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626A -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626A
KR20160089626A KR1020150009044A KR20150009044A KR20160089626A KR 20160089626 A KR20160089626 A KR 20160089626A KR 1020150009044 A KR1020150009044 A KR 1020150009044A KR 20150009044 A KR20150009044 A KR 20150009044A KR 20160089626 A KR20160089626 A KR 20160089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permanent
weight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8306B1 (ko
Inventor
권순구
Original Assignee
권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구 filed Critical 권순구
Priority to KR1020150009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306B1/ko
Publication of KR20160089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4Preparations for permanent waving or straightening the h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모발보호 조성물은 팥, 하수오 및 아미노산 파우더를 포함하며, 검정콩, 다시마, 율무 및 녹차 중 선택된 2종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퍼머넌트 조성물은 이러한 모발보호 조성물을 환원제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발보호 조성물로 인해 퍼머넌트 시 모발의 손상 및 두피 자극을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모발에 윤기, 탄력 및 영양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조성물{COMPOSITION FOR PROTECTION OF HAIR AND HAIR PERMANENT COMPOSITION INCLUDING COMPOSITION THEREOF}
본 발명은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팥, 하수오, 아미노산 파우더, 검정콩, 다시마, 율무, 녹차 등을 포함하여 모발보호 조성물을 구성하고, 이를 퍼머넌트 조성물의 환원제에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퍼머넌트 시술로 인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는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의 주성분은 케라틴이며, 18종의 상이한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섬유 상 단백질 고분자인 케라틴은 평균 10개 내지 20개의 아미노산 잔기 당 하나의 이황화 결합(-S-S-)을 갖는 가교 결합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이황화 결합은 폴딩(folding)에 의해 단백질의 3차 구조를 결정한다. 케라틴의 구조를 대표하는 것은 화학식 [HO2CC(NH2)HCH2S-SCH2C(NH2)HCO2H]로 표시되는 시스틴이다.
통상 퍼머액(permanent waving agents)은 환원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 1 제와 산화제(중화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 2 제로 구성된다. 모발의 퍼머넌트 웨이빙(퍼머) 메카니즘은, 가장 기본적인 단계로서 제 1 제인 환원제를 사용하여 시스틴[HO2CC(NH2)HCH2S-SCH2C(NH2)HCO2H]의 이황화 결합을 절단함으로써, 시스테인[HO2CC(NH2)HCH2SH]으로 환원시켜 모발의 외형을 변형가능하게 처리하며(환원제 처리 단계), 이러한 처리 전이나 후 또는 그와 동시에 모발에 기계적 인장력을 가하여 웨이브 형태로 유지하기 위한 롤러나 컬 등을 사용하여 모발에 웨이브를 형성시킨 다음(인장력 부가 단계), 후속 단계로서 제 2 제인 산화제를 적용함으로써 상기한 반응을 가역 시켜 다시 시스테인을 시스틴으로 전환시키는 것에 의해 모발을 웨이브형으로 고정시키는 것(산화 또는 고정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화학적 처리에 의해 모발에 부여되는 새로운 형태는 지속성이 현저히 강하고 모발에 대한 물이나 샴푸세정 처리에 내성이 있음으로, 헤어 세팅과 같은 단순하고 통상적인 비퍼머성의 모발 변형 처리와는 대조적인 효과를 가진다. 상기한 화학적 처리에 의한 모발 변형 기술은 스트레이트성 모발에 웨이브를 주거나(통상적인 퍼머), 웨이브형 모발을 스트레이트형 모발로 곧게 펴거나 웨이브를 푸는데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환원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 1 제는 통상적으로 웨이빙 로션, 농축액, 크림, 젤 등과 같은 비교적 점조성인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한 환원제의 전형적인 예로서는 시스테아민 및 그 유도체, 티오락트산, 티오글리콜산 및 그 에스테르가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티오글리콜산과 시스테인을 들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당업계 공지인 비이온계, 음이온계, 양이온계 또는 양쪽성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모발 손상 완화제, 비듬 억제제, 증점제, 현탁제, 이온 봉쇄제, 유백제, 염료, 자외선 차단제, 향료, 보존제와 같은 기타 성분이 첨가됨이 통상적이고, 에탄올, 프로판올이나 이소프로판올 또는 글리세롤과 같은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2 제로서의 산화제의 전형적인 예로서는 묽은 브롬산 나트륨 또는 과산화수소 수용액(3% 내지 6% 정도의 묽은 수용액)을 들 수 있다.
