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6481A -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6481A
KR20230146481A KR1020230047846A KR20230047846A KR20230146481A KR 20230146481 A KR20230146481 A KR 20230146481A KR 1020230047846 A KR1020230047846 A KR 1020230047846A KR 20230047846 A KR20230047846 A KR 20230047846A KR 20230146481 A KR20230146481 A KR 20230146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air
opening
combustion
rotat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7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이치로 시바야마
Original Assignee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6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481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4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blowers or f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체 케이스에 수용되는 회전 드럼의 용량을 가능한 한 크게 함과 동시에 버너의 연소 불량을 방지한다.
연소실(5)은 팬 케이스(4)와 본체 케이스(11) 후방의 주벽(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배치되고, 연소실(5)에는 복수의 염공열(91)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소정의 간격으로 병렬로 버너(9)를 배치하고, 연소실(5)의 구성벽(51~56)에 공기 흡입용 개구부(58)를 개설하고, 공기 흡입용 개구부(58)의 연소 배기 유로의 하류 측 개구부 가장자리(58a)에는 연소 배기 유로의 상류측 및 연소실(5)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편(59)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Clothing Dryer}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전드럼 후방에 급배기팬을 배치하고, 회전드럼 측방 하방에 버너가 수용된 연소실을 배치함과 동시에, 연소실과 회전드럼 전방에 배치한 온풍 송풍구를 급기덕트로 연결한 의류건조기가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그런데, 제품마다 의류건조기의 전체 크기가 정해지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회전드럼의 측방 하방에 염공이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하도록 버너가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연소실을 배치하면 연소실의 폭만큼 회전드럼 직경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과 같이, 급배기팬에 의해 연소실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전방의 온풍 송풍구로부터 온풍을 회전드럼으로 공급하면, 연소실에서 온풍의 유로 방향을 좌우 방향에서 전후 방향으로 편향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연소실 폭은 더욱 커지게 되므로 회전드럼의 직경을 더욱 작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의류 건조기는, 버너의 염구 개구 방향과 연소실 내 연소 배기의 유로 방향이 일치하도록 버너를 좁은 연소실에 수용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복수의 버너를 연소실에 수용하게 되면, 연소실 구성벽에 형성된 공기 구멍으로부터 연소실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인접한 염공에 형성되는 연소염 간섭 발생이 쉬워지기 때문에, 쉽게 연소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5-277292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회전드럼 용량을 가능한 한 크게 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드럼 용량을 크게 하기 위해, 좁은 공간에 연소실을 배치하는 경우에도 버너의 연소 불량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에 의류 인출구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본체 케이스와, 의류 인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를 갖는 의류 건조기, 본체 케이스 내에 의류를 수용하는 회전드럼과, 버너를 수용하는 연소실과, 회전드럼의 후방에 설치되어 공기를 연소실로 끌어들여 버너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온풍으로 회전드럼 내부에 공급하고, 회전드럼 내부로부터 온풍을 외부로 배기하는 급배기팬을 수용하는 팬케이스를 구비하며, 연소실은, 팬케이스와 본체 케이스 후방 상하 좌우의 주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버너는, 복수의 염공이 소정 간격으로 병설된 염공열을 가지며, 연소실에는, 복수의 염공열이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병렬로 되도록 버너가 배치되고, 연소실 구성벽에는, 공기를 연소실로 끌어 들이는 공기 흡입용 개구부가 배치되고, 공기 흡입용 개구부의 연소 배기 유로의 하류측 개구부 가장자리에는, 연소 배기 유로의 상류 측에서 연소실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편이 형성된 의류 건조기가 제공된다.
상기 의류 건조기에 의하면, 팬 케이스는 회전드럼 후방에 배치되고, 연소실은 팬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 후방의 상하 좌우의 주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회전드럼 측방 하방에는 연소실이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의류 건조기 사이즈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본체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회전드럼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 건조기는, 본체 케이스 내부의 좁은 공간에 연소실을 배치하기 때문에, 연소실 내부에 버너를 배치함에 있어, 복수의 염공열을 전후 방향으로 병렬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급배기팬의 회전 구동에 의해 연소실 근방을 흐르는 공기는 연소 배기의 유로 방향과 역방향인 것도 포함된다.
