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6359A -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6359A
KR20230146359A KR1020220045285A KR20220045285A KR20230146359A KR 20230146359 A KR20230146359 A KR 20230146359A KR 1020220045285 A KR1020220045285 A KR 1020220045285A KR 20220045285 A KR20220045285 A KR 20220045285A KR 20230146359 A KR20230146359 A KR 20230146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ft
vertical
horizontal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정
Original Assignee
박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정 filed Critical 박찬정
Priority to KR1020220045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6359A/ko
Publication of KR20230146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 B62B1/06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12Boxes, C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02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suspended
    • B62B2203/04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suspended pivotally, e.g. for keeping it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1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lifting means
    • B62B2203/13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lifting means comprising a self levell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60Positioning, means on a cart for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화물이 적재된 리프트부재(13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카트부재(110); 상기 카트부재(1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이동시키고자 하는 화물이 적재되는 리프트부재(130);를 마련하여 리프트의 록킹프레임을 카트부재에 고정시킴으로써 화물의 중량에 의해 리프트가 회전되지 않고, 이로 인해 중량물을 실은 리프트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화물의 상하차 작업 중에 리프트를 결속끈으로 결속시켜 두어 화물을 안정적으로 상하차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Non-motorized loading equipment for trucks}
본 발명은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이 적재된 상태로 이동 시 리프트부재가 화물에 의해 들리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리프트를 카트부재에 안정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화물의 운송을 위해 트럭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택배 등 각종 배달 운송의 활성화로 인해 이러한 트럭을 이용한 화물 운송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트럭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이 장착된 차량으로, 트럭의 적재함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차량에 장착된다.
트럭의 적재함에 화물을 상차하는 작업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데, 적재함이 일정 높이를 갖기 때문에, 적재함에 화물을 상차하는 작업은 상당히 힘들고 어려운 작업이다.
특히, 화물의 중량이 무거운 경우에는 그 작업을 수작업으로는 불가능하여 별도의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화물상차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화물 상차 작업을 좀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차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대부분 그 규모가 크고 무거운 형태의 대형 장치로 구성되어 트럭에 장착하지 못하고 창고 등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대형 창고와 같이 특정 장소에서 화물을 상차하는 경우 이외에 다양한 장소에서 수시로 화물을 상차하는 작업은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중량이 무거워 수작업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매번 지게차 등의 장비를 따로 이용하여 상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화물차량 등에 설치되어 있는 적재함은 지면과의 높이차가 커서 중량물을 사람이 적재함에 올리거나 적재함으로부터 내리기가 매우 힘든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선행기술로서, 차량용 리프트 게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적재함의 후부에 장착되어 유압실린더로 작동되는 게이트판의 높이는 물론 경사도를 조정하여 적재장소 및 하역장소의 높이에 맞게 게이트판의 후단을 대치시켜놓을 수 있으므로 화물의 이동을 연속적으로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화물차의 리프트 게이트는 출고된 화물차 후방도어와 차체프레임을 절단 및 용접하는 등의 개조 작업에 의하여 리프트게이트를 추가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리프트게이트를 구동하는 구동실린더는 대부분 고출력의 유압실린더를 적어도 2개 이상 사용해야 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해지고 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리프트게이트 자중이 증가하여 차량의 연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리프트게이트 작동 중 스위치 등의 오동작으로 인하여 리프트게이트의 각도가 기울어지는 경우 중량물이 리프팅 하는 과정에서 떨어지는 경우 적재물이 파손되거나 작업자가 큰 부상을 당하게 되는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는 화물차의 적재함 후방도어를 제거한 후 대신하여 적재함 후방도어의 경첩부에 90도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공간부를 가진 개폐도어와, 상기 공간부의 개구부를 출입하면서 절첩 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제1 및 제2신축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신축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피스톤 로드가 횡 방향으로 작동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 단부에 구비되는 가동풀리와, 상기 제1신축부재에 일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고, 중간부는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는 제1고정풀리와 상기 가동풀리에 걸쳐진 후 타단부가 상기 공간부 일측벽에 고정되는 제1구동와이어와, 상기 제2신축부재에 일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고, 중간부는 상기 공간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고정풀리 및 리턴고정풀리를 거친 후 상기 가동풀리에 걸쳐진 다음 타단부가 상기 공간부 일측벽에 고정되는 제2구동와이어와, 상기 제1 및 제2신축부재의 각 외측 단부에 힌지 조립되어 상기 피스톤로드의 작동 방향에 따라 당겨지고 풀리는 상기 제1 및 제2구동와이어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와 지면 사이에서 승,하강하는 승강판을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화물차용 장비 상차 및 하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화물차용 장비 상차 및 하차장치는 수평으로 위치되어 상면부에 장비가 적재되는 적재프레임이 구비되고 적재프레임의 좌우 양측면 전방에는 각각 수직상방으로 전방포스트가 고정설치되며 각 전방포스트에는 상하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전방장착관이 좌우 수평으로 관통 설치되어 있고 적재프레임의 좌우 양측면 후방에는 각각 수직상방으로 후방포스트가 고정 설치되며 각 후방포스트에는 상하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후방장착관이 