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449A - 전자화폐 발행을 통한 부동산 거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화폐 발행을 통한 부동산 거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449A
KR20230158449A KR1020230153998A KR20230153998A KR20230158449A KR 20230158449 A KR20230158449 A KR 20230158449A KR 1020230153998 A KR1020230153998 A KR 1020230153998A KR 20230153998 A KR20230153998 A KR 20230153998A KR 20230158449 A KR20230158449 A KR 20230158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money
real estate
property
temporary
issu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3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순
Original Assignee
박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순 filed Critical 박광순
Publication of KR20230158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44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chnology Law (AREA)

Abstract

일 실시예는, 부동산 소유자가 부동산의 가치 또는 부동산 개발 가치(예컨대, 설비, 증축, 개발 등에 의해 상승하는 가치)를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전자화폐로 전환 발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다. 부동산 거래 시스템은, 부동산 소유주로부터 부동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부동산 정보에 대응하는 부동산을 매물로 등록하는 부동산등록부; 상기 매물에 대한 임시전자화폐를 발행하는 임시화폐발행부; 상기 매물에 대한 상기 부동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 신청을 수신하는 구매신청수신부; 상기 구매 신청에 대응하여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에 대한 대금을 결제 받아 임시전자화폐를 판매하는 임시화폐판매부; 그리고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의 판매가 완료되면,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상용 전자화폐로 전환하는 전자화폐발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화폐 발행을 통한 부동산 거래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TRANSACTING REAL ESTATE BY ISSUEING ELECTRONIC CURRENCY}
본 발명은, 부동산 소유자가 부동산의 가치 또는 부동산 개발 가치(예컨대, 설비, 증축, 개발 등)를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전자화폐로 전환 발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해 개발된 시스템에서 부동산 소유주가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을 매매하거나 개발하고자 할 경우, 해당 부동산의 가치만큼 또는 해당 부동산의 개발을 위한 비용을 포함한 가치에 대응하는 만큼의 전자화폐 발행을 시스템에 요청하고, 시스템에서 이를 승인하면, 해당 가치만큼의 임시전자화폐 발행을 거쳐 전자화폐를 발행한다. 발행된 전자화폐는 부동산개발비용의 지불수단이나 교환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고, 전자화폐를 필요로 하는 제3자에게 매매하거나 타 지불수단과 교환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부동산의 소유권은, 해당 전자화폐를 소유한 복수의 소유자 또는, 운영자가 지정한 부동산 신탁 회사 등에서 보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종래의 부동산의 매매 시스템에서는 단지 이용자들에게 부동산의 매매 대상 물건을 보여주고 거래를 중개하거나, 이용자들로 하여금 경매에 참여하도록 하여 경매 과정을 중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부동산을 상품화한 부동산 담보채권과 같은 상품들이 시장에 다양하게 나와 있으나 이는 부동산의 소유자 입장에서, 부동산을 담보로 빌린 부채의 원금과 이자부담을 동시에 가지게 된다. 따라서 부동산 소유주에게 해당 부동산의 시설투자나 개발은 상당한 부담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종래의 부동산 시스템에서는 시장에서 가치가 높은 지역 위주의 매매만 활성화되고 있고 상대적으로 소외된 지역의 거래는 활성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가격이 오르지 않거나 떨어지는 지역의 경우, 부동산의 매매조차 이루어지지 않아, 해당 부동산 소유주는 부동산을 재산으로서 활용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부동산을 팔지 못한 채 방치하거나, 설비투자나 개발을 하지 못해 낙후된 상태로 방치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낙후된 지역의 부동산 매매를 활성화하고 자금의 유동성을 확보하여 개발 및 설비투자를 통해 낙후 지역을 발전시킬 방법은 아직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부동산을 개발하고 분양하는 매매방식이 여전히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미분양 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부동산소유주나 개발업체뿐 아니라 분양 받은 일부 구매자에게도 엄청난 손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한편 최근 급격히 발전하는 가상화폐는 기존의 유통화폐의 일종으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유통화폐는 발전과정에 따라 자연화폐, 금속화폐, 신용화폐, 그리고 종류에 따라 유통화폐, 전자화폐, 대안화폐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일반인이 사용하는 지폐(예컨대, 미국 달러지폐, 한국의 원화지폐, 일본의 엔화지폐 등)와 은행수표는 은행에서 발행하는 은행권이고, 상기 신용화폐에 해당하며, 이는 “불태환 화폐”에 해당된다. “불태환 화폐”는 각 국가가 정한 화폐정책의 근본이 되는 “본위화폐”(국가가 발행한 화폐가치의 기준이 되는 실물을 말하며, 예컨대, 금, 은, 동 등)와 유통화폐의 교환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불태환화폐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예로, 과거, 은행이 부도가 나면 예금주의 예금에 대해 보장하지 않는다. 또는, 국가부도사태에 직면하면, 자국화폐를 받지 않고, 달러화를 요구하는 상인들의 사례나, 자국화폐 보다 안정적인 외국화폐로 교환하는 사례는 이미 널리 알려진 사례들이다. 따라서 과거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은행권을 포함한 유통화폐의 가치를 보장하기 위한 수단을 필요로 했고, 이는 유통화폐에 속하는 가상화폐도 예외는 아니라 할 수 있다.
