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111A -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111A
KR20220133111A KR1020220034431A KR20220034431A KR20220133111A KR 20220133111 A KR20220133111 A KR 20220133111A KR 1020220034431 A KR1020220034431 A KR 1020220034431A KR 20220034431 A KR20220034431 A KR 20220034431A KR 20220133111 A KR20220133111 A KR 20220133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liquid
mounting
film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히로 미즈타니
요시히로 고이즈미
슌 오야
šœ 오야
다쿠미 나가시마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33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1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41J2/1753Details of contacts on the cartridge, e.g. protection of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36Protection of cartridges or parts thereof, e.g.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36Protection of cartridges or parts thereof, e.g. tape
    • B41J2/1754Protection of cartridges or parts thereof, e.g. tape with means attached to the cartridge, e.g. protective cap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과제] 카트리지에 대해, 개구부를 덮은 필름의 박리를 잊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카트리지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와, 액체 공급부와, 액체 도입부가 삽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바닥벽을 갖는 배치부와, 개구부를 덮은 상태에서 배치부에 박리 가능하게 장착된 필름을 구비하고, 배치부는 또한, 인쇄 장치와 협동하는 장착 요소를 가지며, 필름은, 배치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 과정이 실행된 경우에, 인쇄 장치와 장착 요소 사이에 개재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카트리지{CARTRIDGE}
본 개시는 카트리지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체 공급부와, 액체 공급부를 폐색하는 박리 가능한 필름을 구비하는 카트리지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이 필름에 의해, 액체 공급부로부터 액체가 비산하는 것을 억제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26259 호 공보
종래의 기술에서는, 카트리지의 사용시에는 박리 가이드를 따라서 필름을 액체 공급부로부터 박리한다. 그렇지만, 종래의 기술에서는, 필름을 액체 공급부로부터 박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카트리지가 인쇄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의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이 장착된 상태에서 인쇄 장치로의 카트리지의 장착 과정이 실행된 경우, 필름 중 액체 공급부를 덮은 부분과, 인쇄 장치의 액체 도입부가 충돌하는 것에 의해, 액체 도입부의 액체가 필름에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필름에 액체가 부착된 경우, 필름으로부터 액체가 흘러내려 주위가 액체로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필름이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의 인쇄 장치로의 장착이 완료된 경우, 필름에 의해 액체 공급부와 액체 도입부의 접속을 정상적으로 실행하지 못하여, 액체 공급부로부터 액체를 원활히 액체 도입부에 유통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또한, 필름에 의해 인쇄 장치측의 구성 요소가 파손될 우려도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종래부터, 필름의 박리를 잊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의 형태에 의하면, 액체 도입부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 도입부에 접속되며, 상기 액체를 상기 인쇄 장치에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와, 상기 액체 공급부를 내측에 배치하는 배치부로서, 상기 액체 도입부가 삽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바닥벽을 갖는 배치부와, 상기 개구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배치부에 박리 가능하게 장착된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배치부는 또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인쇄 장치에 장착하는 과정인 장착 과정과,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인쇄 장치에 장착한 장착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때에, 상기 인쇄 장치와 협동하는 장착 요소를 가지며, 상기 필름은, 상기 배치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 과정이 실행된 경우에, 상기 인쇄 장치와 상기 장착 요소 사이에 개재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로서의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장착 과정을 설명하는 제 1 도면이다.
도 3은 장착 과정을 설명하는 제 2 도면이다.
도 4는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장착이 완료된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카트리지 장착부를 +Z 방향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6-6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카트리지 장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카트리지 장착부를 +Z 방향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0은 제 1 종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1 종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필름이 장착된 제 1 종 카트리지의 제 2 사시도이다.
도 13은 필름이 장착된 제 1 종 카트리지의 바닥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14-14 부분 단면도이다.
A. 실시형태:
A-1. 인쇄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로서의 인쇄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공간축인 XYZ축이 그려져 있다. X축, Y축, Z축의 화살표가 향하고 있는 방향은 각각 X축, Y축, Z축을 따른 정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X축, Y축, Z축을 따른 정의 방향을 각각 +X 방향, +Y 방향, +Z 방향으로 한다. X축, Y축, Z축의 화살표가 향하고 있는 방향과 역의 방향이 각각 X축, Y축, Z축을 따른 부의 방향이다. X축, Y축, Z축을 따른 부의 방향을 각각 -X 방향, -Y 방향, -Z 방향으로 한다. X축, Y축, Z축을 따른 방향으로 정부를 한정하지 않는 것을 각각 X 방향, Y 방향, Z 방향이라 한다. 이 이후에 도시하는 도면 및 설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인쇄 시스템(1)은 인쇄 장치(10)와, 인쇄 장치(10)에 액체인 잉크를 공급하는 카트리지(4)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인쇄 장치(10)는, 액체로서의 잉크를 토출 헤드(22)로부터 토출하는 잉크젯 프린터이다. 이 인쇄 장치(10)는 포스터 등의 넓은 지면의 용지(A2 내지 A0 등)에 인쇄를 실행하는 대형 프린터이다. 인쇄 장치(10)는 카트리지 장착부(6)와, 제어부(31)와, 캐리지(20)와, 토출 헤드(22)와, 구동 기구(30)를 구비한다. 또한, 인쇄 장치(10)는 인쇄 장치(10)의 동작을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15)을 구비한다.
카트리지 장착부(6)는 +Y 방향측에 위치하는 제 1 장치벽(67)을 갖는다. 제 1 장치벽(67)은 카트리지(4)의 수용실(61)로의 출입구인 삽발(揷拔) 개구부(674)를 갖는다. 이 삽발 개구부(674)를 거쳐서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수용실(61)에 수용되거나, 수용실(61)로부터 카트리지(4)가 분리된다. 카트리지 장착부(6)에는, 복수의 카트리지(4)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랙,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4색의 잉크에 대응하여 4종류의 카트리지(4)가 1개씩, 즉, 합계 4개의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된다. 블랙의 잉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4K)라고도 하며, 옐로우 잉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4Y)라고도 하며, 마젠타 잉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4M)라고도 하며, 시안 잉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4C)라고도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카트리지(4K)는 카트리지(4C, 4M, 4Y)보다 많은 액체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4K)를 제 1 종 카트리지(4A)라고도 하며, 카트리지(4C, 4M, 4Y)를 제 2 종 카트리지(4B)라고도 한다.
인쇄 장치(10)는 +Y 방향측의 전면에 교환용 커버(13)를 갖는다. 교환용 커버(13)의 +Z 방향측을 +Y 방향측인 바로앞측으로 넘어뜨리면, 카트리지 장착부(6)의 개구가 나타나, 카트리지(4)의 착탈이 가능해진다. 카트리지 장착부(6)에 카트리지(4)가 장착되면, 액체 유통관으로서의 튜브(24)를 거쳐서 캐리지(20)에 마련된 토출 헤드(22)에 잉크가 공급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두차(水頭差)를 이용하여 카트리지(4)로부터 토출 헤드(22)에 잉크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 장착부(6) 내의 잉크의 액면과 토출 헤드(22)의 수두차에 의해 잉크가 토출 헤드(22)에 공급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인쇄 장치(10)의 도시하지 않은 펌프 기구에 의해, 카트리지(4) 내의 잉크를 흡인하는 것에 의해, 잉크가 토출 헤드(22)에 공급되어도 좋다. 또한, 튜브(24)는 잉크의 종류마다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되며, 액체로서의 잉크가 인쇄 장치(10)에 공급할 수 있는 상태를 "장착 상태"라고도 한다.
토출 헤드(22)에는, 잉크의 종류마다 노즐이 마련되어 있다. 토출 헤드(22)는 노즐로부터 인쇄 용지(2)를 향하여 잉크를 토출하여 문자나 화상 등의 데이터를 인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쇄 장치(10)는, 카트리지 장착부(6)가 캐리지(20)의 움직임과는 연동하지 않는, 이른바 "오프 캐리지 타입"이라고 하는 프린터이다. 캐리지(20)에 카트리지 장착부(6)가 마련되며, 캐리지(20)와 함께 카트리지 장착부(6)가 이동하는, 이른바 "온 캐리지 타입"이라고 하는 프린터에도 본 개시의 기술은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31)는 인쇄 장치(10)의 각 부(部)의 제어나, 카트리지(4)와의 신호의 전달을 실행한다. 캐리지(20)는 토출 헤드(22)를 인쇄 용지(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구동 기구(30)는 제어부(3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캐리지(20)를 왕복동시킨다. 구동 기구(30)는 타이밍 벨트(32)와, 구동 모터(34)를 구비한다. 타이밍 벨트(32)를 거쳐서 구동 모터(34)의 동력을 캐리지(20)에 전달하는 것에 의해, 캐리지(20)가 X 방향을 따른 방향인 주 주사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또한, 인쇄 장치(10)는, 인쇄 용지(2)를 +Y 방향인 부 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반송 기구를 구비한다. 인쇄가 실행될 때에는, 반송 기구에 의해 인쇄 용지(2)가 부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고, 전면 커버(11) 상에 인쇄 완료 후의 인쇄 용지(2)가 출력된다.
