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862A -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862A
KR20230151862A KR1020220090952A KR20220090952A KR20230151862A KR 20230151862 A KR20230151862 A KR 20230151862A KR 1020220090952 A KR1020220090952 A KR 1020220090952A KR 20220090952 A KR20220090952 A KR 20220090952A KR 20230151862 A KR20230151862 A KR 20230151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9542B1 (ko
Inventor
박상준
Original Assignee
박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준 filed Critical 박상준
Publication of KR20230151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5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8Vehicle exterior or interior
    • G06T2207/30252Vehicle exterior; Vicinity of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공간을 타임랩스 기능으로 촬영한 영상에 기반하여 작업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작업 공간을 타임랩스 기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데이터 수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부로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작업 공간에 차량이 진입하면,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로부터 작업 공간에 진입한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차량 번호 인식부, 상기 차량 번호 인식부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신규 파일명을 생성하고, 차량 진입 시점부터 작업 종료 시점까지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부로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신규 파일명의 작업 과정 촬영 영상 파일로 생성하는 파일 생성부 및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 종료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차량 번호 인식부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차주 단말로 상기 파일 생성부에서 생성된 촬영 영상 파일을 제공하는 파일 제공부를 포함하는,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차량 관련 작업 시에 작업 과정을 타임랩스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로 촬영하여 작업 과정을 촬영한 영상을 차주에게 제공하는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Description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onitoring service of Work procedure}
본 발명은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공간을 타임랩스 기능으로 촬영한 영상에 기반하여 작업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수리, 부품 교환, 도장이나 외형 복원의 경우에 작업 시간이 오래걸리고, 현장 상황상 고가의 비용을 지불하는 경우에도 차주가 차량의 작업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부품이나 차량 내부의 소모품 교환 작업시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작업 과정을 이미지로 촬영하여 차주에게 제공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오해의 소지가 있는 경우에 차주의 요청에 따라 작업장 내부에 설치된 cctv를 이용하여 작업 시각에 촬영된 촬영 영상을 확인하는 경우가 있다.
KR 10-1997-0078536 A KR 10-2011-0044586 A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차량 관련 작업 시에 작업 과정을 타임랩스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로 촬영하여 작업 과정을 촬영한 영상을 차주에게 제공하는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차량 관련 작업을 의뢰한 차주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 간에 오해의 소지 없이 상호 간에 신뢰를 형성할 수 있는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는 작업 공간을 타임랩스 기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데이터 수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부로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작업 공간에 차량이 진입하면,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로부터 작업 공간에 진입한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차량 번호 인식부, 상기 차량 번호 인식부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신규 파일명을 생성하고, 차량 진입 시점부터 작업 종료 시점까지 상기 이미지 수신부로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신규 파일명의 작업 과정 촬영 영상 파일로 생성하는 파일 생성부 및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 종료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차량 번호 인식부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차주 단말로 상기 파일 생성부에서 생성된 촬영 영상 파일을 제공하는 파일 제공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작업 공간을 타임랩스 기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 단계에서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작업 공간에 차량이 진입하면,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로부터 작업 공간에 진입한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차량 번호 인식 단계, 상기 차량 번호 인식 단계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신규 파일명을 생성하고, 차량 진입 시점부터 작업 종료 시점까지 상기 이미지 수신부로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신규 파일명의 작업 과정 촬영 영상 파일로 생성하는 파일 생성 단계 및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 종료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차량 번호 인식 단계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차주 단말로 상기 파일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촬영 영상 파일을 제공하는 파일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관련 작업 시에 작업 과정을 타임랩스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로 촬영하여 작업 과정을 촬영한 영상을 차주에게 제공하는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이에 따라 차량 관련 작업을 의뢰한 차주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 간에 오해의 소지 없이 상호 간에 신뢰를 형성할 수 있는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장치(10)는 홈페이지 등의 웹페이지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주 회원 및 차량 작업 관련 매장의 작업자 회원으로부터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의 회원 가입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차주 회원의 식별정보와, 차량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서 저장하는 고객 관리 DB 및 매장 회원의 식별 정보와 작업자 식별 정보 및 매장 내 작업 이력 정보등을 저장하는 작업자 관리 DB를 보유한다.
