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847B1 -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 - Google Patents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847B1
KR102109847B1 KR1020180156266A KR20180156266A KR102109847B1 KR 102109847 B1 KR102109847 B1 KR 102109847B1 KR 1020180156266 A KR1020180156266 A KR 1020180156266A KR 20180156266 A KR20180156266 A KR 20180156266A KR 102109847 B1 KR102109847 B1 KR 102109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dontic
teeth
wire
patient
attachme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수
Original Assignee
윤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수 filed Critical 윤병수
Priority to KR1020180156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 시술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 유지 와이어 및 교정 유지 와이어를 환자의 교정 치아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로 이루어지는 교정 유지 장치를 환자의 교정 치아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은, 환자의 교정 치아의 표면을 덮는 몸체부, 환자의 교정 치아의 표면과의 사이에서 교정 유지 와이어를 수용하는 와이어 홈을 한정하는 와이어 수용부, 및 환자의 교정 치아의 표면과의 사이에서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가 형성되는 교정 부재 수용 공간을 한정하는 교정 부재 수용부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Installation framesion of intraoral retainer for orthodontic treatment}
본 발명은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교정 시술이 이루어진 치아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를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에 관한 것이다.
치아에 대한 교정시술 과정에서 치아의 이동이 진행된 후에는, 치아의 위치를 유지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유지기능을 갖는 교정 치아 유지 장치가 구강 내에 설치된다.
통상적인 교정 치아 유지 장치는, 치아들의 치면(순측면 또는 설측면)에 고정된 브라켓들을 와이어로 이어서 치아들을 묶는 구조로, 유지 기간동안 장시간 구강 내에 적용되며, 치아들의 치면에 고정되는 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통상적인 교정 치아 유지 장치는, 사용자의 미관을 해치며, 음식물을 섭취할 때 등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시술자의 시술 능력에 따라 치아들의 치면에 고정되는 위치의 정확도와 잔존률(survival rate)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0444호(2015.12.28)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 시술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교정 유지 와이어 및 상기 교정 유지 와이어를 환자의 교정 치아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로 이루어지는 교정 유지 장치를 상기 환자의 교정 치아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은, 상기 환자의 교정 치아의 표면을 덮는 몸체부; 상기 환자의 교정 치아의 표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교정 유지 와이어를 수용하는 와이어 홈을 한정하는 와이어 수용부; 및 상기 환자의 교정 치아의 표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가 형성되는 교정 부재 수용 공간을 한정하는 교정 부재 수용부;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은, 교정 유지 와이어 및 교정 유지 와이어를 환자의 교정 치아의 설측 표면에 부착시키는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로만 이루어지고, 교정 유지틀을 포함하지 않는 교정 유지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교정 유지 장치를 부착한 환자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교정 유지틀에 기인한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틀이 가지는 고정 부재 수용 공간에 복합 레진을 주입하여,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를 형성하므로,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의 크기 및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결합력을 증진시켜 장기간 동안 환자의 교정 치아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의 제조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상악 치열을 위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을 이용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상악 치열을 위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의 제조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을 이용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의 제조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치아에 대한 교정 시술을 통하여, 치아의 이동이 진행된 대상자(이하, 환자)의 교정 치아 배열 데이터(이하, 제1 치열 데이터, D10)를 획득한다(S100). 