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031A - 곡물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곡물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031A
KR20230148031A KR1020220047158A KR20220047158A KR20230148031A KR 20230148031 A KR20230148031 A KR 20230148031A KR 1020220047158 A KR1020220047158 A KR 1020220047158A KR 20220047158 A KR20220047158 A KR 20220047158A KR 20230148031 A KR20230148031 A KR 20230148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washing
container
water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양태
홍도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7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8031A/ko
Priority to PCT/KR2023/000201 priority patent/WO2023200076A1/ko
Publication of KR20230148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곡물세척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배출구를 통해 곡물과 물을 배출하며 제1배수구를 통해 물과 이물질을 배출하는 세척부와, 제1배수구를 통한 물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1개폐부, 및 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물세척장치{GRAIN WASHER}
본 발명은 곡물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쌀 등과 같은 곡물을 저장 및 세척하는 곡물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 보리와 같이 낱 알갱이로 이루어진 곡물의 외피면에는, 먼지, 때와 같은 이물질이 묻어져 있거나 농약 등 인체에 해로운 액상의 물질이 코팅되어 있기 마련이다.
재배과정에서 뿌려진 농약 등과 같은 액상의 물질이 수확된 곡물에 여전히 남아 곡물의 외피면에 코팅될 수 있고, 먼지, 때와 같은 이물질은 재배과정이나 유통과정에서 곡물에 필연적으로 묻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쌀 또는 콩 등과 같은 곡물들의 대부분은, 세척되지 않은 상태로 판매된다. 따라서 가정, 식당 등에서 식사를 준비할 때, 상기 곡물은 적어도 한번 이상 물에 세척된 후 사용된다.
예컨대, 가정이나 식당에서 밥을 짓기 위해서는 쌀을 씻는 과정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쌀 세척은, 바가지 또는 볼 형태의 세척용기에 쌀을 담은 후 물을 부어 씻은 후에 물을 버리는 과정을 반복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곡물 세척 작업에 따르면, 세척 작업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은 물론, 곡물을 세척한 물을 따라 버리는 과정에서 곡물이 함께 씻겨져 내려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상기 세척 과정에서 많은 양의 세척수가 사용되며, 과도한 힘을 주어 쌀을 세척할 경우에는 쌀눈이 떨어지거나 쌀알이 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쌀 세척 과정에서만의 문제가 아니라, 콩, 옥수수 등 다른 곡물의 세척 과정에서도 발생하는 문제이다.
또한 밥을 짓기 위해서는, 적당한 양의 쌀을 세척한 후, 세척된 쌀에 적정량의 물이 채워져야 한다. 그런데 밥을 짓는데 익숙한 사람이 아닌 경우, 밥을 짓기에 적당한 양의 쌀을 계량하거나 적정량의 물을 채우기 어렵고, 결국 밥을 제대로 짓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선행문헌1(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3285호)에는, 쌀통과 쌀세척기를 겸용한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1에 개시된 장치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쌀통(1)과 쌀세척기(10) 및 정수기(14)를 포함한다. 쌀통(1) 속에 있는 쌀들은, 개방된 제1개폐기(4)를 통해 쌀세척기(3) 속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수돗물 또는 정수기(14)의 물이 개방된 제2개폐기(11) 또는 제5개폐기(15)를 통해 쌀세척기(3) 속으로 들어간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동기(7)가 회전하여 쌀세척기(3) 내부의 회전판(8)을 돌리면, 쌀이 씻겨지게 된다. 쌀 씻기가 끝나면, 물이 모두 물배출구(9)를 통하여 빠져나가고, 정수기(14)의 물이 세척기(3) 속으로 들어가 씻겨진 쌀과 함께 쌀배출구(6)로 나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1에는, 쌀세척기(3) 내부에서 쌀이 어떻게 세척되는지가 제대로 설명되어 있지 않다. 선행문헌1에는, 단순히 회전판(8)이 회전되어 쌀이 씻겨진다는 내용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 회전판(8)이 어떠한 형태로 마련되는지, 회전판(8)의 회전에 의해 쌀이 어떻게 씻겨지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선행문헌1에는, 쌀에서 씻겨져 나간 이물질이 어떻게 제거되는지에 대한 설명이 전혀 없다. 선행문헌1에는, 단순히 쌀 씻기가 끝나면 물이 모두 물배출구(9)를 통해 빠져나간다는 내용, 그리고 쌀세척기(3)와 물배출구(9) 사이가 망(10)으로 막혀 있어 물은 빠져나가도 쌀이 빠져나가지는 못한다는 내용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이다.
쌀에서 씻겨져 나간 이물질이 쌀보다 현저히 작은 크기라면, 이 이물질은 물배출구(9)를 통해 물과 함께 빠져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이물질의 크기가 쌀의 크기와 유사하거나 더 크다면, 이 이물질은 망(10)에 걸려 물배출구(9)를 통해 빠져나갈 수 없기 때문에 쌀과 분리될 수 없다.
즉 선행문헌1은, 쌀 세척을 위한 쌀세척기(3) 및 회전판(8)의 구체적인 구조 및 작용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며, 쌀과 이물질의 분리를 위한 해법을 제대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선행문헌2(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25414호)에는, 무수 세미기를 구비한 냉장 쌀통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2에 개시된 장치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쌀보관실(111) 및 무수 세미기(130)를 포함한다. 쌀보관실(111)은 외부케이스(111) 내부에 구비되며, 쌀보관실(111)의 하부에는 무수 세미기(130)가 구비된다. 무수 세미기(130)의 하부에는, 쌀받이통(113)이 구비된다.
무수 세미기(130)의 내부에는, 쌀을 세척하기 위한 도구로 브러쉬(132)가 구비된다. 무수 세미기(130)는, 물 없이 회전할 때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쌀을 세척하는 것으로, 브러쉬(132)를 이용하여 물 없이도 쌀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선행문헌2에도, 쌀이 어떻게 세척되는지가 명확히 설명되어 있지 않다. 선행문헌2에는, 단지 원심력을 이용한다거나 브러쉬(132)를 이용하여 쌀을 세척한다는 내용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 무수 세미기(130)와 브러쉬(132)가 함께 회전하는 것인지, 브러쉬(132)만 회전하는 것인지, 원심력에 의해 쌀의 세척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가 명확하게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선행문헌2에서도, 쌀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어떻게 쌀과 별도로 배출되는지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즉 선행문헌2 또한, 쌀 세척을 위한 무수 세미기(130)의 구체적인 구조 및 작용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며, 쌀과 이물질의 분리를 위한 해법을 제대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선행문헌2은, 물 없이 단순히 쌀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그치므로, 쌀에 묻은 농약 등과 같은 액상의 물질을 제대로 제거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선행문헌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3285호 선행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25414호
본 발명은 곡물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을 물로 세척하며 곡물에 붙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곡물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에 부유하는 가벼운 이물질과 물에 가라앉는 무거운곡물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는 곡물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곡물을 곧바로 취사 가능한 상태로 세척 및 공급할 수 있는 곡물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세척 작업 없이도 세척용기 및 세척부재의 청결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곡물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곡물세척장치는, 배출구를 통해 곡물과 물을 배출하며 제1배수구를 통해 물과 이물질을 배출하는 세척부와, 제1배수구를 통한 물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1개폐부, 및 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곡물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용기 내부에 수용된 물이 세척용기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세척용기에 각각 형성하는 제1배수구 및 제2배수구를 포함하고, 제2배수구가 제1배수구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세척용기 내부에는 곡물이 제2배수구보다 낮은 높이로 채워지고, 세척용기 내부에 채워진 물 중 적어도 일부가 제2배수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세척용기 내부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물에 가라앉는 무거운 이물질은 제1배수구를 통해 배출되고 물에 부유하는 가벼운 이물질은 제2배수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곡물 세척 과정에서 곡물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세척용기 내부에서 물과 함께 곡물을 세척하는 세척부재를 포함하고, 이 세척부재는 회전 및 승강하며 곡물 및 물을 휘젓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곡물세척장치는 곡물을 물로 세척하면서 곡물에 붙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세척용기 내부에서 물과 함께 곡물을 세척하는 세척부재를 포함하고, 이 세척부재를 통해 세척용기 내부로 급수가 이루어지되, 세척부재의 하단을 통해 물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곡물 세척 과정에서 곡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의 상측 이동이 유도되고, 이 이물질의 곡물 표층 하부로의 이동은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곡물세척장치는: 곡물을 물로 세척하여 곡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고, 배출구를 통해 곡물과 물을 배출하며, 제1배수구를 통해 물과 이물질을 배출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에 곡물을 공급하는 곡물공급부와; 상기 세척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제1배수구를 통한 물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1개폐부; 및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부는, 상기 곡물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곡물 및 상기 물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세척용기와;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세척용기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을 휘젓는 세척부재와;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이 세척용기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세척용기에 형성하는 상기 배출구; 및 상기 물 및 이물질이 세척용기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세척용기에 형성하는 상기 제1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와 상기 제1배수구가 상기 세척용기에 각각 별도의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용기는, 곡물과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1용기부; 및 상기 제2용기부의 하부측에서 상기 제1용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1용기부와 함께 상기 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제2용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용기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용기부는 하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용기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배수구는, 상기 제2용기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부는, 상기 곡물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곡물 및 상기 물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세척용기, 및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 수용된 물이 상기 세척용기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세척용기에 각각 형성하는 제2배수구를 포함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배수구는, 상기 제1배수구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곡물공급부는, 곡물이 상기 제2배수구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 채워지도록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 곡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 채워진 물의 수위가 상기 제2배수구 이상으로 상승될 수 있게 상기 세척용기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곡물공급부는,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 상기 제1배수구와 상기 제2배수구 사이의 높이만큼 곡물이 채워지도록 상기 세척용기 내부로 곡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물체만이 상기 제1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세척용기와 상기 제1배수구 사이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배수구는, 상기 제1필터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물체의 크기보다 더 큰 물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물체만이 상기 제1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세척용기와 상기 제1배수구 사이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 및 상기 세척용기와 상기 제2배수구 사이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필터는, 상기 제1필터가 통과시킬 수 있는 입자보다 더 큰 크기의 입자를 통과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제1배수구와 연결되는 제1배수관; 및 상기 제1배수관을 개폐하는 제1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배수구와 연결되는 제2배수관, 및 상기 제1배수관 및 상기 제2배수관과 연결되는 제3배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밸브는, 제1배수구와 상기 제3배수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배수관을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곡물세척장치에 따르면, 곡물을 물로 세척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곡물에 묻은 농약 등과 같은 액상의 물질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척부재의 회전 및 승강 동작을 이용하여 곡물을 휘저으며 세척함으로써 곡물에 붙은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에 가라앉는 무거운 이물질은 제1배수구를 통해 배출되고 물에 