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744B1 - 웨어러블 단말기 및 이와 무선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단말기 및 이와 무선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744B1
KR102304744B1 KR1020150049249A KR20150049249A KR102304744B1 KR 102304744 B1 KR102304744 B1 KR 102304744B1 KR 1020150049249 A KR1020150049249 A KR 1020150049249A KR 20150049249 A KR20150049249 A KR 20150049249A KR 102304744 B1 KR102304744 B1 KR 102304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food
information
use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0131A (ko
Inventor
구본준
전혜정
김성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9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744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에 착용 가능한 바디부,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면, 소리 정보 및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추적센서부 및 상기 움직임 정보 및 소리정보에 근거하여 섭취한 음식물의 종류, 상기 음식물의 양 및 섭취상태정보를 포함한 섭취결과정보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단말기 및 이와 무선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WEARALBE TERMINAL AND DISPLAY DEVICE WIRELESS COMMUNICATING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에 착용 가능한 형태의 웨어러블형 단말기에 관한 발명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글래스타입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글래스타입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사람의 신체의 일부에 장착가능 하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웨어러블형(wearable-type)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입과 목에 가까이에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넥밴드형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의 음성을 보다 쉽게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넥밴드형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말할 때뿐만 아니라 음식을 먹는 경우에도 발생하는 소리 또한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먹은 음식을 기록하고 섭취상태를 분석하는 웨어러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 가능한 바디부,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면, 소리 정보 및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추적센서부 및 상기 움직임 정보 및 소리정보에 근거하여 섭취한 음식물의 종류, 상기 음식물의 양 및 섭취상태정보를 포함한 섭취결과정보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케어모드와 상기 섭취결과정보에 근거한 관리데이터를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는 동안 또는 음식물을 섭취한 이후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음식의 섭취 중에 제공되는 관리데이터에 근거하여 잘못된 식습관을 즉각적으로 인식 및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명령은 사용자가 음식물을 먹을 때 자주 발생하는 단어를 포함하는 음성, 음식을 섭취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카메라에 의하여 감지되는 음식물의 이미지를 통하여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제어명령을 인가할 필요가 없이 섭취하는 음식물 및 섭취상태를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섭취결과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되고, 사용자는 이를 확인 및 수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섭취결과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웨어러블 단말기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 및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한 신체적 움직임의 감지에 근거하여 섭취한 음식물에 대한 정보 및 섭취상태를 포함하는 섭취결과정보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먹은 음식물의 종류 및 음식물의 양을 개별적으로 입력하거나 기억할 필요가 없으며, 음식물을 섭취하는 동안 사용자도 인식하지 못하는 섭취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다른 웨어러블 단말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a 내지 도 4h는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5a 내지 도 5d는 섭취상태에 근거하여 경고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6a 내지 도 6f는 케어모드에 근거하여 섭취결과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a 내지 7d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케어모드를 설정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a 내지 도 8h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관리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a 내지 도 9d는 외부기기와 연동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0의 웨어러블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12a 및 도 12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적센서모듈을 구비하는 웨어러블 단말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3a은 추가적인 센서모듈을 구비하는 웨어러블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3b 및 도 13c는 도 13a를 이용하여 경고진동을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4a 내지 도 14e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15a 및 도 15b는 이어폰을 착용하고 음식물을 먹는 경우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넥밴드형 단말기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부(201), 입력부(202), 센싱부(204), 출력부(205), 인터페이스부(206), 메모리(207), 제어부(208), USIM부(203) 및 전원 공급부(20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201)는,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와 상기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201)는, 라디오 수신 모듈(201a), 이동통신 모듈(201b), 근거리 통신 모듈(201c), 위치정보 모듈(201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02)는,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202b),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20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202b)은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마이크(248, 도 4 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부(204)는 근접센서(204a), 조도 센서(204b),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도 센서(204b)는,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의 바디부(220)에 구비되는 조도 센서(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205)는, 음향 출력부(205a), 햅틱 모듈(205b), 광 출력부(205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향 출력부(205a)는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의 바디부(220)에 구비되는 스피커 모듈(243, 도 4 참조) 및 상기 이어폰(240)에 구비되는 스피커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6)는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206)는, 외부충전기 포트(port), 상기 USB 포트(228)와 같은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USIM부(203)와 같은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07)는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207)는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207)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209)는 상기 제어부(208)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209)는 배터리(270, 도 4 참조)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통신부(201)의 라디오 수신 모듈(201a)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라디오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2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201b)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 내에 상기 이동 통신 모듈(201b)과 USIM 카드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 자체가 모바일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 창이 구비된다면, 문자/멀티미디어 메세지의 송수신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01c)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201c)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와 외부기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201d)은,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GPS모듈의 경우, GPS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Wi-Fi모듈의 경우,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202b)은 통화 과정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된다. 한편, 마이크로폰(202b)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02c)는, 버튼, 돔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204)는,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 내의 정보,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208)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205a)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01)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07)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05a)는 호신호 수신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205a)에는 이어폰(240), 스피커 모듈(243)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햅틱 모듈(haptic module)(205b)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205b)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205b)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208)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의 바디부(220)를 손가락으로 두드려서 진동이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햅틱 모듈(205b)에서 상기 진동을 감지하여 영상 또는 이미지의 촬영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햅틱 모듈(205b)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205b)은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205c)는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등이 알림 이벤트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USIM부(130)를 포함하는 식별 모듈은, 상기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부 외에,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06)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207)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다른 웨어러블 단말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바디부(220)는 제 1 바디부(220a)와 제 2 바디부(22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바디부(220a, 220b) 각각의 단부에는 상기 이어폰(240)이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바디부(220a)는 우측 바디부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 2 바디부(220b)는 좌측 바디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우측 바디부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209)에 해당하는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볼륨 버튼(224a)과 상기 전원 스위치(229)와, 상기 usb 포트(228)가 장착되고, 상기 볼륨 버튼(224a), 전원 스위치(229) 및 usb 포트(228)가 장착되기 위한 홀이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도 회로 기판(250)이 설치되며, 상기 회로 기판(250)에는 스피커 모듈(243), 무선 통신부(110), 마이크(248) 등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모듈(243)은 상기 스피커 홀(241)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어폰(240)을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스피커 홀(241)을 통하여 음향이 출력된다.
다수의 기능 모듈과 전장 부품들이 나뉘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다수의 기능 모듈과 전장 부품들의 장착 위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사용자는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를 어깨에 착용한 상태로 임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240)를 이용하여 음악을 들을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가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 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한다(S110).