제1 치열 데이터(D10)는 인상채득, CT, 3D 스캔 등을 통하여 얻어진 환자의 교정 치아(도 9의 10)에 대한 이미지로부터 3차원 이미지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제1 치열 데이터(D10)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도 4에는 제1 치열 데이터(D10)가 상악 치열 데이터(D10U) 및 하악 치열 데이터(D10L)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교정 시술을 통하여 치아의 이동이 진행된 환자의 교정 치아(10)가 상악 치열(도 9의 10U)뿐인 경우에는 제1 치열 데이터(D10)는 상악 치열 데이터(D10U)로만 이루어질 수 있고, 교정 시술을 통하여 치아의 이동이 진행된 환자의 교정 치아가 하악 치열뿐인 경우에는 제1 치열 데이터(D10)는 하악 치열 데이터(D10L)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교정 시술은, 환자의 교정 전 치아에 대하여 이동을 진행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 및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된 환자의 치아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교정 치아란, 환자의 교정 전 치아에 대하여 치아의 이동을 진행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된 환자의 치열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환자의 교정 전 치아에 대하여 이동을 진행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하고,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된 환자의 치아, 즉 교정 치아(10U)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1 치열 데이터(D10)를 이용하여 교정 치아 금형(이하, 제1 금형, 100)을 생성한다(S200). 일부 실시 예에서, 제1 금형(100)은 3차원 프린팅 방법을 통하여 생성할 수 있다. 도 5에는, 제1 금형(100)이 상악 치열 금형(100U) 및 하악 치열 금형(100L)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1 금형(100)은 상악 치열 금형(100U)만을 포함하거나, 하악 치열 금형(100L)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도 5 및 도 6을 함께 제1 금형(100)을 이용하여, 환자의 교정 치아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교정 유지 와이어(210)를 가공한다(S300). 도 6 이하에서는, 도시의 편의성을 위하여, 상악 치열에 관한 구성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악 치열에 관한 구성을 더 포함하거나, 하악 치열에 관한 구성만을 가질 수도 있다. 교정 유지 와이어(210)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교정 유지 와이어(210)는 제1 금형(100)의 설측 치아 표면, 즉 환자의 교정 치아의 설측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교정 유지 와이어(210)는 치간 사이에 대응하도록 굴곡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교정 유지 와이어(210)는 예를 들면, 전치(앞니) 및 견치(송곳니)를 포함하는 적어도 6개의 치아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교정 유지 와이어(210)는 전치(앞니), 견치(송곳니), 및 적어도 하나의 소구치(작은 어금니)를 포함하는 적어도 8개의 치아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제1 금형(100)에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를 사용하여, 교정 유지 와이어(210)를 부착한다(S400). 교정 유지 와이어(210)는 제1 금형(100)의 설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는, 교정 유지 와이어(210)를 제1 금형(100)에 부착시키는 기능 뿐만 아니라, 이후에 형성할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도 10의 220)의 형상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의 형상은 이후에 형성할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220)의 형상과 대체로 유사할 수 있다.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는 예를 들면, 왁스, 또는 제거 가능한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는 교정 유지 와이어(210)를 부착시키기 위한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가 전치(앞니), 견치(송곳니), 및 제1 소구치(작은 어금니)를 포함하는 8개의 치아(4개의 전치, 2개의 견치, 및 2개의 제1 소구치)의 설측 표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교정 유지 와이어(210)를 부착시키기 위한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는 6개의 치아(4개의 전치 및 2개의 견치) 또는 10개의 치아(4개의 전치, 2개의 견치, 2개의 제1 소구치, 및 2개의 제2 소구치)의 설측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7 및 도 8a를 함께 참조하면,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를 사용하여 교정 유지 와이어(210)가 부착된 제1 금형(100)을 이용하여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을 형성한다(S500).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은 예를 들면, 진공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옴니백 제작용 시트가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를 사용하여 교정 유지 와이어(210)가 부착된 제1 금형(100)의 표면을 덮도록 한 후, 제1 금형(100)의 표면을 덮는 옴니백 제작용 시트를 제1 금형(100)으로부터 분리한 후, 필요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c를 함께 참조하면,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은 교정 유지 와이어(210)에 대응되는 와이어 홈(310S) 및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에 대응하는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을 가질 수 있다. 와이어 홈(310S)과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도 8b는 도 8a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8c는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이 환자의 교정 치아(도 9의 10)의 개별 치아(12)에 장착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c에는 환자의 개별 치아(12) 중 상측 개별 치아(12U)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환자의 교정 치아(10)가 하측 치열을 포함하거나, 하측 치열뿐인 경우에도 유사할 수 있다.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은 몸체부(302), 와이어 수용부(304), 및 고정 부재 수용부(306)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 수용부(304)는 교정 유지 와이어(210)가 장착되는 와이어 홈(310S)을 한정하고, 고정 부재 수용부(306)는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을 한정할 수 있다.