부유하는 가벼운 이물질은 제1배수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제2배수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곡물 세척 과정에서 곡물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잔여 곡물 배출 작업과 함께 취사에 필요한 물 보충 작업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추가 세척이나 별도의 물 보충 없이도 취사 가능한 상태로 곡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곡물세척장치는, 사람 손을 이용한 추가 작업 없이도 취사 가능한 상태로 곡물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취사에 이용되는 곡물의 청결도 및 이용자의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잔여 곡물 배출 작업 및 취사에 필요한 물 보충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세척용기 및 세척부재의 세척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척용기 및 세척부재의 청결 상태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용기의 이곳저곳에 곡물을 골고루 투입하거나 투입된 곡물을 휘젓는 번거로운 작업 없이도 선입선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번거로운 추가 작업 없이도 곡물저장부에 먼저 투입된 순서대로 곡물저장부로부터의 곡물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곡물세척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곡물의 품질이 최적의 상태로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세척장치의 외관이 매끈하고 슬림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도 곡물의 투입 및 세척 완료된 곡물의 수거가 효율적이면서도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곡물세척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곡물세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곡물저장부와 곡물공급부 및 세척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곡물저장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세척부와 급수 및 배수 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세척부재의 동작 관련 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세척부재의 승강 관련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세척부의 배출구 개폐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급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곡물 세척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곡물 세척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2차세척단계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종래기술에 따른 쌀통과 쌀세척기를 겸용한 정수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수 세미기를 구비한 냉장 쌀통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곡물세척장치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곡물세척장치의 중심을 기준으로 세척부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세척부에서 정수부를 향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곡물세척장치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곡물세척장치의 세척부 앞에서 곡물세척장치를 바라볼 때 곡물세척장치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물세척장치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즉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여 가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곡물세척장치의 외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곡물세척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곡물세척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는, 지지부(10) 및 케이스(2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는, 곡물세척장치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0)는, 베이스(11) 및 지지프레임(1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는, 곡물세척장치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1)는, 곡물세척장치의 최하측에 배치되며, 지지프레임(13)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후술할 물공급부(50; 도 4 참조)의 적어도 일부분은, 베이스(11)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베이스(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3)은, 베이스(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3)은, 곡물세척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을 케이스(20)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3)은, 곡물세척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 중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할 수도 있다. 예컨대, 후술할 곡물저장부(30) 및 세척부(100)는 지지프레임(13)과 결합되며 지지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케이스(20)는, 지지부(10)의 외측을 덮으며 곡물세척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20)는, 베이스(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13)의 외측을 덮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는, 곡물세척장치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부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예컨대, 후술할 곡물저장부(30) 및 물공급부(50)의 대부분의 영역, 그리고 곡물공급부(40)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케이스(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지지부(10)에 의해, 곡물세척장치의 내부 부품들이 외부 충격 및 오염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곡물세척장치의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다.
[곡물세척장치의 전반적인 구조]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곡물저장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곡물저장부(30)는, 곡물을 저장할 수 있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곡물저장부(30)가 곡물세척장치의 최상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곡물저장부(30)의 적어도 일부분은, 지지프레임(13)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곡물저장부(30)의 대부분의 영역은, 지지부(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케이스(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곡물저장부(30)의 상단은 지지부(1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처럼 지지부(10)의 외측으로 노출된 곡물저장부(30)의 상단을 통해 곡물이 곡물저장부(3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곡물세척장치는, 세척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100)는, 곡물저장부(30)로부터 공급받은 곡물을 물로 세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세척부(100)는, 세척용기(110) 및 세척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용기(110)는 곡물 및 물을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세척용기(110)의 내부에는, 곡물 및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부재(120)는, 세척용기(110) 내부에서 회전하며 세척용기(110)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을 휘저을 수 있게 마련된다. 세척용기(110) 내부로 물과 함께 공급된 곡물은, 세척용기(110) 내부에서 회전하는 세척부재(120)에 의해 세척된 후,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 과정에서 곡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곡물이 배출되는 통로와 다른 통로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곡물세척장치는, 곡물공급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곡물공급부(40)는, 곡물저장부(30)에 저장된 곡물을 세척부(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세척용기(110)로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된다. 곡물저장부(30)에 저장되어 있던 곡물은, 곡물저장부(30)의 동작에 의해 세척부(100)로 설정량만큼 공급될 수 있다.
아울러 곡물세척장치는, 물공급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부(50)는, 세척부(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세척용기(110)로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물공급부(50)의 동작에 의해, 곡물의 세척, 세척용기(110) 및 세척부재(120)의 세척, 그리고 취사에 필요한 만큼의 물이 세척용기(1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받침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5)는, 세척부(100)의 하부측, 곡물세척장치의 전방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받침부(15)는 베이스(11)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베이스(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받침부(15)의 내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받침부(15)의 상부면은 그릴(grille)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15)는, 세척용기(110)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밥솥이나 냄비 등과 같은 조리도구(P)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용기(110)에서 떨어지는 물방울은, 받침부(15)에 의해 수거될 수 있다.
[곡물저장부의 구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곡물저장부와 곡물공급부 및 세척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곡물저장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곡물저장부(30)는 저장용기(31) 및 곡물배출구(32)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31)는, 곡물을 저장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곡물저장부(30)의 내부에는, 곡물을 수용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용기(31)가 곡물세척장치의 최상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저장용기(31)의 적어도 일부분은, 지지프레임(13)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
저장용기(31)는, 곡물공급부(4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곡물배출구(32)는, 이러한 저장용기(31)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곡물배출구(32)는, 저장용기(31)에 수용된 곡물이 곡물공급부(40) 측으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저장용기(31)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저장용기(31)에 저장된 곡물은, 곡물배출구(32)를 통해 곡물공급부(40)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곡물배출구(32)는, 저장용기(31)의 최하단에서 저장용기(31)의 저면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용기(31)의 내부에 수용된 곡물은, 곡물배출구(32)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부에서 봤을 때, 저장용기(3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저장용기는 측방향 길이에 비해 전후방향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용기(31)의 저면은, 저장용기(31)의 가로방향 테두리로부터 곡물배출구(32)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저장용기(31)의 저면은, 저장용기(31)의 각 측면으로부터 곡물배출구(32)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용기(31)의 각 측면측에 인접할수록 저장용기(31)의 저면이 하측에 위치하고 곡물배출구(32)와 인접할수록 저장용기(31)의 저면이 상측에 위치하는 형태로, 저장용기(31)의 저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저장용기(31)의 저면 중 저장용기(31)의 각 측면과 연결되는 부분이 저장용기(31)의 저면 중 최상단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용기(31)의 저면 중 곡물배출구(32)와 연결되는 부분이 저장용기(31)의 저면 중 최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곡물배출구(32)는 저장용기(31)의 저면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곡물배출구(32)는 저장용기(31)의 측방향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곡물배출구(32)는, 저장용기(31)의 전후방향 중심보다는 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저장용기(31)의 저면 최하단에 곡물배출구(32)가 배치됨으로써, 저장용기(31) 내부의 곡물이 곡물배출구(32)를 통해 원활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곡물배출구(32)는 저장용기(31)의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곡물배출구(32)를 기준으로, 저장용기(31)의 저면의 기울기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저장용기(31)의 저면에서, 곡물배출구(32)의 후방에 배치된 영역(31a; 이하, "저면후방영역"이라 한다)의 기울기와 곡물배출구(32) 전방에 배치된 영역(31b; 이하, "저면전방영역"이라 한다)의 기울기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용기(31)의 저면에서, 저면후방영역(31a)의 기울기가 저면전방영역(31b)의 기울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저장용기(31)의 저면 중 저면후방영역(31a)이 저면전방영역(31b)보다 급한 경사를 이루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면전방영역(31b)에 위치한 곡물보다는 저면후방영역(31a)에 위치한 곡물이 곡물배출구(32) 측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즉 저면전방영역(31b)에 위치한 곡물에 비해 저면후방영역(31a)에 위치한 곡물의 배출이 좀 더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저장용기(31) 내부로의 곡물의 투입은 저장용기(31)의 전방측에 치우친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저장용기(31)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곡물의 투입이 이루어지되, 주로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저장용기(31)의 전방측을 통해 저장용기(31) 내부로 곡물이 투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용기(31) 내부에 새로 투입된 곡물은 저면전방영역(31b)에 주로 배치되고, 저장용기(31) 내부에 오래 저장된 곡물은 저면후방영역(31a)에 배치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저면전방영역(31b)에 위치한 곡물에 비해 저면후방영역(31a)에 위치한 곡물의 배출을 좀 더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게 곡물저장부(30)의 구조가 설계된다.
