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3326A - 건강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건강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3326A
KR20230153326A KR1020230142969A KR20230142969A KR20230153326A KR 20230153326 A KR20230153326 A KR 20230153326A KR 1020230142969 A KR1020230142969 A KR 1020230142969A KR 20230142969 A KR20230142969 A KR 20230142969A KR 20230153326 A KR20230153326 A KR 20230153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earable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2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휘원
Original Assignee
인핸드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핸드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핸드플러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53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332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3Assessment of subject's compliance to treat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Monitoring the patient using a local or closed circuit, e.g. in a room or bui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4Arm or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85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for synchronising or triggering a physiological measurement or image acquisition with a physiological event or waveform, e.g. an ECG sig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1Design or setup of recognition systems or techniques; Extraction of features in feature space; Blind source separation
    • G06F18/214Generating training patterns; Bootstrap methods, e.g. bagging or boosting
    • G06F18/2148Generating training patterns; Bootstrap methods, e.g. bagging or boos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ganisation or structure, e.g. boosting casca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4Recurrent networks, e.g. Hopfield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5Combinations of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7Probabilistic or stochastic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G06T7/251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involving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7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82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neur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94Hardware or software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image or video understanding
    • G06V10/95Hardware or software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image or video understanding structured as a network, e.g. client-server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1Higher-level, semantic clustering, classification or understanding of video scenes, e.g. detection, labelling or Markovian modelling of sport events or news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6Trinkets, e.g. shirt buttons or jewellery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42Operational features adapted to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poll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1Training;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3Recognition of patterns in medical or anatomical imag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약물 이행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모션 센서 및 주변광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제1 통신부, 및 센서부와 제1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카메라, 제2 통신부, 및 카메라를 제어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고, 무선 통신 장치는, 약물이 수용된 객체에 부착되고, 제1 제어부는,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모션 값과 객체 주변의 밝기에 대응하는 주변광 값을 획득하며, 모션 값 및 주변광 값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의 카메라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활성화 데이터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제공하고, 제2 제어부는,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강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HEALTH CARE MONITORING SYSTEM AND DEVIC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였는지 여부 또는 약물 이행 관련 기기를 사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의료, 의학에 기초한 건강 관리는 이전부터 꾸준한 관심을 받아 왔으며, 최근 의료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그 관심이 더 증대되었다. 이러한 건강 관리는 일상 생활 속에서 처방 받은 약을 복용하거나, 주기적으로 약물을 체내에 주입하거나, 또는 의료기구를 이용하여 건강 지표를 측정하는 등 일상 생활 속에서 사용자에 스스로에 의해 규칙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술한 건강 관리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건강 관리와 관련된 사용자의 행위를 유도하거나 강제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일상 생활 속에서 건강 관리와 관련된 사용자의 행동을 감지하여 건강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요구된다.
한편, 기존에는 사용자의 건강 관리에 관한 행위를 모니터링 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약물 이행 이전에 모니터링 장치를 구동하거나 스스로 자신의 행위를 기록하는 등 사용자의 행위가 요구되었고, 이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행위를 망각하는 경우 건강 관리에 관한 정보가 수집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과 건강 관리의 정확성을 고려할 때, 사용자가 일상 생활 속에서 사용자의 행위 없이도 자동으로 건강 관리에 대한 행위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일상 생활에서 사용자의 건강 관리에 관한 행동을 자동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약물 복용 관련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사용자의 행위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약물 이행 관련 영상 촬영을 위한 촬영 개시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사용자의 신체 적어도 일부에 착용될 수 있고, 촬영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약물 이행 관련 영상을 촬영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약물 복용 관련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약물 복용을 올바르게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약물 이행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모션 센서 및 주변광(ambient light)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외부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카메라,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약물이 수용된 객체에 부착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모션 값을 획득하고, 상기 주변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주변의 밝기에 대응하는 주변광 값을 획득하며, 상기 모션 값 및 상기 주변광 값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기 카메라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활성화 데이터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획득한 상기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의 촬영 개시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외부 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 센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기 위한 주변광 센서;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약물을 수용하는 객체에 고정되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모션 값 및 상기 주변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주변 환경을 반영하는 주변광 값을 획득하고, 상기 모션 값 및 주변광 값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상기 카메라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활성화 데이터를 상기 외부 기기에 제공하되, 상기 모션 값이 모션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주변광 값이 주변광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주변광 값이 상기 주변광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제공하되, 상기 모션값이 상기 모션 임계값 이상이더라도, 상기 주변광 값이 주변광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건강 관리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의 개입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착용되어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는 웨어러블 장치가 제공되어 일상 생활 속에서 사용자의 건강 관리를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어 그 사용성이 증대된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약물 이행 관련 영상 촬영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규칙적으로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가 모니터링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 의하면,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약물 이행 관련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약물 이행 여부 판단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의 통신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서 송신하는 데이터 패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에서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무선 통신 장치의 센서부에서 감지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상태 또는 주변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에서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 사이의 거리에 따른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가 위치하는 장소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가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영상 촬영 도중 객체를 움직이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영상 촬영 도중 객체를 움직이는 경우 서버에서 영상 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서로 다른 약물을 이행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영상 촬영 도중 객체를 움직이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건강 관리 행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에서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및 객체에 부착되는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 및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기울기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시야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부작용을 방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 내지 도 3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행 관리 도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 내지 도 4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보호자 또는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관리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관리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출원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약물 이행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모션 센서 및 주변광(ambient light)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외부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카메라,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약물이 수용된 객체에 부착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모션 값을 획득하고, 상기 주변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주변의 밝기에 대응하는 주변광 값을 획득하며, 상기 모션 값 및 상기 주변광 값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기 카메라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활성화 데이터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획득한 상기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애드버타이징 신호(advertising signal)를 수신하면, 상호 인식을 위한 페어링 과정이 개시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페어링 된 후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부에 상기 활성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서값을 획득하지 않는 슬립 상태(sleep state) 또는 상기 센서부의 적어도 일부 센서로부터 센서값을 획득하는 스탠바이 상태(standby state)로 동작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페어링 되면 상기 슬립 상태에서 상기 스탠바이 상태로 변경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스탠바이 상태에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모션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스탠바이 상태, 상기 슬립 상태 또는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로 동작하고, 상기 어웨이크 상태에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주변광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상기 주변광 값이 주변광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제어부에 제공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스탠바이 상태에서 획득한 상기 모션 값이 임계 모션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어웨이크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센서부의 적어도 일부 센서가 제1 주기로 센서값을 획득하는 슬립 상태 또는 상기 센서부의 적어도 일부 센서가 제2 주기로 센서값을 획득하는 스탠바이 상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주기는 상기 제2 주기에 비해서 길고, 상기 슬립 상태에서 획득되는 센서값은 모션 센서값 또는 주변광 값을 포함하고, 상기 스탠바이 상태에서 획득되는 센서값은 모션 센서값 또는 주변광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상기 모션 값이 미리 설정된 모션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주변광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상기 주변광 값이 미리 설정된 주변광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데이터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제공하되, 상기 활성화 데이터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하는 애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부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고유 식별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키고 촬영 시간 동안 영상을 촬영하되, 상기 촬영 시간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상기 고유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 사이의 페어링이 된 시점 이전에 수신되는 제1 신호 및 상기 페어링이 된 시점 이후에 수신되는 제2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상기 활성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 여기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카메라를 촬영 시간 동안 활성화 시키고, 상기 카메라가 비활성화 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서버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제1 활성화 데이터를 획득하면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미리 설정된 촬영 시간 동안 영상을 촬영하되, 상기 촬영 시간 내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제2 활성화 데이터를 획득하면 추가 시간 동안 영상을 더 촬영하고, 상기 추가 시간은 상기 촬영 시간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가 활성화되어 상기 영상 데이터가 획득되는 동안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서버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학습된 약물 모니터링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약물 모니터링 모델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이미지 프레임을 입력 받아 상기 영상 데이터에 약물 이행과 관련된 상기 객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확률값을 출력하는 검출 모델 및 상기 확률값이 반영된 입력 데이터을 입력 받아 상기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지시하는 클래스 값을 출력하는 확인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의 촬영 개시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외부 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 센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기 위한 주변광 센서;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약물을 수용하는 객체에 고정되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모션 값 및 상기 주변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주변 환경을 반영하는 주변광 값을 획득하고, 상기 모션 값 및 주변광 값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상기 카메라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활성화 데이터를 상기 외부 기기에 제공하되, 상기 모션 값이 모션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주변광 값이 주변광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주변광 값이 상기 주변광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제공하되, 상기 모션값이 상기 모션 임계값 이상이더라도, 상기 주변광 값이 주변광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모션 센서는 전 이중(full duplex)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와 상기 주변광 센서는 반 이중(half duplex)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통신부, 상기 모션 센서, 상기 주변광 센서 및 상기 제어부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객체에 부착되기 위한 접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 중 상기 접착 영역이 위치한 일면과 다른 일면에 상기 주변광 센서가 광을 수신하기 위한 광 센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원기둥 형상으로 구현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는 상기 접착 영역이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광 센싱 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약물 이행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통신부; 및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활성화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상기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되,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수신 세기-상기 수신 세기는 적어도 상기 외부 기기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주변 환경을 반영함-가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카메라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상기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하더라도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키지 않는 웨어러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로부터 상기 활성화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 패킷을 획득하고, 상기 수신 세기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신호 수신 세기일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수신 세기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제1 시점에 수신한 제1 신호의 제1 수신 세기 및 제2 시점에 수신한 제2 신호의 제2 수신 세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는 시점은 상기 제1 시점 및 상기 제2 시점의 사이일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 송신 세기를 반영하는 송신 세기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세기 값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송신 세기 값이 확인되면, 기 설정되어 있던 제1 신호 세기 범위를 상기 송신 세기 값을 이용하여 제2 신호 세기 범위로 변경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신호 수신 세기가 상기 제2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신호 세기 범위는 -100dBm 이상일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신호 세기 범위는 -80dBm 이상일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신호 세기 범위는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기준값은 -100dBm 이상 -50dBm 이하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기준값은 -100dBm 이상 -80dBm 이하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신호 세기 범위는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기준값은 상기 외부 기기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일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수신 세기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는 100cm 이내일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는 70cm 이내일 수 있다.
또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는 20cm 이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확인하는 데에 이용되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모션 센서,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외부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모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기 카메라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활성화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상기 활성화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키되,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세기가 미리 설정된 신호 세기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범위 이내이면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수신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범위 이내가 아니면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키지 않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질병이나 질환의 진단, 치료나 예방 또는 건강 증진 등의 목적으로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또는 그러한 시스템이나 방법에 이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약물' 이란, 질병이나 질환의 진단, 경감, 치료, 처치나 예방 또는 건강 증진에 이용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약물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대응하는 화학적 조성물 자체를 의미하거나 그러한 화학적 조성물을 가공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은 정제형, 캡슐형, 시럽형 또는 도포형 등 다양한 제형으로 존재할 수 있다.
약물은 약물 용기(medication container)에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 용기는 약통, 약병, 블리스터 팩(blister pack), 안약병, 휴대용 약통, 약 상자, 약 봉지, 약 달력 또는 디스펜서(dispens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약물은 용법에 따라 약물 전달 장치(medication delivery device)에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 전달 장치는 흡입기(inhaler), 스프레이(spray), 주사기, 또는 패치(pat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약물 용기는 약물을 수용되는 일정 부피를 가지는 물체 뿐만 아니라 적어도 일부에 약물을 수용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물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행' 이란, 약물이 사용자의 체내에 투입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약물은 제형에 따라 경구형, 경피형, 주사형, 폐입형 또는 점막투여형 등 다양한 전달시스템에 의해 이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약물 이행'은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행위나 사용자에 대한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 이행은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약물을 복용하는 행위, 흡입기와 같은 기구를 통해 약물을 흡입하는 행위, 주사기와 같은 기구를 통해 약물을 체내에 주입하는 행위 또는 약물을 신체 일부에 도포하는 행위, 사용자에게 약물을 투여하는 행위, 흡입기 등을 이용하여 약물을 사용자에게 흡입시키는 행위, 주사기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약물을 주입하는 행위, 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약물을 도포하는 행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약물 이행은 사용자가 주체가 되어 수행되거나 타인이 주체가 되어 사용자에 대해 행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약물 이행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에 대해 주로 서술하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약물 이행이 의료인, 보호자 또는 관리자 등에 의해 사용자에 대해 수행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니터링' 이란,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관한 동작들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은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그로부터 사용자가 약물을 실제로 이행하였는지 여부나 용법에 맞게 이행하였는지 여부 등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모니터링은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약물 이행을 유도하거나 사용자의 상태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등 사용자의 약물 이행을 관리 또는 보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은 단일한 사용자에 대한 모니터링 뿐만 아니라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과 그 구성에 대해 서술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무선 통신 장치(1000), 웨어러블 장치(2000), 서버(3000) 및 단말 장치(400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웨어러블 장치(2000)의 영상 촬영을 트리거 (trigger)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 특정 데이터를 제공하고,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특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의 트리거 역할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약물 용기 또는 약물 전달 장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약물 용기 또는 약물 전달 장치에 부착되고,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여 약물 용기 또는 약물 전달 장치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센서값 또는 주변광(ambient light)이나 조도를 반영하는 센서값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센서값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약물 이행 개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영상 촬영의 개시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약물 이행 과정을 무선 통신 장치(1000)가 감지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에 신호를 전송하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는 과정을 촬영하게 되어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손목 밴드(wrist band), 시계,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또는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안경, 반지, 목걸이 등의 액세서리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 서버(3000) 또는 단말 장치(4000)와 통신을 통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영상을 촬영하여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서버(3000) 또는 단말 장치(40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0)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0)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였는지 여부 또는 약물을 적절한 용법으로 이행하였는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서버(3000)는 기능에 따라 분류되는 복수 개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3000)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분석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 서버는 상술한 바 같이 무선 통신 장치(1000) 또는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분석 서버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 판단 결과를 무선 통신 장치(1000) 또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3000)는 데이터 관리를 위한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렬하여 보호자, 의료인, 및/또는 관리자 등에게 사용자의 약물 이행 관리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는 사용자에 대한 기본 정보, 의료 정보, 약물 이행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고, 관리 서버를 이용하는 의료인, 관리자 또는 보호자는 상술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지시를 줄 수 있다.
서버(3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 또는 단말 장치(4000)와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버(3000)로부터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4000)는 사용자에게 약물 이행 관련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약물 이행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4000)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약물 이행 유도를 위해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장치(4000)는 약물 이행과 관련된 사용자, 보호자, 관리자 또는 의료인 등(이하 '사용자 등'이라 함)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4000)는 핸드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 랩탑(laptop), 데스크탑(desktop), 태블릿(tablet), 노트북, 스마트 워치 또는 헤드-마운트 컴퓨터와 같은 웨어러블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4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 또는 서버(3000)와 통신을 통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장치(1000), 웨어러블 장치(2000), 서버(3000), 또는 단말 장치(4000) 중 어느 하나는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단말 장치(4000)는 생략될 수 있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각 구성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 영상 촬영 개시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버(3000)에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며, 서버(3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 또는 단말 장치(4000)에 영상 분석 데이터 또는 모니터링 결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 영상 촬영 개시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웨어러블 장치(2000)는 단말 장치(4000)에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며, 단말 장치(4000)는 서버(3000)에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며, 서버(3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 또는 단말 장치(4000)에 영상 분석 데이터 또는 모니터링 결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이전에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영상 촬영 개시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영상 촬영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3000)는 영상 촬영 개시에 관한 데이터 또는 영상 촬영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후술하는 중복 복약이나 미복약 등에 대해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웨어러블 장치(2000)가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서버(3000)에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 주로 서술하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어느 한 구성의 기능은 다른 한 구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 때 서버(3000)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센서부(1100), 제1 메모리(1200), 제1 통신부(1300) 및 제1 제어부(140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움직임 또는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거나 인식할 수 있다.