상기 유통화폐의 가치를 보장하기 위해 과거, 태환화폐의 일종인 “금지금본위제”(정부가 발행통화량과 금의 교환가격기준을 정하고 통화량만큼 금을 보유하며 교환도 가능한 제도)를 시도하였으나 유통화폐의 유동성 문제로 결국 실패한 사례로 과거 1971년 “닉슨쇼크”를 들 수 있다.
한편,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가 편리하고 간단한 지불 수단을 요구하고 있고 이에 동조하는 방향으로 변해가고 있다. 과거 실물화폐(예컨대, 금, 은, 동, 비단 등)에서 신용화폐인 지폐로, 지폐에서 신용카드로, 신용카드에서 전자화폐로 발전해 왔다. 그러나 과거 실물화폐의 장점인 재산가치는 최근 가상화폐(예컨대, 암호화 화폐 등)에서 보여주듯이 오히려 보장되지 못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고 볼 수 있고, 이는 유통화폐를 사용하거나 소유하는 사용자 입장에서 여전히 재산권에 대한 불안한 요소임에 분명하다.
최근 전자화폐의 활성화에 따라 다양한 전자화폐가 거래되고 있고, 특히 블록체인을 활용한 수천 종류의 가상화폐(“암호화 화폐” 라고도 함)가 시장에 공급되어 거래되고 있다. 그 예로, “비트코인”, “리플”, “이더리움”과 같은 가상화폐는 다양한 지불수단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가상화폐 거래소가 만들어지고 이 거래소를 통해 매매가 될 정도로 활성화되어 있으며, 그 가격도 폭등과 폭락을 반복하고 있다.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수천 종류의 가상화폐가 공급되었지만 이 중 실제로 거래되고 있는 가상화폐는 불과 100여종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그 가치를 평가 받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가치 없는 가상화폐를 구매한 다수의 피해자를 만들 수 있어, 또 하나의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궁극적으로 가상화폐도 상기 기존 유통화폐의 “불태환화폐”와 동일한 형태로 발행되어 사용자에게 공급, 거래되고 있고, 가상화폐 소유에 따른 최소한의 재산가치도 보장되지 않는다. 유통화폐는 재산가치를 보장받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개입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은 반면, 가상화폐의 경우는 회사나 개인이 발행 시스템을 개발하고 제어하기 때문에 재산가치 보호에 대한 위험성을 각국의 정부가 나서서 경고하고 있고 관련법을 검토하거나 보강하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592325호는 가맹점 네트워크를 통한 부동산 거래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가맹점을 통한 중개거래일 경우 매도자가 등록한 매물의 상세정보를 복수의 가맹점을 통해 제공하고, 복수의 가맹점 중 하나에서 거래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가맹점의 등급에 따라 부동산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되도록 하는 것에 대해 개시한다. 이에 의하면 매물의 정보가 복수의 부동산에 공유됨으로써 거래를 활성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더라도,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화폐를 통해 부동산 소유자가 부동산에 묶여 있는 자금에 대하여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부동산의 개발, 설비투자 및 소비를 늘리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상화폐를 포함한 유통화폐의 문제점으로 기술한 화폐 소유자의 재산가치상실과 같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대안으로 실물 재산가치를 부여한 전자화폐를 발행하고 유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화폐의 가치가 부동산 가치에 대응하여 상승할 수도 있는 아키텍처를 시스템으로 제공하여 전자화폐의 가치 하락을 방지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투자가치를 상승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액으로 부동산에 투자하여 수익을 얻는 효과를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저소득층의 부가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동산 거래 시스템은, 부동산 소유주로부터 부동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부동산 정보에 대응하는 부동산을 매물로 등록하는 부동산등록부; 상기 매물에 대한 임시전자화폐를 발행하는 임시화폐발행부; 상기 매물에 대한 상기 부동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 신청을 수신하는 구매신청수신부; 상기 구매 신청에 대응하여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에 대한 대금을 결제 받아 임시전자화폐를 판매하는 임시화폐판매부; 그리고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의 판매가 완료되면,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상용 전자화폐로 전환하는 전자화폐발행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동산 거래 방법은, 부동산 소유주로부터 부동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부동산 정보에 대응하는 부동산을 매물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매물에 대한 임시전자화폐를 발행하는 임시전자화폐를 발행하는 단계; 상기 매물에 대한 상기 부동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 신청에 대응하여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에 대한 대금을 결제 받아 임시전자화폐를 판매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의 