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2961A - 호이스트카 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호이스트카 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2961A
KR20230142961A KR1020220041658A KR20220041658A KR20230142961A KR 20230142961 A KR20230142961 A KR 20230142961A KR 1020220041658 A KR1020220041658 A KR 1020220041658A KR 20220041658 A KR20220041658 A KR 20220041658A KR 20230142961 A KR20230142961 A KR 20230142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coupling
coupled
stators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자
Original Assignee
대성기업호이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기업호이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기업호이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1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2961A/ko
Publication of KR20230142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96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4Trolley or crane travel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4Protection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000m 이상의 높이로 설치가능하며, 결로 현상과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호이스트카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카 전원 공급 장치는, 수직으로 기립되어 설치되며, 트롤리 결합부를 가지는 제1 고정자; 상기 제1 고정자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며, 트롤리 결합부를 가지는 제2 고정자; 상기 제1, 2 고정자의 마주보는 말단을 결합시키는 고정자 결합부; 상기 고정자 결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2 고정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부; 상기 제1, 2 고정자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전기를 공급하는 집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호이스트카 전원 공급장치{A DEVICE FOR SUPPLYING THE ELECTRIC POWER TO HOISTCAR}
본 발명은 호이스트카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000m 이상의 높이로 설치가능하며, 결로 현상과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호이스트카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하중의 물건을 운반하기 위해 궤도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천장 크레인 즉, 호이스트(Hoist)는 공장, 창고, 야외 저장소 등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주행로 상에서 수평이동 및 권상, 권하 작업을 수행하면서 중량물 또는 작업 인원을 원하는 위치로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호이스트는, 양측으로 설치되는 I형 빔에 트롤리바가 고정자에 의해서 고정되고, 전원공급용 급전선이 집전기에 의해 트롤리바에 설치되면서 주행하는 권상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호이스트 전원공급장치는 케이블방식 타입이어서, 사계절 온도변화에 문제가 발생하며, 케이블이 바람에 날려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간에 한 단계씩 계속 바꿔주며 변경하여 쌓아 올리는 방식이므로, 건설현장에 사고 및 케이블 안전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1000m 이상의 높이로 설치가능하며, 결로 현상과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호이스트카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카 전원 공급 장치는, 수직으로 기립되어 설치되며, 트롤리 결합부를 가지는 제1 고정자; 상기 제1 고정자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며, 트롤리 결합부를 가지는 제2 고정자; 상기 제1, 2 고정자의 마주보는 말단을 결합시키는 고정자 결합부; 상기 고정자 결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2 고정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부; 상기 제1, 2 고정자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전기를 공급하는 집전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자 결합부는, 상기 제1 고정자의 말단 후면 및 양 측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1 고정자 말단에 결합되는 제1 결합 지그; 상기 제1 결합 지그의 하면 및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2 고정자 측과 체결되는 제1 체결부; 상기 제2 고정자의 말단 후면 및 양 측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2 고정자 말단에 결합되는 제2 결합 지그; 상기 제2 결합지그의 하면 및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고정자 측과 체결되는 제2 체결부; 상기 제1, 2 체결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1, 2 체결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2 체결부는, 측부에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이 체결되는 체결부를 제공하는 체결 지그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고정자 중 상기 제1 결합 지그 전측에서 상기 제1 고정자에 결합되고,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전기 결합지그; 상기 1 전기 결합지그에 연결되는 제1 전원 연결 코드; 상기 제2 고정자 중 상기 제2 결합 지그 전측에서 상기 제2 고정자에 결합되고,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전기 결합지그; 상기 제2 전기 결합지그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전원 연결 코드와 전기적으로 결되어 상기 제1, 2 고정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전원 연결 코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카 전원공급장치에는, 상기 제1, 2 고정자 후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어 다수개가 설치되며, 커버가 결합되는 커버 결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호이스트카 전원 공급장치에 의하면 1000m 이상의 높이로 설치가능하며, 결로 현상과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카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결합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결합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결합부에 의하여 제1, 2 고정자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카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결합부와 커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카 전원공급 장치(10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자(110), 제2 고정자(120), 고정자 결합부(130), 전기 연결부(140) 및 집전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 고정자(110)는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하며, 트롤리 결합부를 가지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제1 