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560B1 - 차량을 영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을 영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560B1
KR102372560B1 KR1020150150833A KR20150150833A KR102372560B1 KR 102372560 B1 KR102372560 B1 KR 102372560B1 KR 1020150150833 A KR1020150150833 A KR 1020150150833A KR 20150150833 A KR20150150833 A KR 20150150833A KR 102372560 B1 KR102372560 B1 KR 102372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vehicle
server device
image
sh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9917A (ko
Inventor
유시복
오영달
박지훈
정동환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50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5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49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을 영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차량의 내외부를 촬영한 영상을 사용자와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차량상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확인 가능하고 관리자가 차량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시각화된 정보를 통하여 차량의 상태를 제공받아 카쉐어링 서비스를 관리하는 차량을 영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을 영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Vehicle Image}
본 실시예는 차량을 영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카쉐어링 관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현재 위치, 충전상태, 반납 및 예약시간 등 차량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차내에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거나, 운영자에게 전화로 확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차 밖에서 일을 보고 있을 경우 차량 상태 파악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운영자는 차량의 정확한 상태를 영상으로 전송받지 못하므로, 사용자의 부적절한 사용이나 차량의 정확한 상태 파악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차량의 배차 역시 차고지에서의 상태만을 기준으로 함으로써, 차고지까지 차량이 인도되기 전에는 배차 일정을 정하기가 매우 어려워, 운영상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운영자는 차량의 정확한 현재 위치, 충전상태, 반납 및 예약시간, 블랙박스 영상에 기반한 차량 내부 및 주변상황까지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반납 이전에 차량의 현재 상태에 따른 운영 방안을 바로 수립하여, 재대여 할 것인지 잠깐 충전 후에 대여 할 것인지, 수리 또는 청소와 같은 현장관리를 할 것인지를 판단할 카쉐어링 방법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는 차량의 내외부를 촬영한 영상을 사용자와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차량상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확인 가능하고 관리자가 차량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시각화된 정보를 통하여 차량의 상태를 제공받아 카쉐어링 서비스를 관리하는 차량을 영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카쉐어링 서버장치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1차량에 대한 카쉐어리링 예약을 접수받는 예약접수단계;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영상 기록 동의서를 전송하는 기록 전송단계;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영상 기록 동의서에 대한 승인을 얻고 전송 받는 승인허가단계;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제1차량의 영상시스템에 영상 촬상 및 전송 명령을 전송하는 명령전송단계; 상기 영상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1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단계; 상기 영상시스템이 상기 촬상된 영상을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단계; 및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차량에 대해 차량정비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차량확인단계를 포함하는 카쉐어링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이 카쉐어링 서버장치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1차량에 대한 카쉐어리링 예약을 접수받는 단계;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영상 기록 동의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영상 기록 동의서에 대한 승인을 얻고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제1 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 영상을 전송 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송 받은 영상을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1 차량의 오염상태에 대한 판단 결과와 차량 파손 상태에 대한 판단 결과와 상기 제1 사용자의 분실물 유무에 대한 판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쉐어링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차량에 대한 카쉐어리링 예약을 접수받는 예약접수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영상 기록 동의서를 전송하는 기록 전송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영상 기록 동의서에 대한 승인을 얻고 전송 받는 승인허가부; 상기 제1차량의 영상시스템에 영상 촬상 및 전송 명령을 전송하는 명령전송부; 상기 영상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1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 영상을 촬상한 영상을 전송받는 영상수신부; 및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차량에 대해 차량정비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차량확인부를 포함하는 카쉐어링 서버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카쉐어링 방법 또는 카쉐어링 서버장치에 의하면, 관리자는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시각화된 정보를 통하여 차량에 대해 대책을 강구하는바 카쉐어링 서비스를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카쉐어링 방법 또는 카쉐어링 서버장치에 의하면, 차량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사용자가 