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2199A - 방향족 화합물 반응기 - Google Patents

방향족 화합물 반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2199A
KR20230142199A KR1020220041141A KR20220041141A KR20230142199A KR 20230142199 A KR20230142199 A KR 20230142199A KR 1020220041141 A KR1020220041141 A KR 1020220041141A KR 20220041141 A KR20220041141 A KR 20220041141A KR 20230142199 A KR20230142199 A KR 20230142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aromatic compound
mixing member
reactant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원
장남진
이신범
Original Assignee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1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2199A/ko
Priority to PCT/KR2023/004228 priority patent/WO2023191520A1/ko
Publication of KR20230142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19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53Details of the reactor
    • B01J19/0066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00Feed or outlet devices; Feed or outlet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00Feed or outlet devices; Feed or outlet control devices
    • B01J4/001Feed or outlet devices as such, e.g. feeding tubes
    • B01J4/002Nozzle-type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족화합물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방향족화합물 반응기의 바닥부의 노즐에 반응물을 공급하는 것이 아닌, 반응물이 골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방향족 화합물 반응기의 내부에 혼합부재를 장착하는 것에 있다.

Description

방향족 화합물 반응기 {Aromatic Compounds Reactor}
본 발명은 방항족 화합물의 반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응물의 혼합 효율을 증가시키고 반응물의 선택도 향상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향족화합물 반응기에 대한 것이다.
방향족 화합물의 일종인 톨루엔은 염소와의 반응을 통해 염소화 반응을 일으켜 o-클로로톨루엔 및 p-클로로톨루엔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염소화 반응을 일으키는 반응기는 반응기 내부에 배치된 스파저(sparger)를 통해 기체상태의 염소가 투입되며, 톨루엔을 포함하는 반응액 일부는 반응기 바닥부의 노즐을 통하여 주입되어 반응을 일으킨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반응기는 내부에서 방향족 화합물인 톨루엔을 포함하는 반응액이 염소와 반응하는 동안 채널링(channeling) 현상이 발생되거나 물질 간 혼합도가 매우 악화되어 반응의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종래 한국특허공개 제10-1196278호(“반응기용 가스 분배기”, 2012.11.06.,이하 ‘ 선행문헌’)에서는 반응기용 스파저 시스템의 스파저 위에 배치된 분배 시스템을 통해 반응기의 바닥에서 스파저로 반응물을 공급하기 하기 위한 공급 파이프 설비에 대해 개시되어 있었다. 또한 액체는 반응기 외측의 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장치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반응기는 반응물과 기체가 혼합되는 과정에서 혼합도가 좋지 않아 혼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10-1196278호(“반응기용 가스 분배기”, 2012.11.06., 이하 ‘선행문헌’)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방향족화합물 반응기의 바닥부의 노즐에 반응물을 공급하는 것이 아닌, 반응물이 골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방향족 화합물 반응기의 내부에 혼합부재를 장착하는 방향족화합물 반응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향족화합물은 내부에 반응공간이 형성되는 반응기(100); 복수 개가 상기 반응기(10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며, 유로 형태로 형성되어 양단을 통해 상기 반응공간으로 반응물을 공급하는 반응물분배기(200); 적어도 하나가 복수 개의 상기 반응물분배기(200) 사이에 배치되며, 통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반응공간으로 반응액을 공급하는 반응액주입부(300); 상기 반응액주입부(300)에 구비되어 유도되는 회전유동을 이용하여 반응액을 상기 반응공간에 분산시키는 혼합부재(40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화합물 반응기는 상기 반응액주입부로 공급되는 반응액과 상기 반응물분배기의 반응물이 상기 혼합부재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물분배기(200)로 공급된 반응물은, 기체 또는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부재(400)는, 상기 반응기(100) 높이를 h라 할 때, 상기 반응기(100) 하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혼합부재(400)의 하부 바닥면까지의 거리가 0.008 내지 0.02h 범위 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물분배기(200)는, 상기 반응기(100) 높이를 h라 할 때, 상기 혼합부재(400)의 상부로부터 상기 