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752A - 조작기 - Google Patents

조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752A
KR20180090752A KR1020180013187A KR20180013187A KR20180090752A KR 20180090752 A KR20180090752 A KR 20180090752A KR 1020180013187 A KR1020180013187 A KR 1020180013187A KR 20180013187 A KR20180013187 A KR 20180013187A KR 20180090752 A KR20180090752 A KR 20180090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nner gear
control member
rotation contro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3924B1 (ko
Inventor
도모후미 오하시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90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16K31/04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16K31/04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F16K31/04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with torque limi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1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specially adapted opera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35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for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2001/2881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two axially spaced central gears, i.e. ring or sun gear, engaged by at least one common orbital gear wherein one of the central gears is forming the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 유닛을 탑재한 전동식의 조작기의 동력 전달 기구를 구성하는 기어의 장수명화와 조작기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기(100)는, 모터(8)에 의한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태양 기어(2)와, 태양 기어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그 내주면에 톱니를 갖는 제1 내측 기어(3)와, 태양 기어와 제1 내측 기어 사이에 배치되고, 태양 기어와 제1 내측 기어와 맞물려 태양 기어 주위를 공전하면서 자전 가능하게 구성된 복수의 유성 기어(4)와, 복수의 유성 기어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 기구(6)와, 회전 기구에 연결된 출력축(7)과, 전압 인가에 따라 팽창하는 재료로 구성된 회전 제어 부재(5), 그리고 태양 기어, 제1 내측 기어, 복수의 유성 기어, 회전 기구, 및 회전 제어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하고, 회전 제어 부재는, 제1 내측 기어와 하우징 사이의 간극에 제1 내측 기어 및 하우징과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작기{ACTUATOR}
본 발명은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기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로터리식의 조절 밸브의 밸브축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기에 관한 것이다.
버터플라이 밸브 등의 로터리식의 조절 밸브를 조작하기 위한 전동식의 조작기(액추에이터)는, 구동용 모터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을 기어 기구를 통해 출력축에 전달함으로써, 출력축에 연결된 밸브축을 구동한다.
이러한 조작기는, 일반적으로, 정전 등에 의해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 조절 밸브를 폐쇄하는 긴급 차단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긴급 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동식의 조작기로서는, 상기 기어 기구와는 별도로 설치된 스프링 유닛에 의해 출력축을 강제적으로 회전시켜 조절 밸브를 폐쇄하는 스프링 리턴 타입의 조작기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전동식의 조작기를 구성하는 구동용 모터는, 디텐트 토크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조작기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 구동용 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기어 기구를, 스프링 유닛으로부터의 토크에 의해 출력축측으로부터 회전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래서, 일반적인 스프링 리턴 타입의 조작기는, 구동용 모터와 기어 기구의 연결을 절단하는 클러치 기구를 탑재하고 있다. 그러나, 클러치 기구에 의해 구동용 모터와의 연결을 절단한 상태에 있어서, 스프링 유닛으로부터의 토크에 의해 출력축을 구동하는 스프링 리턴 동작에서는, 구동용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출력축을 구동하는 모터 동작에 비해, 출력축의 회전 속도가 빠르다. 그 때문에, 리턴 동작에 의해 출력축의 회전이 정지되었을 때, 기어 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각 기어에는, 큰 충격(이하, 「리턴 충격」이라고 칭함)이 가해진다. 그래서, 종래의 스프링 리턴 타입의 조작기에서는, 기어가 받는 리턴 충격을 작게 하기 위해서, 전술한 클러치 기구에 더하여, 브레이크 기구를 설치하고 있었다(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08-17811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6-02368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조작기와 같이, 평기어를 늘어놓은 기어 기구나 유성 기어 기구로 이루어지는 동력 전달 기구에 의해 구동용 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출력축에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조작기에서는, 스프링 리턴 동작에 의해 출력축의 회전을 정지시켰을 때에, 매회 특정한 기어의 톱니가 리턴 충격을 받는다. 