판매가 완료되면,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상용 전자화폐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거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서, 부동산 거래 방법은 부동산 소유주로부터 부동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부동산 정보에 대응하는 부동산을 매물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매물에 대한 임시전자화폐를 발행하는 임시전자화폐를 발행하는 단계; 상기 매물에 대한 상기 부동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 신청에 대응하여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에 대한 대금을 결제 받아 임시전자화폐를 판매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의 판매가 완료되면,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상용 전자화폐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예에 의하면, 실물의 가치를 전자화폐가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화폐의 가치가 상실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는, 실물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지역발전, 물가상승에 따른 실물의 가치 상승에 기인하여 전자화폐의 가치도 상승하므로 전자화폐 소유자는 본 시스템에서 정한 추가이익을 얻게 된다. 더 상세하게는, 전자화폐 소유자는 상기 추가 수익을 시스템에서 정한 비율만큼 전자화폐로 지급받거나 또는 전자화폐의 가치 상승에 대한 이익으로 제공받게 된다. 이는 실물을 소유하지 않고 전자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자체만으로 실물을 보유하고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전자화폐 소유주는 필요한 만큼 사용하는 화폐의 장점과, 부가수익 및 가치상승의 특징을 가진 부동산을 소유했을 때의 장점을 모두 가지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부동산 소유자는 보유한 부동산의 가치를 상승시키기 위해 추가 개발이나 설비투자를 하게 되므로 시장활성화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거래 시스템이 포함된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포함된 부동산 거래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거래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거래 방법에 의한 각 주체 사이의 교환 대상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거래 시스템이 포함된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포함된 부동산 거래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부동산을 등록하고 해당 부동산에 대응하는 임시전자화폐를 발행하며,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판매하여 상용 가능한 전자화폐, 즉 화폐로서의 교환가치를 갖는 지불수단으로 전환하는 시스템이다. 이때 임시전자화폐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그 생성 및 유통 이력이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서버 시스템은 분산 다중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의한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부동산 소유주가 개인정보와 소유한 부동산정보를 등록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측에 구현될 수 있으며, 부동산 소유주가 자신이 보유한 사용자단말(10, 이하 ‘소유주 단말’이라 함)을 통해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한 정보를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어떤 기술적 수단이라도 가능하다.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상술한 소유주 단말(10)과 네트워크(N)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부동산 소유주뿐 아니라, 부동산 매물에 관심 있는 사용자들을 회원으로 보유할 수 있으며, 부동산 소유주도 이러한 회원의 일부일 수 있다. 그에 따라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각 회원의 계정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일반 회원들이 사용하는 단말을 회원 단말(20)로 표현하여 설명한다. 다만 소유주 단말(10)과 회원 단말(20)은 모두 개인용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 등 통신 기능을 가짐으로써 부동산 거래 시스템(30)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은, 상술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입력 받은 정보, 즉 부동산 소유주의 개인정보나 부동산과 관련된 정보를 검증하고 저장하는 부동산 등록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부동산 등록부(31)는 부동산과 관련된 정보(이하 '부동산 정보'라고 함), 예를 들어 부동산의 소유주 정보, 적어도 일정 기간 이상의 부동산의 수익정보, 부동산의 시세정보, 이전 거래 내역, 현재 소유주의 보유기간, 희망 가격, 판매대금의 지불수단정보(예를 들어, 현금, 가상화폐, 또는 현금 및 가상화폐 등), 법적 사항(예를 들어, 설정된 저당권 정보 등) 등을 입력 받으면, 해당 부동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함으로써, 부동산이 매물로 등록되도록 한다.