추가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별도의 예약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되거나, 부가 기능으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되어 매장별 예약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예약 시간에 맞게 차량이 작업장에 진입하면, 작업 과정을 타임 랩스 기능으로 촬영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리 라인마다 2개의 카메라가 설치되며 카메라로 촬영된 24시간 타임랩스 영상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수신된 작업 과정 촬영 영상을 차주 정보 및 작업자(매장)정보와 매칭시켜서 저장하고 2주 정도의 설정된 날짜가 지나면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작업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는 충전 본체에서 탈거 될 때부터 타임랩스 촬영을 시작하고, 충전 본체에 결합시에 자동 종료 및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촬영 영상을 자동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수리 완료 후 작업자가 웹페이지 또는 앱을 통해 작업 완료 신호를 입력하면, 작업 완료된 차량의 차주 단말(30)로 해당 작업 과정을 촬영한 타임랩스 영상은 회원 가입시 차주가 입력한 차주 이메일이나 차주 단말(30)의 메시지 또는 채팅 앱으로 자동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작업이 진행 중이라 하더라도 차주가 설정한 주기마다 그 동안 작업 과정을 촬영한 타임 랩스 영상을 차주 이메일이나 핸드폰으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0분 단위로 작업 촬영 영상을 수신하거나, 10분 단위로 작업 촬영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 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통신부(110), 영상 데이터 수신부(120), 차량 번호 인식부(130), 파일 생성부(140), 파일 제공부(145), 작업 분석부(150), 작업 정보 제공부(155), 작업 요청부(160), 고객 관리부(170), 정보 제공부(180), 예약 처리부(190) 및 저장부(195)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는 작업자 단말(20), 차주 단말(30), 카메라(40) 중 하나일 수 있다.
작업자 단말(20) 및 차주 단말(3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자 단말(20)은 자동차 수리, 부품교환, 내부 소독 및 세차 등 차량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매장의 작업자가 소지하는 단말장치이다. 또는 매장에 구비된 고객 관리 및 작업 관리를 수행하는 단말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주 단말(30)은 자동차 수리, 부품교환, 내부 소독 및 세차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차주가 소지하는 단말 장치이다.
카메라(40)는 렌즈를 통해 들어온 이미지를 디지털신호로 전환할 수 있으며,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카메라(4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의 이미지 센서, 렌즈, 적외선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40)는 작업 공간을 타임랩스 기능으로 촬영 가능한 기술적 구성을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40)는 자동차 수리, 자동차 부품 교환, 자동차 내부 소독 및 세차 작업을 위해 구비된 매장 내 리프트를 촬영하도록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1개의 작업라인에 2개의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40)는 충전 본체에서 탈거 될 때부터 타임 랩스 촬영을 시작하고, 충전 본체에 결합시에 자동 종료 및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촬영 영상을 자동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40)는 작업 라인에 차량 진입이 인식되면 촬영을 시작하고, 차량이 작업 라인에서 진출하면 촬영을 멈추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영상 데이터 수신부(120)는 작업 공간을 타임랩스 기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40)로부터 촬영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차랑 번호 인식부(130)는 영상 데이터 수신부(120)로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작업 공간에 차량이 진입하면,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로부터 작업 공간에 진입한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번호 인식부(130)는 카메라(40)에 탑재된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으로부터 카메라(40)가 인식한 차량 번호를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번호판이 포함된 차량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에서 차량 번호판을 판독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파일 생성부(140)는 차량 번호 인식부(130)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신규 파일명을 생성하고, 차량 진입 시점부터 작업 종료 시점까지 영상 데이터 수신부(120)로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를 생성된 신규 파일명의 작업 과정 촬영 영상 파일로 생성한다.
신규 파일명은 예를 들어 123가1234-1, 123가1234-2와 같이 차량 식별 번호+일련 번호 포맷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련번호를 부가함으로써 동일한 차량이 여러 번 방문하더라도 방문시마다 상이한 일련번호를 추가하여 작업 내용에 따라 영상 파일을 식별할 수 있다.
