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2533A -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작성 방법 - Google Patents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작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2533A
KR20230142533A KR1020237029112A KR20237029112A KR20230142533A KR 20230142533 A KR20230142533 A KR 20230142533A KR 1020237029112 A KR1020237029112 A KR 1020237029112A KR 20237029112 A KR20237029112 A KR 20237029112A KR 20230142533 A KR20230142533 A KR 20230142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dontic
correction
bracket
insertion tub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9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츠야 시모다
Original Assignee
메디컬 코퍼레이션 쿄우토-카이 시모다 오쏘돈틱 클리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컬 코퍼레이션 쿄우토-카이 시모다 오쏘돈틱 클리닉 filed Critical 메디컬 코퍼레이션 쿄우토-카이 시모다 오쏘돈틱 클리닉
Publication of KR20230142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53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2Bucc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1Brackets with reinforcing structure, e.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종래의 치열 교정에서는, 시료 대상자의 치열에 대하여 실제로 교정을 행하기까지 일정한 기간이 필요하고 있었다. 또한, 마우스 피스에 의한 교정만으로는 곤란한 경우나 불가능한 경우가 있었다. 시료 대상자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작성 방법 및 상기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과, 교정용 브라켓 본체로 구성되고,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은, 시료 대상자의 어금니 교합면의 중앙 오목부에 재치하고, 교정용 브라켓은,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의 상방에서부터 치과용 레진을 두껍게 경화시켜 형성하고, 또한 교정용 브라켓의 전후 단부를 절삭하여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의 양단 개구부를 노출시킴으로써 교정용 와이어를 삽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함으로써, 교정을 행하기까지의 기간을 단축하고, 마우스 피스 교정에 의한 결점을 보완하기로 했다.

Description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작성 방법
본 발명은 치열 교정에 사용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작성 방법 및 상기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치열 교정에 있어서 브라켓이라고 불리는 시료 대상자의 치면에 부착시키는 지그와 브라켓에 설치한 삽통홀이나 홈 등에 삽관시키는 교정용 와이어로 치열의 교정을 행하는 와이어 교정 방법과, 교정 전의 치열에서부터 원하는 이상 치열까지의 이동을 미세하게 몇 단계로 나누어 형성한 복수의 마우스 피스를 순차 교환하면서 치열 전체에 피복함으로써 치열의 교정을 행하는 마우스 피스 교정 방법이 있다.
상기 와이어 교정 방법은, 치아의 크기보다도 작은 브라켓을 시료 대상자의 치면(혀측이나 뺨측)에 치과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을 행하고, 브라켓에 설치한 삽통홀이나 홈 등에 교정용 와이어를 삽관시킨다.
이때 사용되는 교정용 와이어는 탄성 부재이며, 사전에 원하는 이상 치열을 따르는 것과 같은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료 대상자의 치면에 부착한 브라켓의 삽통홀이나 홈 등의 방향이나 각도에 의해 삽관 시에는 원래의 아치 형태를 유지할 수 없고, 그에 따라 교정용 와이어에는 원래의 아치 형태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복원력이 브라켓을 통해 시료 대상자의 치아에 전달되어 원하는 이상 치열이 되도록 치아가 이동하여 교정이 행해진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브라켓은 기성품이기 때문에, 브라켓의 치면 부착면이 시료 대상자 한 사람 한 사람의 치면에 있던 형상이 아니고, 부착을 행하기에는 세세한 작업이 되기 때문에 높은 기술이 필요했다.
그래서, 우리의 이전 출원(특허문헌 1 참조)에서는, 치과용 레진을 이용하여 시료 대상자 한 사람 한 사람에 대하여 치면의 요철 형상에 맞물리는 것과 같은 브라켓을 작성하여 이 문제를 해결했다.
또한, 마우스 피스 교정에 관해서는, 시료 대상자의 실제의 치열 데이터를 바탕으로 교정용 마우스 피스를 작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이 기술에 의하면, 시료 대상자의 교정 전 치열을 스캔하고,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컴퓨터 상에서 원하는 이상 치열까지의 프로세스를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시료 대상자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맞춘 교정용 마우스 피스를 작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교정 기구의 형상이 마우스 피스이기 때문에, 종래의 와이어 교정과 같은 시료에 비해 높은 기술에 의존할 필요가 없어졌다.
