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017B1 - 애벌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애벌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017B1
KR102350017B1 KR1020210119736A KR20210119736A KR102350017B1 KR 102350017 B1 KR102350017 B1 KR 102350017B1 KR 1020210119736 A KR1020210119736 A KR 1020210119736A KR 20210119736 A KR20210119736 A KR 20210119736A KR 102350017 B1 KR102350017 B1 KR 102350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water tank
filte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왕길
Original Assignee
김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왕길 filed Critical 김왕길
Priority to KR1020210119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1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6In-sink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수를 재활용함으로써 수도를 절약할 수 있는 애벌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벌식기세척기는 식기가 담기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에 재활용수를 공급하는 재활용수전, 상기 세척조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로부터 음식물을 걸러내도록 상기 세척조의 바닥면에 구비되되, 상기 세척조의 일 측벽에 체결되고, 상기 일 측벽과 함께 원주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세척조 외부로 뒤집어지는 음식물 거름망, 상기 음식물 거름망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수용된 세척수를 상기 재활용수전으로 순환시키는 모터 및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이동하는 세척수의 잔여 음식물을 걸러내는 메인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애벌식기세척기{PRE-DISHWASHER}
본 발명은 세척수를 재활용함으로써 수도를 절약할 수 있는 애벌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냉온수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에 묻어있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기기이다. 특히, 이러한 식기세척기는 학교, 공공기관, 군부대, 기업, 빌딩 등에 위치한 단체 급식소에서 대중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단체 급식을 시행하는 곳에서는 식중독 등과 같은 집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식기의 위생관리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사용된 식기를 깨끗이 세척한 후, 살균, 건조 과정을 통해 보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과거에는 별도의 애벌 세척(pre-wash) 과정 없이 본 세척만을 수행하였고, 이 때 식기의 일괄 세척을 위해 음식물이 남아있는 식기들은 한데 모아 일정 시간 방치되는데, 방치된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음식물이 건조되면서 식기에 눌어붙어 이후 본 세척 과정에서 깨끗이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 단체 급식소에서는 애벌 세척을 수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급식소에서는 식기가 반납되면 해당 식기를 애벌 세척하여 주요 음식물들을 제거한 후, 본 세탁을 통해 남아있는 잔여 음식물까지 모두 제거하고 있다.
다만, 종래에는 애벌 세척, 본 세척 과정에서 모두 수돗물을 이용하므로 실질적으로 수돗물을 이용한 세척이 두 번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수도요금이 두 배 가까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6783호
본 발명은 세척수의 순환 및 정화를 통해 세척수를 재활용할 수 있는 애벌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애벌 세척 시 발생하는 잔반을 쉽게 처리할 수 있는 애벌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벌식기세척기는 식기가 담기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에 재활용수를 공급하는 재활용수전, 상기 세척조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로부터 음식물을 걸러내도록 상기 세척조의 바닥면에 구비되되, 상기 세척조의 일 측벽에 체결되고, 상기 일 측벽과 함께 원주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세척조 외부로 뒤집어지는 음식물 거름망, 상기 음식물 거름망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수용된 세척수를 상기 재활용수전으로 순환시키는 모터 및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이동하는 세척수의 잔여 음식물을 걸러내는 메인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식물 거름망은 상기 세척조의 바닥면에서 상기 일 측벽에 힌지 체결되고,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필터 상부에서 상기 세척조의 바닥면을 개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필터는 상기 수조의 양 측벽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필터의 하단에는 상기 메인 필터에 의해 걸러져 아래로 떨어지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후크받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의 상부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메인 필터에 맞닿는 위치까지 상기 수조의 양 측벽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필터는 상기 수조의 양 측벽에 오목하게 설치된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척조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 방향으로 재활용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수조에 수용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노즐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는 Y자 밸브를 통해 상기 재활용수전 및 상기 분사노즐에 세척수를 각각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척조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척조의 하부 및 상기 수조의 전면에 위치한 수납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조 내 세척수를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는 수로관을 통해 상기 수조와 연결되고, 상기 수로관의 내면에는 힌지축이 구비되고, 상기 힌지축에 함께 체결되는 보조 필터 및 수로 덮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필터와 상기 수로 덮개는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로 덮개는 상기 모터에 의해 형성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수로관의 내면에 접촉하고, 상기 수로 덮개의 회동에 따라 상기 보조 필터는 상기 수로관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 내에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수전과, 상기 수조 내 수위가 기준 높이 이상일 때 상기 수조 내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수관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배수관의 일단에 체결되는 배수관 연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수의 순환 및 정화를 통해 세척수를 재활용함으로써 수도를 절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체 급식을 수행하는 급식소의 수도요금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 거름망이 세척조 외부로 뒤집어지도록 회동함에 따라, 애벌 세척을 통해 씻겨진 잔반을 세척조 외부로 손쉽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필터의 하단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후크 형상의 받침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메인 필터의 거름 동작 시 또는 메인 필터의 교체 시 메인 필터에 의해 걸러진 음식물이 아래로 흘러내리거나 세척수로 다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필터 상부에 세척조 바닥면을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메인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조 내에서 일차적으로 세척수를 정화하고 세척수가 순환되는 수로관에서 이차적으로 세척수를 정화함으로써, 애벌 세척에 이용되는 재활용수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벌식기세척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애벌식기세척기의 투시도.