또한, 캐리지(20)를 주 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킨 인쇄 영역 외의 위치에는, 홈 포지션이라 불리는 영역이 마련되어 있으며, 홈 포지션에는, 정상적으로 인쇄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인터넌스를 실행하는 메인터넌스 기구가 탑재되어 있다. 메인터넌스 기구는, 토출 헤드(22)의 바닥면측으로 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가압되며, 노즐을 둘러싸도록 폐공간을 형성하는 캡 부재(8)나, 토출 헤드(22)의 노즐면에 가압하기 위해 캡 부재(8)를 승강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승강 기구나, 캡 부재(8)가 토출 헤드(22)의 노즐면에 가압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폐공간에 부압을 도입하는 도시하지 않은 흡인 펌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쇄 시스템(1)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인쇄 용지(2)를 반송하는 부 주사 방향을 따른 축을 Y축으로 하고, 중력 방향을 따른 축을 Z축으로 하고, 캐리지(20)의 이동 방향을 따른 축을 X축으로 한다. 여기에서, "인쇄 시스템(1)의 사용 상태"란 수평인 면에 인쇄 시스템(1)이 설치된 상태를 말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 주사 방향을 +Y 방향, 그 역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중력 방향을 -Z 방향, 반중력 방향을 +Z 방향으로 한다. X 방향과 Y 방향은 수평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또한, 인쇄 시스템(1)을 전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하는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그 역방향을 -X 방향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착을 위해, 카트리지 장착부(6)에 카트리지(4)가 삽입되는 삽입 방향이 -Y 방향이며,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이 +Y 방향이다. 따라서, 카트리지 장착부(6) 중, -Y 방향측을 안쪽측이라고도 하고, +Y 방향측을 바로앞측이라고도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카트리지(4)의 배열 방향이 X 방향이 된다.
A-2. 카트리지의 장착 과정 및 장착 상태의 설명:
도 2는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장착 과정을 설명하는 제 1 도이다. 도 3은 장착 과정을 설명하는 제 2 도이다. 도 4는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장착이 완료된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장착 과정은 단자 접속 과정과, 단자 접속 과정 다음에 실행되는 공급부 접속 과정에 의해 구성된다. 단자 접속 과정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장치벽(67)의 삽발 개구부(674)를 거쳐서, 카트리지(4)를 -Y 방향인 삽입 방향(D1)으로 이동시켜, 카트리지 장착부(6)의 수용실(61)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6)의 후술하는 장치측 단자와, 카트리지(4)의 후술하는 카트리지측 단자를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과정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부 접속 과정은, 장치측 단자와 카트리지측 단자의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카트리지 장착부(6)의 후술하는 액체 도입부와 카트리지(4)의 후술하는 액체 공급부를 접속하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는, 공급부 접속 과정에서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회전 지점(698)을 중심으로, 카트리지(4)의 후방벽(47)측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접속 방향(D2)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액체 도입부와 액체 공급부가 접속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장착 상태에서는, 카트리지(4)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1 장치벽(67)측에 마련된 맞물림 형성체(677)에 의해 맞물림으로써, 장착 상태가 보지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취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카트리지(4)의 후방벽(47)측을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회전 지점(698)을 지점으로 하여, 접속 방향(D2)과는 반대 방향인 접속 해제 방향(D3)으로 후단(47)측을 회전 이동시킨다. 이 회전 이동시에, 맞물림 형성체(677)에 의한 맞물림이 해제된다. 접속 해제 방향(D3)으로 카트리지(4)를 회전 이동시켜 카트리지(4)가 도 3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 후에, 분리 방향인 +Y 방향으로 카트리지(4)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카트리지(4)가 취출된다.
A-3.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의 상세 설명:
도 5는 카트리지 장착부(6)를 +Z 방향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6-6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영역(R7)의 확대도이다. 도 5에서는, 카트리지 장착부(6)에는 카트리지(4K)가 장착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카트리지(4)의 장착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카트리지(4C, 4M, 4Y, 4K)에 대해, 장착 상태는 동일하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는 수용실(61)의 수용실 바닥벽을 형성하는 지지 부재(610)를 갖는다. 지지 부재(610)는 카트리지(4)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수용실(6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지지 부재(610)에 의해 -Z 방향측으로부터 카트리지(4)가 지지된다. 또한,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수용실(61)에 장착된 장착 상태에서는, 카트리지(4)의 액체 공급부(442)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액체 도입부(642)가 접속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의 액체 수용부(450)에 수용된 액체가 액체 공급부(442)를 거쳐서 액체 도입부(642)에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공급부(442)로부터 액체 도입부(642)에 액체가 공급되는 한편, 카트리지 장착부(6)의 액체 저류부(699)에 수용된 공기가 기포가 되어, 액체 도입부(642), 액체 공급부(442)를 유통하고 액체 수용부(450)에 유통된다. 이에 의해, 액체 수용부(450)의 기액 교환이 실행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4)가 액체 수용부(450)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를 가지며, 이 대기 연통로를 거쳐서 기액 교환이 실행되어도 좋다. 대기 연통로는 액체 공급부(442)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액체 수용부(450)를 형성하는 벽에 형성된다.
액체 도입부(642)는 카트리지(4)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받아들인다. 액체 도입부(642)는 통형상의 부재이며, 내부에 액체를 유통시키는 내부 유로를 갖는다. 액체 도입부(642)는 기단부(642a)와 선단부(642b)를 갖는다. 선단부(642b)에는, 내부 유로인 도입부 유로에 연통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를 거쳐서 액체 공급부(442)의 잉크가 도입부 유로에 유통한다. 기단부(642a)는, 액체 저류부(699)에 접속되어 있으며, 도입부 유로를 유통한 잉크를 액체 저류부(699)에 유통시킨다. 액체 저류부(699)는 수용실(61)의 -Z 방향측에 위치한다. 액체 저류부(699)는 도 1에 도시하는 튜브(24)를 거쳐서 토출 헤드(22)와 연통한다. 이상과 같이, 액체 도입부(642)는 액체 저류부(699)와 튜브(24)를 거쳐서 토출 헤드(22)와 연통한다. 액체 도입부(642)의 중심축(CA1)은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액체 공급부(442)의 중심축(CA2)과 평행이며, Z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즉, 액체 도입부(642)가 연장되는 방향인 중심축(CA1)을 따른 방향은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과 교차된다. 액체 공급부(442)의 중심축(CA2)이란, 액체 공급부(442)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의 장착 상태에서는, 카트리지(4)의 회로 기판(50)과, 카트리지 장착부(6)의 장치측 단자부(70)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장치측 단자부(70)는 보지 기구(73)에 의해 보지된다. 장치측 단자부(70)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721)와, 단자 보지부(750)와, 커넥터(739)를 갖는다.
복수의 장치측 단자(72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9개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장치측 단자(721)의 각각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의 판 부재이다. 장치측 단자(721)는 단자 회전 지점(Rp)을 가지며, 단자 회전 지점(Rp)을 지점으로 단부인 회로 기판(50)의 카트리지측 단자(521)와 접촉하는 부분이 탄성 변형할 수 있다. 탄성 변형하는 방향은 Y 방향과 Z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단자 보지부(750)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721)를 보지한다. 커넥터(739)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7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739)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에 의해 인쇄 장치(10)의 제어부(3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 회로 기판(50)과 제어부(31)가 데이터 통신 가능해진다.