특허 문헌 1 JP 2012-66016A 특허 문헌 2 JP 2002-526155A
상기 열거된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는, 교정 장치를 장착하는 시료를 용이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을 이용한 와이어 교정 방법에서는, 브라켓의 부착 위치에 한정이 적기 때문에 시료 대상자의 치아의 형상뿐만 아니라, 맞물림 시의 버릇 등을 고려하여 위치 결정을 행하는 양호한 효과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마우스 피스 교정 방법에서는, 와이어 교정의 결점인 심미성을 확보한다는 양호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두 가지 교정 방법 모두 시료 대상자에게 교정 기구를 장착하기까지오랜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브라켓을 이용한 와이어 교정 방법은, 시료 대상자의 교정 전 치열을 인상재(印象材)에 의해 틀을 채취하고, 채취한 틀로부터 교정 전의 치열 모형을 작성한다 .
다음에, 교정 전 치열 모형으로부터 치아 하나하나로 분리하여, 원하는 이상 치열로 정렬하는 이상적인 치열 모형을 작성한다.
그리고, 이상적인 치열 모형을 이용하여 브라켓의 부착 위치를 결정하고, 치과용 레진을 사용하여 브라켓의 작성을 행하고, 완성된 브라켓을 시료 대상자의 실제의 치면에 부착을 행함으로써, 드디어 장착에 이른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마우스 피스에 의한 치열 교정 방법은, 최초에 시료 대상자의 구강 내를 스캔하여, 컴퓨터 내에 3D 데이터로서 취입한다.
다음에, 취입한 3D 데이터를 컴퓨터 상에서 치아 하나하나로 분리하고 원하는 이상적인 치열로 정렬한다.
그리고, 원래의 치열로부터 이상적인 치열로 하기 위한 치아의 이동을 복수 단계로 나누고, 각각의 단계 데이터를 바탕으로 교정용 마우스 피스를 작성함으로써 드디어 장착에 이른다.
또한, 이 준비 기간은 종래의 와이어 교정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인상에 의한 본뜨기 또는 구강 내 스캔을 행하여 실제로 모형을 작성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런데, 치열 교정의 어려움은 시료 대상자에 따라 다양하며, 장기간의 교정 요양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고 비교적 단기간 교정 요양으로 완료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비교적 단기간의 교정 요양으로 완료하는 경우라도, 상기에 열거한 장기간의 준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치료비의 부담이 커지거나 부정 교합 등의 불편한 기간이 길어지는 등의 다양한 부담이 시료 대상자에게 걸려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와 같은 마우스 피스를 이용한 교정 방법에서는, 치열에 피복한 마우스 피스에 의해 교정을 필요로 하는 치아를 가압하면서 서서히 교정 방향으로 이동 교정해 가는 방법이기 때문에 치아의 상면의 높이를 맞추기 위해 치아를 상하 방향으로 힘을 전달할 필요가 있는 정출 및 압하(壓下)나, 기울어진 상태의 치아를 일으키기 위해 치아에 비스듬히 위쪽 방향으로의 힘을 전달할 필요가 있는 정직(整直)이나, 치아의 치면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치아에 회전 방향으로의 힘을 전달할 필요가 있는 회전을 수반하는 치열 교정에서는 교정에 필요한 힘을 전달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나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마우스 피스 교정에 의한 시료 후에 다시 와이어 교정을 행하거나 외과적 수술을 행할 필요가 있어, 이때 다시 치열 모형이 필요하여 시료 완료까지의 기간은 더욱 장기화된다.
그런데, 전 치열 중 어금니에는 교합면이 존재하고, 이 교합면은 요철 형상을 하고 있다.
