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786A - 헤어케어 조성물 - Google Patents

헤어케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786A
KR20230145786A KR1020220044620A KR20220044620A KR20230145786A KR 20230145786 A KR20230145786 A KR 20230145786A KR 1020220044620 A KR1020220044620 A KR 1020220044620A KR 20220044620 A KR20220044620 A KR 20220044620A KR 20230145786 A KR20230145786 A KR 20230145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are composition
egg white
hydrolyzate
hair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관석
Original Assignee
백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관석 filed Critical 백관석
Priority to KR1020220044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5786A/ko
Publication of KR20230145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78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2Reproductive organs; Embryos,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5Skin or skin outgrowth, e.g. hair, n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의 윤기와 매끄러움과 볼륨감을 높여주는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얻기 위하여 모발케어 조성물에 난백 가수분해물과 돈피가수분해물과 세라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시키는 헤어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어케어 조성물{Hair care Composition}
본 발명은 두피를 청결하게 관리하고 모발을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모발용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발의 윤기와 매끄러움과 볼륨감을 높여주는 모발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모발은 모표피, 모피질, 모수질의 3부분이 견고하게 결합된 구조로 되어있다.
모발의 중심부에는 연필심처럼 다각형 세포가 길이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는 모수질이 있으며 이를 감싸고 구성되는 모피질은 모발 대부분(85~90%)을 차지한다. 모피질은 모발의 탄력, 강도, 감촉, 질감, 색상, 모발의 유연성과 두께를 좌우하는 기능을 가지며 수분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중요한 부분이다.
모피질을 둘러싸고 있는 모표피(cuticle)는 내부의 모피질을 보호하며 머리카락의 광택과 감촉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모발의 10~15%를 차지한다.
모발은 인체의 가장 중요한 기관인 두뇌(머리)를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중대한 기능을 가지며 또한 인체의 아름다움을 크게 좌우하는 기능도 있다.
근세에 들어 문명이 발전하고 문화가 다양하게 확대되고 인체의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얼굴의 한 부분으로서 모발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발전되어 왔다.
모발은 매우 쉽게 외부의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장기간 세발을 하지 않으면 모발이 건조하게 되고 오염물질이 모발의 표면에 부착하여 모발이 매우 거칠어져 모발이 푸석푸석하고 날리게 된다.
또 모발의 세정 시 영양공급 또는 모발 표면을 보호하는 특별한 처방이 없는 샴푸 또는 세안용 비누로 계속하여 모발을 세정하면 결국 모발은 건조하여 거칠어지게 된다.
건강한 모발도 적절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쉽게 손상 될 수 있다.
모발손상의 원인에는 많은 요소가 있다. 자외선, 건조, 염색이나 파마의 반복, 드라이어의 과다한 사용. 모발 정전기로 인한 불순물 부착 등 잘못된 관리도 모발 손상의 원인이 된다.
모발은 피부와 마찬가지로 자외선과 건조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고 대사기능의 저하나 혈류의 정체, 호르몬 밸런스의 깨짐, 스트레스 등도 모발과 두피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피부의 노화 현상과 같이 모발도 나이가 들면 가늘어지고 강도가 떨어지면서 가닥수도 줄어든다.
특히 펌이나 염색과 같이 반복적인 화학 물질 처리시 모발내부의 단백질이 용출되어 다공성화 됨으로써, 모발이 거칠어지고 윤기, 유연 효과가 떨어지게 되고 모발이 쉽게 끊어지거나 끝이 갈라지는 등의 문제와 더불어 모발이 쉽게 가늘어지고 탄력을 잃어 볼륨감이 줄어들면서 스타일링이 잘 만들어지지 않는 모발이 되고, 또 탄력이 줄면서 표면의 매끄러움을 잃고 윤기가 저하되어 나이 들어 보이게 한다.
