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513A -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513A
KR20230154513A KR1020220053994A KR20220053994A KR20230154513A KR 20230154513 A KR20230154513 A KR 20230154513A KR 1020220053994 A KR1020220053994 A KR 1020220053994A KR 20220053994 A KR20220053994 A KR 20220053994A KR 20230154513 A KR20230154513 A KR 20230154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stone panel
shape
vertical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산
Priority to KR1020220053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4513A/ko
Publication of KR2023015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51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ㄱ' 형상으로 일측이 벽면에서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다수개의 베이스부; 중공형의 사각기둥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부 타측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세로연결부; 중공형의 사각기둥 형상으로 서로 다른 상기 세로연결부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가로연결부; 사각 기둥 형상으로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1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세로연결부 전방에 연결되고,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2돌출부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결브라켓; 판상으로 형성된 단열재 전방에 석재패널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석재패널 테두리에 제 2돌출부와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브라켓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일체형패널; 서로 다른 상기 석재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브라켓 전방에 마련되는 백업재; 서로 다른 상기 석재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백업재 전방에 마련되는 마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Integrated stone pannel assembly using non-combustible insulator}
본 발명은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이 용이한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건축물의 외벽을 통한 열 손실이기 때문에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서는 열 손실을 줄이는 단열재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재로는 스티로폼, 우레탄폼, 유리면, 암면 등이 있다.
이러한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되어 전도 및 대류에 의해 외벽을 통해 전달되는 열을 차단함으로써 상당한 정도의 열 손실을 막아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건축물의 외벽 단열, 건축물의 보호와 미관 등을 위해 단열재와 외벽마감재(AL 복합패널)가 사용되고 있는데, 콘크리트 구조에 단열재를 시공하고 그 다음에 각재 또는 앵글을 설치 한 후 외벽마감재를 설치해야 하므로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2326131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 안전성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키고, 공사 투입에 소요되는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는 'ㄱ' 형상으로 일측이 벽면에서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다수개의 베이스부; 중공형의 사각기둥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부 타측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세로연결부; 중공형의 사각기둥 형상으로 서로 다른 상기 세로연결부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가로연결부; 사각 기둥 형상으로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1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세로연결부 전방에 연결되고,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2돌출부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결브라켓; 판상으로 형성된 단열재 전방에 석재패널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석재패널 테두리에 제 2돌출부와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브라켓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일체형패널; 서로 다른 상기 석재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브라켓 전방에 마련되는 백업재; 서로 다른 상기 석재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백업재 전방에 마련되는 마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브라켓 전방에는 홈이 파여 형성되는 부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체형패널에서, 상기 단열재와 상기 석재패널은 불연 접착제 또는 난연성 테이프 또는 알루미늄 테이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체형패널에서, 판상으로 상기 일체형패널 테두리에 형성되는 몰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브라켓 후방에 돌출되어 다수개의 제 3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현재의 시공방법 개선을 기하고 건축물의 화재 확산 방지, 건축물의 단열 강화, 건축 공정과 공사기간의 단축, 건축 공사비용 개선 등을 위해 단열재와 복합판넬 등의 재료를 일체화하여 시공성을 높이고 공정 축소와 공사일정 단축 등을 통한 경제적 효과 창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단면도(A-A).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5는 도 1의 단면도(B-B).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포함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는 'ㄱ' 형상으로 일측이 벽면(W)에서 앙카볼트(110)에 의해 고정되는 다수개의 베이스부(100)와, 중공형의 사각기둥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부(100) 타측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세로연결부(200)와, 중공형의 사각기둥 형상으로 서로 다른 상기 세로연결부(200)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가로연결부(300)와, 사각 기둥 형상으로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1돌출부(410)가 형성되어 상기 세로연결부(200) 전방에 연결되고,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2돌출부(420)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결브라켓(400)과, 판상으로 형성된 단열재(510) 전방에 석재패널(52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석재패널(520) 테두리에 제 2돌출부(420)와 대응되는 걸림홈(530)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브라켓(400)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일체형패널(500)과, 서로 다른 상기 석재패널(52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브라켓(400) 전방에 마련되는 백업재(600)와, 서로 다른 상기 석재패널(52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백업재(600) 전방에 마련되는 마감재(700)로 구성된다.