이에 따르면, 저면전방영역(31b)에 위치한 곡물에 비해 저면후방영역(31a)에 위치한 곡물의 배출이 좀 더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게 저장용기(31) 저면의 형상 및 곡물배출구(32)의 위치가 설정된다.
이를 위해, 곡물저장부(30)에서는 곡물배출구(32)가 저장용기(31)의 저면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배치되고, 곡물배출구(32)의 후방측에 배치된 저면후방영역(31a)의 기울기가 곡물배출구(32)의 전방측에 배치된 저면전방영역(31b)의 기울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면후방영역(31a)에 배치된 오래된 곡물이 곡물배출구(32)를 통해 곡물공급부(40) 측으로 먼저 공급되고, 저면전방영역(31b)으로 새로 투입된 곡물은 이보다 나중에 곡물배출구(32)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저장용기(31)의 전방측을 통해 곡물을 투입하기만 하면, 곡물저장부(30)에 먼저 투입된 순서대로 곡물저장부(30)로부터의 곡물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르면, 저장용기(31)의 이곳저곳에 곡물을 골고루 투입하거나 투입된 곡물을 휘젓는 번거로운 작업 없이도 선입선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번거로운 추가 작업 없이도 곡물저장부(30)에 먼저 투입된 순서대로 곡물저장부(30)로부터의 곡물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곡물세척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곡물의 품질이 최적의 상태로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저장용기(31)는, 상단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개방된 저장용기(31)의 상단은, 상단커버(3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단커버(33)는 저장용기(31)의 상단이 분리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단커버(33)는, 저장용기(31)와 결합되며 저장용기(31)의 상단을 폐쇄할 수 있고, 저장용기(31)와 분리되며 저장용기(31)의 상단을 개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단커버(33)는 케이스(20)의 상단이 분리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상단커버(33)는, 저장용기(31)의 개방된 상단을 덮는 케이스(20)의 상단이 케이스(2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단커버(33)는, 케이스(20)와 결합되며 저장용기(31) 및 케이스(20)의 상단을 폐쇄할 수 있고, 케이스(20)와 분리되며 저장용기(31) 및 케이스(20)의 상단을 개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저장용기(31)의 상단 중 전방에 치우친 영역에 곡물투입구(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곡물투입구는, 저장용기(31)의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용기(31)의 전후방향 중심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저장용기(31)의 상단 전방측에 마련된 곡물투입구를 통해, 저장용기(31) 내부로의 곡물 투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곡물공급부의 구조]
곡물공급부(40)는, 곡물저장부(3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저장용기(31)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곡물공급부(40)는, 곡물저장부(30)에서 배출된 배출된 곡물을 세척부(1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곡물공급부(40)는, 곡물배출구(32)를 통해 배출된 곡물을 세척부(100)를 향해 전방으로 이동시켜 세척용기(11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곡물공급부(40)는, 연결용기(4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용기(41)는, 저장용기(31)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용기(41)는, 곡물배출구(32)와 세척용기(110)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곡물배출구(32)에서 배출된 곡물을 수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연결용기(41)는 측방향 및 상하방향 길이에 비해 전후방향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결용기(41)는 누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연결용기(41)는 지지부(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지지프레임(13)과 결합되며 지지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결용기(41)는 세척부(100)와 결합되며 세척부(100)에 의해 지지되거나, 후술할 제2개폐부(80)와 결합되며 제2개폐부(80)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곡물공급부(40)는, 이송부재(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재(43)는, 연결용기(41)에 수용된 곡물을 세척용기(11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용기(110)는 곡물배출구(32)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곡물배출구(32)와 세척용기(110) 사이를 연결하는 곡물공급부(40)는, 곡물배출구(32)에서 배출된 곡물을 세척부(100)를 향해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용기(41)는 곡물배출구(32)와 세척용기(110) 사이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용기(41)에 설치되는 이송부재(43)는, 곡물배출구(32)에서 배출된 곡물을 전방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례로서, 이송부재(43)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스크류 컨베이어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축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날개가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 컨베이어의 입구측은 곡물배출구(32)와 연결되고, 스크류 컨베이어의 출구측은 세척용기(11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곡물배출구(32)는 곡물저장부(30)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세척용기(110)는 곡물세척장치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곡물배출구(32)는, 곡물의 선입선출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곡물저장부(30)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세척용기(110)는, 세척부(100)에서 세척된 곡물을 사용자와 인접한 위치에 배출하기 위해 곡물세척장치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곡물배출구(32)로부터 세척용기(110) 측으로 곡물을 이송하기 위해 곡물공급부(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곡물공급부(40)는, 곡물배출구(32)에서 배출된 곡물을 전방측으로 이송하여 세척용기(1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물공급부의 구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세척부와 급수 및 배수 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물공급부(50)는 급수부(51,52)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51,52)는, 곡물을 세척하는데 필요한 물을 세척용기(110)에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된다.
급수부(51,52)는, 세척부(100)와 연결되는 관(Pipe)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급수부(51,52)는, 곡물세척장치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세척용기(110)의 내부로 이송할 수 있다.
물공급부(50)는, 정수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수부(53)는, 내부에 정수필터를 수용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정수부(53)는, 곡물세척장치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필터를 이용하여 정수할 수 있다.
정수부(53)는, 급수부(51,52)와 연결될 수 있다. 즉 급수부(51,52)는, 정수부(53)와 세척부(100) 사이를 연결하며, 정수부(53)에서 정수된 물을 세척용기(11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정수부(53)는, 곡물저장부(30)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정수부(53)는, 곡물공급부(40)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정수부(53)는, 세척부(10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수부(53)는 곡물저장부(30)와 세척부(100)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바꾸어 표현하면, 곡물세척장치의 후방 하측 공간에 정수부(53)가 배치된다고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수부(53)는, 베이스(11)의 상부에 안착된 형태로 지지부(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정수부(53)의 정수필터는, 곡물세척장치의 후면 또는 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수필터가 곡물세척장치의 후면 및 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은 위치에 정수필터가 배치됨에 따라, 정수필터로의 접근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고, 이로써 정수필터의 교체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급수부(51,52)는, 제1급수관(51) 및 제2급수관(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급수관(51)은, 외부의 물공급원과 정수부(53) 사이를 연결하는 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급수관(52)은, 정수부(53)와 세척부(100) 사이를 연결하는 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곡물세척장치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은 제1급수관(51)을 통해 정수부(53)로 이송될 수 있고, 정수부(53)에서 정수된 물은 제2급수관(52)을 통해 세척용기(1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아울러 정수부(53)는, 급수밸브(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밸브(55)는, 제1급수관(51)과 제2급수관(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폐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급수밸브(55)는 제1급수관(51) 및 제2급수관(52)을 각각 개폐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급수밸브(55)는 제1급수관(51)을 개폐하여 제1급수관(51)을 통한 정수부(53)로의 물 공급을 조절할 수 있고, 제2급수관(52)을 개폐하여 제2급수관(52)을 통한 세척용기(110)로의 물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급수밸브(55)는 제2급수관(52)을 개폐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급수밸브(55)는, 제2급수관(52)을 개폐하고, 이를 통해 세척용기(110)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 시기 및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세척부의 전반적인 구조]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세척부(100)는 세척용기(110) 및 세척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용기(110)의 내부에는 곡물 및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세척부재(120)는 세척용기(110) 내부에서 회전하며 세척용기(110)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을 휘저을 수 있다.
이 중 세척용기(110)는, 제1용기부(111) 및 제2용기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세척용기(110)는 제1용기부(111)와 제2용기부(115)가 상하방향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용기부(111)는, 세척용기(110)의 상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용기부(111)의 내부에는, 곡물과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용기부(111)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2용기부(115)는, 제1용기부(111)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세척용기(110)의 하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용기부(115)는, 제1용기부(111)의 하부측에서 제1용기부(111)와 연결되며, 제1용기부(111)와 함께 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용기부(115)는 하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세척부(100)는, 배출구(11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110a)는, 세척용기(110) 내부, 즉 수용공간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제2용기부(115)에 형성할 수 있다.