상기 입력부(202)는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상기 입력부(202)는 상기 마이크로폰(202b)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202c)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명령이 사용자의 음성명령 또는 특정 소리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폰(202)a)는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를 반복한 도즈 모드(doze mode)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02c)는 상기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터치방식을 수신하거나, 푸쉬(push)방식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폰(202b)은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1 음성명령(11)을 수신한다. 상기 제1 음성명령(11)은 의미를 갖는 단어나 문장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1 음성명령(11)은 음식물을 섭취하기 전에 사용자가 자주 하는 단어나 문장 또는 의성어, 의태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음성명령(11)은 '잘 먹겠습니다' 라는 문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음성명령(11)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른 방식의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때에 실질적으로 유사한 음성이 상기 마이크로폰(202b)에 반복적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음성을 제2 음성명령(11)으로 설정하거나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마이크로폰(202b)으로 입력되는 음성이 사용자의 음성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메모리(207)는 사용자의 음성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메모리(207)에 저장된 사용자의 음성의 특징과 입력된 음성의 특징을 비교하여, 웨어러블 단말기(200)의 사용자의 음성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202b)은 지향성 마이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향성 마이크는 기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의 특정방향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상기 마이크로폰(202b)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들려오는 소리만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202b)은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는 이어 마이크(ear mike)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된다.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면, 구동되고 있던 다른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정지되거나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부(208)는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어도 음악을 출력해주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음성인식을 통한 제어기능, 통화기능, 음성 메모기능 등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와 같은 기능과 섭취추적기능을 함께 구동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안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음성을 이용하는 기능과 섭취추적모드가 함께 구동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8)는 음식을 섭취할 때 발생하는 소리와 다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음성을 구별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면, 추적센서부는 상기 소리정보 및 움직임 정보를 감지한다(S120).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섭취추적모드의 활성화를 알리는 알림정보(310)를 출력한다. 상기 알림정보(310)는 상기 음향 출력부(205a)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뭘 드시나요?)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적센서부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저작하거나 삼킬 때 발생되는 음파(소리)를 감지하는 청음장치(sound scope), 이 경우 진동(소리)를 감지하는 청진장치(stethoscope) 또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씹거나(저작하거나)넘길 때 발생하는 근육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근전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진장치 및 상기 청음장치는 사용자의 입에 음식물이 들어간 상태에서 씹어서 넘기는 상태에 이르기 까지 사용자의 신체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소리)을 감지한다. 이 때 상기 진동에 의한 소리의 단위는 데시벨이다.
또한, 상기 추적센서부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는 마이크로폰(202b)을 포함한다. 즉, 상기 마이크로폰(202b)은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면 음식물의 섭취에 따른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부로 기능한다. 상기 추적센서부에 포함되는 마이크로폰(202b)은 사용자의 음성에 의하여 섭취되는 음식물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감지되는 소리신호(21)는 상기 알림정보(310)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해당될 수 있다. 사용자는 먹으려고 하는 음식물의 종류를 음성(샌드위치랑 콜라 한 잔)으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소리신호(21)가 입력된 후에, 상기 제어부(208)는 사용자로부터 소리정보 및 움직임정보를 수집하도록 상기 추적센서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섭취추적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기 설정된 종료명령이 인가되기 전까지 사용자로부터 상기 소리정보 및 움직임 정보를 수집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종료명령(12)은 기 설정된 음성명령(잘 먹었습니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종료명령(12)은 상기 제어명령(1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의 저작될 때 발생하는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의 종류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수집된 소리 정보 및 움직임 정보에 근거하여 섭취결과정보를 형성한다(S130). 상기 섭취결과정보는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의 종류, 음식물의 양 및 섭취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섭취상태정보는 음식물의 종류와 양에 의하여 산출된 칼로리,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한 시간, 음식물의 섭취속도, 음식물을 씹거나 삼킬 때 구강구조의 움직임, 구강구조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소음, 구강구조의 움직임에 따라 치아의 사용상태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물의 섭취된 양은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소리 및 상기 제어명령(11)로부터 상기 종료명령(12)에 이르기 까지 소요되는 섭취시간 등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섭취상태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기 설정된 케어모드에 근거하여 분석된 섭취분석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섭취분석결과에 대한 설명은 이하, 도 6a 내지 도 6f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형성된 섭취결과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3b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섭취결과정보를 외부기기(910)로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201)를 제어한다. 상기 외부기기(910)는 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섭취결과정보를 수신한 상기 외부기기(910)는 결과페이지(500)를 출력한다. 상기 결과페이지(500)는, 음식물을 섭취한 시간, 소요시간, 섭취한 음식물의 종류 및 양, 산출된 칼로리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과페이지(500)에 포함되는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기기(910)는 상기 섭취결과정보를 건강관리를 수행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섭취결과정보를 출력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섭취결과정보를 출력하는 다양한 실시예는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웨어러블 단말기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 및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한 신체적 움직임의 감지에 근거하여 섭취한 음식물에 대한 정보 및 섭취상태를 포함하는 섭취결과정보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먹은 음식물의 종류 및 음식물의 양을 개별적으로 입력하거나 기억할 필요가 없으며, 음식물을 섭취하는 동안 사용자도 인식하지 못하는 섭취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단말기는 특정 제어명령에 의하여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켜 섭취결과정보를 형성하는 바, 이하 섭취추적모드를 실행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h는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4a는 외부 소음에 의하여 추출된 음성에 따라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202b)은 도즈모드(doze mode) 상태를 유지하면서 주변환경의 소음(소리)(이하, 주변소리로 칭한다.)를 입력 받는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주변소리로부터 특정 단어에 대한 음성이 검출되면, 이를 제어명령으로 형성한다. 상기 특정 단어를 이루는 음성은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할 때 주변에서 주로 발생하는 음성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음성은 특정한 지역(예를 들어, 음식점)에서 자주 발생하는 음성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성은, 주문을 받는 음성('주문 도와 드릴까요?'), 주문을 하는 음성('샌드위치랑 콜라 한 잔이요.')