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475A - 선박의 해치 커버 상에서 컨테이너의 이동성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의 해치 커버 상에서 컨테이너의 이동성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475A
KR20230155475A KR1020237032443A KR20237032443A KR20230155475A KR 20230155475 A KR20230155475 A KR 20230155475A KR 1020237032443 A KR1020237032443 A KR 1020237032443A KR 20237032443 A KR20237032443 A KR 20237032443A KR 20230155475 A KR20230155475 A KR 20230155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uide
containers
vessel
h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2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울리히 말초우
Original Assignee
울리히 말초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리히 말초우 filed Critical 울리히 말초우
Publication of KR20230155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47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해치 커버 상에서 컨테이너의 이동성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컨테이너는 고정되어 있다. 장치의 구조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컨테이너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영역과 횡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컨테이너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요소를 모두 제공한다. 가이드 요소는 장치의 전체 높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된다.

Description

선박의 해치 커버 상에서 컨테이너의 이동성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본 발명은 선박의 해치 커버 상에서 컨테이너의 이동성(mobility)을 제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선박의 해치 커버 상에서 컨테이너의 이동성을 제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선박의 해치 커버 상에서 컨테이너의 이동성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를 갖춘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용어 "선박"은 항상 "컨테이너 선박(container ship)"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컨테이너가 선박으로 운송될 때,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부는 종종 선박의 갑판에 배치되고,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부는 선창을 닫는 해치 커버에 배치된다. 컨테이너는 고정 요소를 사용하여 미끄러지거나 손실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코너 결합부(corner fitting) 영역에서 컨테이너에 연결되는 특수 클램핑 및 연결 요소가 종종 사용된다.
운송 중에, 선박 내부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해치 커버 사이에 선박의 프레임 형태의 요소를 배열하는 것이 WO 96/25325 A1에 이미 알려져 있다. 두 개의 프레임 형태의 요소 사이에 배열된 컨테이너는 레일 형태의 연결 요소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영향을 받는다. 레일 형태의 연결 요소는 프레임 형태의 요소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다. 특히, 프레임 형태의 요소는 위치 지정이 가능한 고정 요소를 사용하여 해치 커버의 개폐를 지원한다.
해치 커버를 열고 닫을 수 있게 하는 다른 가이드 장치가 EP 0182728, DE 3735 957 A1 및 DE 3011 542 A1에 설명되어 있다. 이 경우, 해치 커버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지원하고 해치 커버를 닫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유지 및 고정 요소의 이동성을 제공하게 된다.
크고 넓은 화물선의 갑판에서, 잘 알려져 있는 컨테이너의 지지 및 고정은 가볍거나 약한 바다에서는 그 가치가 입증되었다. 그러나, 거친 바다에서 선박의 선체가 불규칙하고 갑작스럽게 움직일 때에는, 컨테이너와 그 고정 요소들에는 상당한 힘이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컨테이너는 점점 더 헐거워져 배 밖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컨테이너 손실은 위험 물질이 컨테이너에 담겨 운송되는 경우에 특히 문제가 된다. 경제적 관점에서 볼 때, 컨테이너의 손실은 항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바다에 떠다니는 손실된 컨테이너 역시 해상 운송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
공지된 장치의 사용에 따른 또 다른 문제점은 이러한 장치가 종종 해치 커버를 들어 올리고 배치하는 것을 방해한다는 점이다. 적절한 잠금 또는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해치 코밍(hatch coaming)에 해치 커버를 고정하는 방법이 이미 알려져 있지만, 고정 장치가 느슨해진 후에 해치 커버를 들어 올리고 배치되는 것이 방해를 받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해치 커버에 컨테이너를 배열할 때 안전성이 증가되도록 앞에서 언급한 유형의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선박의 해치 커버 상에서 컨테이너를 운송할 때 안전성이 증가되도록 앞에서 언급한 유형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앞에서 언급한 유형의 장치를 하나 이상 사용하여 선박을 구성함으로써, 선박의 적어도 하나의 해치 커버에 컨테이너를 배열할 때 안전성이 향상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아래에 설명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면에서:
도 1은 컨테이너 선박 갑판의 셀 프레임워크의 사시도로서, 탈착식 해치 커버가 2개의 셀 프레임워크 사이에 배치되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셀 프레임워크의 측면도,
도 3은 베이스 높이가 증가된 도 2와 유사한 셀 프레임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피벗회전 가능한 플랩 형태의 요소를 추가로 사용하는 도 3에 따른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부분적으로 격자 구조로 설계된 도 4에 따른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언급되는 모든 기술적 특징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서로 완전하거나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셀 프레임워크(cell framework)는 각각 컨테이너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쌍을 이루는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컨테이너는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셀 프레임워크는 일반적으로 해치 커버에 인접하게 배열되는데, 선박의 길이 방향에서 한 셀 프레임워크는 해치 커버 앞에 배열되고 또 다른 셀 프레임워크는 해치 커버 뒤에 배열된다. 셀 프레임워크는 일반적으로 용접을 통해 선박 갑판에 연결된다.
