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307A -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의 열가소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의 열가소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307A
KR20230150307A KR1020237030907A KR20237030907A KR20230150307A KR 20230150307 A KR20230150307 A KR 20230150307A KR 1020237030907 A KR1020237030907 A KR 1020237030907A KR 20237030907 A KR20237030907 A KR 20237030907A KR 20230150307 A KR20230150307 A KR 20230150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thylene
composition
polycarbonat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니르반 강굴리
로샨 쿠마르 자
수산타 미트라
Original Assignee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filed Critical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30150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30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8L23/0876Neutralised polymers, i.e. i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30Applications used for thermofor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53Core-shell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이상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70 중량% 이하의 폴리에스테르, 0.1~20 중량%의 충격 조절제, 및 에틸렌, 디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 모노카복실산로부터 그리고 선택적으로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0.05 내지 1.0 중량%의 1가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조성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물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의 열가소성 조성물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조성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물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외관, 기계적 특성, 치수 안정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C)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로 이루어진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에 우수한 내충격성(저온 내충격성 또는 연성을 포함), 기계적 특성, 및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들 조성물은 특히 자동차의 내장 및 외장 부품과 같은 분야에서 유용하다.
JP2008115295A는 내충격성이 뛰어나 품질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복실기와 반응하는 작용기를 갖는 올레핀 공중합체인 상용화제와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가공성이 뛰어난 고분자 재료를 개시한다.
CN105385117A는 LED(발광 다이오드) 알루미늄-플라스틱 구조 부품용 고온/저온 내충격성 PC-PBT 복합 재료를 개시한다.
CN108034204B는 MBS 강인화제, 상용화제, 에스테르 교환 억제제, 산화방지제, 및 윤활제와 PBT 수지로 제조된 저온 내충격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개시하며, 저온 내충격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제조 방법도 개시되어 있다.
CN105255149A는 저온 강인화제를 첨가하여 합금의 저온 충격 특성을 향상시키는, 저온 강인화 및 강화 PC/PBT 합금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폴리카보네이트/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PBT) 조성물은 물성 및 가공성, 연성(저온), 내화학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및 기타 OVAD(실외 차량 및 장치) 외장과 같은 많은 응용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PET)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PC/PBT 조성물에 비해 열적 특성이 더 양호하고 표면 광택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또한 PET는 특히 병을 포함한 다양한 응용 분야, 예컨대 탄산 및 비탄산 청량 음료, 섬유, 및 포장재, 가정용품 및 소비재에 사용되는 널리 이용가능한 잘 알려진 재료이다. PC/PET 조성물은 덜 유리한 저온 연성(즉, 약 -20 내지 약 -30℃ 범위 온도에서의 연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향상된 저온 내충격성을 달성하기 위해, 실리콘 변성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는 비용 효율적이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 특성 및 열적 특성과 같은 기타 특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거나 심지어 이러한 특성을 향상시키면서,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PC 및 PET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정도로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함), 충격 조절제를 특정 이오노머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조성물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성분에 이오노머가 포함되지 않은 동일한 조성물과 비교하여 (기계적 특성 및 기타 열적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향상된 저온 내충격성을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구애됨 없이, 본 발명자들은 특정 1가 이오노머의 존재가 충격 공력제로서 작용하며 외부 트리거 없이 순간적인 충격 파괴/균열 또는 전달 저항을 생성하는 본질적으로 자가-치유가능한 물질로서 작용함으로써 도움을 준다고 믿는다. 이에 따라 더 양호한 연성이 요구되는 내충격성 응용 분야에 적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이상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70 중량% 이하의 폴리에스테르, 0.1~20 중량%의 충격 조절제, 에틸렌, 디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 모노카복실산로부터 그리고 선택적으로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0.05 내지 1.0 중량%의 1가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의심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본원에 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열가소성 조성물이라는 점에 유의한다.