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의 몸체부(302)는 환자의 교정 치아(10)의 설측 표면, 순측 표면, 및 잇몸의 일부분과 접촉할 수 있고, 와이어 수용부(304) 및 고정 부재 수용부(306)는 환자의 교정 치아(10)의 설측 표면 이격되어, 설측 표면과의 사이에 와이어 홈(310S) 및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은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이 형성되는 환자의 개별 치아(12)만을 덮을 수도 있으나,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이 형성되지 않는 개별 치아(12) 중 일부를 더 덮을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은 전치(앞니), 및 견치(송곳니)를 덮고, 소구치(작은 어금니)와 대구치(큰 어금니)를 덮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에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은 전치(앞니), 견치(송곳니), 및 적어도 하나의 소구치(작은 어금니)를 덮고, 대구치(큰 어금니)를 덮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 에에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은 전치(앞니), 견치(송곳니), 소구치(작은 어금니), 및 적어도 하나의 대구치(큰 어금니)를 덮을 수 있다.
도 1, 도 8c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의 와이어 홈(310S)에 교정 유지 와이어(210)를 장착한 후, 환자의 교정 치아(10)에 교정 유지 와이어(210)가 장착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을 결합한다(S600).
전술한 바와 같이, 도 9에는 환자의 교정 치아(10) 중 상측 치열(10U)에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이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측 치열(10U) 및 하측 치열(도시 생략) 각각에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을 결합하거나, 하측 치열(도시 생략)에만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을 결합할 수도 있다.
환자의 교정 치아(10)의 설측 표면과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 사이에는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이 한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환자의 교정 치아(10)와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 사이에 한정되는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에 복합 레진을 주입하여,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220)를 형성한다. 복합 레진은 예를 들면, 자가 중합형 복합 레진(Self cured composite resin), 광 중합형 복합 레진(Light cured composite resin), 이중 중합형 복합 레진(Dual cured composite resin) 등일 수 있다.
교정 유지 와이어(210)와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220)는 교정 유지 장치(200)를 이룰 수 있다.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220)는, 예를 들면 주사기를 이용하여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의 고정 부재 수용부(306)를 관통하여,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에 복합 레진을 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부재 수용부(306)에는 주사기에 의하여 관통된 관통홀(300H)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10,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환자의 교정 치아(10)로부터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을 제거하여, 환자의 교정 치아(10)에 교정 유지 와이어(210) 및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220)로 이루어지는 교정 유지 장치(200)가 부착될 수 있다(S800).
본 발명에 따른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을 이용하여 형성한 교정 유지 장치(200)는 블라켓이나 교정 유지틀을 포함하지 않고, 교정 유지 와이어(210) 및 교정 유지 와이어(210)를 환자의 교정 치아(10)의 설측 표면에 부착시키는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220)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교정 유지 장치(200)를 부착한 환자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블라켓이나 교정 유지틀에 기인한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틀(300)이 가지는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에 복합 레진을 주입하여,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220)를 형성하므로,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220)의 크기 및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블라켓이나 교정 유지틀이 없어도 환자의 교정 치아(10)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에 대한 내용 중 도 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환자의 제1 치열 데이터(D10)를 획득한다(S100).
도 2,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1 치열 데이터(D10)를 이용하여 제1 금형(100)을 생성한다(S200).
도 2, 도 5 및 도 6을 함께 제1 금형(100)을 이용하여, 환자의 교정 치아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교정 유지 와이어(210)를 가공한다(S300). 이후, 제1 금형(100)에 교정 유지 와이어(210)를 결합한다(S300). 교정 유지 와이어(210)는 제1 금형(100)에 고정되도록 부착되지 않고, 제1 금형(100)의 설측 표면에 임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한 것과 달리,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를 사용하지 않고, 제1 금형(100)에 교정 유지 와이어(210)를 임시로 유지되도록 결합한다.