먼저, 'ㄱ'형상의 베이스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베이스부(100)의 일측이 벽면(W)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앙카볼트(110)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부(100)가 상기 벽면(W)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하기 설명될 일체형패널(5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기초로, 필요에 따라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0) 타측에 연결되는 세로연결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세로연결부(200)는 중공형의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세로연결부(20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세로연결부(200)는 좌우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위치한 서로 다른 상기 베이스부(100)를 연결한다.
서로 다른 상기 세로연결부(200)를 연결하는 가로연결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가로 연결부는 중공형의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로연결부(300)는 상기 세로연결부(20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가로연결부(300)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세로연결부(200)에 하기에서 설명될 일체형패널(500)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로연결부(200) 전방에는 연결브라켓(400)이 마련된다. 상기 연결브라켓(400)은 사각기둥 형상으로 상기 세로연결부(200)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상기 세로연결부(200)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브라켓(400)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1돌출부(4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돌출부(410)는 상기 세로연결부(200) 전방에 연결되며, 서로 다른 상기 세로연결부(2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브라켓(400)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2돌출부(4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브라켓(400) 전방에는 홈이 파여 부착홈(430)이 더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브라켓(400) 후방에는 돌출되어 다수개의 제 3돌출부(440)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 3돌출부(440)는 상기 세로연결부(200)와 상기 연결브라켓(400)이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마찰력이 큰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연결부(200)와 상기 연결브라켓(400)은 볼트로 연결되며, 상기 세로연결부(200) 전방에 상기 연결브라켓(400)의 위치를 맞추고 볼트로 고정할 때, 상기 연결브라켓(400)이 상기 세로연결부(200)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원래의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세로연결부(200)와 상기 연결브라켓(400)이 결합되면 상기 제 3돌출부(440)가 압착되어 상기 세로연결부(200)와 상기 연결브라켓(400) 사이에 틈이 없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브라켓(400)은 필요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400)에 걸려 일체형패널(500)이 마련된다. 상기 일체형패널(500)은 판상의 단열재(510)와 판상의 석재패널(520)이 접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단열재(510) 전방에 상기 석재패널(520)이 접착된다.
상기 석재패널(520)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 2돌출부(4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걸림홈(530)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브라켓(400)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530)은 필요에 따라 상기 석재패널(520)의 상하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네개의 테두리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단열재(510)와 상기 석재패널(520)의 접착을 위해서 불연 접착제 또는 난연성 테이프 또는 알루미늄 테이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510)의 테두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일체형패널(500) 테두리에는 몰딩(미도시)이 더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몰딩은 상기 단열재(510) 테두리를 모두 덮고, 상기 석재패널(520)에서 후방에 위치한 테두리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몰딩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체형패널(500)과 상기 몰딩의 접착을 위해서 불연 접착제 또는 난연성 테이프 또는 알루미늄 테이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상기 석재패널(520) 사이에는 백업재(600)가 마련된다. 상기 백업재(600)는 상기 연결브라켓(400) 전방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백업재(600)는 상기 부착홈(430)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업 중에 상기 백업재(600)가 상기 연결브라켓(4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백업재(600)는 상기 연결브라켓(400)이 노출되어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백업재(600)는 단열 효과를 볼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발포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상기 석재패널(520) 사이에는 마감재(700)가 마련된다. 상기 마감재(700)는 상기 백업재(600) 전방에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재(700)는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백업재(600)가 상기 부착홈(430)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520)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일체형패널(500)을 제작한다. 