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065A -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검안 장치 - Google Patents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검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065A
KR20230148065A KR1020220060806A KR20220060806A KR20230148065A KR 20230148065 A KR20230148065 A KR 20230148065A KR 1020220060806 A KR1020220060806 A KR 1020220060806A KR 20220060806 A KR20220060806 A KR 20220060806A KR 20230148065 A KR20230148065 A KR 20230148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gnetic coupling
area
driving
coupl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우
모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츠
Priority to EP23162134.3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60792A1/en
Priority to US18/185,829 priority patent/US20230329546A1/en
Priority to CN202310399896.4A priority patent/CN116898390A/zh
Publication of KR2023014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0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75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adjusting devices, e.g. operated by control lev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5Means for returning or tending to return controlling members to an inoperative or neutral position, e.g. by providing return springs or resilient end-stop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안과용 검안 장치에 있어서, 피검안에 대하여 검사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틱형(stick)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검안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에 의해, 제1 구동 영역 또는 제2 구동 영역에 위치하도록 조종되는 조작부(22); 상기 조작부(22)에 결합되어, 상기 조작부(22)와 함께 제1 영역(34)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자력 결합부(30);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자력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제2 영역(44)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자력 결합부(40); 및 상기 조작부(22)가 제1 구동 영역에 위치하면 제1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조작부(22)가 제2 구동 영역에 위치하면 제2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생성부(2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검안 장치{Controller and Eye-examin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과용 검안 장치에 있어서, 피검안에 대하여 검사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틱형(stick)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검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검안 장치는, 피검자의 얼굴을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고, 피검안에 대하여 검사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피검안과 검사부를 정렬시킨 다음, 검사부를 이용하여 피검안을 검사한다. 도 1은 통상적인 검안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검안 장치는 피검자의 얼굴을 고정시키는 헤드 레스트(head rest, 12)가 장착된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에 장착되며, 헤드 레스트(12)에 고정된 피검안에 대하여 전후, 좌우 및/또는 상하로 이동하여 피검안을 검사하는 검사부(14), 상기 베이스부(10)에 설치되어 검사부(14)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검사부(14)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컨트롤러(16)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컨트롤러(16)의 구동력을 기계적으로 검사부(14)로 전달하는 기어 등의 수동식 구동부이거나, 컨트롤러(16)의 구동 신호에 따라 모터를 전기적으로 구동시켜 검사부(14)를 이동시키는 전동식 구동부일 수 있다(일본 특허공개 2014-23960호 참조).
이와 같은 검안 장치에 있어서, 검사부(14)를 2개의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동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검사부(14)를 느린 속도로 구동시키는 미동(微動) 조작에 의해 검사부(14)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거나, 검사부(14)를 빠른 속도로 구동시키는 조동(粗動) 조작에 의해 검사부(14)의 위치를 신속히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검사부(14)의 조동 조작을 종료할 때, 검사부(14)가 신속히 미동 조작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컨트롤러(16)의 위치를 복원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일본 특허공개 2014-23960호에는, 상기 컨트롤러(16)의 기울어진 각도가 소정 각도 보다 큰 경우에, 조동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 경우,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러(16)의 기울어진 각도가 상기 소정 각도가 되도록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컨트롤러(16)의 기울어진 각도를 복원시키는 경우, 복원력의 정확한 조절이 어려워, 검안 장치 마다 복원력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복원력이 저하되는 등의 기기 고장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위치를 벗어난 위치에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소정의 위치로 자동으로 복원되는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검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장치에서 소정의 위치로 복원되는 복원력의 크기가 균일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복원력의 변화가 적은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검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원력을 생성하는 기구적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고장의 발생이 적은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검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제1 구동 영역 또는 제2 구동 영역에 위치하도록 조종되는 조작부(22); 상기 조작부(22)에 결합되어, 상기 조작부(22)와 함께 제1 영역(34)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자력 결합부(30);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자력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제2 영역(44)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자력 결합부(40); 및 상기 조작부(22)가 제1 구동 영역에 위치하면 제1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조작부(22)가 제2 구동 영역에 위치하면 제2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생성부(28)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의 이동 영역이 상기 제2 자력 결합부(40)의 이동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1 영역(34)은 제2 영역(44)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22)가 제2 구동 영역에 있을 때,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는 자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조작부(22)의 구동에 따라 제2 영역(44) 내에서 이동하며, 상기 조작부(22)가 제1 구동 영역에 있을 때,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가 제2 영역(44) 외부의 제1 영역(34)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제2 자력 결합부(40)와 제1 자력 결합부(30) 사이에 자력에 의한 인력이 발생하는 것인, 컨트롤러(2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검자의 얼굴을 고정시키는 헤드 레스트(12)가 장착된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에 장착되며, 헤드 레스트(12)에 고정된 피검안에 대하여 위치 이동하여 피검안을 검사하는 검사부(14); 상기 베이스부(10)에 설치되어 검사부(14)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검사부(14)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상술한 