이때 정보검증부(32)는 부동산을 매물로 등록하는 사용자에 대한 본인인증을 수행하여, 해당 사용자가 부동산의 실소유주인지 여부를 검증한 후 부동산 정보에 소유주 정보를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정보검증부(32)는 부동산 소유주가 등록한 정보, 즉 상술한 부동산 정보나 소유주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 중 특정 정보들의 진위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부동산 중개 서비스의 API를 이용하여 등록된 부동산의 시세정보가 이러한 온라인 부동산 중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시세와 대응하는 적정 수준으로 입력되었는지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부동산의 소유주 정보의 진위나, 부동산에 설정된 압류나 담보 등에 대한 정보를 법원 인터넷등기소 데이터베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검증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의 운영자는 오프라인 상의 검증 과정을 거친 후 오프라인 검증이 완료된 부동산 정보에 대해 검증 완료 여부를 입력함으로써 검증된 부동산에 대해서만 임시전자화폐가 발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정보검증부(32)는 감정평가절차를 통해 부동산의 감정평가금액을 책정하고 이러한 감정평가금액을 해당 부동산의 부동산 정보로서 소유주가 입력한 정보와 함께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임시화폐발행부(33)는 정보검증부(32)에 의해 검증 완료된 부동산 정보를 이용하여 임시전자화폐를 발행할 수 있다. 임시화폐발행부(33)는, 매물로 등록된 부동산의 가액에 대응하는 수량의 임시전자화폐를 발행할 수 있다. 이때 발행되는 임시전자화폐의 단위를 1 코인 단위로 설정하면, 발행되는 임시전자화폐의 수는 등록된 부동산의 가액에 대응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때 부동산의 가액은 다시 해당 부동산의 시세정보에 기초하여 산정되거나, 감정평가금액에 의해 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0,000원 당 1 코인의 임시전자화폐가 발행되도록 설정되는 경우, 부동산 가액이 100,000,000원일 때 100 코인의 임시전자화폐가 발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동산 가액을 산정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일년 동안 임대 수익률이 연간 3%인 부동산에 대하여, 연간 수익이 3만원이라고 할 때 해당 부동산의 가치를 100만원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온라인 상에서 관련 세금정보를 관할 세무서의 API를 이용하여 대조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임시전자화폐’는, 부동산 거래 시스템(30) 내에서 가치 교환되는 전자화폐로서, 특정 매물에 연관된다. 이를 위해 임시전자화폐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화폐이되, 해당 임시전자화폐의 발행의 기초가 된 매물, 즉 부동산의 식별정보가 블록체인 데이터 내에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임시전자화폐는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의 회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술할 임시화폐판매부(35)는 이미 특정 회원에게 발급된 임시전자화폐를 다른 회원이 구매하도록 중개할 수 있다.
한편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구매신청수신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신청수신부(34)는 회원 단말(20)로부터 각각의 등록된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들에 대한 구매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매신청수신부(34)는 각 매물의 정보, 즉 부동산 정보를 회원 단말(20)로 제공하고, 해당 매물에 대응하여 발행된 임시전자화폐의 수량에 대한 정보와, 구매 가능한 임시전자화폐의 수량(즉, 판매되지 않은 임시전자화폐의 수량)에 대한 정보를 회원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신청수신부(34)는, 임의의 매물에 대하여 임시전자화폐가 100 코인이 발행된 경우, 해당 매물에 대하여 발행된 100 코인을 정해진 기간 내에 적어도 1인 이상의 회원에게 판매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해당 매물에 대한 부동산 정보를 제공하면서, 해당 매물에 대하여 발행된 임시전자화폐의 총량, 그리고 이미 판매된 임시전자화폐의 수량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고, 아직 남은 임시전자화폐의 총량의 범위 내에서 구매 희망자가 임시전자화폐의 양을 결정하여 구매 신청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해당 부동산의 주소정보 등과 같은 구체적인 정보와 함께 임시전자화폐가 총 100 코인 발행되고 70 코인이 판매된 경우, 최대 30 코인의 임시전자화폐를 구매 희망자가 구매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구매신청수신부(34)는, 매물에 대하여 발행된 임시전자화폐가 모두 판매될 때까지 임시전자화폐에 대한 구매신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수신된 구매 신청에 대응하여 결제 절차를 수행하고, 임시전자화폐를 발급하는 임시화폐판매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임시화폐판매부(35)는 특정 매물에 대해 수신된 구매 신청에 대응하여 신청된 수량의 임시전자화폐에 대응하는 가액을 결제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희망자가 30코인의 임시전자화폐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30코인의 임시전자화폐에 대응하는 금액, 예를 들어 30,000,000원을 현금이나 다른 상용 전자화폐 등으로 지급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임시화폐판매부(35)는 금액이 결제되면, 구매 신청한 회원의 계정에 임시전자화폐를 발급할 수 있다. 이때 임시화폐판매부(35)는 임시전자화폐가 발급되면, 블록체인 데이터에 발급 이력을 추가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임시화폐판매부(3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매물에 대해 발급된 임시전자화폐를 구매한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사이의 임시전자화폐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즉 임시화폐판매부(35)는 임의의 회원이 특정 매물에 대하여 보유한 임시전자화폐에 대하여, 다른 회원으로 하여금 임시전자화폐를 보유한 회원에게 구매를 신청하고 대금을 지급하여 거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판매하고 구매자들로부터 받은 금액 또는 여기서 일정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부동산 소유주에게 지급하는 수익정산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부동산 소유주는 부동산의 완전 처분 이전에 미리 부동산 가액 범위 내에서 일정 자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확보된 자금을 이용하여 부동산 개발이나 보수 등과 같이 부동산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판매하고 구매자들로부터 받은 금액 또는 여기서 일정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해당 부동산에 대하여 발행된 임시전자화폐가 모두 판매된 시점에 일괄적으로 부동산 소유주에게 지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수익정산부(36)는 수익, 즉 임시전자화폐를 판매함으로써 구매자들로부터 받은 금액의 적어도 일부를 부동산 소유주에게 정산하기에 앞서, 해당 매물의 부동산에 대한 권리 설정 절차를 선행할 수 있다. 이때 권리 설정은 예를 들어, 부동산에 대한 저장권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부동산에 대한 소유권 이전 설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수익정산부(36)는 매물에 대해 발급된 모든 수량의 임시전자화폐가 판매된 경우에는 수익을 정산함과 함께 부동산에 대한 소유권 이전 설정 절차를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수행하고, 최종적인 권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하나의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가 모두 판매되면, 임시전자화폐가 실제 거래에 사용될 수 있는 상용 전자화폐로 전환되도록 하는 전자화폐발행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화폐발행부(37)는 예를 들어 특정 매물에 대하여 총 100 코인의 임시전자화폐가 발급된 이후, 100 코인의 임시전자화폐가 모두 구매자들에게 판매되면, 100 코인의 임시전자화폐를 모두 전자화폐로 전환 발행할 수 있다. 즉 특정 매물에 대한 임시전자화폐가 모두 판매되면, 해당 매물에 연관된 모든 임시전자화폐를 회수, 또는 소멸시키고 대응하는 가치의 상용 전자화폐를 해당 임시전자화폐 보유자들에게 지급할 수 있다.
