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472A -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50472A KR20230150472A KR1020220049875A KR20220049875A KR20230150472A KR 20230150472 A KR20230150472 A KR 20230150472A KR 1020220049875 A KR1020220049875 A KR 1020220049875A KR 20220049875 A KR20220049875 A KR 20220049875A KR 20230150472 A KR20230150472 A KR 202301504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cushion
- panel
- cushion
- screw
- base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4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3—Slides on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4—Linear actuator, e.g. screw mechanis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쿠션의 하측을 지지하는 쿠션패널; 상기 쿠션패널에 대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안티슬립패널; 상기 안티슬립패널의 승강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안티슬립패널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시트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에는 탑승자를 위한 시트가 구비되며, 상기 시트는 탑승자가 앉는 시트쿠션과, 시트쿠션에 앉은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으로 구성된다.
차량의 주행 중 급제동 등의 경우에는 탑승자가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데, 이때 시트쿠션은 전방으로 밀리지 않고 탑승자가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억제해 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시간의 차량 주행 또는 탑승자의 자세 등에 의해서 시트쿠션이 차량의 전방으로 밀릴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탑승자가 운전자인 경우에는 운전 자세의 불안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시트쿠션의 전방 밀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시트쿠션 전방부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착좌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는,
시트쿠션의 하측을 지지하는 쿠션패널;
상기 쿠션패널에 대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안티슬립패널;
상기 안티슬립패널의 승강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안티슬립패널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시트의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게 직선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블록;
상기 슬라이딩블록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블록과의 접촉점이 변화하면서 회전되어 상기 안티슬립패널을 승강시키도록 설치된 가이드와이어;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는 상기 쿠션패널에 대해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블록은 상기 스크류가 관통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직선 슬라이딩이 가이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두 슬라이딩블록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슬라이딩하도록, 상기 스크류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상기 슬라이딩블록이 삽입되는 나사산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와이어는
U자형으로 절곡된 양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에 형성된 와이어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와이어지지부를 기준으로 시트의 양쪽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상승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와이어의 상단부는 상기 안티슬립패널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두 슬라이딩블록이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시트의 양측으로부터 중앙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와이어가 상기 와이어지지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의 상단부가 상기 안티슬립패널을 점진적으로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와이어의 상단부는 가이드마운팅블록에 의해 상기 안티슬립패널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쿠션패널의 하측에 결합되는 마운팅브라켓에 의해 상기 쿠션패널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쿠션패널은 전방 중앙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티슬립패널은 상기 쿠션패널의 절개된 부분 내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는,
전방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된 쿠션패널;
상기 쿠션패널의 하측에 상기 절개부를 시트의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양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블록;
상기 슬라이딩블록의 직선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쿠션패널의 절개부내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안티슬립패널;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는 시트의 횡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에는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블록은 2개가 상기 스크류의 서로 다른 나사산 부분에 대칭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안티슬립패널 사이에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직선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블록의 직선 변위에 의해 상기 안티슬립패널을 승강시키도록 형성된 가이드와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와이어는
U자형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U자형의 양단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에 구비된 와이어지지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승하여, U자형으로 구부러진 중간 부분이 상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단부는 상기 안티슬립패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와이어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와이어지지부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2개가, 상기 슬라이딩블록의 직선변위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시트쿠션의 전방 밀림이 방지되고, 시트쿠션 전방부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착좌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구성을 하측에서 관측한 도면,
도 4는 도 1의 구성에서 쿠션패널과 안티슬립패널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상태에 비추어 안티슬립패널이 상측으로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시트쿠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구성을 하측에서 관측한 도면,