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마이크로폰(202b)로 입력되는 음성 중, 특정 단어(예를 들어 '주문')에 의하여 상기 제어명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단어로 형성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면, 사용자의 음성 중 음식물의 이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음식물의 섭취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음성(14시 점심, 샌드위치, 콜라 맞나요?')으로 출력한다. 상기 확인음성은 음식물의 섭취가 시작된 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확인음성에 대한 대답(yes 또는 no)에 의하여 상기 음식물 섭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섭취추적모드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확인음성에 따른 섭취상태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섭취결과정보를 상기 외부기기(910)에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201)를 제어한다. 상기 섭취결과정보를 수신한 상기 외부기기(910)는 상기 섭취결과화면(510)을 출력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확인음성에 포함된 음식물의 정보가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과 상이하다는 음성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208)는 마이크로폰(202b)로 입력된 음성을 근거로 다른 확인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환경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통하여 사용자가음식물을 섭취하는 상황임을 예측하고,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제어명령을 입력할 필요가 없다. 또한, 확인음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먹는 음식을 보다 정확히 기록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에 포함된 위치정보모듈(201d)에 의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위치정보모듈(201d)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위치정보모듈(201d)에 의하여 감지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위치정보모듈(201d)에 의하여 사용자가 음식점에 들어가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킨다.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는 특정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가 상기 메모리(207)에 의하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마이크로폰(202b)를 활성화시키고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음식물의 섭취가 이루어지는지 여부, 어떤 종류의 음식물을 저작하고 삼키는지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추출된 음식물의 정보 및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섭취결과정보를 상기 메모리(207)에 저장하거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외부기기(910)에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201)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음성으로부터 음식물에 관한 정보가 추출되더라도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에 관련된 데이터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경우 섭취결과정보를 형성하지 아니한다. 즉, 섭취결과정보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저작하여 삼키는 행위여부에 근거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음식적으로 판단되는 위치를 벗어나면 상기 섭취결과정보를 상기 외부기기(91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910)는 상기 섭취결과정보를 포함하는 섭취결과화면(520)를 출력한다. 상기 섭취결과정보(520)는 상기 음식물의 정보(521) 및 음식물의 섭취 양을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522)를 포함한다. 상기 그래픽 이미지(522)는 사용자의 터치를 수신하여, 나타내는 양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이미지(522)는 바(bar)형상 또는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섭취결과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출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외부기기(910)는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섭취결과정보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켜 상기 섭취결과화면(520)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며, 별도의 입력 없이 사용자가 섭취한 것으로 예상되는 음식물을 기록한다. 또한, 상기 외부기기는 사용자가 음식점 등을 벗어나는 경우 섭취결과정보를 제공하고, 음식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보다 정확한 섭취량을 기록할 수 있다.
도 4c는 특정공간의 감지에 근거하여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실내공간 내에서 설정된 와이파이(WiFi) 등에 의하여 상기 위치정보모듈(201d)은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사용자의 위치가 음식물의 섭취와 관련된 영역(예를 들어, 냉장고 앞, 부엌, 식탁 등)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킨다.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음향 출력부(205a)는 상기 섭취추적모드의 안내신호(311, 섭취 기록 할까요?)를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로폰(202b)은 섭취추적모드의 활성화를 확인하는 음성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상기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키거나, 다시 비활성화시키는 음성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4d는 저작동작을 감지하여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추적센서부는 음성을 감지하는 마이크로폰(202b) 및 사용자의 저작동작과 삼키는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도 3b 및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폰(202b)은 사용자의 음성을 주기적으로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기 설정된 음성명령이 상기 마이크로폰(202b)에 입력되면 상기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부(208)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통화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경우에도 상기 음성명령을 계속적으로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마이크로폰(202b)이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동안,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한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시각부터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지 아니하는 시각을 나타내는 섭취시간을 포함한 섭취결과정보를 형성한다. 상기 섭취결과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기기(910)에 의하여 표시되는 섭취결과화면(530)은 예상섭취물을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531) 및 추가적인 섭취물이 입력되는 입력창(5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상섭취물은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한 사용자의 움직임 및 음식물이 저작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리에 근거하여 분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8)는 저작 및 삼키는 동작에 의한 진동패턴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동패턴에 의하여 고체류, 액체류로 분류하고 딱딱한 음식인지 부드러운 음식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메모리(207)에 기록된 사용자의 섭취물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하여 섭취물을 예상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이미지(531)는 상기 예상된 섭취물의 이미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531)에 터치를 인가하여 상기 섭취시간에 섭취한 음식물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픽 이미지(531)에 섭취물이 포함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입력창(532)에 섭취물을 직접 입력하여 기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폰(202b)이 다른 기능의 실행을 위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중에도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섭취추적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도 4e는 시각에 따라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기 설정된 시각에 상기 섭취추적모드를 자동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시각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모리(207)는 사용자의 섭취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섭취 히스토리 정보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는 시각, 섭취물의 종류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섭취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킨다. 사용자가 매일 약 14시에 음식물을 먹는것으로먹는 것으로 기록된 경우, 상기 제어부(208)는 약 14시에 상기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14시에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경우 상기 섭취추적모드의 활성화를 보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섭취추적모드를 상기 설정된 시각에 바로 활성화시키거나, 알림정보(310, 식사 시작합니까?)를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출력부(205a)를 제어한다. 상기 알림정보는 대화형 방식의 음성신호에 해당된다. 상기 알림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로부터 섭취추적모드의 실행에 대한 음성명령(yes)이 입력되면,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되거나 통계에 의하여 형성된 식사시간을 이용하여 음식물 섭취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바, 식사시간이 규칙적인 사용자의 섭취물을 보다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다.