도 4는 세척조의 일 측벽과 음식물 거름망이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힌지축의 회전에 따라 음식물 거름망이 세척조 외부로 뒤집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음식물 거름망을 통과한 세척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메인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메인 필터를 탈거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메인 필터 및 슬라이딩 필터가 세척수를 정화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메인 필터 및 슬라이딩 필터가 수조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세척조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모터의 출수구에 연결된 Y자 밸브를 도시한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모터와 수조를 연결하는 수로관에 구비된 보조 필터 및 수로 덮개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수조 내 세척수의 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보조수전과 배수관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배수관 일단에 연결된 배수관 연장부재를 도시한 도면.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애벌 세척(pre-wash)이란 급식 후 반납되는 식기를, 본 세척 이전에 일차적으로 미리 세척함으로써 식기에 묻어있는 주요 음식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애벌 세척 과정에서 세척수를 재활용함으로써 수도를 절약할 수 있는 애벌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벌식기세척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벌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애벌식기세척기의 투시도이다.
도 4는 세척조의 일 측벽과 음식물 거름망이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힌지축의 회전에 따라 음식물 거름망이 세척조 외부로 뒤집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음식물 거름망을 통과한 세척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메인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메인 필터를 탈거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메인 필터 및 슬라이딩 필터가 세척수를 정화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메인 필터 및 슬라이딩 필터가 수조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세척조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모터의 출수구에 연결된 Y자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모터와 수조를 연결하는 수로관에 구비된 보조 필터 및 수로 덮개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수조 내 세척수의 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보조수전과 배수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배수관 일단에 연결된 배수관 연장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식기는 세척조(11)에 담겨 애벌 세척될 수 있다. 세척조(11)는 식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바닥면과 측벽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11)는 사방에 구비된 측벽과 바닥면에 의해 둘러싸인 함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세척조(11)에는 수전(18)과 재활용수전(12)이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수전(18)은 세척조(11)에 수돗물을, 재활용수전(12)은 세척조(11)에 재활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수전(18)과 재활용수전(12)이 세척조(11) 일 측벽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수전(18)과 재활용수전(12)은 각각 세척조(11) 내부로 수돗물과 재활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수돗물은 상수도에서 공급되는 물을 의미할 수 있고, 재활용수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세척수가 순환되어 재활용수전(1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애벌 세척 이후 배출되는 물을 세척수로, 세척수가 순환되어 재활용수전(1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재활용수로 지칭하도록 한다.
음식물 거름망(13)은 세척조(11)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로부터 음식물을 걸러내도록 세척조(11) 바닥면에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타공된 복수의 거름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수는 거름 구멍을 통과하여 후술되는 수조(14)로 배출되고, 세척수에 포함된 주요 음식물들은 음식물 거름망(13)에 걸러질 수 있다.