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목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족된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는 잘 알려진 재료이며 일반적으로 양호한 기계적, 광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인 응용 분야에는 광학 미디어 캐리어, 글레이징, 압출 시트, 렌즈, 및 물병이 포함된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상이한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계면 기술 또는 계면 공정으로 알려진 첫 번째 기술에서는, 포스겐이 비스페놀 A(BPA)와 액상에서 반응한다. 또 다른 잘 알려진 폴리카보네이트 제조 기술은 때로는 용융 에스테르 교환 또는 용융 중축합 기술이라고도 하는 소위 용융 기술이다. 용융 기술 또는 용융 공정에서는, 비스페놀, 일반적으로 BPA가 카보네이트, 일반적으로 디페닐 카보네이트(DPC)와 용융상에서 반응한다. 용융 에스테르 교환 공정에 의해 얻은 폴리카보네이트는 계면 공정에 의해 얻은 폴리카보네이트와 구조적으로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소위 "용융 폴리카보네이트"는 일반적으로 "계면 폴리카보네이트"에는 일반적으로 없는 최소량의 프리스(Fries) 분지화를 갖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그 외에도, 용융 폴리카보네이트는 일반적으로 더 많은 수의 페놀성 하이드록시 말단기를 갖는 반면, 계면 공정에 의해 얻은 폴리카보네이트는 일반적으로 말단 캡핑되고 15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pp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 ppm 이하의 페놀 하이드록실 말단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카보네이트는 폴리카보네이트의 공중합체가 아닌 방향족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 단독중합체(본원에서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라고도 함)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에 개시된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총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상의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중 폴리카보네이트는 본질적으로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폴리카보네이트는 폴리카보네이트 표준물질을 사용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시 15,000 내지 6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양태에서, 폴리카보네이트는 계면 폴리카보네이트이다.
다른 양태에서, 폴리카보네이트는 용융 폴리카보네이트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폴리카보네이트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중량을 기준으로 20~80 중량%의 계면 폴리카보네이트와 80~20 중량%의 용융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물이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용융 체적률(즉, 분자량)이 상이한 둘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물일 수 있다. 혼합물의 폴리카보네이트는 둘 다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 단독중합체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 중 폴리에스테르는 PET를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이로 이루어지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PET는 둘 이상의 상이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 예를 들어 고유 점도가 서로 다른 PET의 혼합물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재생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는 그 자체로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는 일반적으로 이소프탈산(IPA)과 같은 공단량체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보조적으로 강산 촉매를 사용하여, 테레프탈산을 1,2-에탄 디올(에틸렌 글리콜)과 직접 폴리에스테르화하여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40 중량% 이하의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든 성분의 총 중량 백분율 값은 100 중량%이다. PET는 25℃에서 페놀:1,2-디클로로벤젠의 3:2 중량 대 중량 혼합물에서 측정시 0.4 내지 약 2.0 dl/g의 고유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양태에서,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혼화성인 또 다른 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르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의 중량을 기준으로 99 내지 80 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1 내지 20 중량%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한다.
충격 조절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조성물은 충격 조절제를 포함한다. 적합한 충격 조절제는 일반적으로, 올레핀, 모노비닐 방향족 단량체, 아크릴 및 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 유도체로부터 유도된 고분자량 엘라스토머 재료 및 공액 디엔이다. 공액 디엔으로부터 형성된 중합체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수소화될 수 있다. 엘라스토머 재료는 단독중합체 또는 랜덤, 블록, 라디칼 블록, 그래프트, 및 코어-쉘 공중합체를 비롯한 공중합체의 형태일 수 있다. 충격 조절제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충격 조절제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저밀도 폴리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에스테르 공중합체, 고무 변성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고무 변성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 중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충격 조절제의 양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20 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충격 조절제는 2~15 중량%, 바람직하게는 8~12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포함된다.
충격 공력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에틸렌, 디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 모노카복실산로부터 그리고 선택적으로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1가 이오노머인 충격 공력제를 포함한다.
이오노머는 고분자 백본을 따라 무작위 및/또는 규칙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전기적으로 중성인 기 및 이온화된 기 둘 다로 이루어진 합성 고분자전해질이다. 이오노머의 한 가지 중요한 특성은 물리적 가교 역할을 하는, 이온이 풍부한 도메인 또는 이온 클러스터에 대한 이온-운반 기의 강력한 분자 응집이다. 가열시 이온 결합 및 클러스터가 분해되고 냉각시 이온 결합 및 클러스터가 다시 형성된다. 이는 이오노머에 특유의 구조 및 거동을 부여한다. 저온에서 이오노머는 가교 중합체(엘라스토머)처럼 거동하고 고온에서는 일반 열가소성 수지처럼 거동한다. 연구된 대부분의 이오노머는 폴리비닐 또는 폴리디엔 백본을 가지며, 반대 이온으로서 Na+ 및 Zn2+와 함께 음이온 기(음이오노머)를 운반한다.