차량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차량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카쉐어링 방법 또는 카쉐어링 서버장치에 의하면,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제1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단말기로 분실물에 대한 알림을 전송해 주는바 분실물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카쉐어링 방법 또는 카쉐어링 서버장치에 의하면, 카쉐어링 운영자는 차량의 내부 및 외부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함으로써 차량에 대해 재대여여부, 충전여부, 수리여부, 청소여부, 관리여부 등에 대하여 대책을 빠르게 수립할 수 있는바 카쉐어링 서비스 운영의 효과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서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시스템(100)은 카쉐어링 서버장치(110), 제1 사용자 단말기(120), 영상시스템(130), 관리자 단말기(140) 및 네트워크(150)를 포함한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기(130)와 접속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제1차량에 대한 카쉐어리링 예약을 접수받는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20)로 영상 기록 동의서를 전송한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20)을 통해 상기 영상 기록 동의서에 대한 승인을 얻고 전송받는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상기 영상시스템(130)에 영상 촬상 및 전송 명령을 전송한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상기 영상시스템(130)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상한 상기 제1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 영상을 수신한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전송된 영상 정보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차량에 대해 차량정비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전송받은 상기 제1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 영상을 관리자 단말기(140)로 전송한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를 제2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1차량에 대한 사용 여부를 확인받는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30)로 분실물에 대한 알림을 전송한다.
제1 사용자 단말기(120)는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로 카쉐어링 예약을 접수하기 위해 예약접수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예약접수정보는 제1 사용자의 나이, 이름, 전화번호, 위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130)는 카쉐어링 서버장치(120)로부터 영상 기록 동의서를 전송받은 경우, 영상 기록 동의서에 대한 승인정보를 전송한다.
제1 사용자 단말기(12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요청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로부터 차량의 반납시간, 예약시간, 반납위치 등 예약정보를 제공받는다. 제1 사용자 단말기(12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요청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카쉐어링 서버장치(100)로 차량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응되는 블랙박스 정보, 차량 정보, 예약정보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제1 사용자 단말기(130)는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 PlayStation Portable), 무선 통신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폰(Smart Phone) 및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영상시스템(130)은 카쉐어링 서버장치(120)로부터 상기 영상시스템(130)에 영상 촬상 및 전송 명령을 수신한다. 영상시스템(130)은 영상 촬상 및 전송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1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 영상을 촬상한다. 여기서, 제1차량 영상시스템(130)에서 사용하는 카메라는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일 수도 있고, 또는,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포터블 전자기기로서 네비게이션,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 PlayStation Portable), 무선 통신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폰(Smart Phone) 및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40)는 영상시스템(130)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 영상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차량의 오염상태에 대한 판단 결과, 차량 파손 상태에 대한 판단 결과와 상기 제1 사용자의 분실물 유무에 대한 판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한다.
관리자 단말기(140)는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로부터 블랙박스 정보, 차량 정보, 예약정보 등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재대여, 충전 지속 여부, 충전 시간, 재대여까지의 시간, 수리 또는 정비 필요, 청소 필요, 사용자 부주의 및 분실물로 인한 사용자 연락 필요 등의 동작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기(140)는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 PlayStation Portable), 무선 통신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폰(Smart Phone) 및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네트워크(140)는 2G, 3G, 4G, 5G, 무선랜 네트워크, 인터넷 네트워크, 인트라넷 네트워크 및 위성통신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여기서, 네트워크(130)는 카쉐어링 서버장치(110), 제1 사용자 단말기(120), 영상시스템(130) 및 관리자 단말기(140)의 각각의 정보를 송수신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서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예약접수부(210), 기록전송부(220), 승인허가부(230), 촬상제어부(240), 영상전송부(250) 및 차량확인부(260)를 포함한다.
예약접수부(210)는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기(120)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제1차량에 대한 카쉐어리링 예약을 접수받는다.
기록전송부(22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20)로 영상 기록 동의서를 전송한다.
승인허가부(23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상기 영상 기록 동의서에 대한 승인을 얻고 전송 받는다.
