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608A -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608A
KR20230157608A KR1020220056989A KR20220056989A KR20230157608A KR 20230157608 A KR20230157608 A KR 20230157608A KR 1020220056989 A KR1020220056989 A KR 1020220056989A KR 20220056989 A KR20220056989 A KR 20220056989A KR 20230157608 A KR20230157608 A KR 20230157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tool
dog shaft
curvic coupling
checking wh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9100B1 (ko
Inventor
윤철규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6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100B1/ko
Publication of KR20230157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0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the holding action of work or tool holders
    • B23Q17/003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the holding action of work or tool holders by measuring a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 B23Q17/0904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before or after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7/2216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for adjusting the tool into its h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17/00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빅 커플링의 클램프와 언클램프 동작을 쉽고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품질 불만을 해소시키고 조립 공수를 줄이는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구대 내부에 형성되는 도그 샤프트의 후단부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도그 샤프트의 후단면을 감지토록 하는 센서와; 상기 도그 샤프트와 센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가 장착(거치)되도록 하는 브래킷;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Apparatus for Checking Curvic Coupling Clamp of Tool Holder for Machine Tools}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빅 커플링의 클램프와 언클램프 동작을 쉽고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품질 불만을 해소시키고 조립 공수를 줄이는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터닝센터, 머시닝센터, 문형머시닝센터, 스위스 턴, 방전 가공기, 수평형 NC 보링머신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가 작업의 용도에 맞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절삭가공을 수행하는 공작기계인 선반은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를 이용한 선반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선반은 스핀들 모터의 고속회전으로 축이 연동하고 그 축에 공작물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척킹장치를 갖는 스핀들유닛, 공작물의 고속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중심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스핀들유닛의 구동축과 동일 중심선 상에 위치 하여 공작물의 타측 중심을 지지하도록 하는 심압대, 상기 스핀들 유니트 상부의 배드 상에 설치되고 수평 및 수직운동을 하는 볼스크류유닛에 의해 공작물에 접근하여 가공 순서에 따라 다양한 공작물 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터렛이 구비된 공구대로 대별된다.
이러한 공작기계의 선반 공구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10)와, 상기 구동모터(310)에 연결되는 회전 커빅(321)과 회전 커빅(321)의 회전을 단속하는 고정 커빅(322)과 상기 회전 커빅(321)과 고정 커빅(322)에 연결된 피스톤 커빅(323)을 포함하는 커빅 커플링(320)과, 상기 피스톤 커빅(323)에 지지되어 전,후 동작하는 도그 샤프트(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작기계용 공구대(300)는 구동모터(310)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 커빅(321)과 터렛디스크(도면부호 미기재)의 운동을 발생시켜 공구(미도시)를 교환시킨다.
여기서, 상기 커빅 커플링(320)의 작동구조는 공구대(300)의 몸체 내의 유압관로(미도시)를 통해 유입된 유압이 피스톤 커빅(323)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피스톤 커빅(323)을 전후진시킴으로써 회전 커빅(321)과 고정 커빅(322)이 구속(클램프) 또는 해제(언클램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커빅 커플링(320)은 작동 유압을 통해 산과 산이 결합 또는 분리 되는 방식으로 설치 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상기 커빅 커플링(320)의 결합 또는 분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도그 샤프트(330)의 일단에 설치되는 브래킷(110)과 스프링(130) 및 상기 브래킷(110)을 통해 설치되는 복수 개의 근접센서(120)로 이루어지는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100)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100)는, 공구대(300)의 몸체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된 도그 샤프트(330)가 피스톤 커빅(323)의 일단면에 탄성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 커빅(323)이 전진시 이에 연동하여 전진을 하게 되고, 피스톤 커빅(323)의 후퇴시 도그 샤프트(330)는 뒷단의 스프링(130)의 장력 힘으로 인해 후퇴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그 샤프트(330)의 끝단에 별도의 