따라서, 연소실 구성벽에 배치된 공기 흡입용 개구부로부터 연소실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인접한 염공에 형성되는 연소염 간섭 현상이 생기기 쉽다. 그러나, 상기 의류 건조기에 의하면, 공기 흡입용 개구부 연소 배기 유로의 하류측 개구부 가장자리에는, 연소 배기 유로의 상류 측에서, 또한 연소실 외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편이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 흡입용 개구부로부터 연소실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연소실 내부의 연소 배기 흐름에 따라, 연소 배기의 유로 하류측을 향해 흐르고, 버너측을 향하여는 흐르기 어려워 진다. 따라서, 연소실 내 복수의 염공열이 전후 방향으로 병렬된 경우에도 인접한 염공에 형성되는 연소염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버너 연소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 연소실 근방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너 및 버너 박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실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된 의류 건조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체 케이스에서 하벽을 생략한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3은 회전드럼 전후의 도 2에 배치된 구성 부품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는 대략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본체 케이스(11)와 본체 케이스(11)의 정면에 배치된 의류 인출구(100)를 정면측에서 덮는 개폐도어(12)로 외곽이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 건조기(1)의 개폐도어(12) 측을 정면측으로 하고, 의류 건조기(1)를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 깊이방향을 전후방향, 횡방향을 좌우방향, 높이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칭하기로 한다.
본체 케이스(11)는, 의류 인출구(100)가 개구되는 전벽(11a)과, 전후방향으로 전벽(11a)과 대향하는 후벽(11b)과, 전벽(11a)과 후벽(11b)의 상하 좌우측변을 연결하는 상하벽(11c, 11d)과 좌우벽(11e, 11f)으로 이루어진 둘레벽(110)을 포함한다.
본체 케이스(11)에는 정면 측에 원형의 개구부(130)를 갖는 원통형의 회전 드럼(3)이 횡방향 자세로 수용된다. 회전드럼(3)의 개구부(130) 전방 외주연에는 전방으로 돌출한 원환상의 전방링(31)이 형성된다. 또한, 의류 인출구(100)의 회전 드럼(3)측 외주에는, 원환상의 전드럼 서포트(14)가 형성되며, 전드럼 서포트(14)외주 부분에는, 원환상의 전 지지부(140)가 후방으로 돌출된다. 전드럼 서포트(14)의 전 지지부(140) 외주에는 링형상의 전씰부재(201)가 환설되어 있다.
회전드럼(3)의 개구부(130)에 설치된 전방링(31) 내주면은 전드럼 서포트(14)의 전 지지부(140) 외주면에 대향하며, 전씰부재(201)의 외주면 접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회전드럼(3)내 전방의 온풍이 개구부(130)로부터 본체 케이스(11) 내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원통형상의 의류 인출구(100) 하방 부분의 일정 영역에는, 반원호 형상의 개구부(이하,「온풍 배출구」라고 한다)(121)가 배치된다. 온풍 배출구(121)에는 분리 가능한 그물망 모양의 에어필터(19)가 장착된다. 회전드럼(3) 내의 온풍이 온풍 배출구(121) 및 후술하는 접촉덕트(120)를 통해 배기덕트(20)로 송출될 때, 에어필터(19)에 의해 회전드럼(3) 내부에 부유하는 쓰레기나 보풀이 제거된다.
회전드럼(3)의 몸통부(131) 후단에는 후방벽(133)이 접속된다. 후방벽(133) 외주부에는 후방으로 팽창하는 원형오목부가 형성된다. 회전드럼(3)의 후방벽(133) 중앙부에는 원통형의 지지축(15)이 삽입되어 있다.
지지축(15)은 회전드럼(3)의 후방벽(133) 후방에서 본체 케이스(11)에 세워지는 후방드럼 지지대(111)에 삽입된다. 후방드럼 지지부(111)는 하나의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것으로, 평판부와 평판부의 좌우 양단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부 형상을 갖는다.