애벌 세척은 본 세척 전 일차적으로 수행하는 세척이므로, 음식물 거름망(13)에 걸러지는 음식물의 양이 많을 수 있다. 음식물 거름망(13)에 음식물이 가득차게 되면 세척수가 용이하게 배출되지 못하여 세척조(11)에 세척수가 차오르게 되고 음식물 거름망(13)에 걸러진 음식물이 차오른 세척수에 부유하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음식물 거름망(13)에 걸러진 음식을 자주 비워내야 하는데, 본 발명은 음식물 거름망(13)을 특이적으로 설계하여 사용자가 음식물을 손쉽게 비워낼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음식물 거름망(13)은 세척조(11)의 일 측벽(11a)에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음식물 거름망(13)의 일 측단과 세척조(11) 일 측벽(11a)의 하단은 힌지(hinge)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힌지축(31)을 기준으로 세척조(11)의 일 측벽(11a)과 음식물 거름망(13)이 형성하는 각도(사잇각)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음식물 거름망(13)은 힌지축(31)의 회전에 따라 세척조(11)의 일 측벽(11a)과 함께 원주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세척조(11) 외부로 뒤집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음식물 거름망(13)은 세척조(11)의 바닥면에서 세척조(11)의 일 측벽(11a)에 힌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식물 거름망(13)과 세척조(11)의 일 측벽(11a)은 세척조(11)의 바닥면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음식물을 비워내기 위하여, 힌지축(31)에 대향하는 음식물 거름망(13)의 일 측단을 들어올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음식물 거름망(13)은 힌지축(31)을 기준으로 세척조(11)의 바닥면에 대해 회동하여 세척조(11) 외부로 뒤집어질 수 있다.
한편, 세척조(11)의 일 측벽(11a)과 음식물 거름망(13)이 형성하는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라 세척조(11)의 일 측벽(11a) 역시 힌지축(31)을 기준으로 세척조(11)의 바닥면에 대해 회동할 수 있고, 음식물 거름망(13)이 뒤집어졌을 때, 세척조(11)의 일 측벽(11a)은 음식물을 가이드하는 미끄럼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애벌식기세척기(1) 옆에 음식물 쓰레기통(2)을 배치하고, 음식물 거름망(13)을 세척조(11) 외부로 뒤집었을 때, 음식물은 세척조(11)의 일 측벽(11a)을 따라 미끄러져 음식물 쓰레기통(2)에 수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 거름망(13)이 세척조(11) 외부로 뒤집어지도록 회동하고, 음식물 거름망(13)에서 쏟아지는 음식물을 가이드함으로써, 애벌 세척을 통해 씻겨진 잔반을 세척조(11) 외부로 손쉽게 배출할 수 있다.
도 6은 세척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에 도시된 애벌식기세척기(1)의 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수조(14)는 세척조(11) 하부에 위치하여, 음식물 거름망(13)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다. 수조(14)는 제1 수조(14a)와 제2 수조(14b)로 구분될 수 있고, 제1 수조(14a)와 제2 수조(14b) 사이에는 세척수의 잔여 음식물을 걸러내는 메인 필터(16)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모터(15)는 수조(14)에 수용된 세척수를 재활용수전(12)으로 순환시킬 수 있고, 모터(15)가 형성하는 수류(水流)에 따라 수조(14) 내 물은 제1 수조(14a)에서 제2 수조(14b)로 흐를 수 있다. 즉, 제1 수조(14a)에 담긴 세척수는 메인 필터(16)를 거쳐 제2 수조(14b)로 이동할 수 있고, 제2 수조(14b)에 담긴 물은 재활용수전(12)을 통해 세척조(11)에 공급될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수조(14b)와 재활용수전(12) 사이에는 임의의 수로관이 구비될 수 있다. 수조(14)의 바닥면에는 배수구(D)가 설치되어 수조(14) 세척 시 수조 내 물을 쉽게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애벌식기세척기(1)는 세척조(11)의 하부 및 수조(14)의 전면에 위치하는 수납공간(19)과, 수납공간(19)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도어(21)를 포함하고, 모터(15)와 모터(15)의 구동을 위한 제어 설비(15a)를 해당 수납공간(19)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어(21)의 외면에는 제어 설비(15a)와 연결되어 모터(15) 구동을 개시 또는 중단하는 버튼(스위치, 22)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도어(21)를 개방하지 않고 모터(15)를 동작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15)는 애벌식기세척기(1) 내부에 위치하되, 수조(14)와 분리된 수납공간(19)에서 수조(14) 내 세척수를 유입 및 순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15)와 제어 설비(15a)를 수납공간(19) 내에 위치시키는 경우, 수납공간(19)에 각종 물품을 수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모터(15) 고장 시 모터(15) 및/또는 제어 설비(15a)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품 전체의 미관을 해치지 않게 할 수 있다.