셀 프레임워크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가이드 레일의 하부 영역은 해치 커버의 가장 낮은 컨테이너 층의 상부 코너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다. 해치 커버의 제2 컨테이너 층에서, 컨테이너는 일반적으로 전체 높이를 따라 측방향으로 안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는 제2 층으로부터 가이드 레일을 사용하여 해치 커버 위에서만 안내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해치 커버의 제2 층의 상부 코너로부터이다. 컨테이너의 바닥층이 통상적인 패스너를 사용하여 해치 커버에 고정되므로 이는 대부분의 용도에 충분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 프레임워크의 가이드 레일은 선박 내부에 배열된 또 다른 셀 프레임워크와 정렬된다.
선박의 갑판에 배치된 셀 프레임워크의 베이스가 리세스를 형성하며, 해치 커버는 들어 올려지고 수평 방향으로 측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를 통해 해치 커버를 측방향으로 배열하고 인접한 해치 커버의 가이드 레일 아래에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 프레임워크는 오직 한 쪽에만 가이드 레일을 갖는다. 이러한 셀 프레임워크는 선박의 선수 또는 선미 근처의 배열에 특히 유리하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컨테이너를 고정하기 위한 종래의 래싱 하네스(lashing harness)에 대한 고정 영역이 셀 구조의 상부 영역에 배열될 수 있다. 이는 가이드 레일의 상부 단부 위의 높이 범위에 추가 컨테이너를 배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선박(2)의 갑판(1)의 사시도로서, 해치 커버(4)는 갑판(1)의 영역에 배열되고, 선박 해치(3)의 일부로서 선박(2) 내부의 화물 공간(16)을 닫는다. 화물창(16)의 갑판측 개구로서 선박의 해치(3)는 일반적으로 해치 커버(4)가 안착되는 에지(5)로 둘러싸여 있다.
각각의 해치 커버(4)에는 복수 개의 컨테이너(6)가 적층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컨테이너(6)는 서로 옆에 나란하게 그리고 서로 상하로 배열된다.
선박(2)의 종방향(7)으로 컨테이너(6)의 이동성을 제한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 프레임워크를 형성하는 벽 요소(8)가 갑판(1)에 배열된다. 벽 요소(8)는 갑판(1)을 향하는 연장 영역에서 베이스(9)를 갖는다. 벽 요소(8)의 가이드 영역(10)이 베이스(9) 위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벽 요소(8)를 사용하는 대신, 레일을 특히 각도 프로파일(angle profile)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벽 요소(8)는 횡방향(11)으로 연장되는 접촉 영역(12)을 갖는다. 또한, 벽 요소(8)에는 횡방향(11)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요소(13)가 제공된다. 가이드 요소(13)는 벽 요소(8)의 전체 높이(14)의 적어도 일부로 연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요소(13)는 횡방향(11)에서 인접한 컨테이너(6)의 이동성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요소(13)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컨테이너(6)가 안착될 수 있는 벽 요소(8)의 접촉 영역(12)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돌출되는 프로파일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이드 요소(13)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프로파일 또는 T-프로파일로 구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로서 구성되는데, 한쪽 측면은 벽 요소(8)의 접촉 영역(12)에 대해 안착되고 프로파일의 다른 부분은 접촉 영역(12)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돌출된다.