배출구(110a)는, 세척용기(11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은, 중력에 의해 배출구(110a)를 통해 세척용기(110)의 하부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구(110a)는 제2용기부(115)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공간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은,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 제2용기부(115)의 경사면을 따라 배출구(110a) 측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즉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 제2용기부(115)는, 세척용기(110) 내부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의 이동을 배출구(110a)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10a)의 적어도 일부분은, 정수부(53)의 전방에 배치되며, 케이스(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척용기(110)의 대부분의 영역 및 배출구(110a)가 곡물세척장치의 전방측에서 케이스(2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배출구(110a)는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곡물세척장치의 전방측에서 케이스(20)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배출구(110a)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된 곡물이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위치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즉 세척부(100)에서 세척된 곡물이 밥솥이나 냄비 등과 같은 조리도구(P)의 접근이 용이한 위치에서 배출구(110a)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세척된 곡물의 공급이 빠르고 편리하며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세척부(100)는, 제1배수구(11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수구(110b)는, 세척용기(110) 내부에 수용된 물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세척용기(110)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세척부(100)는, 제2배수구(11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배수구(110c)는, 제1배수구(110b)와 마찬가지로, 세척용기(110) 내부에 수용된 물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세척용기(110)에 형성할 수 있다.
제1배수구(110b)와 제2배수구(110c)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배수구(110c)는, 제1배수구(110b)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배수구(110b)는 제2용기부(115)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배수구(110c)는, 제1용기부(111)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배수구(110b)는 제2용기부(115)의 경사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2배수구(110c)는 그보다 상부측인 제1용기부(111)의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세척부(100)는, 용기커버(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커버(130)는, 세척용기(110)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커버(130)는, 세척용기(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세척용기(110)와 결합될 수 있다.
용기커버(130)에는, 곡물투입구(130a)가 마련될 수 있다. 곡물투입구(130a)는, 곡물공급부(40)와 세척용기(110) 내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연결용기(41)의 전방측 하단에는 배출구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고, 곡물투입구(130a)는 연결용기(41)의 배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곡물투입구(130a)는, 용기커버(13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연결용기(41)의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용기커버(130)는, 곡물공급부(40)와 세척부재(120) 및 후술할 구동부(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용기커버(130)는 곡물공급부(40)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용기(41)의 일부분은 지지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되며, 연결용기(41)의 다른 일부분은 용기커버(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용기(41)의 후방측은 지지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되며, 연결용기(41)의 전방측은 용기커버(130)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로 용기커버(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용기커버(130)는, 세척부재(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구동부(60)의 하부측에서 구동부(60)를 지지할 수도 있다.
즉 용기커버(130)는, 세척용기(110) 내부로의 곡물 투입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역할 및 세척부(100) 및 그와 연결된 다른 부품, 즉 곡물공급부(40)와 세척부재(120) 및 구동부(6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세척부재(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척용기(110)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을 휘저으며 곡물을 세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세척부재(120)는, 회전봉(121) 및 세척봉(125)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봉(121)은, 상하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마련된다. 회전봉(12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용기커버(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봉(121)은, 구동부(60)와 연결되어 구동부(6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봉(121)은, 용기커버(130)에 회전 및 상하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봉(121)은, 상하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및 상하방향 이동이 함께 이루어지는 형태로 움직일 수 있다.
세척봉(125)은, 회전봉(121)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세척용기(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세척봉(125)은, 회전봉(121)의 하부측에서 회전봉(121)에 연결되어 회전봉(12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세척부재(120)에는, 복수개의 세척봉(125)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세척봉(125)은, 회전봉(121)의 회전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세척봉(125)은, 회전봉(121)의 하방 및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세척부재(120) 중에서, 세척봉(125)은 세척용기(110) 내부에서 실질적으로 곡물과 접촉되며 곡물을 휘젓는 부분이다. 복수개의 세척봉(125)이 회전 및 승강하며 곡물 및 물을 휘저음에 따라, 곡물에 붙어있던 이물질이 물에 씻겨 나가게 되고, 이처럼 곡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제1배수구(110b) 또는 제2배수구(110c)를 통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구동부 및 세척부재의 구동 관련 구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세척부재의 동작 관련 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세척부재의 승강 관련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구동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0)는, 세척부재(120)를 회전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60)는, 세척부재(120)를 회전 및 승강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60)는, 세척부(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구동부(60)는 용기커버(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용기커버(130)의 상부면에 안착된 형태로 세척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세척부재(120), 좀 더 구체적으로 회전봉(121)은, 용기커버(13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구동부(60)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60)는, 구동모터(61) 및 동력전달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61)는 세척부재(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동력전달부(63)는 구동모터(61)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세척부재(120)에 전달하며 세척부재(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례로서, 동력전달부(63)는 복수개의 기어가 맞물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기어들 중 하나가 구동모터(61)와 연결되어 회전되고, 이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다른 기어가 회전봉(121)과 연결되어 회전봉(121)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봉(121)은, 제1회전봉(122)과 제2회전봉(123) 및 연결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봉(122)은, 회전봉(121) 중에서 상부측에 배치되며, 구동부(6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회전봉(122)은 동력전달부(63)를 통해 구동부(60)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회전봉(122)은 동력전달부(63)에 마련된 복수개의 기어 중 하나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구동부(6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회전봉(122)은, 구동부(6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2회전봉(123)은, 제1회전봉(122)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제2회전봉(123)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봉(123)은, 세척봉(125)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회전봉(123)은, 제1회전봉(122)과 세척봉(125) 사이에 배치되어 세척봉(125)을 제1회전봉(122) 에 연결시킬 수 있다.
제2회전봉(123)은, 연결부(124)를 매개로 제1회전봉(122)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24)는, 제1회전봉(122)과 제2회전봉(123) 사이에 배치되어 제1회전봉(122)과 제2회전봉(123)을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부(124)는, 제2회전봉(123)이 제1회전봉(122)과 함께 회전되도록 제2회전봉(123)을 제1회전봉(122)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4)는, 제2회전봉(123)을 제1회전봉(122)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24)는, 제1회전봉(122) 및 제2회전봉(123)과 각각 결합되되, 제1회전봉(122)과 제2회전봉(123) 중 어느 하나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동력변환부재(65) 및 제2동력변환부재(6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동력변환부재(65)는, 제2회전봉(123)과 함께 승강 및 회전할 수 있게 마련된다. 그리고 제2동력변환부재(67)는, 제1동력변환부재(65)의 회전시 제1동력변환부재(65)의 상하방향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게 제1동력변환부재(65)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동력변환부재(65)는 제2회전봉(123)에 설치되고, 제2동력변환부재(67)는 용기커버(13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구체적으로, 제1동력변환부재(65)는 제2회전봉(123)에서 원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동력변환부재(67)는, 용기커버(13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설치되어 제1동력변환부재(65)와 상하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동력변환부재(67)가 용기커버(130)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제1동력변환부재(65)는 제2동력변환부재(67)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제2동력변환부재(67)와 상하방향으로 맞물리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제1동력변환부재(65)는 제2회전봉(123)에서 원심방향으로 돌출된 회전판 및 이 회전판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돌기는 회전판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각 돌기 사이는 돌기 하나의 크기만큼 이격될 수 있다. 각각의 돌기는 회전판으로부터 라운드지게 돌출될 수 있으며, 회전판과 돌기 사이는 라운드지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동력변환부재(67)는, 제1동력변환부재(65)가 상하 대칭되게 회전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동력변환부재(67)는 용기커버(130)에 고정되며, 제1동력변환부재(65)는 제2회전봉(123)의 회전시 제2회전봉(123)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2회전봉(123)과 함께 제1동력변환부재(65)가 회전될 때, 제1동력변환부재(65)의 돌기와 제2동력변환부재(67)의 돌기가 상하방향으로 중첩될 때에는, 제2회전봉(123)이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10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제2회전봉(123)과 함께 제1동력변환부재(65)가 더 회전되어 제1동력변환부재(65)의 돌기와 제2동력변환부재(67)의 돌기가 엇갈릴 때에는, 제2회전봉(123)이 상부방향으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도 9 참조).
이와 같이 회전봉(121)의 회전에 계속되는 동안 제2회전봉(123)의 상승과 하강이 교번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써 회전봉(121)과 연결된 세척봉(125)의 회전 및 승강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세척봉(125)은, 세척봉(125)이 휘저을 수 있는 범위를 상하방향으로 확장하여 세척용기(110)에 수용된 곡물 전체를 골고루 휘저을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회전 동작 및 승강 동작을 함께 수행하며 여러 방향으로 곡물을 휘저을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세척봉(125)은, 세척용기(110)에 수용된 곡물을 골고루, 그리고 더욱 깨끗하게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아울러 세척부재(120)는, 탄성부재(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29)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한 제2회전봉(123)을 상부방향으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탄성부재(129)는 하단이 용기커버(130)의 상부면에 지지되고 상단이 제2회전봉(123)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배출구 개폐 구조]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세척부의 배출구 개폐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세척부(100)에는 제1배수구(110b)와 제2배수구(110c) 및 배출구(110a)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제1개폐부(70) 및 제2개폐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개폐부(70)는, 제1배수구(110b)를 통한 물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개폐부(80)는, 배출구(110a)를 개폐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110a)는 세척용기(110)의 내부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제2용기부(115)의 하단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구(110a)는, 제2개폐부(8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2개폐부(80)는, 개폐부재(81)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재(81)는, 세척용기(11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배출구(110a)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81)는, 지지프레임(13)에 설치된 세로지지대(8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개폐부재(81)는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81)는, 세로지지대(8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8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세로지지대(87)에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82)의 전방측에는, 마개부(83)가 마련될 수 있다. 마개부(83)는, 회전부(82)의 전방 단부에 마련되며, 세척용기(1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용기부(115)의 하단에 밀착되어 배출구(110a)를 폐쇄할 수 있다.