후방드럼 지지부(111)의 평판부 외주부에는 전방으로 팽창하는 원형의 볼록부가 형성된다. 볼록부는 후술하는 급기덕트(17)의 전면에 형성된 덕트접촉구(171)에 대향하는 원환상 영역에 일정폭의 개구부(112)를 갖는다. 회전드럼(3)의 후방벽(133)은 지지축(15) 중간부의 외주에 베어링을 통해 연결된다. 후방드럼 지지부(111)의 볼록 외주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환형의 후방지지부(113)가 형성된다.
회전드럼(3)의 안쪽 오목부를 형성하는 후방벽(133)은 후방으로 팽창되어 있고, 팽창된 원환형의 외주면은 링형상의 후방 밀봉부재(202)를 통해 후방드럼 지지대(111)의 후방지지부(113) 내주면에 대향한다.
회전드럼(3)의 외주부와 모터(16)의 도시되지 않은 일단 측의 출력축 드럼 구동풀리 사이에는 전동벨트(160)가 걸쳐져 있다. 도시되지 않은 전동벨트(160)에는 벨트 장력기구에 의해 장력이 부여된다.
또한, 지지축(15) 후단부에는 팬풀리(151)가 장착되고, 팬풀리(151)와 모터(16)의 타단측 출력축에 설치된 팬구동 풀리(154) 사이에는 팬벨트(155)가 걸쳐져 있다. 따라서, 공통의 모터(16)에 의해 회전드럼(3) 및 급배기팬(21)이 벨트전동에 의해 회전 구동하게 된다.
후방드럼 지지부(111)의 후면측 좌측 영역에는 버너(9)에 의해 가열된 온풍을 회전드럼(3)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대략적으로 편평한 반원호 형상의 급기덕트(17)가 배치되어 있다. 급기덕트(17)는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2장의 금속판을 접합하여 형성된다. 급기덕트(17)의 후면 상부에는 후방으로 개방되고 후술하는 연소실(5)과 연통하는 유입구(상류 측 개구부)(17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급기덕트(17) 전면에는 대략 전방으로 개방되어 온풍을 전방으로 불어내는 덕트접촉구(171)가 배치된다. 따라서, 급기덕트(17)와 후방드럼 지지대(111)와 회전드럼(3) 후방벽(133) 사이 간극은 급기통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후방드럼 서포트(111)의 후면측 중심부에는, 대략 반원호 형상의 급기덕트(17) 내주에 끼워지며, 전후로 개방된 편평한 원통 형상의 배기부(200)를 구비한 배기덕트(20)가 배치된다. 배기부(200)의 후방개구부(이하,「배기출구」라 함) (210)는 팬케이스(4)의 흡기부(40)와 대향하며, 배기부(200)의 전방 개구부는 후방드럼지지부(111)의 후면에 맞닿아 닫혀져 있다. 또한, 배기덕트(20)는 배기부(200)에서 경사져 우측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단부에서 좌우로 넓게 형성되어 있다. 배기덕트(20) 하단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배치되며, 배기덕트(20)는 후방드럼지지부(111)의 하단 개구부를 통해 의류 인출구(100) 하방 영역의 온풍배출구 (121)로부터 회전드럼(3)과 본체 케이스(11)의 하벽(11d) 사이에 형성된 간극(G)을 통해 회전드럼(3) 후방으로 연장되는 접촉덕트(120)에 접속된다. 따라서, 온풍배출구(121)로부터 배출된 온풍은 접촉덕트(120) 및 배기덕트(20)를 통해 팬케이스(4)로 공급된다.
