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044A - 서클립을 구비하는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서클립을 구비하는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044A
KR20230157044A KR1020220056541A KR20220056541A KR20230157044A KR 20230157044 A KR20230157044 A KR 20230157044A KR 1020220056541 A KR1020220056541 A KR 1020220056541A KR 20220056541 A KR20220056541 A KR 20220056541A KR 20230157044 A KR20230157044 A KR 20230157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lip
clutch
protruding shaft
protruding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혁준
장은숙
Original Assignee
하오 용 오토모티브 컨트롤즈 리미티드
노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오 용 오토모티브 컨트롤즈 리미티드, 노혁준 filed Critical 하오 용 오토모티브 컨트롤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20056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7044A/ko
Priority to PCT/KR2023/004237 priority patent/WO2023219268A1/ko
Publication of KR20230157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16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therwise than only 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2011/006Locking or detent means, i.e. means to keep the clutch in engaged condition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는, 자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돌출축; 상기 돌출축의 외측면을 상기 돌출축의 지름방향으로 둘러싸되 상기 돌출축의 외측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서클립; 상기 돌출축 중 상기 서클립이 장착된 부위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내부홀을 구비하며, 상기 서클립에 간섭되는 돌출블록을 구비하여 상기 서클립과 일체로 자전하는 회동투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클러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킨 후 상기 돌출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돌출축을 자전시키는 감속유닛; 상기 회동투관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커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출력기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클립을 구비하는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 {Clutch having circlip and cover plate driving apparatus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서클립의 탄성 밀착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주유구 또는 충전 포트는 통상적으로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커버플레이트의 자동 개폐를 실현한다.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는 구동모터, 출력단이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회전축과 연결된 클러치, 및 상기 구동모터와 클러치 사이에 연결된 감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는 감속기의 전동 효율이 비교적 낮으므로,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효과적으로 구동하고자 하는 경우 구동모터의 에너지 소모량이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커버플레이트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회전축이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기어결합 구조로 연결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차량 외부에서 수동으로 열고 닫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모터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이 과도하게 큰 경우 커버플레이트가 손상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는 내부 구성이 복잡하고 각 구성요소들의 규격이 커서 구동장치의 소형화가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는 클러치가 출력축과 일렬로 배열되도록 장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은 경우 클러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클러치력 조절을 위한 작업이 어려워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커버플레이트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으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수동으로도 개폐시킬 수 있는 액추에이터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바 있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액추에이터는 클러치패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별도의 스프링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클러치의 내부 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품수가 증가하여 전체적인 제품의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21-0158613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클러치패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별도의 스프링 없이도 동력을 전달 및 차단할 수 있어 부품수가 감소되고, 원판 형상의 클러치패드가 필요 없어지므로 소형화가 가능한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는, 자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돌출축; 상기 돌출축의 외측면을 상기 돌출축의 지름방향으로 둘러싸되 상기 돌출축의 외측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서클립; 상기 돌출축 중 상기 서클립이 장착된 부위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내부홀을 구비하며, 상기 서클립에 간섭되는 돌출블록을 구비하여 상기 서클립과 일체로 자전하는 회동투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클립은 길이방향 양단이 상호 이격되는 C형 클립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블록은 상기 서클립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돌출블록의 폭방향 양측은 상기 서클립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밀착된다.
상기 서클립은 상기 내부홀의 내벽과 이격된다.
상기 서클립 중 상기 돌출축의 외주면과 접하는 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는, 원통형의 내부홀을 구비하며 상기 원통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한 회동투관; 상기 내부홀의 내벽을 상기 내부홀의 지름방향으로 둘러싸되 상기 내부홀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서클립;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내부홀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클립에 간섭되는 돌출블록을 구비하여 상기 서클립과 일체로 자전하는 돌출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클립은 길이방향 양단이 상호 이격되는 C형 클립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블록은 상기 서클립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돌출블록의 폭방향 양측은 상기 서클립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밀착된다.