컨트롤러(20)를 포함하는 검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는, 소정의 위치를 벗어난 위치에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소정의 위치로 복원되는 복원력의 크기가 각각의 장치에서 균일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복원력의 저하가 적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검안 장치는 복원력을 생성하는 기구적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고장의 발생이 적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검안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 및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가 서로 다른 2개의 방식으로 조종되는 상태 및 복원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외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20)는 검사부(14)의 구동 방향, 구동량 및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검사부(14)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20)는 조작부(22), 예를 들면, 스틱형(stick) 조작부(22) 및 제어신호 생성부(28)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회전 다이얼(24), 측정 버튼(26)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22)와 회전 다이얼(24)을 조작하여, 검사부(14)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작부(22)를 좌우(R/L) 방향으로 기울이면 검사부(14)가 좌우(R/L)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조작부(22)를 전후(F/B) 방향으로 기울이면 검사부(14)가 전후(F/B)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회전 다이얼(24)를 시계 또는 반시계(U/D)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검사부(14)가 상하(U/D)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조작부(22)의 상부에는 측정 버튼(26)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측정 버튼(26)을 이용하여, 검사부(14)의 검사, 관찰, 촬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28)는 조작부(22), 회전 다이얼(24) 등의 위치를 검출하고, 조작부(22) 및 회전 다이얼(24)의 위치에 따라 검사부(14) 및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28)는 조작부(22) 및 회전 다이얼(24)의 위치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강도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포텐쇼미터, 엔코더 등의 통상의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에 있어서, 조작부(22)는 서로 다른 2개의 방식으로 검사부(14)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22)의 경사 각도(x)가 소정 범위(-a ≤ x ≤ +a) 이내인 경우, 검사부(14)를 느린 속도로 구동시키는 미동(微動) 조작이 수행되고, 조작부(22)의 경사 각도(x)가 상기 소정 범위 보다 큰 경우(예를 들면, -b ≤ x < -a 및 +a < x ≤ +b, 여기서, a < b), 검사부(14)를 빠른 속도로 구동시키는 조동(粗動) 조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가, 조작부(22)의 위치에 따라, 2개의 서로 다른 구동 상태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구동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구동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조작부(22)에 외력을 가하여, 조작부(22)가 조동 구동 상태에 있다가, 조작부(22)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면, 조작부(22)의 경사 각도가 미동 구동 범위로 자동으로 복귀하여, 조작부(22)가 미동 구동 상태에 위치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는 조작부(22), 제1 자력 결합부(30), 제2 자력 결합부(40) 및 제어신호 생성부(28)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22)는 사용자에 의해, 제1 구동 영역 또는 제2 구동 영역에 위치하도록 조종된다. 상기 조작부(22)가 제1 구동 영역에 위치하면, 컨트롤러의 제어신호 생성부(28)는 제1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조작부(22)가 제2 구동 영역에 위치하면, 컨트롤러의 제어신호 생성부(28)는 제2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22)의 경사 각도(x)가 소정 범위(0 ≤ x ≤ +a, 제2 구동 영역) 이내인 경우, 검사부(14)를 느린 속도로 구동시키는 미동(微動) 제어신호가 출력되고(도 4의 A), 조작부(22)의 경사 각도(x)가 상기 소정 범위 보다 큰 경우(예를 들면, +a < x ≤ +b, 여기서, a < b, 제1 구동 영역), 검사부(14)를 빠른 속도로 구동시키는 조동(粗動) 제어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도 4의 B).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는 상기 조작부(22)에 결합되어 조작부(22)와 함께 제1 영역(34)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2 자력 결합부(40)는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자력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제2 영역(44)을 따라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의 이동 영역이 상기 제2 자력 결합부(40)의 이동 영역을 포함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영역(34)은 제2 영역(44)을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22)가 제2 구동 영역에 있을 때, 상기 제2 자력 결합부(40)는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자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조작부(22)의 구동에 따라 제2 영역(44) 내에서 이동하며, 조작부(22)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조작부(22)가 제1 구동 영역에 있을 때,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가 제2 영역(44) 외부의 제1 영역(34)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자력 결합부(40)는 제2 영역(44)을 벗어날 수 없으므로, 상기 제2 자력 결합부(40)와 제1 자력 결합부(30)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제2 자력 결합부(40)와 제1 자력 결합부(30) 사이에 자력에 의한 인력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조작부(22)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제2 자력 결합부(40)와 제1 자력 결합부(30) 사이의 인력에 의해, 제1 자력 결합부(30)가 제2 영역(44)으로 복귀하고, 상기 조작부(22)도 제2 구동 영역으로 복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자성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네오디움 자석, 바람직하게는 외경이 동일한 원형의 자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자석 등, 자력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를 분리시키면,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 사이에 자력에 의한 인력이 발생하고,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를 분리시키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는 인력에 의해 최초의 결합된 상태로 복귀된다.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는 하우징(50)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가 이동하는 제1 영역(34)은 하우징(50) 내부의 제1 내벽(32)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자력 결합부(40)가 이동하는 제2 영역(44)은 하우징(50) 내부의 제2 내벽(4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34) 및 제2 영역(44)은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가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이웃하여, 상기 제1 영역(34)이 제2 영역(44)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제1 영역(34)을 따라, 제1 자력 결합부(3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22)는 회전축(22b)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단에는 손잡이(22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에 형성된 체결부(36)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돌출부(22c)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2b)에 대하여 손잡이(22a)를 회전시키는 회전 운동이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의 직선 운동을 유도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도 4 참조).
