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496A - 의자의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의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496A
KR20240019496A KR1020220097187A KR20220097187A KR20240019496A KR 20240019496 A KR20240019496 A KR 20240019496A KR 1020220097187 A KR1020220097187 A KR 1020220097187A KR 20220097187 A KR20220097187 A KR 20220097187A KR 20240019496 A KR20240019496 A KR 20240019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bottom plate
seat
cushion
cush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의경
권태환
Original Assignee
한의경
권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의경, 권태환 filed Critical 한의경
Priority to KR102022009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9496A/ko
Publication of KR2024001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4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1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47C7/5062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rectilinear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의 좌판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수평인 면으로 형성되고 팔걸이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는 밑면, 상기 밑면의 양 측부에 끝단이 경사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팔걸이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측면의 단부를 각각 이어주는 한 쌍의 연결면을 구비하는 밑판부재, 상기 밑판부재의 측면과 연결면이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상기 측면과 상기 연결면이 결합되면서 상기 밑판부재의 밑면에 놓여지는 쿠션부재 및 상기 쿠션부재를 덮어 보호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의자의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의자의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Seat plate of a chair and a chai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자의 좌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의자에 착석하는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고 편의성을 높인 의자의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와 관련된다.
의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기본적인 다리, 좌판 및 등받이의 구성 외에도 사용처에 따라 목 받침, 팔걸이 등 다양한 구성이 추가될 수 있으며, 안마를 위한 전동기구를 비롯하여 평탄하게 변형되는 가변형 의자 등 변형의 예는 무수하다.
의자를 개선하는 방안 중 하나는 좌판에 안정감과 편의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판에는 팔걸이가 결합되게 되고 좌판의 상측에는 구션이 마련된다. 이때 팔걸이의 결합이 좋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기 어렵다. 한편 쿠션의 쿠션감이 떨어지거나 쿠션의 고정이 불충분한 경우도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기 어렵고 편의성이 떨어지게 된다.
종래기술로서 의자의 좌판과 관련한 여러 가지의 기술들이 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좌판의 안정감을 주기 위한 기술들은 많지 않은 실정이며, 좌판에 안정감을 주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의 개발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29699호 (2021.03.1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0790호 (2018.04.16)
본 발명은 팔걸이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앉는 쿠션의 착석감을 향상시켜 안정감을 주며, 의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의자의 좌판을 제시한다. 또한 이러한 좌판을 구비하는 의자를 제시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수평인 면으로 형성되고 팔걸이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는 밑면, 상기 밑면의 양 측부에 끝단이 경사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팔걸이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측면의 단부를 각각 이어주는 한 쌍의 연결면을 구비하는 밑판부재, 상기 밑판부재의 측면과 연결면이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상기 측면과 상기 연결면이 결합되면서 상기 밑판부재의 밑면에 놓여지는 쿠션부재 및 상기 쿠션부재를 덮어 보호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의자의 좌판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밑판부재의 밑면에는 상기 쿠션부재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밑판부재의 밑면에는 밑면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더 낮은 높이를 가지는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밑판부재의 밑면에는 발받침대를 구성하는 지지대가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돌출물과 상기 지지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밑판부재의 측면의 상단부에는 턱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부재의 끼움홈은 상기 턱과 대응되도록 꺾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꺾여진 끼움홈에 턱이 결합되면서 상기 밑판부재와 상기 쿠션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테두리가 박음질되고 테두리에 조임끈이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쿠션부재를 덮은 후 조임끈이 조여짐으로써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쿠션부재를 덮어 감쌀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커버부재의 박음질된 테두리로부터 상기 쿠션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밑판부재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사용자가 