이후, 교정 유지 와이어(210)가 결합된 제1 금형(100)으로부터, 교정 유지 와이어(210)가 결합된 치아 배열 데이터(이하, 제2 치열 데이터)를 획득한다(S420). 제2 치열 데이터는 인상채득, CT, 3D 스캔 등을 통하여 얻어진 제1 금형(100) 및 교정 유지 와이어(210)에 대한 이미지로부터 3차원 이미지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제2 치열 데이터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제2 치열 데이터는 도 4에 보인 제1 치열 데이터(D10)와 유사하나, 교정 유지 와이어(210)에 대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2 치열 데이터에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 영역을 설정한 치아 배열 데이터인 제3 치열 데이터를 획득한다(S430). 제3 치열 데이터는 제1 치열 데이터(D10)에 도 7에 보인 교정 유지 와이어(210) 및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 또는 도 11에 보인 교정 유지 와이어(210) 및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220)를 포함하는 교정 유지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추가한 3차원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제3 치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교정 유지 장치 부착 치아 금형(이하, 제2 금형)을 생성한다(S200). 일부 실시 예에서, 제2 금형은 3차원 프린팅 방법을 통하여 생성할 수 있다.
도 2, 도 8a를 함께 참조하면, 제2 금형을 이용하여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을 형성한다(S500). 즉, 도 1에서는 제1 금형(D10)에 교정 유지 와이어(210) 및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를 부착한 후,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을 형성하나, 도 2에서는 교정 유지 와이어(210) 및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에 대응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제2 금형을 사용하여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을 형성하며, 형성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의 형상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 도 8c,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의 와이어 홈(310S)에 교정 유지 와이어(210)를 장착한 후, 환자의 교정 치아(10)에 교정 유지 와이어(210)가 장착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을 결합한다(S600).
도 2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환자의 교정 치아(10)와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 사이에 한정되는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에 복합 레진을 주입하여,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220)를 형성한다.
도 2, 도 10,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환자의 교정 치아(10)로부터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을 제거하여, 환자의 교정 치아(10)에 교정 유지 와이어(210) 및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220)로 이루어지는 교정 유지 장치(200)가 부착될 수 있다(S800).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에 대한 내용 중 도 1 및 도 2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환자의 제1 치열 데이터(D10)를 획득한다(S100).
이후, 제1 치열 데이터(D10)를 이용하여 환자의 교정 치아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교정 유지 와이어에 대한 정보인 교정 유지 와이어 데이터를 형성한다(S310). 교정 유지 와이어 데이터는 도 6에 보인 교정 유지 와이어(210)를 형성한 후, 인상채득, CT, 3D 스캔 등을 통하여 얻어진 교정 유지 와이어(210)에 대한 이미지로부터 3차원 이미지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교정 유지 와이어 데이터는 제1 치열 데이터(D10)를 이용한 3차원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치열 데이터(D10)에 교정 유지 와이어 데이터, 및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 영역을 설정하여, 교정 유지 장치 부착 치아 배열 데이터(이하, 제4 치열 데이터)를 획득한다(S435). 제4 치열 데이터는 제1 치열 데이터(D10)에 도 7에 보인 교정 유지 와이어(210) 및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 또는 도 11에 보인 교정 유지 와이어(210) 및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220)를 포함하는 교정 유지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추가한 3차원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제4 치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교정 유지 장치 부착 치아 금형(이하, 제3 금형)을 생성한다(S445). 일부 실시 예에서, 제3 금형은 3차원 프린팅 방법을 통하여 생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8a를 함께 참조하면, 제3 금형을 이용하여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을 형성한다(S500). 즉, 도 1에서는 제1 금형(D10)에 교정 유지 와이어(210) 및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를 부착한 후,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을 형성하나, 도 3에서는 교정 유지 와이어(210) 및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에 대응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제3 금형을 사용하여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을 형성하며, 형성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의 형상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 도 8c,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의 와이어 홈(310S)에 교정 유지 와이어(210)를 장착한 후, 환자의 교정 치아(10)에 교정 유지 와이어(210)가 장착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을 결합한다(S600).
