルダ、カートリッジ、および記録装置
JP5447214B2 (ja) * 2010-06-17 2014-03-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180523A (ja) * 2012-03-02 2013-09-12 Seiko Epson Corp カートリッジ
JP7035714B2 (ja) * 2018-03-29 2022-03-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システム
JP7208785B2 (ja) * 2018-12-26 2023-01-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0011A (ja) 2012-02-06 2012-07-26 Seiko Epson Corp カートリッジ及び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6482A1 (ja) 2022-09-22
MX2023010793A (es) 2023-11-24
BR112023018221A2 (pt) 2023-10-03
TW202237416A (zh) 2022-10-01
TWI804235B (zh) 2023-06-01
US20240140102A1 (en) 2024-05-02
EP4309902A1 (en) 202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3398B2 (en) Cartridge,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device
EP4063130B1 (en) Cartridge
US11878535B2 (en) Cartridge
US11691427B2 (en) Cartridge,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system
KR20220133111A (ko) 카트리지
US9636917B2 (en) Liquid supply unit
KR20230158523A (ko) 카트리지
JP2022191134A (ja) カートリッジ
US20230398783A1 (en) Cartridge and printing system
WO2022065203A1 (ja) カートリッジ、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装置
US11850865B2 (en) Cartridge and printing system
EP4357142A1 (en) Cartridge and printing system
CN117042972A (zh)
JP2023009790A (ja) カートリッジ
US20240184240A1 (en) Attachment and print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