센서부(1100)는 모션 센서(1110)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1110)는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1110)는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위치 이동, 가속도, 기울기 변화 또는 회전 등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제1 제어부(1400)에 제공하고, 제1 제어부(1400)는 그로부터 가속도 값, 각속도 값, 지자기 값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센서(111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지자기 센서, 관성 센서(IMU: Inertia Measurement Unit)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1110)는 서로 다른 회로 기판에 집적되어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모션 센서(1110)는 하나의 회로 기판에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 등이 집적되어 함께 제어되는 6축 센서 또는 9축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모션 센서(1110)는 3축 가속도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또는 3축 지자기 센서 등 하나의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센서부(1100)는 주변광 센서(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광 센서(1120)는 무선 통신 장치(1000) 주변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광 센서(1120)는 무선 통신 장치(1000) 주변의 밝기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제1 제어부(1400)에 제공하고, 제1 제어부(1400)는 그로부터 주변광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센서부(1100)는 제1 제어부(1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1100)가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각 센서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제1 제어부(1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0) 및 제1 제어부(1400)는 직렬 통신(serial communication)을 이용할 수 있고, 센서부(1100)의 어느 한 센서는 하나의 데이터라인을 이용하는 반 이중(half duplex) 방식으로 제1 제어부(1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다른 한 센서는 두 개의 데이터라인을 이용하는 전 이중(full duplex) 방식으로 제1 제어부(1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100)가 모션 센서(1110) 및 주변광 센서(1120)를 포함할 때, 모션 센서(1110)는 제1 제어부(1400)와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주변광 센서(1120)는 제1 제어부(1400)와 I2C(Inter-Integrated Circuit)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제어부(1400)는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모션 센서(1110)보다는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크지만 속도가 빠른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주변광 센서(1120)보다는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리지만 전력 소모가 작은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결과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성능 및 배터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센서부(1100)가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각 센서는 같은 방식으로 제1 제어부(1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센서는 제1 제어부(1400)와 반 이중 방식 또는 전 이중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1100)는 모션 센서(1110) 또는 주변광 센서(1120) 외에 다른 센서, 예를 들어 사용자나 다른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또는 근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한편, 센서부(1100)는 센서부(1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제어 모듈은 센서부(1100)의 센서들과 밀접하게 배치되어 센서들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거나 센서들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여 센서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제어 모듈은 센서부(1100)의 센서들을 후술하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시키거나 일반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센서 제어 모듈은 센서부(1100)의 센서로부터 획득한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센서값을 획득하고 이를 제1 제어부(14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제어 모듈은 센서부(1100)의 센서들과 같은 기판에 구현되어 센서들을 제어하거나 센서들과는 별도의 기판에 구현되어 센서들과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소모 전력 관리를 위해, 센서부(1100)는 저전력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센서부(1100)가 저전력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센서부(1100)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1000)의 배터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저전력 모드는 일반 모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낮은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센서부(1100)는 일반 모드 및 저전력 모드에서 서로 다른 방법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동작에 소모되는 전력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0)는 일반 모드 보다 저전력 모드에서 더 낮은 센싱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션 센서(1110)는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에서 보다 긴 주기로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제1 제어부(1400)는 일반 모드보다 저전력 모드에서 더 긴 주기로 모션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모션 센서(1110)는 일반 모드에서 저전력 모드에서 보다 짧은 주기로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제1 제어부(1400)는 저전력 모드보다 일반 모드에서 더 짧은 주기로 모션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주변광 센서(1120)는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에서 보다 긴 주기로 무선 통신 장치(1000) 주변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고, 제1 제어부(1400)는 일반 모드보다 저전력 모드에서 더 긴 주기로 주변광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주변광 센서(1120)는 일반 모드에서 저전력 모드에서 보다 짧은 주기로 무선 통신 장치(1000) 주변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고, 제1 제어부(1400)는 저전력 모드보다 일반 모드에서 더 짧은 주기로 주변광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센서부(1100)는 일반 모드에서는 모든 센서가 동작하지만 저전력 모드에서는 일반 모드에서 동작하는 센서 중 일부 센서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션 센서(1110)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또는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제어부(1400)는 저전력 모드에서 어느 한 센서(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센서 값(ex. 가속도 값)만을 획득하고, 일반 모드에서 다른 센서(ex. 자이로 센서 및/또는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다른 센서 값(ex. 자이로 값 및/또는 지자기 값)까지 획득할 수 있다.
센서부(1100)가 상술하는 바와 같이 특정 상황에서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고 다른 특정 상황에서는 일반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배터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센서부(1100)가 저전력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특정 상황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제1 메모리(120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메모리(1200)에는 각종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제1 메모리(1200)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HDD: 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있을 수 있다.
제1 메모리(12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에 내장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제1 제어부(1400)에 의해 데이터를 저장, 로딩(loading), 삭제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제1 메모리(1200)에는 무선 통신 장치(1000)를 구동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OS: Operating System)이나 무선 통신 장치(1000)의 각 구성을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을 비롯해 무선 통신 장치(10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모리(1000)에는 제1 제어부(1400)가 센서부(1100)를 이용하여 획득한 센서값이나 추후 서술하는 웨어러블 장치(2000) 트리거를 위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메모리(1000)에는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식별 정보, 제조사 정보, 제품 정보, 모션 값이나 주변광 값 등의 센서 값, 활성화 데이터 및 센서부(1100)를 제어하고 활성화 데이터를 산출하는 알고리즘에 관한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3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 외부의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300)는 블루투스(Bluetooth)나 직비(Zigbee)와 같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1 통신부(1300)는 와이파이(Wi-Fi) 같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이나 그 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또는 NFMI(Near Field Magnetic Induction) 등의 알려진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통신부(1300)는 복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이 경우 각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 모듈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제1 통신부(1300)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2000)와 신호 또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1 제어부(14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센서부(1100)로부터 획득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부(1400)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400)는 하드웨어적으로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하드웨어적 회로를 구동 시키는 프로그램이나 코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일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형 배터리로 구현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원부가 충전형 배터리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20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카메라 모듈(2100), 입출력부(2200), 제2 메모리(2300), 제2 통신부(2400) 및 제2 제어부(25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100)은 카메라(2100)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미리 설정된 영역에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2100)은 미리 설정된 시야범위(FoV: Field of View)를 가지고, 제2 제어부(2500)는 카메라 모듈(21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약물 이행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장치(200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면 카메라 모듈(2100)의 시야범위(Fov)에 사용자의 손바닥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 있고,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약물을 이행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2100)은 약물, 사용자의 약물 이행 행위에 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100) 은 RGB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 또는 깊이 카메라(depth camera)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로 다른 촬영 방식을 이용하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22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모듈 및 각종 정보를 출력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키 입력, 터치 입력, 음성 음력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모듈은 전통적인 형태의 키패드나 키보드, 마우스는 물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및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거나 입력 받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또한, 입력 모듈은 자체적으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장치 대신 전자 기기에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외부의 입력 장치를 연결시키는 입력 인터페이스(USB 포트, PS/2 포트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출력 모듈은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장치 및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출력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이외에도 출력 모듈은 전자 기기에 개별 출력 수단을 연결시키는 포트 타입의 출력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 메모리(230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메모리(2300)에는 각종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제2 메모리(2300)의 구성이나 구현 형태는 상술한 제1 메모리(120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메모리(2300)에는 웨어러블 장치(2000)를 구동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이나 웨어러블 장치(2000)의 각 구성을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을 비롯해 웨어러블 장치(20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메모리(2300)에는 제2 제어부(2500)가 카메라 모듈(2100)을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 데이터나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메모리(2300)에는 무선 통신 장치(1000)에 대한 식별 정보, 제조사 정보, 및/또는 제품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2 통신부(2400)는 웨어러블 장치(2000) 외부의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400)의 구성이나 구현 형태는 상술한 제1 통신부(130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2 통신부(2400)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1000), 서버(3000), 또는 단말 장치(4000)와 신호 또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2 제어부(25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카메라 모듈(2100)로부터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제2 통신부(2400)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1000)에 특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거나 서버(3000)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500)의 구성이나 구현 형태는 상술한 제2 제어부(140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웨어러블 장치(2000)는 각종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심박수 센서, 온도 센서, 혈압 센서, 근접 센서, 또는 EEG(Electroencephalogram)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ex. 약물 이행 행위, 걷거나 뛰는 행위, 또는 낙상 등)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일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형 배터리로 구현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원부가 충전형 배터리인 경우 웨어러블 장치(2000)는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버(3000)는 데이터 처리, 분석 및 관리를 위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서버(3000)는 서버 입출력부(3100), 서버 메모리(3200), 서버 통신부(3300), 및 서버 제어부(34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0)의 각 구성의 형태나 구현 방식에 대하여는 상술한 무선 통신 장치(1000) 또는 웨어러블 장치(2000)의 구성에 대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도록 한다.
서버(3000)는 서버 통신부(3300)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2000) 및 단말 장치(40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통신부(3300)는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약물 이행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서버 제어부(3400)에 의해 영상 데이터로부터 도출된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에 대한 결과를 웨어러블 장치(2000) 및/또는 단말 장치(40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 통신부(3300)는 단말 장치(4000)로부터 약물 정보, 처방 정보, 약물 이행 일정, 또는 사용자의 상태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3000)는 서버 메모리(3200)에 서버(3000)를 구동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이나 서버(3000)의 각 구성을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을 비롯해 서버(30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0)는 서버 메모리(3200)에 약물 이행 여부 판단에 이용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400)는 서버(3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제어부(3400)는 서버(30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 제어부(3400)는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 판단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단말 장치(4000)는 사용자, 보호자 또는 의료인에게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약물 이행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UI/UX(User Interface/User Experience)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 장치(4000)는 입력부, 출력부, 메모리, 통신부, 제어부 및 전원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4000)의 각 구성의 형태나 구현 방식에 대하여는 상술한 무선 통신 장치(1000) 또는 웨어러블 장치(2000)의 구성에 대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말 장치(40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약물 이행을 유도하기 위한 스케줄링 서비스 또는 알림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때, 단말 장치(4000)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함에 있어, 웨어러블 장치(2000) 또는 서버(3000)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를 반영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4000)는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생략될 수 있으며, 상술한 단말 장치(4000)의 기능이 웨어러블 장치(2000) 또는 서버(3000)에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동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는 환경에서 하기와 같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객체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객체에 부착되거나 객체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클립, 줄 등의 연결 부재를 통해 객체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사용자가 약물 이행을 위해 접근해야 하는 대상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는 약물이 보관되어 있는 약물 용기 또는 약물 전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다양한 방법으로 객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접착 부재를 통해 객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양면 테이프, 벨크로 테이프, 접착패드, 젤 패드, 에폭시 접착제, 또는 실리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객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객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객체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약물 이행 과정에서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원기둥, 다각 기둥, 반구, 또는 각뿔 등 곡면이나 평면을 포함하는 도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객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객체가 원기둥 형상의 약통일 때, 무선 통신 장치(1000)도 원기둥 형상을 가지거나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 과정에서 무선 통신 장치(1000)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고, 사용자가 약물을 객체로부터 꺼내기 위해 객체에 접근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2000)가 무선 통신 장치(1000)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 과정에서 움직이거나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객체로부터 약물을 꺼내기 위해 무선 통신 장치(1000)가 부착된 객체를 움직이거나 회전시키는 경우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위치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움직인 정도 및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 데이터는 무선 통신 장치(1000) 외부의 기기의 특정 기능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 데이터는 웨어러블 장치(2000)의 카메라 모듈(2100)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활성화 데이터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하여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하면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장치(1000)에서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제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사용자가 객체로부터 약물을 꺼내거나 이행하는 등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점에서,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관한 영상 데이터, 구체적으로 약물을 복용하거나 체내에 투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3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0)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웨어러블 장치(2000) 또는 단말 장치(4000)에 전송하여 사용자, 보호자 또는 의료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각 구성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대해서 서술한다.
*
*
*170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의 통신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0)에서 송신하는 데이터 패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페어링(pairing) 과정 및 연결(connecting) 과정을 거칠 수 있다.
페어링 과정은 서로 다른 기기가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전에 서로를 인식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는 페어링 과정에서 링크키(link-key)를 공유하고 암호화된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페어링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애드버타이징(advertising) 신호를 외부에 송신할 수 있다(S110).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제1 통신부(1300)를 이용하여 외부에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애드버타이징 신호는 특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애드버타이징 신호는 프리앰블(preamble), 접속 주소(access address), PDU(Protocol Data Unit), 및 CRC(Cyclic Redundancy Check)로 구성된 애드버타이징 채널 패킷(advertising channel packet)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앰블은 1 octet, 접속 주소는 4 octets, PDU는 2 내지 39 octets, CRC는 3 octets의 데이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애드버타이징 신호는 페어링 과정을 위한 신호로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식별 데이터, 제조자 데이터, 및/또는 송신 세기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무선 통신 장치(1000)에서 획득한 센서 값, 활성화 데이터 등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애드버타이징 신호는 후술하는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식별 데이터, 제조자 데이터, 송신 세기 데이터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모션 값 또는 주변광 값과 같은 센서 값 및/또는 활성화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애드버타이징 신호는 애드버타이징 PDU, 애드버타이징 패킷, 애드버타이징 프레임, 또는 애드버타이징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애드버타이징 신호는 방식 불특정 대상에 신호를 송신하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 또는 특정 대상에 신호를 송신하는 유니캐스트(unicast)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특정 주기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20ms 내지 10.24s에서 설정되는 주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배터리 효율 및 사용자의 약물 이행 시간을 고려하여 애드버타이징 신호 송신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수신하면 스캔 요청(scan request)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120).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제1 통신부(1300)로부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수신하면 제2 통신부(2400)를 통해 외부에 스캔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웨어러블 장치(2000)는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무선 통신 장치(10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캔 요청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스캔 응답(scan response)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130).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제2 통신부(2400)로부터 스캔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제1 통신부(1300)를 이용하여 외부에 스캔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스캔 요청 신호 및 스캔 응답 신호는 특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 요청 신호는 통신하고자 하는 대상의 장치 이름,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스캔 응답 신호는 스캔 요청 신호에서 요청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이름, 고유 식별 정보 등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요청 신호 및 스캔 응답 신호는 애드버타이징 신호의 데이터 패킷과 동일한 구성의 데이터 패킷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캔 요청 신호는 스캔 요청 PDU, 스캐닝(scanning) PDU, 스캔 요청 패킷, 스캔 요청 프레임, 또는 스캔 요청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술한 애드버타이징 신호, 스캔 요청 신호 및 스캔 응답 신호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특정 타이밍(timing)으로 송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애드버타이징 신호, 스캔 요청 신호 및 스캔 응답 신호는 BLE 통신 대역 2.400GHz~2.480GHz 중 3개 채널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는 페어링될 수 있다(S140).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는 스캔 요청 신호 및/또는 스캔 응답 신호를 통해 미리 설정된 링크키 또는 암호키를 공유하여 암호화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가 페어링된 경우 페어링이 해제되기 전까지는 페어링 과정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 사이의 페어링은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입출력부(2200)를 통해 사용자 등의 입력을 받아 무선 통신 장치(1000)와 공유하는 링크키 또는 암호키를 삭제하여 페어링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가 과거에 페어링이 이루어진 경우, 페어링되는 단계(S140)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가 이미 링크키 또는 암호키를 공유한 경우, 무선 통신 장치(1000)에서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신하고(S110),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스캔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S120), 무선 통신 장치(1000)에서 스캔 응답 신호를 송신하면(S130)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는 자동으로 페어링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연결 과정은 서로 다른 기기가 페어링 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는 연결 과정에서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거나 데이터 송수신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송수신 타이밍은 배터리 효율 및 사용자의 약물 이행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연결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제1 통신부(1300)를 이용하여 제2 통신부(2400)에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S210)의 애드버타이징 신호는 단계(S110)의 애드버타이징 신호와 동일한 데이터 패킷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애드버타이징 신호는 페어링 과정에서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 사이에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에 연결 요청(connect request)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제1 통신부(1300)로부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수신하면 제2 통신부(2400)를 통해 무선 제1 통신부(1300)에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연결 요청 신호는 연결 요청 PDU, 개시(initiation) PDU, 연결 요청 패킷, 연결 요청 프레임, 또는 연결 요청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제2 통신부(2400)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애드버타이징 모드에서 연결 모드로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애드버타이징 모드는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웨어러블 장치(2000)와 연결되기 전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주기적으로 외부에 송신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연결 모드는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웨어러블 장치(2000)와 연결된 후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 사이에 형성되는 후술하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연결 단계(S230)에서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 채널이 형성되면 무선 통신 장치(2000)의 데이터 송수신 주파수 대역 및 타이밍과 웨어러블 장치(2000)의 데이터 송수신 주파수 대역 및 타이밍이 서로 대응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가 서로 연결되면,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는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데이터 송수신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연결을 확인하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무선 통신 장치(1000) 또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연결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면 웨어러블 장치(2000) 또는 무선 통신 장치(1000)에서 연결 확인 신호(acknowledge signal)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수신하는 활성화 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와 연결된 후 연결 확인 요청 신호 또는 연결 확인 신호와 함께 활성화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연결 과정에서 무선 통신 장치(1000)는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웨어러블 장치(2000)에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210), 웨어러블 장치(2000)가 무선 통신 장치(1000)에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220), 및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가 서로 연결되는 단계(S230) 중 적어도 한 단계에서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센서부(1100)를 동작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획득한 센서 값에 기초하여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연결 과정과 마찬가지로 페어링 과정에서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연결 과정은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의 위치 관계에 따라 수행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 사이에 연결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페어링 과정 및 연결 과정은 자동으로 이루어지거나 사용자 등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수신하면 입출력부(2200)를 통해 사용자 등에게 무선 통신 장치(1000)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 등의 입력을 수신하여 무선 통신 장치(1000)에 스캔 요청 신호 또는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제품 번호 또는 제조 번호 등 사전에 미리 설정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자동으로 무선 통신 장치(1000)에 스캔 요청 신호 또는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연결 단계(S230) 후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240).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특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 단계(S230)에서 형성된 데이터 송수신 채널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신호는 특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데이터 신호는 프리앰블, 접속 주소, PDU, 및 CRC로 구성된 데이터 채널 패킷(data channel packet)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앰블은 1 octet, 접속 주소는 4 octets, PDU는 2 내지 257 octets, CRC는 3 octets의 데이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 여기서, 데이터 신호는 후술하는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식별 데이터, 제조자 데이터, 송신 세기 데이터, 모션 데이터, 주변광 데이터, 및/또는 활성화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애드버타이징 채널 패킷 및 데이터 채널 패킷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애드버타이징 채널 패킷의 PDU는 애드버타이저 헤더(advertiser header), 애드버타이저 주소(advertiser address) 및 애드버타이징 페이로드(advertising payload)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애드버타이저 주소는 제품 고유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매체 접근 제어 주소(MAC address: Media Access Control address)를 의미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애드버타이징 페이로드는 특정 제조사 제품임을 나타내기 위한 범용 고유 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및 송신하는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송신 세기(Tx pow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데이터 채널 패킷의 PDU는 데이터 헤더(data header), 데이터 페이로드(data payload), MIC(Message Integrity Check)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IC는 생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애드버타이징 채널 패킷의 PDU와 데이터 채널 패킷의 PDU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채널 패킷의 PDU의 최대 길이가 애드버타이징 채널 패킷의 PDU의 채널 길이 보다 길어 더 많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식별 데이터 또는 애드버타이저 주소 등을 전송하는 경우 애드버타이징 채널 패킷 형태의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후술하는 센서 값, 활성화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 채널 패킷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데이터 신호 전송 단계(S240)에서 데이터 채널 패킷의 데이터 페이로드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포함시켜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장치(10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페어링 과정 또는 연결 과정 없이 웨어러블 장치(20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애드버타이징 채널 패킷의 애드버타이징 페이로드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포함시켜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는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S250).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데이터 송수신을 중단하거나 연결 해제 신호/연결 해제 확인 신호를 송수신하여 연결 단계(S230)에서 형성된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통신 장치(1000) 또는 웨어러블 장치(2000)가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이면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는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5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획득한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거리에 대응하는 세기 이하이면 무선 통신 장치(1000)에 연결 해제 신호를 전송하거나 데이터 신호 전송을 중단하여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웨어러블 장치(2000)에 활성화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는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 활성화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 후 연결 해제 신호를 전송하거나 데이터 신호 전송을 중단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가 서로 연결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는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 장치(1000)에서 웨어러블 장치(2000)로의 데이터 신호 전송 또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무선 통신 장치(1000)로의 연결 확인 요청 신호 또는 연결 확인 신호 전송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는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센서부(1100)를 이용하여 획득하는 센서 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이면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는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400)가 모션 센서로부터 획득한 모션 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거나 모션 값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변화량 이하이면 데이터 신호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또는, 제1 제어부(1400)가 주변광 센서로부터 획득한 주변광 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이면 연결 해제 신호를 전송하거나 데이터 신호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장치(1000)는 페어링 과정 또는 연결 과정에서 동작하는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와 페어링되기 전에는 후술하는 슬립 상태(sleep state)로 동작하다가 웨어러블 장치(2000)와 페어링되는 과정 또는 페어링된 후 후술하는 스탠바이 상태(standby state)로 변경되어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와 연결되기 전에는 슬립 상태로 동작하다가 웨어러블 장치(2000)와 연결되는 과정 또는 연결된 후 스탠바이 상태로 변경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가 블루투스 저전력 에너지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하는 경우를 위주로 서술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가 비컨(beacon)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상술한 페어링 과정 및/또는 연결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가 Wi-Fi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무선 통신 장치(1000)에서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약물 이행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약물 이행에 관련된 데이터는 다양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 이행에 관련된 데이터는 사용자가 약물 이행하는 과정을 반영하는 이미지, 영상, 소리,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약물 이행에 관련된 데이터가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는 과정을 반영하는 영상 데이터인 경우에 대해 주로 서술하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약물 이행과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 소리 데이터, 모션 데이터 또는 다른 데이터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영상 데이터가 사용자의 약물 이행 과정을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영상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과 영상을 촬영하는 위치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영상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은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기 위해 약물이 수용된 객체 일정 속도 이상으로 접근한 시점, 약물을 수용하는 객체를 움직인 시점, 약물을 수용하는 객체의 마개를 분리하거나 움직인 시점, 또는 약물을 객체로부터 꺼내는 시점 등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영상을 촬영하는 위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2000)일 수 있고, 웨어러블 장치(2000)가 착용되는 위치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는 위치는 사용자의 손목, 눈, 손가락 주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이 촬영되는 시점은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기 위해 약물을 수용하는 객체를 움직인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고, 영상을 촬영하는 위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2000)일 수 있다.