메인 필터(16)는 복수의 거름 구멍을 포함하는 매쉬(mesh)형상을 가질 수 있고, 메인 필터(16)에 형성된 거름 구멍은 음식물 거름망(13)에 형성된 거름 구멍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식물 거름망(13)에 의해 미처 걸러지지 못한 잔여 음식물은 메인 필터(16)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이러한 메인 필터(16)는 수조(14)의 양 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수조(14)의 양 측벽에는 메인 필터(16)를 수납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구비될 수 있고, 메인 필터(16)는 가이드 홈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수조(14)의 양 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애벌 세척에서는 많은 음식물이 배출되므로 메인 필터(16)에도 많은 잔여 음식물이 걸러질 수 있다. 잔여 음식물이 메인 필터(16)에 눌어붙게 되면 세척수가 용이하게 배출되지 못하여 제1 수조(14a)에 세척수가 차오르게 되고 메인 필터(16)에 걸러진 잔여 음식물이 세척수에 부유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메인 필터(16)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고, 본 발명은 메인 필터(16)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메인 필터(16) 상부에서 세척조(11) 바닥면을 개폐하는 덮개(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덮개(17)는 메인 필터(16)의 상부 위치에서 세척조(11)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용이하게 덮개(17)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덮개(17)에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인 필터(16)를 교체하기 위하여 세척조(11) 바닥면에서 덮개(17)를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개방된 세척조(11) 바닥면을 통해 메인 필터(16)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개방된 세척조(11) 바닥면을 통해 메인 필터(16)를 들어올림으로써 메인 필터(16)를 수조(14)에서 탈거시킬 수 있다.
한편, 메인 필터(16)의 교체 주기에 도달하면 메인 필터(16)에는 잔여 음식물이 상당히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추가로 걸러지는 잔여 음식물들은 메인 필터(16)에 부착되지 못하고 메인 필터(16) 아래로 흘러내려 세척수로 다시 혼입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교체를 위해 메인 필터(16)를 들어올릴 때, 메인 필터(16)에 부착되어 있던 잔여 음식물들이 아래로 흘러내려 세척수로 다시 혼입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메인 필터(16) 하단에는 메인 필터(16)에 의해 걸러져 아래로 떨어지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후크받침부(16a)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후크받침부(16a)는 하방으로 떨어지는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휘어진 후크(hook) 형상을 가지고, 메인 필터(16)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후크받침부(16a)는 양 측단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방 형성될 수도 있고, 측벽에 의해 막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메인 필터(16)에 의해 걸러진 잔여 음식물 중 메인 필터(16)에 부착되지 못한 잔여 음식물은 메인 필터(16) 아래로 흘러내려 후크받침부(16a)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덮개(17)를 개방하여 메인 필터(16)를 들어올릴 때, 메인 필터(16)에 부착되어 있던 잔여 음식물은 아래로 흘러내려 후크받침부(16a)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 필터(16)의 하단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후크 형상의 받침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메인 필터(16)의 거름 동작 시 또는 메인 필터(16)의 교체 시 메인 필터(16)에 의해 걸러진 음식물이 아래로 흘러내리거나 세척수로 다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애벌식기세척기(1)는 수조(14)의 상부 일측면으로부터 메인 필터(16)에 맞닿는 위치까지 수조(14)의 양 측벽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필터(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세척조(11)의 바닥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달리 덮개(17) 대신에 음식물 거름망(13)이 추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세척조(11) 바닥면에는 덮개(17) 없이 두 개의 음식물 거름망(13)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음식물 거름망(13)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를 모두 정화해야 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슬라이딩 필터(41)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필터(41)는 음식물 거름망(13)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가 제2 수조(14b)에 직접 혼입되지 못하도록, 음식물 거름망(13)이 설치된 수조(14)의 상부 일 측면으로부터 앞서 설명한 메인 필터(16)에 맞닿는 위치까지 곡면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슬라이딩 필터(4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필터(16)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서 메인 필터(16)를 오버랩(overlap)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음식물 거름망(13)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메인 필터(16)를 넘어 (14b)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슬라이딩 필터(41) 상단의 꺽쇠는 후술되는 제2 가이드 홈(g2)의 상단에 걸릴 수 있고, 이로써 슬라이딩 필터(41)가 메인 필터(16)를 오버랩한 위치에서 더 이상 슬라이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슬라이딩 필터(41)는 메인 필터(16)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서 메인 필터(16)와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필터(41)는 메인 필터(16)에 가로막혀 더 이상 슬라이딩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메인 필터(16)와 슬라이딩 필터(41)가 완전히 접하게 됨으로써 두 필터(16, 41) 사이의 유격을 없앨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필터(41)는 메인 필터(16)와 마찬가지로 수조(14)의 양 측벽에 설치된 가이드 홈에 삽입됨으로써 수조(1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수조(14)의 양 측벽 내면에는 메인 필터(16)를 수용하기 위한 제1 가이드 홈(g1)이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메인 필터(16)의 양 측단을 제1 가이드 홈(g1)에 삽입하여 수조(14) 내에 메인 필터(16)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수조(14)의 양 측벽 내면에는 슬라이딩 필터(41)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가이드 홈(g2)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홈(g2)은 슬라이딩 필터(41)가 하방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수조(14)의 양 측벽에 오목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슬라이딩 필터(41)의 양 측단을 제2 가이드 홈(g2)에 삽입하고 수직 방향의 힘을 가함으로써 슬라이딩 필터(41)가 제2 가이드 홈(g2)을 따라 메인 필터(16)에 맞닿을 때까지 슬라이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오목한 제2 가이드 홈(g2)에 곡면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필터(41)는 쉽게 휘어지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메인 필터(16)를 교체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덮개(17) 또는 음식물 거름망(13)을 개방하여 슬라이딩 필터(41)를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세척조(11) 내에서 이루어지는 애벌 세척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애벌식기세척기(1)는 세척조(11) 내면에 설치되어 세척조(11) 방향으로 재활용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모터(15)는 수조(14)에 수용된 세척수를 분사노즐(22)로 순환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예에서 분사노즐(22)은 세척조(11) 일 측벽의 내면에 설치되어 세척조(11) 방향으로 재활용수를 분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사노즐(22)은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미세 분사공(22a)을 포함할 수 있고, 분사노즐(22)을 따라 흐르는 재활용수는 미세 분사공(22a)을 통해 세척조(11) 내부로 강하게 분사될 수 있다.
전술한 모터(15)는 수조(14)에 수용된 세척수를 분사노즐(22)로 순환시킬 수 있다. 모터(15)가 형성하는 수류에 따라 제1 수조(14a)에 담긴 세척수는 메인 필터(16)를 거쳐 제2 수조(14b)로 흐를 수 있고, 제2 수조(14b)에 담긴 물은 분사노즐(22)을 통해 세척조(11)에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수조(14b)와 재활용수전(12) 사이에는 임의의 수로관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세척조(11)에 분사노즐(22)이 설치되는 경우, 세척수는 모터(15)에 의해 재활용수전(12) 및 분사노즐(22)에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터(15)는 Y자 밸브(51)를 통해 재활용수전(12) 및 분사노즐(22)에 세척수를 각각 공급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모터(15)는 수로관(60)을 통해 수조(14)와 연결되고, 수로관(60)에 수류를 형성하여 수조(14)에 수용된 세척수를 재활용수전(12) 및 분사노즐(2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수로관(60)의 일단은 Y자 밸브(51)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고, Y자 밸브(51)의 타단에는 제1 공급관(61) 및 제2 공급관(62)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공급관(61)과 제2 공급관(62)은 각각 재활용수전(12) 및 분사노즐(2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로관(60)을 따라 흐르는 세척수는 제1 및 제2 공급관(61, 62)을 통해 재활용수전(12) 및 분사노즐(22)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수로관(60)에 보조 필터(71)를 구비함으로써 추가적인 정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터(15)와 수조(14)를 연결하는 수로관(60)의 일단 모서리에는 힌지축(70)이 구비되고, 힌지축(70)에는 보조 필터(71)와 수로 덮개(72)가 함께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보조 필터(71)와 수로 덮개(72)는 힌지축(70)을 기준으로 직각을 이룰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수조(14)와 모터(15)를 연결하는 수로관(60)의 측단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함께 참조하면, 일 예에서 수로관(60)은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수로관(60) 내면 일 모서리에는 수류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70)이 구비될 수 있다. 힌지축(70)에는 보조 필터(71)와 수로 덮개(72)가 함께 체결될 수 있고, 힌지축(70)을 기준으로 보조 필터(71)와 수로 덮개(72)가 형성하는 각도(사잇각)는 90도로 일정할 수 있다.