보지 기구(73)는 부세 부재(780)와, 장착 부재(782)를 갖는다. 부세 부재(780)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장착 부재(782)는 내측에 부세 부재(780)를 배치한다. 또한, 장착 부재(782)에는 장치측 단자부(70)가 장착되어 있다. 부세 부재(780)는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압축된다. 이에 의해, 부세 부재(780)는 장착 부재(782)를 거쳐서 장치측 단자부(70)를 제 1 장치벽(67)측인 카트리지(4)의 분리 방향측을 향하는 방향의 외력(Fa)을 가한다. 외력(Fa)에 의해, 장치측 단자부(70)는 회로 기판(50)에 가압되기 때문에, 장치측 단자(721)와 카트리지측 단자(521)의 접촉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보지 기구(73)는 장치측 단자부(70)를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보지한다. 또한, 부세 부재(780)의 장치측 단자부(70)측의 일단부는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X 방향 및 Z 방향으로 미소하게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장치측 단자부(70)는 보지 기구(73)에 의해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X 방향 및 Z 방향으로 미소하게 이동 가능하게 보지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부 접속 과정에서는, 카트리지(4)가 갖는 오목 형상의 공급부 위치결정부(448)에, 카트리지 장착부(6)가 갖는 돌기인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가 들어가는 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442)에 의한 액체 공급부(442)의 중심축(CA2)과 교차하는 움직임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액체 공급부(442)의 액체 도입부(642)에 대한 위치결정이 실행된다. 상세하게는, 액체 도입부(642)가 카트리지(4)의 액체 공급부(442) 내로 삽입되기 전의 단계, 즉 액체 공급부(442)와 액체 도입부(642)의 접속이 개시되기 전의 단계에서,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의 공급부 위치결정부(448)로의 삽입이 개시된다.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는 대략 직방체 형상이다.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는 일단부(644a)와 타단부(644b)를 갖는다. 일단부(644a)는 액체 저류부(699)측에 위치한다. 일단부(644a)는 타단부(644b)보다 수용실(61)측에 위치한다.
카트리지(4)의 장착 상태에서는, 지지 부재(610)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주벽(主壁)(613)은 Y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구체적으로는, 지지 부재(610)의 주벽(613)은 +Y축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하측인 -Z 방향측으로 위치하도록 경사진다. 이 주벽(613)은, 카트리지(4)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초기 배치 상태에서는, Y 방향에 평행이다.
카트리지 장착부(6)는 카트리지(4)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지지 부재(610)를 초기 배치 상태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외력(Ft1)을 지지 부재(610)에 부가하는 부세 부재(625)를 갖는다. 부세 부재(625)는 지지 부재(610)와 액체 저류부(699) 사이에 마련된 코일 스프링이며, 장착 상태에서는 압축 상태로 된다. 압축 상태에 의해, +Z 방향 성분을 갖는 외력(Ft1)을 지지 부재(610)에 가한다. 한편, 카트리지(4)의 장착 상태에서는,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맞물림부(497)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장착 맞물림부(697)와 맞물리는 것에 의해, 장착 상태가 유지된다. 장착 맞물림부(697)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1 장치벽(67)측에 위치하는 맞물림 형성체(677)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610)가 회전 지점(698)을 중심으로 하여 접속 방향(D2)으로 밀어내리는 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442)가 밀어내려져 액체 도입부(642)에 접속된다. 또한, 지지 부재(610)가 회전 지점(698)을 중심으로 하여 접속 해제 방향(D3)으로 밀어올려지는 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442)가 밀어올려져 액체 도입부(642)로부터 이격되는 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442)와 액체 도입부(642)의 접속이 해제된다.
A-4. 카트리지 장착부(6)의 상세 구성:
도 8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카트리지 장착부(6)를 +Z 방향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이해의 용이를 위해, 카트리지 장착부(6)의 일부의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해, X 방향을 폭 방향, Y 방향을 안길이 방향, Z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고도 한다. 이하에서, 특히 상태에 대한 기재가 없는 경우에는,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초기 배치 상태일 때의 카트리지 장착부(6)를 전제로 각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는, 카트리지(4)가 수용되는 수용실(61)을 형성한다. 수용실(61)은 대략 직방체 형상이다. 수용실(61) 중에서, 각 카트리지(4C, 4M, 4Y, 4K)를 수용하는 부분인 슬롯(61C, 61M, 61Y, 61K)은 대체로 각 카트리지(4C, 4M, 4Y, 4K)의 외관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4K)는 다른 카트리지(4C, 4M, 4Y)에 비해, 수용하는 액체의 양을 크게 하기 위해 X 방향의 치수가 크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롯(61K)의 폭은 다른 슬롯(61C, 61M, 61Y)의 폭보다 크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는 수용실(61)을 형성하는 6개의 장치벽(62, 63, 64, 65, 66, 67)을 갖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 "벽"이란, 단일의 벽에 부가하여, 복수의 벽에 의해 구성된 벽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 1 장치벽(67)은 카트리지(4)를 수용실(61)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때에 통과시키는 삽발 개구부(674)를 형성한다. 제 2 장치벽(62)은 수용실(61)의 -Y 방향측의 벽을 형성한다. 제 2 장치벽(62)은 Y 방향에 있어서 제 1 장치벽(67)과 대향한다. 제 2 장치벽(62)은 인쇄 장치(10)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대체로 수직인 벽이다.
장치 상부벽(63)은 수용실(61)의 +Z 방향측의 벽을 형성한다. 장치 바닥벽(64)은 Z 방향에 있어서 장치 상부벽(63)과 대향하며, 수용실(61)의 -Z 방향측의 벽을 형성한다. 장치 바닥벽(64)은 지지 부재(61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장치 바닥벽(64)은 복수의 장치 개구부(614)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치 개구부(614)는 슬롯(61C, 61M, 61Y, 61K)을 따라서 4개 형성되어 있다. 장치 상부벽(63) 및 장치 바닥벽(64)은 제 2 장치벽(62)과 제 1 장치벽(67)과 교차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만난다"나 "교차한다"란 (ⅰ) 2개의 요소가 서로 교차하여 실제로 만나는 상태, (ⅱ) 한쪽의 요소를 연장한 경우에 다른쪽의 요소에 만나는 상태, 및, (ⅲ) 상호의 요소를 각각 연장한 경우에 서로의 요소가 만나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제 1 장치 측벽(65)은 수용실(61)의 +X 방향측의 벽을 형성한다. 제 2 장치 측벽(66)은 X 방향에 있어서 제 1 장치 측벽(65)과 대향하며, 수용실(61)의 -X 방향측의 벽을 형성한다. 제 1 장치 측벽(65) 및 제 2 장치 측벽(66)은 제 2 장치벽(62)과, 제 1 장치벽(67)과, 장치 상부벽(63)과, 장치 바닥벽(64)과 교차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는 또한, 지지 부재(610)와, 액체 도입부(642)와, 공급부 위치결정부(644)와, 장치 안내부(602)와, 맞물림 형성체(677)를 갖는다. 지지 부재(610)는 장착되는 카트리지(4)의 수에 따라서 복수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부재(610)는 4개 마련되어 있다. 지지 부재(610)는 수용실(61)의 중력 방향측의 장치 바닥벽(64)을 형성한다. 지지 부재(610)는, 카트리지(4)를 중력 방향측인 -Z 방향측으로 지지한다. 지지 부재(610)는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재이다. 지지 부재(610)는 오목 형상이다. 지지 부재(610)는 장치 바닥벽(64)을 형성하는 주벽(613)과, 제 1 지지 측벽(611)과, 제 2 지지 측벽(612)을 갖는다.
주벽(613)은 중력 방향측에 위치하는 오목 형상의 바닥부를 형성한다. 주벽(613) 중, 제 1 장치벽(67)측의 단부에는, 장치 개구부(614)가 형성되어 있다. 장치 개구부(614)는 주벽(613)의 두께 방향으로 주벽(613)을 관통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 측벽(611)은 주벽(613)의 +X 방향측 단부로부터 반중력 방향인 +Z 방향으로 상승된다. 제 2 지지 측벽(612)은 주벽(613)의 -X축 방향측 단부로부터 +Z 방향으로 상승된다. 제 1 지지 측벽(611)과 제 2 지지 측벽(612)은 X 방향으로 대향한다.