마개부(83)는, 회전부(82)의 회전 중심보다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마개부(83)는, 회전부(82)가 하부방향으로 회전할 때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며 배출구(110a)를 개방할 수 있고, 회전부(82)가 상부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며 배출구(110a)를 폐쇄할 수 있다.
즉 제2개폐부(80)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며 배출구(110a)를 개폐할 수 있다.
제2개폐부(80)는, 개폐구동부(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구동부(85)는, 개폐부재(81)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개폐구동부(85)는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구동부(85)는, 회전부(82)의 회전 중심에서 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회전부(82)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개폐구동부(85)는 회전부(82)를 하부측으로 밀어내거나 상부측으로 잡아당기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구동부(85)는, 회전부(82)의 후방측 단부를 하부측으로 밀어 마개부(83)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회전부(82)의 후방측 단부를 상부측으로 당겨 마개부(83)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즉 개폐구동부(85)는, 개폐부재(81)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배출구(110a)를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81)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며 배출구(110a)를 개폐할 수 있다. 세척용기(110)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은, 그 자중에 의해, 그리고 세척용기(110)의 하단을 하부측으로 개방하는 배출구(110a)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개폐부재(81)가 하부방향으로 회전되며 배출구(110a)를 개방함으로써, 큰 힘들이지 않고 배출구(110a)를 개방하여 세척된 곡물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마련되는 개폐부재(81)는, 세척용기(110)의 하단을 상부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세척용기(110)와 밀착될 수 있다. 이처럼 개폐부재(81)가 세척용기(110)와 밀착될 수 있게 됨에 따라, 개폐부재(81)와 배출구(110a) 사이의 기밀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곡물 세척 과정에서의 곡물 또는 물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세척용기(110)의 하부측에는, 조리도구(P)가 배치되는데 필요한 공간이 필연적으로 준비되어야 한다. 즉 세척된 곡물이 배출구(110a)를 통해 세척용기(110)의 하부측으로 배출되므로, 배출된 곡물을 수용하기 위한 조리도구(P)가 세척용기(110)의 하부에 배치되어야 하며, 이러한 조리도구(P)가 배치되는데 필요한 공간(이하, "조리도구 배치공간"이라 한다)이 세척용기(110)의 하부측에 준비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마련되는 개폐부재(81)의 대부분의 영역은, 이러한 조리도구 배치공간에 배치된다. 특히 마개부(83)는, 조리도구 배치공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배출구(110a)를 개폐하며, 이 과정에서 조리도구 배치공간을 벗어날 필요가 없다.
즉 마개부(83)는, 조리도구 배치공간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동하되, 특히 조리도구 배치공간의 측방향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81)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의 크기는, 배출구(110a) 개폐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측방향으로 증가될 필요가 없다.
즉 배출구(110a) 개폐를 위해 마련된 개폐부재(81)의 이동 범위가 조리도구(P)가 배치되는데 필요한 공간 내로 제한되므로, 개폐부재(81)로 인해 곡물세척장치의 크기가 증가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곡물 세척 과정에서의 곡물 또는 물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컴팩트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세척부의 급수 관련 구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급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급수부(51,52)는 세척부재(120)와 연결될 수 있고, 급수부(51,52)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척부재(120)를 통해 세척용기(1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척부재(120)에는 내부수로(120a)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수로(120a)는, 세척부재(120)의 내부에 형성되며, 세척부재(120)의 내부와 물공급부(50)를 연결할 수 있다. 일례로서, 내부수로(120a)는 회전봉(121) 및 세척봉(125)의 내부에 형성되며, 회전봉(121) 및 세척봉(125)의 내부와 급수부(51,52)를 연결할 수 있다.
내부수로(120a)는, 제2급수관(52)과 연결될 수 있다. 물공급부(50), 즉 제2급수관(52)에 의해 공급된 물은, 내부수로(120a)를 통해 회전봉(121) 및 세척봉(125)의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
세척부재(120)에는, 출수구(120b)가 마련될 수 있다. 출수구(120b)는, 세척봉(125)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출수구(120b)는, 내부수로(120a)의 물이 세척봉(125)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세척봉에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출수구(120b)는 세척봉(125)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급수관(51)을 통해 정수부(53)로 공급된 물은, 정수부(53)에 의해 필터링된 후 제2급수관(52)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2급수관(52)으로 배출된 물은, 내부수로(120a)를 통해 회전봉(121) 및 세척봉(125)의 내부를 이동한 후, 출수구(120b)를 통해 세척봉(125)의 하단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척봉(125)의 하단에서 배출된 물은, 제2용기부(115)의 하단으로부터 점점 차올라 세척용기(110)를 채우게 된다.
한편 세척봉(125)은, 제1세척봉(126) 및 제2세척봉(12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세척봉(126)은, 회전봉(121),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회전봉(123)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세척봉(126)은, 회전봉(121)으로부터 회전봉(121)의 하방과 원심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세척봉(126)은 제2회전봉(123)의 하단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제2세척봉(127)은, 제1세척봉(126)으로부터 회전봉(121)의 하방과 구심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세척봉(126) 및 제2세척봉(127)은 제2회전봉(123)의 하단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되, "〉"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세척봉(126)은 제1용기부(111)의 내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세척봉(127)은, 제2용기부(115)의 내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세척봉(127)은, 제1세척봉(126)으로부터 회전봉(121)의 하방과 구심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되, 제2용기부(115)의 저면이 형성하는 경사면과 대략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출수구(120b)는, 이러한 제2세척봉(127)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부재(120)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은, 제2용기부(115)의 내부 영역,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배출구(110a)와 인접한 위치에서 출수구(120b)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세척용기(110)의 내부에 수용된 곡물에 세척봉(125)이 파묻힌 상태일 때, 곡물이 채워진 영역의 상부로 물이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곡물이 채워진 영역, 그 중에서도 배출구(110a)와 인접한 하부 영역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곡물이 채워진 영역으로 물이 공급되면, 세척봉(125)에서 토출되는 물의 수압이 곡물에 붙은 이물질을 곡물로부터 떨어뜨리는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세척부재(120)의 회전 및 승강에 의해 곡물이 휘저어지는 작용에 세척봉(125)에서 토출되는 물에 작용이 더해질 수 있게 됨으로써, 곡물 세척 과정에서 이물질 제거가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세척부의 배수 관련 구조]
도 7을 참조하면, 세척부(100)는 제1배수구(110b) 및 제2배수구(11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수구(110b)와 제1배수구(110b) 및 제2배수구(110c)는, 세척용기(110)에 각각 별도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배수구(110b)는 제2용기부(115)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출구(110a)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배수구(110c)는, 제1배수구(110b)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용기부(111)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제1배수구(110b)를 통한 물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1개폐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개폐부(70)는 제1배수관(71) 및 제1밸브(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수관(71)은, 제1배수구(110b)와 연결되는 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배수관(71)은,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세척용기(110) 내부로부터 제1배수구(110b)를 통해 배출되는 물과 이물질은, 제1배수관(71)을 통해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밸브(73)는, 제1배수관을 개폐할 수 있게 마련된다. 제1밸브(73)가 제1배수관(71)을 개방하면, 세척용기(110) 내부에서 곡물과 분리된 이물질이 물과 함께 제1배수관(71)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배수구(110b)가 세척용기(110) 중 하부측 영역, 즉 곡물 및 물이 채워진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제1배수구(110b) 및 제1배수관(71)이 상시 개방되면 곡물 세척에 필요한 양의 물을 세척용기(110) 내부에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1배수관(71)에 제1밸브(73)가 설치되며, 이러한 제1밸브(73)는 제1배수구(110b) 및 제1배수관(71)을 통한 배수를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제2배수관(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배수관(90)은, 제2배수구(110c)와 연결되는 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배수관(90)은, 제1배수관(71)과 마찬가지로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세척용기(110) 내부로부터 제2배수구(110c)를 통해 배출되는 물과 이물질은, 제2배수관(90)을 통해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배수구(110c)가 세척용기(110) 중 상부측 영역, 즉 곡물 및 물이 채워진 영역보다는 높은 영역에 배치되므로, 제2배수구(110c) 및 제2배수관(90)이 상시 개방되더라도 제2배수구(110c) 및 제2배수관(90)을 통해 이루어지는 배수가 세척용기(110) 내부에 채워진 물의 양에 별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배수관(71)에만 제1밸브(73)가 설치되고, 제2배수관(90)에는 밸브가 별도로 설치되지는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제3배수관(95)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3배수관(95)은, 제1배수관(71) 및 제2배수관(90)과 연결되는 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배수관(71) 및 제2배수관(90)은 제3배수관(95)과 연결되며, 제3배수관(95)을 통해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배수관(71) 및 제2배수관(90)으로 배출되는 물과 이물질은, 제3배수관(95)을 통해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제1필터(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필터(116)는, 제1배수구(110b)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필터(116)는, 곡물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물체만이 제1배수구(110b)를 통해 배출되도록 세척용기(110)와 제1배수구(110b) 사이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일례로서, 곡물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이 제1필터(116)를 통과할 수 있다. 이로써 곡물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이 물과 함께 제1배수구(110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2배수구(110c)는, 제1필터(116)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물체의 크기보다 더 큰 물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제2필터(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필터(112)는, 제2배수구(110c)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필터(112)는 제1필터(116)가 통과시킬 수 있는 입자보다 더 큰 크기의 입자를 통과시킬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필터(112)는, 제1필터(116)가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의 이물질보다 더 큰 크기의 이물질이 제2배수구(110c)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세척용기(110)와 제2배수구(110c) 사이를 필터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밸브(73)가 제1배수구(110b)와 제3배수관(95)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밸브(73)는 제1배수관(71)에 설치되고 제3배수관(95)에 설치되지는 않는다.