도 4f는 음식물의 정보가 연계된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섭취정보를 기록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위치정보모듈(201d)에 의하여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연계되는 메뉴정보를 특정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영역에서 구별되는 메뉴를 제공하는 음식점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위치정보모듈(201d)은 특정 영역을 감지한다. 상기 메뉴정보는 특정 영역에서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는 음식의 종류, 양, 칼로리 정보, GI지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수신 받은 메뉴정보를 사용자의 섭취결과정보로 저장하거나 외부단말기(91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특정 영역에 진입하여 상기 메뉴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추적센서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음식물을 섭취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아니하면 상기 섭취결과정보를 형성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910)는 상기 섭취결과정보를 포함하는 섭취결과화면(540)을 출력한다. 상기 섭취결과정보는 메뉴정보(541), 메뉴정보에 포함되는 음식물의 정보(542)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섭취결과화면에 터치를 인가하여 상기 메뉴정보(541) 및 상기 음식물의 정보(542)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음식물 중 먹지 않은 음식물을 기록에서 제외하거나, 먹은 음식물의 양을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공되는 음식물의 정보를 이용하므로, 보다 정확한 섭취물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g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223)의 특정버튼에 의하여 상기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햅틱 모듈(205b)은 상기 섭취추적모드의 활성/비활성화에 근거하여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종 센서에 의하여 섭취추적모드가 자동으로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또는 섭취추적모드를 비활성화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사용자 입력부(223)의 버튼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h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8)는 사용자에 의하여 인가되는 섭취양 정보(13)에 근거하여 섭취결과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섭취양정보(13)에 근거하여 상기 섭취추적모드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섭취양정보(13)는 남은 음식물의 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을 기록하고, 외부 단말기로 전달한다. 이하,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수집된 사용자의 섭취상태에 근거한 경고데이터의 출력방법을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섭취상태에 근거하여 경고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경고데이터는 사용자의 섭취습관이나 건강상태에 의하여 음식물의 섭취 시 주의해야 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8)는 사용자의 제어명령 없이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섭취추적을 시작하는 알림진동을 출력하도록 상기 햅틱 모듈(205b)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알림진동에 근거하여 섭취물이 기록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으며, 식사 중 주의사항을 상기하면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음향출력부(205a)는 경고음성(천천히 드세요)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출력부(205a)는 이전에 기록된 상기 섭취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경고음성을 형성하고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면 이를 출력한다. 상기 경고음성은 사용자의 섭취습관에 관한 경고에 해당되거나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먹지 말아야 할 음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c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200)는 빛을 출력하는 광출력부(205c)를 포함한다. 상기 광출력부(205c)는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면 기 설정된 색의 빛을 출력하고,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저작운동이 감지되면 다른 색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d는 사용자가 이어폰(240)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 경고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240)으로 청각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음악을 들으면서 식사를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섭취결과정보에 근거하여 경고음의 출력이 필요한 경우 상기 이어폰(240)으로 경고음을 출력한다. 상기 경고음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청각데이터의 출력은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사용자가 음식을 너무 빨리 먹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240)으로 상기 경고음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경고음을 특정 시간(예를 들어, 몇 초) 동안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경고음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사용자의 섭취상태를 계속적으로 감지하고, 이에 근거하여 상기 경고음의 출력을 해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섭취속도가 줄어든 경우 상기 이어폰(240)은 상기 경고음의 출력을 멈추고 다시 음악을 출력한다.
도 6a 내지 도 6f는 케어모드에 근거하여 섭취결과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케어모드(care mode)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거나, 기록된 섭취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케어모드는 사용자의 건강상태 개선을 위하여 음식물 섭취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을 사용자의 신체적 상태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어트 모드에서 음식물의 섭취량과 칼로리, 음식물의 섭취속도에 따른 관리 데이터를 형성하고,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케어모드에서 음식물의 종류, 양, 섭취시간에 관한 관리 데이터를 형성하며, 턱 관절 환자인 경우, 음식물의 강도, 저작습관, 턱에 가해지는 힘과 관련된 관리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밖에, 임산부를 위한 케어모드, 운동선수의 체급 관리를 위한 케어모드, 각종 질병의 예방을 위한 케어모드가 있으며, 날씨변화 등에 따른 케어모드도 설정될 수 있다. 각 케어모드에서 상기 섭취결과정보에 따른 관리데이터는 사용자가 음식을 먹는 중에 출력되거나, 음식물을 섭취한 후에 분석결과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추적센서부는 음식물의 종류를 말하는 사용자의 음성에 해당되는 소리신호(21)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소리신호(21) 및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섭취결과정보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섭취결과정보가 형성되면 이를 상기 외부기기(910)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201)를 제어한다. 상기 외부기기(910)는 상기 섭취결과정보가 수신되면, 섭취결과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노티아이콘(541)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노티아이콘(541)은 상기 외부기기(910)의 구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일 영역에 표시되는 노티바(notification bar)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910)는 상기 노티아이콘(541)에 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섭취결과정보를 포함하는 섭취결과화면(540)를 출력한다. 상기 섭취결과화면(540)에는 모드정보(542), 음식물의 섭취시간(543), 음식물의 종류 및 양에 대한 정보(544) 및 관리정보(545)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정보(545)는 설정된 케어모드에 근거하여 다음 식사 시 사용자가 주의해야 할 사항을 포함한다. 상기 관리정보(545)는 텍스트, 이미지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식사 후에, 섭취한 음식에 관한 정보를 다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관리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b는 식습관 개선을 위한 경고진동을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200)는 바디부(220)의 양 단에 배치된 한 쌍의 햅틱 모듈(205b)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추적센서부는 음식물 섭취 시 사용자의 구강 움직임을 감지한다. 상기 추적센서부의 청음장치(sound scope) 및 청진장치(stethoscope)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저작하는 경우 좌측 및 우측 영역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적센서부는 사용자의 턱 근육 움직임을 근전도기기를 통하여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사용자가 한쪽 영역(좌측 또는 우측) 근육만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저작하는 경우, 양 쪽 근육의 이용을 위하여 경고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오른쪽 근육만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씹고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8)는 왼쪽 햅틱 모듈(205b)이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왼쪽 영역에서 감지되는 진동에 근거하여 사용자는 양 쪽 치근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씹게 된다.
또한, 턱관절이 약한 환자를 위한 케어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추적센서부의 근전도기기에 의하여 턱관절에 특정 힘 이상의 힘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햅틱 모듈(205b)을 실행시켜 경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딱딱한 음식을 씹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경고진동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식을 씹는 동안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치근의 움직임에 의하여 경고진동이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이를 즉각적으로 인식하여 식습관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무의식 중에 발생하는 잘못된 식습관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질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c는 섭취 시 움직임이 감지되는 섭취결과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상기 제어부(208)는 사용자가 저작운동을 하는 동안, 상기 추적센서부에 따른 진동패턴을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진동패턴(552)을 포함한 섭취결과정보를 형성한다. 상기 외부기기(910)는 상기 섭취결과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포함하는 섭취결과화면(550)을 표시한다.
상기 섭취결과화면(550)은 설정된 케어모드에 근거하여 섭취결과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섭취결과화면(550)은 케어모드 정보(551), 좌측 및 우측 진동패턴(552), 섭취결과정보에 따른 관리정보(5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패턴(552)는 그래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섭취된 음식물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음식물 식사 습관에 대한 추적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식습관 개선을 위한 관리데이터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음식물을 삼키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물이나 음료수 등의 유체를 삼키는지, 고체로 이루어진 음식물을 삼키는지가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8)는 특정 시간 동안 많은 양의 음료의 섭취가 감지되는 경우 경고음성(561)을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출력부(205a)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특정 시간 동안 많은 양의 음료의 섭취가 감지되는 경우 경고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910)를 송신한다. 상기 외부기기(910)는 상기 경고데이터(562)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기기(910)의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상태인 경우, 상기 경고데이터(562)를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되면서 상기 경고데이터(562)를 포함하는 팝업창을 출력한다.