고정자(110)는 필요에 따라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선 이상의 전선으로 구성되며, 각 전선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자(1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전부(150)의 트롤리바(151)가 결합되는 트롤리바 결합부(170)가 더 설치되는 것이 트롤리바(151)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2 고정자(12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자(110)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1 고정자(110)와 마찬가지로 트롤리 결합부를 가지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제2 고정자(120)에는 상기 전기 연결부(140)를 통하여 상기 제1 고정자(110)에 인가되어 있는 외부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제2 고정자(120)의 구체적인 기술 구성은 상기 제1 고정자(110)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자 결합부(130)는 도 1,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 고정자(110, 120)의 마주보는 말단을 결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렇게 상기 고정자 결합부(130)에 의하여 결합되는 상기 제1, 2 고정자(110, 120)는 전체적으로 직선 형상을 가지며, 이렇게 다수개의 고정자들이 서로 연결되면, 1000m 이상의 길이로 고정자가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자 결합부(130)를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 지그(131), 제1 체결부(132), 제2 결합 지그(133), 제2 체결부(134) 및 결합수단(135)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먼저 상기 제1 결합 지그(1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자(110)의 말단 후면 및 양 측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1 고정자(110) 말단에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제1 결합 지그(131)는 절연 소재로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전선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 고정자(110)의 말단들을 하나로 결합시키며, 상기 제1 결합 지그(131)를 매개로 상기 제1 체결부(132)와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결합 지그(131)에는 다수개의 전선들이 각각 독립하여 삽입되는 삽입홈들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체결부(132)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결합 지그(131)의 하면 및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2 고정자(120) 측과 체결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제1 체결부(132)에 의하여 상기 제1 고정자(110)가 상기 제2 고정자(120)와 체결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체결부(132)는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결합 지그(131)와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측부에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135)이 체결되는 체결부를 제공하는 체결 지그(136)가 더 구비되는 구조를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제2 결합 지그(133)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고정자(110)의 말단 후면 및 양 측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2 고정자(120) 말단에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제2 결합 지그(133)의 구체적인 구조 및 기능은 상기 제1 결합 지그(131)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체결부(134)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결합지그(131))의 하면 및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고정자(110) 측과 체결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제2 체결부(134)도 상기 제1 체결부(132)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고정자(120)가 상기 제2 체결부(134)를 통하여 상기 제1 고정자(110)와 결합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수단(135)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 결합 지그(131, 133)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 2 체결부(132, 134)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1, 2 체결부(132, 134)를 결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결합수단(135)은 볼트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2 체결부(132, 134)를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자 결합부(1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2 고정자(110, 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전기 연결부(140)는 절연 소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고정자 결합부(13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단절되어 있는 상기 제1, 2 고정자(110, 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 고정자(110)에 인가되어 있는 외부 전원을 상기 제2 고정자(120)에도 인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기 연결부(140)를 구체적으로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기 결합지그(141), 제1 전원 연결 코드(142), 제2 전기 결합지그(143) 및 제2 전원 연결 코드(14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먼저 상기 제1 전기 결합지그(141)는 상기 제1 고정자(110) 중 상기 제1 결합 지그(131) 전측에서 상기 제1 고정자(110)에 결합되고,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제1 전기 결합지그(141)는 상기 제1 고정자(110)를 이루는 다수개의 전선들과 결합되고, 이 전선들에 인가되어 있는 전원을 독립적으로 상기 제1 전원 연결 코드(142)에 전달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전원 연결 코드(142)는 상기 1 전기 결합지그(141)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고정자(110)에 인가되어 있는 외부 전원을 상기 제2 고정자(120)로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제1 전원 연결 코드(142)는 상기 제1 고정자(110)를 이루는 전선 개수만큼 다수개의 전원 연결 코드로 구성되며, 각 전선을 독립적으로 상기 제2 전원 연결 코드(144)에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전기 결합지그(143)은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고정자(120) 중 상기 제2 결합 지그(133) 전측에서 상기 제2 고정자(120)에 결합되고,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제2 전기 결합지그(143)의 구체적인 구성과 기능은 상기 제1 전기 결합 지그(141)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전원 연결 코드(144)는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전기 결합지그(143)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전원 연결 코드(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2 