여기서 수로 덮개(72)는 물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보조 필터(71)는 메인 필터(16)와 같이 다공성 매쉬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터(15)가 동작하기 전에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필터(71)가 수로관(60)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고, 힌지축(70)을 기준으로 보조 필터(71)와 90도를 이루는 수로 덮개(72)가 수로관(60)을 차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조(14) 내에서는 수류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제2 수조(14b)에 수용된 세척수가 제1 수조(14a)로 유입되는 등의 세척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모터(15)가 동작한 후에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 덮개(72)가 모터(15)에 의해 형성되는 유압에 의해 수로관(60)의 내면에 접촉하고, 수로 덮개(72)의 회동에 따라 보조 필터(71)는 수로관(60)을 차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터(15)가 동작하게 되면 모터(15)에 인접한 수로관(60)에는 음압이 형성되고 음압에 의해 수조(14)에 수용된 세척수가 수로관(6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세척수는 기존에 수로관(60)을 차폐하고 있던 수로 덮개(72)를 밀어낼 수 있고, 이에 따라 수로 덮개(72)는 90도 회동하여 수로관(60)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수로관(60)의 회동에 따라 보조 필터(71) 역시 함께 회동할 수 있고, 보조 필터(71)가 수로관(60)을 차폐함으로써 추가적인 정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조(14) 내에서 일차적으로 세척수를 정화하고 세척수가 순환되는 수로관(60)에서 이차적으로 세척수를 정화함으로써, 애벌 세척에 이용되는 재활용수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수의 순환 및 정화를 통해 세척수를 재활용함으로써 수도를 절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체 급식을 수행하는 급식소의 수도요금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애벌식기세척기(1)는 수조(14) 내에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수전(81)과 수조(14) 내 수위가 기준 높이 이상일 때 수조(14) 내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관(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수전(81)은 수조(14) 내 수위 변화에 따른 수압차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는 볼탑 등의 수위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배수관(82)은 수조(14) 바닥면으로부터 기준 높이(h)로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위가 기준 높이(h) 이상일 때 수조(14) 내 세척수는 배수관(8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수조(14) 내 수위 조절을 위하여 애벌식기세척기(1)는 배수관(8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배수관(82)의 일단에 체결되는 배수관(82) 연장부재(8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배수관(82)의 일단에는 배수관(82)의 외면에 슬라이드 체결되는 배수관(82) 연장부재(82a)가 구비될 수 있다. 배수관(82) 연장부재(82a)는 배수관(8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기준 높이(h)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15)

  1. 식기가 담기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에 재활용수를 공급하는 재활용수전;
    상기 세척조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로부터 음식물을 걸러내도록 상기 세척조의 바닥면에 구비되되, 상기 세척조의 일 측벽에 체결되고, 상기 일 측벽과 함께 원주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세척조 외부로 뒤집어지는 음식물 거름망;
    상기 음식물 거름망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수조;
    상기 수조에 수용된 세척수를 상기 재활용수전으로 순환시키는 모터;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이동하는 세척수의 잔여 음식물을 걸러내는 메인 필터; 및
    상기 수조의 상부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메인 필터에 맞닿는 위치까지 상기 수조의 양 측벽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필터를 포함하는
    애벌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거름망은 상기 세척조의 바닥면에서 상기 일 측벽에 힌지 체결되고,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동하는 애벌식기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필터 상부에서 상기 세척조의 바닥면을 개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애벌식기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필터는 상기 수조의 양 측벽에 결합되는 애벌식기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필터의 하단에는 상기 메인 필터에 의해 걸러져 아래로 떨어지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후크받침부가 구비되는 애벌식기세척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필터는 상기 수조의 양 측벽에 오목하게 