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084A - 절연스틱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 - Google Patents

절연스틱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084A
KR20230155084A KR1020220054516A KR20220054516A KR20230155084A KR 20230155084 A KR20230155084 A KR 20230155084A KR 1020220054516 A KR1020220054516 A KR 1020220054516A KR 20220054516 A KR20220054516 A KR 20220054516A KR 20230155084 A KR20230155084 A KR 20230155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insulator
fixing
support plat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덕승
조병천
조병수
Original Assignee
조덕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덕승 filed Critical 조덕승
Priority to KR1020220054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5084A/ko
Publication of KR20230155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08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by rotating at least one arm, excluding the head movement itself, e.g. cylindrical coordinate type or polar coordinate type
    • B25J9/041Cylindrical coordinate type
    • B25J9/042Cylindrical coordinate type comprising an articulated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16J1/10Connection to driv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스틱(30)을 고정하여 거치할 수 있는 절연스틱 거치부(100), 리프팅부(200) 및 절연스틱 거치대(10)를 버킷에 고정할 수 있는 버킷 고정부(400, 500)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부(200)는 상단 파이프(210), 하단 파이프(220) 및 고정부(217)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파이프(210)와 상기 하단 파이프(220)는 서로 직경이 달라서,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217)는 고정 레버를 구비하여 상기 상단 파이프(210)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절연스틱 거치부(100)는 상기 상단 파이프(210)에 설치되어, 상기 상단 파이프(210)의 상하 위치에 의하여 상기 절연스틱(30)의 상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스틱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연스틱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Insulated stick holder and indirect live wire method for LP insulator replace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절연스틱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간접활선 작업 중에 절연스틱을 거치하여 전원의 공급 없이 절연스틱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에 관한 것이다.
간접활선공법은 한국전력공사가 2018년에 도입한 공법으로, 전기공사업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해 도입된 것이다. 이는 작업자가 절연스틱과 선단공구를 이용하여 비접촉 상태로 전력선을 공사하는 공법이며, 이러한 공법의 도입 이후 중대재해의 발생수는 확연하게 감소되었다.
그러나, 간접활선공법은 작업자의 근무피로도를 높이고, 결과적으로 근로자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간접활선공법에 사용되는 절연스틱에 선단공구를 장착하면 일반적으로 무게가 5 ~ 6kg 수준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무게가 8 ~ 10 kg에 육박한다. 또한, 간접활선공법의 특성상 근로자는 시선을 높이 치켜들고 손을 쭉 뻗은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간접활선공법을 이용한 배전 공사는 통상적으로 2시간 정도 소요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더 오래 걸리기도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장시간동안 무거운 절연스틱을 들고 고개를 치켜든 자세를 유지해야 하며, 이러한 근무 환경은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한국전력공사에서도 간접활선공법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을 산업재해로 인정할 만큼 전기공사업계에서도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산업재해의 인정은 작업자의 작업 환경 개선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며, 작업자의 근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
결국, 작업자의 근무피로도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활선공구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공법에 대한 요구가 있었으나,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이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공사업 작업자들에게 개선된 근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절연스틱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절연스틱의 상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절연스틱 거치대를 이용한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스틱 거치대는 절연스틱을 고정하여 거치할 수 있는 절연스틱 거치부, 리프팅부; 및 절연스틱 거치대를 버킷에 고정할 수 있는 버킷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부는 상단 파이프, 하단 파이프 및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파이프와 상기 하단 파이프는 서로 직경이 달라서,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는 고정 레버를 구비하여 상기 상단 파이프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절연스틱 거치부는 상기 상단 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상단 파이프의 상하 위치에 의하여 상기 절연스틱의 상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리프팅부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는 상기 상단 파이프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은 실린더부 및 길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상단 파이프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하단 파이프의 상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길이조절부는 동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부는 내부가 중공이고, 충진제가 