이 요철 형상은 어금니의 중앙부가 오목부로 되어 있으며, 이상적인 치열 상태일수록 오목부끼리를 선으로 연결하면 깨끗한 아치 형상이 되도록 늘어서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치열 교정을 행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과, 교정용 브라켓 본체로 구성하고,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은, 시료 대상자의 어금니 교합면의 중앙 오목부에 재치하고, 교정용 브라켓은,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의 상방에서부터 치과용 레진을 두껍게 경화시켜 형성하고, 또한, 교정용 브라켓의 전후 단부를 절삭하여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의 양단 개구부를 노출시킴으로써 교정용 와이어를 삽통하는 삽통홀을 형성함으로써, 긴 준비 기간이 필요하지 않고 시료 대상자에게 재빠르게 시료를 행할 수 있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작성 방법 및 상기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과, 교정용 브라켓 본체로 구성되고,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은, 시료 대상자의 어금니 교합면의 중앙 오목부에 재치하고, 교정용 브라켓은,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의 상방에서부터 치과용 레진을 두껍게 경화시켜 형성하고, 또한 교정용 브라켓의 전후 단부를 절삭하여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의 양단 개구부를 노출시킴으로써 교정용 와이어를 삽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작성 방법 및 상기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
본 발명에 관한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의하면,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과, 교정용 브라켓 본체로 구성되고,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은, 시료 대상자의 어금니 교합면의 중앙 오목부에 재치하고, 교정용 브라켓은,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의 상방에서부터 치과용 레진을 두껍게 경화시켜 형성함으로써, 시료 대상자의 어금니 교합면에 직접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작성할 수 있고, 모형의 작성이나 마우스 피스의 설계 등의 장기간의 준비가 필요하지 않고 최단으로 치열 교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은, 시료 대상자의 어금니 교합면의 중앙 오목부에 재치하고, 교정용 브라켓은,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의 상방에서부터 치과용 레진을 두껍게 경화시켜 형성함으로써, 어금니의 부분 교정을 신속하게 개시할 수 있ㅇ어 종래의 교정 방법에 비해, 교정 완료까지의 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마우스 피스 교정에서는 곤란했던 어금니의 연장, 압하, 정직 및 회전을 수반하는 이동에 대해 마우스 피스 교정 전 또는 마우스 피스 교정 후에, 준비 기간을 필요로 하는 와이어 교정을 재차 행하지 않으면 안되는 교정 완료까지의 기간이 더욱 장기간을 요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의하면, 마우스 피스 교정의 결점을 보완하도록 병용한 경우에서도 종래까지의 방법에 비해 짧은 기간에 교정 요양을 완료시켜 시료 대상자에 대해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브라켓 교정에서는, 치아보다 작은 브라켓을 미리 정해진 위치와 정해진 각도로 부착하기 때문에, 높은 기술이 요구되고 있었지만,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을 어금니 교합면에 재치함으로써 위치 결정이 완료되고, 이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 위에서 레진을 두껍게 하여 브라켓을 작성하기 때문에 높은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고 치료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혀측 및 뺨측에 브라켓을 부착하는 브라켓 교정에서는, 정직 방향의 교정, 즉 쓰러진 치아를 일으키는 교정에 관해서, 브라켓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어렵고, 올바른 위치보다 상방에 부착하면 일어난 치아는 교정용 와이어의 복원력으로 하방에 불필요한 힘이 걸리게 되고, 반대로 올바른 위치보다 하방에 설치하면 일어난 치아는 교정용 와이어의 복원력으로 상방에 불필요한 힘이 걸리게 되어, 양쪽 모두 치열의 상면이 갖추어지지 않고 불완전한 교정이 되어 버리지만, 브라켓을 어금니 교합면, 즉 치아의 상면에 부착한 것으로, 정직 방향의 교정을 행할 때에, 교정용 와이어의 복원력에 의해 상면이 자연스럽게 갖추어지도록 힘이 전해져, 올바른 교정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혀측 및 뺨측에 브라켓을 부착하는 브라켓 교정으로 회전 방향의 교정, 즉 치면의 방향을 바꾸는 교정에 관해서, 교정을 필요로 하는 치아가 옆의 치아와 접하고 있는 면, 즉 통상 시인할 수 없는 면에는 브라켓을 부착할 수 없기 때문에 한 번에 가능한 회전 이동은 한계가 있고, 회전 이동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첫 번째 교정을 행한 후에 다시 브라켓의 위치를 바꾸어 두 번째의 교정을 할 필요가 있지만, 시료 대상자의 어금니 교합면에 브라켓을 부착함으로써 회전 이동을 전하는 브라켓 위치에 제한이 없고 한 번에 치아를 회전시키는 교정을 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정용 브라켓을 시료 대상자의 치열 교합면에 형성했기 때문에 교정 기간 중의 시료 대상자의 강한 저작을 억제하여, 턱 주위의 근육이나 잇몸을 이완할 수 있어 교정을 필요로 하는 치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따른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을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작성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작성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사용한 