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480A - 피복 냉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피복 냉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480A
KR20230141480A KR1020230031937A KR20230031937A KR20230141480A KR 20230141480 A KR20230141480 A KR 20230141480A KR 1020230031937 A KR1020230031937 A KR 1020230031937A KR 20230031937 A KR20230031937 A KR 20230031937A KR 20230141480 A KR20230141480 A KR 20230141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zen dessert
coated
frozen
mass
m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1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코 가와마타
준코 도도
마사노리 다카노
요코 이치마사
마사카즈 사카구치
슌 시시도
šœ 시시도
요시히로 요코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롯데웰푸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롯데웰푸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ublication of KR20230141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4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44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 A23G9/48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laminated, coated,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9/38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44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 A23G9/50Products with edible or inedible supports, e.g. cornets
    • A23G9/503Products with edible or inedible supports, e.g. cornets products with an inedible support, e.g. a stic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23G2200/08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containing cocoa fat if specifically mentioned or containing products of cocoa fat or containing other fats, e.g. fatty acid, fatty alcohol, their esters, lecithin, paraff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23G2200/1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containing amino-acids, proteins, e.g. gelatine, peptides, poly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20/00Products with special structure
    • A23G2220/20Products with special structure with a composite structure, e.g. laminated products, coated products, microstructures, e.g. with encapsulated ingredi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코팅층으로부터의 새어나옴의 발생이 억제된 피복 냉과 및 코팅층으로부터의 새어나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피복 냉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젤라틴을 0.39 질량% 이상 함유하는 냉과 믹스로 이루어진 냉과와, 상기 냉과의 외주의 일부 또는 전부를 코팅하는 융점 15℃ 이상의 코팅층을 갖는 피복 냉과 및 상기 피복 냉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젤라틴을 0.39 질량% 이상 함유하는 상기 냉과 믹스를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냉과 믹스로부터 상기 냉과를 얻는 공정과, 상기 냉과의 외주의 일부 또는 전부를, 15℃ 이상의 온도로 조절한 액상의 코팅재로 코팅하여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피복 냉과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피복 냉과 및 그 제조 방법{COATED FROZEN DESSER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복 냉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목적으로 젤라틴을 함유한 냉과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냉과는, 냉과 중에 미세 얼음이 분산된 형태의 미세 얼음이 들어간 냉과로서, 냉과 믹스 중에 젤라틴을 포함하고, 냉과 믹스의 오버런을 200∼250%로 하며, 게다가 냉과 믹스와 미세 얼음의 배합 비율이 30:70∼70:30이 되도록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얼음이 들어간 냉과이며, 폭신한 식감으로 입안에서 사르르 녹고, 청량감을 갖는 미세 얼음이 들어간 냉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냉과를 한입 사이즈의 냉과로 할 경우에는, 손에 끈적거리지 않고, 먹기 쉬운 것으로 하기 위해, 냉과의 표면을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기재되어 있다(특허문헌 1의 [0014]).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냉과는, (A) 당류와 젤라틴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동결시켜 이루어지는 센터와, (B) 상기 센터의 외주에 피복된 얼음층으로 이루어진 셸과, (C) 상기 셸의 외주에 피복된, 고화시킨 유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이며, 젤라틴을 함유하는 아이스캔디와 같은 냉과임에도 불구하고 제품으로서 지장이 없는 보형성(保形性)을 갖는 냉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313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3-79319호 공보
냉과의 표면을 초콜릿 등으로 코팅한 피복 냉과는, 소비자의 기호성이 높아짐에 따라, 제조업체 측에서는 점점 더 품질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요구되는 품질로서는, 냉과의 농후함, 부드러움, 외관의 아름다움, 보형성 등을 들 수 있다.
