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236A -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236A
KR20230143236A KR1020220041257A KR20220041257A KR20230143236A KR 20230143236 A KR20230143236 A KR 20230143236A KR 1020220041257 A KR1020220041257 A KR 1020220041257A KR 20220041257 A KR20220041257 A KR 20220041257A KR 20230143236 A KR20230143236 A KR 20230143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layer
organic material
display device
disposed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야 오노우에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1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3236A/ko
Priority to US17/970,383 priority patent/US20230320187A1/en
Priority to CN202310128183.4A priority patent/CN116896951A/zh
Publication of KR20230143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23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4Arrangements for heating and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integrated with passive devices, e.g. auxiliary capaci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7Arrangements for heating or cool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21Patterning of a layer by embossing, e.g. stamping to form trenches in an insulat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일면 및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일면 상에 배치되며 차광 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층 및 타면 상에 배치되며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구동 기판을 포함하며, 기능층은 표시 구동 기판과 접촉하는 제1 부분 및 표시 구동 기판과 비접촉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제1 부분의 경도는 제2 부분의 경도보다 크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표시 장치의 기술 발달과 함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미리 설정된 형태로 변형되거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다양한 기능성 부재들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베이스 부재, 베이스부재 상에 배치된 다양한 기능층들, 및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된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배면에는 다양한 기능층들을 포함하는 커버 패널이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방열 기능, 전자파 차폐기능, 패턴 시인 방지 기능, 접지 기능, 완충 기능, 강도 보강 기능 및 디지타이징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커버 패널에 포함되는 차광층 및 충격 완화층을 직접 도포 방식에 의해 하나의 층으로 형성함에 따라 커버 패널 제작시 사용되는 필름의 개수를 줄여 커버 패널의 공정 과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며 차광 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층 및 상기 타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구동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층은 상기 표시 구동 기판과 접촉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표시 구동 기판과 비접촉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의 경도는 상기 제2 부분의 경도보다 크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기능층과 접촉하는 메인 영역, 상기 메인 영역과 대향하며 상기 기능층과 비접촉하는 서브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 및 상기 서브 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벤딩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층 및 상기 서브 영역과 접촉하며 배치되는 단차 보상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기능층은 상기 단차 보상 부재와 접촉하는 제3 부분 및 상기 단차 보상 부재와 비접촉하는 제4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부분의 경도는 상기 제2 부분의 경도 및 상기 제4 부분의 경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부분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3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부분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상기 기능층과 상기 단차 보상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 보상 부재는 제1 접착 부재, 제2 접착 부재 및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상기 제2 접착 부재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방열층과 접촉하고, 상기 제2 접착 부재는 상기 서브 영역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은 차광 물질을 포함하는 탄성 중합체 입자 및 중공 입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중합체 입자 및 상기 중공 입자의 직경은 100nm 내지 5㎛일 수 있다.
상기 탄성 중합체 입자 및 상기 중공 입자는 상기 단차 보상 부재와 비중첩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의 두께는 20μm 내지 140μm일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상기 제3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은 (메타)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유기 물질 및 단관능의 (메타)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유기 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에 포함된 상기 유기 물질의 조성은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에 포함된 상기 유기 물질의 조성과 다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일면에 배치되며, 차광 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층, 상기 기능층은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돌출부를 갖는 제1 부분, 제2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는 평면부를 갖는 제2 부분, 및 제3 베이스부 및 상기 제3 베이스부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돌출부를 갖는 제3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의 경도는 상기 제1 부분의 경도 및 상기 제3 부분의 경도 보다 크다.
상기 평면부는 제1 부분과 인접한 일측면 및 상기 제3 부분과 인접한 타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일측면은 상기 제1 돌출부와 대향하고, 상기 타측면은 상기 제2 돌출부와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돌출부, 상기 제2 베이스부와 상기 평면부, 및 상기 제3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각각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부의 두께 방향의 길이와 상기 제1 돌출부의 두께 방향의 길이의 합, 상기 제2 베이스부의 두께 방향의 길이와 상기 평면부의 두께 방향의 길이의 합, 및 상기 제3 베이스부의 두께 방향의 길이와 상기 제2 돌출부의 두께 방향의 길이의 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동일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제1 접착 부재, 제2 접착 부재 및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상기 제2 접착 부재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단차 보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차 보상 부재는 상기 제2 부분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부분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은 차광 물질을 포함하는 탄성 중합체 입자 및 중공 입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면의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의 광학 밀도는 3 내지 4일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영역, 제2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영역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상에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제1 유기 물질을 토출한 후 상기 제1 유기 물질 상에 환원제를 포함하는 제2 유기 물질을 토출하여 상기 제1 유기 물질과 상기 제2 유기 물질의 혼합에 의한 경화 반응을 통해 기능층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영역 및 상기 제4 영역 상에 과산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기 물질과 다른 조성을 갖는 제3 유기 물질을 토출한 후 상기 제3 유기 물질 상에 환원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기 물질과 조성이 다른 제4 유기 물질을 토출하여 상기 제3 유기 물질과 상기 제4 유기 물질의 혼합에 의한 경화 반응을 통해 상기 기능층의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의 단순화에 따라 표시 장치의 제조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된 탄성 중합체 입자의 단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된 중공 입자의 단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층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층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단계들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단계들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커버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 등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책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1 에서는 표시 장치(1)의 제1 변(세로변)에 나란한 방향을 제1 방향(DR1)으로, 표시 장치(1)의 제2 변(가로변)에 나란한 방향을 제2 방향(DR2)으로, 표시 장치(1)의 두께 방향을 제3 방향(DR3)으로 각각 표기하고 있다.
표시 패널(10)은 화면을 표시하는 패널로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micro LED)를 이용하는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층을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또는 무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무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무기 발광 표시 패널 등 어떠한 종류의 표시 패널도 본 실시예의 표시 패널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의 표시 장치(1)의 표시 패널(1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표시 패널(10)은 제3 방향(DR3) 일측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가요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플렉시블(flexible)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은 표시 장치(1)의 다양한 플랫폼(예를 들어, 롤러블, 슬라이더블, 폴더블 플랫폼 등)에 맞게 부분적으로 구부러지거나, 휘어지거나 벤딩되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도록 유연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은 메인 영역(MR)과 메인 영역(MR)의 일측에 연결된 벤딩 영역(BR)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벤딩 영역(BR)과 연결되고 메인 영역(MR)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된 서브 영역(S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부분을 표시부(DPA)로,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부분을 비표시부(NDA)로 정의하면, 표시 패널(10)의 표시부(DPA)는 메인 영역(MR) 내에 배치된다. 표시부(DP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표시 패널(10)의 비표시부(NDA)가 되는데, 일 실시예에서 메인 영역(MR)에서 표시부(DPA)의 주변 에지 부분, 벤딩 영역(BR) 전체 및 서브 영역(SR) 전체가 비표시부(NDA)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벤딩 영역(BR) 및 서브 영역(SR), 벤딩 영역(BR) 또는 서브 영역(SR)도 표시부(DPA)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영역(MR)은 대체로 표시 장치(1)의 평면상 외형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 영역(MR)은 일 평면에 위치한 평탄 영역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메인 영역(MR)에서 벤딩 영역(BR)과 연결된 에지(변)를 제외한 나머지 에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에지가 휘어져 곡면을 이루거나 수직 방향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의 표시부(DPA)는 메인 영역(MR)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DPA)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는 발광층과 발광층의 발광량을 제어하는 회로층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은 표시 배선, 표시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은 봉지막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각 화소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표시부(DPA)는 직사각형 형상 또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부(DPA)는 정사각형이나 기타 다각형 또는 원형, 타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 영역(MR)에서 벤딩 영역(BR)과 연결된 에지(변)를 제외한 나머지 에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에지가 곡면을 이루거나 절곡되어 있는 경우, 해당 에지에도 표시부(DPA)가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곡면 또는 절곡된 에지는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부(NDA)가 배치되거나, 표시부(DPA)와 비표시부(NDA)가 함께 배치될 수도 있다.
메인 영역(MR)에서 표시부(DPA)의 주변에는 비표시부(NDA)가 위치할 수 있다. 메인 영역(MR)의 비표시부(NDA)는 표시부(DPA)의 외측 경계로부터 표시 패널(10)의 에지까지의 영역에 놓일 수 있다. 메인 영역(MR)의 비표시부(NDA)에는 표시부(DPA)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 배선이나 구동 회로들이 배치될 수 있다.