도 4는 도 1의 구성에서 쿠션패널과 안티슬립패널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상태에 비추어 안티슬립패널이 상측으로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시트쿠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의 실시예는, 시트쿠션(1)의 하측을 지지하는 쿠션패널(3); 상기 쿠션패널(3)에 대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안티슬립패널(5); 상기 안티슬립패널(5)의 승강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 구동모터(7); 상기 구동모터(7)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안티슬립패널(5)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쿠션패널(3)은 전방 중앙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티슬립패널(5)은 상기 쿠션패널(3)의 절개된 부분 내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구동모터(7)와 승강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쿠션패널(3)에 대해 상기 안티슬립패널(5)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쿠션패널(3) 및 안티슬립패널(5)의 상측에 위치하는 시트쿠션(1)이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시트쿠션(1)의 하측에는 상기 안티슬립패널(5)이 상승하면 걸려서 시트쿠션(1)의 전방 이동이 억제될 수 있도록, 상기 안티슬립패널(5)이 삽입되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는 탑승자가 조절할 수 있는 조절스위치에 의해 구동되도록 연결되어, 탑승자가 필요에 따라 원하는 수준만큼 상기 안티슬립패널(5)의 승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순히 시트쿠션(1)의 전방 밀림을 억제하기 위해서 상기 안티슬립패널(5)을 상승시킬 수도 있고, 나아가 자신의 신체 조건이나 취향에 따라 시트쿠션(1)의 전방부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착좌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구동모터(7)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9); 상기 스크류(9)의 회전에 따라 시트의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게 직선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블록(11); 상기 슬라이딩블록(11)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블록(11)과의 접촉점이 변화하면서 회전되어 상기 안티슬립패널(5)을 승강시키도록 설치된 가이드와이어(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9)는 상기 쿠션패널(3)에 대해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15)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블록(11)은 상기 스크류(9)가 관통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에 의해 직선 슬라이딩이 가이드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스크류(9)가 회전하면, 상기 두 슬라이딩블록(11)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스크류(9)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상기 슬라이딩블록(11)이 삽입되는 나사산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와이어(13)는, U자형으로 절곡된 양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의 중앙에 형성된 와이어지지부(17)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의 와이어지지부(17)를 기준으로 시트의 양쪽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상승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와이어(13)의 상단부는 가이드마운팅블록(19)에 의해 상기 안티슬립패널(5)의 하측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두 슬라이딩블록(11)이 상기 스크류(9)의 회전에 의해 시트의 양측으로부터 중앙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와이어(13)가 상기 와이어지지부(17)를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13)의 상단부가 상기 안티슬립패널(5)을 점진적으로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구동모터(7)로 상기 스크류(9)를 역회전시키면, 상기 두 슬라이딩블록(11)이 상기 시트의 중앙 쪽으로부터 양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와이어(13)의 상단부가 하강하여, 상기 안티슬립패널(5)이 점진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는 상기 쿠션패널(3)의 하측에 결합되는 마운팅브라켓(21)에 의해 상기 쿠션패널(3)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시트쿠션(1)이 도시된 바, 시트쿠션(1)의 전방 중앙부에 별도로 분리된 승강쿠션(2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안티슬립패널(5)은 상기 승강쿠션(23)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티슬립패널(5)은 상기 승강쿠션(23)의 높이를 조절하여, 탑승자의 요구에 맞는 착좌감을 더욱 용이하게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의 실시예는, 전방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된 쿠션패널(3); 상기 쿠션패널(3)의 하측에 상기 절개부를 시트의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5); 양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류(9); 상기 스크류(9)의 회전에 의해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블록(11); 상기 슬라이딩블록(11)의 직선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쿠션패널(3)의 절개부내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안티슬립패널(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에는 상기 스크류(9)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9)는 시트의 횡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9)에는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블록(11)은 2개가 상기 스크류(9)의 서로 다른 나사산 부분에 대칭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와 안티슬립패널(5) 사이에는, 상기 스크류(9)의 회전에 의해 직선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블록(11)의 직선 변위에 의해 상기 안티슬립패널(5)을 승강시키도록 형성된 가이드와이어(13)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와이어(13)는, U자형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U자형의 양단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의 중앙에 구비된 와이어지지부(17)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의 양측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승하여, U자형으로 구부러진 중간 부분이 상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단부는 상기 안티슬립패널(5)에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와이어(13)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의 와이어지지부(17)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2개가, 상기 슬라이딩블록(11)의 직선변위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시트쿠션
3; 쿠션패널
5; 안티슬립패널
7; 구동모터
9; 스크류
11; 슬라이딩블록
13; 가이드와이어
15; 베이스플레이트
17; 와이어지지부
19; 가이드마운팅블록
21; 마운팅브라켓
23; 승강쿠션
3; 쿠션패널
5; 안티슬립패널
7; 구동모터
9; 스크류
11; 슬라이딩블록
13; 가이드와이어
15; 베이스플레이트
17; 와이어지지부
19; 가이드마운팅블록
21; 마운팅브라켓
23; 승강쿠션
Claims (16)