환원제의 대표격인 티오글리콜산 및 그 에스테르의 경우, 뛰어난 환원 능력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시스테인과 비교하여 모발에 대한 작용이 강하기 때문에 모발이 현저히 손상된다. 따라서 탈색 및 염색한 모발 등, 손상이 심한 모발에서는 특히 사용이 제한된다. 또한, 머리끝과 모근의 퍼머넌트 형성도가 달라 머리가 푸석해지거나 끝이 갈라지고 끊어짐 등이 많아진다.
아울러, 시스테인의 경우 모발에 대한 손상도는 낮지만, 머리를 퍼머 가공하는 작용이 약하기 때문에 통상의 롯드로 모발을 감는 것이 곤란하고, 주로 가는 로드로 와인딩할 필요가 있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또한, 손상이 심한 모발의 경우에는 건강한 모발보다 퍼머넌트 가공이 한층 더 곤란하다. 그리고 시스테인을 사용하면 머리끝이 갈라지거나 끊어짐이 많아지고, 윤기가 없어진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모발에 있어서 손상이 적다고 여겨지고 있는 시스테인이라도 2 내지 3회 퍼머넌트를 하면 그 후 퍼머넌트가 잘 되지 않는 현상이 일어나며, 그 원인은 시스테인이 건조에 의해 모발 내에서 플레이킹(flaking)을 일으키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이와 같이 기존에 개발되어 온 퍼머넌트용 제품들은 주성분 및 보조성분들이 모두 화학 물질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과정은 물론 그 이후 모발 및 두피의 건강에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었다. 예를 들면 화학적 처리과정 중 연화 과정에서 모발의 팽창으로 인해 큐티클이 열려 모발의 간충물질과 수분 등을 잃어버리게 되어 모발이 부스스하거나 윤기가 줄어 미감이 손상되고, 모발의 강도 저하나 탄력저하 등이 일어난다. 또한, 퍼머넌트 시술과정 중 두피, 안면, 목의 피부에 퍼머넌트액이 접촉되어 화끈거림, 염증이나 가려움 등의 피부자극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따라서, 모발을 보호 및 보습할 수 있으며, 두피 자극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런 효과에도 퍼머넌트 조성물이 가진 본연의 웨이브 형성 및 유지 효과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퍼머넌트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09-0099164 A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퍼머넌트 조성물이 갖는 제반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팥, 하수오, 아미노산 파우더, 검정콩, 다시마, 율무, 녹차 등을 포함하여 모발보호 조성물을 구성하고, 이를 퍼머넌트 조성물의 환원제에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퍼머넌트로 인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고, 두피 자극을 최소화하는 것에 것이다.
또한, 퍼머넌트 조성물의 산화제에도 모발보호 조성물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모발에 윤기, 탄력, 영양을 부여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은, 팥, 하수오 및 아미노산 파우더를 포함하며, 검정콩, 다시마, 율무 및 녹차 중 선택된 2종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정콩, 다시마, 팥, 하수오 및 아미노산 파우더를 포함하며, 그 혼합비는 검정콩 20~30중량%, 다시마 20~30중량%, 팥 20~30중량%, 하수오 20~30중량% 및 아미노산 파우더 0.01~0.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율무, 녹차, 팥, 하수오 및 아미노산 파우더를 포함하며, 그 혼합비는 율무 20~30중량%, 녹차 20~30중량%, 팥 20~30중량%, 하수오 20~30중량% 및 아미노산 파우더 0.01~0.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조성물은 환원제인 제 1 액 및 산화제인 제 2 액으로 구성되는 퍼머넌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인 제 1 액에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이 포함되되, 상기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이 상기 제 1 액의 전체 조성물 중 5~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화제인 제 2 액에도 상기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이 포함되되, 상기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이 상기 제 2 액의 전체 조성물 중 5~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발보호 조성물로 인해 퍼머넌트 시 모발의 손상 및 두피 자극을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모발에 윤기, 탄력 및 영양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퍼머넌트 조성물은 환원제로 인해 모발의 수분 등을 잃어버리게 되어 모발이 부스스하거나 광택이 줄어 미감이 손상되고, 모발의 