그 때문에, 가령 브레이크 기구를 탑재하여 리턴 충격을 작게 했다고 해도, 리턴 충격을 받는 기어의 톱니가 매회 동일하기 때문에, 그 특정한 톱니의 수명에 의해 조작기의 수명이 결정되어 버린다. 이 문제는, 조작기의 동력 전달 기구로서, 패러독스 유성 기어 기구를 채용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조작기와 같이 클러치 기구와 브레이크 기구를 탑재한 경우, 조작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조작기가 대형이 된다고 하는 과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 유닛을 탑재한 전동식의 조작기의 동력 전달 기구를 구성하는 기어의 장수명화와 조작기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기(100, 100A)는, 구동용 모터(8)와, 구동용 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태양 기어(2)와, 그 내주면에 톱니를 갖고, 태양 기어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 제1 내측 기어(3)와, 태양 기어와 제1 내측 기어 사이에 배치되고, 태양 기어와 제1 내측 기어와 맞물려 태양 기어 주위를 공전하면서 자전 가능하게 구성된 복수의 유성 기어(4)와, 복수의 유성 기어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 기구(6, 13)와, 회전 기구에 연결된 출력축(7)과, 전압 인가에 따라 팽창하는 재료로 구성된 회전 제어 부재(5)와, 태양 기어, 제1 내측 기어, 복수의 유성 기어, 회전 기구, 및 회전 제어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10)을 구비하고, 회전 제어 부재는, 제1 내측 기어와 하우징 사이의 간극에 제1 내측 기어 및 하우징과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기에 있어서, 회전 제어 부재는, 전압 인가에 따라 팽창하는 도전성 고분자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조작기에 있어서, 회전 기구는, 그 내주면에 유성 기어와 맞물리는 톱니를 갖고, 제1 내측 기어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내측 기어(6)를 포함해도 좋다.
상기 조작기에 있어서, 회전 기구는, 복수의 유성 기어를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복수의 유성 기어의 공전의 움직임을 출력축에 전달하는 캐리어(13)를 포함해도 좋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발명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도면 상의 참조 부호를, 괄호를 붙여 기재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것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 유닛을 탑재한 전동식의 조작기의 동력 전달 기구를 구성하는 기어의 장수명화와 조작기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조작기의 동력 전달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조작기의 동력 전달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조작기의 동력 전달 기구의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조작기(100)는, 예컨대, 플랜트 등에 있어서 유량의 프로세스 제어에 이용되는 버터플라이 밸브 등의 로터리식의 조절 밸브를 조작하는 전동식의 조작기(액추에이터)이다. 예컨대, 조작기(100)는, 외부에 설치된 포지셔너로부터 공급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밸브축을 조작함으로써, 조절 밸브의 밸브 개방도를 제어한다. 또한, 조작기(100)는, 전원 차단 시에, 스프링 유닛(9)으로부터의 토크에 의해 출력축을 구동하는 스프링 리턴 동작에 의해, 조절 밸브를 폐쇄하는 긴급 차단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기(100)는,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경우에는, 동력 전달부(1)를 구성하는 기어의 하나인 제1 내측 기어(3)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동력 전달부(1)를 패러독스 유성 기어 기구로서 기능시켜, 구동용 모터(8)로부터의 회전력을 구동 대상물(200)로서의 밸브축에 전달한다. 한편, 전원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조작기(100)는, 제1 내측 기어(3)의 회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스프링 유닛(9)으로부터의 입력 토크에 의해 상기 패러독스 유성 기어 기구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어를 일체로서 회전시켜 밸브축을 조작하여, 조절 밸브를 폐쇄한다.
이하, 조작기(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기(100)의 동력 전달 기구의 구조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조작기(100)를 구성하는 일부의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도시를 생략한다. 예컨대, 조작기(100)는, 동력 전달 기구 외에, 포지셔너로부터 공급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용 모터(8)의 회전을 제어하는 전자 회로부나 전원 유닛 등도 구비하고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의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기(100)는, 구동용 모터(8), 동력 전달부(1), 및 스프링 유닛(9)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용 모터(8)는, 조작기(100)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경우(통상 동작 시)에, 구동 대상물(200)로서의 밸브축을 조작하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부품이다. 구동용 모터(8)는, 전술한 전자 회로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회전이 제어되는 전동 모터이며, 예컨대, 브러시리스 모터이다.