브래킷(110)을 통해 설치된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100)의 근접센서(120)가 도그 샤프트(330)의 전,후진 원통면을 감지하여 커빅 커플링(320)의 클램프 또는 언클램프, 즉 결합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100)는 도그 샤프트(330)의 일단측에 별도의 브래킷(110)을 통해 설치된 근접센서(120)가 도그 샤프트(330)의 원통면을 감지하기 때문에 공작물의 가공시 떨림 현상이나 조립자의 숙련도에 따라 근접센서(120)의 방향이 자주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센싱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에는 근접센서(120)와 도그 샤프트(330)의 원통면 간의 틈새 조정이 어렵고, 도그 샤프트(330)의 원통면과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아 센싱 위치를 정확한 값으로 파악하기 어려워 조립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근접센서(120)의 센싱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조립치구를 사용하고 있지만 조립치구의 변형이 심해 주기적으로 교체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도그 샤프트(330)가 피스톤 커빅(323)을 지지하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도그 샤프트(323)의 분해 및 조립이 까다롭고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에는 도그 샤프트(330)가 피스톤 커빅(323)에 조립되어 일체형으로 전후진을 하는 방식으로 설치 되어 있으며, 리미트스위치(미도시)를 사용하여 도그 샤프트(330)의 일단에 브래킷(110)을 볼트로 체결하여 볼트 머리를 이용하여 스위치를 눌러 스위치가 ON/OFF 되도록 작동 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이 많이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번호 10-2018-0036478 공개번호 10-2018-0047062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싱 구조를 개선하여 빈번히 발생하는 품질 결함을 감소시키고, 센서 조립시 소요되는 조립공수를 최소화하며 편의성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구대 내부에 형성되는 도그 샤프트의 후단부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도그 샤프트의 후단면을 감지토록 하는 센서와; 상기 도그 샤프트와 센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가 장착(거치)되도록 하는 브래킷;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와 도그 샤프트의 후단부 간격은 3∼4mm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그 샤프트의 후단부는 원기둥 형태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원판형 플레이트가 결합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1개 또는 2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도그 샤프트의 후단부 중심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편차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그 샤프트는 커빅 커플링과 맞닿아 일측은 유압력으로 타 일측은 스프링력에 의해 전,후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2개로 형성될 경우 도그 샤프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일측면에 탭구멍이 형성되어 센서의 조립시 도그 샤프트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를 구비하는 공작기계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그 샤프트와 센서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센서의 감지 거리를 쉽고 원활하며 정확하게 이루게 하여 센서의 감지 불량을 예방하고 품질 결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센서 설치시 치수 표준화를 통해 조립성을 개선하고, 조립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센서 설치를 위한 치구가 불필요하므로 작업성 향상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센서만 사용하므로 원가절감과 공구 교환시간 및 수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립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와 결합된 도그 샤프트가 피스톤 커빅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피스톤 커빅 일측으로 형성되는 회전 커빅 및 고정 커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의 요부 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그 샤프트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그 샤프트의 일단에 별도의 원형 플레이트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의 위치를 원형 플레이트의 뒷면이 아닌 앞면을 향하게 조립하여 뒤쪽 여유 공간을 최소화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의 위치를 원형 플레이트의 앞뒤로 복수 개 배치함과 동시에 복수 개의 센서를 도그 샤프트 중심과 평행하지 않고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가 조립된 공작기계의 공구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빅 커플링의 결합 및 분리 동작을 위해 공작기계 공구대의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유압관로 및 제2 유압관로의 유압력 유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빅 커플링과 도그 샤프트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200)는 센서(210)와 브래킷(220)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대(300)는 몸체(300a)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10), 상기 구동모터(31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회전커빅(321), 상기 회전커빅(321)의 회전을 단속하는 고정커빅(322), 상기 회전커빅(321)과 고정커빅(322)에 연결되는 피스톤커빅(323)으로 이루어지는 커빅 커플링(320)과, 상기 피스톤커빅(323)의 일측면에 지지되어 전,후진 동작하도록 설치되는 도그 샤프트(33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200)는 상기 