이는 제1배수관(71)의 개폐 조절만이 필요하고 제2배수관(90)의 개폐 조절이 필요하지 않음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 제1밸브(73)가 제3배수관(95)에 설치된다면, 제1배수관(71)과 제2배수관(90)의 폐쇄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만약 제1배수관(71)이 폐쇄될 때 제2배수관(90)도 함께 폐쇄된다면, 제2배수구(110c) 및 제2배수관(90)을 통한 물과 이물질의 배출이 상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결과가 발생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1배수구(110b) 및 제1배수관(71)과 달리, 제2배수구(110c) 및 제2배수관(90)은 상시 개방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밸브(73)가 제2배수관(90) 또는 제3배수관(95)에 설치되지 않고 제1배수관(71)에 설치되어 제1배수구(110b) 및 제1배수관(71)만을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배수구(110b)를 통해서는 곡물보다 크기는 작으면서도 물보다는 비중이 큰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즉 물에 가라앉을 수 있을 정도로 무겁고 제1필터(116)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입자가 작은 이물질이 제1배수구(110b)를 통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배수구(110c)를 통해서는, 물에 뜰 수 있을 정도로 비중이 작은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즉 제1배수구(110b)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입자가 작지는 않지만 물에 뜰 수 있을 정도로 가벼운 이물질이 제2배수구(110c)를 통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배수구(110b)를 통한 이물질의 배출은, 제1밸브(73)가 제1배수관(71)을 개방할 때에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비해, 제2배수구(110c)를 통한 이물질의 배출은, 제한 없이 상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세척용기(110) 내부의 물이 제2배수구(110c)로 흘러 넘칠 때, 물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흘러 넘치는 물과 함께 제2배수구(110c)를 통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곡물세척장치의 부품 배치 구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곡물세척장치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부품이 지지부(10) 및 케이스(2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곡물저장부(30) 및 물공급부(50)의 대부분의 영역, 그리고 곡물공급부(40)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지지부(10) 및 케이스(2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케이스(20)의 좌우방향 길이는 정수부(53)의 좌우방향 길이와 세척용기(110)의 좌우방향 길이의 합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곡물세척장치의 전체 형상은, 전후방향 길이에 비해 좌우방향 길이가 짧은 형상, 즉 좌우가 슬림한 형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곡물세척장치는, 사용자가 곡물세척장치를 바라보는 방향, 즉 전방에서 봤을 때 매끈하고 슬림한 형상으로 보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곡물세척장치의 형상으로 인해, 정수부(53)는 세척용기(110)의 후방에 배치된다. 좌우가 슬림한 곡물세척장치의 형상으로 인해, 정수부(53)는 세척용기(110)의 측방에 배치되기는 어렵다. 또한 세척용기(110)는 세척부(100)에서 세척된 곡물을 사용자와 인접한 위치에 배출하기 위해 곡물세척장치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정수부(53)는 세척용기(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곡물저장부(30)는, 세척용기(110) 및 정수부(53)의 상부측에 배치된다. 곡물저장부(30)의 크기가 커질수록 곡물세척장치가 저장할 수 있는 곡물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곡물세척장치가 저장할 수 있는 곡물의 양이 증가될수록, 곡물세척장치에 곡물을 투입하는 횟수가 감소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곡물저장부(30)는, 곡물세척장치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가 슬림한 곡물세척장치의 형상으로 인해, 세척용기(110)나 정수부(53)의 측부에 곡물저장부(30)가 배치되기는 어렵다.
또한 곡물저장부(30)가 곡물세척장치의 하단에 배치된다면, 곡물저장부(30)에 저장된 곡물을 세척부(100)로 공급하기 위해 지나치게 길고 복잡한 이송장치가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곡물저장부(30)가 정수부(53)의 후방에 배치된다면, 곡물저장부(30)와 사용자 간의 거리가 멀어져서 사용자가 곡물저장부(30)에 곡물을 투입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될 뿐 아니라, 곡물저장부(30)의 크기로 인해 곡물세척장치의 전후방향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곡물저장부(30)가 정수부(53)의 후방에 배치된다면, 곡물세척장치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각종 급수관과 배수관으로 인해, 곡물저장부(30)와 급수관 및 배수관의 배치에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곡물저장부(30)가 곡물세척장치의 상단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곡물저장부(30)는, 정수부(53)의 전후방향 길이와 세척용기(110)의 전후방향 길이를 합친 만큼의 전후방향 길이를 갖는 곡물저장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곡물저장부(30)가 곡물세척장치의 상단에 배치되면,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곡물세척장치의 전방 상단을 통해 곡물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곡물저장부(30)가 곡물세척장치의 상단에 배치됨으로써, 곡물저장부(30)로의 곡물 투입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곡물배출구(32)는 곡물저장부(30)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고, 세척용기(110)는 곡물세척장치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곡물배출구(32)는 곡물의 선입선출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곡물저장부(30)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세척용기(110)는, 세척부(100)에서 세척된 곡물을 사용자와 인접한 위치에 배출하기 위해 곡물세척장치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곡물배출구(32)로부터 세척용기(110) 측으로 곡물을 이송하기 위해 곡물공급부(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곡물공급부(40)는, 곡물배출구(32)에서 배출된 곡물을 전방측으로 이송하여 세척용기(1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세척용기(110)가 곡물세척장치 중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 정수부(53)가 세척용기(110)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 곡물저장부(30)가 곡물세척장치 중 상단에 배치되는 것, 그리고 곡물저장부(30)에서 배출된 곡물을 전방측으로 이송하는 곡물공급부(40)가 곡물저장부(30)와 세척용기(1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은, 곡물세척장치의 외관이 매끈하고 슬림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도 곡물의 투입 및 세척 완료된 곡물의 수거가 편리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설계의 결과이다.
[곡물세척장치의 세척 동작]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곡물 세척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곡물 세척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2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곡물 세척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곡물 세척을 위해 먼저 세척용기(110)로 곡물을 공급할 수 있다(곡물공급단계; S10). 곡물 공급은, 곡물저장부(30)에서 배출된 곡물을 곡물공급부(40)가 세척용기(110) 측으로 이송한 후 세척용기(110) 내부로 투입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곡물공급단계에서는 곡물이 제2배수구(110c)보다 낮은 높이로 세척용기(110) 내부에 채워지도록 세척용기(110) 내부에 곡물이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척용기(110) 내부에 곡물이 제1배수구(110b)와 제2배수구(110c) 사이의 높이만큼 채워질 수 있다.
이와 함께, 세척용기(110)로 제1설정수량만큼 물을 공급할 수 있다(1차급수단계; S20). 일례로서, 곡물공급단계(S10) 완료 후 1차급수단계(S20)가 진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1차급수단계(20) 완료 후 곡물공급단계(S10)가 진행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곡물공급단계(S10)와 1차급수단계(S20)가 함께 또는 약간의 시차를 두고 진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곡물공급단계(S10) 완료 후 1차급수단계(S20)가 진행되는 경우가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설정수량은 세척용기(110) 내부의 수위가 제2배수구(110c)보다 낮게 유지되도록 하는 수량인 것으로 정의된다. 즉 1차급수단계(S10)에서는, 세척용기(110) 내부의 수위가 제2배수구(110c)보다 낮게 유지될 정도로 세척용기(110) 내부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차급수단계(S10)에서는 세척용기(110) 내부의 수위가 제1배수구(110b)와 제2배수구(110c) 사이로 유지될 수 있게 세척용기(110) 내부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1차급수단계(S10)에서는 세척용기(110) 내부의 수위가 세척용기(110) 내부에 채워진 곡물보다는 높고 제2배수구(110c)보다는 낮게 유지되도록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세척용기(110) 내부에 곡물 및 제1설정수량만큼의 물이 공급된 후, 도 13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세척단계(S30)가 진행될 수 있다. 1차세척단계(S30)에서는, 세척용기(110)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을 세척부재(120)로 휘젓는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세척부재(120)는, 회전 동작 및 승강 동작을 함께 수행하며 여러 방향으로 골고루 곡물을 휘저을 수 있다. 이러한 세척부재(120)는, 휘저을 수 있는 범위를 상하방향으로 확장하여 세척용기(110)에 수용된 곡물 전체를 골고루 휘저을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회전 동작 및 승강 동작을 함께 수행하며 여러 방향으로 곡물을 휘저을 수 있다.