다음으로,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가 서로 다른 2개의 방식으로 조종되는 상태 및 복원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에서 하부의 도면은 제1 자력 결합부(30), 제2 자력 결합부(40), 제1 영역(34) 및 제2 영역(44)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22)가 제2 구동 영역, 예를 들면, 조작부(22)의 경사 각도(x)가 소정 범위(0 ≤ x ≤ +a)에 위치하면(도 4의 A),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가 제2 영역(44)에 위치하면서,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고, 컨트롤러의 제어신호 생성부(28)는 상기 조작부(22)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2 구동 제어신호(예를 들면, 미동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22)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조작부(22)가 제1 구동 영역, 예를 들면, 조작부(22)의 경사 각도(x)가 상기 소정 범위 보다 큰 경우(예를 들면, +a < x ≤ +b, 여기서, a < b)에 위치하도록 하면(도 4의 B), 상기 제2 자력 결합부(40)는 제2 영역(44)을 벗어날 수 없으므로,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는 상기 제2 자력 결합부(40)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제2 영역(44) 외부의 제1 영역(34)에 위치하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 생성부(28)는 상기 조작부(22)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1 구동 제어신호(예를 들면, 조동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제2 영역(44) 내부를 이동하다가,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가 제2 영역(44) 외부의 제1 영역(34)으로 이동하면, 제2 자력 결합부(40)는 하우징(50)의 제2 내벽(42)에 닿아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므로,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가 분리되고,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 사이에 인력이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22)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면(도 5의 A),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 사이에 인력에 의해,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가 제2 영역(44)으로 되돌아와 제2 자력 결합부(40)와 결합한다(도 5의 B). 컨트롤러의 제어신호 생성부(28)는 상기 조작부(22)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2 구동 제어신호(예를 들면, 미동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조작부(22)를 조작할 때, 조작부(22)의 경사 각도(x)가 예를 들어, 13.5 도 ~ 24.5 도의 범위에서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조작부(22)가 13.5도 위치로 복원한다. 조작부(22)의 제1 구동 영역 및 제2 구동 영역의 범위는 상기 제1 영역(34) 및 제2 영역(44)의 크기(넓이)를 조절하거나,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의 크기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는 피검안에 대하여 검사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검안 장치에 특히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검안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자의 얼굴을 고정시키는 헤드 레스트(head rest, 12)가 장착된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에 장착되며, 헤드 레스트(12)에 고정된 피검안에 대하여 위치 이동하여 피검안을 검사하는 검사부(14), 상기 베이스부(10)에 설치되어 검사부(14)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검사부(14)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상술한 컨트롤러(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2개의 자석이 서로 당기는 인력과 2개의 자석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일정 각도 이상의 위치에서 특정 각도로 위치 복원되는 조종 장치 (조이스틱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22)가 소정의 구동 영역에 있을 때,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다른 구동 영역으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검사부(14)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과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내용 및 상술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 청구항에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 부호를 표기하였으나, 하기 청구항의 범위는 도면 부호 및 도면에 도시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예시적인 실시예의 변형들, 등가의 구성들 및 기능들을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사용자에 의해, 제1 구동 영역 또는 제2 구동 영역에 위치하도록 조종되는 조작부(22);
    상기 조작부(22)에 결합되어, 상기 조작부(22)와 함께 제1 영역(34)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자력 결합부(30);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자력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제2 영역(44)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자력 결합부(40); 및
    상기 조작부(22)가 제1 구동 영역에 위치하면 제1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조작부(22)가 제2 구동 영역에 위치하면 제2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생성부(28)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의 이동 영역이 상기 제2 자력 결합부(40)의 이동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1 영역(34)은 제2 영역(44)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22)가 제2 구동 영역에 있을 때,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는 자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조작부(22)의 구동에 따라 제2 영역(44) 내에서 이동하며, 상기 조작부(22)가 제1 구동 영역에 있을 때,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가 제2 영역(44) 외부의 제1 영역(34)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제2 자력 결합부(40)와 제1 자력 결합부(30) 사이에 자력에 의한 인력이 발생하는 것인, 컨트롤러(2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2)는 외력에 의해 제1 구동 영역으로 이동하고,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제2 자력 결합부(40)와 제1 자력 결합부(30)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가 제2 영역(44)으로 복귀하고, 상기 조작부(22)도 제2 구동 영역으로 복귀하는 것인, 컨트롤러(2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는 하우징(50)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가 이동하는 제1 영역(34)은 하우징(50) 내부의 제1 내벽(32)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자력 결합부(40)가 이동하는 제2 영역(44)은 하우징(50) 내부의 제2 내벽(4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컨트롤러(2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서로 결합되어 있는 네오디움 자석인 것인, 컨트롤러(20).