동력 전달부(1)는, 구동용 모터(8)에 의한 회전력을 구동 대상물(200)로서의 밸브축에 전달함으로써, 조절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는 기능부이다.
스프링 유닛(9)은, 조작기(100)를 구성하는 구동용 모터(8)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에의 전원 공급이 정지된 경우에, 밸브축을 조작하여 조절 밸브를 폐쇄하는 기능부이다. 스프링 유닛(9)은, 예컨대,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 등의 스프링 부재를 구비한 조작기이다. 구체적으로, 스프링 유닛(9)은, 구동용 모터(8) 등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기간에 스프링 부재를 감아 올림으로써 에너지를 축적해 두고, 구동용 모터(8) 등에의 전원 공급이 정지되었을 때에, 스프링 부재에 축적된 에너지를 해방하여 후술하는 동력 전달부(1)의 출력축(7)을 구동함으로써, 조절 밸브를 폐쇄한다.
다음으로, 동력 전달부(1)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전달부(1)는, 태양 기어(2), 제1 내측 기어(3), 유성 기어(4), 회전 제어 부재(5), 회전 기구(6), 및 출력축(7)을 갖고 있다. 이들 부품은, 구동용 모터(8)와 함께, 하우징(10)에 수용되어 있다.
하우징(10)은, 조작기(100)의 구성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이며, 예컨대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상자부(11)와, 상자부(11)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12)로 구성되어 있다.
상자부(11)의 내부는, 수용하는 부품의 형상에 맞춰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부(11)에는, 높이가 상이한 지지면(11a, 11b)과 구멍(11c)이 형성되어 있다.
태양 기어(2)는, 구동용 모터(8)에 의한 회전력을 받아 회전(자전)하는 기어 부품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 기어(2)는, 일단이 구동용 모터(8)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내측 기어(3)는, 태양 기어(2)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그 내주면에 톱니를 갖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기어 부품이다. 구체적으로, 제1 내측 기어(3)는, 내측 기어부(32)와 지지부(31)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 기어부(32)는, 그 내주면에, 후술하는 복수의 유성 기어(4)와 맞물리는 톱니(32a)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기어부(32)는, 복수의 유성 기어(4)의 회전을 가이드한다. 지지부(31)는, 구동용 모터(8)를 지지하고, 상자부(11)의 지지면(11b)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내측 기어부(32)와 지지부(31)는, 예컨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유성 기어(4)는, 태양 기어(2)와 제1 내측 기어(3)와 맞물려 태양 기어(2) 주위를 공전하면서 자전 가능하게 구성된 기어 부품이다. 조작기(100)에서는, 유성 기어(4)가, 태양 기어(2)와 제1 내측 기어(3) 사이에 복수(예컨대, 3개) 배치된다. 도 1에서는, 일례로서, 태양 기어(2)와 제1 내측 기어(3) 사이에 3개의 유성 기어(4)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회전 기구(6)는, 복수의 유성 기어(4)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부품이다. 회전 기구(6)는, 그 내주면에 유성 기어(4)와 맞물리는 톱니를 갖고, 제1 내측 기어(3)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내측 기어이다. 이 제2 내측 기어는, 복수의 유성 기어(4)의 자전 및 공전의 움직임을 출력축(7)에 전달하는 가동 내측 기어로서 기능한다. 이하, 회전 기구(6)를 「제2 내측 기어(6)」라고도 칭한다.
구체적으로, 제2 내측 기어(6)는, 그 내주면에 복수의 유성 기어(4)와 맞물리는 톱니(61a)가 형성된 기어부(61)와, 복수의 유성 기어(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62)를 포함한다. 지지부(62)는, 그 일부가 상자부(11)의 구멍(11c)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 있어서, 상자부(11)의 지지면(11a)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62)에는, 구멍(6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62a)에는, 출력축(7)이 끼워 넣어져 있다.
