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585A -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585A
KR20230150585A KR1020220050142A KR20220050142A KR20230150585A KR 20230150585 A KR20230150585 A KR 20230150585A KR 1020220050142 A KR1020220050142 A KR 1020220050142A KR 20220050142 A KR20220050142 A KR 20220050142A KR 20230150585 A KR20230150585 A KR 20230150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pindle housing
inspection device
steering system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석
Original Assignee
동성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성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성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0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0585A/ko
Publication of KR20230150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58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4Devices for sensing torque, or actuat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조향장치용 대상모터를 검사하는 검사장치로서, 베이스패널이 마련된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에 마련되는 서보모터와, 상기 베이스패널에 마련되는 스핀들하우징과, 상기 스핀들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모터가 체결되는 연결치구와, 상기 서보모터와 상기 스핀들하우징을 연결하는 연동검사부로 이루어져,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사용되는 모터를 검사할 수 있도록 스핀들하우징과 연동검사부를 마련하여, 모터의 각종 검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모터의 종류에 따라 적용되는 연결치구들이 스핀들하우징에 호환되게 체결되어, 편의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키며, 불량모터 사용으로 인해 차량에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 { Driving motor inspection device for automobile steering system }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사용되는 모터를 검사할 수 있도록 스핀들하우징과 연동검사부를 마련하여, 모터의 각종 검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모터의 종류에 따라 적용되는 연결치구들이 스핀들하우징에 호환되게 체결되어, 편의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키며, 불량모터 사용으로 인해 차량에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동력 조향 장치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임의의 방향으로 바꾸어주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조향 핸들 작동 힘을 보조하는 동력 장치인 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이 사용되고 있다.
MDPS에는 C-MDPS(Column-type MDPS)와 P-MDPS(Pinion-type MDPS)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C-MDPS는 컬럼(Column) 측에 모터를 장착하는 것으로, 엔진룸 공간의 확보가 어려울 때 적합하여 중형 이하 차종에 주로 적용된다. P-MDPS는 피니언(Pinion) 측에 모터를 장착하는 것으로, 엔진룸 공간을 최소로 소모하기에 중형 이상 차종에 주로 적용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동력 장치인 MDPS에 적용되는 모터의 회전수 및 부하 등과 같은 기계적인 성능 및 표준성능 검사하는 검사장치가 없어, 균일한 품질의 모터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불량모터의 사용으로 인한 차량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공개특허 제2010-0124266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사용되는 모터를 검사할 수 있도록 스핀들하우징과 연동검사부를 마련되어, 모터의 각종 검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모터의 종류에 따라 적용되는 연결치구들이 스핀들하우징에 호환되게 체결되어, 편의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키며, 불량모터 사용으로 인해 차량에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용 대상모터를 검사하는 검사장치로서, 베이스패널이 마련된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에 마련되는 서보모터와, 상기 베이스패널에 마련되는 스핀들하우징과, 상기 스핀들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모터가 체결되는 연결치구와, 상기 서보모터와 상기 스핀들하우징을 연결하는 연동검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검사부는 베이스패널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동하우징과, 상기 연동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동하우징의 저면패널을 관통하는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체결되는 조인트와, 상기 조인트의 하단이 연결되는 토크리미트와, 상기 토크리미트의 상단에 토크축의 하단이 연결되며, 상기 연동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되는 토크센서와, 상기 토크센서의 상기 토크축의 상단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스핀들하우징의 축관에 상단이 연결되는 커플러와, 상기 축관을 감싸면서 상기 스핀들하우징에 체결되는 엔코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본체에는 고정지그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고정지그부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형성되는 지그프레임과, 상기 지그프레임에 형성되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가압실린더의 가압축에 형성되는 고정지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핀들 하우징은 상면패널에 인입구가 형성되고 저면패널에 연결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의 연결공에 상단부가 끼움되어 고정되고 관통공을 갖는 마감패널이 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관부와, 상기 가이드관부의 체결되는 링베어링과, 상기 가이드관부에 체결된 링베어링에 체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안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안내부는 상기 링베어링에 끼움되고 상부가 상기 하우징본체의 작동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치구의 하부가 인입되도록 상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회전연결유닛과, 상기 회전연결유닛의 상부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에 배치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체결공들과, 상기 마감패널의 관통공을 관통하며 배치되며, 상기 회전연결유닛의 저면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축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사용되는 모터를 검사할 수 있도록 스핀들하우징과 연동검사부를 마련하여, 모터의 각종 검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모터의 종류에 따라 적용되는 연결치구들이 스핀들하우징에 호환되게 체결되어, 편의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키며, 불량모터 사용으로 인해 차량에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의 연동검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의 연동검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의 스핀들하우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의 스핀들하우징을 나타낸 체결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의 스핀들하우징을 나타낸 다른 체결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의 연동검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의 연동검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의 스핀들하우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의 스핀들하우징을 나타낸 체결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의 스핀들하우징을 나타낸 다른 체결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구동모터 검사장치라 명명함)는 자동차 조향장치용 대상모터(100)를 검사하는 검사장치(10)로서, 프레임본체(20)와 서보모터(30)와 스핀들하우징(40)과 연동검사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본체(20)는 육면체의 틀구조로 이루어지며, 하우징구조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본체(20)를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도면에서와 같이 내측 중간부분에 베이스패널(21)이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패널(21)에는 중앙에 중공의 연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서보모터(30)는 상기 프레임본체(20)에 마련된다.