벽 요소(8)는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6)가 가이드 요소(1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횡방향(11)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행한 가이드 요소(13)를 갖는다. 가이드 요소(13) 사이의 거리는 컨테이너(6)의 폭보다 약간 더 크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벽 요소(8)는 한 컨테이너(6)가 인접한 가이드 요소(13) 사이에서 횡방향(11)으로 위치될 수 있는 복수의 가이드 요소(13)를 가지며, 여러 개의 인접한 컨테이너(6개) 열을 고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베이스(9)는 갑판(1)에 용접된다.
베이스(9) 및/또는 가이드 영역(10)는 강철로 구성된다.
벽 요소(8)는 구조 중량을 줄이기 위해 공동(15)을 갖는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15)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요소(13)는 접촉 영역(12) 위로 올라가는 돌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철 쉬트로 제조된 디자인을 고려한다. 그러나, 다른 적합한 프로파일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이드 영역(10)의 벽 요소(8)는 함께 용접된 강철 쉬트로 구성된다. 가이드 요소(13) 사이의 수평 거리는 일반적으로 컨테이너(6)의 폭에 상응한다.
수직 방향에서, 베이스(9)는 대략 림(5)의 높이에 해치 커버(4)의 두 높이를 더한 것과 약간의 추가 여유 공간에 상응하는 전체 높이를 갖는다. 이에 따라, 해치 커버(4)를 에지(5)로부터 들어올려 횡방향(11)으로 배치할 수 있다. 그러면, 해치 커버(4)는 예를 들어 적재 공간(16)을 개방하기 위해 인접한 해치 커버(4)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여유 공간은, 해치 덮개를 열고 닫고 이동하는 데 사용되는 수단의 제어 정확도에 관해, 가능한 최대한 충돌을 피할 수 있도록 충분한 추가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의 추가 높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기존 수단의 적절한 여유 공간은 약 5cm 내지 100cm 사이,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5cm 내지 50cm 사이이다.
도 2는 해치 커버(4)가 있는 선박(2)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컨테이너(6)는 선박(2)의 선창(16)에 배열된다. 두 해치 커버(4) 사이에 벽 요소(8)가 배열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선박(2)의 종방향(7)에서 벽 요소(8) 사이의 거리는 대략 하나 또는 두 개의 컨테이너(6)의 길이에 상응한다.
구조 중량을 줄이기 위해, 벽 요소(8)에는 측방향 외부 영역에 리세스(17)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벽 요소(8)는 셀 프레임워크로도 지칭될 수 있다. 해치(3)를 둘러싸는 에지(5)는 해치 코밍(hatch coaming)이라고도 지칭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벽 요소(8)는 종방향(7)에 대해 횡방향으로 선박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개의 벽 요소(8)를 선박의 폭을 가로질러 서로 옆에 배열하거나 여러 세그먼트로부터 벽 요소(8)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걸어 다닐 수 있을 만큼 크게 리세스(17)의 치수를 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컨테이너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할 수 있다. 컨테이너 층의 일부 또는 모두에 대한 접근이 구현되도록 리세스를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리세스(17)는 베이스(9) 영역에도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리세스(17)는 베이스(9) 영역에서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벽 요소(8)의 한 추가 변형 실시예는, 장비 캐리어(equipment carrier)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소화 장비를 장착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표시된 벽 요소(8)의 박스 구조 대신, 적절한 프로파일을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되는 구성요소는 컨테이너(6)가 종방향(7)에서 접촉 영역(12)과 거의 접하도록 치수가 결정된다. 컨테이너(6)의 단부면과 접촉 영역(12) 사이의 거리는 일반적으로 1 내지 4cm 범위에서 구현된다. 상응하는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3.8cm이다.