초콜릿 등의 코팅재로 코팅한 피복 냉과에 있어서는, 코팅재를 냉과에 코팅할 때, 유동성을 담보하기 위해 일정 온도로 코팅재의 온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온도가 조절된 코팅재에 접한 냉과 믹스의 표면이 녹아, 코팅재를 냉각하여 경화시킬 때, 코팅재의 부착이 얇은 부분이나 경화가 느린 부분으로부터 녹은 냉과 믹스가 새어나와, 그대로 동결되어(이하, 단순히 「새어나옴」이라고 표기함), 외관이 손상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도 1의 사진에 있어서의 화살표 끝을 참조). 특히, 고급감 또는 농후감이 있는 냉과는, 냉과 믹스가 고(高)고형분이기 때문에, 상기한 과제가 현저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팅층으로부터의 새어나옴의 발생이 억제된 피복 냉과 및 코팅층으로부터의 새어나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피복 냉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의 피복 냉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X(수치)∼Y(수치)라는 기재는,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X 이상 Y 이하를 의미한다.
[1] 젤라틴을 0.39 질량% 이상 함유하는 냉과 믹스로 이루어진 냉과와, 상기 냉과의 외주의 일부 또는 전부를 코팅하는 융점 15℃ 이상의 코팅층을 갖는 피복 냉과.
[2] 상기 냉과 믹스는, 상기 젤라틴을 5 질량% 미만 함유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피복 냉과.
[3] 상기 냉과 믹스는, 상기 젤라틴을 0.45 질량% 이상 1 질량% 이하 함유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피복 냉과.
[4] 상기 냉과 믹스는, 전체 고형분이 30 질량% 이상인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복 냉과.
[5] 상기 냉과는, 오버런이 100% 이하인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복 냉과.
[6] 상기 코팅층은, 식물 유지를 함유하는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복 냉과.
[7] 상기 코팅층은, 초콜릿 코팅층인 상기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복 냉과.
[8] 상기 냉과는, 상기 피복 냉과의 센터를 구성하는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복 냉과.
[9] 상기 냉과는, 상기 냉과 믹스와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 센터를 피복하는 피복층을 구성하는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복 냉과.
[10] 상기 피복 냉과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있는 파지용 막대를 갖는 상기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복 냉과.
[11] 상기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복 냉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젤라틴을 0.39 질량% 이상 함유하는 상기 냉과 믹스를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냉과 믹스로부터 상기 냉과를 얻는 공정과,
상기 냉과의 외주의 일부 또는 전부를, 15℃ 이상의 온도로 조절한 액상의 코팅재로 코팅하여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피복 냉과의 제조 방법.
[12]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의 온도가 15℃ 이상 50℃ 이하인 상기 [11]에 기재된 피복 냉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코팅층으로부터의 새어나옴의 발생이 억제된 피복 냉과 및 코팅층으로부터의 새어나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피복 냉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피복 냉과에 있어서의 새어나옴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피복 냉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이하, 「본 실시형태의」라고 함) 피복 냉과는, 젤라틴을 0.39 질량% 이상 함유하는 냉과 믹스로 이루어진 냉과와, 상기 냉과의 외주의 일부 또는 전부를 코팅하는 융점 15℃ 이상의 코팅층을 갖는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냉과)
본 실시형태의 피복 냉과에 있어서, 냉과란, 냉동 하에서 보존되는 과자로서, 예컨대, 아이스크림류, 빙과, 발효유로 분류되는 냉과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피복 냉과에 있어서는, 냉과는, 아이스크림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피복 냉과에는, 냉과로서 판매되는 것뿐만 아니라, 「냉동 식품」이나 「양생 과자」로서 판매되는 것도 포함된다.