출력축(7)은, 제2 내측 기어(6)의 회전력에 따라, 구동 대상물(200)로서의 조절 밸브의 밸브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부품이다. 구체적으로, 출력축(7)은, 일단이 제2 내측 기어(6)의 구멍(62a)에 끼워 넣어져 연결되고, 타단이 구동 대상물(200)로서의 밸브축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태양 기어(2), 제1 내측 기어(3), 복수의 유성 기어(4), 및 제2 내측 기어(6)는, 예컨대 플라스틱 등의 수지 재료(예컨대, 폴리아세탈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회전 제어 부재(5)는, 제1 내측 기어(3)의 회전 가능한 상태와 회전 불가능한 상태를 제어하는 부품이다. 회전 제어 부재(5)는, 전압 인가에 따라 팽창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회전 제어 부재(5)는, 전압 인가에 따라 팽창하는 도전성 고분자(도전성 폴리머)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전성 고분자로서는, 인공 근육 등에 이용되는 공지의 고분자를 예시할 수 있다.
회전 제어 부재(5)는, 제1 내측 기어(3)와 하우징(10) 사이의 간극에 제1 내측 기어(3) 및 하우징(10)과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제어 부재(5)는, 상자부(11)의 지지면(11b) 상에 있어서, 상자부(11)의 내벽(11d)과 제1 내측 기어(3)의 지지부(31)의 외주면(31a) 사이의 간극에 배치되고,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팽창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내벽(11d) 및 외주면(31a)에 접촉하고 있다.
한편, 도시는 하지 않으나, 조작기(100)에 있어서의 회전 제어 부재(5) 주위에는, 회전 제어 부재(5)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이나 배선 등이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조작기(100)의 동작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조작기(100)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기(100)에 전원이 공급된 경우, 회전 제어 부재(5)에 전압이 인가된다. 이에 의해, 회전 제어 부재(5)가 팽창하여, 제1 내측 기어(3)의 외주면(31a)과 회전 제어 부재(5) 사이의 마찰력, 및 하우징(10)의 상자부(11)의 내벽(11d)과 회전 제어 부재(5)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한다. 이 마찰력의 증가에 의해, 제1 내측 기어(3)는, 회전 제어 부재(5)를 통해 하우징(10)에 고정되기 때문에, 회전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고정 내측 기어로서 기능한다. 즉, 태양 기어(2), 복수의 유성 기어(4), 제1 내측 기어(3)(고정 내측 기어), 및 제2 내측 기어(가동 내측 기어)(6)에 의해, 하나의 패러독스 유성 기어 기구(감속기)가 실현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구동용 모터(8)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태양 기어(2)에 전달되어, 태양 기어(2)가 회전한다. 태양 기어(2)의 회전력에 의해, 태양 기어(2)와 맞물리는 복수의 유성 기어(4)는, 고정 내측 기어로서의 제1 내측 기어(3)의 내측 기어부(32)와 맞물리면서, 내측 기어부(32)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자전 및 공전)한다. 이 복수의 유성 기어(4)의 회전력에 의해, 이들 유성 기어(4)와 맞물려 있는 가동 내측 기어로서의 제2 내측 기어(6)가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2 내측 기어(6)와 연결된 출력축(7)이 회전한다. 이 출력축(7)에 밸브축을 연결함으로써, 구동용 모터(8)의 회전력을 크게 감속시킨 회전력에 의해 밸브축을 회전시켜, 조절 밸브의 밸브 개방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조작기(100)에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구동용 모터(8)에의 전원 공급이 정지되어, 태양 기어(2)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회전 제어 부재(5)에의 전압 공급이 정지되어, 회전 제어 부재(5)가 수축한다. 이때, 회전 제어 부재(5)는, 제1 내측 기어(3)의 외주면(31a)과 하우징(10)의 상자부(11)의 내벽(11d)에 각각 접한 상태이지만, 제1 내측 기어(3)의 외주면(31a)과 회전 제어 부재(5) 사이의 마찰력, 및 하우징(10)의 상자부(11)의 내벽(11d)과 회전 제어 부재(5) 사이의 마찰력은, 회전 제어 부재(5)에 전압이 인가되고 있을 때보다 저하된다. 이에 의해, 제1 내측 기어(3)는,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스프링 유닛(9)의 스프링 부재에 축적되어 있던 에너지가 해방되어, 출력축(7)에 대해 스프링 유닛(9)으로부터 토크가 입력되면, 출력축(7)으로부터, 제2 내측 기어(6) 및 복수의 유성 기어(4)를 통해 제1 내측 기어(3) 및 태양 기어(2)에 회전력이 가해진다.