치열 교정 도중 및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교정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시료 대상자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작성 방법 및 상기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과, 교정용 브라켓 본체로 구성되고,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은, 시료 대상자의 어금니 교합면의 중앙 오목부에 재치하고, 교정용 브라켓은,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의 상방에서부터 치과용 레진을 두껍게 경화시켜 형성하고, 또한 교정용 브라켓의 전후 단부를 절삭하여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의 양단 개구부를 노출시킴으로써 교정용 와이어를 삽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작성 방법의 실시 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따른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을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작성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6은 치열 교정 중 및 치열 교정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구성에 대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M)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M)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료 대상자의 치열(T) 중 어금니 교합면(B)에 재치 고정된다.
치열 교정용 브라켓(M)은, 어금니 교합면(B)에 직접 재치되는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1)과,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1)을 위에서부터 덮도록 두꺼워진 교정용 브라켓 본체(2)로 구성된다.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1)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식이나 열에 강한 소재,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를 소재로 하고, 직경을 약 1∼2㎜로 전체 길이를 약 3∼6㎜로 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원통 형상의 개구부의 형상은, 후술하는 교정용 와이어(3)의 단면과 마찬가지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고, 이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1)의 홀이 교정용 와이어(3)를 삽통하기 위한 삽통홀(11)로서 기능한다.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1)을 재치하는 어금니 교합면(B)은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치아 단체의 중앙에 오목부(b)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1)을 재치할 때에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금니 교합면(B)에 재치하는 동시에 요철 형상의 바닥부에 해당하는 오목부(b)로 굴러 자연스럽게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또한, 이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1)을 어금니 교합면(B)의 오목부(b)로 재치할 때, 다음 공정에 의해 위에서부터 덮는 치과용 레진(21)에 의해 삽통홀(11)이 막히지 않도록 바셀린 등을 사전에 채워 두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교정용 브라켓 본체(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금니 교합면(B)의 오목부(b)에 재치된 교정 와이어 삽통관(1)의 위에서부터 치과용 레진(21)을 두껍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치과용 레진(21)은, 충치 등의 치료시에 치면에 열린 구멍을 막는 충전물로서 사용되고, 광경화성을 갖는 소재,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 수지이다.
실제 교정용 브라켓 본체(2)의 작성에 있어서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어금니 교합면(B)에 재치한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1)의 위에서부터 덮도록 하여 치과용 레진(21)을 두껍게 한다.
이어서, UV 라이트 등으로 자외선을 치과용 레진(21)에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그리고,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된 치과용 레진(21) 내의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1)의 양단부, 즉 교정용 와이어(3)를 삽통하기 위한 삽통홀(3)이 노출되도록 치과용 레진(21)를 절삭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 4b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과용 레진(21)이 교정 와이어 삽통관(1)을 내포하도록 하여 치열 교정용 브라켓(M)이 형성된다.
또한, 어금니 교합면(B)에 치과용 레진(21)을 두껍게 할 때에는, 사전에 어금니 교합면(B)에 치과용 접착재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된 교정용 브라켓 본체(2)를 시료 대상자의 어금니 교합면(B)에 의해 강고하게 고착할 수 있다.
교정 시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법으로 작성한 치열 교정용 브라켓(M) 내의 교정용 와이어 삽통홀(1)에 형성된 삽통홀(11)에 순차 교정용 와이어(3)를 삽통해 간다.
그때 삽통되는 교정용 와이어(3)는, 탄성을 가진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제이며, 사전에 이상적인 치열 상태를 상정한 아치 형태로 구부려서 형성한 것을 사용한다.