수용되며,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충진제의 이동에 따라 삽입 및 돌출 작동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의 거동에 따라 상기 상단 파이프의 상승 및 하강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충진제는 가스 또는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부와 상기 길이조절부는 동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부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절연스틱 거치부는 탑재부 및 안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탑재부는 제1 홈이 상기 상단 파이프의 하측 단부에 끼움 장착되고, 제2 홈에 상기 절연스틱의 하측 단부가 끼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안내모듈은 상기 상단 파이프의 상측 단부에 탑재되고, 상기 절연스틱을 안내 및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절연스틱 거치대는 회전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암은 상부 회전암 및 하부 회전암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회전암은 상기 하단 파이프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회전함은 버킷 고정부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회전암 및 상기 하부 회전암은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상부 회전암은 상기 하단 파이프와 각도 조절 힌지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하단 파이프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버킷 고정부는 활선차 버킷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으로, 버킷 지지판 및 고정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버킷 지지판은 내측 지지판 및 외측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 지지판은 직각으로 굽은 판 형태로서 버킷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측 지지판은 거치대 아래에서 버킷을 향해 사선으로 연장된 형태로서 버킷의 외측면에 맞닿아 지지하고, 상기 고정 클램프는 상기 버킷 고정부를 고정하는 위치에서 조임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버킷 고정부는 활선차 버킷의 코너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 지지판, 제2 지지판 및 고정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판 및 제2 지지판은 직각으로 굽은 판 형태를 가지고, 각각의 지지판은 버킷의 내측에 걸어지는 부분이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버킷의 상단에 걸어지는 다른 면은 버킷의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 클램프는 상기 버킷 고정부를 고정하는 위치에서 조임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스틱 거치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하는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은 기존 LP 애자에 고정된 전선을 이선하는 전선 이선공정, 기존 LP 애자를 철거하는 기존 LP 애자 철거공정, 신규 LP 애자를 설치하는 신규 LP 애자 설치공정 및 상기 전선 이선공정에서 이선한 전선을 신규 LP 애자에 고정하는 전선 설치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기존 LP 애자 철거공정 및 상기 신규 애자 설치공정은 상기 절연스틱 거치대에 절연스틱을 설치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기존 LP 애자 철거공정 및 상기 신규 애자 설치공정은 상기 절연스틱에 애자 그리퍼를 결합하여, 상기 절연스틱 거치대에 거치한 후에, 상기 절연스틱 거치대를 이용하여 LP 애자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절연스틱 거치대는 먼저 버킷 고정부를 버킷에 설치한 후에 나머지 부분을 버킷 고정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스틱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공법에 따르면, 전기공사업 작업자들에게 개선된 근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전기공사 중에 절연스틱을 쉽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절연스틱을 손쉽게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간접활선공법에 따라 효율적으로 LP 애자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스틱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면을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스틱 거치대를 절연스틱이 장착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면을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형 절연스틱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스틱 거치대와 LP 애지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일례에 불과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하에서 설명하는 부재의 형상, 치수, 배치 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개량될 수 있음과 함께,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부의 특징적인 구성의 차이가 명확해지도록 치수 비율을 조정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의 치수 비율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 또는 복수형으로 표현된 부분은 필수불가결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단수형 및 복수형인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용어로서만 사용되고,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직접 연결된 경우와 함께,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된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직접 연결" 또는 "바로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한 경우에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없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도 동일한 취지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절연스틱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간접활선 작업 중에 절연스틱을 거치하여 전원의 공급 없이 절연스틱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스틱 거치대(10)를 절연스틱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한 것이고,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스틱 거치대(10)에 절연스틱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스틱 거치대(10)는 크게 절연스틱 거치부(100), 리프팅부(200), 회전암(300) 및 버킷 고정부(400, 500)로 구성된다.