반응물분배기(200) 중심까지의 거리가 0.1 내지 0.4h 범위 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부재(400)는, 상기 혼합부재(400)의 중심부에 결합되는 허브(410); 상기 허브(4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 이상의 블레이드(421)를 포함하는 팬(420); 상기 팬(420)의 외측 둘레부(430)를 둘러싸는 둘레부(430); 상기 둘레부(43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주입된 반응액이 부딪히는 충격부(440); 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421)는, 상기 반응액주입부(300)에서 주입되고 상기 충격부(440)에 부딪힌 반응액이 상기 블레이드(421)에 의한 회전유동으로 상기 반응공간에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421)의 두께는, 상기 혼합부재(400)의 두께를 t라 할 때, 0.6 내지 1.0t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액주입부(300)는, 상기 반응액주입부(300)와 외부의 반응액공급부가 노즐 형태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반응물분배기(200)는, 상기 복수개의 반응물분배기(200)와 외부의 반응물공급부와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응기 내 혼합부재를 구성함으로써 반응기 내 주입된 반응물의 평균 유속을 증가시켜 반응물의 역혼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응기 내 혼합부재를 구성함으로써 반응물 유속이 강화되어 물질 간 혼합도가 향상될 수 있고 반응물 간 혼합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응기 내 혼합부재를 구성함으로써 반응기 하부에서 미반응 구간을 약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반응물의 선택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방향족화합물 반응기의 정면도와 저면도를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향족화합물 반응기의 측면도와 저면도를 나타낸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방향족화합물 반응기에 설치된 혼합부재의 형상 및 구조
도 4는 본 발명의 혼합부재를 설치하여 반응기 하부에서 투입되는 톨루엔의 흐름 방향 분산 및 선속도 상승효과와 이로 인한 촉매 혼합도 개선 효과를 나타낸 표
도 5는 본 발명의 반응기 하단 미반응 모사를 나타낸 표
도 6 (a)는 본 발명의 촉매(FeCl3) 균일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6 (b)는 본 발명의 촉매(FeCl3) 표준 편차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촉매 침적 현상 모사를 나타낸 표
본 발명은 방향족화합물 반응기에 관한 것으로, 첨부한 도면 및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방향족화합물 반응기의 정면도와 저면도를 나타낸 모식도(1)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 방향족화합물의 반응기는 방향족화합물을 포함하는 반응액 일부는 반응기 바닥부의 노즐을 통하여 주입되었다. 그러나 반응액이 반응 가스와 혼합하지 못하고 편류(Channeling) 현상을 보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물질 간 혼합도가 매우 악화 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반응기(100) 바닥부의 노즐 상부에 혼합부재(400)을 구성하고, 혼합부재(400)의 최적화 설계를 통하여 반응기(100) 내부의 편류 현상을 감소시키고 평균 유속을 증가시켜 반응기(100)의 역혼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향족화합물 반응기의 측면도와 저면도를 나타낸 모식도(1000)이다.
상기 반응기(100)는 내부에 반응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반응물분배기(200)는 상기 반응기(10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유로 형태로 형성되어 양단을 통해 상기 반응공간으로 반응물이 공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개의 반응물분배기(200)는 외부의 반응물공급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상기 반응물분배기(200)는 상기 반응기(100) 높이를 h라 할 때, 상기 혼합부재(400)의 상부로부터 상기 반응물분배기(200) 중심까지의 거리가 0.1 내지 0.4h 범위 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응액주입부(300)는 적어도 하나가 복수 개의 상기 반응물분배기(2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반응공간으로 반응액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반응액주입부(300)는 외부의 반응액공급부와 노즐 형태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혼합부재(400)는 상기 반응액주입부(300)에 구비되며, 혼합부재(400)에 구성된 블레이드(421)로 형성되는 회전 유동을 이용하여 반응액이 상기 반응공간에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상기 방향족화합물 반응기(100)는 상기 반응액주입부(300)로 공급되는 반응액과 상기 반응물분배기(200)의 반응물이 상기 혼합부재(400)에 구성된 블레이드(421)에 의한 회전유동에 의해 상기 반응공간에 반응액이 분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반응액주입부(300)로 공급되는 반응액과 상기 반응물분배기(200)의 반응물이 상기 혼합부재(400)에 의해 분산되어 반응액이 분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반응물분배기(200)로 공급된 반응물은 기체 또는 액체의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방향족화합물 반응기에 설치된 혼합부재의 형상 및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허브(410)는 상기 혼합부재(400)의 중심부에 결합될 수 있다.