이와 같은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며 손상된 모발을 복구하고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종래에 세정 기능만을 강조하던 샴푸에 모발을 보호하고 손상을 방지하며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성분인 세정 계면활성제 이외에 컨디셔닝제를 더 첨가한 소위 컨디셔닝 샴푸가 개발되어 실용화되었으며,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모발화장료에 실리콘, 탄화 수소유, 지방 에스테르 등의 조합물과 같은 컨디셔닝제를 포함시켜 모발의 윤기 증진, 매끄러움, 빗질 용이성, 볼륨감 또는 탄력 등의 특성을 증진시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며 어느 정도의 성과를 이루고 있으나 이러한 성분들은 모발에 눅눅함과 끈적임을 유발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극복하는 이상적인 컨디셔닝 효과를 얻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단백질 성분을 모발에 침투시키거나 부작용의 염려가 적은 천연물로서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가 나타나는 동식물추출물을 모발화장료에 포함시켜 모발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9026호 는 흑진주의 단백질 성분인 콘키올린을 가수분해한 콘키올린 단백질 가수분해물, 블루베리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성분인 안토시아닌, 및 로얄제리에 함유되어 있는 10-HDA (10-하이드록시-2-데세노익산), 라이신, 판토테닉산 성분을 함유하여 노화가 진행되면서 약해지고 가늘어지는 모발에 영양과 윤기를 부여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50815호는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 및 피부 및 모발용 세정 조성물에서 개선된 특성을 나타내는, 특정량의 아미노산 아르기닌 및 리신을 갖는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안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19233호는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모발의 두께를 증가시켜 볼륨감 있는 모발로 만들어 줄 수 있다는 모발화장료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 문헌
특허문원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9026호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50815호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19233호
모발은 18종의 아미노산 중에서 시스테인을 14-18% 함유하는 케라틴 단백질이다. 모발을 구성하는 지질 성분은 지방, 오일, 왁스 등의 소수성 물질을 포함하여 모발의 윤기를 유지하는 컨디셔닝작용을 수행한다. 여러 가지 요인으로 손상된 모발은 내부의 단백질 등 영양성분이 용출되어 다공성화 됨으로써 모발이 거칠어진다.
본 발명은 모발의 영양성분과 가급적 유사한 성분을 모발화장료에 첨가하여 손상된 모발에 영양을 공급함으로서 모발의 윤기 증진, 매끄러움, 빗질 용이성, 볼륨감 등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난백 가수분해물, 돈피 가수분해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케어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세라마이드를 더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모발 구성 단백질과 유사한 가수분해 단백질을 모발에 침투시킨 후 모발 세포간 결합 물질과 유사한 세라마이드를 사용하여 모발 내부로 침투된 단백질과 모발과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손상으로 인해 다공질화 된 모발을 수복시키고 궁극적으로는 모발의 윤기와 부드러움을 개선시킬 수 있는 헤어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 헤어케어 조성물은 모발의 윤기 증진, 매끄러움, 빗질 용이성, 볼륨감 또는 탄력 증강의 컨디셔닝 효과가 있으며 손상된 모발을 복구하는 효과도 있으므로 종래의 실리콘, 탄화 수소유, 지방 에스테르 등의 조합물과 같은 컨디셔닝제의 사용시 나타나는 현상 즉 모발에 눅눅함과 끈적임을 유발하는 단점을 해소하는 헤어케어 조성물을 제공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난백가수분해물, 돈피가수분해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세라마이드를 더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난백은 조류의 알 구성 중 노른자를 둘러싼 담황색의 점조한 반투명물질로 수분함량이 88%이고 나머지(12%)의 고형분 중 90%이상이 단백질로서 배아의 발생에 필요한 수분을 유지, 공급하고 또한 배아와 노른자를 물리적, 화학적으로 보호하는 역할도 가진다
난백은 양질의 영양소 공급원이며 거품성, 유화성, 열응고성, 윤활성 및 결착성등의 주요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어 식품가공과 고급나염, 사진인쇄제판, 등 공업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거품성, 윤활성, 및 결착성 등의 난백의 기능성은 모발화장료에서 컨디셔닝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미루어진다.
난백은 접착제로도 쓰인다. 난백에 포함된 단백질 성분인 ‘아비딘-비오틴’이 접착제 역할을 한다. 생체 분자를 검출하는 바이오칩이나 센서에는 난백으로 만든 접착제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한다.
란(卵)은 계란뿐만 아니라 오리알, 메추리알 등 각종 조류의 란(卵)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계란을 예로 들어 설명 한다.
난백 용액은 열에 의해 응고되지 않은 생계란의 상태로 사용 될 수 있으나 가열에 의해 응고된 난백을 사용 할 수도 있다.
계란을 가열하면 계란 난백은 섭씨 60도 가량에서 반투명하게 되며 유백색으로 된다. 온도가 상승하여 섭씨 65도 가량이 되면 유동성을 잃고 응고하게 된다. 난황의 응고 온도는 난백보다 약간 높은 섭씨 65도에서 응고가 시작되며 섭씨 70도에서 유동성을 상실하고 응고하게 된다.
난백의 응고는 서서히 진행되며 가열온도가 높을수록 빨리 응고된다.
응고된 계란의 난각을 탈각하여 제거하고 난황과 난백을 분리한 다음 난백을 취하여 미분말화 하여 그대로 샴푸 등에 포함 시킬 수 있으며 또 이 난백의 미분말을 가수분해 하거나 발효과정을 거친 수용액을 모발화장료에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하는 다른 하나의 재료인 돈피는 돼지껍데기를 말하며 돈피 100g안에는 545칼로리가 있고 53%의 지방과 47%의 단백질로 구성되고 탄수화물은 전무하다.