촬상제어부(240)는 상기 제1차량의 영상시스템에 영상 촬상 및 전송 명령을 전송한다. 촬상제어부(240)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차량에 대한 사용 종료 전 및 후에 대해 설정된 시간 동안 촬상한다.
영상수신부(250)는 영상시스템(13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1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 영상을 촬상한 영상을 전송받는다. 예컨대, 영상시스템(130)은 블랙박스로부터 촬영된 제1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 영상을 영상수신부(250)로 기 설정된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차량확인부(260)는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차량에 대해 차량정비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영상 정보에 대한 판단 결과는, 차량 오염상태에 대한 판단 결과와 차량 파손 상태에 대한 판단 결과와 상기 제1 사용자의 분실물 유무에 대한 판단 결과를 포함한다. 차량확인부(260)는 차량 오염상태에 대한 판단 결과와 상기 차량 파손 상태에 대한 판단 결과와 상기 분실물 유무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차량에 대한 차량정비 여부를 결정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기술의 카쉐어링 시스템은 운영시스템이 요구하는 경우와 사용자가 요구하는 경우로 구분되어 동작한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와 제1 사용자 단말기(120)는 네트워크(150)를 매개로 통신이 가능하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제1 사용자 단말기(120)에 승인을 요청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요청에 대한 승인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카쉐어링에 장착된 통신가능 장치, 예를 들면 OBU 또는 통신모뎀을 이용하여 카쉐어링에 포함되는 영상시스템(130)를 이용하여 블랙박스에 접근하여 블랙박스를 통하여 촬영된 전방, 후방, 측방, 후측방, 실내 등을 정영상 또는 동영상을 전송 받는다.
또한,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카쉐어링 차량의 차량 제어기 또는 차량내부네트워크(IVN)을 이용하여 OBU 또는 이동통신 모뎀이 취득한 차량 정보를 전송 받는다. 여기서, 차량 정보는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는 카쉐어링용 차량의 위치, 베터리 충전상태정보, 도어가 오픈되어 있는지 클로즈 되어 있는지, 차량의 시동은 가동 중인지, 비상등의 작동상태정보 등이다.
제1 사용자 단말기(120)는 카쉐어링 서버장치(110)에 특정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120)는 카쉐어링 서버장치(110)에 블랙박스정보, 차량의 정보, 차량의 예약정보 등을 요청할 수 있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전술한 정보들을 제1 사용자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기(120)는 블랙박스정보, 차량의 정보, 차량의 예약정보를 통하여 원거리에서도 차량의 정보 등을 받아서 차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140)는 카쉐어링 서버장치(110)에 전송된 블랙박스정보, 차량정보, 예약정보 등을 파악하고 이후,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재대여, 차량의 충전지속여부, 충전시간, 재대여까지 소요되는 시간, 수리, 정비 등을 요하는지, 차량의 청소가 필요한지여부 또는 사용자에게 특정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연락 필요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게 연락이 필요한 경우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부주의로 차량에 손상이 발생되었거나, 사용자의 분실물이 발견된 경우 등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기(120)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20)를 통해 제1차량에 대한 카쉐어리링 예약을 접수받는다(S410). 여기서, 제1 사용자 단말기(120)는 예컨대,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자동자 종류정보, 대여기간정보, 탑승인원정보 등을 포함하는 카쉐어링 예약을 접수한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20)로 영상 기록 동의서를 전송한다(S420).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상기 영상 기록 동의서에 대한 승인을 얻고 전송 받는다(S430). 제1 사용자 단말기(130)는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로부터 영상 기록 동의서를 전송받은 경우, 영상 기록 동의서에 대한 승인정보를 전송한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상기 영상시스템(130)에 영상 촬상 및 전송 명령을 전송한다(S440). 영상시스템(130)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1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 영상을 촬상한다. 여기서, 영상시스템(130)은 영상 촬상 및 전송 명령에 따라 예컨대, 제1차량의 전방, 후방, 측방, 후측방, 실내 등을 정영상 또는 동영상으로 촬상한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영상시스템(130)으로부터 상기 촬상된 영상을 수신한다(S450).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영상시스템(130)으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 또는 이벤트 발생시 촬상된 영상을 수신한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차량에 대해 차량정비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한다(S460).