이때, 태양 기어(2)는, 구동용 모터(8)의 디텐트 토크에 의해, 스프링 유닛(9)으로부터의 회전력을 캔슬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제1 내측 기어(3)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내측 기어(3)와 회전 제어 부재(5) 사이의 마찰력보다 큰 입력 토크가, 스프링 유닛(9)으로부터 출력축(7), 제2 내측 기어(6), 및 복수의 유성 기어(4)를 통해 제1 내측 기어(3)에 부여된 경우에는, 제2 내측 기어(6), 복수의 유성 기어(4), 및 제1 내측 기어(3)가 일체가 되어 태양 기어(2) 주위를 회전한다. 즉, 제1 내측 기어(3)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됨으로써, 태양 기어(2), 복수의 유성 기어(4), 제1 내측 기어(3), 및 제2 내측 기어(6)에 의해 구성되어 있던 패러독스 유성 기어 기구의 셀프 로크 기능이 해제되어, 스프링 유닛(9)에 의한 출력축(7)(밸브축)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한편, 구동용 모터(8)의 디텐트 토크가 낮은 경우, 태양 기어(2)는 회전하고, 이때, 유성 기어(4)는 자전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전원 차단 시에는, 회전 제어 부재(5)가 수축함으로써, 회전 제어 부재(5)와 제1 내측 기어(3) 사이의 마찰력이 저하되어, 제1 내측 기어(3)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스프링 유닛(9)으로부터의 입력 토크에 의해, 제2 내측 기어(6), 복수의 유성 기어(4), 및 제1 내측 기어(3)가 일체가 되어 태양 기어(2) 주위를 회전하여, 조절 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조작기(100)에 있어서, 스프링 리턴 동작에 의해 조절 밸브를 폐쇄했을 때, 종래의 조작기의 기어 기구와 마찬가지로, 제2 내측 기어(6), 복수의 유성 기어(4), 및 제1 내측 기어(3)는 리턴 충격을 받는다. 그러나, 조작기(100)에 있어서는, 스프링 리턴 동작 시에, 제2 내측 기어(6), 복수의 유성 기어(4), 및 제1 내측 기어(3)가 전원 차단 시의 맞물림 상태인 채로 일체가 되어 태양 기어(2) 주위를 공전한다. 그 때문에, 리턴 충격을 받는 각 기어의 톱니의 조합은, 전원 차단 시의 맞물림에 의존한다. 전원 차단 시의 각 기어의 조합은, 매회 동일할 가능성은 낮다. 따라서, 조작기(100)에 의하면, 종래의 조작기의 기어 기구와 같이 매회 특정한 톱니가 리턴 충격을 받는 것이 아니라, 리턴 충격을 받는 톱니를 매회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실시형태 1에 따른 조작기(100)는, 종래의 스프링 리턴 타입의 조작기와 같이 구동용 모터(8)와 기어 기구의 연결을 절단하는 구조가 아니라, 전압 인가의 유무에 의해 팽창·수축하는 회전 제어 부재(5)에 의해, 패러독스 유성 기어 기구의 고정 내측 기어로서 기능하는 제1 내측 기어(3)의 회전 불가능한 상태와 회전 가능한 상태를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 차단 시의 스프링 리턴 동작에 있어서는, 제2 내측 기어(6), 복수의 유성 기어(4), 및 제1 내측 기어(3)가 전원 차단 시의 맞물림 상태인 채로 일체가 되어 태양 기어(2)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리턴 충격을 받는 각 기어의 톱니의 조합을 매회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스프링 리턴 동작 시에 매회 특정한 톱니가 리턴 충격을 받는 종래의 스프링 유닛을 탑재한 전동식의 조작기에 비해, 기어 기구를 구성하는 기어의 장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회전 제어 부재(5)는,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도, 제1 내측 기어(3)의 외주면(31a)과 하우징(10)의 상자부(11)의 내벽(11d)에 각각 접하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 리턴 동작 시에 브레이크 기구로서 기능하여, 리턴 충격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패러독스 유성 기어 기구는, 출력측으로부터의 입력 토크에 의한 회전을 저지시키는 셀프 로크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 리턴 타입의 조작기의 동력 전달 기구로서 적용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동력 전달부(1)에 의하면, 회전 제어 부재(5)에 의해, 패러독스 유성 기어 기구의 고정 내측 기어로서 기능하는 제1 내측 기어(3)를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부터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전원 