팬(420)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 이상의 블레이드(4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420)의 외측은 둘레부(430)에 의해 둘러싸여있을 수 있다.
충격부(440)는 상기 둘레부(43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주입된 반응액이 부딪힘으로 인하여 반응물이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421)는 상기 반응액주입부(300)의 바닥쪽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421)는 상기 반응액주입부(300)에서 주입된 반응액이 상기 충격부(400)에 부딪힘으로써 상기 블레이드(421)에 의한 회전유동에 의해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기에서, 상기 블레이드(421)의 두께는, 상기 혼합부재의 두께를 t라할 때, 0.6 내지 1.0t일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상기 혼합부재는, 상기 반응기 높이를 h라 할 때, 상기 반응기(100) 하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혼합부재(400)의 하부 바닥면까지의 거리가 0.008 내지 0.02h 범위 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혼합부재(400)를 설치하여 반응기 하부에서 투입되는 톨루엔의 흐름방향분산 및 선속도 상승효과와 이로 인한 촉매 혼합도 개선효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반응기 하부바닥으로부터 혼합부재(400)의 상부까지의 배치 길이 및 혼합부재(400) 높이에 따른 미반응 촉매량 결과를 비교예와 실험예로써 나타내었다.
(비교예)
반응액주입부(300)의 노즐을 통하여 반응액을 주입하였다.
(실시예1)
상부에 블레이드(421)가 구성되어 있지 않은 혼합부재(400)를 반응액주입부(300)에 장착하여 반응액을 주입하였다.
또한, 반응기 하부바닥으로부터 혼합부재(400)의 상부까지의 배치거리는 35mm이고 혼합부재(400)의 높이는 5mm로 구성하였다.
(실시예2)
허브(410)의 외주면에 블레이드(421)가 구성된 혼합부재(400)를 반응액주입부(300)에 장착하여 반응액을 주입하였다.
또한, 반응기 하부바닥으로부터 혼합부재(400)의 상부까지의 배치거리는 35mm이고 혼합부재(400)의 높이는 5mm로 구성하였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비교예1은 미반응 촉매량이 100%으로 반응이 전혀 진행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고, 실시예 1은 89.2%, 실시예2는 87.4%로 실시예2의 미반응 촉매량이 비교예1 및 실시예 1에 비해 현저히 줄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반응기 하단의 미반응 구간 모사를 나타낸 표로써, 유동해석(CFD)를 통해 반응기 하단의 미반응 구간의 모사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반응기 하단의 미반응 구간 모사에서는 복수개 이상의 블레이드(421)를 포함하는 혼합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응기 하부 바닥으로부터 혼합부재(400)의 상부까지의 배치거리는 35mm이고, 혼합부재(400)의 높이는 5mm로 구성하였다.
일반적으로 방향족 화합물의 반응은 톨루엔과 염소 기체의 2상(Phase)으로 실험이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반응기 하단부의 상세 모사를 위해 1상(Phase)으로 변경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한 유동해석을 진행하였다.
해석에 사용된 유동 모델은 9개의 블레이드(421)로 구성된 혼합부재(400)를 사용하였으며, 실제 염소화반응이 일어나는 구간은 반응물분배기(200) 상부의 30 내지 70cm 구간으로 예상되므로, 본 발명의 시뮬레이션에서는 반응기 접선 기준 30cm 구간까지를 해석 구간으로 설정하였다.
반응기 하단부 해석 모델에서는 반응액주입부(300)의 노즐에서 톨루엔과 촉매인 염화철(FeCl3)이 유입되어 반응기 하단부 바닥에서 섞이고 침강되는 형태를 시뮬레이션하였다. 실제 염화철(FeCl3)은 톨루엔에 용해되어 고체 상태로 침강되지 않지만 유동 해석에서 미반응 구간을 파악하기 위해 염화철(FeCl3)이 고체 상태로 침강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유동해석을 진행하였다.
도 5의 비교예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존 반응기에서는 편류 현상이 확인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편류현상에 대한 개선을 위해 반응기 하부의 유동흐름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혼합부재(400)의 구조를 고안하여 이에 대한 상세 모사를 추가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블레이드(421)를 포함하지 않는 혼합부재(400)와 복수개 이상의 블레이드(421)를 포함하는 혼합부재(400)를 고안하여 실시예를 진행하였다.