한편, 영상 데이터가 사용자의 약물 이행 과정을 반영하는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는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객체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영상 촬영 개시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2000)에 활성화 데이터를 전송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의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 데이터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이 시작됨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객체의 움직임 및/또는 객체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약물 이행이 시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장치(2000)는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하면,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활성화 데이터는 촬영 개시 필요 여부를 지시하는 데이터 또는 웨어러블 장치(2000)의 카메라 모듈(2100)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데이터로 해석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1000)에서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센서부(1100)에서 감지하는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상태 또는 주변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모션 센서(1110)로부터 모션 값을 획득하는 단계(S1100), 모션 값이 모션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1200), 주변광 센서(1120)로부터 주변광 값을 획득하는 단계(S1300), 주변광 값이 주변광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1400), 및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변경하는 단계(S1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단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모션 센서(1110)로부터 모션 값을 획득할 수 있다(S1100).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객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약물 이행을 위해 객체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면 제1 제어부(1400)는 모션 센서(1110)로부터 객체의 이동 및/또는 회전에 대응하는 모션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모션 센서(111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모션 값은 가속도 값, 자이로 값 또는 지자기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모션 센서(1110)를 이용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약물 이행 과정에서 객체에 부착되어 객체와 함께 이동하거나 회전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1000)는 가속도 센서 및/또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객체의 위치 이동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위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위치 이동은 약물 이행을 위해 사용자가 객체를 움직인 경우에 대응할 수 있다.
또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1000)는 가속도 센서 및/또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객체의 회전 운동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0)의 회전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장치(1000)의 회전 운동은 약물 이행을 위해 사용자가 객체의 마개를 여는 등의 행위를 반영할 수 있다.
또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100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또는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객체의 기울어짐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장치(1000)의 기울어짐은 사용자가 약물 이행 과정에서 객체를 흔들거나 기울이는 행위를 반영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센서(1110)는 객체에 부착된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위치 이동하는 정도, 회전하는 정도 또는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위치 이동하는 정도, 회전하는 정도 또는 기울어진 정도는 모션 값 중 가속도 값, 자이로 값, 또는 지자기 값에 반영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모션 값이 모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00).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사용자가 약물 이행 과정 중 약물이 수용된 객체를 움직이는 행위를 감지하기 위해 모션 값이 모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모션 센서(1110)로부터 획득한 모션 값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모션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모션 조건은 사용자가 약물 이행 과정에서 약물을 복용하거나 체내에 주입 전 약물을 꺼내거나 준비하는 행위를 인식하기 위한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모션 조건은 모션 값의 변화량이 모션 임계값 이상인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조건은 서로 다른 시점에서 획득한 가속도 값의 차이가 가속도 임계값 이상인 조건, 서로 다른 시점에서 획득한 자이로 값의 차이가 자이로 임계값 이상인 조건, 서로 다른 시점에서 획득한 지자기 값의 차이가 지자기 임계값 이상인 조건,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임계값은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움직인 것으로 인정되는 모션 값들의 차이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조건은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가속도 값의 변화량이 0.15 이상인 경우로 설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x축, y축, z축 값의 변화량이 각각 0.15 이상인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모션 조건은 자이로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자이로 값의 변화량이 0.15 이상인 경우로 설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자이로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피치(pitch), 롤(roll), 요(yaw) 값의 변화량이 각각 0.15 이상인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모션 임계값은 무선 통신 장치(1000)가 부착되는 객체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약통 등의 객체에 부착되면 사용자가 약물을 꺼낼 때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상대적으로 작거나 느리게 움직일 수 있고,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약 상자 등의 객체에 부착되면 사용자가 약물을 꺼낼 때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상대적으로 크거나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이 때, 모션 임계값은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약통 등에 부착되는 경우보다 약 상자 등에 부착되는 경우 더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모션 조건은 모션 값이 모션 임계값 이상인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조건은 가속도 값이 가속도 임계값 이상인 조건, 자이로 값이 자이로 임계값 이상인 조건, 지자기 값이 지자기 임계값 이상인 조건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임계값은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움직인 것으로 인정되는 최소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모션 조건은 사용자의 약물 이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용자의 행위가 순차적으로 감지되는 조건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모션 조건은 가속도 값이 가속도 임계값 이상이 된 후 자이로 값이 자이로 임계값 이상이 되는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모션 조건은 모션 값을 통해 감지해야 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객체를 이동시킨 후 무선 통신 장치(1000)가 부착된 객체의 일부를 회전시키는 행위로 가정하는 경우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션 조건은 지자기 값이 지자기 임계값 이상이 된 후 가속도 값이 가속도 임계값 이상이 되는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모션 조건은 모션 값을 통해 감지해야 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객체를 흔든 후 이동시키는 행위로 가정하는 경우에 대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모션 조건은 자이로 값이 자이로 임계값 이상이 된 후 가속도 값이 가속도 임계값 이상이 되는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모션 조건은 모션 값을 통해 감지해야 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무선 통신 장치(1000)가 부착된 객체의 일부를 회전시킨 후 약물을 꺼내는 행위로 가정하는 경우에 대응될 수 있다.
모션 조건 만족 여부 판단 단계(S1200)는 특정 시점에서 또는 특정 시간 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 연결 확인 요청 신호, 연결 확인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의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 모션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상술한 신호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모션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션 조건 만족 여부 판단 시점에 대해서는 추후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모션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변광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모션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모션 센서(1110)를 저전력 모드로 동작시키거나, 턴오프(turn-off) 시키거나, 또는 모션 센서(1110)로부터 다시 모션 값을 획득하여 모션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등 센서부(1100)를 제어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주변광 센서(1120)로부터 주변광 값을 획득할 수 있다 (S1300). 주변광 값은 무선 통신 장치(1000) 주변의 밝기를 반영하여, 무선 통신 장치(1000)가 부착된 객체 주변의 밝기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사용자의 약물 이행이 시작되는지 판단하기 위해서, 객체 주변의 밝기 또는 조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객체는 다양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고, 객체 주변의 밝기 역시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일 예로, 객체는 보관을 위해 가방이나 보관함에 보관될 수 있고, 사용자는 외출 시 객체가 보관된 가방이나 보관함을 가지고 외출할 수 있다. 이 경우 객체 주변의 밝기는 상대적으로 어두울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약물 이행 시 객체는 상대적으로 밝은 장소에 위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지 않는 때에 객체는 상대적으로 어두운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는 경우라도 객체는 상대적으로 어두운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주변광 값이 주변광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00).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 환경 조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객체 주변의 밝기에 관한 주변광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광 조건은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를 인식하기 위한 조건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객체가 보관된 가방을 들고 외출하는 경우,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객체는 사용자가 약물 이행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움직일 수 있다. 이 때,무선 통신 장치(1000)는 모션 조건 만족 여부 뿐만 아니라 주변광 조건 만족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변광 조건은 주변광 값이 주변광 임계값 이상인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광 임계값은 약물 이행 시 확보되어야 하는 밝기 값, 약물 구분을 위해 확보되어야 하는 밝기 값, 사람의 시야가 확보되는 평균 밝기 값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 주변의 조명이 없어 상대적으로 어두운 경우에도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상술한 주변광 임계값은 매우 낮게 설정될 수도 있다.
주변광 조건 만족 여부 판단 단계(S1400)는 특정 시점에서 또는 특정 시간 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모션 조건이 만족된 시점에 모션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모션 조건이 만족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주변광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주변광 조건 만족 여부 판단 시점에 대해서는 추후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주변광 조건이 만족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주변광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모션 센서(1110) 및/또는 주변광 센서(1120)를 후술하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시키거나, 턴오프 시키거나, 또는 모션 센서(1110)로부터 모션 값을 획득하여 모션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거나, 주변광 센서(1120)로부터 다시 주변광 값을 획득하여 주변광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등 센서부(1100)를 제어할 수 있다.