장치 안내부(602)는 카트리지(4)를 삽입 방향 및 분리 방향으로 안내한다. 장치 안내부(602)는 지지 부재(610)마다 마련되어 있다. 장치 안내부(602)는 제 1 지지 측벽(611)과 제 2 지지 측벽(612)의 각각에 마련되어 있다. 장치 안내부(602)는 제 1 지지 측벽(611)과 제 2 지지 측벽(612)에 마련된 돌기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 측벽(611)에 마련된 제 1 장치 안내부(602a)는 제 1 지지 측벽(611)으로부터 제 2 지지 측벽(612)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이다. 제 1 장치 안내부(602a)는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또한, 제 1 장치 안내부(602a)는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제 2 지지 측벽(612)에 마련된 제 2 장치 안내부(602b)는 제 2 지지 측벽(612)으로부터 제 1 지지 측벽(611)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이다. 제 2 장치 안내부(602b)는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또한, 제 2 장치 안내부(602b)는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도입부(642)는 카트리지(4)의 액체를 받아들인다. 카트리지 장착부(6)의 초기 배치 상태에서는, 액체 도입부(642)는, 수용실(61) 내에 위치하는 일이 없이, 수용실(61)보다 -Z 방향측에 위치한다. 즉, 액체 도입부(642)는 지지 부재(610)에 대해 수용실(61)을 사이에 두고 반대 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수용실(61)에 삽입되는 경우에, 액체 도입부(642)에 카트리지(4)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도입부(642)의 선단부(642b)는, 회전 지점(698)을 중심으로 지지 부재(610)를 접속 방향(D2)으로 회전 이동시켜 장치 개구부(614)를 밀어내리는 것에 의해, 수용실(61) 내에 배치된다. 즉, 변위 기구로서의 회전 지점(698)은, 지지 부재(610)를 회전 이동시켜 장치 개구부(614)를 중력 방향측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장치 개구부(614)를 거쳐서 액체 도입부(642)의 선단부(642b)를, 수용실(61) 내에 배치시킨다.
도 8에 도시하는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는, 공급부 위치결정부(448)에 받아들여지는 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442)의 액체 도입부(642)에 대한 움직임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액체 공급부(442)의 위치결정이 실행된다. 카트리지 장착부(6)의 초기 배치 상태에서는,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는, 수용실(61) 내에 위치하는 일이 없이, 수용실(61)보다 -Z 방향측에 위치한다. 즉,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는 지지 부재(610)에 대해 수용실(61)을 사이에 두고 반대 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수용실(61)에 삽입되는 경우에,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에 카트리지(4)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의 타단부(644b)는, 회전 지점(698)을 중심으로 지지 부재(610)를 접속 방향(D2)으로 회전시켜 장치 개구부(614)를 밀어내리는 것에 의해, 수용실(61) 내에 배치된다. 즉, 회전 지점(698)은, 지지 부재(610)를 회전시켜 장치 개구부(614)를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장치 개구부(614)를 거쳐서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의 타단부(644b)를, 수용실(61) 내에 배치시킨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는 또한, 상술한 장치측 단자부(70)와, 장치측 식별 부재(630)를 갖는다. 장치측 식별 부재(630)는 수용실(61)의 각 슬롯(61C, 61M, 61Y, 61K)에 올바른 종류의 카트리지(4C, 4M, 4Y, 4K)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장치측 식별 부재(630)는, 카트리지(4C, 4M, 4Y, 4K)가 수용하는 액체의 색에 따라서, 상이한 패턴 형상을 형성한다. 도 8에서는, 각 슬롯(61C, 61M, 61Y, 61K)에 있어서, 장치측 식별 부재(630)는 편의상 동일한 패턴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상이한 패턴 형상이 된다. 장치측 식별 부재(630)는 지지 부재(610)의 주벽(613)에 마련되어 있다.
장치측 식별 부재(63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리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패턴 형상은 리브의 수와 위치에 의해 정해진다. 카트리지(4)에도, 리브에 의해 형성된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는 카트리지(4)의 종류, 즉, 수용하는 액체의 색에 따라서, 상이한 패턴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올바른 종류의 카트리지(4)가 대응하는 슬롯(61C 내지 61K)에 삽입되는 경우는, 장치측 식별 부재(630)와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가 충돌하는 일이 없다. 한편, 잘못된 종류의 카트리지(4)가 슬롯(61C 내지 61K)에 삽입된 경우는, 장치측 식별 부재(630)와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가 충돌하여, 카트리지(4)의 삽입이 더욱 저해된다. 이에 의해, 잘못된 종류의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각 슬롯(61C 내지 61K)에 장착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물림 형성체(677)는 지지 부재(610)보다 +Y 방향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맞물림 형성체(677)는 삽발 개구부(674)보다 -Z 방향측에 위치한다. 맞물림 형성체(677)에는, 각 슬롯(61C 내지 61K)에 대응하여, 도 3에 도시하는 장착 맞물림부(697)가 4개 배치되어 있다.
A-5. 카트리지(4)의 상세 구성:
도 10은 제 1 종 카트리지(4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1 종 카트리지(4A)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필름(200)이 장착된 제 1 종 카트리지(4A)의 제 2 사시도이다. 도 13은 필름(200)이 장착된 제 1 종 카트리지(4A)의 바닥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14-14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필름(200)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제 1 종 카트리지(4A)와, 도 1에 도시하는 제 2 종 카트리지(4B)의 차이는 액체 수용부(450)의 용적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종 카트리지(4A)의 후술하는 액체 수용체(401)의 폭이 제 2 종 카트리지(4B)의 액체 수용체(401)의 폭보다 큰 것에 의해, 액체 수용부(450)의 용적이 상이하다. 배치부로서의 어댑터(402)나 필름(200) 등의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종 카트리지(4A)와 제 2 종 카트리지(4B)에서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 1 종 카트리지(4A)를 이용하여 카트리지(4)의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이후에서는, 제 1 종 카트리지(4A)를 간략히 카트리지(4)라고도 한다. 카트리지(4)를 도시하는 도면에 대하여, X 방향, Y 방향, Z 방향은,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인 도 3에 도시하는 단자 접속 과정의 완료 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즉, 카트리지(4)를 도시하는 도면에 대해, X 방향, Y 방향, Z 방향은 지지 부재(610)를 회전 이동시키는 공급부 접속 과정 전의 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의 외형은 대략 직방체 형상이다. 카트리지(4)에 있어서,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삽입 방향인 -Y 방향을 따른 방향이 장측 방향이며, X 방향이 폭 방향으로서의 짧은측 방향이며, Z 방향이 높이 방향이다. 카트리지(4)에 있어서, 장측 방향의 치수가 가장 크고, 짧은측 방향의 치수가 가장 작다.
카트리지(4)는 카트리지 본체(41)와, 카트리지 본체(41)에 장착된 도 13에 도시하는 회로 기판(50)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 본체(41)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카트리지 본체(41)는 액체 수용체(401)와, 액체 수용체(401)에 끼워맞춤에 의해 장착되는 배치부로서의 어댑터(402)를 구비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 본체(41)는 일체여도 좋다.
액체 수용체(401)와 어댑터(402)는 각각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를, 예를 들면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성형된다. 액체 수용체(401)와 어댑터(402)는 동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상이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41)는 전방벽(42)과, 후방벽(47)과, 상부벽(43)과, 바닥벽(44)과, 측벽으로서의 제 1 측벽(45)과, 측벽으로서의 제 2 측벽(46)과, 코너부(89)를 갖는다. 각 벽(42, 43, 44, 45, 46, 47)은 각 면(42, 43, 44, 45, 46, 47)이라고도 한다. 전방벽(42)과 후방벽(47)은 삽입 방향을 따른 Y 방향에서 대향한다. 상부벽(43)과 바닥벽(44)은 Z 방향에서 대향한다. Z 방향은 액체 공급부(442)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중심축(CA2)과 평행이다. 제 1 측벽(45)과 제 2 측벽(46)은 X 방향에서 대향한다.
전방벽(42)은 카트리지(4)가 장착부(6)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D1)측에 위치한다. 즉, 전방벽(42)은 삽입 방향(D1)측인 -Y 방향측의 삽입 선단부면을 형성한다. 후방벽(47)은 분리 방향인 +Y 방향측의 면을 형성한다. 상부벽(43)은 +Z 방향측에 위치하며, 전방벽(42)과 후방벽(47)에 교차한다. 바닥벽(44)은 장착 상태에서 중력 방향측인 -Z 방향측에 위치하며, 도 3에 도시하는 접속 방향(D2)의 접속 선단부면을 형성한다. 즉, 바닥벽(44)은 접속 방향(D2)측에 위치한다. 바닥벽(44)은 전방벽(42)과 후방벽(47)에 교차한다. 바닥벽(44)에는, 액체 도입부(642)가 삽통되는 개구부(446)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벽(44)측으로부터 카트리지(4)를 본 경우에, 개구부(446)와 액체 공급부(442)는 중첩되는 위치 관계에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공급부(442)의 중심축(CA2)이 개구부(446)를 지나도록 액체 공급부(442)는 배치된다. 도 11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벽(44)은 Z 방향으로 액체 공급부(442)의 공급부 선단부(442a)와 대향한다.