돈피는 식용으로 사용하나 콜라겐의 분자량이 30만 정도로 거대하여 인체의 소화 흡수율이 2%로 적고 이용율은 더 떨어지나 풍부한 콜라겐을 가지고 있어 발효하거나 가수분해하면 저분자화 내지 아미노화 하여 수용성 콜라겐과 아미노산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의 난백과 돈피 유래의 가수분해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 헤어케어 조성물의 난백과 돈피의 가수분해 단백질의 함량은 각각 0.1~10중량%인 것이 바람직 하다.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세라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더 추가하여 포함시킴으로서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헤어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세라마이드(ceramide)는 모발에서 자연 발생되어 발견되는 성분으로 큐티클 층에 결합하고 있으며 모발을 건강하고 윤기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세라마이드(Ceramide)는 모발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결정하는데 주된 지질 성분으로 모발의 장벽형성 및 수분유지는 물론 세포의 성장, 분화, 증식, 노화, 세포사(Apoptosis), 면역반응 조절에 관여하며,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s) 분화에 영향을 준다. 세라마이드는 모발에 소량으로 존재하고, 피부뿐만 아니라 모발에서 수분유지와 장벽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난백가수분해물, 돈피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세라마이드를 더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 헤어케어 조성물의 세라마이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헤어케어조성물은 제형화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는 없으나,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 세럼, 헤어 로션, 헤어 크림, 헤어 에센스, 헤어 오일, 스칼프 트리트먼트,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스프레이등으로 제형화 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본 발명이 채택하는 성분 외에 다른 성분들이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화장학적 제형을 제조하는데 기여하기 위하여 pH 조정제, 침투 보조제 및 제품의 제형화를 위한 점증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컨디셔닝제, 향료, 방부제, 염료 및 안료, 보습제, 금속이온 봉쇄제 등의 다양한 화장품 제형화제를 또한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1. 55∼60℃의 물에 난백을 녹여 난백 단백질 수용액을 만들었다. 물과 난백의 중 량비율은 30:70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2. 난백 수용액을 약 40℃로 냉각하고 pH를 7로 조정한 다음 단백분해효소 프로타 멕스(protamex)를 1%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3. 상기 용액을 47℃ 수조(water bath)에서 25시간 반응시켰다.
4. 효소반응이 끝난 난백수용액을 90℃에서 약 30분간 유지시켜 효소를 불활성화 시켰다.
5. 효소활성이 소멸된 상기 용액을 1 번 와트만지(Whatman No. 1)로 여과하여 난백가수분해물을 얻었다.
실시예2
냉장 처리된 돈피를 파쇄기로 초핑하여 콜라겐의 원료를 준비한 후, 물과 상기 콜라겐을 30 : 70의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상기 콜라겐 용액의 pH를 7.0으로 조절한 후, 상기 콜라겐의 원료에 대하여 미생물 효소인 프로자임(prozyme)을 0.5중량% 첨가하여 40℃에서 15시간 효소 처리하였다. 이때 콜라겐의 점도 측정을 통하여 분자량이 1,000정도가 되었을 때, 온도를 100℃로 30분간 가열하여 여분의 효소를 실활 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1 번 와트만지(Whatman No. 1)로 여과하여 돈피 가수분해물을 얻었다.
실시예3
실시예1의 난백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시킨 샴푸조성물을 아래표1의 구성으로 제조하였다.
원료명(%)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라우릴황산나트륨(30%) 20.00 20.00 20.00 20.00 20.00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황산나트륨(30%) 30.00 30.00 30.00 30.00 30.00
야자유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3.00 3.00 3.00 3.00 3.00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2.00 2.00 2.00 2.00 2.0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0 0.20 0.20 0.20 0.20
세라마이드 0.50
난백가수분해 단백질 2.0 2.00 2.00
돈피가수분해 단백질 2.00 2.00 2.00
향료 0.50 0.50 0.50 0.50 0.50
구연산 0.02 0.02 0.02 0.02 0.02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실시예4
난백가수분해물을 대신하여 돈피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3과 동일한 구성으로 샴푸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5
난백가수분해물과 돈피가수분해물을 조합하여 유효성분으로 포함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3과 동일한 구성으로 샴푸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6
난백가수분해물과 돈피가수분해물과 세라마이드를 조합하여 유효성분으로 포함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3과 동일한 구성으로 샴푸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1
난백가수분해물과 돈피가수분해물과 세라마이드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와하고는 상기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의 삼푸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1 샴푸 후 모발의 매끄러움에 대한 평가.