아이스크림류에는, 아이스크림, 아이스밀크 및 락토아이스가 포함된다. 아이스크림류, 아이스크림, 아이스밀크 및 락토아이스는, 「젖 및 유제품의 성분 규격 등에 관한 성령」(1951년 12월 27일 후생성령 제52호, 최종 개정: 2020년 12월 4일 후생노동성령 제194호)에 있어서의 규정에 따른다. 예컨대, 상기 성령에 있어서, 「아이스크림류」란, 젖 또는 이들을 원료로 하여 제조한 식품을 가공하거나 또는 주요 원료로 한 것을 동결시킨 것으로서, 젖 고형분 3.0% 이상을 포함하는 것(발효유를 제외함)을 말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빙과에는, 상기 아이스크림류로 분류되지 않는 냉과, 즉 젖 고형분 3.0% 미만의 냉과가 포함된다. 예컨대, 당액 혹은 이것에 다른 식품을 혼화한 액체를 동결한 것, 또는, 식용 얼음을 분쇄하고, 이것에 당액 혹은 다른 식품을 혼화하여 재동결한 것으로서, 동결형인 채 식용에 제공되는 냉과가 있다. 빙과에는, 셔벗 등이 포함된다.
또한, 발효유로 분류되는 냉과에는, 프로즌 요구르트 등이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의 피복 냉과에 있어서, 냉과는, 하기의 냉과 믹스로 이루어진다.
(냉과 믹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과 믹스에는, 아이스크림류, 빙과 등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냉과 믹스가 포함된다. 냉과 믹스로서는, 예컨대, 아이스크림 믹스, 아이스밀크 믹스, 락토아이스 믹스, 셔벗 믹스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과 믹스는, 젤라틴을 0.39 질량% 이상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0.45 질량% 이상 함유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 질량% 이상 함유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60 질량% 이상 함유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65 질량% 이상 함유한다. 또한, 냉과 믹스 중의 젤라틴 함량의 상한은, 5 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4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9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8 질량%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냉과 믹스 중의 젤라틴 함량이 많을수록 새어나옴 발생의 억제 효과가 높은 경향이 있지만, 먹었을 때의 부드러움, 식감, 쫀득함을 감안하면, 상기한 상한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젤라틴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식용에 알맞은 것이면 좋고, 예컨대, 우골 유래, 우피 유래, 돈피 유래, 또는 물고기 비늘 유래의 젤라틴을 사용할 수 있다.
냉과 믹스 중의 젤라틴 이외의 배합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이스크림류 및 빙과 등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냉과 믹스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아이스크림 믹스, 아이스밀크 믹스, 락토아이스 믹스, 셔벗 믹스로 통상 사용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당질(당류 및 다당류를 포함함), 과즙, 유지, 유제품, 유화제, 안정제, 향료, 착색료, 산미료, pH 조정제, 물(얼음을 포함함), 알코올, 계란(卵), 소금, 및 초콜릿이나 말차 등의 풍미를 띠는 부원료를 들 수 있다. 각 재료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과의 종류 등에 맞춰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냉과 믹스에 포함되는 고형분의 양은, 냉과 믹스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컨대, 15∼70 질량%로 할 수 있다. 여기서, 고형분이란 수분 및 알코올분 이외의 냉과 믹스 중의 성분이지만, 고형분 함량이 높을수록 새어나옴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고형분 함량이 높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이 보다 유용하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과 믹스 중의 전체 고형분 함량은, 2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5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고형분 함량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6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과는, 오버런이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오버런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오버런이란, 냉과 믹스에 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냉과 믹스의 용적 이상이 된 냉과에 있어서의, 냉과 믹스에 대한 공기 함량이며, 다음 식으로 산출되는 수치이다.
오버런(%)=[(냉과 믹스의 질량-냉과 믹스와 같은 용적의 냉과의 질량)/냉과 믹스와 같은 용적의 냉과의 질량]×100
(코팅층)
본 실시형태의 피복 냉과에 있어서, 코팅층이란, 상기 냉과의 외주의 일부 또는 전부를 코팅하는 융점 15℃ 이상의 코팅층을 말한다. 본 발명은, 코팅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새어나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코팅의 범위가 넓은 실시형태일수록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현저히 기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냉과의 외주의 전부 또는 외주 면적의 1/2 이상, 바람직하게는 3/4 이상을 코팅하는 실시형태의 경우에 특히 본 발명은 유용하다. 또한, 새어나옴은, 코팅층의 부착이 얇아지는 경향이 있는 모서리부나 변부에서 발생하기 쉬우므로, 모서리부나 변부를 갖는 실시형태, 예컨대, 사각기둥 등의 각기둥 형상이나 사각뿔 등의 각뿔 형상의 냉과인 경우에 특히 본 발명은 유용하다.