이러한 이온성 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낮은 융점, 향상된 인성/유연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필름으로 사용될 경우, 변성되지 않은 폴리에틸렌 필름보다 훨씬 더 높은 투명도와 광택을 가지며 더 우수한 열간 점착성, 밀봉 강도 및 내천공성을 제공한다.
잘 알려진 이오노머는 DuPont에서 상표명 Surlyn으로 판매하는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EAA)이다. 이는 식품 포장재로 자주 사용되며 다층 필름의 결합층(상용화제)으로 사용된다. 다른 중요한 용도는 골프공, 스포츠 장비, 및 오버몰드(화장품) 병에 대한 코팅 및 표면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에틸렌, 디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 모노카복실산로부터 그리고 선택적으로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0.05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중량%의 1가 이오노머를 포함한다. 모노카복실산은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으로부터 선택된다. 디카복실산은 바람직하게는,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말레산의 하나 이상의 C1-4 알킬 하프 에스테르, 푸마르산의 하나 이상의 Ci-4 알킬 하프 에스테르, 이타콘산의 하나 이상의 C1-4 알킬 하프 에스테르,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공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CO, 산무수물, 말레산, 산무수물의 모노에스테르, 에폭시-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이오노머의 카복실산 작용기는,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이온, 더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또는 칼륨으로부터 선택된 1가 이온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약 10 내지 약 70%, 약 35 내지 약 70%) 중화된다. 공중합체로부터 이오노머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기타 첨가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첨가제는 유동 개질제, 충전제, 강화제(예: 유리 섬유 또는 유리 플레이크), 산화방지제, 열 안정제, 광 안정제, UV광 안정제 및/또는 UV 흡수 첨가제, 가소제, 윤활제, 이형제, 특히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대전 방지제, 김서림 방지제, 항균제, 착색제(예: 염료 또는 안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PTFE-5 캡슐화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와 같은 적하 방지제와 결합되거나 결합되지 않은 난연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조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용어 조핵제는 조성물의 폴리에스테르 상에서 결정의 형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를 지칭한다. 따라서 조핵제를 첨가하면 폴리에스테르 상의 결정성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내열성이 증가한다. 조성물은 0.01 내지 5 중량%의 조핵제(들)를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및 기타 성분을, 선택적으로 임의의 충전제 또는 첨가제와 함께, 고속 믹서에서 또는 수동 혼합으로 먼저 블렌딩한다. 이어서 블렌드를 호퍼를 통해 이축 압출기의 좁은 입구에 공급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성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좁은 입구에서 압출기에 직접 공급하고/하거나 측면 공급장치를 통해 하류에 공급함으로써, 또는 원하는 중합체와 마스터배치로 배합하여 압출기에 공급함으로써, 조성물에 혼입시킬 수 있다. 압출기를 150℃ 내지 260℃의 배럴 온도로 설정하였다. 압출기는 수조에서 즉시 냉각되고 펠릿화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펠릿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1/4인치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펠릿은 후속 몰딩, 조형, 또는 성형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형, 성형, 또는 몰딩된 물품이 또한 제공된다. 조성물은 사출 몰딩, 압출, 및 열성형과 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물품으로 몰딩될 수 있다. 물품의 일부 예는 범퍼 커버 및 범퍼와 같은 자동차 및 차량 본체 패널, 또는 전기 장비용 하우징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차량 본체 부품, 또는 전기 장비의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상기 차량 본체 부품 또는 상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차량 또는 전기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과 같은 물품의 제조를 위한,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조성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성물은 30 중량% 이상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70 중량% 이하의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폴리카보네이트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90 중량%, 예컨대 55 중량% 내지 70 중량%이고, 폴리에스테르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중량%, 예컨대 30 중량% 내지 50 중량%이다.