  5. 피검자의 얼굴을 고정시키는 헤드 레스트(12)가 장착된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에 장착되며, 헤드 레스트(12)에 고정된 피검안에 대하여 위치 이동하여 피검안을 검사하는 검사부(14);
    상기 베이스부(10)에 설치되어 검사부(14)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검사부(14)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컨트롤러(20)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20)는 사용자에 의해, 제1 구동 영역 또는 제2 구동 영역에 위치하도록 조종되는 조작부(22); 상기 조작부(22)에 결합되어, 상기 조작부(22)와 함께 제1 영역(34)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자력 결합부(30);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자력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제2 영역(44)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자력 결합부(40); 및 상기 조작부(22)가 제1 구동 영역에 위치하면 제1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조작부(22)가 제2 구동 영역에 위치하면 제2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생성부(28)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의 이동 영역이 상기 제2 자력 결합부(40)의 이동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제1 영역(34)은 제2 영역(44)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22)가 제2 구동 영역에 있을 때,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는 자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조작부(22)의 구동에 따라 제2 영역(44) 내에서 이동하며, 상기 조작부(22)가 제1 구동 영역에 있을 때,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가 제2 영역(44) 외부의 제1 영역(34)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자력 결합부(30)와 제2 자력 결합부(40)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제2 자력 결합부(40)와 제1 자력 결합부(30) 사이에 자력에 의한 인력이 발생하는 것인, 검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2)가 제2 구동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검사부(14)를 느린 속도로 구동시키는 미동(微動) 제어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조작부(22)가 제1 구동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검사부(14)를 빠른 속도로 구동시키는 조동(粗動) 제어신호가 출력되는 것인, 검안 장치.
KR1020220060806A 2022-04-15 2022-05-18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검안 장치 KR20230148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3162134.3A EP4260792A1 (en) 2022-04-15 2023-03-15 Controller and eye-examining device having the same
US18/185,829 US20230329546A1 (en) 2022-04-15 2023-03-17 Controller and eye-examining device having the same
CN202310399896.4A CN116898390A (zh) 2022-04-15 2023-04-14 控制器及包括其的验眼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824 2022-04-15
KR20220046824 2022-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065A true KR20230148065A (ko) 2023-10-24

Family

ID=8851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806A KR20230148065A (ko) 2022-04-15 2022-05-18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검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80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1408B2 (en) Medical device guidance system
KR101038925B1 (ko) 회전 3자유도를 가지는 발판입력장치
KR102160753B1 (ko) 내시경 장치
JP4220355B2 (ja) 力覚付与型入力装置
US20120260763A1 (en) Joystick device
CN103852853A (zh) 校正光学装置、图像模糊校正装置和图像捕捉装置
US8770056B2 (en) Joystick device
JPH0531072A (ja) ジヨイステイツク機構
KR102059390B1 (ko) 체외 충격파 쇄석기에 설치되는 초음파 거리 측정 장치
KR20230148065A (ko)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검안 장치
JP2016088498A (ja) シフト装置
US11833642B2 (en) Power tool with electrically controlled commutating assembly
EP4260792A1 (en) Controller and eye-examin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0939792B1 (ko) 전자식 변속 장치
JP4620428B2 (ja) 眼科装置
JP2007037833A (ja) 遊技機用表示装置
CN116898390A (zh) 控制器及包括其的验眼装置
US5152957A (en) Foreign matter recovering apparatus for fuel assembly for nuclear power generation
JP6982159B2 (ja) 制御部材を備える小型時計
WO2022249290A1 (ja) 回転電機の検査装置、回転電機の検査システム、回転電機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を用いて検査される回転電機
KR100946174B1 (ko) 왕복 회전 동력장치
JP2006320558A (ja) 遊技機用表示装置
JP6003298B2 (ja) 眼科装置
JP2010234133A (ja) 眼科装置
CN109568094B (zh) 一种眼睛训练仪及眼睛训练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