도그 샤프트(330)의 후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센서(210)는 상기 공구대(300) 몸체(300a)의 내부에 형성되는 도그 샤프트(330)의 후단부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도그 샤프트(330)의 전,후진 동작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210)와 도그 샤프트(330)의 후단부 사이와의 간격은 3∼4mm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센서(210)와 도그 샤프트(330)의 후단부 사이의 간격을 3mm 이하로 형성(셋팅)할 경우 센서(210)의 감지 영역에 의해 커빅 커플링(320)의 결합이 이루어지기 전에 센서(210)가 먼저 도그 샤프트(330)의 후단부를 인지하여 공구대(300)의 작동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상기 센서(210)와 도그 샤프트(330)의 후단부 사이의 간격을 4mm 이상으로 형성(셋팅)할 경우 센서(210)의 감지 영역을 벗어나거나 도그 샤프트(330)의 후단부가 가공시 진동, 떨림 및 조립 오차에 의해 센서(210)의 오작동이 발생하여 공구대(300)의 작동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센서(210)와 도그 샤프트(330)의 후단부 사이의 간격을 3∼4mm로 형성하는 것이 커빅 커플링(320)의 결합 여부확인 반응속도를 가장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 상기 센서(210)는 도그 샤프트(330)의 후단부와 간격을 두고 1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센서(210)는 필요에 따라 2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2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210)가 1개로 형성되는 경우 도그 샤프트(330)의 후단부 중심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210)는 도그 샤프트(330)의 후단부 중심에 대해 편차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210)가 2개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도그 샤프트(3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센싱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210)는 추후 설명할 도그 샤프트(330)에 결합되는 감지판(240)의 전,후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그 샤프트(330)에 조립된 감지판(240)이 전,후진 동작할 때 센서(210)가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210)가 2개로 형성될 경우, 어느 하나의 센서(210)가 고장이 나거나 훼손되더라도 센싱 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220)은 도그 샤프트(330)와 센서(21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210)가 도그 샤프트(330)의 전,후진 동작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브래킷(220)은 센서(210)가 도그 샤프트(330)의 전,후진 동작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220)의 ㄷ자 형태 전면과 후면에는 조립을 위한 조립구멍(221),(222)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구멍(221)은 센서(210)와 도그 샤프트(330) 간의 중심 위치를 일치하게 해주며, 조립구멍(222)는 내면에 탭(tap)이 형성되어 센서(210)의 조립시 도그 샤프트(330)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조립구멍(221)은 브래킷(220)에 형성된 센서(210)를 조립하기 위한 도그 샤프트(330)가 전,후진할 수 있게 가이드하여 조립구멍(222)과 도그 샤프트(330)의 중심위치를 일치하게 해주며, 상기 조립구멍(222)는 내면에 형성된 탭(tap)(미도시)을 통해 센서(210)의 위치를 전진 또는 후진시킴으로써 상호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브래킷(220)은 도그 샤프트(330)와 도그 샤프트(330)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스프링(2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220)은, 상기 센서(210)의 조립시 센서(210)와 도그 샤프트(330) 간의 간격 조정을 쉽게 함으로써, 센서(210)와 도그 샤프트(330) 후단부와의 거리가 일정하게 되어 센싱 위치 값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조립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210)와 도그 샤프트(330)의 조립시 조립구멍(221),(222)을 통해 조립함으로써, 별도의 치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로 인한 비용절감을 이루고, 유지보수 작업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센서(210)의 일단부분 외주면에 수나사(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브래킷(220)의 조립구멍(222) 내면에 형성된 탭(tap)(미도시)과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을 간단하게 하고 아울러, 센서(210)와 도그 샤프트(330) 간의 간격 조정도 일정하고 쉽게 이룰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도그 샤프트(330)의 후단면은 원형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원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감지판(240)이 결합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센서(210)가 전,후진 동작하는 도그 샤프트(330)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도그 샤프트(330)의 후단면은 센서(210)의 원주면에 대응하는 원형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210)가 도그 샤프트(330)의 전,후진 동작시 움직임을 더 확실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도그 샤프트(330)의 후단면으로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도그 샤프트(330)의 후단 원주 보다 큰, 원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감지판(240)을 부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판(240)은 볼트나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241)에 의해 도그 샤프트(330)의 후단면 중앙에 동심원을 이루도록 체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도그 