좌우 수평으로 관통 설치된 프레임부와, 복수개의 전방장착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수평으로 착탈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전방삽입대가 구비되고 각 전방삽입대의 일측 끝단에는 하방으로 전방상측로드가 고정 설치되며 전방상측로드의 하부 내측에는 전방하측로드가 삽입되어 하방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 전방로드부와, 복수개의 후방장착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수평으로 착탈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면서 각도 조절되게 설치되는 후방삽입대가 구비되고 각 후방삽입대의 일측 끝단에는 하방으로 후방상측로드가 고정 설치되며 후방상측로드의 하부 내측에는 후방하측로드가 삽입된 상태로 하방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 후방로드부로 구성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129434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75680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5138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싣고자 하는 화물을 화물차량의 적재함 높이로 간편하게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카트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화물 적재함에 싣고자 하는 화물을 간편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물이 적재되는 리프트를 카트에 록킹시켜 이동함으로써, 화물의 중량에 의해 리프트가 회전되지 않고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는 이동시키고자 하는 화물이 적재된 리프트부재(13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카트부재(110); 상기 카트부재(1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이동시키고자 하는 화물이 적재되는 리프트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부재(130)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리프트유닛(131)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리프트유닛(14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리프트유닛(141)에는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부재(130)가 회전되지 않게 상기 카트부재(1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록킹프레임(14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에는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의 수평프레임(132)이 이격되게 고정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32)의 전면에는 제1 전방프레임(133)이 고정되며, 상기 제1 전방프레임(133)에는 상기 리프트부재(130)가 상기 카트부재(111)에 고정된 상태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결속끈(134)의 일단이 결속되고, 상기 결속끈(134)의 타단은 상기 카트부재(110)의 수직프레임(113)의 인출구멍(114)을 통해 인출되고, 상기 결속끈(134)의 타단은 자유단으로 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리프트유닛(141)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직프레임(141)이 고정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41)의 상면에는 상부고정프레임(143)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고정프레임(143)에는 상기 카트부재(110)의 중간고정프레임(115)에 끼워질 수 있도록 록킹프레임(143)이 설치되고, 상기 록킹프레임(143)에는 상기 중간고정프레임(115)에 끼워진 상태를 안정으로 유지할 수 있게 고정핀구멍(145)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구멍(145)에는 상기 록킹프레임(143)이 이탈되지 않게 상기 고정핀구멍(145)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핀(14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프트부재(130)는 화물을 안정되게 적재시킬 수 있게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수평리프트유닛(131)과,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에 적재된 화물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의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리프트유닛(14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132); 상기 수평프레임(132)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 전방프레임(133); 상기 제1 전방프레임(133)에 결속되는 결속끈(134); 상기 결속끈(134)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카트부재(110)의 수직프레임(113)의 전면으로 자유롭게 인출되는 자유단결속끈(135);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리프트유닛(141)은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141); 상기 수직프레임(141)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부고정프레임(143); 상기 카트부재(110)의 중간고정프레임(115)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고정프레임(143)에 설치되는 록킹프레임(144); 상기 록킹프레임(144)에 형성되는 고정핀구멍(145); 상기 록킹프레임(144)이 상기 중간고정프레임(115)에 안정되게 록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상기 고정핀구멍(145)에 결합되는 고정핀(1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을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고정시키는 리프트고정부재(150);를 더포함하고,
상기 리프트고정부재(150)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바(151);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을 수평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바(151)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리프트고정판(152); 상기 리프트고정판(152)에 고정핀(155)을 끼울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고정판(152)에 형성되는 고정핀구멍(153); 상기 리프트고정판(152)과 대칭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차량받침돌기(154); 상기 고정핀구멍(153)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핀(1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에 의하면, 리프트의 록킹프레임을 카트부재에 고정시킴으로써 화물의 중량에 의해 리프트가 회전되지 않고, 이로 인해 중량물을 실은 리프트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화물의 상하차 작업 중에 리프트를 결속끈으로 결속시켜 두어 화물을 안정적으로 상하차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의 리프트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의 리프트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가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는 이동시키고자 하는 화물이 적재된 리프트부재(13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카트부재(110)와, 상기 카트부재(1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이동시키고자 하는 화물이 적재되는 리프트부재(13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는 모터 또는 실린더 등에 의하지 않고서도 작업자가 카트부재(110)를 회전시킴에 따라 리프트부재(130)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을 화물차량의 적재함 높이까지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화물을 이동시킬 수 있게 카트부재(110)가 구비되고, 상기 카트부재(110)에는 화물을 적재시킬 수 있게 리프트부재(130)가 설치된다.