강도 저하나 탄력저하 등의 현상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퍼머넌트 조성물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퍼머넌트용, 즉 퍼머넌트 조성물용 모발보호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퍼머넌트 조성물로부터 모발을 보호하여 모발 손상을 방지하고, 윤기, 영양, 탄력을 주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은 팥, 하수오 및 아미노산 파우더를 포함하며, 검정콩, 다시마, 율무 및 녹차 중 선택된 2종을 추가로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건성 두피 및 모발일 경우 검정콩, 다시마, 팥, 하수오 및 아미노산 파우더를 포함하는 모발보호용 조성물을 사용하고, 지성 두피 및 모발일 경우 율무, 녹차, 팥, 하수오 및 아미노산 파우더를 포함하는 모발보호용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중성일 경우 상기 6종을 모두 포함하여 사용하거나, 건성 및 지성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모발보호용 조성물의 경우 파우더 형태, 즉 분말 형태로서 제공되는바, 검정콩, 다시마, 율무, 녹차, 팥, 하수오, 아미노산 각각은 모두 파우더의 형태로 포함하며, 그 입도는 제한하지 않지만, 퍼머넌트 조성물에 혼합이 용이하도록 50~1,000mesh 정도로 되는 것을 사용 가능하다.
먼저, 본 발명의 건성용 모발보호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성용 모발보호 조성물은 검정콩, 다시마, 팥, 하수오 및 아미노산 파우더를 포함하며, 그 혼합비는 검정콩 20~30중량%, 다시마 20~30중량%, 팥 20~30중량%, 하수오 20~30중량% 및 아미노산 파우더 0.01~0.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성물 중 하나인 팥에는 녹말 등의 탄수화물이 약 50% 함유되어 있으며, 그 밖에 단백질이 약 20% 함유되어 두피와 모발에 단백질을 공급한다. 그리고 껍질의 색소는 안토시안으로 두피에 소염, 항균작용을 통해 염증 등을 개선한다. 또한, 팥은 조성물 내에서 두피의 자극을 완화하고, 두피와 모발에 보습을 준다. 이러한 팥은 건조하여 분쇄함으로써 파우더 형태로 제조가능하며, 습식 분쇄, 즉 팥을 물에 2~10시간 동안 불려 물을 제거하여 분쇄하여 습식 분말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팥은 모발보호 조성물 내에서 20~30중량%로 사용가능한데, 그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팥으로 인한 항산화, 보습 작용이 미미하고, 과량이 될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구성물의 함량이 적어 전체적인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하수오(何首烏)는 살결을 곱게 하며 머리칼을 검게 하는 약초로도 이름이 높은데, 본 발명에서는 혈관을 확장시키며 피부 세포를 재생하고 모발에 윤기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수오 역시 건조하여 분쇄함으로써 파우더 형태로 제조가능하며, 습식 분쇄, 즉 하수오를 물에 2~10시간 동안 불려 물을 제거하여 분쇄하여 습식 분말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수오는 모발보호 조성물 내에서 20~30중량%로 사용가능한데, 그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하수오로 인한 모발의 윤기부여 기능이 미미하고, 과량이 될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구성물의 함량이 적어 전체적인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아미노산 파우더는 모발 및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여 윤기 및 탄력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아스파라긴산(asparic acid), 트레오닌(threonine), 세린(serine), 글루타민산(glutamic acid), 프롤린(proline), 글리신(glycine), 알라닌(alanine), 할프시스틴(half-cystine), 발린(valine), 메티오닌(methionine), 이소루신(isoleucine), 루신(leucine), 티로신(thyros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시스틴산(cystine), 리신(lysine), 히스티딘(histidine), 알기닌(arginine), 시트룰린(citrulline) 등의 아미노산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파우더를 의미하는 것이며,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아미노산 파우더의 일례로서, 누에에서 나오는 실크를 가수 분해하여 고분자로 만든 것으로, 필수아미노산 8종(발린, 트레오닌, 이소루신, 페닐알라닌, 로이신, 라이신, 트리토판, 메티오닌) 및 비필수아미노산 10종(글리신, 알라닌, 세린, 티로신,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아르기닌, 시스틴, 프롤린, 히스타민)을 포함하는 실크아미노산 파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시판 