차단 시에 패러독스 유성 기어 기구의 셀프 로크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동력 전달부(1)를 스프링 리턴 타입의 조작기의 동력 전달 기구로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종래보다, 소형이며 또한 저렴한 스프링 리턴 타입의 조작기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조작기(100)에 의하면, 스프링 리턴 타입의 종래의 조작기에 있어서의 클러치 기구 및 브레이크 기구를, 회전 제어 부재(5)에 의해 실현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조작기에 비해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2≫
도 2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조작기의 동력 전달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2에 따른 조작기(100A)는, 동력 전달부로서 유성 기어 기구를 갖는 점에서, 실시형태 1에 따른 조작기(100)와 상이하고, 그 외의 점에서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조작기(100)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조작기(100A)의 동력 전달부(1A)는, 회전 기구로서의 제2 내측 기어(6) 대신에, 복수의 유성 기어(4)를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복수의 유성 기어(4)의 공전의 움직임을 출력축(7)에 전달하는 캐리어(13)를 갖고 있다.
캐리어(13)는, 그 일부가 상자부(11)의 구멍(11c)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 있어서, 상자부(11)의 지지면(11a)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캐리어(13)는, 복수의 유성 기어(4)를 통해, 제1 내측 기어(3)와 대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캐리어(13)는, 제1 내측 기어(3)와 함께, 복수의 유성 기어(4)를 회전 가능하게 상하 방향으로부터 사이에 끼워 유지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캐리어(13)는, 캐리어(13)의 지지면(13a)에 형성된 홈(13b)에 각 유성 기어(4)의 일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그 지지면(13a) 상에 복수의 유성 기어(4)를 회전(공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캐리어(13)에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제2 내측 기어(6)와 마찬가지로, 구멍(13c)이 형성되고, 그 구멍(13c)에 출력축(7)이 끼워 넣어져 있다.
실시형태 2에 따른 조작기(100A)에 있어서, 조작기(100A)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경우에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조작기(100)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회전 제어 부재(5)의 팽창에 의해, 제1 내측 기어(3)가 하우징(10)에 고정되어 회전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구동용 모터(8)의 회전력이 태양 기어(2)에 가해지면, 태양 기어(2)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유성 기어(4)가, 고정된 제1 내측 기어(3)의 내주면을 따라 태양 기어(2) 주위를 공전한다. 캐리어(13)는, 이 유성 기어(4)의 회전력을 받아 태양 기어(2)와 동축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캐리어(13)에 연결된 출력축(7)이 회전하여, 밸브축을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조작기(100A)에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조작기(100)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제1 내측 기어(3)와 회전 제어 부재(5) 사이의 마찰력이 저하되어, 제1 내측 기어(3)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1 내측 기어(3)와 회전 제어 부재(5) 사이의 마찰력보다 큰 토크가, 스프링 유닛(9)으로부터 출력축(7), 제2 내측 기어(6), 및 복수의 유성 기어(4)를 통해 제1 내측 기어(3)에 부여된 경우에는, 캐리어(13), 복수의 유성 기어(4), 및 제1 내측 기어(3)는, 일체가 되어 태양 기어(2) 주위를 회전한다. 이에 의해, 출력축(7)이 회전하여, 조절 밸브가 폐쇄된다.