상기 서클립은 상기 돌출축의 외주면과 이격된다.
상기 서클립 중 상기 내부홀의 내벽과 접하는 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클러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킨 후 상기 돌출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돌출축을 자전시키는 감속유닛; 상기 회동투관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커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출력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감속유닛은 하나 이상의 다단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속유닛은, 링기어와, 상기 링기어의 내측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유성기어와, 상기 복수 개의 유성기어 사이에 결합되는 태양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는, 클러치패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별도의 스프링 없이도 동력을 전달 및 차단할 수 있어 부품수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내부 구성이 단순화되고, 원판 형상의 클러치패드가 필요 없어지므로 소형화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는 클러치 및 감속유닛의 설치공간이 최소화되어 전체적인 장치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고, 서클립 교체만으로 클러치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의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의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에 포함되는 서클립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횡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 제2 실시예의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서클립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횡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클러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의 종단면 사시도이다.
차량의 주유구 또는 충전 포트에는 커버플레이트(1)가 결합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1)는 통상적으로 모터 등과 같은 전동장치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유구 또는 충전 포트에 장착된 커버플레이트(1)를 개폐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00)와, 상기 구동모터(100)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유닛(200)과, 상기 감속유닛(200)에 의해 감속된 구동모터(100)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이를 전달 및 차단시키는 클러치(300)와, 상기 클러치(30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으로 상기 커버플레이트(1)를 회전시키는 출력기어를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100)와 감속유닛(200)과 클러치(300)와 출력기어는 하부하우징(610) 및 상부하우징(620)으로 구성되는 하우징(600)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600) 내부에는 각종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500)이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하우징(600)과 인쇄회로기판(500)은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에 상용화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언급한 각 구성요소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100)가 작동되어 회전력을 출력하면, 상기 감속유닛(200)은 구동모터(100)의 회전력을 감속시킨 후 클러치(300)로 전달하고, 상기 클러치(300)는 감속된 회전력을 출력기어로 전달함으로써 커버플레이트(1)를 사전에 설정된 속도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커버플레이트(1)는 구동모터(100)의 회전력이 클러치(300)를 거쳐 커버플레이트(1)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커버플레이트(1)가 강제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100)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100)의 회전력은 클러치(300)에서 전달이 차단되므로 상기 커버플레이트(1)를 포함한 각종 동력전달 부품이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감속유닛(200)은 구동모터(100)의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면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다단기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기타 다양한 구조의 감속기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커버플레이트(1)는 클러치(300)의 구성에 있어 가장 큰 특징이 있는데, 이하에서는 클러치(300)의 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3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300)의 종단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300)에 포함되는 서클립(32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횡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300)는 동력을 전달 및 차단하는 원판 형상의 클러치(300)판이나 상기 클러치(300)판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별도의 스프링 없이도 구동모터(10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 및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있어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300)는, 자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돌출축(310)과, 상기 돌출축(310)의 외측면을 상기 돌출축(310)의 지름방향으로 둘러싸되 상기 돌출축(310)의 외측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서클립(320)과, 상기 돌출축(310) 중 상기 서클립(320)이 장착된 부위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내부홀(332)을 구비하며 상기 서클립(320)에 간섭되는 돌출블록(334)을 구비하여 상기 서클립(320)과 일체로 자전하는 회동투관(330)을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한다. 상기 돌출축(310) 중 회동투관(330)의 내부홀(332)에 삽입되지 아니하는 부위(본 실시예에서는 하측부)에는 감속유닛(20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는 제1 기어(312)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투관(330)의 외주면에는 출력기어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 기어(336)가 구비된다.