중인 다양한 제품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아미노산 파우더는 모발보호 조성물 내에서 0.01~0.5중량%로 사용가능한데, 그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아미노산의 공급이 충분하지 못하고, 과량이 될 경우 전체적인 생산비용이 증가하여 가격경쟁력이 없어지며, 퍼머넌트 조성물에 혼합시 웨이브 또는 스트레이트의 형태가 잘 나오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건성 두피 및 모발에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검정콩은 안토시아닌, 프로테인, 단백질, 베타카로틴 등을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어, 항산화작용은 물론, 두피 및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고, 보습작용을 한다. 이때, 상기 검정콩을 건성 두피 및 모발에 사용하는 이유는 풍부한 보습작용으로 건조한 모발을 개선해주기 때문이다. 상기 검정콩은 건조하여 분쇄함으로써 파우더 형태로 제조가능하며, 습식 분쇄, 즉 검정콩을 물에 2~10시간 동안 불려 물을 제거하여 분쇄하여 습식 분말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검정콩은 모발보호 조성물 내에서 20~30중량%로 사용가능한데, 그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검정콩으로 인한 모발의 항산화작용 및 보습 효과 미미하고, 과량이 될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구성물의 함량이 적어 전체적인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검정콩의 경우 이를 세척 및 분쇄하고 물에 삶아준 후, 이를 균주로서 발효하여서 되는 발효 검정콩을 분쇄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바, 발효 검정콩을 사용할 경우 두피 및 모발에 필요한 영양성분이 더욱 풍부하여, 모발의 보습, 윤기, 광택 부여에 더욱 효과적인바, 그 실시를 제한하지 않으며, 상기 발효 검정콩 역시 분쇄하여 사용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다시마는 해조류 중 하나로서, 생리활성작용이 뛰어난 아르기닌산, 라니닌, 엽록소, 마니톨, 칼슘, 요오드, 비타민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모발 및 두피에 풍부한 영양공급이 가능하며, 특히 모발 및 두피의 보습에 뛰어난 효과가 있어 건성 두피 및 모발에 사용한다. 상기 다시마는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하여 분쇄함으로써 파우더 형태로 제조가능하다. 상기 다시마 역시 모발보호 조성물 내에서 20~30중량%로 사용가능한데, 그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다시마로 인한 모발의 영양공급 및 보습 효과 미미하고, 과량이 될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구성물의 함량이 적어 전체적인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을 구성하는 팥, 하수오, 검정콩, 다시마, 아미노산 파우더는 각각의 재료가 포함하는 영양성분이 상이하고, 그 보습, 윤기 및 탄력 부여의 작용 역시 상이하므로, 이를 혼합하여 함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바, 어느 하나의 성분만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상기한 배합비를 벗어나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본 발명의 구성성분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할 경우 그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지성 두피 및 모발에 적용하는 모발보호용 조성물은 율무, 녹차, 팥, 하수오 및 아미노산 파우더를 포함하며, 그 혼합비는 율무 20~30중량%, 녹차 20~30중량%, 팥 20~30중량%, 하수오 20~30중량% 및 아미노산 파우더 0.01~0.5중량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율무는 필수 아미노산과 무기질의 함량이 높으며,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두피에 활기를 주고, 모발에 윤기 및 탄력을 부여하는 성분이다. 상기 율무 역시 건조하고 분쇄하여 파우더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율무는 모발보호 조성물 내에서 20~30중량%로 사용가능한데, 그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율무로 인한 탄력 및 윤기부여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될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구성물의 함량이 적어 전체적인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녹차는 세균번식 억제, 살균에 탁월하며, 녹차의 구성성분인 폴리폐놀은 보습에 특히 효과적이다. 아울러, 녹차에 함유된 비타민A, B2, C, E 등이 유해산을 제거하여 두피와 모발의 탄력을 높여주는 작용을 한다. 