이로써 세척부재(120)는, 세척용기(110)에 수용된 곡물을 골고루, 그리고 더욱 깨끗하게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1차세척단계(S30)가 진행되는 동안, 도 14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용기(110)에 물을 더 공급하는 2차급수단계(S35)가 진행될 수 있다.
2차급수단계(S35)에서는, 세척용기(110) 내부의 물 중 적어도 일부가 제2배수구(110c)를 통해 세척용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세척용기(110) 내부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2차급수단계(S35)에서는, 세척용기(110) 내부의 수위가 제2배수구(110c)보다 높게 상승될 수 있게 세척용기(110) 내부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2차급수단계(S35)는, 1차세척단계(S30)가 진행되는 동안 간헐적으로 복수회 진행될 수 있다. 즉 곡물 세척이 진행되는 동안, 제2배수구(110c)를 통한 물의 범람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물의 추가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1차세척단계(S30)가 진행되는 동안, 곡물에 붙어있던 이물질은 곡물을 휘젓는 세척부재(120)에 의해 곡물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들 중 물보다 가벼운 이물질은, 물 속으로 가라앉지 않고 물 위에 부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이 물 위에 부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2차급수단계(S35)가 진행되어 추가 급수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제2배수구(110c)를 통한 물의 범람이 이루어지게 되면, 물 위에 부유하고 있던 이물질이 물과 함께 제2배수구(110c)를 통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제2배수구(110c)를 통해 배출된 물과 이물질은, 제2배수관(90) 및 제3배수관(95)을 통해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2차급수단계(S35)는 1차세척단계(S30)가 진행되는 동안에 진행될 수 있다. 즉 세척부재(120)의 회전 및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추가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세척부재(120)의 회전 및 승강 동작에 의해, 제2배수관(90)을 통한 물의 범람이 좀 더 촉진될 수 있다. 즉 물의 추가 급수뿐 아니라, 세척부재(120)의 회전 및 승강 동작에 의해서도, 제2배수관(90)을 통한 물의 범람 및 이를 통한 이물질 배출이 유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급수는, 세척부재(120) 하단의 출수구(120b)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세척용기(110) 내부에 곡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세척부재(120)의 대부분의 영역이 곡물에 파묻힌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출수구(120b)도 곡물에 파묻힌 상태에 있게 된다.
그 결과, 세척부재(120)를 통한 물의 토출은 곡물 표층 상부가 아닌 곡물 하부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즉 곡물로 뒤덮인 영역, 그 중에서도 하부 영역에서 세척부재(120)로부터 물이 토출되는 형태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물의 하부 영역에서 토출되는 물의 흐름은, 곡물 세척 과정에서 곡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곡물 표층의 상부로 부유되도록 유도하는 한편, 곡물 표층의 상부로 부유한 이물질이 다시 곡물 표층 하부로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세척부재(120)의 승강 동작은, 곡물 세척 과정에서 곡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곡물 표층의 상부로 부유되는 것을 촉진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1차세척단계(S30) 및 2차급수단계(S35)가 설정된 시간 또는 횟수만큼 진행된 후, 도 15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단계(S40)가 진행될 수 있다. 배수단계(S40)에서는, 제1배수구(110b)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1차세착단계(S30)에서 곡물로부터 배출된 이물질이 물과 함께 제1배수구(110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1배수구(110b)의 개방은, 제1밸브(73)가 제1배수관(71)을 개방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배수구(110b)를 통해 배출된 물과 이물질은, 제1배수관(71) 및 제3배수관(95)을 통해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단계(S40)에서는, 곡물보다 크기는 작으면서도 물보다는 비중이 큰 이물질, 즉 물에 가라앉을 수 있을 정도로 무겁고 제1필터(116)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입자가 작은 이물질이 제1배수구(110b)를 통해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배수단계(S40)에서는, 곡물 하부로 가라앉은 이물질이 물과 함께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수단계(S40)에서 가능한 많은 물이 곡물세척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단계(S40)에서 배수되지 않고 남은 물이 많을수록 이물질도 물과 함께 세척용기(110) 내부에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배수단계(S40)에서는 가능한 많은 물이 이물질과 함께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의 배수단계(S40)에서는, 취사를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을 고려함 없이 이물질 배출 효율만을 고려하여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1차급수단계(S20) 내지 배수단계(S40)는, 곡물 세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과정들이다. 이러한 과정은, 필요에 따라 복수회 반복될 수 있다. 즉 필요한 곡물 세척 횟수에 따라, 1차급수단계(S20) 내지 배수단계(S40)가 수차례 반복될 수 있다.
곡물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도 16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배출단계(S50)가 진행될 수 있다. 1차배출단계(S50)에서는, 배출구(110a)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세척용기(110) 내부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배출구(110a)를 통해 배출된 세척된 곡물 및 물은, 배출구(110a) 하부에 배출된 조리도구(P)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1차배출단계(S50)에서, 세척용기(110) 내부의 곡물이 남김없이 조리도구(P)로 공급되기는 어렵다. 즉 1차배출단계(S50)에서 곡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더라도, 세척용기(110) 및 세척부재(120)에는 상당량의 곡물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단계(S40)에서는 취사를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을 고려함 없이 이물질 배출 효율만을 고려하여 배수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세척된 곡물을 공급받은 조리도구(P)에는 취사에 필요한 물이 부족한 상태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2차세척단계(S60)가 추가될 수 있다. 2차세척단계(S60)는, 1차배출단계(S50)가 완료된 후 세척용기(110) 내부를 세척하는 형태로 진행될 수 있다.
2차세척단계(S60)에서는, 도 17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배출구폐쇄단계(S61)가 진행될 수 있다. 1차배출단계(S40)가 완료된 후, 배출구폐쇄단계(S61)에서는 배출구(110a)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세척용기(110)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3차급수단계(S62)가 진행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도 18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재동작단계(S63)가 진행될 수 있다. 세척부재동작단계(S63)에서는, 세척용기(110) 내부에 채워진 물을 세척부재(120)로 휘젓는 동작이 진행된다.
이때 세척부재(120)는, 1차세척단계(S30)에서와 마찬가지로, 회전 동작 및 승강 동작을 함께 수행하며 물을 휘저을 수 있다. 그러나 1차세척단계(S30)서와 달리, 세척부재동작단계(S63)에서는, 곡물을 세척하는 동작이 아니라, 세척부재(120) 또는 세척용기(110)에 붙은 곡물을 세척부재(120) 또는 세척용기(110)로부터 떼어 내기 위한 수류를 발생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3차급수단계(S62)와 세척부재동작단계(S63)는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고, 3차급수단계(S62)가 완료된 후 세척부재동작단계(S63)가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3차급수단계(S62)가 먼저 시작된 후, 소정 시차를 두고 세척부재동작단계(S63)의 진행이 시작될 수도 있다.
또한 3차급수단계(S62)는, 적어도 1회 이상 진행될 수 있다. 1회 또는 복수회 진행된 3차급수단계(S62)에서 공급되는 물의 총량은, 제2설정수량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3차급수단계(S62)의 실시 횟수와 상관없이, 3차급수단계(S62)서 공급되는 물의 총량은 제2설정수량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설정수량은 조리도구(P)에 공급된 세척된 곡물의 취사에 필요한 물의 양에서 1차배출단계(S50)에서 배출된 물의 양을 뺀 수량으로 정의된다. 1차배출단계(S50)에서 배출된 물의 양이 미미하다고 가정할 때, 제2설정수량은 조리도구(P)에 공급된 세척된 곡물의 취사에 필요한 물의 양과 거의 동일한 양으로 설정될 수 있다.
3차급수단계(S62) 및 세척부재동작단계(S63)가 완료되면, 도 19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배출단계(S64)가 진행될 수 있다.
