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339A - 프레스 가공 제품 자동 적재 장비 - Google Patents

프레스 가공 제품 자동 적재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339A
KR20230152339A KR1020220051966A KR20220051966A KR20230152339A KR 20230152339 A KR20230152339 A KR 20230152339A KR 1020220051966 A KR1020220051966 A KR 1020220051966A KR 20220051966 A KR20220051966 A KR 20220051966A KR 20230152339 A KR20230152339 A KR 20230152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device
cassette
loading
loade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주)수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연산업 filed Critical (주)수연산업
Priority to KR1020220051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2339A/ko
Publication of KR2023015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33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0Storage arrangements; Piling or unpiling
    • B21D43/22Devices for pil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1Control or correction devices in association with moving strips
    • B21D43/023Centering devices, e.g. edge gu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chain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2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 B65G15/24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the articles being stacked by direct action of the feeding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자동 적재 장비는 제품의 취출구에서 배출되는 제품을 정렬하여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에서 배출되는 제품이 적재되는 적재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취출구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품의 높이를 제한하는 이중적재방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장치는 일단이 상기 취출구에 배치되며, 상기 취출구에서 상기 적재장치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이송장치; 및 일단이 상기 제1이송장치의 타단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적재장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이송장치에서 상기 적재장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이송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송장치에는 제품을 일측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장치는 상기 제1이송장치의 타단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고정프레임; 상기 제1고정프레임의 일단과 타단에 폭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2고정프레임 사이에 장착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송장치와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제1이송장치의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바는 2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이송장치의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며,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2고정프레임을 따라 이동하여 폭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이송장치와 상기 적재장치 사이에는 상기 적재장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가이드터널이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터널은 양측이 가운데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제품 이송시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이중적재방지장치는 상기 제1이송장치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단바;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장치는 상기 제2이송장치에서 배출되는 제품이 적재되는 카세트; 상기 카세트에 상하 이동되게 장착되며, 상기 카세트에 적재되는 제품을 상하 이동시키는 서포트장치; 상기 카세트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이송장치; 및 다수개의 상기 카세트가 적재되는 카세트트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서포트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서포트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세트에 제품이 적재될 때, 상기 서포트바는 상기 카세트에 적재되는 제품의 최상단과 상기 제2이송장치 사이의 높이의 차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하강되고, 상기 카세트에는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적재부와 제2적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이송장치는 상기 제1적재부의 상단이 상기 제2이송장치의 타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적재부에 제품이 모두 적재되면, 제2적재부의 상단이 상기 제2이송장치의 타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카세트를 이동시키며, 상기 카세트에 제품이 모두 적재될 경우 상기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트레이로 이동시키고, 상기 카세트트레이는 다수개의 상기 카세트가 적재되도록 다수개의 칸으로 구성되며, 빈 칸이 상기 적재장치의 좌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카세트트레이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4이송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레스 가공 제품 자동 적재 장비{APPRATUS FOR AUTOMATED LOADING OF PRESS PRODUCT}
본 발명은 프레스용 제품 자동 적재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스 가공 제품을 컨베이어벨트로 자동 이송시킨 후 카세트팔레트에 자동으로 적재되게 하여 투입되는 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프레스용 제품 자동 적재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기에 의해 가공된 브랭크시트들은 다음 공정에서 가공하기 위해 일정한 상태로 적재되어 보관되는 작업이 필요로 한다.
종래, 이 프레스가공에 의한 브랭크시트의 적재공정은 대부분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 진다.
즉, 프레스기의 상형과 하형 사이에서 슬라이드의 하강으로 소재가 펀칭되어 얻어진 브랭크시트는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된 후작업대에 쌓이게 되고, 작업자에 의해 팔레트로 수작업에 의해 옮기는 과정으로 이루어 진다.
이때, 컨베이어의 설치 공간협소로 표준벨트콘베이어의 설치가 곤란하여 롤러들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축지지되어 자중에 의해 작업물이 낙하되도록 하는 프리롤러콘베이어로 작업대 까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블랭크 시트와 같은 종래의 프레스 가공물의 적재 공정에 의하면, 수작업에 의해 적재가 이루어 지므로 많은 피로와 아울러,작업의 위험으로 인해 산재위험이 높다.
그리고, 작업의 비능률로 많은 인력이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브랭크시트가 프리롤러컨베이어의 롤러사이에 끼이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가동이 정지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된다.
