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190A - 방석 - Google Patents

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190A
KR20230144190A KR1020220043162A KR20220043162A KR20230144190A KR 20230144190 A KR20230144190 A KR 20230144190A KR 1020220043162 A KR1020220043162 A KR 1020220043162A KR 20220043162 A KR20220043162 A KR 20220043162A KR 20230144190 A KR20230144190 A KR 20230144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width direction
coupling
sides
botto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경
Original Assignee
김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경 filed Critical 김은경
Priority to KR1020220043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4190A/ko
Publication of KR20230144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19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 방향 양측에 삽입부(112)가 형성된 방석본체(110)와, 상기 방석본체(110)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120)는 삽입부(112)에 삽입되는 바닥부(121)와 상기 바닥부(121)의 폭 방향 외측에서 상향 연장된 측방부(123)를 포함하며, 양측 측방부(123)는 방석본체(110)의 폭 방향 양측에서 상향 돌출되어 구비되는 방석(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석{A Seat Cushion}
본 발명은 방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측에서 신체를 지지하는 방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석은 사무실이나, 각 가정 등에서 의자에 앉을 때 깔고 앉는 용품이다. 방석은 스펀지와 같은 쿠션 재질을 사용하거나, 쿠션 재질을 천으로 감싼 형태로 사용된다. 방석의 사용에 있어서 앉아 있는 자세가 기울어지거나 다리가 벌어지면 골반과 척추에 나쁜 영향을 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엉덩이 형태로 오목하게 제작된 방석이 출시되고 있으나, 여전히 다리가 벌어지거나 자세가 기울어질 수 있으며, 측방에서 신체를 확실하게 지지하지 못하고, 신체 사이즈에 따라 조절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20-2020-0000119호 공개실용신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신체가 폭 방향 양측에서 지지되며, 양측으로 지지하여 다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신체 사이즈에 따라 조절 가능한 방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폭 방향 양측 하부에 삽입부가 형성된 방석본체와, 상기 방석본체의 폭 방향 양측 삽입부에 각각 삽입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삽입부에 삽입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폭 방향 외측에서 상향 연장된 측방부를 포함하며, 양측 측방부는 방석본체를 지나 상향 돌출된 길이를 가지는 방석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지지부재의 폭 방향 외측에는 폭 방향 내향 개구된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방석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삽입부를 형성하는 삽입부형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바닥부에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양측 바닥부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결합부재에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구비되어, 양측 바닥부의 결합공에 삽입되고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결합공은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바닥부와 측방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측방부는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오목부는 바닥부의 상부로 바닥부와 측방부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석(100)은 양 측방에 상향 연장된 지지부재(120)가 구비되어 양 측방에서 신체가 확실하게 지지되고, 다리가 벌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바른 자세가 유지될 수 있으며,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지지부재(120) 사이의 폭 방향 간격(G)을 조절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120) 사이의 폭 방향 간격(G)을 좁혀도 방석본체(110)가 지지부재(120)를 타고 올라가가는 것이 방지되고, 방석본체(110)에 주름이 생기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석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방석에 구비되는 지지부재를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와 일부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방석의 저면도이며,
도 5는 삽입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방석본체의 일부 저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방석에 구비되는 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방석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방석에 착석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석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의 가로 방향을 폭 방향 또는 측방으로 설명하고, 도 4의 세로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석(100)은 폭 방향 양측에 삽입부(112)가 형성된 방석본체(110)와, 상기 방석본체(110)의 폭 방향 양측 삽입부(112)에 각각 삽입되어 구비되는 지지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방석본체(110)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방석본체(110)는 스펀지나 TPE와 같은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방석본체(110)는 스펀지나 TPE와 같은 합성수지로 제조된 쿠션부재를 감싼 방석커버(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폭 방향 양측에 삽입부(112)가 형성된 방석본체(110)와, 방석본체(110)의 폭 방향 양측 삽입부(112)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지지부재(120)를 구비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방석에서 방석본체(110)의 형태와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석본체(110)의 하부에 삽입부형성부재(113)가 구비되어 삽입부(112)가 형성된다. 방석본체(110)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것으로 솜이나 스펀지와 같은 쿠션부재를 방석커버(111)로 감싼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방석커버(111)의 하면에 삽입부형성부재(113)를 박음질(1133)하여 삽입부형성부재(113)와 방석커버(111) 사이에 삽입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형태의 삽입부형성부재(113)를 방석커버(111)에 박음질하여 결합시키고 일부 박음질되지 않은 부분에 삽입부(112)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확대 부분 변형예와 같이 삽입부형성부재(113)의 양단부를 박음질하여 삽입부(112)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TPE와 같은 재질로 제조되는 경우 성형 시 하부에 삽입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12)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판상의 금속이 절곡되어 제조될 수도 있고,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삽입부(112)에 삽입되는 바닥부(121)와 상기 바닥부(121)의 폭 방향 외측에서 상향 연장된 측방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121)가 폭 방향 외측에서 삽입부(112)로 삽입되어 구비된다. 양측의 바닥부(121)는 삽입부(112)를 지나 단부가 폭 방향 내측에서 노출될 수 있다.