상기 녹차는 통상 시중에 판매 중인 파우더 형태의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녹차의 어린 잎을 건조하여 분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녹차는 모발보호 조성물 내에서 20~30중량%로 사용가능한데, 그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녹차로 인한 보습, 탄력부여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될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구성물의 함량이 적어 전체적인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지성 두피 및 모발용 모발보호 조성물은 팥 20~30중량%, 하수오 20~30중량% 및 아미노산 파우더 0.01~0.5중량%를 더 포함하나,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서 건성 두피 및 모발용 모발보호 조성물에서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지성 두피 및 모발용 모발보호 조성물을 구성함에 있어서도, 팥, 하수오, 율무, 녹차, 아미노산 파우더는 각각의 재료가 포함하는 영양성분이 상이하고, 그 보습, 윤기 및 탄력 부여의 작용 역시 상이하므로, 이를 혼합하여 함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바, 어느 하나의 성분만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상기한 배합비를 벗어나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본 발명의 구성성분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할 경우 그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은 종래 시판 중인 다양한 퍼머넌트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즉, 퍼머넌트 조성물은 환원제인 제 1 액과 산화제인 제 2 액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모발보호 조성물은 상기 환원제인 제 1 액에 포함되어 구성될 경우 환원제로 인한 모발의 손상을 막고, 두피 자극을 최소화한다. 아울러, 모발에 윤기, 영양 및 탄력을 부여하여 퍼머넌트 시술 전보다 더욱 개선된 모발상태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은 상기 제 1 액의 전체 조성물 중 5~10중량%, 즉 모발모호 조성물을 제외한 제 1 액 90~95중량%, 모발보호 조성물 5~10중량%로 포함되는데, 상기 모발보호 조성물의 혼합비가 5중량% 미만일 경우 보발 보호작용이 미미하여 퍼머넌트로 인한 모발의 손상을 막을 수 없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과량이 되어 퍼머넌트 시술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웨이브 또는 스트레이트 등의 퍼머넌트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모발보호 조성물을 혼합하는 퍼머넌트 조성물로는, 시판 중인 다양한 종류의 퍼머넌트 액을 사용할 수 있는바,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아울러, 제 1 액뿐만 아니라, 산화제인 제 2 액에도 상기한 모발보호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 2 액에도 제 2 액의 전체 조성물 중 5~10중량%만큼 포함하도록 할 경우, 모발 및 두피에 영양공급이 가능하고, 모발에 윤기 및 탄력, 보습작용을 함에 따라 더욱 개선된 상태의 모발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검정콩 분말 1kg, 다시마 분말 1kg, 팥 분말 1kg, 하수오 분말 1kg 및 아미노산 파우더 4.4g을 혼합하여 모발보호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시판 중인 A사의 웨이브용 퍼머넌트 조성물의 제 1 액에 상기한 혼합분말을 95:5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웨이브용 퍼머넌트 조성물의 제 1 액과 제 2 액에 각각 상기한 혼합분말을 95:5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시판 중인 A사의 스트레이트용 퍼머넌트 조성물의 제 1 액에 상기한 혼합분말을 95:5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스트레이트용 퍼머넌트 조성물의 제 1 액과 제 2 액에 각각 상기한 혼합분말을 95:5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비교예 1, 2)
실시예 1 및 2에서 사용한 웨이브 퍼머넌트 조성물을 비교예 1로, 실시예 3 및 4에서 사용한 웨이브 퍼머넌트 조성물을 비교예 2로 하였다.
그리고 퍼머를 할 예정이라고 응답한 건성 두피인 20인을 선정하고,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2의 퍼머넌트 조성물로 퍼머넌트 시술을 하였다. 이때, 웨이브 시술을 원하는 10명에게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로서 시술하되, 모발을 왼쪽, 중앙, 오른쪽으로 나누어 각각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을 시술하였으며, 스트레이트 시술을 원하는 10명에게도 모발을 나누어 각각 실시예 3, 4 및 비교예 2를 시술하였다.