삽통된 교정 와이어(3)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래의 아치 형태를 유지할 수 없으며 왜곡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교정용 와이어(3)는, 원래의 아치 형태로 복귀하고자 하는 복원력에 의해 치열(T)을 이동 교정하고, 최종적으로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정을 완료시킨다.
또한, 실제의 교정 시에는, 1개의 교정용 와이어(3)로 교정을 완료시키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교정용 와이어(3)의 직경이 작은 것을 복수 종류 준비하고, 직경이 작은 것에서부터 단계마다 교정을 행할는 것이 좋다.
또한, 단계마다 교정을 행한 경우에는, 모든 교정용 와이어(3)를 처음부터 동일한 원호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히 진찰 시에 교정용 와이어(3)를 구부려서 형성하면 된다.
교정용 와이어(3)는, 종래의 브라켓 교정 방법에서 사용되는 교정용 와이어와 동등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삽통홀(11)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면이 원형 등이여도 된다. 이때 교정용 와이어(3)를 삽통하는 삽통홀(11)도 그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교정 순서에 대해서)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M)을 이용한 교정 순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브라켓(M)을 이용한 교정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치열 교정용 브라켓(M)의 교정 순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정을 필요로 하는 치아(t)를 포함하는 어금니 교합면에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을 재치하는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 재치 단계(S41)와, 치과용 레진을 교합면에 두껍게 하여 브라켓 본체를 작성하는 브라켓 본체 작성 단계(S42)와, 브라켓 본체의 전후 단부를 절삭하여 교정용 와이어를 삽통하는 삽통홀을 형성하는 삽통 형성 단계 (S43)와, 교정용 와이어를 삽통홀에 삽통하는 교정용 와이어 삽통 단계(S44)와, 교정 완료 후에 교정용 와이어 및 교정용 브라켓의 제거를 행하는 교정용 브라켓 제거 단계(S5)로 이루어진다.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 재치 단계(S41)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M)의 구성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교정을 필요로 하는 치아(t)를 포함한 어금니 교합면(B)에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1)을 재치하는 공정이다.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1)은 원통 형상이기 때문에, 재치 위치가 다른 경우에도 어금니 교합면을 구르고, 어금니 교합면(B)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표면 요철 형상의 최오목부(b)로 구르게 된다.
즉, 어금니 교합면(B)의 상부에 재치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상면을 굴러 정확한 위치에 재치하게 된다.
브라켓 본체 작성 단계(S42)는, 치과용 레진 후성(厚盛) 단계(S42-1)와, 치과용 레진 경화 단계(S42-2)로 이루어진다.
치과용 레진 후성 단계(S42-1)는, 어금니 교합면(B)에 치과용 레진(21)을 두껍게 하여, 브라켓 본체(2)의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 재치 단계(S41)에서 어금니 교합면(B)의 최오목부(b)에 재치된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1)을 덮도록 치과용 레진(21)을 두껍게 한다.
이때, 상술한 교정 시의 저작을 저해하여 치아의 교정 효과를 높이고 싶은 경우에는, 어금니 교합면(B)의 볼록부보다 치과용 레진(21)이 솟아오르도록 두껍게 하면 좋다.
치과용 레진 경화 단계(S42-2)는 치과용 레진 후성 단계(S42-1)에서 어금니 교합면(B)에 두껍게 한 치과용 레진(21)을 경화하는 단계이다.
치과용 레진(21)은 광경화성 재료이며, 예를 들면 충치 치료에 사용되는 복합 레진 등이다.
이 치과용 레진(21)에 UV 라이트를 조사함으로써 경화하여, 브라켓 본체(2)를 작성할 수 있다.
삽통홀 형성 단계(S43)는, 치과용 레진 경화 단계(S42-2)에서 UV 라이트를 조사하여 작성한 브라켓 본체(2)의 불필요 부분을 절삭하여, 치열 교정용 브라켓(M)으로 하기 위한 단계이다.
치과용 레진 후성 단계(S42-1)에서 두껍게 한 치과용 레진(21)은,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1)을 덮도록 치과용 레진 경화 단계(S42-20)에서 경화된다.