벤딩 영역(BR)은 메인 영역(MR)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벤딩 영역(BR)은 메인 영역(MR)의 일 단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벤딩 영역(BR)의 폭은 메인 영역(MR)의 폭(단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메인 영역(MR)과 벤딩 영역(BR)의 연결부는 L자 커팅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벤딩 영역(BR)에서 표시 패널(10)은 하측 방향, 다시 말하면 표시면의 반대 방향으로 곡률을 가지고 벤딩될 수 있다. 벤딩 영역(BR)은 일정한 곡률 반경은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구간별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이 벤딩 영역(BR)에서 벤딩됨에 따라 표시 패널(10)의 면이 반전된다. 즉, 상부를 항하는 표시 패널(10)의 일면이 벤딩 영역(BR)을 통해 외측을 항하였다가 다시 하부를 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서브 영역(SR)은 벤딩 영역(BR)으로부터 연장된다. 서브 영역(SR)은 벤딩이 완료된 이후부터 시작하여 메인 영역(MR)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서브 영역(SR)은 표시 패널(10)의 두께 방향으로 메인 영역(MR)과 중첩할 수 있다. 서브 영역(SR)은 메인 영역(MR) 에지의 비표시부(NDA)와 중첩하고, 나아가 메인 영역(MR)의 표시부(DPA)에까지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브 영역(SR)의 폭은 벤딩 영역(BR)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서브 영역(SR)의 폭은 벤딩 영역(BR)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의 서브 영역(SR) 상에는 구동칩(20)이 배치될 수 있다. 구동칩(20)은 표시 패널(10)을 구동하는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집적 회로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칩(20)은 서브 영역(SR)에서 표시 패널(10)에 실장될 수 있다. 구동칩(20)은 표시면과 동일한 면인 표시 패널(10)의 일면 상에 실장되되, 상술한 것처럼 벤딩 영역(BR)이 벤딩되어 반전됨에 따라 두께 방향으로 하부를 향하는 표시 패널(10)의 면에 실장되어 구동칩(20)의 상면이 하부를 향할 수 있다.
구동칩(20)의 가로 방향 폭은 표시 패널(10)의 가로 방향 폭보다 작을 수 있다. 구동칩(20)은 서브 영역(SR)의 가로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구동칩(20)의 좌측 에지와 우측 에지가 각각 서브 영역(SR)의 좌측 에지와 우측 에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의 서브 영역(SR) 단부에는 패드부가 마련되고, 패드부 상에 표시 구동 기판(30)이 연결될 수 있다. 표시 구동 기판(30)은 연성 인쇄회로기판이나 필름일 수 있다.
구동칩(20)과 표시 구동 기판(30)은 이방성 도전 필름(ACF)을 통해 표시 패널(10) 상에 부착되거나, 초음파 접합 본딩을 통해 표시 패널(1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서브 영역(SR), 벤딩 영역(BR) 및 메인 영역(MR)에는 복수의 신호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신호 배선은 서브 영역(SR)으로부터 벤딩 영역(BR)을 거쳐 메인 영역(MR)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 윈도우 부재(100), 반사 방지 부재(200), 커버 패널(300), 단차 보상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제3 방향(DR3)을 향하는 일면(이하 '전면'이라 칭함) 및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이하 '배면'이라 칭함)을 포함하며, 표시 패널(10)의 전면 상에 반사 방지 부재(200), 접착층(AF), 및 윈도우 부재(1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고, 표시 패널(10)의 배면 상에 커버 패널(300) 및 단차 보상 부재(4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100)는 표시 패널(1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100)는 표시 패널(10)의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100)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유리나 플라스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윈도우 부재(100)는 두께가 0.1㎜ 이하의 초박막 유리이거나 투명한 폴리이미드 필름일 수 있다. 윈도우 부재(100)는 접착층(AF)에 의해 후술할 반사 방지 부재(200)의 전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층(AF)은 광학투명접착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접착층(AF)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AF)은 광학투명접착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 또는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방지 부재(200)는 표시 패널(10)의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 부재(200)는 윈도우 부재(100)의 전면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방지 부재(200)는 위상지연자(retarder) 및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는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고, λ/2 위상지연자 및/또는 λ/4 위상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역시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다. 필름타입은 연신형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액정 코팅타입은 소정의 배열로 배열된 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 및 편광자는 하나의 편광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반사 방지 부재(200)는 편광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 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커버 패널(300)은 표시 패널(10)의 배면 상에 배치되고, 커버 패널(300)은 표시 패널(10)을 지지하며 표시 패널(1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패널(300)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기 위한 차광 기능 및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능층(310) 및 표시 패널(10)의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커버 패널(300)은 기능층(310) 및 방열층(320) 이외에 다른 기능을 갖는 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파 차폐기능, 패턴 시인 방지 기능, 접지 기능, 보강 기능, 디지타이징 기능을 갖는 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패널(300)에 포함된 기능층(310) 및 방열층(3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12와 결부하여 후술된다.
단차 보상 부재(400)는 서브 영역(SR)의 표시 패널(10)과 커버 패널(300)이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0)은 단면상에서 'C'자 또는 'U'자 형상을 가지도록 벤딩되고, 서브 영역(SR)의 표시 패널(10)의 배면은 표시 패널(10)이 벤딩된 상태에서 커버 패널(300)의 배면과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두고 대향할 수 있으며, 단차 보상 부재(400)는 표시 패널(10)이 벤딩된 상태에서 서브 영역(SR)의 표시 패널(10)과 커버 패널(300)이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400)는 제1 접착 부재(410), 베이스 부재(420), 및 제2 접착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420)는 가요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물질,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 카보네이트(PC),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및 폴리스타이렌 라텍스(Polystyrene Latex, PS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420)는 유/무기 복합재료를 포함하거나 다공성 유기층 및 유기층의 기공들에 충전된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400)는 베이스 부재(420)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접착 부재(410) 및 베이스 부재(400)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2 접착 부재(430)를 포함하므로, 단차 보상 부재(400)는 전면 및 배면 모두에 접착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410) 및 제2 접착 부재(430)는 양면 테이프 같은 스트립으로 이루어지거나, 감압 접착제(pressuresensitive adhesive, PSA)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착 부재(410) 및 제2 접착 부재(430)는 실리콘계 점착제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접착 부재(410) 및 제2 접착 부재(430)는 위에서 상술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서 알려진 점착 물질의 다른 구성이나 조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접착 부재(410) 및 제2 접착 부재(430)는 베이스 부재(42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410)는 베이스 부재(420)와 커버 패널(300)을 부착하고, 제2 접착 부재(430)는 베이스 부재(420)와 표시 패널(10)을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단차 보상 부재(400)는 제1 접착 부재(410) 및 제2 접착 부재(430)를 통해 표시 패널(10)이 벤딩된 상태에서 서브 영역(SR)의 표시 패널(10)과 커버 패널(300)의 사이 공간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접착 부재(410)와 제2 접착 부재(430)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 부재(420)는 가요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외부 충격에 대한 완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차 보상 부재(400)는 제3 방향(DR3)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고, 표시 패널(10)이 벤딩된 상태에서 서브 영역(SR)의 표시 패널(10)과 커버 패널(300) 사이 영역에 배치되므로, 단차 보상 부재(400)에 의해 표시 패널(10)이 벤딩된 상태에서 서브 영역(SR)의 표시 패널(10)과 커버 패널(300) 사이 공간의 단차가 보상될 수 있다.
서브 영역(SR)에 위치한 표시 패널(10)에 표시 구동 기판(3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이 벤딩된 상태에서 표시 구동 기판(30)의 일측은 커버 패널(300)의 배면과 접촉하며, 표시 구동 기판(30)의 타측은 서브 영역(SR)에 위치한 표시 패널(10)의 전면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구동 기판(30)의 일측은 제3 접착 부재(PSA)에 의해 커버 패널(300)의 배면과 접촉하고, 표시 구동 기판(30)의 타측은 이방성 도전 필름(ACF)에 의해 표시 패널(10)의 전면과 접촉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접착 부재(PSA)는 감압접착필름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패널(10) 상에 배치된 윈도우 부재(100), 접착층(AF), 반사 방지 부재(200), 및 구동칩(20)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 따른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의 배면 상에 배치된 커버 패널(300)은 기능층(310), 방열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310)은 표시 패널(10)의 메인 영역(MR)의 배면 상에 배치되며, 표시 패널(10)의 벤딩 영역(BR) 및 서브 영역(SR) 상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0)의 메인 영역(MR)은 제1 메인 영역(MR1), 제2 메인 영역(MR2), 제3 메인 영역(MR3), 및 제4 메인 영역(MR4)을 포함하며, 표시 패널(10)의 메인 영역(MR)에 포함된 제1 메인 영역(MR1), 제2 메인 영역(MR2), 제3 메인 영역(MR3), 및 제4 메인 영역(MR4)의 제1 방향(DR1)의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메인 영역(MR2)의 제1 방향(DR1)의 길이는 제1 메인 영역(MR1) 및 제4 메인 영역(MR4)의 제1 방향(DR1)의 길이 보다 길고, 제3 메인 영역(MR3)의 제1 방향(DR1)의 길이는 제1 메인 영역(MR1) 및 제2 메인 영역(MR2)의 제1 방향(DR1)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메인 영역(MR1), 제2 메인 영역(MR2), 제3 메인 영역(MR3), 및 제4 메인 영역(MR4)의 제1 방향(DR1)의 길이는 서로 동일 할 수 있다.