그리고 시술 후 시술을 받은 응답자가 느끼는 모발의 윤기, 탄력, 보습, 전체적인 모발개선도, 시술시 느낀 두피 자극 정도 및 퍼머넌트 시술 만족도를 5점 비교법으로 채점한 후, 이를 평균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점수는 모발 윤기, 모발 탄력, 모발 보습, 모발 개선도, 두피자극 정도, 퍼머넌트 시술 만족도는 점수가 높을수록 매우 개선되거나 자극이 전혀 없는 것이고, 점수가 낮을수록 모발 상태가 나빠지거나 자극이 강한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2의 평가결과
구분 모발 윤기 모발 탄력 모발 보습 전체적인
모발 개선도
시술시 느낀
두피자극 정도
시술 만족도
실시예 1 3.8 3.5 3.7 3.6 4.3 4.0
실시예 2 3.9 3.5 3.8 3.7 4.3 4.1
비교예 1 2.3 2.1 2.5 2.4 2.1 2.0
실시예 3 3.7 3.6 3.7 3.5 4.3 4.2
실시예 4 3.9 3.7 3.8 3.9 4.3 4.1
비교예 2 2.3 2.4 2.6 2.5 2.5 2.2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는 모두 비교예 1, 2에 비해 모발, 윤기, 탄력, 보습 및 전체적인 모발 개선도 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시술시 느낀 두피자극의 정도에 있어서도 실시예들 모두 높은 점수를 받아 두피 자극이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시술 만족도 또한 실시예 1 내지 4가 비교예 1, 2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았는바, 이는 모발의 윤기, 탄력, 보습 등이 상태가 개선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5)
율무 분말 1kg, 녹차 분말 1kg, 팥 분말 1kg, 하수오 분말 1kg 및 아미노산 파우더 4.4g을 혼합하여 모발보호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시판 중인 B사의 웨이브용 퍼머넌트 조성물의 제 1 액에 상기한 혼합분말을 95:5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웨이브용 퍼머넌트 조성물의 제 1 액과 제 2 액에 각각 상기한 혼합분말을 95:5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5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시판 중인 B사의 스트레이트용 퍼머넌트 조성물의 제 1 액에 상기한 혼합분말을 95:5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스트레이트용 퍼머넌트 조성물의 제 1 액과 제 2 액에 각각 상기한 혼합분말을 95:5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비교예 3, 4)
실시예 5 및 6에서 사용한 웨이브 퍼머넌트 조성물을 비교예 3으로, 실시예 7 및 8에서 사용한 웨이브 퍼머넌트 조성물을 비교예 4로 하였다.
그리고 퍼머를 할 예정이라고 응답한 지성 두피인 20인을 선정하고, 실시예 5 내지 8 및 비교예 3, 4의 퍼머넌트 조성물로 퍼머넌트 시술을 하였다. 이때, 웨이브 시술을 원하는 10명에게는 실시예 5, 6 및 비교예 3으로서 시술하되, 모발을 왼쪽, 중앙, 오른쪽으로 나누어 각각 실시예 5, 6 및 비교예 3을 시술하였으며, 스트레이트 시술을 원하는 10명에게도 모발을 나누어 각각 실시예 7, 8 및 비교예 4를 시술하였다.
그리고 시술 후 시술을 받은 응답자가 느끼는 모발의 윤기, 탄력, 보습, 전체적인 모발개선도, 시술시 느낀 두피 자극 정도 및 퍼머넌트 시술 만족도를 5점 비교법으로 채점한 후, 이를 평균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점수는 모발 윤기, 모발 탄력, 모발 보습, 모발 개선도, 두피자극 정도, 퍼머넌트 시술 만족도는 점수가 높을수록 매우 개선되거나 자극이 전혀 없는 것이고, 점수가 낮을수록 모발 상태가 나빠지거나 자극이 강한 것이다.