코팅층은, 융점 15℃ 이상의 코팅재로 이루어진다. 코팅재의 융점은, 15℃ 이상 5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 이상 50℃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25℃ 이상 4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코팅재로서는, 상기 융점 이상의 온도로 조절하여 액상이 되는 코팅재라면 사용할 수 있고, 초콜릿 코팅재, 캐러멜 코팅재 등을 들 수 있는데, 초콜릿 코팅재가 바람직하다. 초콜릿 코팅재로는, 카카오 매스를 함유하는 밀크 초콜릿 코팅재나 다크 초콜릿 코팅재, 카카오 매스를 함유하지 않는 화이트 초콜릿 코팅재 등이 포함된다.
코팅재의 배합 성분으로서는, 코팅재의 종류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냉과의 코팅재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식물 유지, 코코아버터, 코코아, 카카오 매스, 코코아 버터 대용 유지, 설탕, 젖 고형분(젖당, 전지분유 등), 캐러멜 파우더, 유화제, 산화방지제, 향료를 들 수 있다. 각 재료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팅재의 종류 등에 맞춰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코팅층의 두께는, 예컨대, 0.2∼3.5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2.0 mm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5∼1.0 mm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피복 냉과의 타입 등)
본 실시형태의 피복 냉과는, 상기 피복 냉과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있는 파지용 막대를 갖는 바 타입의 아이스(소위 아이스 바)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 또는 전부를 쿠키 등으로 샌드한 타입의 아이스, 한입 타입의 아이스, 콘에 담겨진 소용돌이형 소프트크림 타입이나 역원추 형상 타입의 아이스 등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피복 냉과에 있어서, 상기 냉과는, 피복 냉과의 센터를 구성하는, 즉 센터의 전부를 구성하는 실시형태여도 좋고, 상기 냉과 믹스와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 센터를 피복하는 피복층을 구성하는 실시형태여도 좋다.
상기 냉과 믹스와는 상이한 재료로서는, 예컨대, 초콜릿, 캐러멜, 연유, 과즙, 과실, 상기 냉과 믹스와는 상이한 냉과 믹스(예컨대 젤라틴 함량이 0.39 질량% 미만인 냉과 믹스) 등을 들 수 있고, 1종에 한정되지 않고,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좋다.
[피복 냉과의 제조 방법]
실시형태의 피복 냉과의 제조 방법은, 상기 본 실시형태의 피복 냉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젤라틴을 0.39 질량% 이상 함유하는 상기 냉과 믹스를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냉과 믹스로부터 상기 냉과를 얻는 공정과, 상기 냉과의 외주의 일부또는 전부를, 15℃ 이상의 온도로 조절한 액상의 코팅재로 코팅하여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냉과, 냉과 믹스, 젤라틴 및 코팅층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냉과의 보다 구체적인 제조 공정으로서는, 예컨대, 상기 냉과 믹스의 재료를 혼합 및 용해하여 냉과 믹스를 조제하는 공정, 냉과 믹스의 살균 공정, 균질화 공정, 냉각 공정, 에이징 공정, 프리징(freezing) 공정, 몰드 충전 공정, 디몰드 공정을 들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코팅층은, 상기 융점 이상의 온도로 조절한 액상의 코팅재를, 침지, 분무, 도포 등에 의해 냉과에 코팅함으로써 형성되는데, 침지에 의해 코팅하는 경우에 특히 본 발명은 유용하다. 코팅재 온도의 조절 온도는, 15℃ 이상 5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 이상 50℃ 이하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고, 25℃ 이상 4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냉과의 제조>
젤라틴, 탈지분유, 설탕, 식물 유지, 치즈, 덱스트린, 안정제, 유화제 및 물을 표 1에 기재된 배합량(표 안의 값의 단위는 질량%)으로 혼합 및 용해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냉과 믹스를 조제하였다. 각 냉과 믹스에 있어서의 고형분의 함량은, 표 2와 같다(표 안의 값의 단위는 질량%). 또한, 젤라틴은, 쿄쿠토카가쿠산교 가부시키가이샤에서 제조한 유니아가 GL-F를 사용하였다.