다만, 섭취량에 따른 경고는 유체(물)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음식의 섭취량이 기 설정된 적정량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경고데이터를 출력하여 섭취를 제한할 수 있다.
도 6e를 참조하여 추천식단을 제공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기록된 결과정보(561)와 설정된 케어모드에 근거하여 추천식단정보(562)를 출력한다. 상기 추천식단정보(562)는 기 설정된 기간의 결과정보(561)에 의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루 동안의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다음날의 식단정보를 제공하거나, 이전 식사시간에 수집된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다음 식사에 대한 식단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추천식단정보(562)는 다음 식사예상시간에 출력되거나, 밤시간에 제공될 수 있는 바, 사용자는 이전식단을 확인함과 동시에 추천식단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에 적합한 식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f는 진동패턴에 근거하여 섭취물을 선택 및 입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패턴을 기록한다. 상기 진동패턴은 좌측 및 우측 구강의 움직임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기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진동패턴 데이터는 감지된 시간정보와 함께 외부기기(910)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910)의 디스플레이부는 시간정보(571) 및 상기 시간정보(571)에 대응되는 진동패턴(572)을 포함하는 섭취결과화면(570)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진동패턴(572)에 근거하여 섭취물을 예상하고, 예상 섭취물에 대응되는 선택아이콘(573)을 출력한다. 상기 예상 섭취물은 각 진동패턴(572)의 일 영역에 대응되도록 표시된다. 예를 들어, 진동이 약한 영역에서 섭취물은 유체종류로 예상되고, 진동이 큰 영역은 단단한 음식물이 예상 섭취물로 예상될 수 있다.
상기 섭취물에 대응되는 선택아이콘(573)은 사용자의 선택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예상 섭취물 중 먹은 음식을 선택하여 기록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를 수신한 선택 아이콘은 다른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음식물의 섭취 시 움직임에 따른 구강의 진동패턴과 함께 진동패턴에 의한 예상 섭취음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먹은 음식물을 다시 기억할 수 있다.
설정된 케어모드에 근거하여 다양한 섭취결과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케어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7a 내지 7d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케어모드를 설정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일 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200)는 상기 외부기기(910)에 의하여 설정된 케어모드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도 7a는 섭취결과정보의 출력을 설정하기 위한 제1 설정창을 도시한다. 제1 설정창(58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형성된 섭취결과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리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는 섭취결과정보가 형성되는 대로 음성신호 또는 진동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섭취결과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의 메모리(207)에 저장하거나, 무선 통신하는 외부기기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형성된 섭취결과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7b는 건강상태에 따라 케어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2 설정창을 설명한다. 상기 제2 설정창(582)은 다양한 종류의 케어모드를 제공한다. 상기 케어모드는 건강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정보는 상기 외부기기에 저장되어 있거나, 특정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특정 케어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외부기기(910)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제3 설정창(583)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c는 섭취결과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4 설정창(584)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섭취결과정보를 일별, 주별, 월별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섭취결과정보를 특정 서버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를 치료해주는 의사가 받을 수 있도록, 기록된 섭취결과정보를 의사의 서버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사는 기록된 환자의 섭취결과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d는 섭취추적모드의 활성화를 설정하기 위한 제5 설정창(585)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상기 섭취추적모드 활성화의 제어명령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시간에 섭취추적모드가 실행되거나, 사용자의 음성 등으로 이루어지는 명령어에 의하여 섭취추적모드가 실행되거나, 특정 위치에서 섭취추적모드가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h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관리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8a를 참조하여 섭취하는 음식에 관한 관리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는 동안, 사용자에게 음식물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질문음성(320, '뭐 드세요?')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202b)은 상기 질문음성(320)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섭취할 음식의 이름을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마이크로폰(202b)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음식을 결정하고, 기 설정된 케어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음식에 대한 제1 관리데이터(410)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관리데이터(410)는 사용자가 섭취해도 좋은 음식인지 상기 케어모드에 근거하여 결정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음식에 알러지 반응을 일으킨다는 정보가 설정된 케어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관리데이터(410)는 알러지성 음식에 해당된다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식을 섭취하기 전에 미리 음식의 섭취가 바람직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b는 주변정보에 근거한 관리데이터를 제공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는 현재의 시간, 날씨, 온도, 위치 등 현재 상태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는 동안, 사용자에게 음식물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질문음성(320, '뭐 드세요?')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202b)은 상기 질문음성(320)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섭취할 음식의 이름을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마이크로폰(202b)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음식을 결정하고, 상기 주변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음식에 관련된 관련데이터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주변의 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음식의 유통기한이나 상태를 확인하라는 제2 관리데이터(420)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음식을 먹을 때 자동으로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한 음식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c는 케어모드에 포함된 케어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제3 관리데이터(430)를 제공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케어정보는 사용자가 건강을 위하여 지켜야 할 사항들, 예를 들어 약을 복용하거나 물을 특정 양 이상 마셔야 하거나, 혈당을 체크하여야 하는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사용자의 음식섭취를 감지하고, 음식 섭취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동이 감지되지 아니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흐르면 약의 복용을 제안하는 음성으로 이루어지는 제3 관리데이터(430)를 출력한다. 상기 제3 관리데이터(430)는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정보로서 상기 음향출력부(205a)에 의하여 출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약의 복용을 알리는 진동이나 경고음이 관리데이터로서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208)는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음식물섭취 시간간격을 분석할 수 있다. 분석된 음식물섭취 시간간격 또는 설정된 케어모드에 근거하여 규칙적인 시간간격으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관리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시간 이상 음식물의 섭취가 감지되지 아니하는 경우 음식물의 섭취를 요청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시간 내에 섭취 횟수가 많은 경우 음식물의 섭취 횟수를 줄이라는 관리데이터가 출력될수 있다. 이 경우 관리데이터는 권장 섭취 시간이나 음식물의 권장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음식물은 복용해야할 약물이나 건강보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약의 복용시간이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계산되는 것이 아니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식사종료시간에 의하여 계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관리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잊지 말아야 할 사항들을 기억할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에 따른 제4 관리데이터의 출력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운동을 감지하는 운동감지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운동감지센서부는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가속도센서(acceleration sen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운동감지센서에 의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가 감지되면서 상기 추적센서에 의하여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가 감지되면, 상기 제4 관리데이터(440)를 형성한다. 상기 제4 관리데이터(440)는 움직이는 동안의 음식섭취를 제한하기 위한 경고음성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음식물의 섭취가 감지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관리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8)는 음식물의 섭취가 감지된 후 특정 시간이 지나면, 케어모드에 대응되는 관리데이터를 출력한다.