일 양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이온, 더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또는 칼륨으로부터 선택된 1가 이온을 사용하여 카복실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중화시켜 1가 이오노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심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당업자는 조성물의 총 중량이 100 중량%를 나타낼 것이라는 것과 총 100 중량%를 형성하지 않는 재료의 임의의 조합은 비현실적이며 본 발명에 따른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 개시된 열가소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총합은 100 중량%이다.
이제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시험 방법
실시예
L/D가 41인 WP 25 밀리미터(mm) 동시회전 맞물림 이축 압출기에서 압출하여 실시예를 준비하였다. 조성물의 성분 및 공급원은 표 1에 열거되어 있다. 모든 성분을 건식 혼합하고 압출기의 좁은 입구에 첨가하였다. 압출기를 150℃ 내지 260℃의 배럴 온도로 설정하였다. 배합하는 동안 용융물에 100 밀리바(mbar) 내지 800 mbar의 진공을 가한 상태에서 55~60%의 토크를 유지하면서 재료를 압출하였다. 다이 헤드에서 나온 후 조성물을 펠릿화하였다.
40~280℃로 설정된 몰딩기와 100℃로 설정된 몰드를 사용한 사출 몰딩 통해 모든 샘플을 몰딩하였다.
[표 1]
조성물의 성분 및 공급원
비교예(CE1) 및 실시예(E1 내지 E4): 표 2
[표 2]
Na+ 이오노머 충격 공력제를 함유한 PC-PET 조성물에 대한 배합 및 특성
표 2에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중량%이다. 모든 실시예에서, 성분의 총량은 100 중량%이다. 표 2는 Na+ 이오노머 충격 공력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놀랍게도 HDT, VST, Tg 결과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열적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향상된 저온(-20℃ 및 -30℃) 내충격성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C1을 E1 및 E2와 비교하면, Na+ 이오노머 충격 공력제의 첨가로 인해 저온 내충격성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관찰된다. E3 및 E4는 각각 더 낮은 농도와 더 높은 농도의 이오노머를 사용한 유사한 실험을 나타낸다.
비교예(CE1) 및 실시예(E2 및 E5): 표 3
E2 및 E5는 각각 Na+ 이오노머 및 Zn++ 이오노머 충격 공력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특성을 나타낸다. CE1과 E2 내지 E3을 비교하면,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Zn++ 이오노머의 존재가 저온 충격 특성을 향상시키지 않음을 볼 수 있다.
[표 3]
Na+ 및 Zn++ 이오노머 충격 공력제를 함유한 PC-PET 조성물에 대한 배합 및 특성
비교예(CE1) 및 실시예(E2 및 E6 내지 E9): 표 4
E6 및 E7은 CE1에 비해 더 높은 VST 및 HDT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유형의 알려진 조핵제를 사용하여 PC/PET 조성물의 열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E6 및 E7에서 이러한 조핵제는 저온 충격 특성의 어떤 향상도 나타내지 않는다.
E8 및 E9에서, Na+ 이오노머 충격 공력제를 포함하는 PC/PET 조성물에 조핵제가 첨가된다. 열적 특성이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저온 충격 특성의 유의미한 향상은 관찰되지 않는다.
[표 4]
조핵제와 조합하여 Na+ 이오노머 충격 공력제를 함유한 PC-PET 조성물에 대한 배합 및 특성

Claims (14)

  1. 열가소성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이상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70 중량% 이하의 폴리에스테르,
    0.1~20 중량%의 충격 조절제,
    에틸렌, 디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 모노카복실산로부터 그리고 선택적으로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0.05 내지 1.0 중량%의 1가 이오노머
    를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1가 이오노머는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이온, 더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또는 칼륨 이온으로부터 선택된 1가 이온을 사용하여 상기 모노카복실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중화시켜 생성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노카복실산은 (메트)아크릴산이고; 디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는 바람직하게는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말레산의 하나 이상의 C1-4 알킬 하프 에스테르, 푸마르산의 하나 이상의 C1-4 알킬 하프 에스테르, 이타콘산의 하나 이상의 C1-4 알킬 하프 에스테르,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격 조절제의 양은 2~15 중량%, 바람직하게는 8~12 중량%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는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중량을 기준으로 99 내지 80 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1 내지 20 중량%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A 폴리카보네이트 단독중합체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는 폴리카보네이트 표준물질을 사용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시 15,000 내지 60,000 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고/갖거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23~30℃에서 60:40의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 혼합물에서 측정시 0.4 내지 약 2.0 dl/g의 고유 점도를 갖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격 조절제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저밀도 폴리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에스테르 공중합체, 고무 변성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고무 변성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 중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물품은 차량 본체 부품, 또는 전기 장비용 하우징인, 물품.