급기덕트(17) 및 배기덕트(20) 후방에는 급배기팬(21)을 수용하는 팬케이스(4)가 배치된다. 팬케이스(4)는,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여 후방으로 개방된 얕은 접시형상의 전방벽(43)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평판 형상의 후방벽(44)을 접합한 대략 편평한 원통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팬케이스(4)는, 전방벽(43)에 개구되고 배기덕트(20)의 배기출구(210)와 연통하는 흡기부(40)와, 팬케이스(4)의 둘레면으로부터 접선 방향의 상방으로 돌출하여, 본체 케이스(11)의 상벽(11c)에 형성된 배기부(10)와 연통하는 토출구(41)를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급배기팬(21)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외부 공기가 도시되지 않은 본체 케이스(11)의 흡입구로부터 본체 케이스(11)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연소실(5)에서 버너(9)에 의해 가열된 온풍은 전술한 급기 덕트(17)를 통해 회전드럼(3) 내부로 유도된다. 또한, 회전드럼(3) 내부의 온풍은 전술한 온풍 배출구(121)로 배출되고, 배출된 온풍은 접촉덕트(120) 및 배기덕트(20)를 통해 팬케이스(4)로 유도되며, 본체 케이스(11)의 배기부(10)에서 외부로 배기된다.
회전드럼(3)의 후방벽(133) 오목부에는, 지지축(15)에서 방사상으로 복수의 소원공(이하,「온풍 송풍구」라고 한다)(135)이 천공되어 있으며, 급기덕트(17)에 보내지는 온도의 바람은 이들 온풍 송풍구(135)를 통해 후방벽(133)과 후술하는 커버 플레이트(153) 사이의 간극으로 유도된다.
지지축(15)의 전단부에는, 그 외주 방향으로 넓어지는 대략 원판형상의 고정플랜지(152)가 고정되며, 또한 그 고정플랜지(152)의 전면에는, 후방벽(133) 전면의 거의 전체를 회전드럼(3)의 내측으로부터 덮는 원판형상의 커버판(153)이 비회전 상태로 고정된다. 도시하지 않은, 커버 플레이트(153) 외주 소정폭의 원환형 영역에는 복수의 작은 온풍 송풍구가 천공되어 있다.
도 4는 연소실(5) 부근의 주요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케이스(4)와, 본체 케이스(11) 둘레벽(110)의 상벽(11c)과 우벽(11f)의 코너부에 형성되는 공간(S)에는, 대략 가로 L자 형상의 연소실(5)이 배치된다. 연소실(5)은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금속판을 접합하여 형성한 것으로, 전후, 좌우 및 상하 구성벽(51~56)을 가진다.
연소실(5)의 하부 구성벽(56)은 팬 케이스(4)의 외주 형상과 대략적으로 일치하는 상방으로 볼록한 대략 반원호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팬 케이스(4)와 연소실(5)은 좁은 간극을 통해 서로 대향하며, 연소실(5)의 상하 방향 높이를 제한한다.
연소실(5)의 전후 방향 길이는 팬케이스(4)의 그것보다 크고, 대략 가로 L자 형상의 후방 구조벽(52) 후면은 팬케이스(4) 전방벽(43)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에 접촉된다. 따라서, 연소실(5)은 전후 방향으로 팬케이스(4)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는다.(도 1 참조) 또한, 본 실시예는, 팬케이스(4) 후방벽(44)에 설치된 지지축(15)의 베어링 이외에 팬케이스(4) 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는 구성 부품이 설치되지 않으며, 팬케이스(4)는 본체 케이스(11)의 후벽(11b)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드럼 지지대(111)와 팬케이스(4) 사이에는 대략 반 원호형상의 급기덕트(17)가 배치되므로, 연소실(5)이 위치하는 팬케이스(4)의 전방벽(43) 우측 영역 전방에는 급기덕트(17)의 전후 방향 길이에 해당하는 갭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소실(5)은 전방 구성벽(51)이 팬케이스(4)의 전방벽(43) 보다 전방의 간극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연소실(5)을 팬케이스(4) 보다 후방으로 돌출시키지 않으면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연소실(5)을 배치할 수 있다.
구성벽(51)은 변형된 오각형 형상을 가지며, 전방 구성벽(51)의 좌우 방향 길이는 후방 구조벽(52)의 그것보다 작다. 따라서, 연소실(5)의 전방 구성벽(51) 좌측에는, 유출구(하류 측 개구부)(57)가 전방으로 개방된다.