착석하는 상술한 좌판, 상기 좌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가 착석할 때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 및 상기 좌판에 연결되어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의자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밑판부재의 측면 상단부를 경사지게 하고 측면 전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면의 높이를 낮게 하는 한편 밑판부재의 밑면과 측면에 팔걸이를 고정하기 위한 홀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앉을 때 허벅지 부분이 가압되는 것을 경감하여 다리의 혈류장애를 방지하고 팔걸이를 2가지 방향에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밑판부재의 밑면에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쿠션부재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밑판부재의 밑면에 밑면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게 경사지는 리브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쿠션부재에 앉을 때 쿠션부재가 중심쪽으로 모아지면서 착석 상태의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발받침대의 지지대가 결합될 수 있는 돌출물을 밑판부재의 밑면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부품을 마련하지 않고도 지지대를 결합시킬 수 있고, 쿠션부재와 발받침대의 수평 맞춤이 용이해지며 지지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을 밑판부재의 밑면에 형성하여 발받침대의 인출과 인입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쿠션부재에 슬릿 형태의 끼움홈을 형성하고 이러한 끼움홈에 밑판부재의 측면과 연결면을 결합시키는 형태로 밑판부재와 쿠션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별도의 접착제 없이 쿠션부재를 밑판부재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밑판부재의 측면 상단부에 턱을 형성하여 상단부를 꺾인 형상으로 하고 쿠션부재의 끼움홈도 이에 대응되도록 꺾인홈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밑판부재와 쿠션부재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의 테두리를 박음질하되 박음질한 안쪽에 조임끈을 구비하도록 하고, 커버부재로 쿠션부재를 감싼 후 조임끈을 조여 감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커버부재가 쿠션부재를 안정적으로 감싸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택커침과 같은 고정부재를 커버부재의 박음질된 테두리로부터 쿠션부재를 관통하여 밑판부재의 측면과 연결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커버부재를 쿠션부재와 일체화되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좌판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밑판부재의 밑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좌판에서 밑판부재에 쿠션부재와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판을 포함하는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100)용 좌판(10)은 밑판부재(1), 쿠션부재(2) 및 커버부재(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밑판부재(1)는 각 구성들이 결합되는 기본 베이스를 이루고, 이러한 밑판부재(1)에 쿠션부재(2)가 놓여진 후 커버부재(3)로 마감된다.
밑판부재(1)는 연결면(11), 밑면(12) 및 측면(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밑면(12)은 수평인 면으로 형성되고 팔걸이(5)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홀(121)이 형성된다. 또한 측면(13)은 밑면(12)의 양 측부로부터 끝단이 경사지도록 돌출되게 하여 한 쌍이 형성되고 팔걸이(5)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홀(13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절곡되어 형성되는 팔걸이를 밑판부재의 밑면과 측면에서 각각 고정할 수 있어 팔걸이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연결면(11)은 한 쌍의 측면(13)의 단부를 각각 이어주게 된다. 측면(13)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므로 일측의 제1연결면(111)은 높이가 낮고 반대측 제2연결면(112)은 높이가 높게 된다. 이러한 측면(12)과 연결면(11)에 쿠션부재(2)가 결합되면서 밑판부재(1)의 밑면(12)에 맞닿도록 하여 놓여진다. 이때 쿠션부재(2)에는 커버부재(3)가 덮혀 쿠션부재(2)를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높이가 낮은 제1연결면을 다리쪽으로 배치하여 좌판을 구성하면 사용자의 허벅지에 쿠션감을 더 부여할 수 있으며 허벅지가 눌려 혈액순환이 방해되는 것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이러한 좌판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밑판부재(1)는 기본 베이스가 되어 좌판(10)의 각 구성들이 결합되고, 연결면(11), 밑면(12) 및 측면(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밑판부재(1)의 연결면(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앞쪽과 뒷쪽의 높이가 다르게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연결면(11)은 사용자가 착석할 때 다리가 놓이는 앞쪽이 더 낮고 엉덩이가 놓이는 뒤쪽이 높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측면(13)은 밑면(12)의 양 옆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측면(13)은 쿠션부재(2)에 결합되어 쿠션부재(2)가 제대로 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해 준다. 한편 측면(13)에는 팔걸이(5)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홀(131)이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팔걸이(5)는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평면(51)과 수직면(52) 및 손잡이(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수평면(51)은 밑판부재(1)의 밑면(12)과 밀착되어 결합되고 수직면(52)은 측면(13)과 밀착되어 결합되는데 팔걸이(5)의 수평면(51)에는 밑면(12)의 결합홀(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되고 수직면(52)에도 측면(13)의 결합홀(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되며 각 홀을 관통하는 결속부재에 의해 팔걸이(5)가 밑판부재(1)에 결합되는 형태를 가진다.