주변광 조건 만족 여부 판단 단계(S1400)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모션 조건이 만족되더라도 주변광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써 객체가 움직이더라도 약물은 이행되지 않는 상황(ex. 사용자가 외출 시 객체를 보관한 가방을 들고 이동하는 경우)을 구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무분별하게 웨어러블 장치(2000)의 카메라 모듈(2100)이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사용자 자신 또는 타인의 프라이버시 보호가 가능하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활성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S1500).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와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따라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에서 웨어러블 장치(2000)에 활성화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한편, 상술한 단계들(S1100~S1400)은 수행되는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주변광 센서(1120)로부터 주변광 값을 획득하여 주변광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 주변광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모션 센서(1110)로부터 모션 값을 획득하여 모션 값이 모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모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활성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모션 센서(1110)및 주변광 센서(1120)를 이용하여 모션 값 및 주변광 값을 획득하며, 획득된 모션 값이 모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주변광 값이 주변광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주변광 조건이 만족되면 활성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 한편, 상술한 단계들(S1100~S14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변광 센서(1120)로부터 주변광 값을 획득하는 단계(S1300) 및 주변광 값이 주변광 조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0)는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모션 센서(1110)를 이용하여 획득한 모션 값이 모션 조건을 만족하면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고, 이로써 영상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모션 조건은 약물 이행 과정에서 사용자의 특정 움직임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점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모션 조건은 가속도 값이 가속도 임계값 이상이 된 후 자이로 값이 자이로 임계값 이상이 되는 제1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조건은, 사용자는 약물을 이행함에 있어서 객체를 움직인 뒤 약물을 꺼내기 위해 무선 통신 장치(1000)가 부착된 객체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대응되는 조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모션 조건은 자이로 값이 자이로 임계값 이상이 된 후 가속도 값이 가속도 임계값 이상이 되는 제2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조건은,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함에 있어서 객체로부터 약물을 꺼내기 위해 무선 통신 장치(1000)가 부착된 부분을 회전 시킨 후에 객체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응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모션 조건은 가속도 값의 순간 변화량,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의 변화량, 자이로 값의 순간 변화량 및/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의 변화량 등이 각각 해당 임계값 이상이 되는 제3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모션 조건은 상술한 제1 조건, 제2 조건 및 제3 조건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무선 통신 장치(1000)에서 활성화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상술한 모션 조건 및/또는 주변광 조건이 만족되면 웨어러블 장치(2000)에 활성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 활성화 데이터가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웨어러블 장치(2000)로 전송되는 과정을 보다 자세하게 서술한다.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로 연결된 후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로 연결된 상태이고,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웨어러블 장치(2000)에 신호를 전송하고 웨어러블 장치(2000)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무선 통신 장치(1000)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장치(2000)가 무선 통신 장치(1000)에 연결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 신호(T)는 연결 확인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일 수 있고, 신호(R)는 연결 확인 요청 신호, 또는 무선 통신 장치(1000)에서 전송한 신호를 수신함을 지시하는 수신 확인 신호일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웨어러블 장치(2000)에 연결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 신호(T)는 연결 확인 요청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일 수 있고, 신호(R)는 연결 확인 신호, 또는 신호(T)를 수신함을 지시하는 수신 확인 신호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웨어러블 장치(2000)가 무선 통신 장치(1000)에 연결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로 웨어러블 장치(2000)가 무선 통신 장치(1000)로 연결 확인 요청 신호 또는 수신 확인 신호를 전송하고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웨어러블 장치(2000)로 연결 확인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 주로 서술한다. 다만,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웨어러블 장치(2000)에 연결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신호(R)를 수신하면 모션 센서(1110)를 이용하여 모션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연결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모션 센서(1110)를 턴온(turn-on) 시키거나 활성화시켜 모션 센서(1110)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모션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수신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모션 센서(1110)를 턴온시키거나 활성화시킬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모션 조건이 만족되면 주변광 센서(1120)를 이용하여 주변광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모션 센서(1110)를 이용하여 획득한 모션 값이 모션 임계값 이상이 되면 주변광 센서(1110)를 턴온 시키거나 활성화시켜 주변광 센서(1120)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주변광 값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신호(R)를 수신하면 모션 센서(1110) 및 주변광 센서(1120)를 이용하여 모션 값 및 주변광 값을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연결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모션 센서(1110) 및 주변광 센서(1120)를 턴온 시키거나 활성화시켜 모션 센서(1110) 및 주변광 센서(1120)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모션 값 및 주변광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모션 조건 및/또는 주변광 조건이 만족되면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모션 값이 모션 임계값 이상이고, 주변광 값이 주변광 임계값 이상이면 웨어러블 장치(2000)의 카메라 모듈(2100)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전송하는 데이터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모션 값이 모션 임계값 이상이거나 주변광 값이 주변광 임계값 이상이면 웨어러블 장치(2000)의 카메라 모듈(2100)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전송하는 데이터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 데이터는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페이로드에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페이로드는 활성화 데이터 외에 모션 값 및/또는 주변광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 연결 확인 신호와 함께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거나, 연결 확인 신호 대신에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연결 확인 신호와는 별도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영상 촬영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만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영상 촬영 필요성이 없는 경우에는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보다 빠르게 웨어러블 장치(20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 활성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모션 조건 및/또는 주변광 조건이 만족되면 웨어러블 장치(2000)에 활성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 신호는 무선 통신 장치(1000)에서 웨어러블 장치(2000)로 전송되는 신호(ex. 연결 확인 신호)가 포함하는 데이터의 일부 값을 변경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무선 통신 장치(1000)의 모션 센서(1110)가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고 서로 다른 타이밍에 센서 값이 획득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을 참조하면, 모션 센서(1110)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연결 확인 요청 신호 또는 수신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자이로 센서를 턴온 시키거나 활성화시키고,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자이로 값이 자이로 임계값 이상이면 가속도 센서를 턴온 시키거나 활성화시키고,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가속도 값이 가속도 임계값 이상이면 주변광 센서를 턴온 시키거나 활성화시키며, 주변광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주변광 값이 주변광 임계값 이상이면 웨어러블 장치(2000)의 카메라 모듈(2100)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전송하는 데이터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 활성화 데이터 및 비활성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모션 조건 및/또는 주변광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비활성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전송하고, 모션 조건 및/또는 주변광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활성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비활성화 데이터 및 활성화 데이터는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페이로드에 포함될 수 있으며, 특정 값(예를 들어, 0 또는 1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센서부(1100)로부터 센서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 연결 확인 신호를 송신하면 센서부(1100)를 턴온시키거나 활성화시켜 센서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센서값에 기초하여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활성화 데이터를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 부수적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제1 통신부(1300)를 통해 제2 제어부(2500)에 활성화 데이터 이외에 식별 데이터, 제조사 데이터, 모션 데이터, 주변광 데이터 및/또는 송신 세기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수적인 데이터는 상술한 데이터 신호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전송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장치(2000) 부수적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2100)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부수적인 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무선 통신 장치(1000)가 동작하는 상태에 대해서 서술한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는 시기마다 동작해야 하고, 그에 따라 배터리가 효율적으로 관리될 필요가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1000)가 다양한 상태에서 동작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1000)에서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줄이고 배터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0)가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슬립 상태(sleep state), 스탠바이 상태(standby state) 또는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웨어러블 장치(2000)와의 연결을 대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센서부(1100)를 상술한 저전력 모드로 동작시키고 센서 값을 획득하지 않거나 미리 설정된 주기 이상의 주기로 센서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센서부(11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움직임이나 주변 밝기를 감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400)는 슬립 상태에서 센서부(1100)에 센서부(1100)가 턴오프(turn off)되지 않는 최소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슬립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움직임 또는 주변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센서부(1100)를 활성화시켜 센서 값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400)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모션 센서(1110) 및 주변광 센서(1120)를 활성화시켜 모션 값 및 주변광 값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센서부(1100)의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시켜 센서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센서부(1100)의 일부는 활성화시키고 다른 일부는 활성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400)는 모션 센서(1110)는 활성화시키고 주변광 센서(1120)는 활성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센서부(1100)를 저전력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센서부(1100)의 일부는 일반 모드로 동작시키고 다른 일부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400)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모션 센서(1110)를 일반 모드로 동작시키고 주변광 센서(1120)를 저전력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제어부(1400)는 상술한 모션 조건이 만족되면 주변광 센서(1120)를 일반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1100)의 일부만 선택적으로 활성화되거나 일반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1000)의 배터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어웨이크 상태에서 촬영 개시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센서부(1100)의 센서 값에 기초하여 촬영 개시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촬영 개시 필요가 인정되면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400)는 어웨이크 상태에서 상술한 모션 조건 및/또는 주변광 조건이 만족되면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어웨이크 상태에서 센서부(1100)의 적어도 일부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슬립 상태 또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모션 센서(1110)를 활성화시킨 경우, 어웨이크 상태에서는 주변광 센서(112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의 동작 상태는 슬립 상태에서 스탠바이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슬립 상태에서 동작하는 도중 웨어러블 장치(2000)와 페어링 되거나 연결되는 경우 스탠바이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슬립 상태에서 동작하는 도중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제1 제어부(1400)가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스캔 요청 신호, 연결 요청 신호, 연결 확인 요청 신호, 또는 연결 확인 신호 등을 수신하는 경우 제1 제어부(1400)는 스탠바이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 상태 변경은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있어서 웨어러블 장치(20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무선 통신 장치(1000)에 접근하는 경우 보다 빠르게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움직임이나 주변 환경을 감지할 준비를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의 동작 상태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어웨이크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가 센서부(1100)를 이용하여 획득한 센서 값이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제1 제어부(1400)는 어웨이크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400)가 스탠바이 상태에서 모션 센서(1110)를 이용하여 획득한 모션 값이 모션 임계값 이상이면 어웨이크 상태로 동작하여 주변광 센서(1120)를 활성화하거나 주변광 센서 값을 획득하여 촬영 개시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 상태 변경은 사용자의 약물 이행 과정에서 약물이 수용된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촬영 개시 필요 여부를 보다 빠르게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의 동작 상태는 어웨이크 상태에서 스탠바이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어웨이크 상태에서 웨어러블 장치(2000)에 활성화 데이터를 전송하면 스탠바이 상태로 동작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어웨이크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어웨이크 시간이 경과하면 스탠바이 상태로 동작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어웨이크 상태에서 촬영 개시 필요 여부에 대한 판단이 수행되면 스탠바이 상태로 동작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 상태 변경은 촬영 개시 필요 여부를 판단 후에 다시 같은 판단이 이루어질 필요가 없으므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무선 통신 장치(1000)의 동작 상태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 사이의 페어링 또는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슬립 상태로 동작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400)가 스탠바이 상태로 동작하는 도중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연결 확인 신호, 연결 확인 요청 신호, 또는 스캔 요청 신호 등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하지 않으면 슬립 상태로 동작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 상태 변경은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 사이의 페어링이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다음과 같이 동작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와 데이터 통신하지 않는 경우 슬립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무선 통신 장치(1000)가 부착된 객체로부터 특정 거리 밖에 위치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와의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소모되는 전력을 줄이기 위해 슬립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슬립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기 전의 상황 또는 약물 이행 후 사용자가 객체로부터 멀어진 상황에 대응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면 스탠바이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무선 통신 장치(1000)가 부착된 객체로부터 특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경우 무선 통신 장치(1000)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센서부(1100)로부터 센서값을 획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스탠바이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고자 객체에 다가가는 상황에 대응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센서 값이 센서 임계 값 이상이면 어웨이크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모션 센서(1110)로부터 획득한 모션 값이 모션 임계값 이상이면 주변광 센서(1120)로부터 주변광 값을 획득하고, 주변광 값이 주변광 임계값 이상이면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어웨이크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약물 이행을 개시하여 영상 촬영이 필요한 상황에 대응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웨어러블 장치(2000)와 페어링 과정 및 연결 과정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한편,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와 상술한 페어링 과정 및 연결 과정 없이 웨어러블 장치(20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이하에서 도 1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웨어러블 장치(2000)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S310), 영상 촬영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20), 외부에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330), 및 웨어러블 장치(2000)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340)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20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단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자신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모션 센서(1110)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센서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제어부(1400)는 센서값을 획득하기 전 센서부(1100)의 모션 센서(1110)는 일반 모드로 동작시키고 주변광 센서(1120)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영상 촬영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모션 센서(1110) 및 주변광 센서(1120)로부터 획득한 모션 센서값 및 주변광 센서값이 각각 모션 임계값 및 주변광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영상 촬영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주변광 센서값을 획득하기 위해 주변광 센서(1120)를 일반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영상 촬영 필요 여부에 대한 판단은 도 9에서 서술한 내용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영상 촬영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외부에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영상 촬영 필요가 인정되면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외부에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장치(1000)에서 송신하는 데이터 신호는 웨어러블 장치(2000)만을 타겟팅하지 않으며, 웨어러블 장치(2000) 뿐만 아니라 다른 외부 기기에서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상술한 애드버타이징 채널 패킷 또는 데이터 채널 패킷 구조의 데이터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에서 외부에 송신하는 데이터 신호는 애드버타이징 채널 패킷 구조를 가지며, 애드버타이징 페이로드에 활성화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에서 외부에 송신하는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채널 패킷 구조를 가지며, 데이터 페이로드에 활성화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에서 송신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에서 송신하는 데이터 신호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외부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함으로써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장치(2000)는 수신한 데이터 신호가 무선 통신 장치(1000)에서 송신한 데이터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신한 데이터 신호가 포함하는 접속 주소, 애드버타이저 주소, 및/또는 UUI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들은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사용자의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함에 있어서 별도의 조작 없이도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에 의해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는 영상이 촬영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개입을 이용하여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외부에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 모듈을 포함하고, 무선 사용자는 약물 이행 시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입력 모듈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며,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활성화 데이터를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모듈은 물리적 가압 버튼, 터치 패널, 또는 제스처 인식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입출력부(220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약물 이행 촬영 시점이 보다 분명하게 설정될 수 있어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웨어러블 장치(2000)의 동작에 대해서 서술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웨어러블 장치(2000)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관련된 영상을 촬영하여 서버(3000)에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영상 촬영을 통해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서버(3000)에 전송하는 기능, 및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는 상황 외에 상황에서 무분별하게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등이 중요하게 취급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100), 데이터 신호에 활성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200), 및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하는 단계(S2300)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100).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제2 통신부(2400)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술한 페어링 과정 및/또는 연결 과정을 수행하거나 주기적으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 여기서, 데이터 신호는 단계(S240)에서 서술한 데이터 신호를 의미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전술한 애드버타이징 신호, 스캔 응답 신호, 연결 확인 신호, 및/또는 연결 확인 요청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수신한 데이터 신호가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수신한 데이터 신호에 포함되는 접속 주소, 애드버타이징 주소 및/또는 범용 고유 식별 정보 등과 제2 메모리(2300)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데이터 신호의 송신 주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규명된 송신 주체가 불분명하거나 데이터 송수신 대상이 아닌 경우, 웨어러블 장치(2000)는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수신한 데이터 신호에 활성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00).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수신한 데이터 신호에 카메라 모듈(2100)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활성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하고, 활성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500)는 수신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페이로드에 활성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비활성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장치(1000)가 모션 조건 및 주변광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만 활성화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2000)에 송신하도록 구현되는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경우, 제2 제어부(2500)는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면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할 수 있다(S2300).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하여 영상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촬영 시간 동안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400),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S2500), 카메라 모듈(2100)을 비활성화하는 단계(S2600), 영상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S2700), 및 서버(3000)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2800)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단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촬영 시간 동안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2400).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하면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시켜 후술하는 방법으로 설정된 촬영 시간 동안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촬영 시간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촬영 시간은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는 과정 중 약물을 객체로부터 꺼내는 과정, 약물을 체내에 투입하거나 주입하는 과정, 및/또는 약물 이행을 위해 물을 섭취하는 등의 보조 행위가 촬영될 수 있도록 충분히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시간은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 시간은 5초 내지 300초 이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촬영 시간은 5초, 10초, 15초, 20초, 30초, 40초, 60초, 90초, 120초, 150초, 180초, 210초, 240초, 270초, 또는 300초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촬영 시간은 사용자의 약물 이행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시간은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에 포함되는 접속 주소, 애드버타이징 주소, 범용 고유 식별 정보, 및/또는 애드버타이징 페이로드나 데이터 페이로드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종류를 식별하고, 식별된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의 약물 이행 종류를 판별하고 촬영 시간을 사용자의 약물 이행 종류에 대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약물 이행 종류에 대한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서버(30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시간을 다양하게 설정함으로써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사용자의 약물 이행 과정의 적어도 일부 또는 대부분에 관한 영상 데이터가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촬영 시간은 사용자의 약물 이행 과정의 일부에 관한 영상 데이터만을 확보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시간은 사용자의 약물 이행 과정 중 전반부(ex. 약물을 객체로부터 꺼내는 과정, 약물을 사용자의 손에 두는 과정, 약물을 사용자의 입으로 가져가는 과정, 및/또는 약물이 사용자의 입으로 들어가는 과정)에 관한 영상 데이터만을 확보하도록 촬영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촬영을 최소화하여 사용자 또는 주변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방지하고 추후 서버(3000)에 영상 데이터 전송 시 데이터 전송량에 따른 발열량이 감소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S2500).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시키면서 입출력부(2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알림은 카메라 모듈(2100)이 활성화됨을 지시하는 활성화 알림, 카메라 모듈(2100)에 의해 영상이 촬영되고 있음을 지시하는 촬영 알림, 및/또는 카메라 촬영이 종료되어 카메라 모듈(2100)이 비활성화됨을 지시하는 비활성화 알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활성화 알림, 촬영 알림, 및/또는 비활성화 알림은 같은 방식 또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알림은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시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은 웨어러블 장치(20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알림은 웨어러블 장치(2000)의 스피커를 통해 비프음 또는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사용자에게 전술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영상을 촬영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불필요하게 영상을 촬영하고 있는 경우 카메라 모듈(2100)을 사용자 입력을 통해 카메라 모듈(2100)을 비활성화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알림 제공 단계(S2500)는 생략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카메라 모듈(2100)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S2600).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카메라 모듈(2100) 활성화 후 촬영 시간이 경과하면 카메라 모듈(2100)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영상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S2700).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영상 데이터를 서버(3000)에 전송하기 전에 영상 데이터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500)는 영상 촬영을 통해 획득한 영상 데이터 중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프레임을 삭제하거나 해상도를 낮추는 등의 보정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또는, 제2 제어부(2500)는 서버(3000)에 전송하는 데이터 양을 줄이기 위해 영상 데이터의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S2700)는 생략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버(3000)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2800).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제2 통신부(2400)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을 통해 획득한 영상 데이터 또는 가공된 영상 데이터를 서버(3000)에 전송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가 서버(3000)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카메라 모듈(2100)을 비활성화시킨 시점 또는 영상 데이터의 가공이 이루어진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서버(3000)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자 마자 서버(30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카메라 모듈(2100)을 비활성화시킨 시점 또는 영상 데이터의 가공이 이루어진 시점으로부터 적어도 대기 시간이 경과된 후에 서버(3000)에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시간은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영상 촬영으로 인한 발열에 의해 높아진 온도가 일정 온도 범위(ex. 상온)로 낮아지는 시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시간은 5초 내지 30초 이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버(3000)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영상 데이터 전송 여부를 질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활성화 데이터 수신 시점, 영상 데이터 획득 시점, 과거 약물 이행 시점, 및/또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 예정 시점을 고려하여 입출력부(2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영상 데이터 전송 여부에 관한 질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활성화 데이터 수신 시점 및/또는 영상 데이터 획득 시점이 과거 약물 이행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이거나 약물 이행 예정 시점으로부터 오차 범위 밖인 경우 제2 제어부(2500)는 질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질의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서버(3000)에 전송하거나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영상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서버(3000)에 영상 데이터를 송신한 뒤 제2 메모리(230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이 때, 제2 제어부(2500)는 서버(3000)로부터 영상 데이터 수신 확인 메시지를 수신 후 영상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으며, 서버(3000)로부터 영상 데이터 수신 확인 메시지를 받지 않거나 미수신 메시지를 받는 경우 영상 데이터를 서버(3000)에 재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함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획득되는 활성화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주로 서술하였다.