상기 서보모터(30)는 상기 프레임본체(20)의 내측 하부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스핀들하우징(40)은 상기 베이스패널(21)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스핀들하우징(40)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패널(21)의 연통홀에 관통끼움된 후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연결치구(50)는 상기 스핀들하우징(4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핀들하우징(40)에 나사체결도어 고정된며, 상부에 상기 대상모터(100)가 체결된다.
상기 연결치구(50)는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홈에 상기 대상모터(100)의 축이 끼움되어 고정되며, 상기 연결치구(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대상모터(100)의 축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치구는 도 1에서와 같이 로봇(300)을 통해 대상모터(100)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연동검사부(60)는 상기 서보모터(30)와 상기 스핀들하우징(40)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동검사부(60)는 상기 서보모터(30)의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하우징(40)에 전달하여 상기 스핀들하우징(40)에 배치되는 연결치구(50)와 대상모터(100)의 축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연동검사부(60)는 베이스패널(21)의 하부에 상면이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연동하우징(61)과, 상기 연동하우징(61)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동하우징(61)의 저면패널을 관통하는 상기 서보모터(30)의 회전축에 하단이 끼움되어 상기 서보모터(3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조인트(62)와, 상기 조인트(62)의 상단에 형성되는 축에 일단이 끼움되어 상기 조인트(62)와 함께 회전되며, 회전과정중 과부하나 충격 발생시 그 신호를 서보모터(30)에 전달하여 구동을 종료시키는 토크리미트(63)와, 상기 연동하우징(61)의 내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토크리미트(63)의 상단에 토크축의 하단이 끼움되어, 상기 토크리미트(6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토크축이 회전되며, 회전력이 전달받아 회전과정에서 뒤틀림을 감지한 후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토크센서(64)와, 상기 토크센서(64)의 상기 토크축의 상단에 하단이 끼움되고, 상기 스핀들하우징(40)의 축관(444)에 상단이 끼움되는 커플러(65)와, 상기 축관(444)을 감싸면서 상기 스핀들하우징(4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엔코더(66)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관(444)은 상기 엔코더(66)를 관통하여 상기 커플러(65)와 연결되고, 상기 엔코더(66)는 상기 축관(444)이 회전되는 회전량 및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코트센서는 서브모터, 조인트(62), 토크리미트(63), 토크센서(64), 커블러 및 엔토더들이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발생되는 뒤틀림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연동하우징(61)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상기 토크센서(64)에 의해 편심(기울어짐)되지 않고 수직으로 일정하게 서브모터, 조인트(62), 토크리미트(63), 토크센서(64), 커블러 및 엔코더(66)를 배열할 수 있게 된다. 다르게는 상기 토크센서(64)가 편심되면서 발생되는 뒤틀림신호를 감지시 서브모터, 조인트(62), 토크리미트(63), 토크센서(64), 커블러 및 엔코더(66)를 수직으로 일정하게 재배열하여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토크센서(64)는 뒤틀림 이외에 회전량 또는 회전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연동검사부(60)에 의해 서보모터(30)의 회전력을 상기 대상모터(100)의 축에 전달하여 회전되도록 함과 아울러 회전되는 속도 및 회전량을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대상모터(100)의 설정된 회전속도 및 회전량과 측정되는 회전속도 및 회전량을 비교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동검사부(60)를 상기 서보모터(30)에 연결되는 조인트와 상기 조인트에 끼움되거나 나사체결되는 스핀들하우징(40)의 축관에 끼움되는 상기 토크센서로 구성하여, 상기 서보모터(30)가 구동시 축관이 회전되는 회전량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축관(444)을 감싸면서 상기 엔코더(66)를 상기 스핀들 하우징(40)에 나사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본체(20)에는 제어부가 마련되어, 상기 토크리미트(63), 상기 토크센서(64) 및 상기 엔코더(66)의 감지신호를 전달받게 받아, 상기 대상모터(100)의 회전속도 및 회전량에 따른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본체(20)에는 고정지그부(70)가 더 마련되며, 상기 고정지그부(70)는 상기 베이스패널(21)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지그프레임(71)과, 상기 지그프레임(71)에 나사체결되는 가압실린더(72)와, 상기 가압실린더(72)의 가압축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가압실린더(72)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고정지그(7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실린더(72)의 구동에 의해 상기 고정지그(73)로 상기 스핀들 하우징에 배치되는 대상모터(100)의 상부를 지지하여 상기 대상모터(100)의 축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대상모터(10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지그(73)를 상기 대상모터(100)에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정지그(73)에 그리퍼를 마련하여 상기 대상모터(100)를 파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스핀들 하우징(40)은 하우징본체(41)와 가이드관부(42)와 링베어링(43)과 회전안내부(44)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본체(41)는 