연소실(5)의 유출구(57)는 급기덕트(17)의 후면 상부에 배치된 유입구(상류 측 개구부)(170)와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접속된다. 연소실(5)의 전방 구성벽(51)은 팬케이스(4)의 전방벽(43) 보다 전방에 위치하므로, 연소실(5)과 급기덕트(17)는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소실(5)의 유출구(57)와 급기덕트(17)의 유입구(170)는 전후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접속된다. 따라서 연소실(5)과 급기 덕트(17)를 맞춘 전후 방향의 길이를 제한할 수 있고 동시에, 연소실(5)로부터 직선적으로 급기덕트(17)에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 연소실(5)과 급기덕트(17)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연소실(5)의 상부 구성벽(55)은,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긴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본체 케이스(11)의 우벽(11f) 근방으로부터 본체 케이스(11)의 좌우 방향 중앙부 보다도 좌측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연소실(5)에서는 좌우방향이 길이방향이 된다.
연소실(5) 내 우측 구성벽(53)은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본체 케이스(11)의 상벽(11c) 근방으로부터 팬케이스(4)의 대략 상반부 높이까지 대략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다. 연소실(5)의 좌측 구성벽(54)은 본체 케이스(11)의 상벽(11c) 근방으로부터 팬케이스(4)의 상방까지 대략 거의 하방으로 연장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소실(5) 우단 부근에는, 버너(9)가 배치된 버너 박스(7)가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2개의 버너(9)가 세로 거치대로 버너 박스(7) 내에 배치된다. 각 버너(9)는 복수(여기서는 10개)의 염공(90)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병설된 복수(여기에서는 2열)의 염공열(91)을 갖는다. 버너 박스(7)에는 복수(여기서는 4열)의 염공열이 전후방향으로 병렬된다. 각 염공(90)은 상하방향으로 긴 슬릿 형상을 가지며, 중앙부에는 보염을 위한 칸막이판을 형성한다. 또한, 어느 염공(90)도 동일한 좌측 방향을 향하여 대략 수평으로 개구된다. 따라서, 연소 배기는 연소실(5)의 길이 방향 우측에서 좌측으로 흐르게 된다. 도시되지 않은 각 버너(9)의 가스 입구는 개구방향이 하방으로 정렬되어 개구되며, 가스 입구에는 가스노즐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버너(9)는 연소실(5) 내에 염공열(91)이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병렬구조를 가지는 경우, 버너(9)의 개수, 염공(90) 및 염공열(91)의 수 및 형상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버너박스(7)는 소정의 형상으로 복수의 금속판을 접합하여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버너박스(7)가 연소실(5)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 버너박스(7)는 좌측면에 버너(9)의 염공(90)이 연소실(5)에 노출되도록 각 버너(9) 2열의 염공열(91)이 삽입 관통되는 염공개구부(71)가 개방된 엔드플레이트(70)를 구비한다. 염공 개구부 (71)는 설치의 편의를 고려하여 삽입된 버너(9)의 2열의 염공열(91) 치수보다 약간 큰 전후 및 상하 방향의 치수를 가진다. 또한, 염공 개구부(71)의 상하 양단부로부터 상하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단부판(70)의 상하 양단부에는 각각, 연소실(5)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개구부(이하,「외방 "개구부"라 함)(72)가 개방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개구부(72)는 버너(9)의 염공열(91)이 염공개구부(71)에 삽입될 때, 버너(9)와 염공개구부(71) 사이의 갭 보다 큰 개구 면적을 갖는다. 외측개구부(72)는 염공개구부(71)의 전후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단부판(70)의 전후 양단부에 형성하여도 된다.