파일 제공부(145)는 작업자 단말(20)로부터 작업 종료 정보가 입력되면, 차량 번호 인식부(130)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차주 단말(30)로 파일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촬영 영상 파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맹점에서 작업자가 작업자 단말(20)을 통해 작업 완료 신호를 입력하면, 작업 내용을 촬영한 타임랩스(time-lapse) 영상과, 차량이 리프트에 안착할 때부터 작업 종료 후 진출할 때까지 촬영된 일반 영상 링크 정보를 함께 차주의 이메일이나 SNS, 메신저나 채팅 앱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타임랩스(time-lapse)는 움직임의 대상을 일정한 시간적 간격을 두고 촬영하는 기법으로 긴 시간에 걸쳐 일어나는 각종의 과정들을 시간을 압축해 보여 줄 수 있다. 즉 장시간동안 진행되는 자동차 정비, 수리, 부품교환이나 내부 소독 및 세차 과정을 짧은 시간에 압축하여 차주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작업 분석부(150)는 영상 데이터 수신부(120)로 수신된 촬영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차량 외관 스캔 후 필요 작업을 분석한다. 작업 분석부(150)는 기존에 작업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된 학습 내용에 기반하여 필요 작업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외관에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 면적이 일정 기준 이상 비율을 차지하면 세차작업이 필요하다고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외관 촬영 영상 데이터로부터 차량 라이트 파손이 인식되면 라이트 교체 작업이 필요하다고 분석할 수 있으며, 특정 부분에 찌그러짐이 인식되면 외형 복원 작업이 필요하다고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 분석부(150)는 분석 결과에 대해 작업자 단말(20)로부터 피드백 받고, 피드백되는 정보들을 학습하여 딥러닝 기반의 필요 작업 분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축적되는 분석 결과 데이터를 학습하는 과정을 거쳐 작업 분석부(150)의 자동 분석 정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딥러닝은 이미지 식별 또는 예측 등 사람의 작업을 대신 수행하도록 컴퓨터를 학습시키는 일종의 머신 러닝이다. 딥러닝은 데이터에 대한 기본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컴퓨터가 여러 처리 계층을 이용해 패턴을 인식함으로써 스스로 학습하도록 훈련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 분석부(150)는 딥러닝 기반으로 촬영 영상 데이터의 차량 외관 스캔 후 필요 작업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분석 내용을 학습하여 훈련할 수 있다.
작업 정보 제공부(155)는 작업 분석부(150)에서 분석된 필요 작업 정보 및 작업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되는 작업 내용에 대한 정보를 차주 단말(30)로 제공해준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 정보 제공부(155)는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를 위해 제공되는 웹페이지 또는 전용 앱을 통해 작업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차주 단말(30)의 채팅 앱이나 메신저, SMS 메시지등으로 작업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작업 정보 제공부(155)는 작업 분석부(150)에서의 분석 결과를 작업자 단말(20)로 먼저 제공한 후 작업자 단말(20)을 통해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피드백 정보 또는 추가로 필요한 작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최종적으로 차주 단말(30)로 필요 작업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먼저 작업 분석부(150)에서 자동으로 인식되는 내용에 추가로 작업자의 검수과정을 거쳐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외관 촬영 영상에서 분석하기 어려운 자동차 부속품이나 소모품 교체 작업에 대해서는 작업자 단말(20)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에 필요한 작업에 대해 인공지능으로 자동 분석된 내용과 작업자가 직접 판단한 내용을 취합하여 도출해냄으로써 작업 속도를 높이면서 동시에 정확도를 높일 수도 있다.
즉 작업 정보 제공부(155)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업 공간에 진입한 차량에 필요한 작업 내용을 차주 단말(30)로 제공해줄 수 있다.
작업 요청부(160)는 차주 단말(30)로부터 작업 정보 제공부(155)가 제공한 작업 내용에 대한 작업 요청이 수신되면, 작업자 단말(20)로 수신된 작업 요청을 전달한다. 즉, 작업 정보 제공부(155)에서 제공한 필요한 작업 내용 중 일부에 대해 차주 단말(30)로부터 작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고객 관리부(170)는 작업자 단말(20)로부터 작업 종료 정보가 입력되면, 차량 번호 인식부(130)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와, 작업 내용 정보를 매칭시켜서 저장부(195)의 고객 관리 DB에 저장한다.
저장부(195)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입력되는 데이터,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10)가 생성한 데이터 등 각종 데이터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5)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5)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ROM, RAM, EEROM, EPROM, EEPROM, 하드 디스크, 레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저장부(195)는 파일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195)는 차주 회원의 식별정보와, 차량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서 저장하는 고객 관리 DB 및 매장 회원의 식별 정보와 작업자 식별 정보 및 매장 내 작업 이력 정보 등을 저장하는 작업자 관리 DB를 보유한다.