이상, 실시형태 2에 따른 조작기(100A)에 의하면, 구동용 모터의 동력을 밸브축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로서, 패러독스 유성 기어 기구 대신에 유성 기어 기구를 채용한 경우라도, 실시형태 1에 따른 조작기(100)와 마찬가지로, 그 유성 기어 기구를 구성하는 기어의 장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의 확장≫
이상, 본 발명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실시형태 1, 2에서는, 구동용 모터(8)를 태양 기어(2)에 직접 연결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구동용 모터(8)와 태양 기어(2)를 기어 기구를 통해 연결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작기(100, 100A)를, 조절 밸브의 밸브축을 조작하는 조작기로서 적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조작기(100 및 100A)를, 댐퍼의 댐퍼 샤프트를 조작하는 조작기로서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태양 기어(2), 제1 내측 기어(3), 복수의 유성 기어(4), 및 제2 내측 기어(6)의 각 부품이 수지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전술한 각 부품은, 금속 재료(예컨대, 철강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작기(100, 100A)를, 스프링 리턴 타입의 조작기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논스프링 리턴 타입의 조작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조작기(100)를 논스프링 리턴 타입의 조작기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조작기(100)에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수동에 의해, 패러독스 유성 기어 기구(또는 유성 기어 기구)를 구성하는 기어군 일체로 회전시킴으로써, 내측 기어와 유성 기어의 맞물림 위치를 정기적으로 변경한다. 이에 의하면, 예컨대 조절 밸브의 완전 폐쇄 시에 큰 부하가 가해지는 톱니의 조합을 정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기어의 장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00, 100A: 조작기 1, 1A: 동력 전달부
2: 태양 기어 3: 제1 내측 기어
4: 유성 기어 5: 회전 제어 부재
6: 제2 내측 기어(회전 기구) 7: 출력축
8: 구동용 모터 9: 스프링 유닛
10: 하우징 11: 상자부
11a, 11b: 지지면 11c: 구멍
11d: 내벽 12: 덮개부
13: 캐리어(회전 기구) 13a: 지지면
13b: 홈 13c: 구멍
31: 지지부 32: 내측 기어부
31a: 지지부(31)의 외주면 32a, 61a: 톱니
61: 기어부 62: 지지부
62a: 구멍 200: 구동 대상물

Claims (4)

  1. 구동용 모터와,
    상기 구동용 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태양 기어와,
    그 내주면에 톱니를 갖고, 상기 태양 기어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 제1 내측 기어와,
    상기 태양 기어와 상기 제1 내측 기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태양 기어와 상기 제1 내측 기어와 맞물려 상기 태양 기어 주위를 공전하면서 자전 가능하게 구성된 복수의 유성 기어와,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 기구와,
    상기 회전 기구에 연결된 출력축과,
    전압 인가에 따라 팽창하는 재료로 구성된 회전 제어 부재, 그리고
    상기 태양 기어, 상기 제1 내측 기어,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 상기 회전 기구, 및 상기 회전 제어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제어 부재는, 상기 제1 내측 기어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간극에 상기 제1 내측 기어 및 상기 하우징과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 부재는, 전압 인가에 따라 팽창하는 도전성 고분자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구는, 그 내주면에 상기 유성 기어와 맞물리는 톱니를 갖고, 상기 제1 내측 기어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내측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구는,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를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의 공전의 움직임을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기.