상기 카트부재(110)의 좌우 양측에는 손잡이프레임(111)이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프레임(111)의 상단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손잡이(11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프레임(111) 사이에는 수직프레임(113)이 고정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3)에는 결속끈(134)의 일단이 인출되는 인출구멍(114)이 형성된다.
또 상기 손잡이프레임(111) 사이에는 강성을 보강하는 중간고정프레임(115)이 고정되며, 상기 중간고정프레임(115)은 록킹프레임(144)이 끼워질 수 있게 적정 높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카트부재(110)의 저면에는 일정 크기를 갖는 받침대(116)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116)의 전면에는 리프트부재(1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환봉(117)이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받침대(116)의 배면에는 이동바퀴(119)를 설치할 수 있게 바퀴브래킷(118)이 설치되고, 상기 바퀴브래킷(118)에는 일정 크기를 갖는 이동바퀴(119)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리프트부재(130)는 화물을 적재하는 것으로, 상기 리프트부재(130)는 받침대(116)의 상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수평리프트유닛(131)과,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에 적재되는 화물을 안정되게 적재시킬 수 있게 수직 방향으로 수직리프트유닛(14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프트부재(130)는 화물을 안정되게 적재시킬 수 있게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수평리프트유닛(131)과,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에 적재된 화물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의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리프트유닛(14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132)과, 상기 수평프레임(132)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 전방프레임(133)과, 상기 제1 전방프레임(133)에 결속되는 결속끈(134)과, 상기 결속끈(134)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카트부재(110)의 수직프레임(113)의 전면으로 자유롭게 인출되는 자유단결속끈(135)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리프트유닛(141)은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141)과, 상기 수직프레임(141)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부고정프레임(143)과, 상기 카트부재(110)의 중간고정프레임(115)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고정프레임(143)에 설치되는 록킹프레임(144)과, 상기 록킹프레임(144)에 형성되는 고정핀구멍(145)과, 상기 록킹프레임(144)이 상기 중간고정프레임(115)에 안정되게 록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상기 고정핀구멍(145)에 결합되는 고정핀(146)을 구비한다.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은 화물을 안정되게 적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수평프레임(132)이 고정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32)의 전방에는 제1 전방프레임(133)이 고정된다.
상기 제1 전방프레임(133)에는 리프트부재(130)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게 결속시킬 수 있는 결속끈(134)의 일단이 결속되며, 상기 결속끈(134)의 타단은 카트부재(110)의 수직프레임(113)에 형성된 인출구멍(114)을 통해 수직프레임(113)의 전면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결속끈(134)의 일단은 제1 전방프레임(133)에 결속되고, 결속끈(133)의 일부는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된 수직프레임(113) 내에 인입되어 인출구멍(114)을 통해 카트부재(110)의 전면으로 자유단결속끈(135)이 돌출된다.
또 상기 제1 전방프레임(133)의 전면에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뒷문에 거치되는 제2 전방프레임(136)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직리프트유닛(141)은 수평리프트유닛(131)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42)은 수평프레임(132)의 일단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42)의 상단에는 상부고정프레임(143)이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고정프레임(143)에는 리프트부재(130)를 중간고정프레임(115)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게 록킹프레임(144)이 고정된다.
상기 록킹프레임(144)에는 고정핀구멍(145)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구멍(145)에 끼워져 리프트부재(130)가 카트부재(1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고정핀(14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리프트부재(130)에는 제2 전방프레임(136)을 화물차량에 고정시키는 리프트고정부재(150)가 구비된다.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을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고정시키는 리프트고정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트고정부재(150)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바(151)와,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을 수평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바(151)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리프트고정판(152)과, 상기 리프트고정판(152)에 고정핀(155)을 끼울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고정판(152)에 형성되는 고정핀구멍(153)과, 상기 리프트고정판(152)과 대칭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차량받침돌기(154)와, 상기 고정핀구멍(153)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핀(15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프트고정부재(150)는 화물차량의 적재함과 뒷문 사이의 틈새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전방프레임(136)이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리프트고정부재(150)의 수직바(151)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152)의 후면에는 제2 전방프레임(136)의 상면에 위치되게 리프트고정판(152)이 돌출 형성된다.