상기의 측방부(123)는 방석본체(110)의 양측에서 상향 돌출된다. 신체의 치수에 따라 양측 측방부(123)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어 사용될 수 있다. 큰 신체 치수를 가지는 경우 측방부(123) 사이를 멀리하고, 작은 신체 치수를 가지는 경우 측방부(123) 사이를 가깝게 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121)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측방부(123)도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측방부(123)는 착석한 신체의 측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폭 방향 내향 오목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121)에는 통기를 위한 통공(1213)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방부(123)에는 통기를 위한 통공(1231)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부(121)는 폭 방향 외측에서 삽입부(112)에 삽입되어 방석본체(110)에 하부로 구비된다. 착석시 방석본체(110)에 앉음에 따라 바닥부(121)도 방석본체(110)와 함께 하향 가압된다. 다리에 의하여 측방부(123)에 폭 방향 외향하는 하중이 작용하여도 착석시 방석본체(110)와 함께 바닥부(121)도 함께 신체에 의하여 가압되므로 지지부재(120)가 외측으로 밀리는 것이 억제되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양측 측방부(123)는 방석본체(110)의 폭 방향 양측에서 상향 돌출되어 서로 마주하여 사용자의 하체 양측에 위치한다. 사용자의 착석 위치에 따라 상기 측방부(123)의 후방 부분은 골반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측방부(123)는 다리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높이(예, 20㎝)를 가진다. 상기 측방부(123)는 착석자의 골반과 다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충분한 폭(예, 18㎝)을 가진다. 상기 치수는 예시이며 바닥부(121)와 측방부(123)의 크기가 예시 치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측방부(123)의 상부에는 폭 방향 외향 경사 연장된 연장부(125)가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1231)가 구비되어 착석시 연장부(125)에 의하여 측방부(123) 사이로 앉을 수 있게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20)의 폭 방향 외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 내향 개구된 오목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124)의 높이(G)는 방석본체(110)가 삽입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124)의 높이(G)는 방석본체(11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고, 방석본체(110)가 압축되면서 삽입될 수 있으므로 방석본체(110)의 두께(t1)보다 약간 작게(예: 5㎜ 정도)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측방부(123)가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오목부(124)는 바닥부(121)의 상부로 바닥부(121)와 측방부(123)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측방부(123)는 바닥부(121)에서 상향 절곡된 제1절곡부(1233)와, 제1절곡부(1233)에서 폭 방향 내향 절곡된 제2 절곡부(1235)를 가지고, 제2절곡부(1235)의 폭 방향 내측 단부에서 상향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절곡되는 부분은 라운드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절곡부(1233)는 폭 방향 내향 오목한 만곡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오목부(124)는 바닥부(121)와, 제1절곡부(1233) 및 제1절곡부(1233)에 의하여 폭 방향 내향 개구되어 형성된다.
도 7에서 양측 측방부(123) 사이의 거리(G)가 짧아져도 방석본체(110)가 오목부(124)로 삽입된다. 따라서 방석본체(110)가 측방부(123) 내측으로 올라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방석본체(110)에 주름이 생기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석(100)은 결합부재(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121)에는 결합공(1211)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211)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 결합공(1211) 중 하나가 선택되어 결합부재(130)가 삽입되어 양측 측방부(123)의 폭 방향 간격(G)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30)는 양측 바닥부(121)의 결합공(1211)에 삽입되어 바닥부(121)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바닥부(121)는 결합부재(130)에 걸리어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재(130)의 길이가 조절되어 양측 지지부재(120)의 폭 방향 간격(D)이 조절된다. 측방부(123)에 다리에 의하여 폭 방향 외향하는 외력이 작용하여도, 바닥부(121)가 결합부재(130)가 걸려 있으므로 지지부재(120)가 폭 방향 외측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결합부재(130)는 양측이 결합공(1211)에 삽입되고 단부가 서로 묶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30)는 양측 결합공(1211)에 각각 묶이고 폭 방향 내측 단부가 서로 묶여서 구비될 수도 있다. 바닥부(121) 사이의 결합부재(130) 길이가 조절되어 양측 지지부재(120) 측방부(123)의 폭 방향 간격(G)이 조절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30)에는 서로 착탈 결합되는 제1결합부(131)와 제2결합부(133)가 구비되어, 결합부재(130)가 양측 바닥부(121)의 결합공(1211)에 삽입되고 상기 제1결합부(131)와 제2결합부(133)가 결합되어 폐회로를 이루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31)와 제2결합부(133)는 서로 착탈 결합되는 벨크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31)와 제2결합부(133)의 결합 위치가 조절되어, 양측 지지부재(121) 사이의 폭 방향 간격(G)이 조절된다.
상기에서 지지부재(120)는 커버(12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127)로 측방부(123)가 삽입된다. 상기 커버(127)는 에어메쉬와 같은 천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측방부(123)의 폭 방향 내측면에 스펀지와 같은 판상의 쿠션재가 부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석(100)은 사용자(B)의 신체 치수에 맞춰 측방부(123) 사이의 간격(G)을 조절하여 측방부(123)에 의한 가압 정도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석(1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하면 사용자(B)에 의하여 방석본체(110)와 함께 바닥부(121)도 함께 눌리고, 폭 방향 양측에서 측방부(123)의 의하여 골반과 다리가 지지되어 잡아주게 되므로, 골반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억제되고, 앉은 자세에서 기초가 되는 골반을 양측에서 잡아주므로 바른 자세가 유지될 수 있고 척추로 연장된 상체도 함께 바른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다리도 측방부(123)에 편하게 기댈 수 있게 된다.
100: 방석 110: 방석본체
120: 지지부재 130: 결합부재