횡방향(11)에서, 서를 향하는 가이드 요소(13)의 측표면 사이의 거리는 컨테이너(6)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6)의 측표면과 가이드 요소(13) 사이의 거리는 1 내지 3cm 범위에서 구현된다. 이러한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2.5cm이다. 상기 거리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재 공간에서의 대응 거리와 동일하게 구현된다. 가이드 레일의 쉬트 금속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mm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폭이 대략 2.438 m 또는 2.591 m인 외부 치수를 갖는 표준 컨테이너, 예를 들어 20 피트 또는 40 피트 크기 및 특수 크기, 가령, 45 피트, 48 피트 또는 53 피트 크기의 해상 화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 컨테이너의 이동성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일반적으로 하기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모든 공정 기능은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특히, 용도에 따라 개별 공정 특징을 생략하거나 변형할 수돈 있다.
선박(2)을 제작하거나 개조할 때, 벽 요소(8)는 일반적으로 갑판(1)에 용접된다. 따라서, 벽 요소(8)와 선박 구조(2)는 견고한 유닛을 형성하다.
선박(2)에 컨테이너(6)를 적재할 때, 컨테이너(6)는 일반적으로 크레인을 사용하여 내려가고 컨테이너(6)가 접촉 영역(12)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단부면을 갖도록 두 셀 프레임워크(8) 사이에 위치된다. 컨테이너(6)는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요소(13) 사이에서 하강된다. 가이드 요소(13)는 컨테이너(6)의 측방향 이동성 및/또는 종방향 이동성을 제한하거나 컨테이너(6)를 고정한다.
적재 동안 복수의 컨테이너(6)가 서로 옆에 배열된다. 또한, 복수의 컨테이너(6)는 일반적으로 서로 상하로 배열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6)는 해치 커버(4) 상에 위치된다.
컨테이너(6)는 위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의 반대 순서로 언로딩 된다.
선박의 해치 커버 상의 컨테이너의 이동성을 제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선박의 해치 커버 상의 컨테이너의 이동성을 제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사용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구성의 한 변형예를 도시한다. 특히, 베이스(9)에는 증가된 베이스 높이(18)가 제공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베이스 높이(18)는 바람직하게는 해치 커버(4)의 높이에 추가하여 해치 코밍(5)의 전체 높이에 두 개의 컨테이너(6)의 전체 높이에서 코너 결합부(corner fitting)의 높이를 뺀 값을 더한 높이이다. 베이스 높이(18)는 가이드 요소(13)의 하부면과 갑판(1) 사이에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폭(19)은 베이스 높이(18)의 대략 1/4이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벗회전 가능한 가이드 요소(20)가 베이스(9) 상에 배열된다. 가이드 요소(2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조인트(21)를 통해 베이스(9)에 연결된다.
가이드 요소(20)의 피벗축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요소(20) 각각에는 적어도 2개의 스위블 조인트(21)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요소(20)는 적절한 잠금 장치를 사용하여 횡방향(11)에 대략 수직 위치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셀 프레임워크는 측방향 및 종방향 모두에서 상부 코너 결합부 영역에 컨테이너(6)의 제2 층만이 고정된다. 수직 방향에서 컨테이너(6)의 하부층은 기존의 고정 요소를 사용하여 해치 커버(4)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 따른 실시예의 특별한 이점은, 해치 커버(4)가 개방되고 컨테이너(6)가 선창(16)으로 하강될 때, 컨테이너(6)가 갑판 아래는 제외하고 컨테이너(6)를 위한 가이드 장치의 삽입 깔때기(introduction funnel)에 대해 이격되어 배열된다는(offset) 점이다. 이는 선박(2)이 움직일 때에도 해당 컨테이너(6)가 삽입 깔때기에 정확하게 닿는 것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방출 시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동일한 이점이 달성된다.
해치 커버(4)가 개방되면, 가이드 요소(20)는 갑판 위의 컨테이너(6)용 가이드 장치와 갑판 아래 가이드 장치 사이의 연결을 구현한다. 가이드 요소(20)는 갑판 아래와 갑판 위에 배열된 가이드 장치와 일직선으로 위치된다.