도 8e를 참조하면, 수분 보충이 주기적으로 필요한 사용자의 경우 물을 섭취하라는 제5 관리데이터(450)가 출력되고, 당뇨병 환자의 케어모드인 경우 혈당 체크를 알리는 제6 관리데이터(460)가 출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음식물을 섭취한 이후에도 잊기 쉬운 사항들을 기억할 수 있다.
도 8f 및 도 8g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200)는 케어모드에 근거하여 음식물을 분석하거나 추천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05a)는 음식물의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케어모드에 근거하여 음식물의 종류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포함한 제7 관리데이터(470)를 형성한다. 상기 제7 관리데이터(470)는 음식물이 사용자에게 적합한지 여부 및 추천 음식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7 관리데이터(470)는 음식물의 영양분석 결과, 권장섭취량, 권장섭취 시간, 권장 조리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08)는 사용자가 특정 음식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킨다. 상기 제어부(208)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음식점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고, 추천 메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8 관리데이터(480)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음식점에 대한 메뉴정보를 특정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케어모드에 근거하여 추천메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기 전에 사용자의 케어모드에 적합한 음식인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사용자가 섭취하기에 바람직한 음식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8h는 섭취추적모드에서 음식물 섭취 시 감지되는 움직임에 의하여 관리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케어모드에 근거하여 음식물의 섭취 시 사용자의 치근에 무리가 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예를 들어 진동패턴이 불규칙하거나 근전도기기에 의하여 특정 힘 이상이 치근에 인가되는 경우 제9 관리데이터(490)를 형성한다. 상기 제9 관리데이터(490)는 음식물의 섭취를 자제하라는 음성정보로 이루어지거나, 진동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9 관리데이터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바로 음식물의 섭취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외부기기와 연동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기기는 와치타입 단말기 및/또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와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며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와치타입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추적센서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진동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진동패턴을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920)에 실시간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201)를 제어한다.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920)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진동패턴을 실시간으로 반영한 진동이미지(610)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한다. 상기 진동이미지(610)는 상기 진동패턴의 세기에 따라서 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표시된다. 본 실시예는 구강 관절 및 근육의 관리가 필요한 케어모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920)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케어모드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611)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실행되어 있는 동안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920)의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케어모드에 대응되는 경고이미지(620)가 출력된다.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고 있다는 정보를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920)가 수신하면, 상기 경고이미지(620)를 출력할 수 있다.
비만관리를 위한 케어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208)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때 또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과다 섭취한 것으로 판단되는 때 상기 경고이미지(620)를 출력하도록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920)로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경고이미지(620)는 반복적으로 출력되는 뚱뚱한 사람(사용자)의 형상과 날씬한 사람(사용자)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920)는 진동을 출력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의 섭취를 조절하여야 하는 사용자에게, 음식물을 섭취하는 동안 경고이미지를 제공하여 과다한 음식물의 섭취 또는 사용자의 건강에 적합하지 않은 음식물의 섭취를 제한할 수 있다.
도 9c는 섭취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사진을 찍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외부기기(930)와 연동할 수 있으나, 연동하지 아니하여도 무관하다.
상기 제어부(208)는 특정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음향출력부(205a)는 촬영제안 음성(330)을 출력한다. 상기 촬영제안 음성(330)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외부기기(910)의 카메라에 의하여 음식의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910)는 상기 음식의 이미지를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에 송신하거나 상기 외부기기(910)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사용자가 음식물의 섭취를 중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촬영제안 음성(330)을 다시 출력한다. 사용자는 음식물을 다시 촬영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기기(910)는 식사전의 음식물 및 식사후의 음식물 이미지를 함께 저장할 수 있는 바,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의 양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 또는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음식물을 섭취하기 전, 후의 이미지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의 종류뿐만 아니라 섭취한 음식물의 양을 알 수 있는 바 결과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섭취한 양을 보다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도 9d는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가 글래스 타입 단말기(930)와 연동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글래스 타입 단말기(930)는 사용자의 시야 안에 포함되는 외부환경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글래스타입 단말기에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글래스타입 단말기(930)의 카메라는 사용자가 섭취할 음식물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8)는 사용자가 음식물의 섭취를 중단한 것으로 감지되면 다시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상기 글래스타입 단말기(930)는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200)가 섭취추적모드를 실행하는 동안 음식물이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감지되는 경우 이를 이미지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신호에 의하여 섭취한 음식물의 이미지를 형성하므로 사용자는 촬영하기 위한 별도의 움직임이 불필요하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의 구성요소는 카메라(202a)를 제외하고, 도 2의 웨어러블 단말기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카메라(202a)는 상기 제1 바디부(202a) 또는 상기 제2 바디부(202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02a)는 상기 제1 바디부(202a) 또는 상기 제2 바디부(202b)의 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 모드에서 상기 카메라(202a)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07)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된 상기 화상 프레임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01c)을 통하여 외부기기로 전송되어, 상기 외부기기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0의 웨어러블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섭취추적모드의 활성화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202a)가 활성화된다. 상기 카메라(202a)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먹기 전에 상기 음식물을 촬영한다. 상기 카메라(202a)는 음식물의 촬영이 용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카메라(202a)는 촬영각도가 변경되는 회전형 카메라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사용자가 식사를 마친 것으로 감지되면, 음식물을 다시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202a)를 제어한다. 즉, 상기 카메라(202a)는 사용자가 남긴 음식물을 촬영하거나 다 먹을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카메라(202a)에 의하여 촬영된 두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의 양을 예상하고, 이에 따라 섭취결과정보를 형성한다.
상기 외부기기(910)는 상기 두 이미지를 포함하는 섭취결과화면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는 이미지를 통하여 사용자가 먹은 양을 보다 정확하게 예상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실제로 자신이 먹은 음식의 이미지를 확인 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카메라(202a)를 통하여 감지되는 이미지를 통하여 식사의 시작과 끝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02a)는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 되는 동안 계속적으로 외부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카메라(202a)를 통하여 음식물과 함께 사용자의 손이 감지되면 식사가 시작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카메라(202a)를 통하여 사용자가 음식물이 있던 자리와 멀어지는 것으로 감지되면 식사를 마친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음식물(또는 빈 그릇 등) 촬영된 마지막 이미지를 식사가 끝난 때의 이미지로 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섭취결과정보를 형성한다.