특히 측면(13)에 형성된 결합홀(131)은 밑면(12)에 형성된 결합홀(121)과 서로 다른 방향에서 팔걸이(5)를 고정시켜 주게 되므로 팔걸이(5)가 밑판부재(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측면(13)에 형성되는 결합홀(131)은 측면(13)의 형상을 적절하게 변형시킨 후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는 한 예로서 측면(13)의 하부에 결합홀(131)의 형성을 위한 결합체를 형성하고 결합체에 결합홀(131)을 형성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이와는 달리 측면(13)의 하부에 결합체가 없이 결합홀을 형성하고 팔걸이(5)의 수직면(52)를 변형시켜 측면(13)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구성한 후 결속부재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밑판부재(1)의 측면(13)의 윗쪽 단부에는 턱(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쿠션부재(2)의 끼움홈(21)은 턱(132)과 대응되도록 'ㄱ'자로 꺾인 형태가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측면(13)이 끼움홈(21)에 결합되어 쿠션부재(2)가 밑판부재(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턱은 연결면(11)에도 형성될 수 있다.
밑면(12)은 밑판부재(1)의 하부를 이루고 다리부재(30)가 결합된다. 밑면(12)에는 팔걸이(5)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홀(121)이 형성된다. 밑면(12)의 결합홀(121)은 복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밑판부재(1)의 밑면(12)에는 쿠션부재(2)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111)는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기(111)에 의해 쿠션부재(2)는 더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밑면(11)에는 돌기(111)를 형성하는 대신 또는 돌기(111)와 함께 거칠기를 가진 마찰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밑면(12)에는 밑면(11)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더 낮은 높이를 가지는 리브(12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면을 가진 직각삼각형 형상의 리브(124)를 밑면(12)과 측면(13)에 맞닿도록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리브(124)의 경사는 60도 내외가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좌판(10)에 착석하는 경우 엉덩이가 중심으로 모이도록 되어 안정감을 줄 수 있다.
한편 밑면(12)에는 발받침대(6)의 지지대(62)가 끼워지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중앙에 홀이 형성된 돌출물(122)이 형성될 수 있고 돌출물(122)의 홀에서 연장되어 지지대(6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된 밑판부재의 밑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의자(100)에는 쿠션(61)과 지지대(62)로 구성된 발받침대(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발받침대(6)의 지지대(62)가 좌판(10)에 결합되기 위하여 밑판부재(1)의 밑면(12)에 상술한 돌출물(12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돌출물(122)은 대략 반원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밑면(12)과 돌출물(122)에 걸쳐 지지대(62)의 단면 형상과 같이 원형의 홀이 형성된다. 한편 밑면(12)에서 돌출물(122) 뒤쪽으로는 이러한 홀로부터 연장되어 단면이 대략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홈(12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홀과 가이드홈(123)을 따라 발받침대(6)의 지지대(62)가 이동할 수 있고 발받침대(6)가 좌판(10)에 밀착되거나 좌판(10)으로부터 멀어져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좌판(10)에 직접 발받침대(6)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밑판부재(1)는 연결면(11), 측면(13) 및 밑면(12)이 연속하여 일체화된 사출물로서 한번에 성형될 수 있다.
쿠션부재(2)는 밑판부재(1)의 밑면(12)에 놓여져 사용자가 착석할 때 쿠션감을 주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쿠션부재(2)는 일면이 밑판부재(1)의 연결면(11) 및 측면(13)과 결합하면서 밑판부재(1)의 밑면(12)에 놓여진다.