샴푸 후 마른 모발의 매끄러운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마찰력을 측정한 것으로, 헤어트레스(시험용 모발 타래- 무게 2g, 길이 25cm) 를 준비하여 물에 적신다음 상기 각 실시예 1, 2, 3, 4의 샴푸 조성물과 비교예 1의 샴푸조성물로 1분 30초간 모발을 마사지하고, 미온수에 1분간 헹구어 낸 후, 자연 건조시켜 물기를 제거하고 마찰력을 측정하였다 상기 마찰력의 측정은 KES-SE 마찰시험기 (KATO TECH CO.,Ltd, JAPAN)를 이용하였으며, 시험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각 5회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제시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마찰계수(μK) 0.19 0.19 0.17 0.16 0.22
실험예2 본 발명 샴푸의 사용감에 대한 관능평가.
본 발명 실시예의 샴푸조성물의 사용 후 일반제품과 비교되는 사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40세의 건강한 모발의 남녀25명(그룹별5명)으로 구성 된 검증 팀에게 다음의 관능 실험을 실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각 실험자들은 통상의 샴푸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실시예 1, 2, 3, 4 및 비교예 1을 각 처방 별로 5명씩 각각 15일간 사용하게 하였고, 마른 후의 모발 표면의 윤기, 부드러움, 매끄러움 등을 관능적으로 평가하게 하였고, 평가 척도는 5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3에 제시하였다.
1-매우 나쁘다.
2-나쁘다.
3-보통이다.
4-좋다.
5-매우 좋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세정력 3.2 3.1 3.2 3.2 3.0
사용감 3.6 3.6 3.8 3.8 3.8
윤기 3.7 3.7 3.9 4.2 2.8
매끄러움 3.9 3.8 4.2 4.5 2.7
모발볼륨감 3.9 3.9 4.2 4.5 2.7
상기한 실험들로 샴푸조성물에 난백가수분해 단백질과 돈피가수분해 단백질을 각각 따로 포함시킨 경우에도 모발의 윤기, 매끄러움, 볼륨감 등에 유의미한 모발컨디셔닝 효과가 나타났으며 상기 두가지 성분을 함께 사용하면 그 효과가 더욱 상승하며 여기에 세라마이드를 더하면 가장 우수한 모발 컨디셔닝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Claims (5)

  1. 난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2. 돈피 가수문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3. 난백 가수분해물과 돈피 가수분해물을 조합하여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4. 난백 가수분해물과 돈피 가수분해물에 세라마이드를 더하여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5. 상기 청구항1, 청구항2, 청구항3, 청구항4의 헤어케어 조성물은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 세럼, 헤어 로션, 헤어 크림, 헤어 에센스, 헤어 오일, 스칼프 트리트먼트,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스프레이등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케어조성물.



KR1020220044620A 2022-04-11 2022-04-11 헤어케어 조성물 KR20230145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620A KR20230145786A (ko) 2022-04-11 2022-04-11 헤어케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620A KR20230145786A (ko) 2022-04-11 2022-04-11 헤어케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786A true KR20230145786A (ko) 2023-10-18

Family

ID=88508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620A KR20230145786A (ko) 2022-04-11 2022-04-11 헤어케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57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2164B1 (ko) 비 석유화학적으로 유도된 중성화된 아미노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양이온 유화제 및 그와 관련된 조성물과 방법들
KR102052262B1 (ko) 헤어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8110927A (ja) ローヤルゼリー蛋白加水分解物を含む化粧料
Lanjewar et al. Review on Hair Problem and its Solution
CN109640944A (zh) 含有玫瑰果油的头发护理用头发组合物及其用途
KR102076334B1 (ko)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4072594B2 (ja) 酸化処理した毛髪用活性酸素消去剤組成物
CA3007694A1 (en) Personal care formulations comprising carmin protein
JP5878751B2 (ja) 毛髪化粧料
US20140352710A1 (en) Conditioner composition
JP6039271B2 (ja) キューティクル細胞分化促進剤
JP2004035520A (ja) 毛髪化粧料
KR20230145786A (ko) 헤어케어 조성물
KR20100010433A (ko) 검은콩을 함유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N108158960A (zh) 具有缓解色素沉着作用的护唇口红
KR101449026B1 (ko) 모발 노화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0513617B1 (ko) 마스카라 조성물
JP5973158B2 (ja) 毛髪化粧料
KR20160089626A (ko)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조성물
KR101664333B1 (ko) 환원성 성분 및 마린콜라겐펩타이드를 이용한 모발 스타일링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946787A (zh) 无刺激的芦荟护发素
KR102633761B1 (ko) 유니플라본을 함유한 새치 커버용 샴푸 및 트리트먼트 조성물
KR20100059260A (ko) 아르간오일 및 로얄제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JP7489597B2 (ja) 毛髪化粧料
KR101027447B1 (ko) 전복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