외측개구부(72)의 염공개구부(71)측 개구부 가장자리에는, 단부판(70)의 상하 양단부를 절개함으로써, 염공(90)의 개구부 방향인 좌측 방향을 향하여 염공(90)의 돌출된 높이보다 높게 돌출된 입설벽(73)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소실(5)의 우측으로부터 연소실(5)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버너(9)와 염공 개구부(71) 사이의 간극 뿐 아니라, 외측개구부(72)에도 분산되어 유입된다. 또한, 버너(9)와 염공 개구부(71) 사이의 간극보다 크게 외측개구부(72)가 형성되면, 외측개구부(72)로부터 연소실(5)로 공기 유입이 쉬워진다. 또한, 외측개구부(72)로부터 연소실(5)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입설벽(73)에 의해 염공(90)을 향해 흐르기 어렵게 된다.
도 2,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소실(5)의 전후 및 상하 구성벽(51, 52, 55, 56)에는 모두, 버너(9)의 염공(90) 근방 위치로부터 연소실(5) 길이의 좌우방향 중앙부까지, 복수의 제1 공기 흡입용 개구부(58)가 소정의 간격으로 개구된다. 전후의 구성벽(51, 52)에 형성된 제1공기 흡입용 개구부(58)는 연소 배기의 유로 방향으로 교차하는 상하방향 길이의 슬릿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하의 구성벽(55, 56)에 형성된 제1 공기 흡입용 개구부(58)는, 연소배기 유로 방향과 교차하는 전후방향 길이의 슬릿형상을 가진다. 또한, 후방구성벽(52) 좌우 방향 중앙부보다 좌측에는, 복수의 제2공기 흡입용 개구부(60)가 소정의 간격으로 개구된다. 제2공기 흡입용 개구부(60)는 연소 배기의 유로 방향에 따른 좌우 방향 길이의 슬릿 형상을 가지며, 연소실(5)의 유출구(57)(하류 측 개구부)에 대향한다. 급배기 팬(21)을 회전구동시킴으로써, 이들 제1 및 제2 공기 흡입용 개구부(58, 60)로부터 본체 케이스(11) 내부의 공기가 연소실(5)로 유입된다. 제1 및 제2 공기 흡입용 개구부(5 8, 60)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 길이의 제1공기 흡입용 개구부(58)의 연소 배기 하류측 제1개구부 가장자리(58a)에는, 연소 배기의 유로의 상류측(즉, 버너측)에서, 또한 연소실(5) 외측으로 돌출하는 루버 형상의 제1돌출편(59)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 제1공기 흡입용 개구부(58)로부터 연소실(5)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버너(9) 측으로 흐르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긴 제2공기 흡입용 개구부(60)의 하방 제2개구부 가장자리(60a)에는 상방 및 연소실(5)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루버 형상의 제2 돌출편(6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제2공기 흡입용 개구부(60)로부터 연소실(5)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하방으로 흐르기가 숴워진다. 또한, 제2공기 흡입용 개구부(60)는 급기덕트(17)의 유입구(170)에 접속되어 있는 유출구(57)와 대향한다. 이에 따라 연소실(5)의 상류측에서 흘러 들어오는 연소 배기 및 공기를 원활하게 유출구(57) 및 유입구(170)를 통해 급기덕트(17)로 유도할 수 있다.