도 11c는 QR코드를 이용하여 섭취결과정보를 형성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각종 식품에는 QR코드(1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02a)는 상기 QR코드(10)를 감지하고, 상기 QR코드(10)에 따른 음식물 정보를 특정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음식물의 정보는 음식물의 종류, 양, 칼로리,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QR코드(10)에 의하여 수신된 음식물의 정보를 이용하여 섭취결과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QR코드(10)는 음식물을 담는 그릇이나, 음식물을 구매한 후 받는 영수증, 음식점에서 제공하는 메뉴판 등에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의 종류 및 양을 보다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으며, 추적센서부 및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확인하지 못하는 음식물의 세부정보까지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적센서모듈을 구비하는 웨어러블 단말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의 구성요소는 추적센서모듈(300)을 제외하고, 도 2의 웨어러블 단말기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추적센서모듈(300)은 상기 제1 바디부(202a) 단부에 장착된다. 상기 추적센서모듈(300)의 일 영역에 상기 카메라(202a)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02a)의 촬영범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추적센서모듈(300)은 상기 제1 바디부(202a)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면 음식물의 촬영이 용이한 각도로 상기 추적센서모듈(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추적센서모듈(300)은 음식물 섭취 시 발생하는 진동패턴이나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센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추적센서모듈(300)은 상기 제1 바디부(202a)로부터 분리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섭취추적모드를 사용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만 추적센서모듈을 장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2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바디부가 부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웨어러블 단말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220a, 220b)의 양 단부에 서로 인력을 형성하는 자석부(220')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220a, 220b)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220a, 220b)는 외력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220a, 220b)는 사용자에 의하여 인가되는 외력에 근거하여 서로 접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센서(220')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220a, 220b)의 양 단부가 접한 상태로 되면, 상기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킨다.
상기 추적센서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220a, 220b)의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220a, 220b)가 서로 접한 상태가 되면 상기 추적센서부는 사용자의 신체에 더 밀접한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음식섭취 시 발생하는 진동을 더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가 카메라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220a, 220b)가 서로 접한 상태에서 음식물을 촬영할 수 있는 각도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명령이 웨어러블 단말기의 기구적 변형에 의하여 형성되므로, 섭취추적모드의 활성을 오류 없이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220a, 220b)를 고정하는 구조를 자석부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a은 추가적인 센서모듈을 구비하는 웨어러블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13b 및 도 13c는 도 13a를 이용하여 경고진동을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a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는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체온센서(204c)와 혈류센서(204d)를 포함한다. 상기 체온센서(204c)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의 착용시 사용자의 피부에 접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220a, 220b)가 서로 만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류센서(204d)는 PPG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혈류센서(204d)는 광출력부(205c)(예를 들어, LED로 형성된다)로 이루어지며, 수광부로 수납되는 빛의 양에 의하여 혈류량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상기 혈류센서(204d)는 상기 이어폰(240)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 볼에 장착될 수 있으나, 상기 혈류센서(204d)가 배치되는 영역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만, 상기 혈류센서(204d)는 빛을 다시 전달 받을 수 있는 사용자의 피부영역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체온센서(204c)와 상기 혈류센서(204d)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생체변화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술을 마시는 사용자의 체온이 특정 기준이상 상승하거나, 맥박이 특정 속도 이상 뛰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8)는 경고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특정 음식에 알러지가 있는 사용자의 경우, 정상범위 이상으로 체온이 오르거나 떨어지는 경우, 사용자에게 주의를 기울이라는 알림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변화를 보다 세밀하게 감지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건강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도울 수 있다.
도 13c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는 운동감지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동감지센서부는 중력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가속도센서(acceleration sen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체온센서(204c)와 상기 혈류센서(204d)에 의하여 사용자의 신체상태가 정상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상기 운동감지센서부를 활성화시킨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운동감지센서부에 의하여 사용자의 운동이 비정상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들에 따르면 신체가 정상범위에서 벗어난 경우 발생하는 열이나 맥박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스스로 주의를 기울이도록 경고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폰(202b)을 포함하는 추적센서부는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음성과 함께 진동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에 운동감지센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운동을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사용자의 음성, 진동 및 운동의 감지결과를 포함한 섭취결과정보를 형성한다.
상기 외부기기는 음식물의 섭취에 따른 진동패턴(581), 음성 데이터(582), 운동감지그래프(583)을 포함하는 추적결과화면(580)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음식을 먹는 동안 말을 하거나 움직인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들이 식사하는 경우, 식사 습관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기기(910)에 출력된 섭취결과화면(510)은 만족도입력창(51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식사가 끝난 후 섭취결과화면(510)을 제공받고, 음식에 대한 만족도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기기는 입력된 만족도에 따라 차후 사용자에게 음식을 추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기기(910)는 섭취결과정보를 통하여 사용자가 음식물을 즐겁게 먹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음식물의 조리법(512)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적센서에 의하여 규칙적인 진동이 감지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맛있다'라는 음성이 입력된 경우, 이를 음식에 대한 사용자의 기호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4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8)는 음식을 섭취한 시각을 기산점으로 다음 식사시간을 알려주는 관리데이터(411)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8)는 약 14시에 식사를 마친 것으로 기록된 경우, 그로부터 6시간 후인 20시에 식사시간임을 나타내는 관리데이터(411)를 출력한다.
다만,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20시 이전에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관리데이터(411)를 출력하지 아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한 시간에 규칙적인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도 14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8)는 음식에 따라 통증을 느끼는 환자의 케어모드에서, 통증을 기록할 수 있는 섭취결과화면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섭취결과화면(590)은 사용자의 터치에 근거하여 통증레벨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이미지(59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기기(910)는 상기 통증레벨이 기준범위 이상으로 입력된 경우, 상기 케어모드에 근거하여 추천 음식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정보(592)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섭취결과화면(593)은 섭취된 음식물의 정보와 함께, 감지된 심박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에 대한 관리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정보는 음식물과 사용자의 신체 변화에 근거하여 분석된 결과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특정 음식물의 섭취 시 발생하는 몸의 변화까지 기록하여, 통증을 완화하는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다.