2차배출단계(S64)에서는, 배출구(110a)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2차세척단계(S60)에서 세척부재(120) 및 세척용기(110)에서 떼어진 곡물이 물과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즉 2차세척단계(S60)에 의해, 세척용기(110) 및 세척부재(120)에 부착된 잔여 곡물의 배출 작업, 세척용기(110) 및 세척부재(120)에 부착된 곡물의 제거 작업, 그리고 취사에 필요한 물 공급 작업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세척 후의 잔여 곡물 발생을 억제하며 취사에 필요한 세척된 곡물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척부(100)에 대한 별도의 세척 작업 없이도 곡물 세척 작업만으로 세척부(100)를 항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하나의 작업으로 세척부(100) 내부의 잔여물 제거 작업 및 취사를 위한 물 공급 작업이 함께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세척부(100)의 청결을 쉽고 편리하게 유지하는 효과, 및 취사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곡물세척장치의 작용, 효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세척부(100)에는 제1배수구(110b)와 제2배수구(110c)가 각각 배치되며, 제2배수구(110c)는 제1배수구(110b)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1차세척단계(S30)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곡물에서 분리된 이물질 중 물보다 가벼워 물 위에 부유하는 이물질(이하. "부유 이물질"이라 한다)은, 제2배수구(110c)를 통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배수구(110c)는, 세척용기(110)의 내부에 채워진 곡물의 표층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부유 이물질은, 세척용기(110)의 내부에 채워진 곡물층을 통과할 필요 없이 곡물층보다 높은 위치에서 제2배수구(110c)를 통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만약 세척부(100)에 제2배수구(110c)가 마련되지 않고 제1배수구(110b)만이 마련된다면, 부유 이물질은 제1배수구(110b)를 통한 배수가 이루어질 때에만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부유 이물질이 곡물층을 통과하여아 한다. 제1배수구(110b)가 세척용기(110)의 내부에 채워진 곡물의 표층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부유 이물질이 곡물층을 제대로 통과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이 부유 이물질은 제1배수구(110b)를 통한 배수시 곡물층을 통과해 제1배수구(110b)로 배출되지 못하고 곡물 표층에 잔여하거나 다시 곡물 사이에 섞여 버리기 쉽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배수구(110b)의 상부측에 제2배수구(110c)가 추가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2배수구(110c)를 통해, 곡물로부터 분리된 부유 이물질이 매우 효과적으로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부유 이물질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세척부재(120)를 통한 물의 토출이 곡물층 하부에서 이루어지고 세척부재(120)의 회전 동작과 함께 세척부재(120)의 승강 동작도 함께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곡물 세척 과정에서 곡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의 부유가 유도되고, 부유 이물질의 곡물 내부로의 진입은 억제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물에 가라앉을 수 있을 정도로 무거운 이물질은, 제2배수구(110c) 대신 제1배수구(110b)를 통해 세척용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제1배수구(110b)와 제2배수구(110c)를 통해, 물에 부유하는 가벼운 이물질과 물에 가라앉는 무거운 이물질 모두가 곡물 세척 과정에서 곡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된 후 곡물과 별도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물에 부유하는 가벼운 이물질과 물에 가라앉는 무거운 이물질 모두를 곡물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청결히 세척된 곡물을 취사 가능한 상태로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세척된 곡물을 1차로 배출한 후, 2차세척단계를 통해 세척용기(110) 및 세척부재(120)에 부착된 잔여 곡물의 배출 작업, 세척용기(110) 및 세척부재(120)에 부착된 곡물의 제거 작업, 그리고 취사에 필요한 물 공급 작업이 함께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곡물세척장치는, 세척 후의 잔여 곡물 발생을 억제하며 취사에 필요한 세척된 곡물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척부(100)의 청결을 쉽고 편리하게 유지하는 효과, 및 취사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지지부
11 : 베이스
13 : 지지프레임
20 : 케이스
30 : 곡물저장부
31 : 저장용기
31a : 저면후방영역
31b : 저면전방영역
32 : 곡물배출구
33 : 상단커버
40 : 곡물공급부
41 : 연결용기
43 : 이송부재
50 : 물공급부
51 : 제1급수관
52 : 제2급수관
53 : 정수부
55 : 급수밸브
60 : 구동부
61 : 구동모터
63 : 동력전달부
65 : 제1동력변환부재
67 : 제2동력변환부재
70 : 제1개폐부
71 : 제1배수관
73 : 제1밸브
80 : 제2개폐부
81 : 개폐부재
82 : 회전부
83 : 마개부
85 : 개폐구동부
87 : 세로지지대
90 : 제2배수관
95 : 제3배수관
100 : 세척부
110 : 세척용기
110a : 배출구
110b : 제1배수구
110c : 제2배수구
111 : 제1용기부
112 : 제2필터
115 : 제2용기부
116 : 제1필터
120 : 세척부재
120a : 내부수로
120b : 출수구
121 : 회전봉
122 : 제1회전봉
123 : 제2회전봉
124 : 연결부
125 : 세척봉
126 : 제1세척봉
127 : 제2세척봉
129 : 탄성부재
130 : 용기커버
130a : 곡물투입구

Claims (13)

  1. 곡물을 물로 세척하여 곡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고, 배출구를 통해 곡물과 물을 배출하며, 제1배수구를 통해 물과 이물질을 배출하는 세척부;
    상기 세척부에 곡물을 공급하는 곡물공급부;
    상기 세척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상기 제1배수구를 통한 물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1개폐부; 및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를 포함하는 곡물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곡물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곡물 및 상기 물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세척용기;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세척용기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을 휘젓는 세척부재;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 수용된 곡물 및 물이 세척용기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세척용기에 형성하는 상기 배출구; 및
    상기 물 및 이물질이 세척용기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세척용기에 형성하는 상기 제1배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와 상기 제1배수구가 상기 세척용기에 각각 별도의 통로를 형성하는 곡물세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용기는,
    곡물과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1용기부; 및
    상기 제2용기부의 하부측에서 상기 제1용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1용기부와 함께 상기 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제2용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용기부에 마련되는 곡물세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부는, 하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용기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곡물세척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구는, 상기 제2용기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곡물세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곡물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곡물 및 상기 물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세척용기, 및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 수용된 물이 상기 세척용기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상기 세척용기에 각각 형성하는 제2배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배수구는, 상기 제1배수구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곡물세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공급부는, 곡물이 상기 제2배수구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 채워지도록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 곡물을 공급하는 곡물세척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 채워진 물의 수위가 상기 제2배수구 이상으로 상승될 수 있게 상기 세척용기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곡물세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공급부는,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 상기 제1배수구와 상기 제2배수구 사이의 높이만큼 곡물이 채워지도록 상기 세척용기 내부로 곡물을 공급하는 곡물세척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곡물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물체만이 상기 제1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세척용기와 상기 제1배수구 사이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배수구는, 상기 제1필터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물체의 크기보다 더 큰 물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곡물세척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곡물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물체만이 상기 제1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세척용기와 상기 제1배수구 사이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 및
    상기 세척용기와 상기 제2배수구 사이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는, 상기 제1필터가 통과시킬 수 있는 입자보다 더 큰 크기의 입자를 통과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곡물세척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제1배수구와 연결되는 제1배수관; 및
    상기 제1배수관을 개폐하는 제1밸브;를 포함하는 곡물세척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구와 연결되는 제2배수관, 및 상기 제1배수관 및 상기 제2배수관과 연결되는 제3배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밸브는, 제1배수구와 상기 제3배수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배수관을 개폐하는 곡물세척장치.
KR1020220047158A 2022-04-15 2022-04-15 곡물세척장치 KR20230148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158A KR20230148031A (ko) 2022-04-15 2022-04-15 곡물세척장치
PCT/KR2023/000201 WO2023200076A1 (ko) 2022-04-15 2023-01-05 곡물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158A KR20230148031A (ko) 2022-04-15 2022-04-15 곡물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031A true KR20230148031A (ko) 2023-10-24

Family

ID=88329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158A KR20230148031A (ko) 2022-04-15 2022-04-15 곡물세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8031A (ko)
WO (1) WO202320007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285Y1 (ko) 2002-04-12 2002-07-26 김성연 쌀통과 쌀세척기를 겸용한 정수기
KR20040025414A (ko) 2002-09-19 2004-03-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무수 세미기를 구비한 냉장 쌀통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549A (ko) * 1998-03-27 1998-06-05 성상준 무인 자동취사기 (Uninhabited automatically rice pot)
KR101030596B1 (ko) * 2008-11-19 2011-04-21 김덕선 세미기
JP6880444B2 (ja) * 2016-12-26 2021-06-02 株式会社サタケ 洗米装置
KR101900792B1 (ko) * 2017-03-02 2018-09-20 윤형수 전자동 스마트 밥솥 시스템
KR102133988B1 (ko) * 2018-11-29 2020-07-14 양재희 이중 임펠라 구조를 갖는 곡물세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285Y1 (ko) 2002-04-12 2002-07-26 김성연 쌀통과 쌀세척기를 겸용한 정수기
KR20040025414A (ko) 2002-09-19 2004-03-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무수 세미기를 구비한 냉장 쌀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00076A1 (ko)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8382B (zh) 一种智能炒菜机
KR100871069B1 (ko) 식기 세척기 일체형 싱크대
KR101413883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CN109310262A (zh) 一种水槽式洗碗机和清洗方法
EP2375957B1 (en) Pre-rinsing of dishes
JPWO2006038677A1 (ja) フライヤー
JP2010516423A (ja) 食器洗浄器一体形シンク台及びこれの為の洗浄水噴出装置
CN106419786A (zh) 用于水槽的排水、排渣结构
CN113365538A (zh) 便携式洗碗机
CN108577508A (zh) 一种多功能烹饪柜
AU2004233725A1 (en) Filter system for a household dishwasher
KR20230148031A (ko) 곡물세척장치
KR20230148024A (ko) 곡물세척장치의 제어방법
KR20230148032A (ko) 곡물세척장치
KR20230148033A (ko) 곡물세척장치
CN212394625U (zh) 洗米装置及蒸饭设备
CN206239377U (zh) 用于水槽的排水、排渣结构
KR101974195B1 (ko) 기름 순환식 튀김장치
JP3280517B2 (ja) 水槽清浄機
KR101869599B1 (ko) 씽크볼 및 조리작업받침판 기능이 있는 식기거치대를 가진 음식물2차분쇄발효소멸기 일체형 다용도 식기세척기
US2764169A (en) Dishwashing machine
KR20130013781A (ko) 배수통 세척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KR102350017B1 (ko) 애벌식기세척기
CN114745990A (zh) 全自动电饭锅装置
CN213821294U (zh) 一种洗碗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