도 4에서는 단계 S410 내지 단계 S46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4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410 내지 단계 S46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가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기(120)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20)을 통해 제1차량에 대한 카쉐어리링 예약을 접수받는다(S510). 제1 사용자 단말기(120)는 예컨대,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카쉐어링 예약을 접수하거나 전화 또는 문자서비스를 이용하여 카쉐어링 예약을 접수 할 수 있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20)로 영상 기록 동의서를 전송한다(S520). 영상 기록 동의서는 예컨대,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차량 내외부를 촬영하는 것에 동의하는 동의서를 의미한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상기 영상 기록 동의서에 대한 승인을 얻는다(S520). 제1 사용자 단말기(120)는 상기 영상 기록 동의서를 수신하여 영상기록 동의서에 대한 승인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로 전송한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영상시스템(130)으로부터 상기 제1 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 영상을 전송 받아 저장한다(S530).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상기 전송받은 영상을 관리자 단말기(140)로 전송한다(S540).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전송받은 영상을 기 설정된 주기 또는 관리자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140)로 전송한다.
카쉐어링 서버장치(110)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140)을 통해, 상기 제1 차량의 오염상태에 대한 판단 결과와 차량 파손 상태에 대한 판단 결과와 상기 제1 사용자의 분실물 유무에 대한 판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다(S550).
도 5에서는 단계 S510 내지 단계 S55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5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510 내지 단계 S55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카쉐어링 시스템 110: 카쉐어링 서버장치
120: 제1 사용자 단말기 130: 영상시스템
140: 관리자 단말기 150: 네트워크
210: 예약접수부 220: 기록전송부
230: 승인허가부 240: 촬상제어부
250: 영상전송부 260: 차량확인부

Claims (8)

  1.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카쉐어링 서버장치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1차량에 대한 카쉐어리링 예약을 접수받는 예약접수단계;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영상 기록 동의서를 전송하는 기록 전송단계;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을 통해 상기 영상 기록 동의서에 대한 승인을 얻고 전송 받는 승인허가단계;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제1차량의 영상시스템에 영상 촬상 및 전송 명령을 전송하는 명령전송단계;
    상기 영상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1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단계;
    상기 영상시스템이 상기 촬상된 영상을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단계; 및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차량에 대해 차량정비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차량확인단계
    를 포함하는 카쉐어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를 제2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전송단계; 및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1차량에 대한 사용 여부를 확인받는 사용확인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쉐어링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분실물에 대한 알림을 전송하는 알림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쉐어링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촬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차량에 대한 사용 종료 전 및 후에 대해 설정된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쉐어링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판단 결과는, 차량 오염상태에 대한 판단 결과와 차량 파손 상태에 대한 판단 결과와 상기 제1 사용자의 분실물 유무에 대한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쉐어링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오염상태에 대한 판단 결과와 상기 차량 파손 상태에 대한 판단 결과와 상기 분실물 유무에 대한 판단 결과는 각각 상기 영상 정보를 확인한 관리자에 의해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로 입력되며,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는 상기 입력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차량에 대한 차량정비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쉐어링 방법.
  7.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이 카쉐어링 서버장치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1차량에 대한 카쉐어리링 예약을 접수받는 단계;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영상 기록 동의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영상 기록 동의서에 대한 승인을 얻고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카쉐어링 서버장치가 상기 제1 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 영상을 전송 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송 받은 영상을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1 차량의 오염상태에 대한 판단 결과와 차량 파손 상태에 대한 판단 결과와 상기 제1 사용자의 분실물 유무에 대한 판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카쉐어링 방법.