상기 서클립(320)은 돌출축(310)에는 탄성적으로 밀착되므로 상기 돌출축(310)이 회전할 때 상기 서클립(320)은 상기 돌출축(310)을 따라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동투관(330)에 구비된 돌출블록(334)은 상기 서클립(320)에 간섭되어 상기 서클립(320)과 일체로 회전되므로 상기 돌출블록(334)을 구비하는 회동투관(330) 역시 상기 서클립(320)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커버플레이트(1)가 외력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회동투관(330) 및 돌출블록(334)에 걸려 있는 서클립(320) 역시 고정되므로, 구동모터(100)가 구동하여 돌출축(310)이 회전되었을 때 상기 서클립(320)은 돌출축(310)을 따라 회전하지 아니하고 상기 돌출축(310)만이 회전하게 된다. 물론, 상기 커버플레이트(1)를 고정시키는 힘이 돌출축(310)과 서클립(320) 간의 마찰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돌출축(310)이 회전될 때 상기 서클립(320) 및 회동투관(330) 역시 돌출축(310)을 따라 회전하므로 커버플레이트(1)는 개폐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300)는 구동모터(10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전달 및 차단하는 서클립(320)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돌출축(310)의 외주면을 감싸는 C형 클립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동력을 전달 및 차단하는 구성요소의 설치공간이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클러치(300)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300)는, 상기 서클립(320)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돌출축(310)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므로 즉, 상기 서클립(320)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별도의 스프링이 필요치 아니하게 되므로, 부품수가 줄어들게 되고 내부구성이 단순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300)는 돌출축(3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장착되는 서클립(320)이 어느정도 크기의 힘으로 돌출축(3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지에 따라 클러치(300)력이 결정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서클립(320)의 탄성수치 및 장착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클러치(300)력을 간단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서클립(320)이 과도하게 큰 힘으로 돌출축(3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경우, 상기 서클립(320) 중 돌출축(310)의 외주면과 접하는 면에 복수 개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클립(320)에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면, 서클립(320)과 돌출축(310)의 접촉면적이 감소하게 되므로 상기 서클립(320)은 돌출축(310)의 외주면 상에서 보다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회동투관(330)과 서클립(320)이 항상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투관(330)의 돌출블록(334)은 상기 서클립(320)에 견고하게 걸리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서클립(320)은 길이방향 양단(322)이 상호 이격되는 C형 클립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블록(334)은 상기 서클립(320)의 길이방향 양단(322) 사이에 삽입되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블록(334)이 서클립(320)의 길이방향 양단(322) 사이에 삽입되면, 상기 서클립(320)이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상기 회동투관(330)이 서클립(320)을 따라 회전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서클립(320)이 회전하는 즉시 회동투관(330)이 서클립(320)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블록(334)의 폭방향 양측은 상기 서클립(320)의 길이방향 양단(322)에 각각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서클립(320)이 회동투관(330)의 내부홀(332) 내벽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회동투관(330)이 서클립(320)과 일체로 회전하는 효과는 향상될 수 있으나, 상기 서클립(320)의 두께가 약간이라도 두꺼워지거나 내부홀(332)의 내경이 약간이라도 작아지는 경우 회동투관(330)의 조립이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가사, 상기 회동투관(330)이 조립 되더라도 상기 내부홀(332)의 내벽이 상기 서클립(320)을 돌출축(310)으로 압박하게 되므로, 서클립(320)과 돌출축(310)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아니하게 된다는 문제점 즉, 동력전달 차단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300)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 8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클립(320)이 상기 내부홀(332)의 내벽과 미세하게나마 이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클립(320)이 과도하게 큰 힘으로 내부홀(332)의 내벽에 밀착되는 경우, 상기 서클립(320) 중 내부홀(332)의 내벽과 접하는 면에 복수 개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클립(320)에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면, 서클립(320)과 내부홀(332)의 접촉면적이 감소하게 되므로 상기 서클립(320)은 내부홀(332)의 내벽 상에서 보다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300) 제2 실시예의 종단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300)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서클립(32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횡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3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서클립(320)과 