제 1 측벽(45)은 -X 방향측에 위치하며, 제 2 측벽(46)은 +X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1 측벽(45)과 제 2 측벽(46)은 각각 전방벽(42)과, 후방벽(47)과, 상부벽(43)과, 바닥벽(44)에 교차한다. 제 1 측벽(45)과 제 2 측벽(46)은 각각 삽입 방향(D1)을 따라서 연장된다. 코너부(89)는 전방벽(42)과 바닥벽(44)이 교차하는 코너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코너부(89)는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 형상의 단자 배치부(90)를 갖는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50)은 이 단자 배치부(90)에 장착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401)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450)와, 액체 공급부(442)를 갖는다. 액체 공급부(442)는 상부벽(43)과 대향하는 액체 수용체(401)의 수용체 바닥벽(431)으로부터 돌출되는 통형상 부재이다. 액체 공급부(442)는 장착 상태에서 액체 도입부(642)에 접속되며, 액체 도입부(642)를 거쳐서 액체 수용부(450)의 액체를 인쇄 장치(10)의 토출 헤드(22)에 공급한다. 도 11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442)는 액체가 외부에 도출되는 개구를 형성하는 선단부로서의 공급부 선단부(442a)를 갖는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치부로서의 어댑터(402)는 배치부 전방벽으로서의 어댑터 전방벽(82)과, 배치부 후방벽으로서의 어댑터 후방벽(87)과, 배치부바닥벽으로서의 어댑터 바닥벽(84)과, 제 1 배치부 측벽으로서의 제 1 어댑터 측벽(85)과, 제 2 배치부 측벽으로서의 제 2 어댑터 측벽(86)을 구비한다. 어댑터 전방벽(82)은 전방벽(42)의 일부를 구성하며, 삽입 방향인 -Y 방향측의 삽입 선단부면을 형성한다. 어댑터 후방벽(87)은 후방벽(47)의 일부를 구성하며, 어댑터 전방벽(82)과 Y 방향에서 대향한다. 어댑터 바닥벽(84)은 바닥벽(44)을 구성한다. 어댑터 바닥벽(84)은 어댑터 전방벽(82) 및 어댑터 후방벽(87)과 교차한다.
제 1 어댑터 측벽(85)은 어댑터 바닥벽(84)과 교차하며, 어댑터(402)의 장측 방향인 Y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어댑터 측벽(85)은 어댑터 바닥벽(84)으로부터 액체 수용체(401)를 향하여 상승되는 판형상의 벽이다. 제 2 어댑터 측벽(86)은, 어댑터(402)의 짧은측 방향인 X 방향에서, 제 1 어댑터 측벽(85)과 대향한다. 제 2 어댑터 측벽(86)은 어댑터 바닥벽(84)과 교차하며, 어댑터(402)의 장측 방향인 Y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어댑터 측벽(86)은 어댑터 바닥벽(84)으로부터 액체 수용체(401)를 향하여 상승되는 판형상의 벽이다.
어댑터(402)는 어댑터 바닥벽(84)을 바닥으로 하는 오목 형상이다. 어댑터(402) 중 어댑터 바닥벽(84)과 대향하는 측은 개구되어 있으며, 이 개구를 거쳐서 액체 공급부(442)가 어댑터(402)의 내측에 배치된다. 어댑터(402) 중, 액체 공급부(442)가 배치되는 부분을 공급부 배치부(831)라고도 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 바닥벽(84)은 공급부 선단부(442a)와 대향하는 위치에 액체 도입부(642)가 삽통되는 개구부(446)를 갖는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치부로서의 어댑터(402)는 또한, 카트리지(4)를 인쇄 장치(10)의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하는 과정인 장착 과정과,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한 장착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때, 카트리지 장착부(6)와 협동하는 장착 요소(700)를 갖는다. 장착 요소(700)는, 예를 들면 카트리지 장착부(6)와 접촉하거나, 맞물리거나, 또는, 카트리지 장착부(6)에 삽통되는 것에 의해, 기계적으로 협동한다. 장착 요소(700)는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30)와, 카트리지 안내부(447)와, 공급부 위치결정부(448)와, 카트리지 맞물림부(497)와, 도 13에 도시하는 회로 기판(50)을 갖는다.
도 11에 도시하는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30)는 바닥벽(44) 중에서 전방벽(42)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30)는 리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30)는 리브의 수와 위치에 의해 패턴 형상이 정해진다. 패턴 형상은, 카트리지(4)의 종류, 즉 수용하는 액체의 색에 따라서 상이하다. 카트리지(4)의 장착 과정에 있어서, 올바른 종류의 카트리지(4)가 대응하는 슬롯(61C 내지 61K)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30)는, 장치측 식별 부재(630)에 충돌하는 일이 없이, 장치측 식별 부재(63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카트리지 안내부(447)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방향(D1)을 따라서 연장된다. 도 11 내지 도 13에는, 이해의 용이를 위해, 카트리지 안내부(447)에 싱글 해칭을 부여하고 있다. 카트리지 안내부(447)는, 삽입 방향(D1)에 대해, 코너부(89)가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개구부(446)가 위치하는 부분까지 삽입 방향(D1)을 따라서 연장된다. 즉, 카트리지(4)의 폭 방향에 대해, 개구부(446)에 대해 한쪽측에는 제 1 카트리지 안내부(447a)가 위치하고, 개구부(446)에 대해 다른쪽측에는 제 2 카트리지 안내부(447b)가 위치한다. 카트리지 안내부(447)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장치 안내부(602)에 의해 삽입 방향(D1)으로 안내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안내부(447)는 제 1 측벽(45)과 제 2 측벽(46), 상세하게는 제 1 어댑터 측벽(85)과 제 2 어댑터 측벽(86)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안내부(447)는 단차에 의해 제 1 어댑터 측벽(85)과 제 2 어댑터 측벽(86)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4)의 폭에 대해, 바닥벽(44)을 포함하는 일부분은, 일부분보다 바닥벽(44)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있는 타부분보다 작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안내부(447)를 형성하는 단차가 형성된다. 카트리지 안내부(447)는 -Z 방향을 향하는 면이다. 제 1 어댑터 측벽(85)에 형성된 카트리지 안내부(447)를 제 1 카트리지 안내부(447a)라고도 하며, 제 2 어댑터 측벽(86)에 형성된 카트리지 안내부(447)를 제 2 카트리지 안내부(447b)라고도 한다.
카트리지 장착부(6)에 카트리지(4)가 삽입된 경우, 장치 안내부(602)의 +Z 방향측의 면과 카트리지 안내부(447)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4)의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D1)으로의 움직임이 안내된다. 카트리지(4)가 수용실(6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 1 장치 안내부(602a)의 +Z 방향측의 면은 제 1 카트리지 안내부(447a)와 접촉하며, 제 2 장치 안내부(602b)의 +Z 방향측의 면은 제 2 카트리지 안내부(447b)와 접촉한다.
공급부 위치결정부(448)는, 장착 과정에 있어서,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를 받아들이고, 액체 공급부(442)의 액체 도입부(642)에 대한 위치 결정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장착 과정 중 공급부 접속 과정에 있어서, 공급부 위치결정부(448)는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를 받아들이고, 접속 방향(D2)과 교차하는 방향의 공급부 위치결정부(448)의 움직임을 규제함으로써, 액체 도입부(642)에 대한 액체 공급부(442)의 위치결정을 실행한다. 공급부 위치결정부(448)는, 바닥벽(44)에 형성되며, 바닥벽(44)의 외표면으로부터 오목한 오목부이다. 공급부 위치결정부(448)는, 바닥벽(44) 중에서, 개구부(446)와 어댑터 전방벽(82)이 접속된 단부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공급부 위치결정부(448)는 바닥벽(44)을 관통하는 구멍이어도 좋다.