이때 임시전자화폐를 전자화폐로 전환함에 있어서, 임시전자화폐를 구매할 때 구매자가 지급한 가액의 가치와 전환된 전자화폐의 가치가 서로 대응하도록 임시전자화폐를 전자화폐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시전자화폐를 구매할 때 현금 10,000,000원을 지불한 경우, 이러한 임시전자화폐를 전자화폐로 전환할 때에는 현금 10,000,000원의 가치에 대응하는 액수의 전자화폐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임시전자화폐를 전자화폐로 전환할 때, 임시전자화폐를 발행할 당시의 부동산 가치가 아니라, 임시전자화폐를 전환할 시점의 부동산의 가치에 대응하는 가액으로 임시전자화폐를 전자화폐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동산 가액이 100,000,000원일 때 100 코인의 임시전자화폐가 발행된 경우, 추후 임시전자화폐를 전자화폐로 전환할 때에는 해당 부동산의 가치가 가액 130,000,000원으로 상승한 경우, 해당 부동산에 대한 10코인의 임시전자화폐를 구매한 구매자는 임시전자화폐 구매 당시 10,000,000원을 지불했더라도, 임시전자화폐를 전자화폐로 전환할 때에는 13,000,000원의 가치에 해당하는 전자화폐를 지급받을 수 있다. 즉, 임시전자화폐를 전자화폐로 전환할 때 1:1.3의 가치 비율로 전자화폐를 전환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그에 따라 특정 부동산의 가치 상승에 의한 효과를 여러 회원들이 나누어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부동산에 지분을 설정하여 소유권을 공유하지 않더라도 부동산 가치 상승의 이익을 함께 향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부동산의 가액이 큰 경우, 해당 가액의 지불 능력을 가진 구매자가 없더라도 여러 회원들이 소액 투자하여 해당 부동산의 거래를 성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동산의 거래를 활성화하고 부동산 소유주가 용이하게 부동산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임시전자화폐의 구매자들의 임시전자화폐를 모두 전자화폐로 전환할 때,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등록된 부동산의 소유권을 부동산 소유주로부터 시스템 운영자, 또는 시스템 운영자가 지정한 자, 예를 들어 신탁회사 등으로 이전할 수 있다. 즉, 시스템 운영자는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판매하고 구매자들로부터 받은 금액 또는 여기서 일정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부동산 소유주에게 지급하는 한편, 부동산의 소유권을 이전 설정하거나 담보권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지급하는 대신에, 부동산 소유주로부터 별도의 정해진 수수료를 지급 받은 후에 구매자들로부터 받은 금액을 정산할 수도 있다. 이때 수수료는 현금 또는 전자화폐, 또는 시스템 내에서 수수료 지급을 위해 별도로 발행되는 전용 전자화폐로 지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이 제공하는 서비스 내에서 수수료 지급을 위한 전자화폐를 발급하고, 부동산 소유주로 하여금 이러한 전자화폐로 수수료를 납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임시전자화폐를 전자화폐로 전환하면서 동시에 부동산의 소유권을 이전 설정하거나 담보권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전자화폐를 지불수단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는 전자지갑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화폐거래중개부(3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화폐 소유자의 전자지갑과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전자화폐구매 정보, 입출금 정보, 소유 금액 정보, 매매신청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화폐거래중개부(3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부동산에 대응하는 임시전자화폐를 보유하던 구매자가 자신이 보유한 임시전자화폐를 전자화폐로 전환 받으면, 전환된 전자화폐를 자유로이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구성은 서로 독립된 서버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서버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은 별도의 또는 공동의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을 이용한 부동산 거래 방법을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부동산 소유주로부터 부동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301).
부동산 정보는, 부동산을 식별하는데 필요한 정보나 권리관계와 관련된 정보, 시세정보, 등기사항, 소유주 정보 등이 될 수 있고, 이러한 부동산 정보는 소유주 정보와 연관되어 관리될 수 있다.