고객 관리 DB는 매장 회원별로 자신 매장에 방문한 고객 관리 DB에 접근 가능하도록 허용한다. 고객 관리 DB는 고객별, 매장별 방문 이력을 소팅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정보 제공부(180)는 차주 단말(30)로 차량 작업이 가능한 가맹점의 예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제공부(180)는 별도의 예약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되거나, 부가 기능으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되어 매장별 예약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즉, 매장별 예약 가능 시간 및 작업 가능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일 예로 정보 제공부(180)는 차주 단말(30)로부터 필요한 작업 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작업이 가능한 매장들 중 예약 가능한 매장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해줄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180)는 차주 단말(30)로부터 원하는 매장의 위치 또는 예약을 원하는 시간 정보 같은 조건을 입력받아, 조건에 부합한 매장을 선별하여 매장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정보 제공부(180)는 작업 정보 제공부(155)에서 파악된 차량에 필요한 작업 내용을 처리 가능한 매장(가맹점) 정보 및 해당 매장의 예약 가능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약 처리부(190)는 차주 단말(30)로부터 정보 제공부(180)에서 제공된 예약 정보에 따른 예약 요청이 수신되면 가맹점의 작업자 단말(20)로 예약 요청을 전달하여 예약 처리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주는 차주 단말(30)에서 제공받은 예약 가능 매장 정보리스트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예약을 수행할 수 있어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차주 단말로 차량 작업이 가능한 가맹점의 예약 정보를 제공한다(S200).
일 예로 정보 제공 단게는 차주 단말로부터 필요한 작업 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작업이 가능한 매장들 중 예약 가능한 매장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해줄 수 있다. 또한 차주 단말로부터 원하는 매장의 위치 또는 예약을 원하는 시간 정보 같은 조건을 입력받아, 조건에 부합한 매장을 선별하여 매장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단계는 자체적으로 파악된 차량에 필요한 작업 내용을 처리 가능한 매장(가맹점) 정보 및 해당 매장의 예약 가능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차주 단말로부터 정보 제공 단계에서 제공된 예약 정보에 따른 예약 요청이 수신되면(S205) 가맹점으로 예약 요청을 전달한다(S210).
차주 단말로부터 제공된 예약 정보에 따른 예약 요청이 수신되면 가맹점의 작업자 단말로 예약 요청을 전달하여 예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주는 차주 단말에서 제공받은 예약 가능 매장 정보리스트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예약을 수행할 수 있어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후에 작업 공간을 타임랩스 기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S220).
그리고 영상 데이터 수신 단계에서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작업 공간에 차량이 진입하면(S225),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로부터 작업 공간에 진입한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한다(S23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번호 인식단계는 카메라에 탑재된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으로부터 카메라가 인식한 차량 번호를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번호판이 포함된 차량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에서 차량 번호판을 판독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 수신 단계로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차량 외관 스캔 후 필요 작업을 분석한다(S240).
작업 분석단계는 기존에 작업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학습 내용에 기반하여 필요 작업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외관에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 면적이 일정 기준 이상 비율을 차지하면 세차작업이 필요하다고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외관 촬영 영상 데이터로부터 차량 라이트파손이 인식되면 라이트 교체 작업이 필요하다고 분석할 수 있으며, 특정 부분에 찌그러짐이 인식되면 외형 복원 작업이 필요하다고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 분석 단계는 분석 결과에 대해 작업자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고, 피드백되는 정보들을 학습하여 딥러닝 기반의 필요 작업 분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축적되는 분석 결과 데이터를 학습하는 과정을 거쳐 작업 분석 단계의 자동 분석 정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딥러닝은 이미지 식별 또는 예측 등 사람의 작업을 대신 수행하도록 컴퓨터를 학습시키는 일종의 머신 러닝이다. 딥러닝은 데이터에 대한 기본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컴퓨터가 여러 처리 계층을 이용해 패턴을 인식함으로써 스스로 학습하도록 훈련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 분석부(150)는 딥러닝 기반으로 촬영 영상 데이터의 차량 외관 스캔 후 필요 작업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분석 내용을 학습하여 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필요 작업 정보 및 작업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작업 내용에 대한 정보를 차주 단말로 제공해준다(S245).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 정보 제공 단계는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를 위해 제공되는 웹페이지 또는 전용 앱을 통해 작업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차주 단말의 채팅 앱이나 메신저, SMS 메시지등으로 작업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작업 정보 제공 단계는 작업 분석 단계에서의 분석 결과를 작업자 단말로 먼저 제공한 후 작업자 단말을 통해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피드백 정보 또는 추가로 필요한 작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최종적으로 차주 단말로 필요 작업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먼저 작업 분석 단계에서 자동으로 인식되는 내용에 추가로 작업자의 검수과정을 거쳐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외관 촬영 영상에서 분석하기 어려운 자동차 부속품이나 소모품 교체 작업에 대해서는 작업자 단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에 필요한 작업에 대해 인공지능으로 자동 분석된 내용과 작업자가 직접 판단한 내용을 취합하여 도출해냄으로써 작업 속도를 높이면서 동시에 정확도를 높일 수도 있다.