  12. 제11항의 물품을 포함하는 차량 또는 전기 장비.
  13. 물품,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부품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용도.
  14. 30 중량% 이상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70 중량% 이하의 폴리에스테르, 및 0.1~20 중량%의 충격 조절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에틸렌, 디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 모노카복실산로부터 그리고 선택적으로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1가 이오노머의 용도로서, 상기 이오노머를 함유하지 않은 동일한 조성물과 비교하여 향상된 저온 충격 특성을 갖는 물품의 제조를 위한 용도.
KR1020237030907A 2021-02-12 2022-01-18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의 열가소성 조성물 KR202301503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56855.5 2021-02-12
EP21156855.5A EP4043526A1 (en) 2021-02-12 2021-02-12 Thermoplastic composition of polycarbonate and polyester
PCT/EP2022/051019 WO2022171401A1 (en) 2021-02-12 2022-01-18 Thermoplastic composition of polycarbonate and polye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307A true KR20230150307A (ko) 2023-10-30

Family

ID=7459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907A KR20230150307A (ko) 2021-02-12 2022-01-18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의 열가소성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50571A1 (ko)
EP (2) EP4043526A1 (ko)
KR (1) KR20230150307A (ko)
CN (1) CN117043271A (ko)
WO (1) WO202217140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3864B2 (en) * 2000-11-30 2004-01-06 General Electric Company Conductive polyester/polycarbonate blends, method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articles derived therefrom
JP2008115295A (ja) 2006-11-06 2008-05-22 Mirai Kasei Kk 超加工性高分子材料
CN105385117B (zh) 2015-10-27 2017-09-01 横店集团得邦工程塑料有限公司 一种用于led铝塑结构件的耐高低温冲击增强阻燃pbt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255149A (zh) 2015-11-05 2016-01-20 陕西省石油化工研究设计院 一种低温增韧增强pc/pbt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034204B (zh) 2017-12-28 2020-01-31 广东聚石化学股份有限公司 一种耐低温冲击聚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043271A (zh) 2023-11-10
WO2022171401A1 (en) 2022-08-18
EP4043526A1 (en) 2022-08-17
EP4291610A1 (en) 2023-12-20
US20240150571A1 (en) 202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9770B2 (en) Polyesters modified by a combination of ionomer and organic acid salts
US7304107B2 (en) Toughen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s
US5277864A (en) Toughened thermoplastic polyester compositions
US20080246192A1 (en) Polyester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US20030096122A1 (en) Metallized polyester composition
CA1327663C (en) Thermoplastic polyamide-polyarylate compositions
JPH01153A (ja) 改良した熱可塑性ポリアミド−ポリアリレート組成物
KR20230150307A (ko)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의 열가소성 조성물
US5068274A (en) Secondary amides 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molding compositions
JP3500279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KR102432504B1 (ko) 프로파일 압출용 및/또는 파이프 압출용 폴리에스테르
KR20230125822A (ko) 내열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조성물
US8716404B1 (en) Polyesters modified by a combination of ionomer and fatty acid salts
CN115003755B (zh) 包含聚碳酸酯和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的组合物
WO1994006864A1 (en) A process for preparing high impact strength polyethylene terephthalate/ionomer blends
CN115806708A (zh) 一种用于聚碳酸酯直接注塑的抗热氧老化增韧母粒、制备方法与应用
EP0467368A2 (en) Secondary amides in polyethylene terepthalate molding compositions
JPH02311556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H01144453A (ja) 耐衝撃性に優れた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1144454A (ja) 衝撃強度に優れた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2013007353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684467B2 (ja) 衝撃強度の優れた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