카트리지 맞물림부(497)는 후방벽(47), 상세하게는 어댑터 후방벽(87)에 마련되어 있다. 카트리지 맞물림부(497)는 어댑터 후방벽(87)의 외표면으로부터 오목한 오목부이다. 카트리지 맞물림부(497)는, 어댑터 후방벽(87) 중에서, 어댑터 바닥벽(84)과 교차하는 단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맞물림부(497)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상태에 있어서, 장착 맞물림부(697)가 들어가는 것에 의해, 장착 맞물림부(697)와 맞물린다. 이 맞물림에 의해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한 장착 상태가 유지된다.
회로 기판(50)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402)에 마련된 단자 배치부(90)에 배치된다. 회로 기판(50)은 장착 상태에 있어서 장치측 단자(721)와 접촉하는 카트리지측 단자(521)를 갖는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는 또한, 제 1 장착부(54)와, 제 2 장착부(55)와, 필름(200)을 구비한다. 제 1 장착부(54)와 제 2 장착부(55)는 각각, 필름(200)을 열용착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어댑터 바닥벽(84)에 박리 가능하게 장착하는 부분이다. 제 1 장착부(54)와, 제 2 장착부(55)는 각각, 어댑터 바닥벽(84)에 마련된 볼록부이다. 제 1 장착부(54)는 개구부(446)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장착부(55)는 공급부 위치결정부(448)의 개구부(446)측 이외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필름(200)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446)를 덮은 상태에서 배치부로서의 어댑터(402)에 박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필름(200)은 바닥벽(44)의 제 1 장착부(54) 및 제 2 장착부(55)에 장착되어 있다.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하는 전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필름(200)은 카트리지(4)로부터 박리된다. 필름(20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름(200)은 일부에 카트리지(4)의 폭 방향을 따라서 접음선(202)이 붙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름(200)은 접음선(202)을 갖지 않으며, 평면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름(200)은 바닥벽(44)에 장착할 때에는 평면 형상이다. 한편, 카트리지(4)는, 출하시에는, 감압된 봉지 내에 밀봉된다. 이 밀봉 상태에 있어서, 필름(200)이 카트리지 본체(41)의 형상을 따른 형상으로 절곡된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4)가 봉투로부터 취출된 경우에는, 밀봉 상태일 때에 형성된 접음선(202)이 유지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액체 공급부(442)에는, 액체 도입부(642)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밸브개방되고, 액체 도입부(642)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밸브폐쇄되는 밸브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그렇지만, 카트리지(4)가 낙하하는 등에 의해 카트리지(4)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밸브 기구가 일시적으로 밸브개방되는 등 하여, 액체 공급부(442)로부터 액체가 누출되는 경우가 있다. 필름(200)은 개구부(446)를 덮는 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442)로부터 외부로 액체가 누출된 경우여도, 카트리지(4)의 외부에 액체가 비산하는 것을 억제한다.
필름(200)은 접음선(20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직사각 형상이다. 필름(200)은 직사각 형상의 외형을 규정하는, 제 1 필름 측부(205)와, 제 2 필름 측부(206)와, 제 1 필름 단부(208)와, 제 2 필름 단부(209)를 구비한다. 제 1 필름 측부(205)는 카트리지(4)의 짧은측 방향인 X 방향의 일단부를 형성한다. 제 2 필름 측부(206)는 X 방향의 타단부를 형성한다. 제 1 필름 단부(208)는 카트리지(4)의 장측 방향인 Y 방향의 일단부를 형성한다. 즉, 제 1 필름 단부(208)는 필름(200) 중에서 카트리지(4)의 분리 방향측의 단부에 위치한다. 제 2 필름 단부(209)는 Y 방향의 타단부를 형성한다. 즉, 제 2 필름 단부(209)는 필름(200) 중에서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D1)측의 단부를 형성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름(200)의 내면(200fa)에는, 액체를 흡수하는 액체 흡수재(302)가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액체 흡수재(302)는, 내면(200fa) 중에서, 액체 공급부(442)의 선단부인 공급부 선단부(442a)와 대향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액체 흡수재(302)는, 예를 들면 시트형상이다. 또한, 액체 흡수재(302)의 외형은 원형, 직사각형 등의 여러가지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액체 흡수재(302)는 소정의 모관력에 의해 액체를 보지하기 위한 부재이며, 예를 들면 우레탄 폼과 같은 발포성 부재나, 폴리비닐 알코올로 형성된 다공체나, 부직포에 의해 형성된 부재여도 좋다. 필름(200)이 액체 흡수재(302)를 갖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4)가 낙하하거나 다른 물체에 충돌하여 충격을 받는 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442)로부터 액체가 누출된 경우여도, 누출된 액체를 액체 흡수재(302)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200)을 카트리지로부터 박리할 때에, 액체가 외부에 비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필름(200)은 또한, 박리되지 않고 어댑터(402)에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4)의 장착 과정이 실행된 경우에, 장착이 완료되기 전의 시점에서, 인쇄 장치(10)와 장착 요소(700) 사이에 개재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필름(200)은, 박리되지 않고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4)의 장착 과정이 실행된 경우에, 장착 요소(700)와 협동하는 인쇄 장치(100)의 요소에 접촉한다. 이하, 필름(200)과 장착 요소(700)의 위치 관계에 대해 상술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를 중심축(CA2)을 따른 방향 중 바닥벽(44)측으로부터 본 제 1 경우에, 카트리지(4)는 이하의 제 1 위치 관계를 갖는다. 즉, 제 1 경우에, 필름(200)은 카트리지 안내부(447)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카트리지 안내부(447)보다 외측에 돌출된 상태에서, 어댑터(402)에 장착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4)의 짧은측 방향인 X 방향에 대해, 제 1 필름 측부(205)는, 제 1 카트리지 안내부(447a)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제 1 카트리지 안내부(447a)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X 방향에 대해, 제 2 필름 측부(206)는, 제 2 카트리지 안내부(447b)와 중첩되도록, 제 2 카트리지 안내부(447b)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4)의 짧은측 방향에 있어서의 필름(200)의 치수가, 짧은측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카트리지 안내부(447a)와 제 2 카트리지 안내부(447b)의 간격보다 큰 것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 관계를 갖는다. 카트리지(4)가 제 1 위치 관계를 갖는 것에 의해, 장착 과정,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를 삽입 방향(D1)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단자 접속 과정이 실행된 경우에, 필름(200)이 도 8에 도시하는 장치 안내부(602)와 카트리지 안내부(447)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D1)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실행할 수 없다. 따라서, 필름(200)이 액체 도입부(642)에 충돌하는 전 단계인 단자 접속 과정에서, 사용자는, 필름(200)의 박리를 잊었음을 알아차릴 수 있다. 이에 의해, 필름(200)이 액체 도입부(642)에 충돌하여, 필름(200)의 외표면에 액체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름(200)은 공급부 위치결정부(448)를 덮은 상태에서 바닥벽(44)에 장착되어 있다. 장착 과정,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4에 도시하는 상태로 천이하는 공급부 접속 과정이 실행된 경우에, 액체 도입부(642)와 액체 공급부(442)의 접속이 개시되기 전의 단계에서, 필름(200)은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와 공급부 위치결정부(448)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의해,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가 필름(200)에 충돌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4)의 접속 방향(D2)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실행할 수 없다. 따라서, 필름(200)이 액체 도입부(642)에 충돌하는 전 단계에서, 사용자는, 필름(200)의 박리를 잊었음을 알아차릴 수 있다. 이에 의해, 필름(200)이 액체 도입부(642)에 충돌하여, 필름(200)의 외표면에 액체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를 중심축(CA2)을 따른 방향중 바닥벽(44)측으로부터 본 제 1 경우에, 카트리지(4)는 이하의 제 2 위치 관계를 갖는다. 즉, 제 1 경우에 필름(200)은 후방벽(47), 상세하게는 배치부 후방벽으로서의 어댑터 후방벽(87)보다 외측에 돌출된 상태에서, 어댑터(402)에 장착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4)의 장측 방향인 Y 방향에 대해, 제 1 필름 단부(208)는 어댑터 후방벽(87)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카트리지(4)가 제 2 위치 관계를 갖는 것에 의해, 장착 과정,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4에 도시하는 상태로 천이하는 공급부 접속 과정이 실행된 경우에, 장착이 완료되는 전 단계에 있어서, 필름(200)은 도 6에 도시하는 장착 맞물림부(697)와 카트리지 맞물림부(497)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의해, 장착 맞물림부(697)가 필름(200)에 충돌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4)의 접속 방향(D2)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실행할 수 없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장착이 완료되기 전에, 사용자는, 필름(200)의 박리를 잊었음을 알아차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200)의 제 1 필름 단부(208)측을 어댑터 후방벽(87)에 접촉하도록 절곡된 경우, 필름(200)이 카트리지 맞물림부(497)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정도로, 제 1 필름 단부(208)는 어댑터 후방벽(87)보다 외측에 돌출되어 있다. 