이후에 차주 단말로부터 작업 정보 제공 단계가 제공한 작업 내용에 대한 작업 요청이 수신되면(S250), 작업자 단말로 수신된 작업 요청을 전달한다(S255).
그리고 차량 번호 인식 단계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신규 파일명을 생성하고(S260), 차량 진입 시점부터 작업 종료 시점까지 이미지 수신 단계로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를 생성된 신규 파일명의 작업 과정 촬영 영상 파일로 생성한다(S265).
차량번호 인식 단계는 인식된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신규 파일명을 생성하고, 차량 진입 시점부터 작업 종료 시점까지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를 생성된 신규 파일명의 작업 과정 촬영 영상 파일로 생성한다.
신규 파일명은 예를 들어 123가1234-1, 123가1234-2와 같이 차량 식별 번호+일련 번호 포맷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련번호를 부가함으로써 동일한 차량이 여러 번 방문하더라도 방문시마다 상이한 일련번호를 추가하여 작업 내용에 따라 영상 파일을 식별할 수 있다.
이후에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 종료 정보가 입력되면(S270), 차량 번호 인식 단계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차주 단말로 파일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촬영 영상 파일을 제공한다(S280).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맹점에서 작업자가 작업자 단말을 통해 작업 완료 신호를 입력하면, 작업 내용을 촬영한 타임랩스 영상과, 차량이 리프트에 안착할 때부터 작업 종료 후 진출할 때까지 촬영된 일반 영상 링크 정보를 함께 차주의 이메일이나 SNS, 메신저나 채팅 앱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 종료 정보가 입력되면, 차량 번호 인식 단계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와, 작업 내용 정보를 매칭시켜서 고객 관리 DB에 저장한다(S290).
고객 관리 DB는 매장 회원별로 자신 매장에 방문한 고객 관리 DB에 접근 가능하도록 허용한다. 고객 관리 DB는 고객별, 매장별 방문 이력을 소팅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110 : 통신부 120 : 영상 데이터 수신부
130 : 차량 번호 인식부 140 : 파일 생성부
145 : 파일 제공부 150 : 작업 분석부
155 : 작업 정보 제공부 160 : 작업 요청부
170 : 고객 관리부 180 : 정보 제공부
190 : 예약 처리부

Claims (10)

  1. 작업 공간을 타임랩스 기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데이터 수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부로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작업 공간에 차량이 진입하면,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로부터 작업 공간에 진입한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차량 번호 인식부;
    상기 차량 번호 인식부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신규 파일명을 생성하고, 차량 진입 시점부터 작업 종료 시점까지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부로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신규 파일명의 작업 과정 촬영 영상 파일로 생성하는 파일 생성부; 및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 종료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차량 번호 인식부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차주 단말로 상기 파일 생성부에서 생성된 촬영 영상 파일을 제공하는 파일 제공부;를 포함하는,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부로 수신된 촬영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차량 외관 스캔 후 필요 작업을 분석하는 작업 분석부; 및
    상기 작업 분석부에서 분석된 필요 작업 정보 및 작업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작업 내용에 대한 정보를 차주 단말로 제공해주는 작업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차주 단말로부터 상기 작업 정보 제공부가 제공한 작업 내용에 대한 작업 요청이 수신되면, 작업자 단말로 상기 수신된 작업 요청을 전달하는 작업 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 종료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차량 번호 인식부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와, 작업 내용 정보를 매칭시켜서 고객 관리 DB에 저장하는 고객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차주 단말로 차량 작업이 가능한 가맹점의 예약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및
    차주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부에서 제공된 예약 정보에 따른 예약 요청이 수신되면 가맹점으로 예약 요청을 전달하는 예약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6. 작업 공간을 타임랩스 기능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 단계에서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작업 공간에 차량이 진입하면,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로부터 작업 공간에 진입한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차량 번호 인식 단계;
    상기 차량 번호 인식 단계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신규 파일명을 생성하고, 차량 진입 시점부터 작업 종료 시점까지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 단계로 수신되는 촬영 영상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신규 파일명의 작업 과정 촬영 영상 파일로 생성하는 파일 생성 단계; 및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 종료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차량 번호 인식 단계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에 대응되는 차주 단말로 상기 파일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촬영 영상 파일을 제공하는 파일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 단계로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차량 외관 스캔 후 필요 작업을 분석하는 작업 분석 단계; 및