그리고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부동산 소유주가 등록한 부동산 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S302). 예를 들어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관련 공공기관이나, 부동산과 관련한 정보, 예를 들어 시세정보 등을 관리하는 온라인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 등으로부터 부동산 정보에 포함된 항목 정보 중 일부와 대응하는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와 부동산 정보에 포함된 항목 정보를 서로 대조하여 검증 절차를 자동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시세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동산의 가액을 산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동산의 임대 수익률과 실제 연간 수익액을 이용하여 부동산의 가치를 산정하는 방식으로 시세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이때 오프라인 검증 절차가 병행 수행될 수 있고, 일례로서 부동산에 대한 감정평가 절차가 수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부동산 정보의 검증이 완료되면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검증된 부동산 정보에 대응하는 부동산만을 매물로서 등록할 수 있다(S303).
그리고 이어서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등록된 부동산의 가액에 대응하여, 임시전자화폐를 발행할 수 있다(S304). 이때 임시전자화폐는 암호화한 토큰 등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부동산의 가액은 부동산의 현재 시세 정보에 기초하여 산정될 수 있다. 또한 해당 부동산에 개발이나 설비 추가가 예정된 경우, 해당 비용을 시세에 추가하여 가격을 산정할 수 있다.
물론 부동산의 가액을 부동산 소유주가 결정한 가격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어서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부동산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공개하면서,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판매하고자 할 수 있다. 이때 부동산에 대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은 모든 사용자에게 부여될 수도 있고 회원으로 등록한 자나 일정 자격요건을 갖춘 자로 제한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의 구매 신청이 수신되고(S305), 구매 신청에 대응하여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시스템은 임시전자화폐를 구매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S306).
그리고 특정 매물에 대하여 발행된 모든 임시전자화폐의 판매가 완료되면(S308),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해당 임시전자화폐를 전자화폐로 전환할 수 있다(S309). 이때 임시전자화폐와 전자화폐에는 해당 부동산의 식별값이 연관될 수 있다. 또한 임시전자화폐와 전자화폐에는 각각의 부동산에 대하여 발행되어 있는 총 전자화폐 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예컨대, 숫자, 암호화된 해시값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어서, 임시전자화폐의 판매가 완료되어, 임시전자화폐를 전자화폐로 전환하면,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해당 부동산의 소유권을 부동산 소유주로부터 본 시스템 운영자 또는 본 시스템에서 지정한 자(예컨대, 부동산 신탁업체, 전자화폐 소유주 등)로 이전하는 절차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권리 이전 단계에서 필요한 경우 일부 과정은 오프라인에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소유권의 이전 대가로서, 부동산 소유주에게 수수료와 매매관련비용 일체를 공제하고 임시전자화폐의 판매대금(예컨대, 각종 전자화폐, 가상화폐, 현금 등)을 지불할 수 있다. 여기서 부동산 소유주의 요청에 따라 현금인 경우는 계좌이체를 통해 지급하고, 본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전자화폐로 지급하는 경우, 부동산 소유주의 전자지갑을 통해 해당 금액만큼 전자화폐를 지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임시전자화폐의 판매가 완료되어 소유권의 이전 절차가 완료되면, 시스템은 판매된 임시전자화폐를 실제 통용되는 전자화폐로 전환 발행할 수 있다. 즉, 해당 부동산에 대한 임시전자화폐를 보유한 구매자들에게, 임시전자화폐를 전자화폐로 전환해 줌으로써, 해당 구매자들의 전자지갑에 전환된 가액의 전자화폐가 지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구매자들은 각각 자신의 전자지갑에 지급된 전자화폐를 이용하여 상품이나 서비스의 대가를 지불하거나 다른 교환 가치 있는 것과 교환함으로써 전자화폐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전자화폐로 전환한 부동산을 관리하면서, 부동산 소유에 따른 일체의 비용이나 관련 수수료, 예를 들어 각종 세금, 유지보수비용 등을 부동산 수익에서 공제하여 납부하고, 수익의 나머지를 전자화폐로 전환하여 전자화폐 소유자들에게 지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화폐로 전환된 해당 부동산의 소유권에 대하여, 해당 부동산의 식별자를 가진 전자화폐 소유자의 일정비율의 합의(예컨대, 특정 부동산에 대하여 발행한 전자화폐의 소유자가 1인일 경우 해당 1인 또는 복수일 경우 소유자의 70%의 합의 등)가 성사되면 전자화폐 소유자들의 전자화폐를 회수하고, 부동산 소유권을 전자화폐 소유자들에게 이전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이 부동산을 관리하면서 수익이 발생한 경우 부동산 수익에서 각종 비용을 공제하여 납부하고 남은 수익을 전자화폐로 전환하여, 해당 부동산에 대한 임시전자화폐를 구매하였던 구매자들에게 추가 지급할 수도 있다. 또한 이때 해당 구매자들의 합의에 의하여 구매자들의 전자화폐를 회수하고 부동산 소유권을 해당 구매자들에게 이전할 수도 있다.