고정자(110, 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제2 전원 연결 코드(144)는 상기 제1 전원 연결 코드(142)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고정자(120)를 이루는 다수개의 전선들을 독립적으로 상기 제1 전원 연결 코드와 연결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전원 연결 코드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전원 연결 코드(142)로부터 외부 전원을 인가받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집전부(15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 고정자(110, 12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전기를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집전부(150)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 2 고정자(110, 120)를 타고 이동하면서 상기 제1, 2 고정자(110, 120)에 인가되어 있는 외부 전원을 연속적으로 승강하는 호이스트카에 공급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집전부(150)에는 상기 제1, 2 고정자(110, 120)를 이루는 전선들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롤리바(151)와, 슬라이딩 이동 중에서 전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카본 섬유다발(도면에 미도시) 등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카 전원 공급장치(1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결합부(16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결합부(160)는 상기 제1, 2 고정자(110, 120) 후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설치되며, 커버(180)가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커버(180)는 그 내부에 설치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카 전원 공급장치(10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카 전원공급 장치
110 : 제1 고정자 120 : 제2 고정자
130 : 고정자 결합부 140 : 전기 연결부
150 : 집전부 160 : 커버 결합부

Claims (5)

  1. 수직으로 기립되어 설치되어 외부 전원이 인가되며, 트롤리 결합부를 가지는 제1 고정자;
    상기 제1 고정자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며, 트롤리 결합부를 가지는 제2 고정자;
    상기 제1, 2 고정자의 마주보는 말단을 결합시키는 고정자 결합부;
    상기 고정자 결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2 고정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부;
    상기 제1, 2 고정자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제1, 2 고정자에 인가되어 있는 외부 전원을 호이스트카에 공급하는 집전부;를 포함하는 호이스트카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결합부는,
    상기 제1 고정자의 말단 후면 및 양 측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1 고정자 말단에 결합되는 제1 결합 지그;
    상기 제1 결합 지그의 하면 및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2 고정자 측과 체결되는 제1 체결부;
    상기 제2 고정자의 말단 후면 및 양 측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2 고정자 말단에 결합되는 제2 결합 지그;
    상기 제2 결합지그의 하면 및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고정자 측과 체결되는 제2 체결부;
    상기 제1, 2 체결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1, 2 체결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카 전원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체결부는,
    본체부 측부에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이 체결되는 체결부를 제공하는 체결 지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카 전원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고정자 중 상기 제1 결합 지그 전측에서 상기 제1 고정자에 결합되고,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전기 결합지그;
    상기 1 전기 결합지그에 연결되는 제1 전원 연결 코드;
    상기 제2 고정자 중 상기 제2 결합 지그 전측에서 상기 제2 고정자에 결합되고,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전기 결합지그;
    상기 제2 전기 결합지그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전원 연결 코드와 전기적으로 결되어 상기 제1, 2 고정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전원 연결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카 전원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고정자 후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설치되며, 커버가 결합되는 커버 결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카 전원공급장치.
KR1020220041658A 2022-04-04 2022-04-04 호이스트카 전원 공급장치 KR20230142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658A KR20230142961A (ko) 2022-04-04 2022-04-04 호이스트카 전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658A KR20230142961A (ko) 2022-04-04 2022-04-04 호이스트카 전원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961A true KR20230142961A (ko) 2023-10-11

Family

ID=88295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658A KR20230142961A (ko) 2022-04-04 2022-04-04 호이스트카 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29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64000A1 (en) Overhead power grid for mobile mining machines
US20130192944A1 (en) Overhead power grid for mobile mining machines
US6264017B1 (en) Multi-conductor power bar system and trolley therefor
KR20120055537A (ko) 두 개의 연속되는 컨택 라인 레일들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
KR20230142961A (ko) 호이스트카 전원 공급장치
KR20230142962A (ko) 고속 주행 호이스트카 수직 전원공급장치
US6073739A (en) Rail segments
JP7219823B2 (ja) 接触デバイス、車両、および充電ステーション
CN213265422U (zh) 一种用于龙门吊的滑触线供电装置
CN117184729A (zh) 一种重载智能四向穿梭车
CN217134735U (zh) 一种堆垛机用插拔式拖链电缆组
CN211971543U (zh) 一种起重机小车电缆架扒杆装置
CN111231753A (zh) 换电设备及包含其的换电站
JP3303764B2 (ja) 非接触給電装置
US5937977A (en) Non-contact power supply for conveyor carriages
CN217477266U (zh) 分区布线的换电设备以及换电站
CN212921199U (zh) 换电设备及包含其的换电站
JP3376894B2 (ja) レール部材、及びレール部材を用いた非接触給電装置
CN211995235U (zh) 换电设备及包含其的换电站
CN216958809U (zh) 一种角钢滑触线温度补偿装置
CN216582529U (zh) 行走轨道及轨道行走装置
CN209844559U (zh) 一种室内水冷动态无功补偿装置框架结构
CN211556684U (zh) 一种网格式线缆布线器
CN211338683U (zh) 防爆堆垛机
CN217760830U (zh) 一种电动门及其门排横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