조제한 각 냉과 믹스에 대해서, 65℃ 이상으로 가온, 혼합, 85℃에서 15초 이상의 살균을 행하고, 그 후, 호모지나이저에 의한 균질화, 냉각, 에이징, 프리징, 몰드 충전, 디몰드의 순서로 행하여, 도 1에 도시되는 파지용 막대를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갖는 30 mm×30 mm×85 mm의 냉과(아이스 바)를 각각 7개씩 제조하였다.
또한, 각 냉과의 오버런은 40%로 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피복 냉과의 제조>
식물유지, 설탕, 코코아, 카카오 매스, 유화제 및 향료를 표 3의 배합량(표 안의 값의 단위는 질량%)으로써 혼합 및 용해하여 초콜릿 코팅재(융점: 18±2℃)를 조제하였다. 조제한 초콜릿 코팅재를 35℃로 유지하고, 이 초콜릿 코팅재에 제조한 냉과를 침지시켜, 냉과의 외주 전체에 초콜릿 코팅층을 형성하여, -25℃로 냉동시켜 피복 냉과를 얻었다.
Figure pat00003
<새어나옴 발생 억제율 및 새어나옴 발생 개수 억제율의 평가>
-25℃에서 2시간 동안 냉동 보관한 피복 냉과에 대해서, 외관 관찰을 행하여, 새어나옴의 개수를 각 시험품마다 카운트하였다. 새어나옴은, 모두 파지용 막대를 설치한 쪽(즉, 액상 초콜릿 코팅재에 침지했을 때에 먼저 건져낸 상방측)의 모서리부 또는 변부에 발생하고 있었다. 새어나옴 발생 억제율 및 새어나옴 발생 개수 억제율을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카운트 결과 및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새어나옴 발생 억제율)
A: 새어나옴이 발생한 시험품이 7개 중 3개 이하
B: 새어나옴이 발생한 시험품이 7개 중 4개 이상 6개 이하
C: 새어나옴이 발생한 시험품이 7개 중 7개 전부
(새어나옴 발생 개수 억제율(각 예에 있어서 발생 개수가 가장 많은 시험품에 있어서의 개수))
A: 1개당 새어나옴 개수가 3개 미만
B: 1개당 새어나옴 개수가 3개 이상 5개 미만
C: 1개당 새어나옴 개수가 5개 이상
Figure pat00004
표 4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팅되는 냉과의 냉과 믹스 중에 젤라틴을 0.39 질량% 이상 함유시킴으로써, 새어나옴 발생률 및 1개당 새어나옴 발생 개수가 억제된 피복 냉과를 얻을 수 있었다.

Claims (12)

  1. 젤라틴을 0.39 질량% 이상 함유하는 냉과 믹스로 이루어진 냉과와, 상기 냉과의 외주의 일부 또는 전부를 코팅하는 융점 15℃ 이상의 코팅층을 갖는 피복 냉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과 믹스는 상기 젤라틴을 5 질량% 미만 함유하는 피복 냉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과 믹스는 상기 젤라틴을 0.45 질량% 이상 1 질량% 이하 함유하는 피복 냉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과 믹스는 전체 고형분이 30 질량% 이상인 피복 냉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과는 오버런이 100% 이하인 피복 냉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식물 유지를 함유하는 피복 냉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초콜릿 코팅층인 피복 냉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과는 상기 피복 냉과의 센터를 구성하는 피복 냉과.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과는, 상기 냉과 믹스와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 센터를 피복하는 피복층을 구성하는 피복 냉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냉과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있는 파지용 막대를 갖는 피복 냉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복 냉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젤라틴을 0.39 질량% 이상 함유하는 상기 냉과 믹스를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냉과 믹스로부터 상기 냉과를 얻는 공정과,
    상기 냉과의 외주의 일부 또는 전부를, 15℃ 이상의 온도로 조절한 액상의 코팅재로 코팅하여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피복 냉과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의 온도가 15℃ 이상 50℃ 이하인 피복 냉과의 제조 방법.