샤프트(330)는 선단면이 커빅 커플링(320)을 구성하는 피스톤 커빅(323)의 일측면과 맞닿아 탄성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도그 샤프트(330)의 후단부에는 스프링(230)이 브래킷(220)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도그 샤프트(330)의 일측은 유압력으로 타 일측은 스프링(230)의 스프링력에 의해 전,후진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일측으로 작동 유압력이 발생하게 되면 피스톤 커빅(323)이 일측으로 이동 하면서 도그 샤프트(330)를 일측으로 밀게 되어 도그 샤프트(330)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그 샤프트(330)가 일측으로 이동할 경우 센서(210)의 램프(미도시)가 ON 되어 커빅 커플링(320)의 결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대로, 상기 작동 유압력이 반대로 작용하게 되면 피스톤 커빅(323)이 타일측으로 이동 하면서 도그 샤프트(330)의 후단부에 설치된 스프링(230)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도그 샤프트(330)를 타 일측으로 밀게 되어 도그 샤프트(330)가 이동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그 샤프트(330)가 타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센서(210)와의 거리가 멀어져 센서(210)의 램프가 OFF 되면서 커빅 커플링(320)의 분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커빅 커플링(320)의 작동구조는 공구대(300) 몸체(330a)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2 유압관로(340),(350)를 통해 유입되는 유압력이 피스톤 커빅(323)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피스톤커빅(323)을 전,후진시킴으로써 회전커빅(321)과 고정커빅(322)이 구속(클램프) 또는 해제(언클램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200)를 구비하는 공작기계(미도시)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200)를 구비하는 공작기계(미도시)의 공구대(300) 커빅 커플링(320)이 클램프 또는 언클램프 여부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대(300)의 몸체(300a) 내부에 형성된 제1 유압관로(340)를 통해 유압을 입력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유압관로(340)를 통해 공급된 유압력이 피스톤 커빅(323)을 일측으로 전진시키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피스톤 커빅(323)의 일측면을 탄성지지하고 있는 도그 샤프트(330)를 밀어 일측으로 전진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그 샤프트(330)가 전진하게 되면, 센서(210)가 도그 샤프트(330)와의 간격이 가까워지게 되며 센서(210)는 이를 감지하여 램프가 ON 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빅 커플링(320)의 회전커빅(321)과 고정커빅(322)은 상호 결합되어 공구(미도시)를 클램프(결합)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반대로, 상기 공구대(300)의 몸체(300a) 내부에 형성된 제2 유압관로(350)를 통해 유압을 입력하면, 상기 제2 유압관로(350)를 통해 공급된 유압력이 피스톤 커빅(323)을 일측으로 후진시키게 된다.
이에 연동하여 피스톤 커빅(323)의 일측면을 스프링(230)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지지하고 있는 도그 샤프트(330)는 스프링(230)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일측으로 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그 샤프트(330)가 후진하게 되면, 센서(210)가 도그 샤프트(330)와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며 센서(210)는 램프가 OFF 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빅 커플링(320)의 회전커빅(321)과 고정커빅(322)은 상호 분리되어 공구를 언클램프(분리)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그 샤프트(330)는 피스톤 커빅(323)과 맞다아 일측 방향으로는 유압의 힘으로 이동하고, 타일측은 스프링(230)의 힘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센서의 조립 구조를 개선하여 감지불량을 방지하고 품질결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조립성을 향상하는 등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200 :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 210 : 센서
220 : 브래킷 221, 222 : 조립구멍
223 : 체결구 230 : 스프링
240 : 감지판 241 : 체결구
300 : 공구대 300a : 몸체
310 : 모터 320 : 커빅 커플링
321 : 회전커빅 322 : 고정커빅
323 : 피스톤 커빅 330 : 도그 샤프트
340 : 제1 유압관로 350 : 제2 유압관로

Claims (10)

  1.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구대 내부에 형성되는 도그 샤프트의 후단부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도그 샤프트의 후단면을 감지토록 하는 센서와;
    상기 도그 샤프트와 센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가 장착(거치)되도록 하는 브래킷;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와 도그 샤프트의 후단부 간격은 3∼4mm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그 샤프트의 후단부는 원기둥 형태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원판형 플레이트가 결합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1개 또는 2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도그 샤프트의 후단부 중심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편차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그 샤프트는 커빅 커플링과 맞닿아 일측은 유압력으로 타 일측은 스프링력에 의해 전,후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2개로 형성될 경우 도그 샤프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일측면에 탭구멍이 형성되어 센서의 조립시 도그 샤프트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를 구비하는 공작기계.