도 5의 실시예1과 실시예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혼합부재(400)의 형태와는 무관하게 기존 반응기와 비교하였을 때 편류현상은 완전히 해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속도벡터 분석 결과 반응기 하부 유동의 분산효과의 영향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도 6 (a)는 본 발명의 촉매(FeCl3) 균일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 (b)는 본 발명의 촉매(FeCl3) 표준 편차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a) 및 도 6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반응기 높이 방향으로 5개의 면(Plane)을 지정하여 염화철(FeCl3)의 분포 균일도를 비교하였을 때 촉매의 분산 균일도 또한 20% 이상 개선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혼합부재(400)의 형태에 따라서 블레이드(421)를 포함하지 않는 혼합부재(400)의 경우 기존 반응기 대비 유체의 차압이 32% 상승되었고, 복수개 이상의 블레이드(421)를 포함하는 혼합부재(400)의 경우 유체의 차압이 8%의 상승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복수개 이상의 블레이드(421)를 포함하는 혼합부재(400)를 개선안으로 확정하여 추가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촉매 침적 현상 모사를 나타낸 표로써, 유동해석(CFD)를 통해 반응기 하단의 촉매 침적 현상 모사를 나타낸 것이다.
촉매의 분산도와 실제 반응기 내에 국부적으로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촉매의 국부적 정체 가능성에 대한 검토를 위하여 촉매를 일정 지름을 가지는 입자로 설정하여 2phase해석으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여기에서, 실제 반응에서는 용해되어 1phase지만 시뮬레이션 진행 및 해석을 위해서 2phase로 구성하였다.
실질적인 촉매의 반응기 내 투입양은 300ppm이므로, 초기 조건의 부피 분율(Volume fraction)을 0.0001로 가정하고, 염화철(FeCl3)의 지름은 약 50㎛로 설정하였다.
또한, 입구측 반응물의 유속 조건을 변경하여 유속 조건의 변경에 따른 침적 양상을 확인하였다.
도 7의 비교예를 참조하면, 블레이드(421)를 포함하지 않는 혼합부재(400)의 경우 유입된 염화철(FeCl3) 촉매는 톨루엔의 흐름을 따라 반응기 중심부로 강한 유동이 형성되어 상승하는 형태로 흐르게 되며 이후 반응기 상부로부터 벽측 흐름으로 전달되어 반응기 바닥부 및 반응물 분배기 상측에 대부분 침적되는 형태로 모사됨을 확인하였다.
도 7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을 참조하면, 복수개 이상의 블레이드(421)를 포함하는 혼합부재(400)의 구성을 통한 개선안의 경우 염화철(FeCl3) 촉매는 톨루엔과 반응기 내부에서 고른 유동이 형성되어 반응기 하부 유동의 분산효과로 인하여 침적되는 형태가 없이 모사되어 미반응 촉매량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향족화합물 반응기에 반응물이 골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방향족 화합물 반응기의 내부에 혼합부재를 장착함으로써 반응기 하부 촉매 순환 유속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향족화합물 반응기에 반응물이 골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방향족 화합물 반응기의 내부에 혼합부재를 장착함으로써 반응물에 첨가되는 촉매 침적양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1 : 종래 방향족화합물 반응기 모식도
1000 : 본 발명의 방향족화합물 반응기 모식도
100 : 반응기
200 : 반응물분배기
300 : 반응액주입부
400 : 혼합부재
410 : 허브
420 : 팬 421 : 블레이드
430 : 둘레부
440 : 충격부

Claims (10)

  1. 내부에 반응공간이 형성되는 반응기;
    복수 개가 상기 반응기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며, 유로 형태로 형성되어 양단을 통해 상기 반응공간으로 반응물을 공급하는 반응물분배기;
    적어도 하나가 복수 개의 상기 반응물분배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반응공간으로 반응액을 공급하는 반응액주입부;
    상기 반응액주입부에 구비되어 유도되는 회전유동을 이용하여 반응액을 상기 반응공간에 분산시키는 혼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화합물 반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화합물 반응기는,
    상기 반응액주입부로 공급되는 반응액과 상기 반응물분배기의 반응물이 상기 혼합부재에 의해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화합물 반응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물분배기로 공급된 반응물은,
    기체 또는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화합물 반응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재는,
    상기 반응기 높이를 h라 할 때,
    상기 반응기 하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혼합부재의 하부 바닥면까지의 거리가 0.008 내지 0.02h 범위 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화합물 반응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물분배기는,
    상기 반응기 높이를 h라 할 때,
    상기 혼합부재의 상부로부터 상기 반응물분배기 중심까지의 거리가 0.1 내지 0.4h 범위 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화합물 반응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재는,
    상기 혼합부재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허브;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 이상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팬;
    상기 팬의 외측 둘레부를 둘러싸는 둘레부;
    상기 둘레부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주입된 반응액이 부딪히는 충격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화합물 반응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반응액주입부(300)에서 주입되고 상기 충격부(440)에 부딪힌 반응액이 상기 블레이드(421)에 의한 회전유동으로 상기 반응공간에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화합물 반응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두께는,
    상기 혼합부재의 두께를 t라 할 때, 0.6 내지 1.0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화합물 반응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액주입부는,
    상기 반응액주입부와 외부의 반응액공급부가 노즐 형태로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화합물 반응기.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반응물분배기는,
    상기 복수개의 반응물분배기와 외부의 반응물공급부와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화합물 반응기.