한편, 무선 통신 장치(1000)에서 영상 촬영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약물 이행하지 않는 경우에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추가적으로 영상 촬영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약물 이행과 무관하게 객체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있음에도 객체가 타인이나 미끄러짐 등으로 움직이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1000)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웨어러블 장치(1000)에 의해 카메라 모듈(2100)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웨어러블 장치(2000)는 추가적으로 영상 촬영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시키거나 활성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카메라 모듈(2100) 활성화에 앞서 영상 촬영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 1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 사이의 거리에 따른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위치하는 장소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2000)가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100), 데이터 신호에 활성화 데이터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2210),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획득한 신호의 세기가 신호 세기 범위(range of signal strength)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20), 및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하는 단계(S2300)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세기 범위는 웨어러블 장치(2000)가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수신 세기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활성화 데이터를 획득하더라도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수신 세기가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 각 단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한편,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100) 및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하는 단계(S2300)는 도 16에서 서술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수신한 데이터 신호에 활성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10). 본 단계(S2210)는 도 16에서 서술한 단계(S2200)와 중복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가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20).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값이 신호 세기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RSSI 값이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하는 단계(S2300)로 진입하고, RSSI 값이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획득한 활성화 데이터를 무시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신호는 상술한 애드버타이징 신호, 스캔 응답 신호, 연결 확인 신호, 연결 확인 요청 신호, 및/또는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2000)로부터 수신한 애드버타이징 신호의 RSSI 값이 신호 세기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20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의 RSSI 값이 신호 세기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200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 무선 통신 장치(2000)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 각각 또는 그 평균값이 신호 세기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신호 세기 범위는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 사이의 거리에 따른 신호 세기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세기 범위는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약물이 수용되는 객체에 부착된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2000)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 변화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의 위치 관계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2000)가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약물 이행을 위해 약물이 보관된 객체에 접근한 정도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착용된 웨어러블 장치(2000) 및 무선 통신 장치(1000) 사이의 거리가 10cm에서 250cm로 변할 때,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측정되는 RSSI 값은 -54dBm에서 -81dBMm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착용되지 않은 웨어러블 장치(2000) 및 무선 통신 장치(1000) 사이의 거리가 10cm에서 250cm로 변할 때,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측정되는 RSSI 값은 -64dBm에서 -88dBMm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RSSI 값은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 또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 과정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세기 범위는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RSSI 값을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일 예로, 신호 세기 범위는 -90dBm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RSSI 값이 -90dBm 미만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 사이의 거리가 약 250cm를 초과하여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RSSI 값이 -90dBm 이상 -70dBm 미만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 사이의 거리가 약 70cm 내지 200cm 이내로, 사용자가 약물 이행을 위해 약물이 보관된 객체에 접근하는 과정 또는 사용자가 약물이 보관된 객체 근처에 위치하는 경우에 대응되어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가 불확실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세기 범위가 -90dBm 이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 가능성이 낮은 경우라도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함에도 영상을 촬영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 배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신호 세기 범위가 -90dBm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은 웨어러블 장치(2000)는 대부분의 사용자의 약물 이행 시 약물 이행 여부 분석을 위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점에서 임계적 의의를 가진다.
다른 예로, 신호 세기 범위는 -70dBm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RSSI 값이 -70dBm 이상 -50dBm 미만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 사이의 거리가 약 10cm 내지 100cm 이내로, 사용자가 약물이 보관된 객체에 충분히 접근한 상태에 대응되어,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는 확률이 높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세기 범위가 -70dBm 이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영상을 촬영하므로, 사용자가 약물 이행을 하지 않더라도 영상을 촬영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신호 세기 범위가 -70dBm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은 웨어러블 장치(2000)가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는 경우에 주로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웨어러블 장치(2000)에 의한 불필요한 영상 촬영이 방지되고, 나아가 불필요한 영상 촬영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2000)의 배터리 소모가 방지되는 점에서 임계적 의의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세기 범위는 특정 기준값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고, 특정 기준값은 임계적 의의를 고려할 때 -120dBm 이상 -60dBm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특정 기준값은 -100dBm 이상 -80dBm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신호 세기 범위는 상한 값과 하한 값을 가지는 특정 범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신호 세기 범위는 -70dBm 이상 -50dBm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RSSI 값이 -50dBm 이상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 사이의 거리가 약 10cm 이하로, 무선 통신 장치(1000)가 부착된 객체와 웨어러블 장치(2000)가 매우 가까이 위치하는 상태에 대응되어,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가 함께 보관되어 있는 상태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세기 범위가 -70dBm 이상 -50dBm 이하로 설정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 확률이 높은 상황에 영상을 촬영하면서도 무선 통신 장치(1000)와 웨어러블 장치(2000) 사이의 거리가 사용자의 약물 이행이 불가할 정도로 비정상적으로 가까이 놓인 상황에는 영상을 촬영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신호 세기 범위가 -70dBm 이상 -50dBm 이하로 설정되는 것은 사용자의 약물 이행 시 영상을 촬영하면서도, 무선 통신 장치(1000)와 웨어러블 장치(2000)가 가깝더라도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지 않는 예외적인 상황에는 영상을 촬영하지 않는 점에서 임계적 의의를 가진다.
한편, 신호 세기 범위는 약물이 보관된 객체를 잡았을 때 객체에 부착된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사용자에게 착용된 웨어러블 장치(2000)가 신호를 수신할 때의 신호 세기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객체를 잡을 때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 사이의 거리는 약 10cm이고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RSSI 값은 약 -56dBm에서 -54dBm 이므로, 신호 세기 범위는 -60dBm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사람의 손 길이 평균이 약 17cm 내지 20cm(남성) 또는 약 15cm 내지 18cm(여성)이고, 사람의 손바닥 길이 평균이 약 7cm 내지 9cm(남성) 또는 약 6cm 내지 8cm(여성)인 점을 고려할 때 10cm는 사용자가 객체를 잡은 경우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 사이의 거리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신호 세기 범위가 -60dBm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은 임계적 의의를 가진다.
다른 예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세기가 웨어러블 장치(2000)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점을 고려하여 신호 세기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세기 범위는 -75dBm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웨어러블 장치(2000)가 착용된 위치가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에 기초하여 신호 세기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 사이의 거리가 약 70cm일 때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RSSI 값을 고려하여 신호 세기 범위는 -75dBm 이상 또는 -80dBm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신호 세기 범위는 무선 통신 장치(1000) 및/또는 웨어러블 장치(2000)가 위치한 장소 및 그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가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는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위치하는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는 장소가 일정하지 않고 변경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도 20의 표를 참조하면 신호 세기 범위는 -80dBm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신호 세기 및 신호 세기 범위를 설정함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신호 송신 세기가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외부에 송신하는 신호의 송신 세기(Tx Power)를 조절할 수 있고,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송신 세기를 고려하여 신호 세기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신호 세기 범위가 상술한 값으로 설정되도록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송신 세기가 설정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가 신호 강도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신호 강도 범위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를 고려하여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지 않음에도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웨어러블 장치(2000)로 활성화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ex. 사용자가 약물이 보관된 객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도중 타인이 객체를 움직이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2000) 및 무선 통신 장치(1000)가 근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함께 이동하는 경우 등)에 영상이 불필요하게 촬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장치(2000)는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하기에 앞서 상술한 신호 세기 외에 다른 조건들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접속 주소, 범용 고유 식별 정보, 애드버타이징 주소, 및/또는 애드버타이징 페이로드 또는 데이터 페이로드에 포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약물이 보관되는 객체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수신한 신호에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센서부(1100)를 이용하여 획득된 센서값이 포함된 경우, 센서값을 이용하여 상술한 모션 조건 및/또는 주변광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영상 촬영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가 센서값을 이용하는 경우 데이터 신호에 활성화 데이터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2210)는 생략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 모니터링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버(3000)로부터 약물 이행 모니터링 결과를 수신하고, 입출력부(220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약물 이행 모니터링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장치(2000)는 입출력부(22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 및/또는 약물 이행 시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장치(2000)는 약물 종류, 약물 이행 과거 이력, 약물 이행 순응도, 및/또는 이행하는 약물에 대한 정보(ex. 약물 효과, 증상, 또는 부작용 등) 등 약물 이행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버(3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약물 이행 모니터링 결과를 산출하고 이를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추후 서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약물 이행 모니터링 결과와 약물 이행 관련 정보는 단말 장치(40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약물 이행 관리를 위해 상술한 약물 이행 모니터링 결과와 약물 이행 관련 정보는 담당 의료인, 관리자, 또는 보호자 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에게 중복 복약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건망증이 심하거나 치매 등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약물 이행이 중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약물을 과다하게 복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중복 복약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가 중복으로 약물을 이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버(3000)로부터 사용자의 약물 이행 모니터링 결과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약물 이행 주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중복으로 약물을 이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버(3000)로부터 수신한 약물 이행 모니터링 결과에 포함된 약물 이행 시점이 가장 최근에 약물 이행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으로부터 약물 용법에서 규정된 시간 이내이면 사용자가 중복으로 약물을 이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버(3000)로부터 약물 이행 여부 판단 및 약물 이행 시 약물 이행 시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약물 이행 시점을 비교하여 중복 복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버(3000)로부터 사용자의 약물 이행 시점 및 약물 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가 중복으로 약물을 이행한 경우 중복 복약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가 중복으로 약물을 이행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중복 복약 하였음을 지시하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가 중복으로 약물을 이행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 및 사용자가 과거에 약물을 이행한 시점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중복으로 약물을 이행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이 가장 최근에 약물 이행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으로부터 약물 용법에서 규정된 시간 이내이면 사용자가 중복으로 약물을 이행하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버(3000)로부터 사용자의 약물 이행 시점 및 약물 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가 중복으로 약물을 이행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중복 복약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가 중복으로 약물 이행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중복 복약을 경고하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중복 복약 알림 또는 중복 복약 경고 알림은 사용자 외에 의료인, 관리인, 또는 보호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중복 복약 여부 판단 과정 또는 중복 복약 예상 과정은 서버(30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2 및 도 23를 참조하여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서버(3000)의 동작에 대해서 서술한다.
한편, 서버(3000)는 역할에 따라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 서버 및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서술하는 서버(3000)는 분석 서버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서버(3000)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3100), 영상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S3200),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300), 약물 이행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S3400), 및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S3500)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서버(3000)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3100). 예를 들어, 서버(300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3000)는 영상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S3200). 예를 들어, 서버(3200)는 후술하는 영상 데이터 분석을 위한 인공 신경망의 입력 데이터 포맷(format)에 맞추어 가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데이터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널(null)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서버(3000)는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영상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0)는 영상 데이터 중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프레임을 삭제하거나 해상도를 낮추는 등의 보정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서버(3000)는 사용자 등에게 사용자의 약물 이행 영상을 보여주기 위해 영상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0)는 영상 데이터 중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는 과정에 관한 프레임(ex. 약물을 객체로부터 꺼내는 과정, 약물을 사용자의 손에 두는 과정, 약물을 사용자의 입으로 가져가는 과정, 및/또는 약물이 사용자의 입으로 들어가는 과정 등에 관한 프레임)을 추출하여 사용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3000)가 영상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S3200)는 생략될 수 있다.
서버(3000)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300). 예를 들어, 서버(3000)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R-CNN(Region based Convolution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Fast R-CNN, Faster R-CNN, LSTM(Long Short Term Memory networks), ResNet(Residual Network), YOLO(You Only Look Once),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등의 딥러닝 기반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 또는 인공 신경망 등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3000)에서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서버(3000)는 약물 이행 모니터링 결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S3400). 예를 들어, 서버(3000)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무선 통신 장치(1000), 웨어러블 장치(2000), 및/또는 단말 장치(40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3000)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에 약물 이행 모니터링 결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0)는 영상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S3500). 예를 들어, 서버(3000)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한 경우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 및/또는 이를 가공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서버(3000)는 영상 데이터 분석 후 영상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영상 데이터 보존에 따른 사용자 또는 타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등에게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 등 영상 데이터를 보관해야 하는 경우 본 단계(S3500)는 생략될 수 있다.
서버(3000)는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3을 참조하여, 서버(3000)가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서 주로 서술하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0)에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30)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특징값을 추출하는 단계(S3310) 및 추출된 특징값을 이용하여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3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0)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특징값을 추출할 수 있다(S3310). 예를 들어, 서버(3000)는 검출 모델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획득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특징값을 추출할 수 있다.
특징값은 약물 이행 과정에서 주요한 특징의 포함 여부를 지시하는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징값은 영상 또는 이미지에 약물, 객체, 사용자의 손, 사용자의 입, 객체를 잡은 사용자의 손, 약물을 들고 있는 손, 및/또는 약물을 입에 넣는 동작 등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3000)는 검출 모델에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프레임별로 포함된 약물 이행 관련 객체 및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서버(3000)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프레임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객체 및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서버(3000)가 검출 모델에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약물 이행 관련 객체를 검출한다는 것은 서버(3000)가 영상 데이터 내에 약물 이행과 관련된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서버(3000)가 검출 모델에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약물 이행 관련 동작을 검출하는 것은 서버(3000)가 영상 데이터 내에 약물 이행과 관련된 동작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검출 모델은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특징값을 추출하도록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 모델은 약물 이행 영상에 특징값이 라벨링(labeling)된 데이터 셋으로 학습된 인공 신경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 모델을 학습하기 위한 데이터 셋은 복수의 약물 이행 영상을 촬영하고, 각 영상이 포함하는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해 약물 이행 관련 객체 및 동작을 라벨링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 모델은 상술한 딥러닝 기반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3000)는 추출된 특징값을 이용하여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320). 예를 들어, 서버(3000)는 확인 모델을 이용하여 추출한 특징값으로부터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3000)는 상술한 영상 데이터의 이미지 프레임과 각 이미지 프레임에서 추출된 특징값을 그대로 또는 가공하여 확인 모델에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지시하는 출력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확인 모델은 특징값들을 입력 받아 약물 이행 여부를 지시하는 값을 출력하도록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 모델은 영상 데이터 프레임별 특징값들에 약물 이행 여부를 라벨링한 데이터 셋을 이용하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인 모델의 학습을 위한 데이터 셋은 이미지 프레임과 그에 대응하는 특징값들에 약물 이행 또는 약물 불이행 등을 지시하는 값을 라벨링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확인 모델은 상술한 딥러닝 기반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한편, 약물 이행하는 방법과 과정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마다 약물 이행에 소요되는 시간이 다를 수 있으며, 어떤 사용자는 약물 이행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기대되는 평균 시간을 크게 초과한 시간 동안 약물을 이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약물 이행에 있어서 다수의 의약을 복용하는 경우, 사용자에 따라 한 번에 모든 의약을 복용할 수도 있고 한 번에 하나의 의약을 여러 번 복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사용자마다 약물 이행 방식이나 과정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아래와 같이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특정 상황을 고려하여 동작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24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영상 촬영 도중 객체를 움직이는 경우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해서 서술한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영상 촬영 도중 객체를 움직이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1 및 제2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4100), 영상 촬영 중 제2 활성화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4200), 제2 활성화 데이터를 무시하는 단계(S4300), 제1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4400), 서버(3000)에 제1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4500), 제1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3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4600), 제2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4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4700), 및 서버(3000)에 제3 및 제4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4800)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1 및 제2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410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약물 이행 과정에서 제1 시점에 무선 통신 장치(1000)가 부착된 객체를 움직이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도 8에 도시된 단계들을 수행하여 제1 활성화 데이터를 송신하고, 사용자가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무선 통신 장치(1000)가 부착된 객체를 움직이면 마찬가지로 제2 활성화 데이터를 송신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1 및 제2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영상 촬영 중 제2 활성화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00).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1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할 수 있고, 제2 활성화 데이터가 수신되는 시점이 영상을 촬영하는 도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한 시점 및 비활성화한 시점 사이에 제2 활성화 데이터가 수신된 시점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2 활성화 데이터를 무시할 수 있다(S4300).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2 활성화 데이터 수신 시점이 카메라 모듈(2100)의 활성화 시점 및 비활성화 시점 사이인 경우 제2 활성화 데이터에 대응하여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1 활성화 데이터 기초하여 제1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4400). 웨어러블 장치(2000)는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서술한 것과 같이 제1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제1 촬영 시간 동안 영상을 촬영하여 제1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1 및 제2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하였음에도 제1 영상 데이터만을 획득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버(3000)에 제1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4500). 웨어러블 장치(2000)는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서술한 것과 같이 제1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 이후에 데이터 분석을 위해 서버(30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활성화 데이터가 수신된 시점이 영상 촬영 중이 아닌 경우,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1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3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S4600), 제2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4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4700). 다시 말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로 다른 시점에 수신된 제1 및 제2 활성화 데이터에 대응하여 제3 및 제4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버(3000)에 제3 및 제4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4800). 웨어러블 장치(2000)는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서술한 것과 같이 데이터 분석을 위해 제3 및 제4 영상 데이터를 서버(30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3 영상 데이터와 제4 영상 데이터를 불연속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서버(30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3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 후 제4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전에 서버(3000)에 제3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4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 후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 이후에 제3 및 제4 영상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서버(30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서버(3000)로 데이터를 과다하게 전송하거나 촬영 중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에 따라 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1 및 제2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4100), 영상 촬영 중 제2 활성화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4200), 추가 시간만큼 촬영 시간을 연장하는 단계(S4310), 제1 활성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2 활성화 데이터에 대응하여 추가로 제2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4410), 서버(3000)에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4510), 제1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3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4600), 제2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4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4700), 및 서버(3000)에 제3 및 제4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4800)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단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다만, 단계(S4100), 단계(S4200), 단계(S4600), 단계(S4700), 및 단계(S4800)은 도 23에서 서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도록 한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영상 촬영 중 제2 활성화 데이터가 수신되면 추가 시간만큼 촬영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S4310).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2 활성화 데이터 수신 시점이 제1 활성화 데이터에 의한 카메라 모듈(2100) 활성화 시점으로부터 촬영 시간 이내인 경우 촬영 시간에 더하여 추가 시간만큼 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영상 촬영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를 리셋(reset)시켜 기존 촬영 시간 보다 더 긴 시간 동안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추가 시간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시간은 웨어러블 장치(2000)가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시간은 웨어러블 장치(2000)가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획득하는 무선 통신 장치(1000)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추가 시간은 제1 활성화 데이터에 의한 촬영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시간은 촬영 시간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머를 리셋시켜 영상을 추가로 촬영하는 경우 추가 시간은 타이머를 리셋시키는 시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1 활성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2 활성화 데이터에 대응하여 추가로 제2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4410).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1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촬영 시간 동안 영상을 촬영하여 제1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추가 시간만큼 더 촬영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는 촬영 시간 및 추가 시간 동안 영상을 촬영하여 획득한 전체 영상 데이터를 촬영 시간과 추가 시간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로 구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버(3000)에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4510). 예를 들어, 도 23에서 서술한 것과 유사하게 웨어러블 장치(2000)는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서버(30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영상 촬영 도중 객체를 움직이는 경우 서버(3000)에서 영상 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서버(3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에서 서술한 것과 같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촬영 시간 및 추가 시간 동안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촬영 시간에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추가 시간에 대응하는 제2 영상 데이터를 서버(30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구분되어 서버(3000)에 전송되거나 하나의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어 서버(3000)에서 구분될 수 있다.