이때 쿠션부재(2)는 높이가 낮은 제1연결면(111)을 앞쪽으로 하고 높이가 높은 제2연결면(112)을 뒷쪽으로 배치한 밑판부재(1)에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착석할 때 허벅지 부분이 연결면의 높이가 낮은 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허벅지 부분을 가압하는 힘이 작아져 다리의 혈류장애를 방지하고 착석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쿠션부재(2)에는 끼움홈(21)이 형성되고 이 끼움홈(21)에 밑판부재(1)의 연결면(11)과 측면(13)이 결합되면서 쿠션부재(2)가 밑판부재(1)의 밑면(12)에 놓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쿠션부재(2)가 안정적으로 밑판부재(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결면(11)과 측면(13)의 상단부에 턱(132)이 형성된 경우에는 쿠션부재(2)의 끼움홈(21)도 턱(13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밑판부재(1)와 쿠션부재(2)가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쿠션부재(2)는 일반적으로 의자(100)의 쿠션(61)에 사용되는 메모리폼 스펀지 등과 같이 변형이 잘 이루어지고 쿠션감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재(3)는 쿠션부재(2)를 덮어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커버부재(3)는 쿠션부재(2)와 대응되도록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커버부재(3)의 테두리(31)가 박음질되고 테두리(31)를 따라 형성된 공간에 조임끈(32)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커버부재(3)가 쿠션부재(2)를 덮은 후 조임끈(32)을 조임으로써 커버부재(3)가 쿠션부재(2)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택커침과 같은 고정부재(4)를 커버부재(3)의 박음질된 테두리(31)로부터 쿠션부재(2)를 관통하여 밑판부재(1)의 측면(13)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커버부재(3)는 매쉬망, 가죽, 천 등의 일반적으로 의자의 좌판(10)에 사용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판의 밑판부재에 쿠션부재와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밑판부재(1), 쿠션부재(2) 및 커버부재(3)를 조립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밑판부재(1)에 쿠션부재(2)를 결합시킨다. 이때 밑판부재(1)의 측면(13)과 연결면(11)의 상단부가 쿠션부재(2)의 끼움홈(21)에 삽입되도록 결합시킨다(도 4a, 도 4b 참조).
이후 쿠션부재(2)를 덮도록 쿠션부재(2) 위에 커버부재(3)를 놓는다(도 4c 참조). 커버부재(3)는 가운데 쪽이 쿠션부재(2) 위에 놓이고 테두리(31)는 쿠션부재(2) 바깥으로 늘어지게 된다. 이때 테두리(31)의 조임끈(32)을 조이면 커버부재(3)가 쿠션부재(2)에 밀착되면서 쿠션부재(2)를 감싸게 된다.
다음으로 택커침과 같은 고정부재(4)를 커버부재(3)의 박음질된 테두리(31)로부터 쿠션부재(2)를 관통하여 밑판부재(1)의 측면(13)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밑판부재(1), 쿠션부재(2) 및 커버부재(3)가 일체화된 좌판(10)을 제작할 수 있다(도 4d 참조).