따라서,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품의 코스트가 상승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412648호, 프레스 공장의 패널 자동적재 시스템(등록일 : 2003년 12월 12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품의 취출구에 배출되는 제품을 이송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정렬시킨 후 적재장치에 자동으로 적재되게 하고, 다수개의 적재부가 형성된 카세트가 상기 적재장치에 자동으로 장착 및 이동되도록 하여 대량의 제품을 자동으로 적재 및 이동시킴으로써, 투입 인력을 최소화하고 불량률을 감소시키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레스용 제품 자동 적재 장비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자동 적재 장비는 제품의 취출구에서 배출되는 제품을 정렬하여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에서 배출되는 제품이 적재되는 적재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취출구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품의 높이를 제한하는 이중적재방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장치는 일단이 상기 취출구에 배치되며, 상기 취출구에서 상기 적재장치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이송장치; 및 일단이 상기 제1이송장치의 타단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적재장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이송장치에서 상기 적재장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이송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송장치에는 제품을 일측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장치는 상기 제1이송장치의 타단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고정프레임; 상기 제1고정프레임의 일단과 타단에 폭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2고정프레임 사이에 장착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송장치와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제1이송장치의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바는 2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이송장치의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며,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2고정프레임을 따라 이동하여 폭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이송장치와 상기 적재장치 사이에는 상기 적재장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가이드터널이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터널은 양측이 가운데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제품 이송시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이중적재방지장치는 상기 제1이송장치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단바;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장치는 상기 제2이송장치에서 배출되는 제품이 적재되는 카세트; 상기 카세트에 상하 이동되게 장착되며, 상기 카세트에 적재되는 제품을 상하 이동시키는 서포트장치; 상기 카세트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이송장치; 및 다수개의 상기 카세트가 적재되는 카세트트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서포트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서포트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세트에 제품이 적재될 때, 상기 서포트바는 상기 카세트에 적재되는 제품의 최상단과 상기 제2이송장치 사이의 높이의 차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하강되고, 상기 카세트에는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적재부와 제2적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이송장치는 상기 제1적재부의 상단이 상기 제2이송장치의 타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적재부에 제품이 모두 적재되면, 제2적재부의 상단이 상기 제2이송장치의 타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카세트를 이동시키며, 상기 카세트에 제품이 모두 적재될 경우 상기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트레이로 이동시키고, 상기 카세트트레이는 다수개의 상기 카세트가 적재되도록 다수개의 칸으로 구성되며, 빈 칸이 상기 적재장치의 좌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카세트트레이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4이송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적재 장비는 제1이송장치에 제품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제품의 폭과 같아지도록 점점 폭이 감소되는 가이드바가 장착됨으로써, 제품을 작업자의 손을 거치지 않고 자동으로 일렬로 정렬되게 하여 작업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키고, 제품의 적재시 불량률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가이드바는 제2고정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고정프레임을 따라 이동하여 폭 조절이 가능함으로, 제품의 크기에 따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가이드바를 제1이송장치의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하고, 제1이송장치가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제품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정렬하여 불량 및 오작동 발생을 줄이고,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차단바는 제1이송장치와의 사이의 높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제1이송장치로 이동하는 제품이 이중 적재되어 높이가 높아졌을 경우 상부에 적재된 제품을 밀어내어 이중적재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차단바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제품의 두께에 따라 높이 조절을 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카세트에 제품이 적재될 때 제2이송장치와 제품의 적재물 사이의 높이차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제품의 낙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적재 불량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카세트와 카세트트레이를 다수개 배치하고, 제3이송장치에 의해 적재 완료된 카세트를 카세트트레이에 이동시키고, 새로운 카세트를 제3이송장치에 장착하며, 제4이송장치로 카세트트레이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적재를 자동으로 순환되게 함으로써, 적재 작업에 투입되는 인력을 최소화하고 적재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용 제품 자동 적재 장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의 A-A에서 바라본 단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장치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장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에서 바라본 단면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바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와 카세트트레이의 자동 적재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용 제품 자동 적재 장비의 가이드터널이 구비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용 제품 자동 적재 장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의 A-A에서 바라본 단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장치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장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에서 바라본 단면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바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와 카세트트레이의 자동 적재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용 제품 자동 적재 장비의 가이드터널이 구비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용 제품 자동 적재 장비는, 이송장치(100), 가이드장치(200), 이중적재방지장치(300), 적재장치(400), 카세트트레이(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장치(100)는 제품(10)의 취출구(미도시)에서 배출되는 제품(10)을 정렬하여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장치로서, 구체적으로 제1이송장치(110) 및 제2이송장치(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이송장치(110)는 컨베이어벨트 장치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취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취출구에서 상기 적재장치(40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이송장치(110)의 타단에는 후술할 상기 가이드장치(200)가 장착되어 이동하는 제품(10)을 일렬로 정렬시키게 된다.