또 여기서,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시간이 촬영 시간 보다 짧은 경우, 제1 영상 데이터가 x개의 프레임을 가질 때 제2 영상 데이터는 그보다 적은 y개의 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서버(3000)는 데이터 분석에 앞서,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병합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3000)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병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0)는 제1 영상 데이터에 제2 영상 데이터를 붙여 병합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병합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3000)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병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0)는 제1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병합하여 병합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병합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3000)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에 앞서 병합된 영상 데이터가 특정 프레임 수를 가지도록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0)는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용하는 인공 신경망(ex. 상술한 검출 모델 또는 확인 모델)의 입력 노드 수에 대응되도록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병합한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서버(3000)는 영상 데이터 별로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 및 도 25에서 단계(S4600) 내지 단계(S4800)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서버(3000)가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서버(3000)는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병합하지 않고 각각에서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서버(3000)는 촬영 개시 시점이 상대적으로 뒤쪽인 제2 영상 데이터가 사용자의 약물 이행 과정을 더 반영할 것으로 기대하여 제2 영상 데이터의 중요도를 제1 영상 데이터의 중요도 보다 높은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도 28에 도시된 표와 같이, 서버(3000)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 분석 결과,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 모두에서 사용자의 약물 이행이 확인되면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0)는 제1 영상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약물 이행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제2 영상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약물 이행이 확인되는 경우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0)는 제1 영상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약물 이행이 확인되었으나 제2 영상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약물 이행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약물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0)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 모두에서 사용자의 약물 이행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영상 데이터 보다 제2 영상 데이터가 사용자의 약물 이행 과정을 더 반영할 것으로 기대하여 제2 영상 데이터의 중요도가 제1 영상 데이터 보다 높게 설정되었으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영상 데이터 보다 제1 영상 데이터의 중요도가 더 높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사용자가 이행하는 약물의 종류가 하나인 경우, 사용자가 약물이 수용된 객체를 움직임으로써 객체에 부착된 무선 통신 장치(1000)가 활성화 데이터를 여러 번에 걸쳐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전송하는 경우 약물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다수의 약물을 이행하는 경우,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 각각에서 웨어러블 장치(2000)에 활성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 2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서로 다른 약물을 이행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영상 촬영 도중 객체를 움직이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
*455도 29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1 및 제2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5100), 영상 촬영 중 제2 활성화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5200), 약물 이행 종류를 고려하여 촬영 시간을 연장하는 단계(S5300), 제1 활성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2 활성화 데이터에 대응하여 추가로 제2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5400), 서버(3000)에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5500), 제1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3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5600), 제2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4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5700), 및 서버(3000)에 제3 및 제4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5800)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단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1 및 제2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510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약물 및 제2 약물을 이행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2000)는 각 약물에 대응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각각 제1 활성화 데이터 및 제2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1 활성화 데이터 및 제2 활성화 데이터는 각 약물 이행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영상 촬영 중 제2 활성화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200).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1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도중 제2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제2 활성화 데이터가 영상 촬영 중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이행하는 약물 종류가 다르므로,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1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약물의 이행에 대응하는 제1 촬영 시간 동안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제2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 촬영 시간 동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제2 촬영 시간은 제2 약물의 이행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약물의 이행은 약을 복용하는 행위로 제1 촬영 시간은 복약에 대응되는 시간이고, 제2 약물의 이행은 점안액을 눈에 투여하는 행위로 제2 촬영 시간은 점안액 투여에 대응되는 시간일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1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한 시점으로부터 제1 촬영 시간 이내에 제2 활성화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촬영 시간 및 제2 촬영 시간은 웨어러블 장치(2000)가 제1 무선 통신 장치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약물 이행 종류를 고려하여 촬영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S5300).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1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도중 제2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2100)을 활성화한 시점으로부터 제1 촬영 시간 경과 후 추가 시간 동안 영상을 더 촬영할 수 있다.
*
*
*463여기서, 추가 시간은 제1 촬영 시간 및/또는 제2 촬영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시간은 제2 촬영 시간 보다 작을 수 있다. 추가 시간이 제2 촬영 시간 보다 작게 설정됨으로써 불필요한 영상이 촬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1 활성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2 활성화 데이터에 대응하여 추가로 제2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5400).
여기서,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는 서로 다른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데이터는 제1 촬영 시간에 대응하고 제2 영상 데이터는 추가 시간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영상 데이터는 제1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한 카메라 모듈(2100) 활성화 시점 및 제2 활성화 데이터 수신 시점 사이의 시간 구간에 대응하고 제2 영상 데이터는 제2 활성화 데이터 수신 시점 및 카메라 모듈(2100) 비활성화 시점 사이의 시간 구간에 대응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버(3000)에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5500).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버(3000)에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버(3000)에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구분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중 제2 활성화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1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3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5600). 본 단계(S5600)에 대한 내용은 도 24 및 도 25에서 서술한 단계(S4600)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바 생략하도록 한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제2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4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5700). 본 단계(S5700)에 대한 내용은 도 24 및 도 25에서 서술한 단계(S4700)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바 생략하도록 한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버(3000)에 제3 및 제4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5800). 본 단계(S5800)에 대한 내용은 도 24 및 도 25에서 서술한 단계(S4800)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바 생략하도록 한다.
서버(3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복수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1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제1 약물의 이행 여부를 판단하고, 제2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제2 영상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제2 약물의 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3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수신한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입력 데이터로 하여 하나의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제1 약물 및 제2 약물 각각이 이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서로 다른 약물의 이행 여부 판단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이상에서는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경우를 주로 서술하였으나, 사용자는 약물 이행 외에도 건강 증진 또는 질병 방지 등 건강 관리를 위해 다양한 행위를 할 수 있다. 이 때,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이용하면 약물 이행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건강 관리 행위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여,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차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관리 행위를 모니터링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서술한다. 건강 관리 시스템은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사용자의 행위를 감지함에 있어서 일부 구성이 상이하게 동작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건강 관리 행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건강 관리 행위는 약물 이행, 혈당 측정, 심전도 측정, 혈압 측정, 및/또는 온도 측정 등 건강 모니터링, 증진 또는 보조, 또는 질병 예방을 위한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건강 관리 행위는 운동 기구 사용, 건강 보조제 복용, 식단 관리, 또는 푸드 테라피(food therap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건강 관리 시스템은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시스템은 무선 통신 장치(1000), 웨어러블 장치(2000), 서버(3000), 및 단말 장치(40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과 마찬가지로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사용자의 건강 관리 행위 개시를 감지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에 활성화 데이터를 제공하고, 웨어러블 장치(2000)는 활성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건강 관리 행위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서버(3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 관리 행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건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은 건강 관리 행위에 따라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와 다르게 구현되거나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건강 관리 행위가 혈압 측정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000)는 혈압계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혈압계 사용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1000)는 혈압계의 커프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혈압계 사용을 감지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에 활성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건강 관리 행위가 식단 관리 또는 푸드 테라피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음식을 담는 용기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음식 섭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음식 용기 뚜껑 안쪽에 부착되고, 모션 센서 및/또는 주변광 센서를 이용하여 음식 용기 뚜껑이 열리는 것을 감지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에 활성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음식 용기의 일부로 구성되어 음식 용기의 뚜껑이 열리는 것을 감지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에 활성화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건강 관리 시스템은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과 유사하게 동작하되 일부 구성이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시스템에서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촬영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1을 참조하여 건강 관리 시스템에서 웨어러블 장치(2000)의 동작에 대해서 서술한다.
도 3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에서 웨어러블 장치(200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건강 관리 시스템은 웨어러블 장치(2000)가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6100),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건강 관리 종류를 판단하고 촬영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S6200), 건강 관리 행위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6300), 및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강 관리 행위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단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6100). 여기서, 데이터 신호는 상술한 특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의미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식별 데이터, 제조자 데이터, 송신 세기 데이터, 모션 데이터, 주변광 데이터, 및/또는 활성화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 신호는 사용자의 건강 관리 행위 종류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건강 관리 종류를 판단하고 촬영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S6200).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식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수행하는 건강 관리 행위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500)는 제2 메모리(2300)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서버(3000)로부터 수신한 건강 관리 행위에 관한 레퍼런스 데이터 및 식별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수행하는 건강 관리 행위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건강 관리 행위 종류를 지시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수행하는 건강 관리 행위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500)는 제2 메모리(2300)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서버(3000)로부터 수신한 건강 관리 행위에 관한 레퍼런스 데이터 및 건강 관리 행위 종류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수행하는 건강 관리 행위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장치(2000)는 건강 관리 행위 종류를 판단한 결과를 카테고리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판단된 건강 관리 행위 종류에 따라 촬영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식별 데이터 또는 건강 관리 행위 종류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고려하여 촬영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행하는 건강 행위 종류에 따라 다른 촬영 시간 동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데이터 또는 건강 관리 행위 종류를 지시하는 데이터가 사용자의 혈압계 사용 행위를 지시하는 경우, 촬영 시간은 혈압계 사용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충분히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건강 관리 행위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6300).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식별 데이터 또는 건강 관리 행위 종류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고려하여 설정된 촬영 시간 동안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버(3000)에 영상 데이터 및 카테고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6400).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0)는 제2 통신부(2400)를 이용하여 서버(3000)에 영상 데이터 및 카테고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건강 관리 행위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다만, 웨어러블 장치(2000)는 카테고리 데이터를 서버(3000)에 전송하지 않고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무선 통신 장치(1000) 고유 식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32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무선 통신 장치(1000) 및 웨어러블 장치(2000)의 구조 및 설계 방법에 대해서 서술한다.
도 3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및 객체에 부착되는 무선 통신 장치(10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약물을 수용하는 객체에 탈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적어도 일부는 부착 영역을 포함하고,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부착 영역을 통해 객체에 부착되고 외력에 의해 객체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별도의 부착 부재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1000)에 탈부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반구, 원기둥, 다각 기둥,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등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장치(1000)는 객체의 일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시 도 3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객체의 개구부(ex. 마개 또는 뚜껑부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센싱 영역을 포함하는 윗면(top) 및 부착 영역을 포함하는 아랫면(bottom)을 가지는 도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윗면(top)은 객체와 부착되지 않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윗면(top)에는 부착 영역이 형성되지 않아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윗면(top)을 통해서는 객체에 부착될 수 없다.
아랫면(bottom)은 객체와 부착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아랫면(bottom)에는 부착 영역이 형성되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아랫면(bottom)을 통해 객체에 부착될 수 있다.
센싱 영역은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센서부(1100)의 적어도 일부 센서가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광 센서(1120)는 센싱 영역을 통해 무선 통신 장치(1000) 주변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1000)에서 센싱 영역과 부착 영역이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됨으로써, 센싱 영역 및 부착 영역이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1000)가 객체에 부착되더라도 센서부(1100)에서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한편, 센싱 영역이 반드시 무선 통신 장치(1000)의 윗면(top)에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통신 장치(1000)의 다른 면(ex. 옆면 또는 아랫면(top) 등)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센싱 영역은 부착 영역과 다른 면에 형성되거나 부착 영역과 중첩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무선 통신 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는 센서부(1100), 제1 메모리(1200), 제1 통신부(1300), 및 제1 제어부(1400)(이하 센서부 등)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및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플레이트, 및 센서부 등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3을 참조하면 부착 영역을 포함하는 아랫면(bottom) 위에 배터리가 배치되고, 배터리 위에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플레이트 위에 센서부 등이 배치되며, 센서부 등 위쪽에 센싱 영역을 포함하는 윗면(top)이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센서부 등은 플레이트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센서부(1100)와 센싱 영역이 상호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 상에서 모션 센서(1110) 및 주변광 센서(1120)는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주변광 센서(1120)는 플레이트 상에서 윗면(top)의 센싱 영역의 중심축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영역 이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2000)의 구성 및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100)의 기울기에 따른 카메라 모듈(2100)의 시야 범위(FoV)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손목에 착용되는 밴드 또는 시계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웨어러블 장치(200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경우에 대해 주로 서술하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웨어러블 장치(2000)가 사용자의 손목이 아닌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착용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카메라 모듈(2100)이 배치되는 위치는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 동작을 고려할 때 주요하게 결정 되어야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때,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의 손바닥에 관한 영상을 촬영할 필요가 있는데, 웨어러블 장치(2000) 상에서 카메라 모듈(2100)의 배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손등이나 손의 측면이 촬영되어 분석에 필요한 영상 데이터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웨어러블 장치(2000)의 구성과 카메라 모듈(2100)의 배치 위치에 대하여 서술하고, 나아가 카메라 모듈(2100)의 배치를 고려한 웨어러블 장치(2000)의 기구적 설계 방식에 대하여 서술한다.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에 따른 사이즈 조절 또는 길이 조절 가능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상호 연결되어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제1 스트랩(ST1) 및 제2 스트랩(ST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장치(2000)는 후크, 버클 및/또는 루프를 포함하는 제1 스트랩(ST1) 및 제1 스트랩(ST1)의 버클을 통과하거나, 버클을 통과하면서 후크에 걸림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 스트랩(ST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후크 및 하나의 스트랩(ST)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웨어러블 장치(2000)가 제1 스트랩(ST1) 및 제2 스트랩(ST2)을 포함하는 경우를 주로 서술하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 모듈(2100)은 웨어러블 장치(2000) 상에서 입출력부(2200)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2100)은 웨어러블 장치(200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때, 입출력부(220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입출력부(2200)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거리는 사람의 손목 둘레 평균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스트랩(ST1) 및 제2 스트랩(ST2)은 카메라 모듈(2100)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2100)이 제1 스트랩(ST1)에 배치되는 경우, 제1 스트랩(ST1)은 버클을 포함하고, 제2 스트랩(ST2)은 제1 스트랩(ST1)의 후크를 통과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카메라 모듈(2100)이 배치되는 제1 스트랩(ST1)이 버클을 포함하여 카메라 모듈(2100)이 배치되지 않은 제2 스트랩(ST2)이 제1 스트랩(ST1)의 버클을 통과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제1 스트랩(ST1)의 길이는 제2 스트랩(ST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에서 카메라 모듈(2100)이 입출력부(2200)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기 위해 제1 스트랩(ST1)은 미리 설정된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제2 스트랩(ST2)은 상대적으로 제1 스트랩(ST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200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때, 사용자의 손목을 기준으로 제1 스트랩(ST1)이 제2 스트랩(ST2)보다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배치되어 카메라 모듈(2100)이 제2 스트랩(ST2)에 의해 가압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3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2000)가 입출력부(2200) 및 입출력부(2200) 양단에 연결되는 제1 스트랩(ST1) 및 제2 스트랩(ST2)을 포함하고, 카메라 모듈(2100)이 제1 스트랩(ST1)에 배치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2100)은 제1 스트랩(ST1) 중 입출력부(2200)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트랩(ST1)이 중심을 기준으로 입출력부(2200)에 인접한 제2 부분(P2) 및 입출력부(2200)와 이격된 제1 부분(P1)을 포함할 때, 카메라 모듈(2100)은 제1 부분(P1)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2100)의 배치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200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때 카메라 모듈(2100)의 시야 범위에 사용자의 손바닥이 최대한 많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장치(2000)가 하나의 스트랩(ST)을 포함하는 경우, 스트랩(ST)은 사이즈 조절을 위한 접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입출력부(2200) 및 입출력부(2200)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타단에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스트랩(ST)의 일단은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스트랩(ST)의 타단은 조절부재를 통과한 후 접혀서 스트랩(ST)의 접착 부분에 접착됨으로써 웨어러블 장치(2000)의 사이즈가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모듈(2100)은 스트랩(ST) 중 접착 부분이 아닌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100)은 스트랩(ST)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2100)은 스트랩(ST) 중 웨어러블 장치(200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때 사용자의 손목을 둘러싸는 면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2100)은 스트랩(ST)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100)은 스트랩(ST)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5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2100)의 중심축(ca)은 스트랩(ST)과 0~180° 사이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2100)의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카메라 모듈(2100)의 시야 범위(FoV)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2100)의 중심축(ca)과 스트랩(ST) 사이의 각도가 180°에서 0°로 갈수록 사용자의 손바닥이 시야 범위(FoV)에서 보다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이에 따라 손바닥 외의 대상이 촬영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카메라 모듈(2100)의 중심축(ca)과 스트랩(ST) 사이의 각도가 0°에서 180°로 갈수록 손바닥 외의 대상이 시야 범위(FoV)에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중심축(ca) 및 스트랩(ST) 사이의 각도가 커질수록 상대적으로 넓은 시야 범위(FoV)를 가지지만 약물 이행과 관련성이 낮은 대상(ex. 