KR1020230031937A 2022-03-31 2023-03-10 피복 냉과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414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60877A JP7148749B1 (ja) 2022-03-31 2022-03-31 被覆冷菓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22-060877 2022-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480A true KR20230141480A (ko) 2023-10-10

Family

ID=8350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937A KR20230141480A (ko) 2022-03-31 2023-03-10 피복 냉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48749B1 (ko)
KR (1) KR20230141480A (ko)
TW (1) TW20240218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3139A (ja) 2001-07-25 2003-02-04 Sanei Gen Ffi Inc 微細氷入り冷菓
JP2003079319A (ja) 2001-09-12 2003-03-18 Morinaga & Co Ltd 氷菓及びその製造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1672A (ja) * 1996-03-05 1997-09-16 Fuji Oil Co Ltd ハードストック及びハードストック含有可塑性油脂組成物の製造法
JP3656935B2 (ja) * 1997-02-28 2005-06-08 ロッテスノー株式会社 冷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3139A (ja) 2001-07-25 2003-02-04 Sanei Gen Ffi Inc 微細氷入り冷菓
JP2003079319A (ja) 2001-09-12 2003-03-18 Morinaga & Co Ltd 氷菓及びそ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402182A (zh) 2024-01-16
JP7148749B1 (ja) 2022-10-05
JP2023151318A (ja) 202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4497B2 (en) Molded frozen bar
EP2501243B1 (en) Water-based coating for frozen confection
US20030175388A1 (en) Coated ice confection
US20090269452A1 (en) Biscuit extrudable at negative temperature, process of preparation and use in composite ice confectionery products
AU2006286703A1 (en) Emulsions for confectionery applications
KR102546904B1 (ko) 내열성 초콜릿 및 그 제조 방법
US20080241333A1 (en) Foamy coating or topping compositions
US20070031565A1 (en) Aerated frozen confections
TW201507624A (zh) 烘焙油性點心及其製造方法
JP3775788B2 (ja) 2層チョコレート被覆菓子
JP3160334B2 (ja) ガナッシュを用いた菓子の製造法
HU183797B (en) Method for making product with chocolate of high protein content
PL186331B1 (pl) Sposób wytwarzania dwuskładnikowych lodów spożywczych i dwuskładnikowe lody spożywcze
US20080003342A1 (en) Semi-Processed Product for Preparing Deep-Frozen Desserts and Deep-Frozen Desserts Made With Said Semi-Processed Product
KR20230141480A (ko) 피복 냉과 및 그 제조 방법
PH12014501755B1 (en) Baked confection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1942749B1 (en) Chilled dessert product and method for preparing such product
US20200268013A1 (en) Cacao raw material-containing frozen dessert
JP6134488B2 (ja) 粒状ゼリー含有冷菓及び冷凍下で未凍結の粒状ゼリーの弾力性を保持する方法
RU2570566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нфет из сбивной конфетной массы типа нуга
AU709248B2 (en) Coated ice confection
KR20190053003A (ko) 소성 초콜릿 및 그 제조 방법
JP2017029115A (ja) 複合菓子及び複合菓子の製造方法
TWI763371B (zh) 冷凍點心及其製造方法
KR20140027375A (ko) 기포화 구운 식품 제품 및 초콜릿 제품의 제조 및 제형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