돌출축(310)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동력전달이 차단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클립(320)과 회동투관(330)의 내부홀(332)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동력전달이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300)는, 원통형의 내부홀(332)을 구비하며 상기 원통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한 회동투관(330)과, 상기 내부홀(332)의 내벽을 상기 내부홀(332)의 지름방향으로 둘러싸되 상기 내부홀(332)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서클립(320)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내부홀(332)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클립(320)에 간섭되는 돌출블록(334)을 구비하여 상기 서클립(320)과 일체로 자전하는 돌출축(31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클립(320)에 걸리는 돌출블록(334)이 돌출축(310)에 구비되도록 구성되면, 커버플레이트(1)가 강제로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모터(100)가 작동하였을 때, 상기 돌출축(310) 및 이에 걸린 서클립(320)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서클립(320)과 회동투관(330)의 내부홀(332)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동력전달이 차단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서클립(320)은 길이방향 양단(322)이 상호 이격되는 C형 클립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블록(334)은 상기 서클립(320)의 길이방향 양단(322)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돌출축(310)이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서클립(320)이 돌출축(310)을 따라 즉각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블록(334)의 폭방향 양측은 상기 서클립(320)의 길이방향 양단(322)에 각각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클립(320)이 내부홀(332)의 내벽과 돌출축(310)의 외주면에 모두 압착되면, 상기 서클립(320)의 두께가 약간이라도 두꺼워지거나 돌출축(310)의 외경이 약간이라도 커지는 경우 돌출축(310)의 조립이 불가할 수 있다. 가사, 상기 돌출축(310)이 조립 되더라도 상기 돌출축(310)이 상기 서클립(320)을 내부홀(332)의 내벽으로 압박하게 되므로, 서클립(320)과 내부홀(332)의 내벽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아니하게 된다는 문제점 즉, 동력전달 차단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300)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 10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클립(320)이 상기 돌출축(310)의 외주면과 미세하게나마 이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클립(320)이 과도하게 큰 힘으로 내부홀(332)의 내벽에 밀착되는 경우, 상기 서클립(320) 중 내부홀(332)의 내벽과 접하는 면에 복수 개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홀(332)에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면, 서클립(320)과 내부홀(332)의 접촉면적이 감소하게 되므로 상기 서클립(320)은 내부홀(332)의 내벽면 상에서 보다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10)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클러치(300)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10)는 구동모터(100)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유닛(200)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기어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기어이빨이 형성되는 링기어(240)와, 상기 링기어(240)의 내측에 기어결합되는 복수 개의 유성기어(230)와, 상기 복수 개의 유성기어(230) 사이에 결합되는 태양기어(2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링기어(240) 내부에 유성기어(230) 및 태양기어(210)가 장착되어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클러치구조는 본원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장치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감속유닛(200)은 구동모터(100)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클러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도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서클립(320)이 장착되는 돌출축(31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기어에 결합되며, 회동투관(330)의 내부홀(332)에는 서클립(320)의 길이방향 양단(322) 사이에 삽입되는 돌출블록(334)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클러치(300) 구조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 커버플레이트 10 :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
100 : 구동모터 200 : 감속유닛
300 : 클러치 310 : 돌출축
312 : 제1 기어 320 : 서클립
330 : 회동투관 332 : 내부홀
334 : 돌출블록 336 : 제2 기어

Claims (13)

  1. 자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돌출축;
    상기 돌출축의 외측면을 상기 돌출축의 지름방향으로 둘러싸되 상기 돌출축의 외측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서클립;
    상기 돌출축 중 상기 서클립이 장착된 부위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내부홀을 구비하며, 상기 서클립에 간섭되는 돌출블록을 구비하여 상기 서클립과 일체로 자전하는 회동투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클립은 길이방향 양단이 상호 이격되는 C형 클립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블록은 상기 서클립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출블록의 폭방향 양측은 상기 서클립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클립은 상기 내부홀의 내벽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클립 중 상기 돌출축의 외주면과 접하는 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6. 원통형의 내부홀을 구비하며 상기 원통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한 회동투관;