    상기 작업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필요 작업 정보 및 작업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작업 내용에 대한 정보를 차주 단말로 제공해주는 작업 정보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차주 단말로부터 상기 작업 정보 제공 단계가 제공한 작업 내용에 대한 작업 요청이 수신되면, 작업자 단말로 상기 수신된 작업 요청을 전달하는 작업 요청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 종료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차량 번호 인식 단계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와, 작업 내용 정보를 매칭시켜서 고객 관리 DB에 저장하는 고객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차주 단말로 차량 작업이 가능한 가맹점의 예약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계; 및
    차주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 단계에서 제공된 예약 정보에 따른 예약 요청이 수신되면 가맹점으로 예약 요청을 전달하는 예약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20090952A 2022-04-26 2022-07-22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09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51435 2022-04-26
KR1020220051435 2022-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862A true KR20230151862A (ko) 2023-11-02
KR102609542B1 KR102609542B1 (ko) 2023-12-05

Family

ID=88747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952A KR102609542B1 (ko) 2022-04-26 2022-07-22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5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8536A (ko) 1996-05-27 1997-12-12 양재신 자동차용 박판의 맞대기 레이져용접 모니터링 장치
KR20110044586A (ko) 2009-10-23 2011-04-29 동화프라임 주식회사 자동 세차기의 모니터링 장치
KR101915126B1 (ko) * 2017-08-31 2018-12-28 장미희 Crm 서비스를 이용한 차량정비 고객관리 시스템
JP2019220895A (ja) * 2018-06-21 2019-12-26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KR102083725B1 (ko) * 2018-05-10 2020-03-02 문현구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관련 서비스를 제안하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8536A (ko) 1996-05-27 1997-12-12 양재신 자동차용 박판의 맞대기 레이져용접 모니터링 장치
KR20110044586A (ko) 2009-10-23 2011-04-29 동화프라임 주식회사 자동 세차기의 모니터링 장치
KR101915126B1 (ko) * 2017-08-31 2018-12-28 장미희 Crm 서비스를 이용한 차량정비 고객관리 시스템
KR102083725B1 (ko) * 2018-05-10 2020-03-02 문현구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관련 서비스를 제안하기 위한 방법
JP2019220895A (ja) * 2018-06-21 2019-12-26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542B1 (ko)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08404B (zh) 维修教学视频管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9237267B2 (en) Imaging systems, moving bodies, and imaging control methods for remote monitoring of a moving target
KR20190139938A (ko) 픽쳐 기반의 차량 손해 평가 방법 및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
KR20160019514A (ko) 차량에 야기된 손상의 식별 방법 및 시스템
CN108985607B (zh) 一种基于客户自助理赔需求的查勘系统
CN103647791A (zh) 一种远程在线勘查取证的方法及系统
CN106296409A (zh) 车辆事故现场勘察方法和系统
CN105787830B (zh) 基于移动终端的专利执法系统和方法
CN106537799A (zh) 摄像头控制和图像流送
KR20200058034A (ko) 전기자동차 충전소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72560B1 (ko) 차량을 영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681350A (zh) 智能访客信息管理系统
JP5174506B2 (ja) ゲート開閉システム
KR102609542B1 (ko) 작업 과정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1724130A (zh) 一种配网机巡作业管理系统及管理方法
US11151678B2 (en) Handheld photo enforcement systems and methods
KR102202114B1 (ko) 스마트 공사 관리 시스템
KR102429515B1 (ko) 차량번호 모바일 인식 기반 주차관리시스템
KR20220023744A (ko) 사고 인지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사고 인지 방법
KR20060031208A (ko) 자동차사고 파손차량의 보험처리를 위한 자동화시스템 및그 방법
CN112053250A (zh) 基于视频的车险自助理赔方法、装置、设备
JP2015046027A (ja) 保険証券の情報取得システム
KR20140056674A (ko) 사고 처리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21021997A (ja) 情報処理装置、書類作成方法、プログラム
CN109104695A (zh) 一种基于OpenWRT系统的车载巡查数据采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