타인)이 시야 범위(FoV)에 포함되어 프라이버시 침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중심축(ca) 및 스트랩(ST) 사이의 각도가 작아질수록 상대적으로 좁은 시야 범위(FoV)를 가지지만 약물 이행과 관련성이 낮은 대상이 시야 범위(FoV)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2100)의 기울어진 정도는 충분한 시야 범위(FoV)를 확보하면서 약물 이행과 관련성이 낮은 대상이 시야 범위(FoV)에 포함되지 않도록 적절한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2100)의 중심축(ca) 및 스트랩(ST) 사이의 각도는 60° 내지 150°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카메라 모듈(2100)의 중심축(ca) 및 스트랩(ST) 사이의 각도는 90° 내지 120°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100)은 웨어러블 장치(2000)의 제2 제어부(2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시 도 34를 참조하면, 제2 제어부(2500) 및 카메라 모듈(2100)은 카메라 모듈(2100)이 배치된 스트랩(ST)에 내장된 전기적 연결부재(EM)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장치(2000)가 제1 스트랩(ST1) 및 제2 스트랩(ST2)을 포함하고, 제1 스트랩(ST1)에 카메라 모듈(2100)이 배치될 때, 제1 스트랩(ST1) 중 제2 제어부(2500)와 카메라 모듈(2100)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플렉서블(flexible) 전기적 연결부재(EM)를 내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적 연결부재(EM)는 카메라 모듈(2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라인, 카메라 모듈(2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라인 및 카메라 모듈(2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2100)은 웨어러블 장치(2000)의 제2 제어부(2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별도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의 제2 제어부(2500) 또는 서버(3000)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2000) 착용을 확인 및 유도하는 방법에 대하여 서술한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 관련 영상 또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주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사용자가 약물 이행 시 웨어러블 장치(2000) 착용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2000)를 착용하지 않고 약물을 이행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웨어러블 장치(2000)는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2000)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장치(2000)는 내장된 가속도 센서 및/또는 중력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사용자의 걸음 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2000)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장치(2000)는 특정 시간 구간 동안 내장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산출한 사용자의 걸음 수가 특정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일반 사람의 평균 걸음 수 또는 특정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일반 사람의 최소 걸음 수 이하인 경우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2000)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2000) 착용 여부 판단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24시간 동안 내장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산출한 사용자의 걸음 수가 3000~6000보에서 선택되는 기준 걸음 수 이하이면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2000)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장치(2000)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사용자의 걸음 수를 기록하고, 기록된 걸음 수가 미리 설정된 걸음 수 이하이거나 걸음 수가 0인 시간 구간을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2000)를 착용하지 않은 시간 구간으로 특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웨어러블 장치(2000)는 내장된 바이오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2000)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심박수 센서, 온도 센서, 및/또는 혈압, 심전도, 혈중 산소포화도 등을 측정하는 바이오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2000) 착용 여부 판단 시점에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2000)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상술한 방법 모두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2000)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일시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2000)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 예정 시점 마다, 24시간에 한 번, 사용자의 약물 이행 개시 시점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2000)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장치(2000)는 미리 저장되거나 서버(3000)로부터 획득되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 예정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2000)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장치(2000)는 무선 통신 장치(1000)와 페어링 또는 연결되거나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에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2000)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웨어러블 장치(2000)가 무선 통신 장치(1000)와 페어링 또는 연결되거나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활성화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은 사용자가 약물 이행을 개시하거나 약물 이행하는 시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2000)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사용자 등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 또는 단말 장치(4000)는 사용자가 약물 이행 시 웨어러블 장치(2000)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미착용 알림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웨어러블 장치(2000)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착용 유도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단말 장치(4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 또는 서버(3000)를 통해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2000) 착용 여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사람마다 웨어러블 장치(2000)를 착용하는 방식이 상이할 수 있고, 착용하는 방식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2000)의 카메라 모듈(2100)이 촬영하는 시야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가 손목에 착용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2000)가 정상적으로 착용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2100)의 촬영 방향은 사용자의 신체 바깥쪽 또는 손바닥 쪽을 향할 수 있고, 웨어러블 장치(2000)가 오착용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2100)의 촬영 방향은 사용자의 신체 중심 또는 팔 쪽을 향하게 되어 목적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없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웨어러블 장치(2000)가 오착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장치(2000)는 내장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센서 값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의 오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장치(2000)는 중력 센서를 포함하고, 카메라 모듈(2100)의 촬영 방향 및 중력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중력 방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의 오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웨어러블 장치(2000)는 카메라 모듈(2100)을 통해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의 오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2000)를 착용한 경우 또는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카메라 모듈(2100)을 이용하여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 또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의 오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웨어러블 장치(2000)이 오착용된 경우 사용자에게 오착용을 지시하는 알림 또는 재착용을 지시하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6을 참조하여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로 이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서술한다.
디지털 치료제는 질병을 예방, 관리, 또는 치료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디지털 치료제는 간접적인 치료 효과를 가지며 복약 관리 등으로 기존 의약품의 치료 효과를 제고하는 등 기존 치료제와 함께 이용되는 보완 디지털 치료제 또는 직접적이고 독립적인 치료 효과를 가지며 약물 중독 치료 어플리케이션이나 인지행동치료 어플리케이션처럼 사용자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대체 디지털 치료제로 분류될 수 있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존 치료제와 함께 쓰이면서 기존 치료제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보완 디지털 치료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행동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유도하는 점에서 대체 디지털 치료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따른 부작용 유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3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부작용을 방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약물 이행을 감지하는 단계(S7100), 사용자가 이행한 약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200), 부작용 발생 예상 시점에 질의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7300),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400), 및 질의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응답 및 사용자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부작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500)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단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약물 이행을 감지할 수 있다(S7100).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서술한 것과 같이,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무선 통신 장치(1000), 웨어러블 장치(2000), 및 서버(30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웨어러블 장치(2000) 및/또는 서버(3000)는 사용자가 이행한 약물 종류, 사용자의 약물 이행 시점, 및/또는 약물 이행 횟수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이행한 약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7200). 예를 들어, 서버(3000)는 미리 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행한 약물의 부작용 증상, 부작용 예상 시점, 및/또는 부작용 대처 방법 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제공할 수 있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부작용 발생 예상 시점에 사용자에게 질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7300).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 또는 단말 장치(4000)는 서버(3000)로부터 획득한 부작용 정보에 기초하여 부작용 발생 예상 시점에 사용자에게 부작용에 관한 질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질의 메시지 출력 시점은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으로부터 해당 약물의 부작용 발생 예상 시간이 경과한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질의 메시지는 부작용 발생 예상 시점 또는 시간 구간에서 일시적 또는 주기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 여기서, 질의 메시지는 이상 징후 발생 여부, 페인 스코어(pain score), 및/또는 예상 징후 발생 여부 등을 질의할 수 있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7400).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의 맥박을 감지하는 맥박 센서,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 사용자의 손떨림이나 낙상 여부 등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고, 일시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부작용 발생 예상 시점을 전후로 일시적 또는 주기적으로 획득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한 시점부터 주기적으로 획득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센서 등에 의해 측정된 정보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과거 진료 기록이나 건강검진 기록 등 약물의 부작용 유무 판단에 이용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질의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응답 및/또는 사용자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부작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500).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질의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응답 및/또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서버(3000)로 전송하고 서버(3000)는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약물의 부작용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3000)는 사용자의 낙상 여부, 손 떨림 여부, 맥박/심박수/체온 변화 등을 감지하여 약물의 부작용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서버(3000)는 부작용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또는 부작용 유무를 판단하도록 학습된 인공 신경망 등을 이용하여 약물의 부작용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약물 과다 복용을 방지하기 위한 중복 복약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치료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에 관한 정보들을 저장하여 사용자의 약물 이행 시도가 있거나 약물을 이행한 경우 마다 중복 복약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등에게 중복 복약에 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중복 복약 가능성 또는 중복 복약 여부를 판단하고 중복 복약 관련 알림을 사용자 등에게 제공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서술한 바, 생략하도록 한다.
*
*
*556상술한 바와 같이,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따른 부작용을 감지하거나 사용자가 약물을 중복하여 이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약물 이행의 적합성을 판단하거나 약물 이행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치료 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간접적인 치료 효과를 가지는 보완 디지털 치료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보조함으로써 디지털 치료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서버(3000)로부터 약물에 관한 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나 상태 정보, 및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에 관한 정보 등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건강 증진 유도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 증진 유도 알림은 사용자가 이행하는 약물의 정보 및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증진 유도 알림은 사용자가 이행하는 약물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면 유도 알림 또는 운동 유도 알림, 및 약물의 부작용이나 효과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유해 행동 방지 알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하여 획득하는 약물 이행 결과와 약물 이행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억제하거나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키는 점에서 대체 디지털 치료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7 내지 도 39를 참조하여,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적용되는 약물 이행 관리 도구(medication adherence managing tool)에 대해서 서술한다.
약물 이행 관리 도구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을 관리하기 위한 보조 도구 또는 약물 이행을 유도하는 플랫폼 등(이하 '약물 이행 관리 도구')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건망증, 치매 등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나 보호자의 보호나 관리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약물 이행 관리 도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약물 이행 관리 도구에 적용될 수 있으며 약물 이행 관리 도구에 따라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구성 또는 동작 방식의 일부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37 내지 도 3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행 관리 도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약물 이행 관리 도구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을 유도하기 위해 실생활 용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 이행 관리 도구는 달력 형태로 구현되고 요일 별 및 시간대 별로 약물을 수용하는 약물 수용부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요일 및 시간대에 따라 약물 수용부에서 약물을 꺼내어 약물을 이행할 수 있다.
한편, 도 37에 도시된 약물 이행 관리 도구의 경우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적용함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1000)를 배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이 약물 이행 관리 도구에 구성을 추가하거나 무선 통신 장치(1000)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약물 이행 관리 도구는 자체적으로 상술한 무선 통신 장치(10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약물 이행 관리 도구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 시도에 따른 영상 촬영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에 활성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약물 이행 관리 도구는 센서부,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 이행 관리 도구는 약물 수용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접근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약물 수용부에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에 카메라 모듈(2100)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활성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접근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 PIR(Passive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 또는 주변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9를 참조하면, 약물 이행 관리 도구는 사용자가 사용 시 무선 통신 장치(1000)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 이행 관리 도구는 약물 수용부를 덮고 있어, 사용자가 약물 이행 관리 도구 사용 시 필연적으로 움직이는 커버를 포함하고, 무선 통신 장치(1000)가 커버에 부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0)는 약물 이행 관리 도구의 커버에 부착되어 커버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0)는 모션 센서(1110)를 이용하여 커버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모션 값을 획득하고, 모션 값에 기초하여 모션 조건이 만족되면 활성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장치(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약물 이행 관리 도구가 달력과 유사한 일정 관리 도구와 접목된 형태에 대하여 주로 서술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약물 이행이나 약물 이행 유도에 관여하는 경우라면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다수의 사용자 또는 특정 약물 이행의 대상자 집단 등(이하 '모니터링 대상')의 모니터링에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관리 서비스는 모니터링 대상의 약물 이행 관리를 위해 웨어러블 장치(2000), 서버(3000), 단말 장치(4000), 및/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 서비스는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획득된 약물 이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특정 UI/UX(User Interface/User Experience) 디자인,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 서비스는 사용자, 의료인, 보호자 또는 관리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때 제공받는 주체 또는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관리 서비스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비스는 의료인, 보호자 또는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manager interface) 및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개인 인터페이스(private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0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관리 서비스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도 40 내지 도 4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인, 보호자 또는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관리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관리 서비스가 서버(3000)에 의해 출력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인 경우에 대해 주로 서술하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관리 서비스가 웨어러블 장치(2000) 또는 단말 장치(4000)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서버(3000)는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제어부(3400)는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서버 입출력부(31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제어부(3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버 입출력부(3100)에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관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 입출력부(3100)는 정보가 표시되거나 출력되는 서버 디스플레이 및 관리자 등으로부터 입력을 받는 서버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400)는 서버 메모리(32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약물 이행에 관한 정보를 서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되, 서버 입력부로부터 획득한 입력에 기초하여 서버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서버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내용은 카테고리 영역(A1) 및 정보 표시 영역(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카테고리 영역(A1)은 열람하고자 하는 정보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영역(A1)에는 "대시보드", "프로젝트", 및 "참여회원"이 표시될 수 있다. 정보 표시 영역(A2)은 카테고리 영역(A1)에서 선택된 종류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테고리 영역(A1)에서 선택된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정보 표시 영역(A2)에 표시되는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도 40을 참조하면, 카테고리 영역(A1)에서 "대시보드"가 선택되는 경우 정보 표시 영역(A2)에는 모니터링 대상의 요약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표시 영역(A2)에는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획득한 정보가 복약 정보 영역(AA1), 감정 정보 영역(AA2), 및 부작용 정보 영역(AA3)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복약 정보 영역(AA1)에는 모니터링 대상의 약물 이행 여부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 정보 영역(AA1)에는 "날짜", 모니터링 대상 전체의 약물 이행 정도를 지시하는 "복약 순응도 전체 평균", 모니터링 대상 전체의 약물 이행 횟수를 지시하는 "복약 전체 횟수", 복약 순응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복약 순응도 그래프", 및 복약 순응도 구간별 모니터링 대상자 분포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분포 그래프"가 표시될 수 있다.
감정 정보 영역(AA2)에는 모니터링 대상으로부터 입력 받은 감정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정 정보 영역(AA2)에는 모니터링 대상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입력 받은 감정 수치(ex. 기분에 대해, 매우 좋음 '5', 좋음 '4', 보통 '3', 나쁨 '2', 매우 나쁨 '1')와 관련된 "감정 전체 평균"과 "감정 전체 분산", 및 감정 수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감정에 관한 그래프"가 표시될 수 있다.
부작용 정보 영역(AA3)에는 모니터링 대상의 부작용 유무를 판단하여 획득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작용 정보 영역(AA3)에는 모니터링 대상의 부작용 발생 횟수를 지시하는 "부작용 입력 전체 건수", 모니터링 대상의 개인별 부작용 발생 횟수의 평균을 지시하는 "회원별 부작용 평균", 및 부작용 발생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 "부작용 횟수 그래프"가 표시될 수 있다.
서버(3000)는 상술한 영역(A1, A2, AA1, AA2, AA3)들을 포함하는 화면을 서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0)는 카테고리 영역(A1)에서 관리자로부터 받은 입력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보 표시 영역(A2)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카테고리 영역(A1)에서 "프로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정보 표시 영역(A2)에는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표시 영역(A2)에는 "프로젝트 명", "시작 기간", "종료 기간", "코드", "목적", "설명", "대상 질환", "질환 설명", "의약품 명", "참가자 수", "자격조건", "무자격 조건", 및 "주의사항"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정보 표시 영역(A2)에 표시되는 "의약품 명" 주변에 프로젝트에서 이행되는 약물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1 팝업버튼(B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1 및 도 42를 참조하면, 정보 표시 영역(A2)에 표시되는 팝업버튼(B1)이 선택되면 모니터링 대상이 이행하는 약물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제1 팝업창(PU1) 또는 모니터링 대상이 이행하는 약물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제2 팝업창(PU2)이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제어부(3400)가 제1 팝업버튼(B1)에 대한 관리자 입력을 받은 경우, 복용약에 대한 정보가 서버 메모리(32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버 디스플레이에 제1 팝업창(PU1)을 출력하여 복용약에 대한 관리자의 정보 입력을 유도하고, 복용약에 대한 정보가 서버 메모리(32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저장된 복용약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 디스플레이에 제2 팝업창(PU2)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팝업창(PU1)에는 "제품명", "제품 코드", "제품 성분(영문)", "제품 성분(국문)", "복용량", "복용방법", "복용시간", 및 "제품 설명"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관리자에 의해 대응하는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제2 팝업창(PU2)은 모니터링 대상이 이행하는 약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2 팝업창(PU2)에 표시되는 약물에 대한 정보는 제1 팝업창(PU1)을 통해 관리자가 입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팝업창(PU2)에는 "약물 이름", "용량", "약물 사진", "약물 이행 시간", 및 "약물에 대한 설명"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3을 참조하면, 카테고리 영역(A1)에서 "참여회원"이 선택되는 경우 정보 표시 영역(A2)에는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표시 영역(A2)에는 모니터링 대상에 포함된 사용자들에 각각 대응하는 "관리번호", "성별", "연령", "복약 진행도", "감정 수치", "부작용 횟수", "통증 횟수", "참여 시기", "상태", 및 "보기" 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정보 표시 영역(A2)은 모니터링 대상의 각 사용자의 상태 열람을 위한 제2 팝업버튼(B2)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4를 참조하면, 정보 표시 영역(A2)에서 제2 팝업버튼(B2)이 선택되는 경우 모니터링 대상의 각 사용자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정보가 표시되는 제3 팝업창(PU3)이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제3 팝업창(PU3)은 모니터링 대상의 각 사용자에 대응하는 "관리번호", "성별", "나이", "연락처", "프로젝트 참가일", "회원가입일", "장치 ID", "GUID", "날짜 별 약물 이행 시간 그래프", 및 "요일별 감정 수치 그래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장치 ID"는 각 사용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2000)의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고 "GUID"는 각 사용자에게 제공된 무선 통신 장치(1000)의 범용 고유 식별자에 대응될 수 있다.