설치된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애벌식기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 방향으로 재활용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수조에 수용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노즐로 순환시키는 애벌식기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Y자 밸브를 통해 상기 재활용수전 및 상기 분사노즐에 세척수를 각각 공급하는 애벌식기세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전을 더 포함하는 애벌식기세척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의 하부 및 상기 수조의 전면에 위치한 수납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조 내 세척수를 유입하는 애벌식기세척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수로관을 통해 상기 수조와 연결되고,
    상기 수로관의 내면에는 힌지축이 구비되고,
    상기 힌지축에 함께 체결되는 보조 필터 및 수로 덮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필터와 상기 수로 덮개는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직각을 이루는 애벌식기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 덮개는 상기 모터에 의해 형성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수로관의 내면에 접촉하고, 상기 수로 덮개의 회동에 따라 상기 보조 필터는 상기 수로관을 차폐하는 애벌식기세척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내에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수전과,
    상기 수조 내 수위가 기준 높이 이상일 때 상기 수조 내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애벌식기세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배수관의 일단에 체결되는 배수관 연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애벌식기세척기.
KR1020210119736A 2021-09-08 2021-09-08 애벌식기세척기 KR102350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736A KR102350017B1 (ko) 2021-09-08 2021-09-08 애벌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736A KR102350017B1 (ko) 2021-09-08 2021-09-08 애벌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017B1 true KR102350017B1 (ko) 2022-01-10

Family

ID=7934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736A KR102350017B1 (ko) 2021-09-08 2021-09-08 애벌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0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9162U (ko) * 1987-05-28 1988-12-05
KR19990083977A (ko) * 1999-09-03 1999-12-06 최우식 절수형 이동식 세척기
KR20010100652A (ko) * 2000-05-04 2001-11-14 구자홍 서랍식 식기세척기
KR101836783B1 (ko) 2017-11-27 2018-03-08 성진하이쿨(주) 식기 애벌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9162U (ko) * 1987-05-28 1988-12-05
KR19990083977A (ko) * 1999-09-03 1999-12-06 최우식 절수형 이동식 세척기
KR20010100652A (ko) * 2000-05-04 2001-11-14 구자홍 서랍식 식기세척기
KR101836783B1 (ko) 2017-11-27 2018-03-08 성진하이쿨(주) 식기 애벌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019B1 (ko) 식기세척기
US11857133B2 (en) Use of recycled wash and rinse water for the pre-rinse operation of dishes
KR970010423B1 (ko) 식기세척기의 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88205A (ko) 싱크대
US10022034B2 (en) Dishwasher appliance and method
KR101941411B1 (ko) 복합 세정 구조를 갖는 식기 애벌 세척기
US20120291821A1 (en) Water inlet flush for dishwasher filter
US9326658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ishwasher appliance
KR102391681B1 (ko) 식기세척기
JPH01119223A (ja) 食器洗浄機から汚物を排出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US9339166B2 (en) Dishwashe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350017B1 (ko) 애벌식기세척기
KR20040095833A (ko) 업소용 식기세척방법 및 그 장치
US9918610B2 (en) Fluid circulation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CN211559998U (zh) 隐形多功能厨事智能洗洁机
KR100246388B1 (ko) 식기 세척기의 오물 처리장치
KR100457595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101626251B1 (ko) 폐수 재활용 시스템을 갖춘 초음파 세척기
KR100269467B1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CN212415660U (zh) 一种水槽清洗装置
KR102358753B1 (ko) 식기세척기
KR200324605Y1 (ko) 식기 세척기의 배수장치
JP3016732U (ja) 洗米装置
KR20030097182A (ko) 식기세척기
KR20230148024A (ko) 곡물세척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