[절연스틱 거치부]
절연스틱 거치부(100)는 리프팅부(200)의 상단 파이프(210)에 구비되어, 절연스틱(30)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스틱 거치부(100)는 상단 파이프(210)의 하측 단부의 탑재부(110)와 상측 단부의 안내모듈(150)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상단 파이프(210)의 하측 단부에는 절연스틱(30)의 탑재가 가능하게 구성된 탑재부(11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탑재부(110)에는 두 개의 나란히 배열된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홈에 상단 파이프(210)와 절연스틱(30)이 나란히 끼움 장착되고, 이에 따라 상단 파이프(210)의 상하 이동시 절연스틱(30)이 동시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 파이프(200)의 상측 단부에는 안내 모듈(150)을 구비할 수 있다. 안내 모듈(150)은 절연스틱 거치부(10)를 구성함에 있어 절연스틱(30)의 안내 및 파지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예를 들어, 안내 모듈(150)은 'L'자 형상의 베이스 부분(151)과 한 쌍의 롤러(155)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롤러(155)는 절연스틱(30)에 대향하는 베이스 부분(151)의 일 측면에서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롤러(155)는 절연스틱(30)이 정합되도록 이격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롤러(155)는 절연스틱(30)의 진입 시 탑재부(110)까지 절연스틱(30)을 매끄럽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리프팅부]
리프팅부(200)는 절연스틱(30)의 상하 운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팅부(200)는 상단 파이프(210) 및 하단 파이프(220)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상단 파이프(210) 및 하단 파이프(220)는 절연스틱(30)의 상하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 파이프(210) 및 하단 파이프(220)는 서로 직경이 달라서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파이프(210)의 외경은 하단 파이프(220)의 내경보다 좁아서, 상단 파이프(210)의 하강 이동시, 하단 파이프(220)의 상단부는 상단 파이프(210)의 하단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맞물리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단 파이프(210)의 외경은 하단 파이프(220)의 내경보다 넓어서 반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 파이프(210)의 하측 단부에는 고정부(217)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217)는 탑재부(110)의 아래에 구비되고, 상단 파이프(210) 및 탑재부(110)에 탑재된 절연스틱(30)의 상승 위치가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217)는 고정 레버에 의해 조임 및 이완을 제어할 수 있다. 고정부(217)는 상단 파이프(210)와 절연스틱(30)의 상승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전기공사 작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스틱 거치대(10)를 이용하여 상단 파이프(210)를 상하로 이동하여 절연스틱(30)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고, 고정부(217)를 이용하여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절연스틱 거치대(10)는 활선차 버킷(20)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절연스틱(30)과 절연스틱 거치대(10)의 무게를 활선차 버킷(20)에 지지한 상태에서 보다 쉽게 절연스틱(30)의 상하 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 파이프(210) 내부에는 상하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피스톤(215)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215)은 실린더부(211) 및 길이조절부(213)로 구성될 수 있고, 실린더부(211)는 상단 파이프(210)에 고정되고, 길이조절부(213)는 하단 파이프(22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부(211)는 상단 파이프(210)의 상측 단부에 고정되고, 길이조절부(213)는 하단 파이프(220)의 상측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실린더부(211)는 길이조절부(213)와 동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린더부(211)는 길이조절부(213)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부(211)는 내부가 중공이고, 충진제가 수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충진제는 가스 또는 오일일 수 있다. 이 경우, 길이조절부(213)에는 실린더부(211) 내의 충진제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오리피스(orifice)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실린더부(211)는 내부에 압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압축 스프링은 길이조절부(213)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213)는 실린더부(211)의 내부에서 상하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213)의 일 단부는 하단 파이프(220)의 상단 부분에 고정되고, 따라서 길이조절부(213)가 실린더부(211)로부터 바깥으로 밀려나오면, 상단 파이프(210)는 상승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실린더부(211)가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상단 파이프(210)는 상승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작업자가 하강 위치에 있는 상단 파이프(210)의 탑재부(110)에 절연스틱(30)을 탑재한 후 상단 파이프(210)를 파지하여 상방으로 일정량의 힘을 인가하면, 실린더부(211)의 힘에 의하여 상단 파이프(210)가 상승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자신의 힘과 더불어 실린더부(211)의 힘에 의하여 보다 손쉽게 상단 파이프(210)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LP 애자(50)가 연결된 절연스틱(30)의 총 무게가 20kg인데, 피스톤(215)의 실린더부(211)가 상승 방향으로 10kg의 힘을 제공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상단 파이프에 단지 10kg의 힘을 가함으로써 절연스틱(30)에 결합된 LP 애자(50)를 보다 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상승 위치의 상단 파이프(210)를 파지하여 하방으로 일정량의 힘을 인가함으로써, 돌출 상태의 길이조절부(213)가 실린더부(211)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단 파이프(210)의 위치가 하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실린더부(211)에 의하여 상승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얻을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절연스틱(30) 및 이에 연결된 선단공구의 무게를 모두 감당할 필요가 없어진다. 예를 들어, LP 애자(50)가 연결된 절연스틱(30)의 총 무게가 20kg인데, 피스톤(215)의 실린더부(211)가 상승 방향으로 10kg의 힘을 제공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상단 파이프에 단지 10kg의 힘을 가함으로써 절연스틱(30)에 결합된 LP 애자(50)를 지지하면서 손쉽게 하강시킬 수 있다.