나아가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은 부동산의 이용에 의한 수익이 발생한 경우뿐 아니라, 부동산의 가치가 상승한 경우에도 전자화폐를 추가로 발행하여 전자화폐 소유자들에게 지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시스템은, 실시예에 따라 부동산의 가치상승을 전자화폐에 적용함에 있어서, 각각의 부동산 물건 별로 상승가치를 해당 전자화폐에 적용하는 방법과 전자화폐화한 전체 부동산 물건의 상승가치 평균을 모든 전자화폐에 적용하는 방법 중 적어도 1가지 이상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는 부동산에서 발생하는 부가 수익을 전자화폐에 적용하는 방법도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부동산 소유주는 해당 부동산 매물에 대해 발급된 임시전자화폐의 판매수익을 일시에, 또는 판매될 때마다 지급받아 활용함으로써 실제 부동산이 판매되기 이전에도 부동산의 가치에 대응하는 자금을 이용할 수 있으며, 부동산 거래 시스템(30)의 운영자는 이에 대응하여 부동산에 대한 권리, 예를 들어 소유권이나 저당권 등을 설정 받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임시전자화폐의 구매자들은 부동산에 대한 임시전자화폐에 대한 구매 금액을 결제하고 임시전자화폐를 지급받아 보유하고 있다가, 추후 임시전자화폐가 모두 판매되면 이를 상용 전자화폐로 전환받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사이의 부동산 가치 상승의 이익을 향유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매물에 대한 임시전자화폐의 판매가 완료되기 이전이라면 보유하고 있는 임시전자화폐를 다른 회원에게 판매함으로써 다시 현금화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부동산 거래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3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부동산 거래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부동산 거래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부동산 소유주로부터 부동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부동산 정보에 대응하는 부동산을 매물로 등록하는 부동산등록부;
    상기 매물에 대한 임시전자화폐를 발행하되, 임시전자화폐의 발행 시점의 상기 매물의 가치에 대응하는 수량의 임시전자화폐를 발행하는 임시화폐발행부;
    상기 매물에 대한 상기 부동산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에 대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구매 신청을 수신하는 구매신청수신부;
    상기 구매 신청에 대응하여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에 대한 대금을 결제 받아 임시전자화폐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게 판매하는 임시화폐판매부;
    상기 임시화폐판매부에 의하여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가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게 판매되면, 판매된 임시전자화폐의 대금을 상기 부동산 소유주와 정산하는 수익정산부;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모든 수량의 임시전자화폐가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게 판매되면,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상용 전자화폐로 전환하고, 전환된 상기 상용 전자화폐를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보유하였던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에게 지급하는 전자화폐발행부; 그리고
    상기 전자화폐발행부에 의해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가 상용 전자화폐로 전환되면, 상용 전자화폐를 이용한 거래를 중개하는 화폐거래중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화폐발행부는,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상기 상용 전자화폐로 전환하는 시점의 상기 매물의 가치의 변화 및 상기 매물에 의해 발생된 수익을 고려하여,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상기 상용 전자화폐로 전환하는 비율을 달리 결정하는, 부동산 거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발행부는,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상기 상용 전자화폐로 전환하는 비율을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매물의 가치의 변화 및 상기 매물에 의해 발생된 수익과 함께 상기 매물에 대해 발생된 관리비용을 고려하여 상기 비율을 결정하는, 부동산 거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정산부는,
    판매된 임시전자화폐의 대금을 상기 부동산 소유주와 정산함에 있어서, 판매된 임시전자화폐의 대금에서 일정 비율의 수수료를 차감하거나 또는 상기 부동산 소유주로부터 상기 수수료를 지급받는, 부동산 거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화폐발행부는,
    상기 매물의 가치의 변화 및 상기 매물에 의해 발생된 수익을 고려하여,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상용 전자화폐를 보유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에게 상기 상용 전자화폐를 추가 발행하는, 부동산 거래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 전자화폐는,
    화폐로서의 교환가치를 갖는 지불수단인, 부동산 거래 시스템.