도 14e를 참조하면, 상기 추적센서부는 사용자의 생체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침을 하거나, 숨소리가 고르지 아니한 경우 등을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이상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이에 따른 관리데이터(412)를 출력한다. 상기 관리데이터(412)는 상기 이상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음식의 섭취를 권하는 음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이어폰을 착용하고 음식물을 먹는 경우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섭취추적센서에 근거하여 음식물을 먹는 동안 상용자의 섭취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8)는 음식물을 너무 빨리 먹는 경우 느린 템포의 음악을 출력하도록 상기 이어폰(240)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208)는 섭취추적센서에 의하여 식사가 시작된 것으로 감지되면, 미디 어파일의 재생명령을 외부기기(91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8)는 기록된 사용자의 식사시간 히스토리 정보에 근거하여, 식사시간에 적합한 시간동안 재생되는 추천동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5b는 섭취추적센서에 감지된 섭취상태에 근거하여 대화음성을 출력하는 제어방법이다. 상기 제어부(208)는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속도가 기준속도보다 느린 것으로 감지되면, 제1 대화음성(421)을 출력한다. 상기 제1 대화음성(421)은 '식사를 종료하시겠습니까?', 또는 '입맛에 안 맞으세요?'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
또는 음식물 섭취속도가 기준속도보다 지나치게 빠른 것으로 감지되면, 제2 대화음성(422)을 출력한다. 상기 제2 대화음성(422)은 '천천히 드세요'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식사 중에 출력되는 대화음성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감지되는 사용자의 섭취습관에 따라 다양한 대화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HMD의 제어부(20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32)

  1. 사용자의 목에 착용 가능한 바디부;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면, 소리 정보 및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추적센서부;
    상기 움직임 정보 및 소리정보에 근거하여 섭취한 음식물의 종류, 상기 음식물의 양 및 섭취상태정보를 포함한 섭취결과정보를 형성하는 제어부; 및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섭취상태정보와 기 설정된 케어모드에 근거하여 관리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관리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면, 섭취하는 음식물의 종류를 묻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관리데이터는 상기 케어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섭취하는 음식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진동으로 형성되는 상기 관리데이터를 출력하는 햅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데이터는 상기 케어모드에 근거하여 형성되며, 상기 활성화된 시각으로부터 상기 케어모드에 근거하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한 진동패턴에 근거하여 저작운동 및 삼킴 운동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추적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진동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추적센서부는 상기 진동을 감지하는 청진장치, 청음장치 및 근육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근전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양 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햅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전도센서에 근거하여 저작운동이 불균형한 경우 상기 한 쌍의 햅틱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섭취추적모드에서, 상기 저작운동 및 삼킴 운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음식물을 섭취한 것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정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섭취추적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위치와 관련된 정보가 음식물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섭취결과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섭취추적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음식물을 이미지화 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음식물을 촬영하고, 상기 음식물을 섭취한 후 남은 음식물을 촬영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들을 근거로 섭취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감지되는 QR코드와 연계되는 음식물 정보를 특정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청각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섭취결과정보에 근거하여 음악을 재생하도록 음향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150049249A 2015-04-07 2015-04-07 웨어러블 단말기 및 이와 무선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4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249A KR102304744B1 (ko) 2015-04-07 2015-04-07 웨어러블 단말기 및 이와 무선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249A KR102304744B1 (ko) 2015-04-07 2015-04-07 웨어러블 단말기 및 이와 무선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131A KR20160120131A (ko) 2016-10-17
KR102304744B1 true KR102304744B1 (ko) 2021-09-24

Family

ID=5725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249A KR102304744B1 (ko) 2015-04-07 2015-04-07 웨어러블 단말기 및 이와 무선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7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92352B2 (ja) * 2017-08-17 2021-06-23 株式会社Nttドコモ う蝕治癒支援装置
KR102168975B1 (ko) * 2018-04-30 2020-10-22 이휘원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객체의 이벤트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KR102196779B1 (ko) * 2018-11-13 2020-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목걸이 타입 웨어러블 기기
WO2020226431A1 (ko) 2019-05-07 2020-11-12 인핸드플러스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무선통신 장치를 활용하여 이벤트 감지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기기
KR102023872B1 (ko) * 2019-05-21 2019-09-20 최상준 음식물 섭취량 계산 방법 및 그 장치
WO2021025346A1 (ko) * 2019-08-06 2021-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헬스 케어 시스템
WO2021084903A1 (ja) * 2019-11-01 2021-05-06 テルモ株式会社 画像管理システム、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画像管理方法及び画像管理プログラム
KR102344338B1 (ko) 2020-08-19 2021-12-29 인핸드플러스 주식회사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4077A (ja) * 2013-01-28 2014-08-14 Kansai Medical Univ コンタクトピックアップ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264A (ko) * 2008-03-25 2009-09-30 넥스비(주) 웨어러블 측정 장치
KR101189099B1 (ko) * 2010-02-10 2012-10-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식물 섭취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섭취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98598B1 (ko) * 2011-03-28 2012-11-12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인 이어 타입의 저작 횟수 검출장치 및 음식물 저작 습관 교정 시스템
KR20140062890A (ko) * 2012-11-15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상태를 관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 장치와 그 상태 관리 방법
KR20140103738A (ko) * 2013-02-19 2014-08-2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섭취 영양소 연산 및 평가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4077A (ja) * 2013-01-28 2014-08-14 Kansai Medical Univ コンタクトピックアップ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131A (ko) 201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744B1 (ko) 웨어러블 단말기 및 이와 무선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721183B2 (en) Methods and apparatus regarding electronic eyewear applicable for seniors
JP7204703B2 (ja) 可聴フィードバックを用いた分析物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105530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8630633B1 (en) Adaptive, portable, multi-sensory aid for the disabled
CN109068983B (zh) 用于跟踪食物摄入和其它行为并提供相关反馈的方法和设备
US20180204638A1 (en) Dynamic scale and accurate food measuring
US20180301209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system for performing user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and methods thereof
WO2022127628A1 (zh) 一种电子设备及检测体温的方法
US9202360B1 (en) Methods for remote assistance of disabled persons having at least two remote individuals which receive different indications
US20130331058A1 (en) Emergency alert system
WO2016164376A1 (en) Infant caregiver system, and infant data aggregation system, and aggregating observations related to infant data, and aggregating inferences related to infant data
WO20180737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quantitative classification of health conditions via a mobile health monitor and application thereof
JP4701039B2 (ja) 体に良い食事摂取をナビゲートする装置
KR20160119612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6648789B2 (ja) 電子機器及び情報送信方法
WO2016164373A1 (en) Wearable infant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orientation and motions of an infant
KR20220159430A (ko) 건강 모니터링 장치
CN110448779A (zh) 一种调整生物节律的方法及装置
WO2016195805A1 (en) Predicting infant sleep patterns and deriving infant models based on observations associated with infant
JP2018005512A (ja) プログラム、電子機器、情報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
CN114449945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和信息处理方法
WO2016178772A9 (en) Remotely aggregating and analyzing measurement data from multiple infant monitoring systems
JP2018033568A (ja) 食生活管理装置
US20220360913A1 (en) Direct informative communication through an ear-wear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