상기 단열재(510) 전방에 상기 석재패널(520)을 위치시킨 다음 불연 접착제 또는 난연성 테이프 또는 알루미늄 테이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일체형패널(500)을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벽면(W)에 상기 앙카볼트(110)를 설치한다. 상기 베이스부(100) 일측에 상기 앙카볼트(110)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0) 타측에 상기 세로연결부(200)를 연결한다.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상기 세로연결부(200) 사이에 상기 가로연결부(300)를 연결하여 견고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로연결부(200) 전방에 상기 제 1돌출부(410)가 연결되어, 상기 세로연결부(200)와 상기 연결브라켓(400)이 결합된다. 상기 제 2돌출부(420)와 상기 걸림홈(530)이 일치하도록 하여, 서로 다른 상기 연결브라켓(400) 사이에 상기 일체형패널(500)이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부착홈(430)에 상기 백업재(600)를 끼운 다음, 상기 백업재(600) 전방에 마감재(700)를 도포하여 상기 백업재(600)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베이스부 110 : 앙카볼트
200 : 세로연결부 300 : 가로연결부
400 : 연결브라켓 410 : 제 1돌출부
420 : 제 2돌출부 430 : 부착홈
440 : 제 3돌출부 500 : 일체형패널
510 : 단열재 520 : 석재패널
530 : 걸림홈 600 : 백업재
700 : 마감재 W : 벽면

Claims (5)

  1. 'ㄱ' 형상으로 일측이 벽면에서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다수개의 베이스부;
    중공형의 사각기둥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부 타측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세로연결부;
    중공형의 사각기둥 형상으로 서로 다른 상기 세로연결부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가로연결부;
    사각 기둥 형상으로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1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세로연결부 전방에 연결되고,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2돌출부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결브라켓;
    판상으로 형성된 단열재 전방에 석재패널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석재패널 테두리에 제 2돌출부와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브라켓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일체형패널;
    서로 다른 상기 석재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브라켓 전방에 마련되는 백업재;
    서로 다른 상기 석재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백업재 전방에 마련되는 마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 전방에는 홈이 파여 형성되는 부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패널에서,
    상기 단열재와 상기 석재패널은 불연 접착제 또는 난연성 테이프 또는 알루미늄 테이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패널에서,
    판상으로 상기 일체형패널 테두리에 형성되는 몰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 후방에 돌출되어 다수개의 제 3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
KR1020220053994A 2022-05-02 2022-05-02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 KR20230154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994A KR20230154513A (ko) 2022-05-02 2022-05-02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994A KR20230154513A (ko) 2022-05-02 2022-05-02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513A true KR20230154513A (ko) 2023-11-09

Family

ID=8874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994A KR20230154513A (ko) 2022-05-02 2022-05-02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45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131B1 (ko) 2021-05-28 2021-11-12 유도건 단열 일체형 외장 패널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131B1 (ko) 2021-05-28 2021-11-12 유도건 단열 일체형 외장 패널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9866B2 (en) Modular system for cladding exterior walls of a structure and insulating the structure walls
CA2820970C (en) Improved modular system for continuously insulating exterior walls of a structure and securing exterior cladding to the structure
JP5952608B2 (ja) 木造建築物の耐火構造
CN116234963A (zh) 建筑立面系统和形成建筑立面的方法
EP0195662A2 (en) Supporting structure for cladding panels
KR20230154513A (ko)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석재패널 어셈블리
KR20230154515A (ko) 불연단열재를 이용한 일체형 플럭스패널 어셈블리
KR20100114258A (ko) 건축물용 단열재의 결합구조
KR102627222B1 (ko) 불연복합 단열패널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60131967A (ko) 내화성을 갖는 조립식 경량 칸막이
CN220889062U (zh) 建筑墙体保温结构
JP2002364096A (ja) 断熱壁構造
CN218323244U (zh) 一种保温复合板及保温墙
JP3115417B2 (ja) 縦目地構造
KR102672682B1 (ko) 화재확산방지와 열교차단성능을 갖는 내진 단열 패널조립체
KR20100114255A (ko)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
JPH05311847A (ja) 建築用パネルの取付構造
JP3071296B2 (ja) 建築用パネルの取付構造
CN212507184U (zh) 一种保温装饰板的装配结构
CN216553266U (zh) 一种装配式外围护系统节点
CN215670334U (zh) 一种装配式隔墙
JP3009294B2 (ja) 建築用パネルの取付構造
CN213296855U (zh) 一种室内装饰装修用复合板
CN212743060U (zh) 一种建筑工程用环保幕墙
JP7488646B2 (ja) 機能性材施工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