즉, 필름(200) 중, 어댑터 후방벽(87)보다 외측에 돌출된 부분의 도 12에 도시하는 길이(L200)는, 바닥벽(44)으로부터 카트리지 맞물림부(497)에 도달하는 도 11에 도시하는 길이(L497)보다 길다. 이에 의해, 장착 과정에서, 필름(200) 중 어댑터 후방벽(87)보다 외측에 돌출된 부분이 장착 맞물림부(697)에 가압되고 절곡되어, 카트리지 맞물림부(497)의 일부를 덮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필름(200)이 보다 확실히 장착 맞물림부(697)와 카트리지 맞물림부(497)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장착 과정에 있어서, 필름(200)은 카트리지 장착부(6)와 장착 요소(700)를 구성하는 카트리지 안내부(447), 공급부 위치결정부(448), 및, 카트리지 맞물림부(497) 사이에 개재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필름(200)에 의해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장착 동작을 원활히 실행할 수 없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한 카트리지(4)의 장착이 완료되기 전에, 사용자는 필름(200)의 박리를 잊었음을 알아차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필름(200)의 박리를 잊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장착이 완료되기 전에, 필름(200)이 카트리지(4)로부터 박리되므로, 액체 공급부(442)와 액체 도입부(642)의 접속을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필름에 의해 인쇄 장치(10)의 구성 요소, 예를 들면 액체 도입부(642)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B. 다른 실시형태:
B-1. 다른 실시형태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필름(200)은 카트리지(4)의 짧은측 방향인 X 방향에 대해, 제 1 카트리지 안내부(447a) 및 제 2 카트리지 안내부(447b)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필름(200)은, 카트리지(4)의 짧은측 방향인 X 방향에 대해, 제 1 카트리지 안내부(447a)와 제 2 카트리지 안내부(447b) 중 어느 한쪽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도, 장착 과정에서, 필름(200)은 장치 안내부(602)와 카트리지 안내부(447) 사이에 개재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필름(200)에 의해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장착 동작을 원활히 실행할 수 없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한 카트리지(4)의 장착이 완료되기 전에, 사용자는 필름(200)의 박리를 잊었음을 알아차릴 수 있다.
B-2. 다른 실시형태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장착 과정에 있어서, 필름(200)은 카트리지 장착부(6)와 장착 요소(700)를 구성하는 카트리지 안내부(447), 공급부 위치결정부(448), 및, 카트리지 맞물림부(497) 사이에 개재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장착 과정에 있어서, 필름(200)은, 장착 요소(700)를 구성하는 카트리지 안내부(447)와, 공급부 위치결정부(448)와, 카트리지 맞물림부(497) 중 적어도 하나의 장착 요소(700)와, 카트리지 장착부(6) 사이에 개재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도, 장착 과정에 있어서, 필름이 장착 요소(700)와 카트리지 장착부(6) 사이에 개재되므로, 사용자는 장착 과정에서 필름(200)의 박리를 잊었음을 알아차릴 수 있다.
B-3. 다른 실시형태 3:
본 개시는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잉크 카트리지로 한정되지 않으며, 잉크 이외의 다른 액체를 분사하는 임의의 인쇄 장치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각종 인쇄 장치 및 그 카트리지에 적용 가능하다.
(1) 팩시밀리 장치 등의 화상 기록 장치
(2)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용의 칼라 필터의 제조에 이용되는 색재(色材)를 분사하는 인쇄 장치
(3)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나, 면발광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의 전극 형성에 이용되는 전극재를 분사하는 인쇄 장치
(4) 바이오 칩 제조에 이용되는 생체 유기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분사하는 인쇄 장치
(5) 정밀 피펫으로서의 시료 인쇄 장치
(6) 윤활유의 인쇄 장치
(7) 수지액의 인쇄 장치
(8) 시계나 카메라 등의 정밀 기계에 핀 포인트로 윤활유를 분사하는 인쇄 장치
(9) 광통신 소자 등에 이용되는 미소 반구 렌즈(광학 렌즈) 등을 형성하기 위해, 자외선 경화 수지액 등의 투명 수지액을 기판 상에 분사하는 인쇄 장치
(10) 기판 등을 에칭하기 위해서 산성 또는 알칼리성의 에칭액을 분사하는 인쇄 장치
(11) 다른 임의의 미소량의 액적을 토출시키는 액체 분사 헤드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
또한, "액적"이란, 인쇄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액체 상태를 말하며, 입자형상, 눈물형상, 실형상으로 꼬리를 갖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액체"란, 인쇄 장치를 분사시킬 수 있는 재료이면 좋다. 예를 들면, "액체"는 물질이 액상일 때 상태의 재료이면 좋으며, 점성이 높거나 또는 낮은 액 상태의 재료, 및, 졸, 겔수, 그 이외의 무기 용제, 유기용제, 용액, 액상 수지, 액상 금속과 같은 액 상태의 재료도 "액체"에 포함된다. 또한, 물질의 하나의 상태로서의 액체 뿐만 아니라, 안료나 금속 입자 등의 고형물로 이루어지는 기능 재료의 입자가 용매에 용해, 분산 또는 혼합된 것 등도 "액체"에 포함된다. 또한, 액체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상기 실시형태로 설명한 바와 같은 잉크나 액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잉크와는 일반적인 수성 잉크 및 유성 잉크 및 젤 잉크, 핫멜트 잉크 등의 각종 액체형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C. 다른 형태:
본 개시는 상술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에 기재하는 각 형태 중의 기술적 특징에 대응하는 실시형태의 기술적 특징은, 상술의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혹은, 상술의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서, 적절히, 교체나, 조합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기술적 특징이 본 명세서 내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지 않으면, 적절히,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본 개시의 형태에 의하면, 액체 도입부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 도입부에 접속되며, 상기 액체를 상기 인쇄 장치에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와, 상기 액체 공급부를 내측에 배치하는 배치부로서, 상기 액체 도입부가 삽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바닥벽을 갖는 배치부와, 상기 개구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배치부에 박리 가능하게 장착된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배치부는 또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인쇄 장치에 장착하는 과정인 장착 과정과,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인쇄 장치에 장착한 장착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때에, 상기 인쇄 장치와 협동하는 장착 요소를 가지며, 상기 필름은, 상기 배치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 과정이 실행된 경우에, 상기 인쇄 장치와 상기 장착 요소 사이에 개재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장착 과정에 있어서, 필름은 인쇄 장치와 장착 요소 사이에 개재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필름에 의해 카트리지의 인쇄 장치로의 장착 동작을 원활히 실행할 수 없다. 이에 의해, 인쇄 장치에 대한 카트리지의 장착이 완료되기 전에, 사용자는 필름의 박리를 잊었음을 알아차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필름의 박리를 잊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바닥벽과 교차하는 측벽으로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인쇄 장치에 삽입하는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측벽을 가지며, 상기 측벽은,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인쇄 장치에 의해 상기 삽입 방향으로 안내되는 카트리지 안내부를 상기 장착 요소 중 하나로서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바닥벽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상기 필름은, 상기 카트리지 안내부보다 외측에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배치부에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장착 과정이 실행된 경우에, 필름이 장치 안내부와 카트리지 안내부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의해, 필름에 의해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을 원활히 실행할 수 없다. 이에 의해, 인쇄 장치에 대한 카트리지의 장착이 완료되기 전에, 사용자는 필름의 박리를 잊었음을 알아차릴 수 있다.
(3)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또한, 상기 바닥벽에 형성된 오목 형상의 공급부 위치결정부로서, 상기 인쇄 장치의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를 받아들여, 상기 액체 공급부의 상기 액체 도입부에 대한 움직임을 규제하는 공급부 위치결정부를 상기 장착 요소 중 하나로서 가지며, 상기 필름은, 상기 공급부 위치결정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배치부에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장착 과정에서, 필름은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와 공급부 위치결정부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의해, 장착 과정에서,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가 필름에 충돌하는 것에 의해, 장착을 위한 카트리지의 원활한 이동을 실행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름의 박리를 잊었음을 알아차릴 수 있다.