가이드 요소(20)의 디자인 및 배열로 인해, 가이드 요소(20) 자체는 어떠한 힘도 흡수하지 않고 컨테이너(6)가 환적될 때(trans-shipped) 가이드 요소(20)를 안내하는 역할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이드 요소(20)는 해치 커버(4)가 개방된 후에 접혀지고, 해치 커버(4)가 닫히기 전에 다시 접혀진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22)가 베이스(9)에 대한 가이드 요소(13)의 하부 에지의 전이 영역(transition area)에 배열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요소(13)의 하부 에지로부터 베이스(9)까지 계단 형태의 전이부(step-like transition)가 형성된다.
돌출부(22)는 충돌 방지 역할을 하며 해치 커버(4)가 들어올려질 때 해치 커버(4)와 가이드 요소(13)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다.
도 5의 실시예에 따르면, 벽 요소(8)의 가이드 영역(10)은 수직으로 배열된 포스트(23)와 수평 지지대(24)로 이루어진 격자 구조에 의해 구현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요소(13)는 각각 포스트(23) 상에 배열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내부 포스트는 가이드 요소(13)의 횡방향(11)에서 포스트의 중심에서 중심까지 이격되어 배열된다.
격자 구조를 사용하면, 중량과 재료 측면에서 절감이 가능하며 건설 및 지속적인 운영 모두에서 경제적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시된 가이드 영역(10)의 격자 구조는 포스트(24)를 서로 연결하는 외주방향 지지대(24)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2개로 분할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직 분할이 없거나 2개 이상의 부분을 갖는 실시예도 가능하며 응용 분야에 따라 의미가 있다.
가이드 영역(10)에 있는 벽 요소(8)의 지지 영역(12)은 지지대(24)와 포스트(23)의 단부면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지지대(24) 및/또는 포스트(23)의 단부면에 배열된 부분들에 의해 형성된다. 이렇게 가이드 요소(13)가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격자 구조는 벽 요소(8)의 베이스(9)에 대해서만 또는 추가적으로 의도된다.
격자 구조는 접이식 가이드 요소(20)의 사용과 무관하게 구현될 수 있다.
추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요소(13)에는 두 가이드 요소(13) 사이에 컨테이너(6)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부 단부 영역 및/또는 하부 단부 영역에 깔때기 형태의 경로가 제공된다.
추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요소(13)를 상부 단부 및/또는 하부 단부 영역에서 서로 상이한 높이로 배열하는 것이 고려된다. 컨테이너(6)를 위치시킬 때, 크레인 운전자는 처음에 횡방향(11)에서 보다 위쪽으로 돌출된 가이드 요소(13)의 단부에 대해 컨테이너(6)를 이동시켜 연장된 영역에서 컨테이너(6)를 가이드처럼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선박(2)의 해치 커버(4) 상에서 컨테이너(6)의 이동을 제한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횡방향(11)으로 연장되는 컨테이너(6)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12), 및 횡방향(11)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컨테이너(6)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요소(13)를 갖는 구조를 포함하며, 가이드 요소(13)는 상기 장치의 전체 높이(14)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는 좁은 베이스(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는 벽 요소(8)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벽 요소(8)는 적어도 하나의 공동(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벽 요소(8)는 베이스(9) 위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영역(1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영역(10)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요소(13)에 의해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벽 요소(8)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9)의 높이는 적어도 선박의 해치의 에지(5) 높이에 해치 커버(4)의 두 높이를 더한 값과 약간의 추가 여유 공간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는 상부 영역에 고정 요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선박(2)의 해치 커버(4) 상에서 컨테이너(6)의 이동성을 제한하는 방법으로서,
    이동성은 구조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구조는 횡방향(11)으로 연장되는 컨테이너(6)를 위한 접촉 영역(12), 및 횡방향(11)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컨테이너(6)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요소(13)를 포함하며, 가이드 요소(13)는 상기 구조의 전체 높이(14)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되고,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선박(2)의 해치 커버(4) 상에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6) 운송을 위한 선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선박(2)의 두 개의 해치 커버(4)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두 개의 해치 커버(4) 사이에서 선박의 횡방향(11)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선박의 전체 폭에 걸쳐 일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선박(2)의 횡방향(11)으로 서로 옆에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237032443A 2021-03-22 2022-03-02 선박의 해치 커버 상에서 컨테이너의 이동성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KR202301554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07023.6A DE102021107023A1 (de) 2021-03-22 2021-03-22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grenzung der Beweglichkeit von Containern auf einem Lukendeckel eines Schiffes sowie Schiff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DE102021107023.6 2021-03-22