이 때문에,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1)에 형성된 홀이 브라켓 본체(2) 중에 매립된 상태가 된다.
그래서,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1)에 형성되어 있는 홀이 노출되도록, 경화된 치과용 레진(21)의 불필요 부분을 절단하고 제거한다.
이 공정에서 노출된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 (1)의 홀이 다음 단계에서 교정용 와이어(3)를 삽통하기 위한 삽통홀 (11)이 된다.
또한, 이때 후성 시에 불필요한 요철이 형성되거나 다른 치아에 부착되어 버린 것을 동시에 제거한다.
또한, 이 삽통홀 형성 단계(S43)에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M)의 작성이 완료된다.
이 치열 교정용 브라켓(M)은, 작성 단계에서는 교정 전의 치아의 방향이나 각도에 순응하고 있기 때문에, 삽통홀(11)은 각각 다양한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교정용 와이어 삽통 단계(S44)는, 상술한 교정용 와이어 재치 단계(S41)∼삽통홀 형성 단계(S43)에 의해 작성한 치열 교정용 브라켓(M)에 교정용 와이어(3)를 삽통하는 단계이다.
삽통하는 교정용 와이어(3)는, 탄성 소재이며, 이상 상태의 치열을 상정한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진다.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진 교정용 와이어(3)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M)의 삽통홀(11)에 순차적 삽통함으로써, 삽통홀(11)이 향하는 다양한 방향으로 변형되어 구부러진다.
다양한 방향으로 변형되어 구부러진 교정용 와이어(3)는, 탄성 소재이기 때문에, 이상 상태를 상정하여 형성된 원의 원호 형상으로 되돌아가려고 복원력이 작용한다.
그 복원력이 치열 교정용 브라켓(M)을 통해 치아에 전달되어 이동 교정된다. 또한, 교정용 와이어(3)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M)의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어의 굵기를 변경하여 복수 단계로 나누어 행해도 된다.
교정용 브라켓 제거 단계(S45)는, 상기 교정용 와이어(3)가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원호 형상으로 되돌아가 교정의 종료를 판단하고, 교정용 와이어(3) 및 치열 교정용 브라켓(M)을 시료 대상자의 치아 열(T)에서 제거하는 공정이다.
이 단계에 의해,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M)에 의한 치열 교정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M)은, 어금니의 부분 교정을 최단으로 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증상이 경도의 부정 교합이면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M)을 이용한 교정 방법만으로 교정을 완료할 수 있지만, 반드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M)을 이용한 교정 방법만으로 완결할 필요는 없다.
즉, 교정 요양에 장기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다른 교정 방법과 조합하여, 교정 완료에 이르기까지의 보조적 교정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 피스를 이용한 교정 방법의 경우, 어금니의 교정에 대해 치아의 상면의 높이를 모으는 정출 및 압하, 기울어진 상태의 치아를 일으키는 정직, 치아의 방향을 바꾸는 회전을 수반한 교정을 필요로 하는 치아의 이동이 곤란하거나 불가능하다.
통상, 이러한 경우에는, 마우스 피스 교정을 행하기 전이나 행한 후에 와이어 교정이나 외과적 수술을 행하는 방법이 취해진다.
그러나, 와이어 교정을 별도로 행하기 위해서는 다시 진찰을 하여 시료 방침을 결정하는 곳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효율이 좋은 방법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마우스 피스 교정을 행할 때에 사전에 교정이 곤란한 어금니 부분에 대하여,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M)을 이용한 교정 방법을 행함으로써, 원활하게 치열(T)의 교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종 효과는, 본 발명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장 적합한 효과를 열거한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본 실시예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 치열 교정용 브라켓, T; 시료 대상자의 치열,
t; 교정을 필요로 하는 치아, B; 어금니 교합면,
b; 오목부, 1;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
11; 삽통홀, 2; 교정용 브라켓 본체,
21; 치과용 레진, 3; 교정용 와이어,
S41;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재치 단계,
S42L; 브라켓 본체 작성 단계,
S42-1; 치과용 레진 후성 단계,
S42-2; 치과용 레진 경화 단계,
S43; 삽통홀 형성 단계,
S44; 교정용 와이어 삽통 단계,
S45; 교정용 브라켓 제거 단계.