도 4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관리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관리 서비스가 단말 장치(40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개인 인터페이스인 경우에 대해 주로 서술한다.
단말 장치(4000)는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해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4000)는 후술하는 정보들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고, 입력 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도 45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4000)에 출력되는 내용은 카테고리 영역(A1) 및 정보 표시 영역(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카테고리 영역(A1)은 열람하고자 하는 정보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영역(A1)에는 "나의정보", "오늘현황", 및 "상세보기"가 표시될 수 있다. 정보 표시 영역(A2)은 카테고리 영역(A1)에서 선택된 종류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테고리 영역(A1)에서 선택된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정보 표시 영역(A2)에 표시되는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카테고리 영역(A1)에서 "나의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정보 표시 영역(A2)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5를 참조하면, 정보 표시 영역(A2)에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관리번호", "성별", "나이", "연락처", "임상 참가일", "회원가입일", 및 "장치 ID"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장치 ID"는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장치(2000)의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카테고리 영역(A1)에서 "오늘현황"이 선택되는 경우 정보 표시 영역(A2)에는 날짜 별로 사용자에게 발생한 이벤트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5를 참조하면, 정보 표시 영역(A2)에는 날짜별로 발생 이벤트 수가 표시되는 달력과 날짜별로 발생한 이벤트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달력에서 사용자에 의해 날짜가 선택되면 선택된 날짜에 해당하는 이벤트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사용자가 약물 이행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는 프로젝트/임상 시작, 약물 처방, 약물 이행, 약물 불이행, 사용자 상태 검사, 약물 이행에 따른 부작용 발생, 약물 이행 중단, 이행하는 약물 변경, 약물 이행 관련 전문가 상담 진행, 및 약물 이행 종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표시 영역(A2)에 표시되는 이벤트는 단말 장치(4000)가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획득한 정보, 또는 무선 통신 장치(1000), 웨어러블 장치(2000), 및/또는 서버(3000)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200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또는 사용자의 입력을 이용하여 부작용 유무를 판단하여 획득한 부작용 유무에 관한 정보를 단말 장치(4000)로 전송하고, 단말 장치(4000)는 수신한 부작용 유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표시 영역(A2)에 부작용 관련 이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3000)는 웨어러블 장치(2000)로부터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하고, 약물 이행 여부에 관한 정보를 단말 장치(4000)로 전송하며, 단말 장치(4000)는 수신한 약물 이행 여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표시 영역(A2)에 약물 이행 또는 약물 불이행 이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카테고리 영역(A1)에서 "상세보기"가 선택되는 경우 정보 표시 영역(A2)에는 사용자의 약물 이행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5를 참조하면, 정보 표시 영역(A2)에는 날짜 및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약물 이행 상황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4000)는 서버(300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약물 이행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표시 영역(A2)에 그래프, 표, 또는 테이블 등의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약물 이행 정보는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하였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사용자가 이행하고자 하는 약물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한 시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약물을 이행한 시점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2000)가 무선 통신 장치(1000)로부터 활성화 데이터를 획득한 시점, 웨어러블 장치(2000)의 카메라 모듈(2100)이 활성화되는 시점, 카메라 모듈(2100)이 비활성화되는 시점, 또는 상술한 시점들 사이의 시간 구간에서 선택되는 시점 등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4000)는 복수의 약물 이행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표시 영역(A2)에 사용자의 약물 이행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약물 및 제2 약물을 처방 받아 이행하는 경우, 단말 장치(4000)는 서버(3000)로부터 제1 약물에 대한 제1 약물 이행 정보 및 제2 약물에 대한 제2 약물 이행 정보를 획득하고, 이들에 기초하여 정보 표시 영역(A2)에 시간별, 날짜별 사용자의 제1 약물 및 제2 약물 이행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1 약물 이행 정보에 관한 표시와 제2 약물 이행 정보에 관한 표시는 형상이나 색상을 달리하는 등 시각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약물 이행 정보가 반드시 약물에 관한 정보인 것은 아니며, 흡입기 사용 또는 혈당 측정 등 도 30을 참조하여 서술한 건강 관리 행위에 관한 정보가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관리 서비스가 단말 장치(4000)를 통해 개인 인터페이스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경우에 대해 주로 서술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리 서비스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2000)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단말 장치(4000)를 통해 표시되되 의료인, 보호자 또는 관리자 등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형태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 1000: 무선 통신 장치
2000: 웨어러블 장치 3000: 서버
4000: 단말 장치

Claims (9)

  1.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부면, 하부면, 제1 측면,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측면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3 측면과 상기 제4 측면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1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트랩은 상기 몸체의 상기 제1 측면에 결합된 제1 종단부 및 제1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2 종단부를 포함하고,
    제1 스트랩보다 짧게 형성되는 제2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몸체의 상기 제2 측면과 결합된 제3 종단부 및 상기 제1 스트랩의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트랩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제2 스트랩이 상기 카메라 모듈을 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시야는 상기 몸체의 상기 제3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4 측면으로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시야는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1 종단부 사이의 길이는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의 길이보다 긴,
    웨어러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몸체의 상기 상부면, 상기 하부면,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컨트롤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는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1 스트랩의 제1 종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트랩 내에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가 제공되어 상기 제1 스트랩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아래에 제공되는 배터리; 및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파워라인;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은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스트랩 또는 상기 제2 스트랩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포함된 렌즈는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 포함된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의 광축은 상기 카메라 모듈과 함께 마련되는 제1 스트랩의 표면에 대해 예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지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과 상기 제1 스트랩의 상기 표면 사이의 각도가 15도에서 75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과 상기 제1 스트랩의 상기 표면 사이의 각도가 30도에서 60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
  9.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부면, 하부면, 제1 측면,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측면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3 측면과 상기 제4 측면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1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트랩은 상기 몸체의 상기 제1 측면에 결합된 제1 종단부 및 제1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2 종단부를 포함하고,상기 제1 스트랩의 길이는 상기 제2 스트랩보다 길고 상기 제1 스트랩은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제1 스트랩보다 짧게 형성되는 제2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몸체의 상기 제2 측면과 결합된 제3 종단부 및 상기 제1 스트랩의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 스트랩의 상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스트랩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스트랩이 카메라 모듈을 덮지 않도록 하고, 상기 몸체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 의해 길이가 정의되고, 상기 몸체의 제3 측면과 제4 측면에 의해 폭이 정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시야각은 상기 몸체의 상기 폭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1 종단부 사이의 길이는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의 길이보다 길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시야가 사용자 손바닥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KR1020230142969A 2020-08-19 2023-10-24 건강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202301533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3633 2020-08-19
KR1020200103633 2020-08-19
KR1020200146394 2020-11-04
KR20200146394 2020-11-04
KR20210000496 2021-01-04
KR1020210000496 2021-01-04
KR1020220169561A KR102595326B1 (ko) 2020-08-19 2022-12-07 건강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9561A Division KR102595326B1 (ko) 2020-08-19 2022-12-07 건강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326A true KR20230153326A (ko) 2023-11-06

Family

ID=79176590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621A KR102344449B1 (ko) 2020-08-19 2021-03-26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0210039622A KR102344338B1 (ko) 2020-08-19 2021-03-26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0210040855A KR102343532B1 (ko) 2020-08-19 2021-03-30 약물 이행 유형을 고려한 약물 이행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KR1020210040854A KR102343525B1 (ko) 2020-08-19 2021-03-30 약물 이행 패턴을 고려한 약물 이행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KR1020210040853A KR102344101B1 (ko) 2020-08-19 2021-03-30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KR1020210186342A KR102476665B1 (ko) 2020-08-19 2021-12-23 건강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0210185689A KR20220022886A (ko) 2020-08-19 2021-12-23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KR1020220169561A KR102595326B1 (ko) 2020-08-19 2022-12-07 건강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0230142969A KR20230153326A (ko) 2020-08-19 2023-10-24 건강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621A KR102344449B1 (ko) 2020-08-19 2021-03-26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0210039622A KR102344338B1 (ko) 2020-08-19 2021-03-26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0210040855A KR102343532B1 (ko) 2020-08-19 2021-03-30 약물 이행 유형을 고려한 약물 이행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KR1020210040854A KR102343525B1 (ko) 2020-08-19 2021-03-30 약물 이행 패턴을 고려한 약물 이행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KR1020210040853A KR102344101B1 (ko) 2020-08-19 2021-03-30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KR1020210186342A KR102476665B1 (ko) 2020-08-19 2021-12-23 건강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0210185689A KR20220022886A (ko) 2020-08-19 2021-12-23 약물 이행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KR1020220169561A KR102595326B1 (ko) 2020-08-19 2022-12-07 건강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6) US11457862B2 (ko)
EP (1) EP4200870A1 (ko)
JP (1) JP2023538600A (ko)
KR (9) KR102344449B1 (ko)
CN (1) CN116325021A (ko)
WO (2) WO20220395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3679B1 (ja) * 2019-02-01 2020-06-03 株式会社計数技研 計数装置、学習器製造装置、計数方法、学習器製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165381A1 (en) * 2020-11-24 2022-05-26 Electronic Caregive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ompliance with a medication regimen
EP4261833A1 (en) * 2022-04-11 2023-10-18 Ypsomed AG Guidance for a drug delivery process
WO2024010259A1 (ko) * 2022-07-08 2024-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0376A (ja) 2003-03-14 2004-10-07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被写体の行動認識方法及び装置
US9907473B2 (en) * 2015-04-03 2018-03-06 Koninklijke Philips N.V. Personal monitoring system
WO2011074744A1 (ko) * 2009-12-18 2011-06-23 주식회사 제윤 환자의 약 복용을 실시간 관리하는 약 복용 관리 시스템 및 약 복용 관리 방법
US9375142B2 (en) * 2012-03-15 2016-06-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Learning patient monitoring and intervention system
JP6096654B2 (ja) 2013-12-27 2017-03-15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画像の記録方法、電子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135586B1 (ko) 2014-01-24 2020-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5117226A1 (en) 2014-02-05 2015-08-13 Self Care Catalyst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nalyzing and enhancing patient health
JP2015197803A (ja) 2014-04-01 2015-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行動記録装置、行動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79113B2 (en) * 2014-06-11 2017-06-13 Aic Innovations Group, Inc. Medication adheren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6460105B2 (ja) 2014-06-30 2019-01-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影方法、撮影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KR101661555B1 (ko) 2014-07-14 2016-10-04 넥시스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기능 제한방법 및 프로그램
US9390610B2 (en) 2014-07-23 2016-07-12 Ncr Corporation Techniques for determining movement of a device away from a preferred location
US20160125217A1 (en) 2014-11-05 2016-05-05 Hand Held Products, Inc. Barcode scanning system using wearable device with embedded camera
US10395764B2 (en) * 2015-01-06 2019-08-27 Aic Innovations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tion of patient activity
US10441214B2 (en) 2015-01-29 2019-10-15 Kali Care, Inc. Monitoring adherence to a medication regimen using a sensor
KR102304693B1 (ko) 2015-02-12 2021-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US10025908B1 (en) 2015-02-25 2018-07-17 Leonardo Y. Orellano Medication adherence systems and methods
KR20160104288A (ko) 2015-02-26 2016-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식사 여부를 판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18887B1 (ko) 2015-03-06 2021-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04744B1 (ko) 2015-04-07 2021-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단말기 및 이와 무선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319473B2 (en) 2015-04-20 2019-06-11 Kali Care, Inc. Wearable system for healthcare management
WO2016196140A1 (en) 2015-06-03 2016-12-08 Nuvizen Sensor-based medication systems
US20170004283A1 (en) 2015-07-01 2017-01-05 Casey LEWIS Methods and Systems for Medication Compliance Monitoring and Notification
KR102423830B1 (ko) 2015-11-10 2022-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65722B1 (ko) 2016-01-12 2017-08-08 소프트온넷(주) 인지형 차량 및 인상착의 객체 및 이벤트 인식, 추적, 검색, 예측을 위한 나레이티브 보고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JP2017169732A (ja) 2016-03-23 2017-09-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71695B1 (ko) * 2016-04-01 2019-04-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798890B1 (ko) 2016-07-14 2017-11-17 네이버 주식회사 일상 생활 습관의 행동 요소를 활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57629B1 (ko) 2016-09-09 2018-05-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혈당매니지먼트 시스템
KR20180028701A (ko) 2016-09-09 2018-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EP3321844B1 (en) * 2016-11-14 2021-04-14 Axis AB Action recognition in a video sequence
US10524726B2 (en) 2016-11-17 2020-01-07 Biointellisense, Inc. Medication adherence and/or counterfeit detecti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1908336B1 (ko) 2016-12-19 2018-10-16 박진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실버세대 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86002B1 (ko) * 2017-01-17 2019-06-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행동-인식 연결 학습 기반 의도 이해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US11687800B2 (en) * 2017-08-30 2023-06-27 P Tech, Llc Artificial intelligence and/or virtual reality for activity optimization/personalization
KR102053537B1 (ko) * 2017-12-07 2019-12-10 주식회사 라이너스 복약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112757B1 (ko) 2018-04-27 2020-05-20 주식회사 라이너스 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19212122A1 (ko) 2018-04-30 2019-11-07 Lee Hwiwon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객체의 이벤트 감지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KR101949102B1 (ko) * 2018-10-08 2019-02-18 박기준 복약 보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약 보조 방법
KR20200080047A (ko) * 2018-12-26 2020-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진정 사용자의 손을 식별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웨어러블 기기
KR102052558B1 (ko) 2019-04-30 2019-12-06 주식회사 비알네트콤 질환 예측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325021A (zh) 2023-06-23
US20220058439A1 (en) 2022-02-24
US20220054081A1 (en) 2022-02-24
KR102344338B1 (ko) 2021-12-29
KR102343525B1 (ko) 2021-12-27
WO2022039521A1 (en) 2022-02-24
US20220192593A1 (en) 2022-06-23
US11304656B2 (en) 2022-04-19
KR102344449B1 (ko) 2021-12-29
US11832962B2 (en) 2023-12-05
EP4200870A1 (en) 2023-06-28
US20230248305A1 (en) 2023-08-10
KR102343532B1 (ko) 2021-12-27
US11457862B2 (en) 2022-10-04
KR20220022887A (ko) 2022-02-28
KR102344101B1 (ko) 2021-12-29
JP2023538600A (ja) 2023-09-08
US20220384029A1 (en) 2022-12-01
US11660048B2 (en) 2023-05-30
KR102595326B1 (ko) 2023-10-27
KR20220022886A (ko) 2022-02-28
KR20230006624A (ko) 2023-01-10
KR102476665B1 (ko) 2022-12-12
US11950922B2 (en) 2024-04-09
US20240050031A1 (en) 2024-02-15
WO2022039532A1 (ko)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5326B1 (ko) 건강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20200205731A1 (en) Aligning measurement data sets from different devices
JP7446295B2 (ja) 身体挙動イベントの自動検出及びこれに対応する薬剤投与システムの調整
JP6568954B2 (ja) センサーを使用した投薬計画に対する遵守の監視
US10319473B2 (en) Wearable system for healthcare management
US10969583B2 (en)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system for use with a medical device
US202204064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user information
US11207243B2 (en) System, method, and module for integrated medication management
US20180308572A1 (en) Tracking module securable to respiratory device
US11571363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and assisting in medication compliance
US20090326509A1 (en) Context aware medical monitoring and dosage delivery device
JP2018512895A (ja) センサーを使用した投薬計画に対する遵守の監視
JP6338454B2 (ja) 服用証跡管理端末、服用証跡管理システム及び服用証跡管理方法
US20190282450A1 (en) System, method, and module for integrated medication management
CN114616627A (zh) 身体行为事件的自动检测和药物分配系统的对应调整
US201902520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therapeutic compliance
TWI604407B (zh) Internet of Things-based Ambulatory Care System for the Elderly
CN215272701U (zh) 用于药物依从性监测的可穿戴设备
CN110415781B (zh) 一种给药装置
TWI599982B (zh) Ibeacon dementia elderly care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JP2022165944A (ja) 点眼管理装置、点眼管理システム、点眼管理装置利用システム、及び点眼管理装置利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