상기 제2이송장치(120)는 상기 제1이송장치(110)와 마찬가지로 컨베이어벨트 장치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제1이송장치(110)의 타단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적재장치(400)에 배치되고, 상기 제1이송장치(110)에서 상기 적재장치(40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이송장치(120)는 일렬로 정렬된 제품(10)을 후술할 상기 적재장치(400)로 이동시켜 상기 적재장치(400)에 적재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이송장치(120)와 상기 적재장치(400) 사이에 별도의 가이드터널(130)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터널(130)은 양측이 가운데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이며, 길이 방향 양단이 개방되고, 일단이 상기 제2이송장치(120)의 타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적재장치(40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터널(130)은 상기 제2이송장치(120)와 상기 적재장치(400) 사이의 간격이 일정치 않거나 간격이 넓을 경우 장착되며, 제품(10)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상기 가이드장치(200)는 제품(10)을 일렬로 정렬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이송장치(110)의 타단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고정프레임(210)과, 상기 제1고정프레임(210)의 일단과 타단에 폭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프레임(220) 및 상기 제2고정프레임(220) 사이에 장착되는 가이드바(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바(230)는 제품(10)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2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바(230)는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고정프레임(220)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바(230)의 최소 폭은 제품(10)의 최대폭과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이송장치(110)에 제품(10)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제품(10)의 폭과 같아지도록 점점 폭이 감소되는 상기 가이드바(230)가 장착됨으로써, 제품(10)을 작업자의 손을 거치지 않고 자동으로 일렬로 정렬되게 하여 작업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키고, 제품(10)의 적재시 불량률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230)는 상기 제2고정프레임(22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고정프레임(220)을 따라 이동하여 폭 조절이 가능함으로, 제품(10)의 크기에 따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장치(200)는 상기 제1이송장치(110)를 통해 이동하는 제품(10)을 상기 제1이송장치(110)의 일측으로 일렬 정렬되게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230)를 상기 제1이송장치(110)의 일측, 즉 좌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하여, 상기 가이드바(230) 사이의 폭이 상기 제1이송장치(110)의 일측 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이송장치(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제품(10)은 상기 가이드바(230)와 하중에 의해 상기 제1이송장치(110)의 일측으로 자동 정렬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230)를 상기 제1이송장치(110)의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하고, 상기 제1이송장치(110)가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제품(10)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정렬하여 불량 및 오작동 발생을 줄이고,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이중적재방지장치(300)는 상기 제1이송장치(110)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취출구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품(10)의 높이를 제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중적재방지장치(300)는 제3고정프레임(310)과 차단바(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고정프레임(310)은 상기 제1이송장치(110)의 상단에 배치되며, 양측단이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양측단이 각각 상기 제1이송장치(110)의 양측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차단바(320)는 상기 제1이송장치(110)의 폭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이며, 상기 제3고정프레임(310)의 하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차단바(320)는 상기 제1이송장치(110)와의 사이의 높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상기 제1이송장치(110)로 이동하는 제품(10)이 이중 적재되어 높이가 높아졌을 경우 상부에 적재된 제품(10)을 밀어내어 이중 적재를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차단바(32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제품의 두께에 따라 높이 조절을 하여 다양한 제품(10)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적재장치(400)는 상기 이송장치(100)에서 배출되는 제품(10)이 적재하는 장치로,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410), 카세트(420), 서포트장치(430), 제3이송장치(4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카세트(420)는 상기 제2이송장치(120)에서 배출되는 제품(10)이 적재되는 저장소로, 제품(10)이 적재되는 제1적재부(421), 제2적재부(422) 및 제3적재부(423)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적재부(421), 제2적재부(422) 및 제3적재부(423)는 상기 이송장치(100)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웃하게 배치되며, 전방 및 상단이 개방 형성되고, 하단 및 후방에는 후술할 상기 서포트장치(430)가 삽입 및 이동하는 가이드홈(425)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카세트(420)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후술할 상기 제3이송장치(440)에 의해 제1이송장치(11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서포트장치(430)는 상기 카세트(420)에 적재되는 제품(10)을 상하 이동시키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축(431)과, 상기 가이드축(431)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서포트바(43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서포트바(4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세트(420)의 상기 가이드홈(425)에 삽입 배치되며, 초기에는 상기 카세트(420)의 상단에 배치되어 있다.