KR1020220056989A 2022-05-10 2022-05-10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 KR102649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989A KR102649100B1 (ko) 2022-05-10 2022-05-10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989A KR102649100B1 (ko) 2022-05-10 2022-05-10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608A true KR20230157608A (ko) 2023-11-17
KR102649100B1 KR102649100B1 (ko) 2024-03-18

Family

ID=8896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989A KR102649100B1 (ko) 2022-05-10 2022-05-10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10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512A (ko) * 1997-10-31 1999-05-15 권영두 3피스 커빅커플링의 차동실린더 클램핑 장치를갖는 터릿장치
KR20000014036U (ko) * 1998-12-29 2000-07-15 추호석 머시닝 센터의 인덱스 테이블 클램프상태 검출장치
KR101398809B1 (ko) * 2012-11-26 2014-05-27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터렛공구대
KR20180036478A (ko) 2016-09-30 2018-04-09 현대위아 주식회사 심압대 전후진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80047062A (ko) 2016-10-31 2018-05-10 현대위아 주식회사 선반의 공구대
KR20200086840A (ko) * 2019-01-10 2020-07-20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심압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512A (ko) * 1997-10-31 1999-05-15 권영두 3피스 커빅커플링의 차동실린더 클램핑 장치를갖는 터릿장치
KR20000014036U (ko) * 1998-12-29 2000-07-15 추호석 머시닝 센터의 인덱스 테이블 클램프상태 검출장치
KR101398809B1 (ko) * 2012-11-26 2014-05-27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터렛공구대
KR20180036478A (ko) 2016-09-30 2018-04-09 현대위아 주식회사 심압대 전후진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80047062A (ko) 2016-10-31 2018-05-10 현대위아 주식회사 선반의 공구대
KR20200086840A (ko) * 2019-01-10 2020-07-20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심압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100B1 (ko) 202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94513A1 (en) Workpiece headstock
WO2021085607A1 (ja) 工具クランプ装置および工作機械
EP1637259B1 (en) Workpiece ejecting device for a machine tool
US3609838A (en) Machine tool
KR102649100B1 (ko) 공작기계용 공구대 커빅 커플링 결합 여부 확인장치
US4887500A (en) Ball turner for turning lathes
JPH1110470A (ja) クランプ装置
KR20030069674A (ko) 수직형 머시닝센터의 고속 공구 교환장치
US7080433B2 (en) Workpiece seat for bar-shaped workpieces
KR100427015B1 (ko) 공작기계의 터렛장치
WO1988006944A1 (en) Shaving machine of automatic cutter replacing type
CN100413644C (zh) 用于机床的工件排出装置
KR101438230B1 (ko) Nc 선반 주축각도 인덱싱장치
JP6778311B1 (ja) 刃物台および工作機械
KR102640978B1 (ko) 위치결정장치를 구비하는 체인구동 공구 매거진
KR102621080B1 (ko) 머시닝센터의 틸팅테이블 시스템
CN117086615B (zh) 一种锁付螺丝装置
CN220679395U (zh) 一种基于车床用的真空吸附夹具
JPH07251307A (ja) 工具折損検知装置付きタレット装置
KR200314999Y1 (ko) 씨엔씨 로터리 테이블
KR200345374Y1 (ko) 5축제어 복합선반
KR200237554Y1 (ko) 고정번지방식 자동공구교환기의 공구 선회장치
JPS62259735A (ja) 複合工作機械
KR101630145B1 (ko) 수평형 다축 라인센터의 공구교환방법
JPH0611748Y2 (ja) タレット盤の工具位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