연소실(5)의 상방 구성벽(55)과 본체 케이스(11)의 상부벽(11c) 사이에는 상방 구성벽(55) 전체를 덮도록 대략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차열판(62)을 배치한다. 이에 따라, 연소실(5)의 상방 구성벽(55)이 연소염으로 달구어진 경우에도, 본체 케이스(11) 상벽(11c)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열판(62)에는, 차열판(62)의 후연으로부터 연소실(5)의 후방 구성벽(52)과 대략 평행하게 일정거리 만큼 이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고정판(63)이 접속되어 있다. 고정판(63)의 후면에는 온도퓨즈,OHS(Over Heat Switch)등으로 구성된 과열방지장치(300)의 검출부(301)가 고정된다. 과열방지장치(300)는 검출부(301)에서 과열방지 온도의 이상이 검출되면 버너(9)의 연소를 정지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소실(5)은, 팬케이스(4)와, 본체 케이스(11) 후방의 둘레벽(110) 중 상벽(11c)과 우벽(11f)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에 배치된다. 회전 드럼(3)의 측방 하방에는 연소실(5)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의류 건조기(1)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본체 케이스(11)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드럼(3)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의류 건조기(1)의 구성에 따라, 연소실(5)은 팬케이스(4)와 본체 케이스(11) 후방의 둘레벽(1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면, 임의의 위치에 배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소실(5)은, 팬케이스(4)와, 본체 케이스 후방의 상부 상벽(11c)과 좌벽(11e)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소실(5) 내부에서, 복수의 염공(90)은 동일한 우측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며, 각 염공열(91)에서 복수의 염공(90)은 상하 방향으로 병설되고, 복수의 염공열(91)은 전후 방향으로 병렬된다. 또한, 연소실(5)은, 팬케이스(4)와, 하벽(11d)과 좌벽(11e) 또는 우벽(11f)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케이스(11) 내부의 좁은 공간에 연소실(5)을 배치하기 위하여, 연소실(5)에 버너(9)를 배치하는 경우에, 복수의 염공열(91)을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병렬시킨다. 급배기팬(21)의 회전 구동에 의해 연소실(5) 근방을 흐르는 공기에는 연소배기의 유로방향과 역방향의 공기도 포함된다.
따라서, 연소실(5) 구성벽(51, 52, 55, 56)의 연소배기 유로 상류측인 버너(9)가 수용된 측의 일정범위에 개설된 제1공기 흡입용 개구부(58)로부터 연소실(5)로 유입된 공기에 의하여 인접된 염공(90)에 형성되는 화염 간섭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공기 흡입용 개구부(58)의 연소배기 유로 하류측 제1개구 가장자리(58a)에는 연소배기 유로의 상류측 및 연소실(5) 외측을 향해 돌출된 제1돌출편(59)이 형성되므로, 제1공기 흡입용 개구부(58)로부터 연소실(5)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연소실(5) 내부의 연소 배기 흐름에 따라 연소배기 유로의 하류 측인 급기덕트(17) 측을 향해 흐르게 되며, 버너(9)측을 향하여는 흐르기가 어려워 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소실(5)의 급기덕트(17)와 접속되는 측의 유출구(57)에 대향하는 일정한 범위의 후방 구성벽(52)에는, 본체 케이스(11) 내부의 공기를 연소실(5) 내부로 유입하는 좌우방향 길이의 제2공기 흡입용 개구부(60)가 배치되며, 제2공기 흡입용 개구부(60) 아래의 제2개구부 가장자리(60a)에는 상방 및 연소실(5)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2돌출편(61)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제2공기 흡입용 개구부(60)로부터 연소실(5)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연소배기가 급기덕트(17)를 향하여 흐르기가 쉬워진다.
따라서, 연소실(5)은 좁은 공간(S)에 배치되고, 연소실(5) 내부에 복수의 염공열(91)이 전후 방향으로 병렬인 경우에도 인접한 염공(90)에 형성된 연소염 간섭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소배기나 연소실(5)에 도입된 공기를 원활하게 급기덕트(17)로 공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 건조기(1)의 사이즈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본체 케이스(11)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드럼(3)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버너(9)의 연소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공기 흡입용 개구부(58)는 연소실(5)의 전후 및 상하부 구조벽(51, 52, 55, 56)에 형성된다. 