Claims (8)

  1. 폭 방향 양측 하부에 삽입부(112)가 형성된 방석본체(110)와, 상기 방석본체(110)의 폭 방향 양측 삽입부(112)에 각각 삽입되는 지지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120)는 삽입부(112)에 삽입되는 바닥부(121)와 상기 바닥부(121)의 폭 방향 외측에서 상향 연장된 측방부(123)를 포함하며, 양측 측방부(123)는 방석본체(110)를 지나 상향 돌출된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석(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20)의 폭 방향 외측에는 폭 방향 내향 개구된 오목부(1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석(100).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석본체(110)의 하부에는 상기 삽입부(112)를 형성하는 삽입부형성부재(11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석(100).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21)에는 결합공(1211)이 관통 형성되고, 양측 바닥부(121)의 결합공(1211)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결합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석(100).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30)에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131)와 제2결합부(133)가 구비되어, 양측 바닥부(121)의 결합공(1211)에 삽입되고 제1결합부(131)와 제2결합부(133)가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방석(100).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1211)은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석(100).
  7.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21)와 측방부(123)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석(100).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부(123)는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오목부(124)는 바닥부(121)의 상부로 바닥부(121)와 측방부(123)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석(100).
KR1020220043162A 2022-04-07 2022-04-07 방석 KR20230144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162A KR20230144190A (ko) 2022-04-07 2022-04-07 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162A KR20230144190A (ko) 2022-04-07 2022-04-07 방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190A true KR20230144190A (ko) 2023-10-16

Family

ID=88506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162A KR20230144190A (ko) 2022-04-07 2022-04-07 방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41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119U (ko) 2018-07-06 2020-01-15 김계순 통풍 기능을 갖는 방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119U (ko) 2018-07-06 2020-01-15 김계순 통풍 기능을 갖는 방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270293D1 (en) Sitting furniture
US20110049951A1 (en) Portable chair cover for stackable chairs
KR102111209B1 (ko) 등쿠션
KR20230144190A (ko) 방석
KR20230171759A (ko) 방석
JP2003265269A (ja) マットレスまたは座面に対してクッション位置を調節する装置
US6830293B2 (en) Seat pad for outdoor furniture
KR102538739B1 (ko) 방석
KR20220114678A (ko) 방석
KR20220111846A (ko) 방석
US6840584B2 (en) Furniture backing support
JP4021454B2 (ja) 多機能ソファ
KR101016723B1 (ko) 자세 교정을 위한 기능성 매트
JP6059505B2 (ja)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椅子
KR200430097Y1 (ko) 접는 등받이 베개
JP3163626U (ja) 座布団
KR102492357B1 (ko) 베개
JP2002172039A (ja) 家 具
KR101704595B1 (ko) 요추 지지 쿠션
JPH1142142A (ja) ソファー
JP2017042411A (ja) 運動器具
KR20230164402A (ko) 허벅지 받침장치
JP2020054789A (ja) 家具用クッション
KR20240019496A (ko) 의자의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JP3096002U (ja) 椅子用座布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