또 상기 리프트고정판(152)에는 고정핀(155)을 끼워 결합시킬 수 있게 고정핀구멍(153)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151)의 전면에는 화물차량에 걸릴 수 있게 차량받침돌기(154)가 돌출 형성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는 록킹프레임(144)이 중간고정프레임(115)에 록킹된 상태이고, 도 3(b)는 록킹프레임(144)이 중간고정프레임(115)에 록킹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서와 같이, 상기 록킹프레임(144)이 중간고정프레임(115)에 록킹된 상태에서 화물을 적재한 상태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리프트부재(130)는 화물의 중량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카트부재(110)에 고정된 상태로 화물을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록킹프레임(144)이 중간고정프레임(115)에 록킹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물을 적재한 상태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리프트부재(130)는 화물의 중량에 의해 상기 리프트부재(130)가 고정환봉(117)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리프트부재(130)가 회전됨에 따라 카트부재(110)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상기 리프트부재(130)의 록킹프레임(144)을 중간고정프레임(115)에 끼워 고정시킨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의 리프트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의 리프트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가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화물차량의 적재함(10)에 화물을 상하차 하기 위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리프트부재(130)는 고정환봉(117)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즉, 작업자는 화물을 상차 또는 하차하기 위하여 상기 카트부재(110)를 회전시킨다. 이때 도 4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프부재(130)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한다.
이렇게 기울어진 리프트부재(130)가 안정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자유단결속끈(135)을 수직프레임(113)에 고정된 고정구(137)에 끼워 결속시킨다.
즉, 상기 결속끈(134)의 일단은 제1 전방프레임(133)에 결속되어 있고, 상기 자유단결속끈(135)은 고정구(137)에 끼워 일시적으로 결속시켜 고정시킨다.
이에 상기 리프트부재(130)는 결속끈(134)에 의해 도 4의 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화물을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상차하고자 하는 화물을 수평리프트유닛(131)의 상면에 적치한다. 이때 작업자는 수직리프트유닛(141)의 록킹프레임(144)을 중간고정프레임(115)에 끼운 상태에서 고정핀구멍(145)에 고정핀(146)을 끼워 고정한다.
이에 상기 수직리프트유닛(141)은 중간고정프레임(115)에 록킹된 상태이므로, 카트부재(110)의 이동 중에 리프트부재(130)는 카트부재(1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는 작업자가 화물을 이동시키는 도중에 리프트부재(130)가 화물의 중량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물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작업자는 화물차량의 적재함(10)과 뒷문(11) 사이에 리프트고정부재(150)를 설치하며, 이때 상기 리프트고정부재(150)의 리프트고정판(152)은 뒷문(11)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한다.
이는 상기 리프트고정판(152)에 의해 수평리프트유닛(131)의 제2 전방프레임(136)을 고정시켜 줌으로써 화물의 승하차 도중에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켜 주게 된다.
이에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화물의 상차 또는 하차를 안전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리프트유닛(131)의 회전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카트부재 111: 손잡이프레임
112: 손잡이 113: 수직프레임
114: 인출구멍 115: 중간고정프레임
116: 받침대 117: 고정환봉
118: 바퀴브래킷 119: 이동바퀴
130: 리프트부재 131: 수평리프트유닛
132: 수평프레임 133: 제1 전방프레임
134: 결속끈 135: 자유단결속끈
136: 제2 전방프레임 137: 고정구
141: 수직리프트유닛 142: 수직프레임
143: 상부고정프레임 144: 록킹프레임
145: 고정핀구멍 146: 고정핀
150: 리프트고정부재 151: 수직바
152: 리프트고정판 153: 고정핀구멍
154: 차량받침돌기 155: 고정핀

Claims (5)

  1. 이동시키고자 하는 화물이 적재된 리프트부재(13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카트부재(110);
    상기 카트부재(1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이동시키고자 하는 화물이 적재되는 리프트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부재(130)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리프트유닛(131)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리프트유닛(14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리프트유닛(141)에는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부재(130)가 회전되지 않게 상기 카트부재(1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록킹프레임(14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에는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의 수평프레임(132)이 이격되게 고정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32)의 전면에는 제1 전방프레임(133)이 고정되며,
    상기 제1 전방프레임(133)에는 상기 리프트부재(130)가 상기 카트부재(111)에 고정된 상태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결속끈(134)의 일단이 결속되고,
    상기 결속끈(134)의 타단은 상기 카트부재(110)의 수직프레임(113)의 인출구멍(114)을 통해 인출되고, 상기 결속끈(134)의 타단은 자유단으로 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리프트유닛(141)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직프레임(142)이 고정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42)의 상면에는 상부고정프레임(143)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고정프레임(143)에는 상기 카트부재(110)의 중간고정프레임(115)에 끼워질 수 있도록 록킹프레임(143)이 설치되고,