기능층(310)은 표시 패널(10)의 제1 메인 영역(MR1)의 배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부분(311), 제2 메인 영역(MR2)의 배면 상에 배치되는 제2 부분(312), 제3 메인 영역(MR3)의 배면 상에 배치되는 제3 부분(313), 및 제4 메인 영역(MR4)의 배면 상에 배치되는 제4 부분(3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의 경도는 기능층(310)의 제3 부분(313)의 경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의 경도는 기능층(310)의 제4 부분(314)의 경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 및 제4 부분(314)의 경도는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및 제3 부분(313)의 경도 보다 클 수 있다.
즉,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및 제3 부분(313)은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 및 제4 부분(314) 보다 작은 모듈러스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과 제3 부분(313)은 서로 동일한 모듈러스 값을 갖고,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 및 제4 부분(314)은 서로 동일한 모듈러스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제2 부분(312), 제3 부분(313), 및 제4 부분(314)은 서로 다른 모듈러스 값을 가질 수 있다.
기능층(310)에 포함된 제1 부분(311) 및 제3 부분(313)은 낮은 경도를 가지므로 상대적으로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 및 제4 부분(314)에 비해 외부 충격에 대한 충분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고, 기능층(310)에 포함된 제2 부분(312) 및 제4 부분(314)은 제1 부분(311) 및 제3 부분(313)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가지므로 단차 보상 부재(400) 및 표시 구동 기판(30)을 배치하는 공정 단계에서 커버 패널(300)에 압력이 가해질 때, 커버 패널(300)의 형상을 유지하며 높은 경도에 의해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능층(310)은 0.001MPa~100Gpa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기능층(310)이 0.0001MPa 이상의 모듈러스를 갖는 경우, 기능층(310)이 표시 패널(10)의 배면 상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을 지지하기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으며, 기능층(310)이 100MPa 이하의 모듈러스를 갖는 경우, 표시 장치(1)가 받는 외부 충격에 대한 충격력에 대해 충분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기능층(310)의 모듈러스가 위에서 상술한 수치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과 제3 부분(313)은 제1 유기 물질과 제2 유기 물질이 혼합된 제1 유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과 제3 부분(313)은 제1 유기 물질에 포함된 환원제와 제2 유기 물질에 포함된 과산화물의 아크릴 경화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기 물질은 올리고머, 모노머, 광흡수 재료, 촉진제, 및 환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올리고머와 모노머는 위에서 상술한 광 흡수 재료, 촉진제, 및 환원제와 결합하면서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과 제3 부분(313)의 기본을 이루는 주가 되는 재료이다.
올리고머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일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총칭이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메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이소프렌 (메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부타디엔 (메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메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메타) 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메타) 아크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메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메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메타) 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메타) 아크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우레탄 (메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메타) 아크릴 변성 폴리우레탄이라고도 불리며, 바람직하게는 1000~1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50000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메타) 아크릴기로 치환되어 있으면 폴리우레탄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골격을 가지는 폴리우레탄을 원료로서 폴리우레탄 (메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얻을 수 있다. 폴리우레탄 (메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서는 후술하는 화합물과의 상용성 관점에서 폴리에테르우레탄 (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우레탄 (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우레탄 (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시판품은 예를 들면, 「UN-9200A」(네가미공업사 폴리카보네이트우레탄(메타) 아크릴레이트), 「UA-10000 B」(KSM사 폴리에테르우레탄 (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폴리이소프렌 (메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메타) 아크릴 변성 폴리이소프렌이라고도 불리며 바람직하게는 1000~1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50000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시판품은 예를 들어, kuraray사의 「UC-102M」(분자량 17000) 및 「UC­203M」(분자량 35000) 등이 있다.
폴리부타디엔(메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메타) 아크릴 변성 폴리부타디엔이라고도 불리며, 바람직하게는 500~100000, 더 바람직하게는 1000~30000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시판품은 예를 들어, 일본 소다사의 TE2000(분자량 2000) 등이 있다.
(메타) 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메타) 아크릴 공중합체는 (메타) 아크릴로일기를 가진 모노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며, 바람직하게는 5000~300000, 더 바람직하게는 10000~100000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 이소프렌, 부타디엔 및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류 이상의 모노머이며, 공중합체가 미반응의 (메타) 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한 이러한 것들을 임의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체는 랜덤 중합도 블록 중합도 가능하다.
제1 유기 물질에 포함된 모노머는 단관능의 (메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관능의 (메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아크릴기 또는 메타크릴기가 결합하는 유기기에 특별히 제한받지 않고 그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유기기의 예로는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아릴기, 사이클로알킬기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은 하이드록시기, 아릴기 혹은 사이클로알킬기에 산소가 결합된 구조인 알콕시기 또는 아릴기에 산소가 결합된 구조인 아릴옥시기로 하나 이상 치환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아릴기, 사이클로알킬기는 1개소 이상 산소 원자로 중단된 에테르 구조나 1개소 이상 질소 원자로 중단된 2급 또는 3급 아민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관능의 (메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2-에틸헥실 (메타) 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타)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 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 아크렐레이트, 페닐 (메타) 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메타) 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록시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노르보르넨 (메타) 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 아크릴레이트(CH),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PO), 페녹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 아크릴레이트(분자량 1000미만인 것), 2-하이드록시 3-페녹시프로필 (메타) 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EO첨가물 (메타) 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톡시 에틸렌 글리콜 (메타)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메타) 아크릴레이트, 펜타메틸피페리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로일 모르폴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메타) 아크릴레이트 모너머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단관능 또는 2관능의 (메타) 아크릴로일기 함유 모노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경화 시에 베이스 수지를 고화시켜 피착체와의 우수한 접착성을 발휘할 수 있다.
단관능 또는 2관능의 (메타) 아크릴로일기 함유 모노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극성기를 가지는 (메타)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수산기를 함유하는 (메타) 아크릴레이트,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메타) 아크릴레이트 및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아크릴레이트, 저극성의 분자 구조를 가지는 (메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예를 들면 지방족 (메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지환식 (메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방향족 (메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메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단관능의 (메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이어도 2관능성의 (메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이어도 좋고,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산기를 함유하는 (메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2- 하이드록시 3-페녹시프로필 (메타) 아크릴레이트, 2-(메타) 아크릴로일옥시에틸-2-하이드록시프로필 프탈레이트, 글리세롤모노 (메타) 아크릴레이트가 있다.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메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2-(메타) 아크릴로일옥시에틸코헥산, 2-(메타) 아크릴로일옥시에틸호박산, 2-(메타) 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2-(메타) 아크릴로일옥시에탈 헥사히드로프탈산가 있다.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메타)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가 있다.
지방족 (메타) 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어 라우릴 (메타)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타)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 아크릴레이트, 1, 6-헥산디올 (메타) 아크릴레이트가 있다. 방향족 (메타) 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어 벤질 (메타) 아크릴레이트가 있다.
지환식(메타) 아크릴레이트는, 탄소 원자 수 3~20의 단환 또는 다환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가지는 (메타) 아크릴레이트이며, 예를 들면 시클로헥실(메타) 아크릴레이트, 아이소보닐 (메타) 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옥시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 (메타) 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키닐 (메타) 아크릴레이트, 노보닐 (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이러한 단관능 또는 2관능의 (메타) 아크릴로일기 함유 모노머는 예를 들어, 「SA-1002」(미쓰비시 화학사), 「KAYARAD R-684」(일본화약사), 「라이트에스테르BZ」, 「라이트에스테르IB-X」, 라이트에스테르 HO-MS」(「라이트에스테르」은 모두 교에이사 화학사) 등의 시판품이 있다.
제1 유기 물질에 포함된 광 흡수 재료는 광이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료이다. 즉, 광 흡수 재료는 기능층(310)이 차광 기능을 수행하는 재료일 수 있다. 광 흡수 재료는 유색 입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유색 입자로는 예를 들어, 카본 블랙(carbon black), 산질화 티타늄(titanium nitride oxide), 티타늄 블랙(titanium black), 페닐렌 블랙(phenylene black), 아닐린 블랙(aniline black), 시아닌 블랙(cyanine black), 니그로신산 블랙(nigrosine acid black), 블랙 수지(black res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카본 블랙은 가시 광선 영역의 광을 잘흡수하기 때문에 카본 블랙을 광 흡수 재료로 이용할 경우 우수한 광 누설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광 흡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색상의 입자가 이용될 수 있다.