결국, 작업자는 선단공구를 포함한 무거운 절연스틱(30)을 들어 올리고,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들어 내리는 작업을 보다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회전암]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회전암(300)은 주로 절연스틱(30)의 수평 방향의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암(300)은 상부 회전암(310)과 하부 회전암(3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2, 5를 참조하면, 하단 파이프(220)는 각도 조절 힌지(330)를 통하여 회전암(300)과 연결될 수 있다. 각도 조절 힌지(330)는 하단 파이프(22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pitch)를 조절할 수 있고, 각도 고정 노브(335)를 이용하여 조정된 각도로 고정할 수 있다. 하단 파이프(220)는 절연스틱(30)과 동일한 각도를 가지므로, 각도 조절 힌지(330) 및 각도 고정 노브(335)를 이용하여 절연스틱(3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도 조절 힌지(330)는 상부 회전암(310)의 일 단부에 고정되어 제1 회전축(311)을 형성한다. 각도 조절 힌지(330)는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yaw)으로 360°회전 가능하다. 또한, 상부 회전암(310)의 타 단부는 하부 회전암(320)과 겹치는 부분에서 상부 회전암(310)의 제2 회전축(319)을 형성하고, 상부 회전암(310)은 제2 회전축(319)를 중심으로 360°회전 가능하다. 또한, 하부 회전암(320)의 일 단부는 버킷 고정부(400)의 일 단부에 고정되어 제3 회전축(329)을 형성하고, 하부 회전암(320)은 제3 회전축(329)을 중심으로 360°회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회전축에는 조정된 회전 각도로 회전축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암(300)은 암고정 노브(315, 3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회전암(310)과 하부 회전암(320)은 고정 노브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절연스틱(30)이 리프팅부(200)에 의하여 상승 위치에 있을지라도 필요에 따라 고정 노브를 해제하여, 절연스틱(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회전암(300)의 조정을 통하여 절연스틱(30)을 보다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결국, 작업자는 선단공구를 포함한 무거운 절연스틱(30)을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작업을 보다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버킷 고정부]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중앙형 버킷 고정부(400)를 도시하고,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코너형 버킷 고정부(4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형 버킷 고정부(400)는 버킷 지지판(410) 및 고정 클램프(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2를 참조하면, 버킷 지지판(410)은 버킷에 대한 절연스틱 거치대(10)의 지지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버킷 지지판(410)은 내측 지지판(413)과 외측 지지판(415)으로 이루어진다. 내측 지지판(413)은 직각으로 굽은 판 형태를 가져서 하나의 면은 버킷의 내측에 그리고 다른 면은 버킷의 상단에 맞닿는 방식으로 버킷에 걸어진다. 외측 지지판(415)은 거치대 아래에서 버킷을 향해 사선으로 연장된 형태로 버킷의 외측면과 맞닿게 된다. 외측 지지판(415)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그 탄성을 이용하여 절연스틱 거치대(10)를 지지할 수 있다. 내측 지지판(413)과 외측 지지판(415)은 별도의 고정 공구의 도움 없이 버킷에 걸치는 형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 지지판(415)은 버킷의 외부면과 맞닿는 부분에 버킷 보호부재(417)를 포함하여, 외측 지지판(415)과 접촉되는 버킷을 스크래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킷 보호부재(417)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킷 고정부(400)의 하부면에는 고정 클램프(4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클램프(420)는 버킷 고정부(400)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예를 들어, 고정 클램프(420)는 수직형 토글 클램프일 수 있다.