    상기 록킹프레임(143)에는 상기 중간고정프레임(115)에 끼워진 상태를 안정으로 유지할 수 있게 고정핀구멍(145)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구멍(145)에는 상기 록킹프레임(143)이 이탈되지 않게 상기 고정핀구멍(145)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핀(14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재(130)는 화물을 안정되게 적재시킬 수 있게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수평리프트유닛(131)과,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에 적재된 화물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의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리프트유닛(14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132);
    상기 수평프레임(132)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 전방프레임(133);
    상기 제1 전방프레임(133)에 결속되는 결속끈(134);
    상기 결속끈(134)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카트부재(110)의 수직프레임(113)의 전면으로 자유롭게 인출되는 자유단결속끈(135);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리프트유닛(141)은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141);
    상기 수직프레임(141)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부고정프레임(143);
    상기 카트부재(110)의 중간고정프레임(115)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고정프레임(143)에 설치되는 록킹프레임(144);
    상기 록킹프레임(144)에 형성되는 고정핀구멍(145);
    상기 록킹프레임(144)이 상기 중간고정프레임(115)에 안정되게 록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상기 고정핀구멍(145)에 결합되는 고정핀(1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을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고정시키는 리프트고정부재(150);를 더포함하고,
    상기 리프트고정부재(150)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바(151);
    상기 수평리프트유닛(131)을 수평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바(151)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리프트고정판(152);
    상기 리프트고정판(152)에 고정핀(155)을 끼울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고정판(152)에 형성되는 고정핀구멍(153);
    상기 리프트고정판(152)과 대칭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차량받침돌기(154);
    상기 고정핀구멍(153)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핀(1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
KR1020220045285A 2022-04-12 2022-04-12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 KR20230146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285A KR20230146359A (ko) 2022-04-12 2022-04-12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285A KR20230146359A (ko) 2022-04-12 2022-04-12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359A true KR20230146359A (ko) 2023-10-19

Family

ID=8850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285A KR20230146359A (ko) 2022-04-12 2022-04-12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635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88B1 (ko) 2013-10-25 2014-10-22 영광군 화물차용 상·하차 리프트 장치
KR20150129434A (ko) 2014-05-12 2015-11-20 김정호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KR101775680B1 (ko) 2017-06-30 2017-09-06 상원산업 주식회사 화물차용 장비 상차 및 하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88B1 (ko) 2013-10-25 2014-10-22 영광군 화물차용 상·하차 리프트 장치
KR20150129434A (ko) 2014-05-12 2015-11-20 김정호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KR101775680B1 (ko) 2017-06-30 2017-09-06 상원산업 주식회사 화물차용 장비 상차 및 하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4043C2 (ru) Складная интермодальн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платформа
CN103832310B (zh) 车轮支撑悬置组件
CA2654173C (en) Container tilting apparatus
US4087007A (en) Cargo platform system
EP3601101B1 (en) Vehicle transport structures
US6196604B1 (en) Expandable, removable trailer enclosure support
TWI381959B (zh) Flap-shaped containers for the conveyance of plate-like goods and trailers carrying them
JP3193459U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EP3348502B1 (en)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goods
KR20230146359A (ko) 화물차용 무동력 상차장치
KR101313077B1 (ko)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US20090146450A1 (en) Deployable Pick-Up Truck Cargo Bed Cover
US10807510B2 (en)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goods
US20120070257A1 (en) Container loa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005630B1 (ko) 트럭용 적재함 덤프 장치
EP3601105B1 (en)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nd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ssembly
JP5856251B2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GB2402112A (en) Freight restraints
US20180265140A1 (en) Gate Lift
EP0739851A2 (de) Bauaufzug
JP4041578B2 (ja) コンテナシャ−シ用渡し板
KR102147852B1 (ko) 격납식 차량 적재함용 발판
KR0139700Y1 (ko) 화물차량의 덤핑장치
KR101663218B1 (ko) 난간대가 구비된 카고트럭용 적재함
KR101585173B1 (ko) 특장차용 2단 적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