제1 유기 물질은 제2 유기 물질과의 반응을 가속하기 위해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촉진제는 산성화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산화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성 인화합물로써는 Monomethy phosphates, Dimethyl phosphates, Monoethyl phosphates, Diethyl phosphates, Monoisopropyl phosphates, Diisopropyl phosphates, Mono butyl phosphates, Dibutyl phosphates, Mono-β-chloroethyl phosphate, Di-β-chloroethyl phosphate, Mono-β-bromoethyl phosphate, Di-β-bromoethyl phosphate, Mono ethoxy ethyl phosphates, Diethoxy ethyl phosphates, Mono butoxy ethyl phosphates, Dibutoxy ethyl phosphates, Phenyl phosphates, Diphenyl phosphates, Phenylphosphonic Acid, Diphenylphosphonic Acid, Phenylphosphonite、Di-Phenylphosphonite 등을 들 수 있으며, 이것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 될 수 있다.
제1 유기 물질에 포함된 환원제는 유기, 무기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가(多)의 금속 이온 예를 들어, 코발트, 철, 아연, 바나듐 등이 기능적으로 접합하고 환경 측면에서 철, 바나듐이 적합하며 반응의 안정성 측면에서는 바나듐이 가장 적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기 물질에 포함된 환원제는 가용성 바나듐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용성 바나듐 화합물은 Vanadyl acetylacetonate, Vanadyl stearate, Vanadium naphthenate, vanadium acetyl acetonato、 vanadium benzoyl acetonate, Vanadyl Oxalate n-Hydrate 등이 있으며, 1종 또는 2종의 환원제를 사용하여 용액 안에서의 안정성, 환원력, 및 확산력을 조정할 수 있다.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및 제3 부분(313)에 포함된 제2 유기 물질은 올리고머, 모노머, 광흡수 재료, 및 과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기 물질에 포함된 올리고머, 모노머, 광흡수 재료는 위에서 상술한 제1 유기 물질에 포함된 올리고머, 모노머, 광흡수 재료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유기 물질은 제1 유기 물질에 포함된 환원제와 반응하여 아크릴 경화 반응을 진행시키는 과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유기 물질에 포함된 Hydro peroxide나 Ketone peroxide 등과 같은 과산화물은 제1 유기 물질에 포함된 금속염과 같은 환원제와의 레독스 반응으로 인해 낮은 온도에서도 효율적으로 래디칼을 발생시키며 아크릴 경화 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다.
제2 유기 물질에 포함된 과산화물은 예를 들어, Tert-Butyl hydroperoxide, p-menthane hydroperoxide, Cumene Hydroperoxide, Diisopropylbenzene hydroperoxide 등의 Hydroperoxide류, T-butyl peroxy laurate, T-butyl peroxy benzoate, T-butyl peroxide decanoate 등의 peroxy ester류 등이 적당하며 특히 hydro peroxide가 적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및 제3 부분(313)은 본 발명의 목적을 훼손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제1 유기 물질과 제2 물질 이외의 무기필러, 산화방지제, 중합금지제, 가소제, 유기필러, 아크릴 고무, 우레탄 고무 등의 각종 엘라스토머, 메타크릴산 메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래프트 공중합체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용제, 증량재, 보강재, 증점제, 난연제, 계면활성제, 열중합개시제, 및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능층(310)은 기능층(310)의 차광 기능, 탄성률, 및 액성을 조정하기 위해 무기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기 필러는 예를 들어, 석영, 석영 유리, 용융 실리카, 구상 실리카 등의 실리카 분말 등이나 구상 알루미나, 파쇄 알루미나, 산화 마그네슘, 산화 베릴륨, 산화 티탄 등의 산화물류, 질화 붕소, 질화 규소, 질화 알루미늄 등의 질화물류, 산화 규소 등의 산화물류,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등의 수산화물류, 동, 은, 철, 알루미늄, 니켈, 티탄 등의 금속류 및 합금류, 다이아몬드,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등의 탄소계 충진재, 복합 산화물로 이루어진 유리 필러 등이 있다. 이러한 무기 필러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기능층(310)은 조성물의 안정성을 위해 산화 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하이드로키논계 산화방지제 및 기타 산화방지제가 있으며 바람직한 것은 페놀계 산화방지제다. 페놀계 산화방지제로는 2, 2-메틸렌-비스(4-메틸-6-터셔리부틸페놀), 카테콜, 피크린산, 터셔리부틸카테콜, 2,6-디터셔리부틸-p-크레졸 및 4,4'-티오비스[에틸렌(옥시)(카보닐)(에틸렌)] 비스 [2, 6-비스(1, 1-디메틸에틸) 페놀]이 있다.
하이드로키논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β_나프토키논, 2-메톡시-1, 4-나프토키논, 메틸하이드로키논, 하이드로키논, 하이드로키논 모노메틸에테르, 모노터셔리 부틸 하이드로키논, 2, 5-디터셔리 부틸 하이드로키논, p-벤조키논, 2, 5-디페닐-p-벤조키논 및 2, 5-디터셔리부틸-p-벤조키논이 있다. 기타의 산화방지제로서 쿠엔산, 페노티아진 및 2-부틸-4-히드록시아니솔이 있다.
산화방지제는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어, IRGANOX1010 및 IRGANOX1035FF(모두 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 사)가 있다.
기능층(310)은 목적하는 경화물 특성을 얻기 위해 중합 금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합 금지제로서는 페놀계 중합 금지제 및 페노티아진계 중합 금지제가 있다. 페놀계 중합금지제로는 2,2-메틸렌비스(4-메틸-6-터셔리부틸페놀)(BHT), 카테콜, 피크린산, 터셔리부틸카테콜, 2,6-디터셔리부틸-p-크레졸 및 4 ,4'-티오비스[에틸렌(옥시)(카보닐)(에틸렌)] 비스[2, 6-비스(1, 1-디메틸에틸)페놀]이 있다. 페노티아진계 중합금지제로서는 페노티아진, 비스(α-메틸벤질) 페노티아진, 3,7-디옥틸페놀티아진 및 비스(α,α-디메틸벤질) 페노티아진이 있다. 또한, BHT 등의 페놀계 중합금지제는 산화방지제로도 사용할 수 있다.
기능층(310)은 접착성, 접착 내구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면서 기능층(310)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소제로서 폴리부타디엔의 불포화 결합을 에폭시화하여 얻어지는 올리고머가 바람직하며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어, BF-1000(ADEKA사제) 또는 PB-3600 (다이셀공업화학사제) 등이 있다.
기능층(310)은 밀착성을 한층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로는 γ-클로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비닐트라이메톡시실란, 비닐트라이클로르실란, 비닐트라이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 실란, γ-메타크리록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γ-아크리록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β-(3, 4-에폭시시클로헥실), 에틸트라이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및 γ-우레이드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란 등이 있고, 바람직하게는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란, 2-(3, 4-에폭시시클로헥실) 에틸트라이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이 있다. 이러한 실란커플링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 및 제4 부분(314)은 제3 유기 물질과 제4 유기 물질이 혼합된 제2 유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 및 제4 부분(314)은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및 제3 부분(313)과 마찬가지로 제3 유기 물질에 포함된 환원제와 제4 유기 물질에 포함된 과산화물의 아크릴의 경화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 및 제4 부분(314)의 경도는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및 제3 부분(313)의 경도 보다 높은 경도를 가지므로,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 및 제4 부분(314)에 포함된 제3 유기 물질의 조성은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과 제3 부분(313)에 포함된 제1 유기 물질의 조성과 다르며, 제4 유기 물질의 조성은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과 제3 부분(313)에 포함된 제2 유기 물질의 조성과 다를 수 있다.