도 3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환자의 교정 치아(10)와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 사이에 한정되는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에 복합 레진을 주입하여,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220)를 형성한다.
도 3, 도 10,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환자의 교정 치아(10)로부터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을 제거하여, 환자의 교정 치아(10)에 교정 유지 와이어(210) 및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220)로 이루어지는 교정 유지 장치(200)가 부착될 수 있다(S800).
도 1,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의 제조 방법은, 3차원 이미지 데이터의 형성, 및 금형의 형성의 과정에서 다소 차이가 있으나,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 방법은 동일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상악 치열을 위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악 치열의 개별 치아인 상측 개별 치아(12U)와 하악 치열의 개별 치아인 하측 개별 치아(12L)는 제1 높이(W1)만큼 오버바이트(overbite)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 개별 치아(12U)의 설측 치면 측으로, 하측 개별 치아(12L)의 상측 일부분은 상측 개별 치아(12U)의 하측 일부분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측 개별 치아(12L)의 최상단은 상측 개별 치아(12U)의 최하단보다 제1 높이(W1)만큼 높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상측 치열을 위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의 고정 부재 수용부(306)의 최하단은 상측 개별 치아(12U)의 최하단과 접하는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의 몸체부(302)의 최하단보다 제2 높이(W2)만큼 높은 레벨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높이(W2)는 제1 높이(W1)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상측 치열을 위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이 가지는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은 하측 개별 치아(12L)과 제1 간격(D1)을 가지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을 한정하는 고정 부재 수용부(306)의 최하단과 하측 개별 치아(12L)의 최상단은 제1 간격(D1)을 가질 수 있다. 제1 간격(D1)은 제2 높이(W2)의 값과 제1 높이(W1)의 값의 차이일 수 있다.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도 11의 220)를 환자의 교정 치아(10)의 상측 치열의 개별 치아(12U)의 표면 상에 직접 형성하는 경우, 상측 치열과 하측 치열의 오버바이트되는 간격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거나,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220)의 크기와 형상을 정밀하게 형성할 수 없어, 상측 치열의 개별 치아(12U)의 설측 표면에 형성된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220)가 하측 치열의 개별 치아(12L)와 접하여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측 치열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은,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220)를 형성하기 위한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을 한정하는 고정 부재 수용부(306)의 위치가 하측 치열과 오버바이트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되도록 미리 결정할 수 있고, 크기와 형태 또한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치열의 개별 치아(12U)의 설측 표면에 형성된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220)가 하측 치열의 개별 치아(12L)와 접하여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의 제조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대한 내용 중 도 7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13을 함께 참조하면, 제1 금형(100)에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를 사용하여, 교정 유지 와이어(210)를 부착한다(S400). 이때,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에 수지 주입구 유도 핀(260)을 부착한다.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가 경화되기 전에 수지 주입구 유도 핀(260)을 부착하고,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를 경화시켜, 수지 구입구 유도 핀(260)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 도 13 및 도 14a를 함께 참조하면,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를 사용하여 교정 유지 와이어(210)가 부착되고,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에 수지 주입구 유도 핀(260)가 부착된 제1 금형(100)을 이용하여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a)을 형성한다(S500).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a)은 수지 주입구(300O)를 가질 수 있다. 수지 주입구(300S)는 수지 주입구 유도 핀(260)의 표면을 덮은 옴니백 제작용 시트의 부분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c를 함께 참조하면,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a)은 교정 유지 와이어(210)에 대응되는 와이어 홈(310S) 및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250)에 대응하는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을 가질 수 있다. 