작업자는 활선차의 버킷 안에서 고정 클램프(420)를 조작할 수 있다. 고정 클램프(420)는 내측 지지판(413)의 저면에서 양측에 나란히 배치되어, 작업자가 순차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작업자가 고정 클램프(420)를 조임 해제하면, 버킷 고정부(400)는 버킷의 일 측면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버킷 지지판(410)의 지지력에 의해 지지대(20)는 버킷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원하는 버킷의 일 측면에 버킷 지지판(410)을 이용하여 버킷 고정부(400)를 걸어둔 후, 절연스틱 거치대(10)의 나머지 부분을 버킷 고정부(400)에 결합할 수 있다. 즉, 버킷 고정부(400)를 먼저 버킷의 일 측면에 고정하고, 미리 조립한 회전암(300), 리프팅부(200) 및 거치부(100)를 버킷 고정부(400)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암(300)의 일 단부를 버킷 고정부(400)의 일 단부에 결합하고 고정 노브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버킷의 일 측면에 걸어진 버킷 고정부(400)를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원하는 위치를 대략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조절된 위치를 고정 클램프(420)로 고정할 수 있다. 작업자는 회전암(300)을 이용하여 작업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 리프팅부(200)가 상승 위치에 있을 지라도, 작업자는 회전암(300)을 이용하여 추가로 절연스틱(3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코너형 버킷 고정부(500)를 도시한다.
중앙형 버킷 고정부(400)와 마찬가지로, 코너형 버킷 고정부(500)도 버킷 지지판(510) 및 고정 클램프(52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킷 지지판(510)은 제1 지지판(511)과 제2 지지판(515)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지지판(511, 515)은 직각으로 굽은 판 형태를 가지고, 각각의 지지판은 버킷의 내측에 걸어지는 부분이 힌지로 결합된다. 버킷의 상단에 걸어지는 다른 면은 버킷의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지지판 아래에는 고정 클램프(520)가 있고, 제2 지지판(511)의 상단에는 회전암(300)이 탑재된다. 예를 들어, 회전암(300)은 고정 노브(530)에 의하여 코너형 버킷 고정부(5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코너형 버킷 고정부(500)는 버킷의 수직을 이루는 면에서 각각 클램프 고정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절연스틱 거치대(10)를 이용한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은 하나 이상의 절연스틱 거치대(10)을 이용하여, 전선 이선공정(S100), 기존 LP 애자 철거공정(S200), 신규 LP 애자 설치공정(S300) 및 전선 설치공정(S400)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전선 이선공정(S100)은 기존 LP 애자(50)의 철거를 위해 전선과의 고정력을 해제히고, 전선을 인상하여 전선을 이선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통상의 전선과 기존 LP 애자(50)를 고정하는 바인드레스커버 또는 바인드 등의 고정재를 제거한 후에, 전선을 이선하게 된다. 전선 이선공정(S100)에서 사용되는 활선공구들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스틱 거치대(10)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전선의 이선을 위하여 전선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절연스틱 거치대(10)를 이용하여 전선을 들어올려 전선을 이선하는 동작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존 LP 애자 철거공정(S200)은 기존의 노후 또는 파손된 기존 LP 애자(50)를 철거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완철에 고정된 기존 LP 애자(50)를 분리하는데, 통상적으로 라쳇 렌치를 이용하여 기존 LP 애자(50)의 애자핀을 고정하고 있는 너트를 분리하여 완철과 기존 LP 애자(50)를 분리한다.
기존 LP 애자(50)의 철거를 위하여, 활선공구에 기존 LP 애자(50)를 파지 고정하는 과정에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절연스틱(30)에 애자 그리퍼(40)를 연결하고, 애자 그리퍼(40)를 이용하여 기존 LP 애자(50)를 파지 고정할 수 있다. 기존 LP 애자(50)를 파지 고정하는 과정은 필요에 따라 기존 LP 애자(50)에서 완철을 제거하기 이전에 수행할 수도 있다.
완철에서 기존 LP 애자(50)가 분리되고, 기존 LP 애자(50)를 제거하기 위한 활선공구에 기존 LP 애자(50)가 고정되면, 기존 LP 애자(50)를 위로 들어올려 철거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절연스틱 거치대(10)을 이용하면, 작업자에게 상당히 무거운 LP 애자(50)를 손쉽게 들어올려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신규 LP 애자 설치공정(S300)은 새로운 LP 애자(50)를 설치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활선공구에 신규 LP 애자(50)를 고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절연스틱(30)에 애자 그리퍼(40)를 연결하고, 애자 그리퍼(40)를 이용하여 신규 LP 애자(50)를 파지 고정할 수 있다. 이후, 신규 LP 애자(50)가 고정된 절연스틱(30)을 절연스틱 거치대(10)에 거치하여, 절연스틱 거치대(10)를 이용하여 절연스틱(30)을 상승하고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여 신규 LP 애자(50)를 완철에 삽입 설치할 수 있다.