즉,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 및 제4 부분(314)에 포함된 제3 유기 물질은 제1 유기 물질과 마찬가지로 올리고머, 모노머, 광흡수 재료, 촉진제, 및 환원제를 포함하며,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 및 제4 부분(314)에 포함된 제4 유기 물질은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및 제3 부분(313)에 포함된 제2 유기 물질과 마찬가지로 올리고머, 모노머, 광흡수 재료, 및 과산화물을 포함하되, 제3 유기 물질 및 제4 유기 물질에 포함된 올리고머, 모노머의 조성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제3 유기 물질과 제4 유기 물질은 제1 유기 물질 및 제2 유기 물질 보다 2-에틸헥실 (메타) 아크릴레이트의 조성 비율이 낮고,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의 조성 비율이 제1 유기 물질 및 제2 유기 물질 보다 높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3 유기 물질 및 제4 유기 물질에 포함된 올리고머, 모노머의 조성 및 비율을 제1 유기 물질 및 제2 유기 물질과 달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유기 물질 및 제4 유기 물질을 혼합하여 제2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 및 제4 부분(314)은 제1 유기 물질 및 제2 유기 물질을 혼합하여 제1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및 제3 부분(313)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 및 제4 부분(314)은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및 제3 부분(313)과 마찬가지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 및 제4 부분(314)의 경도를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및 제3 부분(313) 보다 높이기 위해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및 제3 부분(313)에 포함된 첨가제의 조성과 비율을 달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능층(310)은 차광 기능 및 충격 완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두께(d)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층(310)은 20μm 내지 140μm의 두께(d)를 가질 수 있다.
광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기능층(310)이 20μm 이상의 두께(d)를 갖는 경우, 표시 패널(10)의 배면 상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비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기능층(310)이 140μm 이하의 두께(d)를 갖는 경우, 표시 장치(1)가 받는 외부 충격에 대한 충격력에 대해 충분한 탄성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기능층(31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기능층(310)의 경화성을 높일 수 있다. 다만, 기능층(310)의 두께(d)가 위에서 상술한 수치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패널(300)에 포함된 기능층(310)은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빛을 흡수하기 위한 광 흡수 재료를 포함하므로 차광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능층(310)은 전면 및 배면에 포함된 광 흡수 재료의 농도는 동일 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기능층(310)의 광학밀도(optical density; OD) 값은 3 내지 4 일 수 있다. 기능층(310)의 광학밀도 값이 3 내지 4인 경우, 표시 장치(1)의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여 반사시키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의 배면 상에 배치된 구성들이 시인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만, 기능층(310)의 광학밀도 값은 위에서 상술한 수치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기능층(310)의 배면 상에 방열층(320)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층(320)은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제2 부분(312), 제3 부분(313), 및 제4 부분(314)의 배면 상에 전면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방열층(320)은 구리, 알루미늄, 금 등과 같이 열 전도성이 높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방열층(320)은 단일층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방열층(320)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층(320)은 그라파이트나 탄소 나노 튜브 등을 포함하는 제1 방열층과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니켈, 페라이트, 은과 같은 금속 박막으로 형성된 제2 방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의 배면 상에 방열층(320)이 배치됨으로써, 표시 패널(10)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열층(320)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차 보상 부재(400)는 방열층(320)을 사이에 두고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400)에 대한 설명은 도 4에서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제2 부분(312), 제3 부분(313), 및 제4 부분(314)은 광 흡수 재료를 포함하므로 표시 패널(10)에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는 차광 기능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기능층(31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경도가 낮은 제1 부분(311) 및 제3 부분(313)을 포함하므로 표시 패널(10)의 배면 상에서 표시 장치(1)의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충격력을 완화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과 결부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된 탄성 중합체 입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된 중공 입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1)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달리 기능층(310_1)의 제1 부분(311_1) 및 제3 부분(313_1)에 탄성 중합체 입자(315_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기능층(310_1)의 제2 부분(312_1) 및 제4 부분(314_1)을 제외한 제1 부분(311_1) 및 제3 부분(313_1)에 복수의 탄성 중합체 입자(315_1)가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층(310_1)의 제1 부분(311_1) 및 제3 부분(313_1)에 포함된 탄성 중합체 입자(315_1)들은 내부가 꽉 찬 구형 입자일 수 있다. 즉, 탄성 중합체 입자(315_1)는 소정의 직경(D1)에 상응하는 내부 전체가 탄성 중합체 물질로 채워진 탄성 중합체 입자를 의미한다.
탄성 중합체 입자(315_1)는 100nm 내지 5㎛의 직경(D1)을 가질 수 있다. 탄성 중합체 입자(315_1)의 직경(D1)이 100nm 이상인 경우, 탄성 중합체 입자(315_1)가 기능층(310_1)의 제1 부분(311_1) 및 제3 부분(313_1)에 포함되어 제1 부분(311_1) 및 제3 부분(313_1)의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내충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탄성 중합체 입자(315_1)의 직경(D1)이 5㎛이하인 경우, 제1 부분(311_1) 및 제3 부분(313_1)의 탄성 모듈러스를 높여 표시 패널(10)의 외부 충격으로부터 탄성력을 유지하면서 표시 패널(10)을 보호할 수 있다. 다만, 탄성 중합체 입자(315_1)의 직경(D1)은 위에서 상술한 수치 범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기능층(310_1)의 제1 부분(311_1) 및 제3 부분(313_1)에 포함된 탄성 중합체 입자(315_1)들의 직경(D1)은 균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기능층(310_1)의 제1 부분(311_1) 및 제3 부분(313_1)에 포함된 탄성 중합체 입자(315_1)들의 직경(D1)은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탄성 중합체 입자(315_1)들은 폴리에틸렌에테르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 폴리에틸렌(PE) 등의 폴리머 계열, 또는 폴리우레탄(PU), 실리콘, 폴리이소플렌 등의 탄성중합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 중합체 입자(315_1)들은 차광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층(310)에 포함되므로, 탄성 중합체 입자(315_1)들은 유색을 가질 수 있다. 탄성 중합체 입자(315_1)들은 예를 들어, 카본 블랙(carbon black), 산질화 티타늄(titanium nitride oxide), 티타늄 블랙(titanium black), 페닐렌 블랙(phenylene black), 아닐린 블랙(aniline black), 시아닌 블랙(cyanine black), 니그로신산 블랙(nigrosine acid black), 블랙 수지(black res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몇몇 실시예에서 광 흡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기능층(310_1)의 제1 부분(311_1) 및 제3 부분(313_1)은 중공 입자(316_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공 입자(316_1)들은 내부가 빈 구형 입자일 수 있다. 즉, 중공 입자(316_1)는 코어쉘 형태일 수 있다.
중곱 입자(316_1)는 코어부(HP) 및 코어부(HP)를 감싸는 쉘부(SP)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부(HP)는 쉘부(SP)에 의해 정의되고, 쉘부(SP)는 위에서 상술한 탄성 중합체 입자(315_1)(도 7 참조)와 동일한 폴리머 계열 또는 탄성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층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어부(CR)에는 에어(air)가 충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 특성을 갖는 액체 또는 기체로 충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공 입자(316_1)의 직경(D2)은 위에서 상술한 탄성 중합체 입자(315_1)의 직경(D1)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중공 입자(316_1)의 직경(D2)은 100nm 내지 5㎛ 일 수 있다. 다만, 중공 입자(316_1)의 직경(D2)은 위에서 상술한 수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공 입자(316_1)들의 쉘부(SP)는 위에서 상술한 탄성 중합체 입자(315_1)들과 마찬가지로 차광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층(310_1)의 제1 부분(311_1) 및 제3 부분(313_1)에 포함되므로, 탄성 중합체 입자(315_1)들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고 유색을 가질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광 흡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능층(310_1)에 포함된 제1 부분(311_1) 및 제3 부분(313_1)에 탄성 중합체 입자(315_1)와 중공 입자(316_1)가 혼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능층(310_1)이 탄성 중합체 입자(315_1) 및/또는 중공 입자(316_1)를 포함하는 경우, 기능층(310_1)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때, 우선적으로 외부의 충격력이 탄성 중합체 입자(315_1) 또는 중공 입자(316_1)들에 가해지고, 탄성 중합체 입자(315_1) 또는 중공 입자(316_1)들에 가해진 상기 충격력이 흡수 및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층(310_1)에 가해진 외부 충격이 기능층(310_1)의 배면 상에 배치된 구성물들에 전달되는 정도가 감소되며 그 결과, 표시 장치(1_1)의 내충격성이 기능층(310_1)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층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층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달리, 기능층(310_2)의 제1 부분(311_2)에 복수의 제1 돌출부(311_2b)들과 제3 부분(313_2)에 복수의 제2 돌출부(313_2b)들을 더 포함하며, 기능층(310_2)의 배면 상에 방열층(320)(도 5 참조)이 배치되지 않는 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차이점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층(310_2)의 제1 부분(311_2)은 제1 베이스부(311_2a) 및 제1 베이스부(311_2a) 상에 배치되며 기능층(310_2)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제1 돌출부(311_2b)들을 포함하며, 기능층(310_2)의 제3 부분(313_2)은 제3 베이스부(313_2a) 및 제3 베이스부(313_2a) 상에 배치되며 