KR1020220041141A 2022-04-01 2022-04-01 방향족 화합물 반응기 KR20230142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141A KR20230142199A (ko) 2022-04-01 2022-04-01 방향족 화합물 반응기
PCT/KR2023/004228 WO2023191520A1 (ko) 2022-04-01 2023-03-30 방향족화합물 반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141A KR20230142199A (ko) 2022-04-01 2022-04-01 방향족 화합물 반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199A true KR20230142199A (ko) 2023-10-11

Family

ID=88203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141A KR20230142199A (ko) 2022-04-01 2022-04-01 방향족 화합물 반응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2199A (ko)
WO (1) WO202319152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278B1 (ko) 2004-03-08 2012-11-06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반응기용 가스 분배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4734A (en) * 1977-12-06 1979-01-16 Uop Inc. Detergent alkylation reactor
KR970000935A (ko) * 1995-06-29 1997-01-21 김주용 자동차 정비내용 음성알림장치
CN206868228U (zh) * 2017-06-28 2018-01-12 天津市鑫泽精细化工有限责任公司 改良型氯化反应器
KR102101290B1 (ko) * 2019-04-29 2020-04-16 (주)클린에어스 기-액 접촉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액체 분무디스크
JP2021084077A (ja) * 2019-11-28 2021-06-03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攪拌装置及び気液混合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278B1 (ko) 2004-03-08 2012-11-06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반응기용 가스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520A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309C (zh) 旋流反应器
US4233269A (en) Gas liquid distributor
EP0462753A1 (en) Improved interzone mixing device
US7523923B2 (en) Fluid distribution tray and method for the distribution of a highly dispersed fluid across a bed of contact material
WO2021083387A1 (zh) 一种鼓泡塔反应器
KR100974257B1 (ko) 플랜지를 갖는 다공성 스플래쉬 방지 노즐 부재를포함하는 과립형 고상층에서의 다중상 혼합물의 분배 장치
KR102012629B1 (ko) 다층 하향류 반응기용 분배장치
KR20230142199A (ko) 방향족 화합물 반응기
CN109642169A (zh) 用于向下流动式加氢操作反应器的改进的混合装置
US5723041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moting annularly uniform flow
RU2753712C2 (ru) Н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распределения многофазной смеси в камере, содержащей псевдоожиженную среду
US10843992B2 (en) Hydroformylation reaction process
CA2487423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ixing and distributing fluids
CN103619465B (zh) Nh3氧化器的气体分配器
JP2015054272A (ja) 攪拌装置
CN205435679U (zh) 入口扩散器及加氢反应器
KR20220102305A (ko) 회분식 반응장치 및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KR20230055663A (ko) 교반기 및 이를 이용한 유체 혼합 방법
KR102593920B1 (ko) 질소 반응기 및 방법
TW201707777A (zh) 裝置
KR20200019166A (ko) 혼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기
KR102030607B1 (ko) 반응기
KR102162029B1 (ko) 임펠러를 이용한 혼화기
US5152934A (en) Mixing system for gas dispersion in liquids or liquid suspensions
EP3992329A1 (en) Rectifying plate, fluid-introducing apparatus, and film-form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