이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세트(420)에 제품(10)이 적재될 때, 상기 카세트(420)에 적재되는 제품(10)의 최상단과 상기 제2이송장치(120) 사이의 높이의 차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하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카세트(420)에 제품(10)이 적재될 때 상기 제2이송장치(120)와 제품(10)의 적재불 사이의 높이 차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제품(10)의 낙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적재 불량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제3이송장치(440)는 상기 카세트(42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410)에 장착되되 상기 서포트장치(43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3이송장치(440)는 상기 제1적재부(421)의 상단이 상기 제2이송장치(120)의 타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적재부(421)에 제품(10)이 모두 적재되면, 제2적재부(422)의 상단이 상기 제2이송장치(120)의 타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카세트(420)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3이송장치(440)는 상기 카세트(420)를 후술할 상기 카세트트레이(500)로 이동시키는 기능도 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세트트레이(500)는 다수개의 상기 카세트(420)를 적재하여 보관 및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적재장치(400)의 좌측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3이송장치(440)는 상기 카세트(420)의 제1적재부(421), 제2적재부(422) 및 제3적재부(423)에 제품(10)이 모두 적재될 경우 상기 카세트(420)를 상기 카세트트레이(500)로 이동시킨다.
또한, 어느 하나의 상기 카세트(420)를 상기 카세트트레이(500)도 이동시킬 때에 다른 하나의 상기 카세트(420)는 상기 제3이송장치(440)에 의해 상기 이송장치(100)의 정면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적재를 준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카세트트레이(500)는 다수개의 상기 카세트(420)가 적재되도록 다수개의 칸으로 구성되며, 제4이송장치(미도시)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여 빈 칸이 상기 적재장치(400)의 좌측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카세트(420)와 상기 카세트트레이(500)를 다수개 배치하고, 상기 제3이송장치(440)에 의해 적재 완료된 카세트(420)를 상기 카세트트레이(500)에 이동시키고, 새로운 카세트(420)를 상기 제3이송장치(440)에 장착하며, 상기 제4이송장치(미도시)로 상기 카세트트레이(50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적재를 자동으로 순환되게 함으로써, 적재 작업에 투입되는 인력을 최소화 하고 적재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적재 장비는 제1이송장치에 제품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제품의 폭과 같아지도록 점점 폭이 감소되는 가이드바가 장착됨으로써, 제품을 작업자의 손을 거치지 않고 자동으로 일렬로 정렬되게 하여 작업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키고, 제품의 적재시 불량률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가이드바는 제2고정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고정프레임을 따라 이동하여 폭 조절이 가능함으로, 제품의 크기에 따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가이드바를 제1이송장치의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하고, 제1이송장치가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제품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정렬하여 불량 및 오작동 발생을 줄이고,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차단바는 제1이송장치와의 사이의 높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제1이송장치로 이동하는 제품이 이중 적재되어 높이가 높아졌을 경우 상부에 적재된 제품을 밀어내어 이중적재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차단바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제품의 두께에 따라 높이 조절을 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카세트에 제품이 적재될 때 제2이송장치와 제품의 적재물 사이의 높이차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제품의 낙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적재 불량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카세트와 카세트트레이를 다수개 배치하고, 제3이송장치에 의해 적재 완료된 카세트를 카세트트레이에 이동시키고, 새로운 카세트를 제3이송장치에 장착하며, 제4이송장치로 카세트트레이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적재를 자동으로 순환되게 함으로써, 적재 작업에 투입되는 인력을 최소화하고 적재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이송장치 110...제1이송장치
120...제2이송장치 130...가이드터널
200...가이드장치 210...제1고정프레임
220...제2고정프레임 230...가이드바
300...이중적재방지장치 310...제3고정프레임
320...차단바 400...적재장치
410...베이스프레임 420...카세트
421...제1적재부 422...제2적재부
423...제3적재부 425...가이드홈
430...서포트장치 431...가이드축
432...서포트바 440...제3이송장치
500...카세트트레이

Claims (1)

  1. 제품의 취출구에서 배출되는 제품을 정렬하여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에서 배출되는 제품이 적재되는 적재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취출구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품의 높이를 제한하는 이중적재방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장치는 일단이 상기 취출구에 배치되며, 상기 취출구에서 상기 적재장치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이송장치; 및 일단이 상기 제1이송장치의 타단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적재장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이송장치에서 상기 적재장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이송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송장치에는 제품을 일측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장치는 상기 