실시예 5 내지 8 및 비교예 3, 4의 평가결과
구분 모발 윤기 모발 탄력 모발 보습 전체적인
모발 개선도
시술시 느낀
두피자극 정도
시술 만족도
실시예 5 3.7 3.6 3.7 3.7 4.4 4.1
실시예 6 3.9 3.6 3.9 3.9 4.4 4.2
비교예 3 2.4 2.1 2.6 2.5 2.6 2.1
실시예 7 3.8 3.7 3.7 3.6 4.4 4.0
실시예 8 3.8 3.8 3.9 3.8 4.4 4.1
비교예 4 2.5 2.6 2.5 2.5 2.5 2.3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5 내지 8은 모두 비교예 3, 4에 비해 모발, 윤기, 탄력, 보습 및 전체적인 모발 개선도 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시술시 느낀 두피자극의 정도에 있어서도 실시예들 모두 높은 점수를 받아 두피 자극이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시술 만족도 또한 실시예 5 내지 8이 비교예 1, 2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았는바, 이는 모발의 윤기, 탄력, 보습 등이 상태가 개선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팥, 하수오 및 아미노산 파우더를 포함하며,
    검정콩, 다시마, 율무 및 녹차 중 선택된 2종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정콩, 다시마, 팥, 하수오 및 아미노산 파우더를 포함하며,
    그 혼합비는 검정콩 20~30중량%, 다시마 20~30중량%, 팥 20~30중량%, 하수오 20~30중량% 및 아미노산 파우더 0.01~0.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율무, 녹차, 팥, 하수오 및 아미노산 파우더를 포함하며,
    그 혼합비는 율무 20~30중량%, 녹차 20~30중량%, 팥 20~30중량%, 하수오 20~30중량% 및 아미노산 파우더 0.01~0.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4. 환원제인 제 1 액 및 산화제인 제 2 액으로 구성되는 퍼머넌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인 제 1 액에 상기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이 포함되되,
    상기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이 상기 제 1 액의 전체 조성물 중 5~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인 제 2 액에도 상기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이 포함되되,
    상기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이 상기 제 2 액의 전체 조성물 중 5~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KR1020150009044A 2015-01-20 2015-01-20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조성물 KR101728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044A KR101728306B1 (ko) 2015-01-20 2015-01-20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044A KR101728306B1 (ko) 2015-01-20 2015-01-20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626A true KR20160089626A (ko) 2016-07-28
KR101728306B1 KR101728306B1 (ko) 2017-04-19

Family

ID=56681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044A KR101728306B1 (ko) 2015-01-20 2015-01-20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3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583B1 (ko) 2018-08-27 2020-06-18 이경희 L-아르기닌을 이용한 펌 시술용 모발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펌 시술방법
KR102085505B1 (ko) 2018-08-27 2020-03-05 이경희 알칼리 이온수를 이용한 펌 시술용 모발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펌 시술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164A (ko) 2008-03-17 2009-09-22 장경선 블랙 머드를 함유하는 퍼머넌트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9978A (ja) * 2004-09-03 2006-03-16 Ichimaru Pharcos Co Ltd 毛髪処理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164A (ko) 2008-03-17 2009-09-22 장경선 블랙 머드를 함유하는 퍼머넌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306B1 (ko)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430B1 (ko) 헤어 펌제용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펌 시술방법
KR20160147307A (ko) 자연에서 유래한 성분이 함유된 약산성 샴푸, 약산성 트리트먼트 및 약산성 헤어팩 그리고 이를 이용한 두피 및 모발 개선 방법
JP6184708B2 (ja) パーマ液および頭髪用調整剤
KR102124583B1 (ko) L-아르기닌을 이용한 펌 시술용 모발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펌 시술방법
JP5464610B2 (ja) パーマ液第1剤
JP2015214511A (ja) 化学組成物
KR101527596B1 (ko) 헤어 케어용 조성물
KR20070117355A (ko) 태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도포용 조성물
JP2010241762A (ja) 化粧料
KR101339841B1 (ko) 모발처리제 조성물
KR101728306B1 (ko)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조성물
WO2014065274A1 (ja) パーマ液および頭髪用調整剤
EP3542863A1 (de) Haaröl und seine verwendung
KR101775074B1 (ko) 퍼머넌트 웨이브 조성물
JPH0558851A (ja) 発毛・育毛剤
JP4550663B2 (ja) 毛髪処理剤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JP6731699B2 (ja) 化学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874941B1 (ko) 천연 식초 및 라즈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의 안정화 방법
KR101443122B1 (ko) 퍼머액 조성물 및 퍼머넌트 성형 방법
KR101482616B1 (ko) 비파추출물을 함유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염모제
JP5788372B2 (ja) パーマ液および頭髪用調整剤
KR101664333B1 (ko) 환원성 성분 및 마린콜라겐펩타이드를 이용한 모발 스타일링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85505B1 (ko) 알칼리 이온수를 이용한 펌 시술용 모발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펌 시술방법
JPH0469319A (ja) 毛髪処理剤
KR102360897B1 (ko) 파라크레스 함유 콜라겐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04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104

Effective date: 201702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