    상기 내부홀의 내벽을 상기 내부홀의 지름방향으로 둘러싸되 상기 내부홀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서클립;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내부홀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클립에 간섭되는 돌출블록을 구비하여 상기 서클립과 일체로 자전하는 돌출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클립은 길이방향 양단이 상호 이격되는 C형 클립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블록은 상기 서클립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돌출블록의 폭방향 양측은 상기 서클립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클립은 상기 돌출축의 외주면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클립 중 상기 내부홀의 내벽과 접하는 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의한 클러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킨 후 상기 돌출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돌출축을 자전시키는 감속유닛;
    상기 회동투관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커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출력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감속유닛은 하나 이상의 다단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감속유닛은, 링기어와, 상기 링기어의 내측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유성기어와, 상기 복수 개의 유성기어 사이에 결합되는 태양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
KR1020220056541A 2022-05-09 2022-05-09 서클립을 구비하는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 KR20230157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541A KR20230157044A (ko) 2022-05-09 2022-05-09 서클립을 구비하는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
PCT/KR2023/004237 WO2023219268A1 (ko) 2022-05-09 2023-03-30 서클립을 구비하는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541A KR20230157044A (ko) 2022-05-09 2022-05-09 서클립을 구비하는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044A true KR20230157044A (ko) 2023-11-16

Family

ID=8873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541A KR20230157044A (ko) 2022-05-09 2022-05-09 서클립을 구비하는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57044A (ko)
WO (1) WO202321926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613A (ko) 2020-06-24 2021-12-31 하오 용 오토모티브 컨트롤즈 리미티드 자동차 충전포트도어용 액추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2617A (ja) * 1998-09-09 2000-03-31 Honda Motor Co Ltd 電動車両における充電用リッド開閉装置
KR101716409B1 (ko) * 2015-07-07 2017-03-14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KR102169192B1 (ko) * 2019-01-08 2020-10-22 (주)케이로봇 기어 박스 내의 클러치 구조
CN110126739A (zh) * 2019-05-29 2019-08-16 东莞皓永汽车配件有限公司 离合器组装体及后视镜调整装置的驱动机构
CN113864403A (zh) * 2021-10-19 2021-12-31 东莞皓永汽车配件有限公司 汽车的盖板驱动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613A (ko) 2020-06-24 2021-12-31 하오 용 오토모티브 컨트롤즈 리미티드 자동차 충전포트도어용 액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9268A1 (ko)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316B1 (ko) 노트북 컴퓨터 개폐장치
JP4864582B2 (ja) トルク自動切替装置
US4228698A (en) Speed reducer
US10495155B2 (en) Torque limiter and drive device
KR20230157044A (ko) 서클립을 구비하는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
WO2009000134A1 (fr) Ensemble pivotant d'ouverture et de fermeture automatique à fonctions manuelles
CN101783543A (zh) 一种电机组件
KR20180090752A (ko) 조작기
RU2547644C2 (ru) Привод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закрывания замка открывающейся части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WO2020201110A1 (en) Automatic door operator
JP3272627B2 (ja) クラッチ付きモータ
KR100771280B1 (ko) 노트북 컴퓨터 개폐장치
EP2818759A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CN212509373U (zh) 行星齿轮减速箱
CN116291107A (zh) 一种手自一体可切换旋转执行器
CN211778772U (zh) 一种用于新能源汽车减速器的齿轮组
CN111043247A (zh) 一种新能源车用减速机齿轮组件
JP7076989B2 (ja) 車両用ゲートリフター
WO2017086305A1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CN218326031U (zh) 一种手自一体旋转执行器
CN214371241U (zh) 打滑机构以及冰箱
KR100651333B1 (ko) 노트북 컴퓨터 자동개폐장치
CN211820583U (zh) 直驱式离合装置
US8821339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010067302A (ko) 승강기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