위와 같이 구성된 좌판(10)은 의자(100)를 구성하는 하나의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는 상술한 좌판(10)에 좌판(10)으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가 착석할 때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20)가 결합되며 지지를 위한 다리부재(30)가 좌판(10)에 결합된 의자(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의자(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좌판(10)을 사용하므로 사용자에게 안정감과 편의성을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의자의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밑판부재
11 : 연결면 111 : 제1연결면 112 : 제2연결면
12 : 밑면 121 : 결합홀 122 : 돌출물 123 : 가이드홈 124 : 리브
125 : 돌기
13 : 측면 131 : 결합홀 132 : 턱
2 : 쿠션부재 21 : 끼움홈
3 : 커버부재 31 : 테두리 32 : 조임끈
4 : 고정부재
5 : 팔걸이 51 : 수평면 52 : 수직면 53 : 손잡이
6 : 발받침대 61 : 쿠션 62 : 지지대
10 : 좌판 20 : 등받이 30 : 다리부재 100 : 의자

Claims (8)

  1. 수평인 면으로 형성되고 팔걸이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는 밑면, 상기 밑면의 양 측부에 끝단이 경사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팔걸이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측면의 단부를 각각 이어주는 한 쌍의 연결면을 구비하는 밑판부재,
    상기 밑판부재의 측면과 연결면이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 상기 측면과 상기 연결면이 결합되면서 상기 밑판부재의 밑면에 놓여지는 쿠션부재 및
    상기 쿠션부재를 덮어 보호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의자의 좌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부재의 밑면에는 상기 쿠션부재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의자의 좌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부재의 밑면에는 밑면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더 낮은 높이를 가지는 리브가 형성되는 의자의 좌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부재의 밑면에는 발받침대를 구성하는 지지대가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돌출물과 상기 지지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의자의 좌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부재의 측면의 상단부에는 턱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부재의 끼움홈은 상기 턱과 대응되도록 꺾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꺾여진 끼움홈에 턱이 결합되면서 상기 밑판부재와 상기 쿠션부재가 결합되는 의자의 좌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테두리가 박음질되고 테두리에 조임끈이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쿠션부재를 덮은 후 조임끈이 조여짐으로써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쿠션부재를 덮어 감싸는 의자의 좌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박음질된 테두리로부터 상기 쿠션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밑판부재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자의 좌판.
  8. 사용자가 착석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좌판,
    상기 좌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가 착석할 때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 및
    상기 좌판에 연결되어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다리부재
    를 포함하는 의자.
KR1020220097187A 2022-08-04 2022-08-04 의자의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202400194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187A KR20240019496A (ko) 2022-08-04 2022-08-04 의자의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187A KR20240019496A (ko) 2022-08-04 2022-08-04 의자의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496A true KR20240019496A (ko) 2024-02-14

Family

ID=8989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187A KR20240019496A (ko) 2022-08-04 2022-08-04 의자의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949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790B1 (ko) 2018-01-16 2018-04-20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의 좌판
KR20210029699A (ko) 2019-09-06 2021-03-16 (주)에이앤씨인터내셔널 의자용 좌판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790B1 (ko) 2018-01-16 2018-04-20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의 좌판
KR20210029699A (ko) 2019-09-06 2021-03-16 (주)에이앤씨인터내셔널 의자용 좌판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0487B2 (ja) 姿勢の変化に伴って変形可能な腰下敷用椅子
US5704691A (en) Padded chair construction
JP2023115052A (ja) 姿勢保持具
KR102111209B1 (ko) 등쿠션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KR200425803Y1 (ko) 시트쿠션체가 슬라이딩되는 쇼파
US3602548A (en) Upholstery construction for adjustable chairs
KR101733982B1 (ko) 요추 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KR20240019496A (ko) 의자의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TWM640897U (zh) 坐墊塑形調節構造
KR200494409Y1 (ko) 소파용 쿠션
EP0340190B1 (en) Back-support arrangement and furniture in connection herewith
KR101016723B1 (ko) 자세 교정을 위한 기능성 매트
KR200415546Y1 (ko) 소파용 쿠션
CN220403571U (zh) 一种沙发床
KR101263344B1 (ko) 책상용 쿠션
KR200407079Y1 (ko) 매트리스가 구비된 안마용 의자
KR200327969Y1 (ko) 탄성부를 갖는 등받이 의자
JP3236468U (ja) ランバークッションおよび椅子
CA2404609A1 (en) Furniture backing support
KR102482778B1 (ko) 의자용 등받이 쿠션
TWI830518B (zh) 坐墊塑形調節構造
CN217245435U (zh) 一种多功能按摩沙发
WO2024114443A1 (zh) 坐垫塑形调节构造
KR102497164B1 (ko) 등받이모듈을 포함하는 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