기능층(310_2)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제2 돌출부(313_2b)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능층(310_2)의 제2 부분(312_2)은 제2 베이스부(312_2a) 및 제2 베이스부(312_2a) 상에 배치된 제1 평면부(312_2b)를 포함하며, 제4 부분(314_2)은 제4 베이스부(314_2a) 및 제4 베이스부(314_2a) 상에 배치된 제2 평면부(314_2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311_2b)들은 기능층(310_2)의 제1 부분(311_2)에 포함된 제1 베이스부(311_2a)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 돌출부(313_2b)들은 기능층(310_2)의 제3 부분(313_2)에 포함된 제3 베이스부(313_2a)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기능층(310_2)의 제1 부분(311_2)과 제3 부분(313_2) 각각은 제1 돌출부(311_2b)와 제2 돌출부(313_2b)가 배치되는 영역과 배치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하며, 이들 영역은 구간별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층(310_2)의 제1 부분(311_2) 및 제3 부분(313_2) 각각은 제1 돌출부(311_2b) 및 제2 돌출부(313_2b)의 배치 유무에 따라 표면에 요철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제1 돌출부(311_2b) 및 제2 돌출부(313_2b) 각각은 사각형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311_2b) 및 제2 돌출부(313_2b)의 측면은 표시 패널(10)에 대해 수직인 면 상에 놓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돌출부(311_2b) 및 제2 돌출부(313_2b)의 단면 형상은 양 측면부가 역테이퍼 경사면, 정테이퍼 경사면 또는 곡면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1 돌출부(311_2b)들 및 제2 돌출부(313_2b)들의 형상과 크기가 모두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에에서 제1 돌출부(311_2b)들 및 제2 돌출부(313_2b)들의 형상과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제1 돌출부(311_2b)들 및 제2 돌출부(313_2b)들 각각은 제1 부분(311_2)의 제1 베이스부(311_2a) 및 제3 부분(313_2)의 제3 베이스부(313_2a)와 일체화되어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부(311_2a)와 제3 베이스부(313_2a)가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1 돌출부(311_2b)들과 제2 돌출부(313_2b)들이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1 돌출부(311_2b)들 및 제2 돌출부(313_2b)들이 제1 방향(DR1)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배치되고, 제1 돌출부(311_2b) 및 제2 돌출부(313_2b)의 제1 방향(DR1)의 폭이 서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311_2b) 및 제2 돌출부(313_2b)들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1 돌출부(311_2b) 및 제2 돌출부(313_2b)의 제1 방향(DR1)의 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기능층(310_2)의 제3 부분(313_2)에 포함된 제2 돌출부(313_2b)들의 개수가 기능층(310_2)의 제1 부분(311_2)에 포함된 제1 돌출부(311_2b)들의 개수 보다 많은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분(311_2)에 포함된 제1 돌출부(311_2b)들의 개수와 제3 부분(313_2)에 포함된 제2 돌출부(313_2b)들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제1 부분(311_2)에 포함된 제1 돌출부(311_2b)들의 개수가 더 많을 수 있다.
제1 돌출부(311_2b)들과 제2 돌출부(313_2b)들은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갖고 기능층(310_2)의 하측 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으며, 기능층(310_2)의 하측을 향해 돌출된 제1 돌출부(311_2b)들 및 제2 돌출부(313_2b)들의 상면은 기능층(310_2)의 제2 부분(312_2)의 배면과 동일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311_2b)들과 제2 돌출부(313_2b)들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돌출부(311_2b)들과 제2 돌출부(313_2b)들의 상면은 기능층(310_2)의 제2 부분(312)의 배면을 기준으로 더 높은 곳에 위치하거나 더 낮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층(310_2)의 제2 부분(312_2)은 제1 부분(311_2)과 인접하는 일측면과 제3 부분(313_2)과 인접하는 타측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부분(312_2)의 일측면은 제1 부분(311_2)에 포함된 제1 돌출부(311_2b)들과 대향하고, 타측면은 제3 부분(313_2)에 포함된 제2 돌출부(313_2b)들과 대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층(310_2)의 제1 베이스부(311_2a)의 제3 방향(DR3)의 길이와 제1 돌출부(311_2b)의 제3 방향(DR3)의 길이의 합, 기능층(310_2)의 제2 베이스부(312_2a)의 제3 방향(DR3)의 길이와 제1 평면부(312_2b)의 제3 방향(DR3)의 길이의 합, 기능층(310_2)의 제3 베이스부(313_2a)의 제3 방향(DR3)의 길이와 제2 돌출부(313_2b)의 제3 방향(DR3)의 길이의 합, 및 기능층(310_2)의 제4 베이스부(314_2a)의 제3 방향(DR3)의 길이와 제2 평면부(314_2b)의 제3 방향(DR3)의 길이의 합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기능층(310_2)의 제1 베이스부(311_2a)의 제3 방향(DR3)의 길이와 제1 돌출부(311_2b)의 제3 방향(DR3)의 길이의 합, 기능층(310_2)의 제2 베이스부(312_2a)의 제3 방향(DR3)의 길이와 제1 평면부(312_2b)의 제3 방향(DR3)의 길이의 합, 기능층(310_2)의 제3 베이스부(313_2a)의 제3 방향(DR3)의 길이와 제2 돌출부(313_2b)의 제3 방향(DR3)의 길이의 합, 및 기능층(310_2)의 제4 베이스부(314_2a)의 제3 방향(DR3)의 길이와 제2 평면부(314_2b)의 제3 방향(DR3)의 길이의 합 중 적어도 일부만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만 상이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기능층(310_2)의 제3 부분(313_2)을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기능층(310_2)의 제3 부분(313_2)만을 도시하였으나, 기능층(310_2)의 제1 부분(311_2)도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기능층(310_2)의 제3 부분(313_2)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능층(310_2)의 제3 부분(313_2)의 제3 베이스부(313_2a)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돌출부(313_2b)들은 평면상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상호 일정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며,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능층(310_2)의 제3 부분(313_2)의 제3 베이스부(313_2a)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돌출부(313_2b)들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어 라인 형태로 배치되고, 제2 방향(DR2)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313_2b)들의 평면상 제2 방향(DR2)의 폭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이웃하여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돌출부(313_2b)들 간의 이격 거리가 상이하거나, 서로 다른 제3 돌출부(313_2b)의 폭들 및/또는 간격이 상이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2)는 기능층(310_2)의 제1 부분(311_2) 및 제3 부분(313_2)은 제1 돌출부(311_2b) 및 제2 돌출부(313_2b)의 배치 유무에 따라 표면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제1 돌출부(311_2b) 및 제2 돌출부(313_2b)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서 에어 쿠션성을 통해 기능층(310_2)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 돌출부(311_2b) 및 제2 돌출부(313_2b)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서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증대되므로, 표시 패널(1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1 돌출부(311_2b) 및 제2 돌출부(313_2b)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2)에 포함된 기능층(310_2)은 차광 기능, 내충격 향상 기능, 및 방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방열층(320)(도 5 참조)을 배치하는 공정이 생략될 수 있어 커버 패널(300_2)을 제조하는 공정단계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3)는 도 9에 따른 표시 장치(1_2)와 달리 기능층(310_3)의 제1 부분(311_3) 및 제3 부분(313_3)에 복수의 탄성 중합체 입자(315_3)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탄성 중합체 입자(315_3)들은 기능층(310_3)의 제1 부분(311_3) 및 제3 부분(313_3)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기능층(310_3)에 포함된 복수의 탄성 중합체 입자(315_3)들은 도 7과 결부하여 상술한 탄성 중합체 입자(315_1)(도 7 참조)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기능층(310_3)은 도 8과 결부하여 상술한 중공 입자(316_1)(도 8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3)에 포함된 기능층(310_3)은 도 9에 따른 표시 장치(1_2)와 마찬가지로 차광 기능, 내충격 향상 기능, 및 방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방열층(320)(도 5 참조)을 배치하는 공정이 생략되므로 커버 패널(300_2)을 제조하는 공정단계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기능층(310_3)의 제1 부분(311_3) 및 제3 부분(313_3)에 복수의 탄성 중합체 입자(315_3) 및/또는 복수의 중공 입자(316_1)(도 8 참조)를 포함하여 기능층(310_3)의 제1 부분(311_3) 및 제3 부분(313_3)의 내충격력을 향상시켜 표시 패널(1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단계들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제조 방법은 표시 패널(10)의 제1 메인 영역(MR1)의 배면 상에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및 제3 메인 영역(MR3)의 배면 상에 기능층(310)의 제3 부분(313)을 형성하는 단계(S100), 표시 패널(10)의 제2 메인 영역(MR2)의 배면 상에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 및 제4 메인 영역(MR4)의 배면 상에 기능층(310)의 제4 부분(314)을 형성하는 단계(S200),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제2 부분(312), 제3 부분(313), 및 제4 부분(314)의 배면 상에 방열층(320)을 형성하는 단계(S300), 및 단차 보상 부재(400) 및 표시 구동 기판(30)을 배치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제조 방법은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생략되거나, 본 명세서의 다른 기재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9를 더 참조하여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및 제3 부분(313)을 형성하는 단계(S100)는 표시 패널(10)을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을 벤딩되기 전의 상태로 표시 패널(10)의 배면 상에 구성들을 적층하기 위해 표시 패널(10)을 180도 회전하여 제조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즉, 벤딩 전의 표시 패널(10)을 180도 회전하여 표시 패널(10)의 전면이 하측을 향하고, 표시 패널(10)의 배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표시 패널(10)의 제1 영역(MR1) 및 제3 영역(MR3)에 대응되는 영역 상에 각각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용액 형태의 올리고머 및/또는 모노머, 광흡수 재료, 촉진제, 및 환원제를 포함하는 제1 유기 물질(310P_1a)을 도포한다. 도 14에서 제1 유기 물질(310P_1a)을 도포하는 방법은 노즐(NZ)을 통해 제1 유기 물질(310P_1a)을 도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팅법, 슬릿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스핀 코팅법, 캐스팅법,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바코팅법, 롤 코팅법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도포가 가능하다.