도 14b는 도 14a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4c는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a)이 환자의 교정 치아(도 9의 10)의 개별 치아(12)에 장착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c에는 환자의 개별 치아(12) 중 상측 개별 치아(12U)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환자의 교정 치아(10)가 하측 치열을 포함하거나, 하측 치열뿐인 경우에도 유사할 수 있다.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a)은 몸체부(302), 와이어 수용부(304), 및 고정 부재 수용부(306)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 수용부(304)는 교정 유지 와이어(210)가 장착되는 와이어 홈(310S)을 한정하고, 고정 부재 수용부(306)는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을 한정할 수 있다. 고정 부재 수용부(306)는 수지 주입구 유도 핀(260)에 의하여 형성된 수지 주입구(300O)를 가질 수 있다. 수지 주입구(300O)는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과 연통될 수 있다.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a)은 수지 주입 유도부(3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지 주입 유도부(308)는 수지 주입구 유도 핀(260)의 표면을 덮은 옴니백 제작용 시트의 부분 중 제거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일 수 있다. 수지 주입 유도부(308)는 예를 들면, 원통 형상을 가지며,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와 연통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을 이용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도 14c 및 도 15를 함께 참조하면,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a)의 와이어 홈(310S)에 교정 유지 와이어(210)를 장착한 후, 환자의 교정 치아(10)에 교정 유지 와이어(210)가 장착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a)을 결합한다(S600).
이후, 수지 주입구(300O)를 통하여,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에 복합 레진을 주입하여,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도 10의 220)를 형성한다. 복합 레진을 주사기를 이용하여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에 주입하는 경우, 수지 주입 유도부(308) 내에 주사기의 바늘이 삽입되어, 복합 레진이 수지 주입 유도부(308)를 통하여,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 내에 주입될 수 있다. 수지 주입 유도부(308)에 의하여, 복합 레진이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 내에 주입되는 과정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복합 레진이 고정 부재 수용 공간(320S)으로부터 고정 부재 수용부(306)의 외측으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환자의 교정 치아(10)로부터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300a)을 제거하여, 환자의 교정 치아(10)에 교정 유지 와이어(210) 및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220)로 이루어지는 교정 유지 장치(도 11의 200)가 부착될 수 있다(S800).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교정 치아, 12 : 개별 치아, 100 : 제1 금형, 200 : 교정 유지 장치, 210 : 교정 유지 와이어, 220 :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 250 : 교정 유지 와이어 임시 고정 부재, 260 : 수지 주입구 유도 핀, 300, 300a :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 302 : 몸체부, 304 : 와이어 수용부, 306 : 고정 부재 수용부, 308 : 수지 주입 유도부, 310S : 와이어 홈, 320S : 고정 부재 수용 공간, 300O : 수지 주입구

Claims (8)

  1. 교정 유지 와이어 및 상기 교정 유지 와이어를 환자의 교정 치아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로 이루어지는 교정 유지 장치를 상기 환자의 교정 치아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교정 치아의 표면을 덮는 몸체부;
    상기 환자의 교정 치아의 표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교정 유지 와이어를 수용하는 와이어 홈을 한정하는 와이어 수용부; 및
    상기 환자의 교정 치아의 표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가 형성되는 교정 부재 수용 공간을 한정하는 교정 부재 수용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치아 유지 장치를 상기 환자의 교정 치아의 설측 부면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 수용부는, 상기 고정 부재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수지 주입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
  4. 제1 항에 있어서, 옴니백 제작용 시트로부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홈과 상기 교정 부재 수용 공간은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교정 치아의 전치, 견치, 및 적어도 하나의 소구치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 수용부에 복합 레진을 주입하여 상기 교정 유지 와이어 고정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유지 장치를 상기 환자의 교정 치아의 상측 치열에 부착하며,
    상기 몸체부의 최하단보다 상기 교정 부재 수용부의 최하단은, 상기 환자의 교정 치아의 하측 치열과 상측 치열이 오버바이트되는 제1 높이보다 큰 제2 높이만큼 높은 레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