그러나, 제1공기 흡입용 개구부(58)는 연소실(5)의 구성 벽 중 어느 하나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공기 흡입용 개구부(58)는 연소 배기의 유로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상하 또는 전후 방향으로 긴 슬릿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제1공기 흡입용 개구부(58)는 연소배기의 유로방향과 경사진 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유사하게는, 제2공기 흡입용 개구부(60)는 연소 배기의 유로 방향으로 경사진 각도를 따라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돌출편(59, 61)은 각각 루버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제1 및 제2 돌출편(59, 61)은 임의형상으로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돌출편(59, 61)은, 각 개구부 가장자리(58a,60a)로부터 연소배기 유로의 상류측에서, 그리고 연소실(5)의 외방을 향하여 돌출된 경사편 만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 개구부 가장자리(58a, 60a)로부터 연소실(5) 외방에 대략 수직으로 돌출되어 선단부에서 연소배기 유로의 상류측을 향해 굴곡되어 연장되는 대략 가로 L자 형상의 굴곡편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1. 의류 건조기 3. 회전드럼
4. 팬케이스 5. 연소실
57. 유출구 58. 제1공기 흡입용 개구부
58a. 제1개구부 가장자리 59. 제1돌출편
60. 제2공기 흡입용 개구부 60a. 제2개구부 가장자리
61. 제2 돌출편 9. 버너
90. 염공 91. 염공열
11. 본체 케이스 11c. 상벽
11d. 하벽 11e. 좌벽
11f. 우벽 110. 둘레벽
12. 개폐도어 21. 급배기팬
17. 급기덕트 170. 유입구
100. 의류 배출구 S. 공간

Claims (1)

  1. 전방에 의류 인출구를 갖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본체 케이스와, 의류 인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회전 드럼;
    버너를 수용하는 연소실; 및
    상기 회전 드럼 후방에 배치되어 공기를 상기 연소실에 유입하고, 상기 버너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온풍으로 상기 회전 드럼 내부에 공급하며, 상기 회전 드럼 내 온풍을 외부로 배기하는 급배기 팬을 수용하는 팬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연소실은, 상기 팬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 후방의 상하 좌우 주벽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버너는, 복수의 염공이 소정 간격으로 병설된 염공열을 가지며, 상기 연소실에는 복수의 상기 염공열이 전후 방향으로 소정 의 간격으로 병렬되도록 상기 버너가 배치되고, 상기 연소실의 구성벽에는, 공기를 상기 연소실로 유입하는 공기 흡입용 개구부가 배치되며, 상기 공기 흡입용 개구부의 연소 배기 유로 하류측 개구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연소 배기 유로의 상류 측에서 상기 연소실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KR1020230047846A 2022-04-12 2023-04-11 의류 건조기 KR202301464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65913 2022-04-12
JP2022065913A JP2023156192A (ja) 2022-04-12 2022-04-12 衣類乾燥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481A true KR20230146481A (ko) 2023-10-19

Family

ID=8835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7846A KR20230146481A (ko) 2022-04-12 2023-04-11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156192A (ko)
KR (1) KR20230146481A (ko)
CN (1) CN116905203A (ko)
TW (1) TW20234056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7292A (ja) 1992-03-31 1993-10-26 Rinnai Corp 衣類乾燥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7292A (ja) 1992-03-31 1993-10-26 Rinnai Corp 衣類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05203A (zh) 2023-10-20
TW202340569A (zh) 2023-10-16
JP2023156192A (ja) 202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8992B2 (en) Gas oven range
JP3845082B2 (ja) 乾燥機用ガス燃焼装置
US9488377B2 (en) Gas oven range
AU2002319942A1 (en) Gas burner for dryer
US20040123488A1 (en) Base structure for air inflow in clothes dryer
KR20230146481A (ko) 의류 건조기
KR20180093794A (ko) 의류 건조기
KR100578349B1 (ko) 건조기의 공기유동구조
KR20230141492A (ko) 의류 건조기
KR20090071284A (ko) 건조기의 가스히터용 혼합관
JP2013152066A (ja) 燃焼装置
JP5740342B2 (ja) 衣類乾燥機
KR100780348B1 (ko)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
JP7478624B2 (ja) 衣類乾燥機
JPH11262599A (ja) ガス衣類乾燥機
KR20090071429A (ko)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JP2007283091A (ja) 回転ドラム式乾燥機
JPH0790081B2 (ja) ガス衣類乾燥機
JP4126394B2 (ja) 穀物乾燥機
JP7479268B2 (ja) 燃焼装置
JP2023109397A (ja) 給湯器
KR100869503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JP6362404B2 (ja) 加熱調理器
KR100807835B1 (ko) 건조기의 에어공급덕트
CN104005198B (zh) 衣物处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