PCT/DE2022/100171 WO2022199746A1 (de) 2021-03-22 2022-03-02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grenzung der beweglichkeit von containern auf einem lukendeckel eines schiffes sowie schiff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475A true KR20230155475A (ko) 2023-11-10

Family

ID=8078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2443A KR20230155475A (ko) 2021-03-22 2022-03-02 선박의 해치 커버 상에서 컨테이너의 이동성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30155475A (ko)
CN (1) CN117043055A (ko)
DE (2) DE102021107023A1 (ko)
WO (1) WO202219974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6680A (en) 1979-04-10 1980-10-24 Mitsubishi Heavy Ind Ltd Container housing device
DE3011542A1 (de) 1980-03-21 1981-10-08 Klaas Dr.-Ing. 8906 Gersthofen Spethmann Lukendeckel-system fuer containerschiffe mit container-zellen an deck
US4666356A (en) 1982-07-26 1987-05-19 Contrawl Limited Containeriz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R2573720B1 (fr) 1984-11-23 1987-02-27 Nord Mediterranee Chantiers Dispositifs pour transporter des conteneurs sur les panneaux de cale et navires porte-conteneurs equipes de ces dispositifs.
DD264578A3 (de) 1986-11-13 1989-02-08 Warnowwerft Warnemuende Veb Einsetzlukendeckel
DE3839713A1 (de) 1988-11-24 1990-05-31 Kvaerner Brug Deutschland Gmbh Frachtschiff, insbesondere containerschiff
DE4101238A1 (de) 1991-01-17 1992-07-23 Ship S Equipment Centre B V Ladebereich, insbesondere decksladebereich eines frachtschiffes
WO1996025325A1 (en) 1995-02-15 1996-08-22 Macgregor (Fin) Oy Hatch Cover Division System for opening/closing the cargo space of a dry cargo ship by means of a hatch cover
DE202007017511U1 (de) * 2007-11-30 2008-03-20 Wader-Mcp Marine Consulting + Production Gmbh Vorrichtung zum horizontalen Laschen von Containern
DE102018112512A1 (de) * 2017-05-30 2018-12-06 Mec Container Safety Systems Gmbh Containerlaschbrüc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2001628A5 (de) 2024-01-04
CN117043055A (zh) 2023-11-10
WO2022199746A1 (de) 2022-09-29
DE102021107023A1 (de)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409B1 (ko) 화물선용 래싱 브리지
RU2581096C1 (ru) Система для загрузки и выгрузки груза при портовых операциях
KR100664915B1 (ko) 화물선
TW201433524A (zh) 用來將待運送的貨櫃支撐在貨船上的支撐件,用來在貨船上載運貨物的貨櫃,支撐貨櫃的方法及用來支撐貨櫃的繫橋
EP4316972A1 (en) Container loading assist device, container carrier equipped with same, and container unloading method
KR20230155475A (ko) 선박의 해치 커버 상에서 컨테이너의 이동성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EP4316973A1 (en) Auxiliary container loading apparatus, container carrier comprising same, and container unloading method
KR20130062839A (ko) 해상 구조물
CN218519801U (zh) 船舶甲板下的消防栓舱
RU1744873C (ru) Люковая крышка
KR20230065338A (ko) 선박에 장비 모듈들을 적재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02149A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CN117104410A (zh) 一种无绑扎集装箱船
CN117377613A (zh) 货柜堆叠协助装置、具有货柜堆叠协助装置的货柜载具及货柜装载和卸除方法
CN116534722A (zh) 一种用于堆放货舱盖板的平台及具有其的岸桥起重机
KR101580971B1 (ko) 도난방지수단이 구비된 컨테이너선 화물창의 격벽 구조체
KR20110074387A (ko) 컨테이너 적재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이송선
CN117508470A (zh) 一种集装箱存储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