이어, 도 1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의 제1 영역(MR1) 및 제3 영역(MR3)에 대응되는 영역에 도포된 제1 유기 물질(310P_1a) 상에 올리고머 및/또는 모노머, 광흡수 재료, 및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용액 형태의 제2 유기 물질(310P_1b)을 제1 유기 물질(310P_1a)과 동일한 방식 즉, 노즐(NZ)을 통해 도포하면 제1 유기 물질(310P_1a)에 포함된 환원제와 제2 유기 물질(310P_2a)에 포함된 과산화물과 환원제가 반응하여 라디칼을 발생시키면서 아크릴 경화 반응이 진행되며, 제1 유기 물질(310P_1a) 및/또는 제2 유기 물질(310P_1b)에 포함된 첨가제에 의해 경화 반응이 가속될 수 있다.
즉, 제1 유기 물질(310P_1a)과 제2 유기 물질(310P_1b)에 포함된 올리고머 및/또는 모노머 사이에 가교가 형성되어 고분자 사슬이 형성되면서 경화가 진행되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의 제1 메인 영역(MR1) 및 제3 메인 영역(MR3) 상에 각각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및 제3 부분(313)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제1 유기 물질(310P_1a)과 제2 유기 물질(310P_1b)의 도포 순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표시 패널(10)의 제1 메인 영역(MR1)과 제3 메인 영역(MR3) 상에 제2 유기 물질(310P_1b)을 먼저 도포하고, 이어, 제2 유기 물질(310P_1b) 상에 제1 유기 물질(310P_1a)을 도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유기 물질(310P_1a) 및/또는 제2 유기 물질(310P_1b)은 도 7과 결부하여 상술한 탄성 중합체 입자(315_1)(도 7 참조) 또는 도 8과 결부하여 상술한 중공 입자(316_1)(도 8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과 제3 부분(313)을 형성한 후, 표시 패널(10)의 제2 메인 영역(MR2) 및 제4 메인 영역(MR4)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3 유기 물질(310P_2a)과 제4 유기 물질(310P_2b)을 순차적으로 도포한다. 즉, 표시 패널(10)의 제1 메인 영역(MR1)과 제3 메인 영역(MR3) 각각에 제1 유기 물질(310P_1a)과 제2 유기 물질(310P_1b)을 순차적으로 도포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시 패널(10)의 제2 메인 영역(MR2) 및 제4 메인 영역(MR4) 상에 제3 유기 물질(310P_2a)을 도포한 후, 제3 유기 물질(310P_2a) 상에 제4 유기 물질 (310P_2b)을 도포한다.
다만, 제3 유기 물질(310P_2a)과 제4 유기 물질(310P_2b)의 도포 순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표시 패널(10)의 제2 메인 영역(MR2) 및 제4 메인 영역(MR4) 상에 제4 유기 물질(310P_2b)을 먼저 도포하고, 이어, 제4 유기 물질(310P_2b) 상에 제3 유기 물질(310P_2a)을 도포할 수 있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의 제2 메인 영역(MR2) 및 제4 메인 영역(MR4) 상에 제3 유기 물질(310P_2a)과 제4 유기 물질(310P_2b)을 도포하여,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및 제3 부분(313) 보다 경도가 높은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 및 제4 부분(314)을 형성하므로, 제3 유기 물질(310P_2a)은 제1 유기 물질(310P_1a)과 동일하게 올리고머 및/또는 모노머, 광흡수 재료, 촉진제, 및 환원제를 포함하나 올리고머 및/또는 모노머의 조성 및 비율은 제1 유기 물질(310_1a)과 다르며, 제4 물질(310P_2b)은 제2 유기 물질(310P_1b)과 동일하게 올리고머 및/또는 모노머, 광흡수 재료, 및 과산화물를 포함하나 올리고머 및/또는 모노머의 조성 및 비율은 제2 유기 물질(310_1b)과 다르다.
이처럼, 용액 상태의 유기 물질들을 직접 도포 하여 경화를 진행하는 경우, UV 경화 방식과 달리, 층의 두께에 따른 경화 불충분 현상 즉, 층의 표면만 경화가 진행되고 층의 심부는 경화가 완전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표시 장치(1)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UV 경화 단계가 생략되므로 공정 단계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어, 도 18을 참조하면,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제2 부분(312), 제3 부분(313), 및 제4 부분(314)의 배면 상에 방열층(320)을 형성하는 단계(S300)에서 표시 패널(10)의 메인 영역(MR) 상에 형성된 기능층(310) 상에 방열층(320)을 형성한다.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제2 부분(312), 제3 부분(313), 및 제4 부분(314)은 용액 상태의 유기 물질들을 혼합하여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경화 반응에 의해 경화됨으로써 형성되므로 방열층(320)이 배치되는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제2 부분(312), 제3 부분(313), 및 제4 부분(314)의 표면은 소정의 시간 동안 반경화 상태에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방열층(320)은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제2 부분(312), 제3 부분(313), 및 제4 부분(314)과 접착제 없이 결합할 수 있으며, 방열층(320)이 배치된 후 기능층(310)의 제1 부분(311), 제2 부분(312), 제3 부분(313), 및 제4 부분(314)을 형성하는 유기 물질들의 경화가 완료된다.
이어, 도 19를 참조하면, 단차 보상 부재(400) 및 표시 구동 기판(30)을 배치하는 단계(S400)에서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의 배면 상에 단차 보상 부재(400)를 형성하고, 서브 영역(SR)에 위치한 표시 패널(10) 상에 표시 구동 기판(30)을 형성한다.
즉,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 상에 제1 접착 부재(410), 베이스 부재(420), 및 제2 접착 부재(420)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접착 부재(410)는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 상에 배치된 방열층(320)과 집적 접촉하도록 배치하며, 베이스 부재(420)의 배면은 제1 접착 부재(410)와 접촉하고 베이스 부재(420)의 전면은 제2 접착 부재(430)와 집적 접촉하도록 배치한다.
이어, 서브 영역(SR)에 위치한 표시 패널(10)의 일면 상에 표시 구동 기판(30)을 배치한다. 즉, 접착성을 갖는 이방성 도전 필름(ACF)을 통해 표시 구동 기판(30)을 표시 패널(10)과 접촉시키며, 표시 패널(10)과 표시 구동 기판(3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어, 표시 패널(10)의 벤딩 영역(BR)을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벤딩시킨다.