상면패널에 인입구가 형성되고 저면패널에 연결공(411)이 형성되며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본체(41)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테이블이나 프레임틀에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하우징본체(41)에는 연결치구(50)가 인입되며, 상기 연결치구(50)에는 검사할 대상모터(100)의 회전축이 끼움되어, 상기 회전안내부(4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치구(50)가 회전하면서 대상모터(100)의 회전축을 회전시켜 토크 및 회전량을 검사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본체(41)는 상기 베이스패널(21)의 연통홀에 끼움된 후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관부(42)는 상기 하우징본체(41)의 연결공(411)에 상단부가 끼움되어 고정되고 관통공(421)을 갖는 마감패널이 하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관부(42)는 상기 연결공(411)에 상단부가 끼움된 후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관부(42)에는 하부에 마감패널이 나사체결되고 상기 마감패널에는 중앙부분에 중공의 관통공(421)이 형성된다.
상기 링베어링(43)은 상기 가이드관부(42)의 체결된다.
상기 링베어링(43)은 상기 가이드관부(42)의 내부에 억지끼움되거나 끼운 후 나사체결 도는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관부(42)의 내면에는 상기 링베어링(43)의 일부가 끼움되도록 환형의 결합홈을 더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베어링(43)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관부(42)의 내부에 상,하 배치되도록 한쌍의 체결된다.
상기 회전안내부(44)는 상기 가이드관부(42)에 체결된 링베어링(43)에 체결되어 회전된다.
상기 회전안내부(44)는 상기 링베어링(43)에 끼움되고 상부가 상기 하우징본체(41)의 작동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치구(50)의 하부가 인입되도록 상면에 안착홈(441a)이 형성된 회전연결유닛(441)과, 상기 회전연결유닛(441)의 상부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작동공간에 배치되는 플랜지부(442)와, 상기 플랜지부(442)에 형성되는 체결공(443)들과, 상기 마감패널의 관통공(421)을 관통하며 배치되며, 상기 회전연결유닛(441)의 저면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축관(44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관(444)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안착홈(441a)과 연통되게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축관(444)은 상기 회전연결유닛(441)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시키게 되며,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연결유닛(441)은 상기 링베어링(43)에 억지끼움되며 끼움된 후 나사체결 또는 용접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감패널의 관통공(421)을 관통한 상기 축관(444)의 하단부는 상기 연동하우징(61)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커플러(65)의 상부에 끼움되고, 상기 서보모터(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연결치구(50) 및 상기 대상모터(100)의 축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연결유닛(441)에는 상면에 안착홈(441a)이 형성되어 하단부가 돌출된 구조를 갖는 연결치구(50)의 하단부를 안착홈(441a)에 인입시킨 후 플랜지부(442)에 결합홀들이 형성된 결합플랜지(200)를 볼트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하단부가 돌출되지 않는 구조의 연결치구(50')는 플랜지부(442)에 결합플랜지를 볼트체결하여 결합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치구(50)는 슬라이드방식의 연결치구이며, 하측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도 5에서와 같이 돌출된 하측이 상기 회전연결유닛(441)의 안착홈(441a)에 끼움되고, 상기 플랜지부(442)에 결합플랜지(200)가 나사체결되며, 도 6에서와 같이 콜렛구조의 연결치구(50')는 하부가 돌출되지 않아 상기 플랜지부(442)에 결합플랜지(200)가 바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콜렛구조의 연결치구(50')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다른 대상모터(100')가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연결유닛(441)에 형성되는 상기 안착홈(441a)의 상측 테두리(모서리) 부분에 라운드 안내면이 더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441a)에 끼움되는 연결치구(50)가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끄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441a)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가압관이 더 끼움되고, 상기 안착홈(441a)의 내면에 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안착홈(441a)의 탄성가압관을 가압하면서 상기 연결치구(50)의 단부가 억지끼움되어, 상기 탄성가압관의 탄성에 의해 상기 연결치구(50)를 지지함과 아울러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가압관의 상부 내면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테이퍼 안내면을 더 형성하여, 상기 연결치구(50)가 상기 탄성가압관에 인입되는 과정에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테이퍼 안내면을 따라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가압관의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돌기를 일체로 더 형성하고, 상기 연결치구(50)의 외면에 가이드돌기에 끼움되도록 가이드홈을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걸림되어 결합력과 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연결유닛(441)에는 회전과정에서 상기 링베이링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링부재가 더 체결된다.