  6. 부동산 거래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고,
    부동산 소유주로부터 부동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부동산 정보에 대응하는 부동산을 매물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매물에 대한 임시전자화폐를 발행하되, 임시전자화폐의 발행 시점의 상기 매물의 가치에 대응하는 수량의 임시전자화폐를 발행하는 단계;
    상기 매물에 대한 상기 부동산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에 대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구매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 신청에 대응하여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에 대한 대금을 결제 받아 임시전자화폐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게 판매하는 단계;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가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게 판매되면, 판매된 임시전자화폐의 대금을 상기 부동산 소유주와 정산하는 단계;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모든 수량의 임시전자화폐가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게 판매되면,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상용 전자화폐로 전환하고, 전환된 상기 상용 전자화폐를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보유하였던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에게 지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가 상용 전자화폐로 전환되면, 상용 전자화폐를 이용한 거래를 중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용 전자화폐를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보유하였던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에게 지급하는 단계는,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상기 상용 전자화폐로 전환하는 시점의 상기 매물의 가치의 변화 및 상기 매물에 의해 발생된 수익을 고려하여,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상기 상용 전자화폐로 전환하는 비율을 달리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결정된 비율에 따라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상기 상용 전자화폐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동산 거래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상기 상용 전자화폐로 전환하는 비율을 달리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매물에 대해 발행된 임시전자화폐를 상기 상용 전자화폐로 전환하는 비율을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매물의 가치의 변화 및 상기 매물에 의해 발생된 수익과 함께 상기 매물에 대해 발생된 관리비용을 고려하여 상기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동산 거래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된 임시전자화폐의 대금을 상기 부동산 소유주와 정산하는 단계는,
    판매된 임시전자화폐의 대금을 상기 부동산 소유주와 정산함에 있어서, 판매된 임시전자화폐의 대금에서 일정 비율의 수수료를 차감하거나 또는 상기 부동산 소유주로부터 상기 수수료를 지급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동산 거래 시스템.
KR1020230153998A 2018-06-04 2023-11-08 전자화폐 발행을 통한 부동산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584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348 2018-06-04
KR20180064348 2018-06-04
KR1020220038310A KR102602177B1 (ko) 2018-06-04 2022-03-28 전자화폐 발행을 통한 부동산 거래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310A Division KR102602177B1 (ko) 2018-06-04 2022-03-28 전자화폐 발행을 통한 부동산 거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449A true KR20230158449A (ko) 2023-11-20

Family

ID=6900387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216A KR20190138295A (ko) 2018-06-04 2019-06-04 전자화폐 발행을 통한 부동산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20220038310A KR102602177B1 (ko) 2018-06-04 2022-03-28 전자화폐 발행을 통한 부동산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0153998A KR20230158449A (ko) 2018-06-04 2023-11-08 전자화폐 발행을 통한 부동산 거래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216A KR20190138295A (ko) 2018-06-04 2019-06-04 전자화폐 발행을 통한 부동산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20220038310A KR102602177B1 (ko) 2018-06-04 2022-03-28 전자화폐 발행을 통한 부동산 거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1901382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327B1 (ko) * 2021-01-13 2021-09-0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잠재적 자원 순환 및 활성화를 위한 사물디지털트윈화폐와 이를 이용한 거래활성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48662A (ko) 2022-04-18 2023-10-25 (주)엠트레이드 전자증권을 통한 부동산 투자 지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537A (ko) * 2004-07-22 2004-08-1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전자 화폐 및 전자 유가 증권의 환전 시스템
KR20090068091A (ko) * 2007-12-21 2009-06-25 윤현진 부동산 증권화를 통한 부동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585176B1 (ko) * 2016-03-14 2023-10-06 주식회사 제주스퀘어 부동산 증권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700A (ko) 2022-04-11
KR102602177B1 (ko) 2023-11-14
KR20190138295A (ko)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40685A1 (en) Blockchain-based asset and immutable real-time intelligent securities platform
WO2017059199A1 (en) Virtual payment processing system
KR102602177B1 (ko) 전자화폐 발행을 통한 부동산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2119963B1 (ko) 블록체인 기술을 응용한 부동산 거래 및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US20200219189A1 (en) JYB-based Barter Transaction Platform
CA3161547C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WO201924656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to accelerate transaction processing
WO2017059203A1 (en) Virtual payment processing system
CN110675261A (zh) 基于区块链的债券交易数据处理方法及装置
US202201887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electronic token ecosystems
Siddique Modern money and Islamic banking in the light of Islamic law of riba
CA3183871A1 (en) Cryptographic token with separate circulation groups
Bidabad et al. It-Based Usury Free Financial Innovations
KR20210008687A (ko)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및 운영방법
US20230186301A1 (en) Tokenization of the appreciation of assets
KR20200117740A (ko) 부동산 가치 유동화로 창출된 수익의 임차인 배분 방법 및 이를 사용한 서버
TWM614046U (zh) 債權發行及管理系統
JP2003256744A (ja) 電子証券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WO2023190747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08915B1 (ja) 電子記録債権による決済代行システム
Shahzad et al. Sharī ‘ah Analysis of Acquisition of House Financing Portfolio: A Case Study of Bank Islami and Citi Bank Pakistan
KR20150012702A (ko) 전자 외상채권을 기반으로 하는 자산 유동화 채권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EP407401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JP2023044810A (ja) Ico型トークンの証券市場などの電子記録移転権利の取引市場での取引可能化システム
JP2023095086A (ja) デジタル資産の貸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