KR1020180013187A 2017-02-03 2018-02-02 조작기 KR102073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18447 2017-02-03
JP2017018447A JP6758212B2 (ja) 2017-02-03 2017-02-03 操作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752A true KR20180090752A (ko) 2018-08-13
KR102073924B1 KR102073924B1 (ko) 2020-02-06

Family

ID=63037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187A KR102073924B1 (ko) 2017-02-03 2018-02-02 조작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02211B2 (ko)
JP (1) JP6758212B2 (ko)
KR (1) KR102073924B1 (ko)
CN (1) CN1083866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53981B2 (en) 2013-01-21 2016-05-31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er
JP2020148216A (ja) * 2019-03-11 2020-09-17 多摩川精機株式会社 不思議遊星歯車減速機、そのバックドライブ構造、バックドライブ方法、およびロボット
JP7360932B2 (ja) * 2019-12-25 2023-10-13 東京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可変抵抗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8119A (ja) 1994-08-17 1996-07-12 Johnson Service Co ばね復帰アクチュエータ
JP2005083466A (ja) * 2003-09-08 2005-03-31 Honda Motor Co Ltd 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クラッチ装置
KR200450505Y1 (ko) * 2009-02-20 2010-10-07 21세기기업 주식회사 감속기
JP2016023684A (ja) 2014-07-17 2016-02-08 株式会社カワデン 遮断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627B1 (ko) * 1994-07-15 1997-01-16 대우전자 주식회사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밸브 및 이 밸브를 채용한 앤티-로크 브레이크 시스템(abs)
US5518462A (en) * 1994-08-12 1996-05-21 Jordan Controls, Inc. Spring return electric actuator
GB2414283A (en) * 2004-05-06 2005-11-23 Dyson Ltd A slip responsive clutch in a vacuum cleaner
US10250101B2 (en) * 2006-06-21 2019-04-02 Northeastern University Gear stabilization techniques
JP5611558B2 (ja) * 2008-11-04 2014-10-22 株式会社不二工機 多方切換弁
CN201425005Y (zh) * 2009-04-09 2010-03-17 杭州前进齿轮箱集团股份有限公司 风电增速箱
CN102092456B (zh) * 2010-12-27 2013-07-17 上海鹄展大丰电动自行车制造有限公司 电动车辆自动换挡变速机构
US9840250B2 (en) * 2013-02-08 2017-12-1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drive apparatus
JP2015080286A (ja) * 2013-10-15 2015-04-23 ソニー株式会社 駆動装置および撮像装置
US10648368B2 (en) * 2017-03-29 2020-05-12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Drive assembly for a gas turbine eng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8119A (ja) 1994-08-17 1996-07-12 Johnson Service Co ばね復帰アクチュエータ
JP2005083466A (ja) * 2003-09-08 2005-03-31 Honda Motor Co Ltd 高分子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クラッチ装置
KR200450505Y1 (ko) * 2009-02-20 2010-10-07 21세기기업 주식회사 감속기
JP2016023684A (ja) 2014-07-17 2016-02-08 株式会社カワデン 遮断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86601B (zh) 2019-08-09
KR102073924B1 (ko) 2020-02-06
JP2018126025A (ja) 2018-08-09
CN108386601A (zh) 2018-08-10
US10302211B2 (en) 2019-05-28
US20180224020A1 (en) 2018-08-09
JP6758212B2 (ja)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5375B2 (en) Regulating valve with planetary gear transmission
JP4817671B2 (ja) 減速装置付電動弁
US10584800B2 (en) Regulating valve with planetary gear transmission
EP2499411B1 (en) Electric actuators having internal load apparatus
KR20180090752A (ko) 조작기
US10024449B2 (en) Planetary gear torque limiting structure for a regulating valve
EP3516263B1 (en) Actuator for a regulator pilot valve
JP7172823B2 (ja) 回転式アクチュエータ
JP2008032075A (ja) トルク自動切替装置
KR102001540B1 (ko) 다기능 감속장치
KR20180090755A (ko) 조작기
JP4229765B2 (ja) 風車ブレードのピッチ角制御装置
TWI624591B (zh) Wind power plant
JP4986762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7140038B2 (ja) 回転式アクチュエータ
JP6910065B2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流量制御装置
WO2017086305A1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US10006562B2 (en) Regulating valve with elastic modulus planetary gear transmission
KR20230123078A (ko) 고정 기능이 내장된 고비율 감속기
JP2023131138A (ja) ロータリー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