상기 걸림링부재는 상기 회전연결유닛(441)의 하부를 감싸면서 억지끼움되며, 상기 링베어링(43)에 걸림되어 회전시 링베어링(43)에서 상기 회전연결유닛(441)이 이동되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걸림링부재는 상기 링베어링(43)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근접되게 배치되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본체(41)에는 상기 작동공간으로 인입되는 상기 연결치구(50)를 지지하도록 치구가이드수단(80)이 더 마련된다.
상기 치구가이드수단(80)은 상기 하우징본체(41)의 내측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중앙에 연통공(811)이 형성된 베이스패널(81)과, 상기 베이스패널(91)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지주부재(82)들과, 상기 지주부재(82)들의 상부를 연결하며 나사체결되는 안착고정링(83)과, 상기 안착고정링(83)의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턱(84)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치구(50)가 상기 안착고정링(83)을 관통하며 배치되어, 상기 연결치구(50)가 회전하는 과정중 상기 회전연결유닛(441)에서 분리시 상기 연결치구(5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연결치구(50)와 상기 안착고정링(83) 사이에는 유격공간이 형성되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84)에는 상기 연결치구(50)의 중간부분에 형성되는 지지플랜지가 끼움되되, 상기 걸림턱(84)과 상기 지지플랜지 사이에 유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회전과정 중 마찰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회전과정에서 상기 회전연결유닛(441)에서 분리되는 상기 연결치구(5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플랜지부(442)에는 체결되는 연결치구(50)의 결합플랜지(200)를 탄성에 의해 지지함과 아울러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연결치구가이드탄성지지수단(90)이 더 마련되고,
상기 연결치구가이드탄성지지수단(90)은 상기 플랜지부(442)를 감싸면서 하부가 끼움된 후 나사체결 또는 용접고정되고, 상기 연결치구(50)의 결합플랜지(200)가 끼움되는 고정안내관(91)과, 상기 플랜지부(442)에 체결된 상기 고정안내관의 내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걸림홈(92)과, 상기 걸림홈(92)에 일부(외측 부분)가 끼움되며 내측이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고정안내관(91)에 끼움된 상기 결합플랜지(200)를 가압함과 아울러 지지하는 탄성가압링(94)과, 상기 고정안내관에 형성되는 나사공(95)과,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안내관(91)에 끼움된 상기 결합플랜지(200)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나사(96)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탄성가압링(93)에 의해 상기 결합플랜지(200)가 상기 고정안내관(91)에 억지끼움되어, 탄성에 의해 가압고정됨과 아울러 지지되고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가압나사(95)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고정안내관(9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연결치구가이드탄성지지수단(90)에 의해 회전과정에서 플랜지부(442)와 결합플랜지(200)를 연결하는 볼트가 분리된 경우에도 연결치구(50)가 상기 고정안내관(91)에 고정되어 플랜지부(442)에서 연결치구(50)가 분리되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지속적으로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치구(50)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나사의 단부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캡을 더 끼운 후 접착고정하여, 상기 가압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캡이 상기 연결치구(50)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가압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에 의해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검사장치
20 : 프레임본체
21 : 베이스패널
30 : 서보모터
40 : 스핀들하우징
41 : 하우징본체
411 : 연결공
42 : 가이드관부
421 : 관통공
43 : 링베어링
44 : 회전안내부
441 : 회전연결유닛
441a : 안착홈
442 : 플랜지부
443 : 체결공
444 : 축관
50 : 연결치구
60 : 연동검사부
61 : 연동하우징
62 : 조인트
63 : 토크리미트
64 : 토크센서
65 : 커플러
66 : 엔코더
70 : 고정지그부
71 : 지그프레임
72 : 가압실린더
73 : 고정지그
80 : 치구가이드수단
81 : 베이스패널
811 : 연통공
82 : 지주부재
83 : 안착고정링
84 : 걸림턱
90 : 연결치구가이드탄성지지수단
91 : 고정안내관
92 : 걸림홈
93 : 탄성가압링
94 : 나사공
95 : 가압나사
100 : 대상모터
200 : 결합플랜지
300 : 로봇

Claims (5)

  1. 자동차 조향장치용 대상모터를 검사하는 검사장치로서,
    베이스패널이 마련된 프레임본체;
    상기 프레임본체에 마련되는 서보모터;
    상기 베이스패널에 마련되는 스핀들하우징;
    상기 스핀들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모터가 체결되는 연결치구; 및
    상기 서보모터와 상기 스핀들하우징을 연결하는 연동검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검사부는 베이스패널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동하우징과,
    상기 연동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동하우징의 저면패널을 관통하는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체결되는 조인트와,