Claims (1)

  1.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과, 교정용 브라켓 본체로 구성되며,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은 시료 대상자의 어금니 교합면의 중앙 오목부에 재치하고, 교정용 브라켓은,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의 상방에서부터 치과용 레진을 두껍게 경화시켜 형성하고, 또한 교정용 브라켓의 전후 단부를 절삭하여 교정용 와이어 삽통관의 양단 개구부를 노출시킴으로써 교정용 와이어를 삽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작성 방법 및 상기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교정 방법.
KR1020237029112A 2021-02-05 2021-11-12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작성 방법 KR202301425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17806 2021-02-05
JP2021017806A JP2022120718A (ja) 2021-02-05 2021-02-05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及び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の作成方法
PCT/JP2021/041761 WO2022168394A1 (ja) 2021-02-05 2021-11-12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及び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の作成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533A true KR20230142533A (ko) 2023-10-11

Family

ID=82741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9112A KR20230142533A (ko) 2021-02-05 2021-11-12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작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115355A1 (ko)
JP (1) JP2022120718A (ko)
KR (1) KR20230142533A (ko)
WO (1) WO202216839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6155A (ja) 1998-10-08 2002-08-20 アライン 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ィド. 歯を配置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2066016A (ja) 2010-09-27 2012-04-05 Shimoda Kyosei Shika Clinic 歯列矯正ワイヤ形成装置の製造方法及び歯列矯正ワイ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2617B2 (en) * 2009-03-19 2012-10-23 Align Technology, Inc. Dental wire attachment
US20100279245A1 (en) * 2009-05-04 2010-11-04 Navarro Carlos F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9907627B2 (en) * 2009-08-26 2018-03-06 Joaquin T. Ariza Orthodontics system and method of use
JP5635575B2 (ja) * 2012-09-13 2014-12-03 哲也 下田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及び、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の作成方法
US20180214252A1 (en) * 2015-03-16 2018-08-02 E- Wireligner Co., Ltd. Teeth-straightening wire, dental braces having same, and teeth-straightening method therefor
CA3099709A1 (en) * 2018-05-14 2019-11-21 Erskine Holdco Pty Ltd An orthodontic anchorage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6155A (ja) 1998-10-08 2002-08-20 アライン 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ィド. 歯を配置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2066016A (ja) 2010-09-27 2012-04-05 Shimoda Kyosei Shika Clinic 歯列矯正ワイヤ形成装置の製造方法及び歯列矯正ワ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15355A1 (en) 2024-04-11
JP2022120718A (ja) 2022-08-18
WO2022168394A1 (ja)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4427B1 (ja) 歯科矯正治療用アライナー
JP5857041B2 (ja) 歯列矯正装具用の個別化された治具及びその治具と基部とブラケットとにより形成されるアセンブリ
JP5466121B2 (ja) 歯列矯正ワイヤ形成装置の製造方法及び歯列矯正ワイヤ
US8870566B2 (en) Orthodontic appliance, a system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straightening teeth
EP3586791B1 (en)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US9439737B2 (en) Orthodontic indirect bonding tray including stabilization features
KR102328653B1 (ko) 치열교정 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JP5635575B2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及び、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の作成方法
KR20180103761A (ko)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EP2397104A1 (en) Orthodontic device
EP3164096B1 (en) Molar appliance for an orthodontic brace
US20230240806A1 (en) Orthodontic mouthpiece and orthodontic means using mouthpiece
KR20230142533A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작성 방법
KR101917274B1 (ko)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
CN209966602U (zh) 一种新型正畸微种植体导板
KR102197877B1 (ko)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KR102109847B1 (ko)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
KR102109848B1 (ko)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의 제조 방법
KR102370004B1 (ko) 치열 교정 장치
RU2181573C1 (ru) Ортодон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210757B1 (ko) 지그/고정원 복합체
KR101211288B1 (ko) 지그/고정원 복합체
BG3282U1 (bg) Снемаем ортодонтски апарат - алайне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