이후, 완철에 삽입된 신규 LP 애자(50)를 고정하기 위하여 통상의 라쳇 렌치 등을 이용하여 애자핀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신규 LP 애자(50)를 완철에 고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선 설치공정(S400)은 기존 LP 애자(50)의 철거 과정에서 이선된 전선을 신규 LP 애자(50)에 설치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하여 신규 LP 애자(50)에 바인드레스커버 또는 바인드를 설치하여 전선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스틱 거치대(30)를 이용하여 전선의 이동 및 고정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절연스틱 거치대
100 절연스틱 거치부
110 탑재부
150 안내모듈
151 베이스 부분
155 롤러
200 리프팅부
210 상단 파이프
211 실린더부
213 길이조절부
215 피스톤
217 고정부
220 하단 파이프

300 회전암
310 상부 회전암
311 제1 회전축
315 암고정 노브
319 제2 회전축
320 하부 회전암
325 암고정 노브
329 제3 회전축
330 각도 조절 힌지
335 각도 고정 노브
400 중앙형 버킷 고정부
410 버킷 지지판
413 내측 지지판
415 외측 지지판
417 버킷 보호부재
420 고정 클램프
500 코너형 버킷 고정부
510 버킷 지지판
511 제1 지지판
515 제2 지지판
520 고정 클램프
530 고정 노브
20 활선차 버킷
30 절연스틱
40 애자 그리퍼
50 LP 애자

Claims (14)

  1. 절연스틱 거치대(10)로서,
    절연스틱(30)을 고정하여 거치할 수 있는 절연스틱 거치부(100);
    리프팅부(200); 및
    절연스틱 거치대(10)를 버킷에 고정할 수 있는 버킷 고정부(400, 500)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부(200)는 상단 파이프(210), 하단 파이프(220) 및 고정부(217)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파이프(210)와 상기 하단 파이프(220)는 서로 직경이 달라서,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217)는 고정 레버를 구비하여 상기 상단 파이프(210)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절연스틱 거치부(100)는 상기 상단 파이프(210)에 설치되어, 상기 상단 파이프(210)의 상하 위치에 의하여 상기 절연스틱(30)의 상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스틱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200)는 피스톤(215)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215)은 상기 상단 파이프(210)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스틱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15)은 실린더부(211) 및 길이조절부(213)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211)는 상기 상단 파이프(210)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길이조절부(213)는 상기 하단 파이프(220)의 상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스틱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211)와 상기 길이조절부(213)는 동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부(211)는 내부가 중공이고, 충진제가 수용되며,
    상기 길이조절부(213)는 상기 충진제의 이동에 따라 삽입 및 돌출 작동되고, 상기 길이조절부(213)의 거동에 따라 상기 상단 파이프(210)의 상승 및 하강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스틱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가스 또는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스틱 거치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211)와 상기 길이조절부(213)는 동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부(211)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스틱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스틱 거치부(100)는 탑재부(110) 및 안내모듈(150)을 포함하고,
    상기 탑재부(110)는 제1 홈이 상기 상단 파이프(210)의 하측 단부에 끼움 장착되고, 제2 홈에 상기 절연스틱(30)의 하측 단부가 끼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안내모듈(150)은 상기 상단 파이프(210)의 상측 단부에 탑재되고, 상기 절연스틱(30)을 안내 및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스틱 거치대.