    상기 조인트의 하단이 연결되는 토크리미트와,
    상기 토크리미트의 상단에 토크축의 하단이 연결되며, 상기 연동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되는 토크센서와,
    상기 토크센서의 상기 토크축의 상단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스핀들하우징의 축관에 상단이 연결되는 커플러와,
    상기 축관을 감싸면서 상기 스핀들하우징에 체결되는 엔코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본체에는 고정지그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고정지그부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형성되는 지그프레임과,
    상기 지그프레임에 형성되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가압실린더의 가압축에 형성되는 고정지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 하우징은 상면패널에 인입구가 형성되고 저면패널에 연결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의 연결공에 상단부가 끼움되어 고정되고 관통공을 갖는 마감패널이 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관부와,
    상기 가이드관부의 체결되는 링베어링과,
    상기 가이드관부에 체결된 링베어링에 체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안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부는 상기 링베어링에 끼움되고 상부가 상기 하우징본체의 작동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치구의 하부가 인입되도록 상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회전연결유닛과,
    상기 회전연결유닛의 상부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에 배치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체결공들과,
    상기 마감패널의 관통공을 관통하며 배치되며, 상기 회전연결유닛의 저면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축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
KR1020220050142A 2022-04-22 2022-04-22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 KR202301505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142A KR20230150585A (ko) 2022-04-22 2022-04-22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142A KR20230150585A (ko) 2022-04-22 2022-04-22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585A true KR20230150585A (ko) 2023-10-31

Family

ID=8854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142A KR20230150585A (ko) 2022-04-22 2022-04-22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058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266A (ko) 2008-02-01 2010-11-26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제지 직물과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266A (ko) 2008-02-01 2010-11-26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제지 직물과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89207B (zh) 车轮用轮毂组件的检查方法
EP0991494B1 (en) Process and machine for uniting rotatable machine components
KR101477906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CN100520090C (zh) 紧固元件
JP4618173B2 (ja) ねじりトルク試験機
WO2012081226A1 (ja) タイヤ試験装置
CA2568278A1 (en) Method of connecting a metallic bolt to a plastic workpiece
US8033000B2 (en) Method for effecting a screwed connection
KR101340468B1 (ko) 차량고정구조
JP2000027832A (ja) トルク角制限ホイ―ルナット
KR20230150585A (ko) 자동차 조향장치용 구동모터 검사장치
US5878631A (en) Wiper device
KR20100043904A (ko) 튜브용 비틀림 시험기의 고정지그
CN114459927A (zh) 汽车电动助力转向器用扭杆弹簧疲劳试验装置及试验方法
JP3622103B2 (ja) ホィール用軸受装置の組立方法
US11168733B2 (en) Ball joint, in particular for a chassis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fitting such a ball joint
US7038146B2 (en) Fixing device including a screw arranged with clearance in a fixing hole, and a weight meas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230150586A (ko) 자동차 조향장치용 모터의 검사를 위한 멀티 체결구조
CN208109320U (zh) 高精度车轮螺母紧固测试系统
KR102178452B1 (ko) 컬럼형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대한 진동 또는 소음 시험 방법
WO2011096079A1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の巻上機の製造方法
KR102308086B1 (ko) 등속조인트의 레디얼 래쉬 측정용 지그 모듈
CN219284658U (zh) 螺纹传动组件的测试装置
US6810726B2 (en) Wheel durability test equipment
CN219532344U (zh) 一种螺栓预紧力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