따라서 서브 영역(SR)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10)이 기능층(310)의 제2 부분(312) 상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430)와 접촉하면서 단차 보상 부재(400)는 표시 패널(10)의 배면 상에 고정되며, 서브 영역(SR)에 위치한 표시 구동 기판(30)은 기능층(310)의 제4 부분(314)에 접촉하며 고정될 수 있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기능층 상에 방열층(320)을 형성하는 단계(도 13의 'S500')가 생략되고, 기능층(310_2)의 제1 부분(311_2)과 제3 부분(313_2)에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도 20의 'S31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3에 따른 표시 장치(1)의 제조 방법과 차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능층(310_2)의 제1 부분(311_2)과 제3 부분(313_2)에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S310)는 패턴 전사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 전사 공정은 임프린트 방법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서 지칭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기능층(310_2)의 제1 부분(311_2)과 제3 부분(313_2)에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S310)에서 표시 패널(10) 상에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용액 형태의 유기 물질들을 직접 도포 방식으로 도포한 후 경화를 통해 제1 부분(311_2P), 제2 부분(312_2P), 제3 부분(313_2P), 및 제4 부분(314_2P)을 포함하는 예비 기능층을 형성한다. 이어, 요철 패턴이 형성된 몰드(SM)를 예비 기능층의 상부에 배치시킨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 구조가 형성된 몰드(SM)는 제1 몰드부(SM1), 제2 몰드부(SM2), 제3 몰드부(SM3), 및 제4 몰드부(SM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몰드부(SM1)와 제3 몰드부(SM3)는 예비 기능층의 제1 부분(311_2P)과 제3 부분(313_2P)에 대응되어 제1 부분(311_2P)과 제3 부분(313_2P)의 표면에 요철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비 기능층의 제2 부분(312_2P) 및 제4 부분(314_2P)에는 요철 패턴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제2 몰드부(SM2) 및 제4 몰드부(SM4)는 제1 몰드부(SM1) 및 제3 몰드부(SM3)와 달리, 요철 구조를 갖지 않고 평탄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이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 기능층 상에 몰드(SM)를 접촉시키고, 몰드(SM)로 예비 기능층을 가압하여, 몰드(SM)의 요철 패턴을 예비 기능층의 제1 부분(311_2P) 및 제3 부분(313_2P)에 전사한다.
이어, 예비 기능층으로부터 몰드(SM)를 상부 방향으로 상승시켜 제거하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311_2b)들은 기능층(310_2)의 제1 부분(311_2)에 포함된 제1 베이스부(311_2a) 상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2 돌출부(313_2b)들은 기능층(310_2)의 제3 부분(313_2)에 포함된 제2 베이스부(313_2a)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기능층(310_2)의 제1 부분(311_2)과 제3 부분(313_2) 각각은 표면에 요철 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요철 구조를 갖지 않는 제2 몰드부(SM2) 및 제4 몰드부(SM4)와 접촉한 기능층(310_2)의 제2 부분(312_2)의 제2 베이스부(312_2a) 및 제4 부분(314_2)의 제4 베이스부(314_2a) 상에 각각 제1 평면부(312_2b) 및 제2 평면부(314_2b)가 형성된다.
이어, 도 24를 참조하면, 기능층(310_2)의 제2 부분(312_2) 상에 단차 보상 부재(400)를 배치하고, 서브 영역(SR)에 위치한 표시 패널(10)의 일면 상에 표시 구동 기판(30)을 배치한다.
단차 보상 부재(400)와 표시 구동 기판(30)을 배치하는 단계(S400)는 도 19와 결부하여 상술한 단차 보상 부재(400)와 표시 구동 기판(30)을 배치하는 단계(S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 장치 10: 표시 패널
20: 구동칩 30: 표시 구동 기판
100: 윈도우 부재 200: 반사 방지 부재
300: 커버 패널 310: 기능층
315: 탄성 중합체 입자 316: 중공 입자
320: 방열층 400: 단차 보상 부재
MR: 메인 영역 BR: 벤딩 영역
SR: 서브 영역 ACF: 이방성 도전 필름
CS2: 제2 코너부 CS3: 제3 코너부
AF: 접착층 SM: 몰드

Claims (20)

  1.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며 차광 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층; 및
    상기 타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구동 기판; 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층은 상기 표시 구동 기판과 접촉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표시 구동 기판과 비접촉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의 경도는 상기 제2 부분의 경도보다 큰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기능층과 접촉하는 메인 영역, 상기 메인 영역과 대향하며 상기 기능층과 비접촉하는 서브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 및 상기 서브 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벤딩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층 및 상기 서브 영역과 접촉하며 배치되는 단차 보상 부재; 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기능층은 상기 단차 보상 부재와 접촉하는 제3 부분 및 상기 단차 보상 부재와 비접촉하는 제4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부분의 경도는 상기 제2 부분의 경도 및 상기 제4 부분의 경도보다 큰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부분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3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부분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과 상기 단차 보상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층; 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보상 부재는 제1 접착 부재, 제2 접착 부재 및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상기 제2 접착 부재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방열층과 접촉하고, 상기 제2 접착 부재는 상기 서브 영역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은 차광 물질을 포함하는 탄성 중합체 입자 및 중공 입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 입자 및 상기 중공 입자의 직경은 100nm 내지 5㎛인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 입자 및 상기 중공 입자는 상기 단차 보상 부재와 비중첩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의 두께는 20μm 내지 140μm인 표시 장치.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상기 제3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은 (메타)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유기 물질 및 단관능의 (메타)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유기 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에 포함된 상기 유기 물질의 조성은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에 포함된 상기 유기 물질의 조성과 다른 표시 장치.
  11.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일면에 배치되며, 차광 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층;
    상기 기능층은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돌출부를 갖는 제1 부분, 제2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는 평면부를 갖는 제2 부분, 및 제3 베이스부 및 상기 제3 베이스부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돌출부를 갖는 제3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의 경도는 상기 제1 부분의 경도 및 상기 제3 부분의 경도 보다 큰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상기 제1 부분과 인접한 일측면 및 상기 제3 부분과 인접한 타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일측면은 상기 제1 돌출부와 대향하고, 상기 타측면은 상기 제2 돌출부와 대향하는 표시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돌출부, 상기 제2 베이스부와 상기 평면부, 및 상기 제3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각각은 일체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의 두께 방향의 길이와 상기 제1 돌출부의 두께 방향의 길이의 합, 상기 제2 베이스부의 두께 방향의 길이와 상기 평면부의 두께 방향의 길이의 합, 및 상기 제3 베이스부의 두께 방향의 길이와 상기 제2 돌출부의 두께 방향의 길이의 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동일한 표시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제1 접착 부재, 제2 접착 부재 및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상기 제2 접착 부재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단차 보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차 보상 부재는 상기 제2 부분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부분과 두께 방향에서 중첩하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은 차광 물질을 포함하는 탄성 중합체 입자 및 중공 입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면의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된 표시 장치.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의 광학 밀도는 3 내지 4인 표시 장치.
  19. 제1 영역, 제2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영역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상에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제1 유기 물질을 토출한 후 상기 제1 유기 물질 상에 환원제를 포함하는 제2 유기 물질을 토출하여 상기 제1 유기 물질과 상기 제2 유기 물질의 혼합에 의한 경화 반응을 통해 기능층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영역 및 상기 제4 영역 상에 과산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기 물질과 다른 조성을 갖는 제3 유기 물질을 토출한 후 상기 제3 유기 물질 상에 환원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기 물질과 조성이 다른 제4 유기 물질을 토출하여 상기 제3 유기 물질과 상기 제4 유기 물질의 혼합에 의한 경화 반응을 통해 상기 기능층의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220041257A 2022-04-01 2022-04-01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30143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257A KR20230143236A (ko) 2022-04-01 2022-04-01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7/970,383 US20230320187A1 (en) 2022-04-01 2022-10-20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2310128183.4A CN116896951A (zh) 2022-04-01 2023-02-17 显示装置和用于制造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257A KR20230143236A (ko) 2022-04-01 2022-04-01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236A true KR20230143236A (ko) 2023-10-12

Family

ID=88193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257A KR20230143236A (ko) 2022-04-01 2022-04-01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20187A1 (ko)
KR (1) KR20230143236A (ko)
CN (1) CN116896951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896951A (zh) 2023-10-17
US20230320187A1 (en)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7288B2 (ja) 粘着層付き透明面材、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5811142B2 (ja) 表示装置
JP5757292B2 (ja) 粘着層付き透明面材、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8310649B2 (en) Display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351624B1 (ko) 광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폰의 모듈 조립 방법
KR101839635B1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그리고 이것을 사용한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730204B1 (ko)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US10386664B2 (en) Adhesive layer-equipped transparent plate and display device
WO2010033419A2 (en) Transpar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nd the production methods for mak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50067101A (ko) 하드 코트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터치 패널
WO2014061607A1 (ja) 粘着層付き透明面材、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190087694A (ko)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WO2014061478A1 (ja) 粘着層付き透明面材および表示装置
JPWO2013137158A1 (ja) 粘着層付き透明面材、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WO2014054592A1 (ja) 粘着層付き透明面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2017082103A (ja) 粘着性組成物、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KR20230143236A (ko)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318106B1 (ko) 점착 시트, 표시체 및 그들의 제조 방법
KR1020661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11886062B2 (en)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device
JP2012133062A (ja) 光学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WO2021060063A1 (ja) 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20190044641A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24054864A (ja) 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20190024598A (ko) 무용제형 점착성 조성물, 점착 시트 및 표시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