  8. 제1항에 있어서,
    회전암(3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암(300)은 상부 회전암(310) 및 하부 회전암(32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회전암(310)은 상기 하단 파이프(220)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회전함(320)은 버킷 고정부(400)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회전암(310) 및 상기 하부 회전암(320)은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스틱 거치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암(310)은 상기 하단 파이프(220)와 각도 조절 힌지(330)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하단 파이프(22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스틱 거치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 고정부(400)는 활선차 버킷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으로, 버킷 지지판(410) 및 고정 클램프(420)를 포함하고,
    상기 버킷 지지판(410)은 내측 지지판(413) 및 외측 지지판(415)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지지판(413)은 직각으로 굽은 판 형태로서 버킷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측 지지판(415)은 거치대 아래에서 버킷을 향해 사선으로 연장된 형태로서 버킷의 외측면에 맞닿아 지지하고,
    상기 고정 클램프(420)는 상기 버킷 고정부(400)를 고정하는 위치에서 조임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스틱 거치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 고정부(500)는 활선차 버킷의 코너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 지지판(511), 제2 지지판(515) 및 고정 클램프(5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판(511) 및 제2 지지판(515)은 직각으로 굽은 판 형태를 가지고, 각각의 지지판은 버킷의 내측에 걸어지는 부분이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버킷의 상단에 걸어지는 다른 면은 버킷의 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 클램프(520)는 상기 버킷 고정부(500)를 고정하는 위치에서 조임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스틱 거치대.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절연스틱 거치대(10)를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하는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으로서,
    기존 LP 애자에 고정된 전선을 이선하는 전선 이선공정(S100);
    기존 LP 애자를 철거하는 기존 LP 애자 철거공정(S200);
    신규 LP 애자를 설치하는 신규 LP 애자 설치공정(S300); 및
    상기 전선 이선공정(S100)에서 이선한 전선을 신규 LP 애자에 고정하는 전선 설치공정(S400)을 포함하고,
    상기 기존 LP 애자 철거공정(S200) 및 상기 신규 애자 설치공정(S300)은 상기 절연스틱 거치대(10)에 절연스틱(30)을 설치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LP 애자 철거공정(S200) 및 상기 신규 애자 설치공정(S300)은 상기 절연스틱(30)에 애자 그리퍼(40)를 결합하여, 상기 절연스틱 거치대(10)에 거치한 후에, 상기 절연스틱 거치대(10)를 이용하여 LP 애자(50)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스틱 거치대(10)는 먼저 버킷 고정부(400, 500)를 버킷에 설치한 후에 나머지 부분을 버킷 고정부(400, 500)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
KR1020220054516A 2022-05-03 2022-05-03 절연스틱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 KR20230155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516A KR20230155084A (ko) 2022-05-03 2022-05-03 절연스틱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516A KR20230155084A (ko) 2022-05-03 2022-05-03 절연스틱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084A true KR20230155084A (ko) 2023-11-10

Family

ID=8874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516A KR20230155084A (ko) 2022-05-03 2022-05-03 절연스틱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50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9180B1 (en) Boom mountable robotic arm
KR20230155084A (ko) 절연스틱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lp 애자 교체 간접활선공법
CN116316262A (zh) 支柱绝缘子拆装工具的操作方法
KR20200041475A (ko)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
CN209786641U (zh) 一种电力可升降放线滑轮装置
CN106253141A (zh) 一种多功能电缆安装工作台
CN205992698U (zh) 一种多功能电缆安装工作台
CN115535614A (zh) 线缆搬运装置
CN111660087B (zh) 一种电气设备检修用机械手装置
CN214506342U (zh) 使用方便的绝缘杆带电作业机械臂组件
CN106972388A (zh) 提高安装配电箱效率的方法
CN104964772A (zh) 一种轿车方向盘位置调节装置的固定装置
CN219968008U (zh) 一种汽车零部件抓取安装设备
CN218363446U (zh) 一种异形小件夹持设备
CN219525446U (zh) 一种斜腕臂夹持推送装置
CN219025511U (zh) 一种便于定位的钣金折弯机
CN215093441U (zh) 一种零部件维修用支撑装置
CN219321947U (zh) 支柱绝缘子拆装工具
CN219498768U (zh) 线缆护套精密剥离装置
CN215847877U (zh) 一种便携式多功能扳钳组合
KR102161581B1 (ko) 안전성이 향상된 폴리실리콘의 취출 방법
CN211480694U (zh) 断路器检修工具
KR20230036991A (ko) 케이블 종단 접속용 클램프 및 이 클램프를 이용한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방법
JP2010172161A (ja) 圧縮接続器の支持装置
JP2021167129A (ja) 碍子交換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