  8.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차량에 대한 카쉐어리링 예약을 접수받는 예약접수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영상 기록 동의서를 전송하는 기록 전송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영상 기록 동의서에 대한 승인을 얻고 전송 받는 승인허가부;
    상기 제1차량의 영상시스템에 영상 촬상 및 전송 명령을 전송하는 명령전송부;
    상기 영상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1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 영상을 촬상한 영상을 전송받는 영상수신부; 및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차량에 대해 차량정비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차량확인부
    를 포함하는 카쉐어링 서버장치.
KR1020150150833A 2015-10-29 2015-10-29 차량을 영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72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833A KR102372560B1 (ko) 2015-10-29 2015-10-29 차량을 영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833A KR102372560B1 (ko) 2015-10-29 2015-10-29 차량을 영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917A KR20170049917A (ko) 2017-05-11
KR102372560B1 true KR102372560B1 (ko) 2022-03-10

Family

ID=58740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833A KR102372560B1 (ko) 2015-10-29 2015-10-29 차량을 영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6191A (ja) * 2017-07-07 2019-01-31 日本ユニシス株式会社 宅配レンタカー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2588636B1 (ko) * 2018-06-29 2023-10-12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세차 추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49476A (ko) * 2020-06-02 2021-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실내 청결 관리 방법
KR102534812B1 (ko) * 2020-12-01 2023-05-22 포티투닷 주식회사 차량 내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328B1 (ko) 2011-04-15 2011-10-17 유한회사 에스카라반 캠핑카의 무인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숙박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2043042A (ja) 2010-08-13 2012-03-01 Sage Co Ltd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車内監視システム、車内監視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3191053A (ja) 2012-03-14 2013-09-26 Nec Access Technica Ltd 車内点検装置および車内点検方法
JP2015018464A (ja) 2013-07-12 2015-01-29 日本宅配システム株式會社 車両配車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4486A (ko) * 2012-08-09 2014-03-03 에이제이렌터카 주식회사 렌탈 차량의 입출고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3042A (ja) 2010-08-13 2012-03-01 Sage Co Ltd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車内監視システム、車内監視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074328B1 (ko) 2011-04-15 2011-10-17 유한회사 에스카라반 캠핑카의 무인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숙박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3191053A (ja) 2012-03-14 2013-09-26 Nec Access Technica Ltd 車内点検装置および車内点検方法
JP2015018464A (ja) 2013-07-12 2015-01-29 日本宅配システム株式會社 車両配車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917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32183B (zh) 一种车辆违规行为举证的方法及其系统
KR102372560B1 (ko) 차량을 영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80308344A1 (en) Vehicle-to-infrastructure (v2i) accident management
CN108492551A (zh) 出租车排队管理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03260195U (zh) 基于智能终端的交通违章公众监督系统
KR102477061B1 (ko) 주차장 내 차량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N105118109A (zh) 行车记录系统及记录方法
CN104290681A (zh) 车门开启控制系统及方法
CN105530475A (zh) 一种远程视频监控数据传输方法及系统
KR20150042566A (ko) 클라우딩 블랙박스 및 클라우딩 블랙박스의 영상처리방법
US20130193921A1 (en) Electric vehicle charge point management system
KR101515943B1 (ko) Mdm을 이용한 등교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666531B1 (ko) 순찰 및 차량 관리 시스템
CN108764722A (zh) 危险品运输车辆管理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70004652A (ko)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범죄 영상 제공 시스템
CN105383430B (zh) 检查汽车中遗漏东西的方法及系统
KR20140056674A (ko) 사고 처리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060119079A (ko) 주차위반 단속 시스템 및 단속 방법
KR20130095144A (ko) 차량 영상 제공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관리 서버 및 방법
CN206421469U (zh) 一种无线云停车管理系统
CN115546952A (zh) 云端管理家长访问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572793B (zh) 管理装置
KR20200063294A (ko) 차량용 블랙박스 영상의 자동 수집이 가능한 객체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2278644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영상의 자동 수집이 가능한 객체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1596A (ko) 무인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