- 시트쿠션의 하측을 지지하는 쿠션패널;
상기 쿠션패널에 대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안티슬립패널;
상기 안티슬립패널의 승강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안티슬립패널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시트의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게 직선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블록;
상기 슬라이딩블록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블록과의 접촉점이 변화하면서 회전되어 상기 안티슬립패널을 승강시키도록 설치된 가이드와이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상기 쿠션패널에 대해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블록은 상기 스크류가 관통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직선 슬라이딩이 가이드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가 회전하면, 상기 두 슬라이딩블록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슬라이딩하도록, 상기 스크류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상기 슬라이딩블록이 삽입되는 나사산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는
U자형으로 절곡된 양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에 형성된 와이어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와이어지지부를 기준으로 시트의 양쪽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상승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의 상단부는 상기 안티슬립패널의 하측에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두 슬라이딩블록이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시트의 양측으로부터 중앙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와이어가 상기 와이어지지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의 상단부가 상기 안티슬립패널을 점진적으로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의 상단부는 가이드마운팅블록에 의해 상기 안티슬립패널의 하측에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쿠션패널의 하측에 결합되는 마운팅브라켓에 의해 상기 쿠션패널에 대해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패널은 전방 중앙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티슬립패널은 상기 쿠션패널의 절개된 부분 내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 전방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된 쿠션패널;
상기 쿠션패널의 하측에 상기 절개부를 시트의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양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블록;
상기 슬라이딩블록의 직선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쿠션패널의 절개부내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안티슬립패널;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시트의 횡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에는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블록은 2개가 상기 스크류의 서로 다른 나사산 부분에 대칭되게 삽입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안티슬립패널 사이에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직선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블록의 직선 변위에 의해 상기 안티슬립패널을 승강시키도록 형성된 가이드와이어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는
U자형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U자형의 양단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에 구비된 와이어지지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승하여, U자형으로 구부러진 중간 부분이 상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단부는 상기 안티슬립패널에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이어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와이어지지부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2개가, 상기 슬라이딩블록의 직선변위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9875A KR20230150472A (ko) | 2022-04-22 | 2022-04-22 |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9875A KR20230150472A (ko) | 2022-04-22 | 2022-04-22 |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50472A true KR20230150472A (ko) | 2023-10-31 |
Family
ID=8854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9875A KR20230150472A (ko) | 2022-04-22 | 2022-04-22 |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50472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39500A (ko) | 1995-12-28 | 1997-07-24 | 김태구 | 차량 충돌시 전방시트의 밀림장치 |
-
2022
- 2022-04-22 KR KR1020220049875A patent/KR20230150472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39500A (ko) | 1995-12-28 | 1997-07-24 | 김태구 | 차량 충돌시 전방시트의 밀림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64415B1 (en) | Head rest for vehicle seat | |
CN108725280A (zh) | 用于汽车座椅的扶手模块 | |
US8382204B2 (en) | Modular contour support apparatus | |
KR20100013609A (ko) | 자동차용 시트쿠션 틸팅장치 | |
KR20210052739A (ko) | 차량용 시트 장치 | |
KR101600199B1 (ko) |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
KR101725413B1 (ko) | 차량용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 |
KR20230150472A (ko) | 시트의 시트쿠션 밀림 방지 장치 | |
KR101593816B1 (ko) |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 |
CN102275534B (zh) | 头枕 | |
CN101152845B (zh) | 汽车座椅 | |
KR100462492B1 (ko) |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 |
KR20220069246A (ko)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 |
KR101470182B1 (ko) | 헤드레스트용 리클라이닝장치 | |
KR20100030430A (ko) | 차량 시트의 폴딩 헤드레스트 | |
KR0166547B1 (ko) | 시트 쿠션 사이드 볼스터 높이 조절장치 | |
KR101784153B1 (ko) | 헤드레스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 |
EP4497627A1 (en) | System for vertically adjusting a seat of a vehicle, in particular a motor vehicle | |
CN216805196U (zh) | 用于车辆座椅的座部倾角调节机构 | |
CN113619462B (zh) | 用于汽车座椅的腰部舒适性支撑系统 | |
JP7627652B2 (ja) | 車両用シート | |
KR100336506B1 (ko) | 자동차용 아암레스트 | |
KR200424766Y1 (ko) | 자동차용 시트 | |
KR200142664Y1 (ko) | 자동차의 플로어패널에 설치된 피로 저감장치 | |
KR20090106958A (ko) | 시트 연동형 풋레스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