(4)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또한, 상기 바닥벽과 교차하는 후방벽으로서, 상기 인쇄 장치의 장착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것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한 장착 상태가 유지되는 카트리지 맞물림부를 상기 장착 요소 중 하나로서 갖는 후방벽을 가지며, 상기 필름은, 상기 후방벽보다 외측에 돌출된 상태로, 상기 배치부에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장착 과정이 실행된 경우에, 카트리지의 인쇄 장치로의 장착이 완료되는 전 단계에서, 필름이 장착 맞물림부와 카트리지 맞물림부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의해, 장착 맞물림부가 필름에 충돌하는 것에 의해, 장착을 위한 카트리지의 원활한 이동을 실행할 수 없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필름의 박리를 잊었음을 알아차릴 수 있다.
(5)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필름 중에서, 상기 후방벽보다 외측에 돌출된 부분의 길이는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 맞물림부에 도달하는 길이보다 길어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장착 과정에서, 필름이 보다 확실히 장착 맞물림부와 카트리지 맞물림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6)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내면 중에서, 상기 액체 공급부의 선단부인 공급부 선단부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액체 흡수재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카트리지가 낙하하거나, 다른 물체에 충돌하여 충격을 받는 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로부터 액체가 돌출된 경우여도, 돌출된 액체를 액체 흡수재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을 카트리지로부터 박리할 때에, 액체가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 형태 이외에,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를 구비한 인쇄 시스템 등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1: 인쇄 시스템 2: 인쇄 용지
4, 4C, 4M, 4Y, 4K: 카트리지 4A: 제 1 종 카트리지
4B: 제 2 종 카트리지 6: 카트리지 장착부
8: 캡 부재 10: 인쇄 장치
13: 교환용 커버 15: 조작 버튼
20: 캐리지 22: 토출 헤드
24: 튜브 30: 구동 기구
31: 제어부 32: 타이밍 벨트
34: 구동 모터 41: 카트리지 본체
42: 전방벽 43: 상부벽
44: 바닥벽 45: 제 1 측벽
46: 제 2 측벽 47: 후방벽
50: 회로 기판 54: 제 1 장착부
55: 제 2 장착부 61: 수용실
61C, 61M, 61Y, 61K: 슬롯 62: 제 2 장치벽
63: 장치 상부벽 64: 장치 바닥벽
65: 제 1 장치 측벽 66: 제 2 장치 측벽
67: 제 1 장치벽 70: 장치측 단자부
73: 보지 기구 82: 어댑터 전방벽
84: 어댑터 바닥벽 85: 제 1 어댑터 측벽
86: 제 2 어댑터 측벽 87: 어댑터 후방벽
89: 코너부 90: 단자 배치부
100: 인쇄 장치 200: 필름
200fa: 내면 202: 접음선
205: 제 1 필름 측부 206: 제 2 필름 측부
208: 제 1 필름 단부 209: 제 2 필름 단부
302: 액체 흡수재 401: 액체 수용체
402: 어댑터 430: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
431: 수용체 바닥벽 442: 액체 공급부
442a: 공급부 선단부 446: 개구부
447: 카트리지 안내부 447a: 제 1 카트리지 안내부
447b: 제 2 카트리지 안내부 448: 공급부 위치결정부
450: 액체 수용부 497: 카트리지 맞물림부
521: 카트리지측 단자 602: 장치 안내부
602a: 제 1 장치 안내부 602b: 제 2 장치 안내부
610: 지지 부재 611: 제 1 지지 측벽
612: 제 2 지지 측벽 613: 주벽
614: 장치 개구부 625: 부세 부재
630: 장치측 식별 부재 642: 액체 도입부
642a: 기단부 642b: 선단부
644: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 644a: 일단부
644b: 타단부 674: 삽발 개구부
677: 맞물림 형성체 697: 장착 맞물림부
698: 회전 지점 699: 액체 저류부
700: 장착 요소 721: 장치측 단자
739: 커넥터 750: 단자 보지부
780: 부세 부재 782: 장착 부재
831: 공급부 배치부 CA1: 중심축
CA2: 중심축 D1: 삽입 방향
D2: 접속 방향 D3: 접속 해제 방향
Fa: 외력 Ft1: 외력
Rp: 단자 회전 지점

Claims (6)

  1. 액체 도입부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 도입부에 접속되며, 상기 액체를 상기 인쇄 장치에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와,
    상기 액체 공급부를 내측에 배치하는 배치부로서, 상기 액체 도입부가 삽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바닥벽을 갖는 배치부와,
    상기 개구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배치부에 박리 가능하게 장착된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배치부는 또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인쇄 장치에 장착하는 과정인 장착 과정과,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인쇄 장치에 장착한 장착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때에, 상기 인쇄 장치와 협동하는 장착 요소를 가지며,
    상기 필름은, 상기 배치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 과정이 실행된 경우에, 상기 인쇄 장치와 상기 장착 요소 사이에 개재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바닥벽과 교차하는 측벽으로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인쇄 장치에 삽입하는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측벽을 가지며,
    상기 측벽은,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인쇄 장치에 의해 상기 삽입 방향으로 안내되는 카트리지 안내부를 상기 장착 요소 중 하나로서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바닥벽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상기 필름은, 상기 카트리지 안내부보다 외측에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배치부에 장착되어 있는
    카트리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또한, 상기 바닥벽에 형성된 오목 형상의 공급부 위치결정부로서, 상기 인쇄 장치의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를 받아들이고, 상기 액체 공급부의 상기 액체 도입부에 대한 움직임을 규제하는 공급부 위치결정부를 상기 장착 요소 중 하나로서 가지며,
    상기 필름은, 상기 공급부 위치결정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배치부에 장착되어 있는
    카트리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또한, 상기 바닥벽과 교차하는 후방벽으로서, 상기 인쇄 장치의 장착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것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한 장착 상태가 유지되는 카트리지 맞물림부를 상기 장착 요소 중 하나로서 갖는 후방벽을 가지며,
    상기 필름은, 상기 후방벽보다 외측에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배치부에 장착되어 있는
    카트리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중, 상기 후방벽보다 외측에 돌출된 부분의 길이는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 맞물림부에 도달하는 길이보다 긴
    카트리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내면 중에서, 상기 액체 공급부의 선단부인 공급부 선단부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액체 흡수재가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KR1020220034431A 2021-03-24 2022-03-21 카트리지 KR202201331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49535 2021-03-24
JP2021049535A JP2022148023A (ja) 2021-03-24 2021-03-24 カートリッ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111A true KR20220133111A (ko) 2022-10-04

Family

ID=8336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431A KR20220133111A (ko) 2021-03-24 2022-03-21 카트리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19315B2 (ko)
JP (1) JP2022148023A (ko)
KR (1) KR20220133111A (ko)
CN (1) CN1151227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708597S (ko) * 2021-08-11 2022-03-01
JP1708596S (ko) * 2021-08-11 2022-03-01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6259A (ja) 2002-06-27 2004-01-29 Canon Inc 液体収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7019A (en) * 1989-03-27 1990-03-06 Tektronix, Inc. Ink jet cartridges and ink cartridge mounting system
CA2371040A1 (en) * 2001-02-09 2002-08-09 Nobuyuki Hatasa Liquid container and recording apparatus
JP2008302658A (ja) * 2007-06-11 2008-12-18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
JP2013230667A (ja) * 2012-04-04 2013-11-14 Canon Inc インクタンクのインク供給口をシールするシール部材および該シール部材を備えたインクタンクユニット
JP6303349B2 (ja) * 2013-09-17 2018-04-04 株式会社リコー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6259A (ja) 2002-06-27 2004-01-29 Canon Inc 液体収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48023A (ja) 2022-10-06
CN115122780A (zh) 2022-09-30
US11919315B2 (en) 2024-03-05
US20220305798A1 (en)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3111A (ko) 카트리지
US11673398B2 (en) Cartridge,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device
CN115107373B (zh)
US11691427B2 (en) Cartridge,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system
CN115107372A (zh) 容器
WO2022065203A1 (ja) カートリッジ、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装置
TWI803355B (zh) 卡匣及印刷系統
US11850865B2 (en) Cartridge and printing system
WO2022091759A1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システム
TWI804235B (zh) 卡匣
JP2023009790A (ja) カートリッジ
JP2022191134A (ja) カートリッジ
CN117042972A (zh)
CN117584625A (z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