제1이송장치의 타단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고정프레임; 상기 제1고정프레임의 일단과 타단에 폭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2고정프레임 사이에 장착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송장치와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제1이송장치의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바는 2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이송장치의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며,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2고정프레임을 따라 이동하여 폭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이송장치와 상기 적재장치 사이에는 상기 적재장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가이드터널이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터널은 양측이 가운데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제품 이송시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이중적재방지장치는 상기 제1이송장치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단바;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장치는 상기 제2이송장치에서 배출되는 제품이 적재되는 카세트; 상기 카세트에 상하 이동되게 장착되며, 상기 카세트에 적재되는 제품을 상하 이동시키는 서포트장치; 상기 카세트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이송장치; 및 다수개의 상기 카세트가 적재되는 카세트트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서포트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서포트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세트에 제품이 적재될 때, 상기 서포트바는 상기 카세트에 적재되는 제품의 최상단과 상기 제2이송장치 사이의 높이의 차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하강되고,
    상기 카세트에는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적재부와 제2적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이송장치는 상기 제1적재부의 상단이 상기 제2이송장치의 타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적재부에 제품이 모두 적재되면, 제2적재부의 상단이 상기 제2이송장치의 타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카세트를 이동시키며,
    상기 카세트에 제품이 모두 적재될 경우 상기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트레이로 이동시키고,
    상기 카세트트레이는 다수개의 상기 카세트가 적재되도록 다수개의 칸으로 구성되며, 빈 칸이 상기 적재장치의 좌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카세트트레이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4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자동 적재 장비.
KR1020220051966A 2022-04-27 2022-04-27 프레스 가공 제품 자동 적재 장비 KR20230152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966A KR20230152339A (ko) 2022-04-27 2022-04-27 프레스 가공 제품 자동 적재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966A KR20230152339A (ko) 2022-04-27 2022-04-27 프레스 가공 제품 자동 적재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339A true KR20230152339A (ko) 2023-11-03

Family

ID=88745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966A KR20230152339A (ko) 2022-04-27 2022-04-27 프레스 가공 제품 자동 적재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233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648B1 (ko) 2001-07-09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 공장의 패널 자동적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648B1 (ko) 2001-07-09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 공장의 패널 자동적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98465B1 (de) Annahmestation einer Paketpaletti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geben von Paketen an einen Greifer mit einer solchen Annahmestation
EP3275810B1 (en) Conveyor carriage for sheet-like elem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a warehouse of sheet-like elements comprising said carriage
JP2016132034A (ja) スタックへの搬入積層装置
JPH09360U (ja) バッチ成形機械
KR102277726B1 (ko) 프레스용 제품 적재 자동화 장비
KR20230152339A (ko) 프레스 가공 제품 자동 적재 장비
KR20160093973A (ko) 금속원판 부품 적재장치
EP1284229B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arbeiten von Glastafeln
JPS6293171A (ja) 枚葉紙積み重ね装置
US20110164954A1 (en) Apparatus for loading a relatively rigid material, for example cardboard, and relative loading method
CN213264788U (zh) 一种高效的自动化输纸机
JP7452994B2 (ja) 複数形状切断ブランキング金型装置
JP6366511B2 (ja) 仕分けシステム、仕分け方法及びガイドユニット
CN110861927A (zh) 叠板堆垛系统和叠板堆垛方法
JP3032770B2 (ja) 長尺物の長さ選別装置
US11986858B2 (en) Lumber bin sorter
CN115026761B (zh) 一种人工组装站
KR101385298B1 (ko) 금속판 정렬장치
US20230044752A1 (en) Conveyor having opposed upper and lower decks and laterally shiftable lower deck
CN220658797U (zh) 一种铁芯压平设备
CN220242534U (zh) 一种钉箱机用的进纸结构
EP3519332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move mobile support elements between two work stations
CN113247503B (zh) 一种板材存储库、生产线及出库方法
JP7443151B2 (ja) 搬送システム
US20020130013A1 (en) Apparatus for transport of parts of a workpie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