KR1020180156266A 2018-12-06 2018-12-06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 KR102109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266A KR102109847B1 (ko) 2018-12-06 2018-12-06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266A KR102109847B1 (ko) 2018-12-06 2018-12-06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847B1 true KR102109847B1 (ko) 2020-05-12

Family

ID=7067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266A KR102109847B1 (ko) 2018-12-06 2018-12-06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84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4398A1 (en) * 2002-05-31 2007-08-09 Cronauer Edward A Orthodontic appliance with embedded wire for moving teeth
KR20100077765A (ko) * 2008-12-29 2010-07-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브라켓
JP2012066016A (ja) * 2010-09-27 2012-04-05 Shimoda Kyosei Shika Clinic 歯列矯正ワイヤ形成装置の製造方法及び歯列矯正ワイヤ
KR101510857B1 (ko) * 2014-02-28 2015-04-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교정장치
KR20150098442A (ko) * 2014-02-20 2015-08-28 주식회사 메디오션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51608B1 (ko) * 2015-05-21 2015-09-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와이어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그리고 그의 치아 교정 방법
KR101580444B1 (ko) * 2015-07-09 2015-12-28 홍경재 포지셔너 및 이에 적합한 포지셔너 제조 방법
KR20180027240A (ko) * 2016-09-06 2018-03-14 정중희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4398A1 (en) * 2002-05-31 2007-08-09 Cronauer Edward A Orthodontic appliance with embedded wire for moving teeth
KR20100077765A (ko) * 2008-12-29 2010-07-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브라켓
JP2012066016A (ja) * 2010-09-27 2012-04-05 Shimoda Kyosei Shika Clinic 歯列矯正ワイヤ形成装置の製造方法及び歯列矯正ワイヤ
KR20150098442A (ko) * 2014-02-20 2015-08-28 주식회사 메디오션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10857B1 (ko) * 2014-02-28 2015-04-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교정장치
KR101551608B1 (ko) * 2015-05-21 2015-09-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와이어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그리고 그의 치아 교정 방법
KR101580444B1 (ko) * 2015-07-09 2015-12-28 홍경재 포지셔너 및 이에 적합한 포지셔너 제조 방법
KR20180027240A (ko) * 2016-09-06 2018-03-14 정중희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02889A1 (en) Individualized Jig for Orthodontic Braces, Assembly Formed by that Jig, a Base and a Bracket, and its Design Methods
EP310069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urgical guide and a crown
KR10186281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750846B1 (ko) 치과 공구 제조 방법
US10610336B2 (en) Tray appliance system for making a dental prosthesis
CN111655192B (zh) 数字牙科修复体及其制造方法
KR101953692B1 (ko) 레퍼런스 마커에 기반하여 설계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2015510425A (ja) 歯科用補綴物を支持する歯支台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80103761A (ko)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KR102013298B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JPWO2020033528A5 (ko)
US10932888B2 (en) Orthodontic bracket and a method of making an orthodontic bracket
KR102109847B1 (ko)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
KR102109848B1 (ko) 교정 치아 유지 장치 부착틀의 제조 방법
KR101881472B1 (ko) 치아 교정용 와이어 시술을 위한 보조기구
KR101862820B1 (ko) 틀니 제조방법
KR101347258B1 (ko) 고정원 시술용 지그 및 그 제조방법
KR102380704B1 (ko) 치아수복용 식립가이드 시스템
KR102320791B1 (ko) 치열 교정 장치 부착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
KR101544776B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이중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2242491B1 (ko)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KR102080243B1 (ko) 수직고경 측정 범용 스플린트
KR20230088379A (ko) 치열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상기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치열 교정 수단
TW202038872A (zh) 植牙手術導板及其製備方法
KR102021104B1 (ko) 디지털보철용 메탈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