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226A -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 - Google Patents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226A
KR20230141226A KR1020220040542A KR20220040542A KR20230141226A KR 20230141226 A KR20230141226 A KR 20230141226A KR 1020220040542 A KR1020220040542 A KR 1020220040542A KR 20220040542 A KR20220040542 A KR 20220040542A KR 20230141226 A KR20230141226 A KR 20230141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lock
rail bracket
side wall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만
이용운
정경철
Original Assignee
(유)삼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삼송 filed Critical (유)삼송
Priority to KR1020220040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1226A/ko
Priority to PCT/KR2022/018241 priority patent/WO2023191232A1/ko
Publication of KR20230141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2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60R22/202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spring-actuated locking means
    • B60R22/203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spring-actuated locking means the locking means being movably mounted on the sl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7Horizontally or transversally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실시예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체에 고정 설치되며, 베이스와 베이스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측벽과 간격부를 사이에 두고 측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측벽에 복수 개 형성된 걸림홀을 구비하는 레일 브라켓; 레일 브라켓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 브라켓에 결합되며, 내측단보다 외측단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슬롯을 구비하는 슬라이더; 슬라이더와 레일 브라켓 사이에 개재되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슬라이더 컵; 슬라이더의 슬롯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관통홀을 구비하는 락 플레이트; 락 플레이트의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단에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락 핀; 락 핀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며, 플랜지부에 의해 락 핀에 고정되는 락 스프링; 및 락 핀 간의 거리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하며, 측벽의 간격부는, 락 플레이트를 걸림홀로 안내하는 챔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 {SEAT BELT HEIGHT ADJUSTER}
실시예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안전 벨트를 착용 시에, 차량의 필러에 고정되는 브래킷의 높이 사용자의 신체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도록 차량에는 차량용 안전 벨트의 브래킷을 위한 높이 조절기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는, 차체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홀(11)이 배치되는 레일 브라켓(10), 레일 브라켓(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 브라켓(10) 내에 설치되며 양 측에 한 쌍의 슬롯(21b)을 구비하는 슬라이더(21) 및 슬라이더(21)의 슬롯(21b)에 결합되며, 걸림홀(11)과의 접촉 시에는 슬라이더(21)의 이동을 구속하고 걸림홀(11)으로부터 이탈시에는 슬라이더(21)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동작하는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록킹 매커니즘은, 슬라이더(21)의 슬롯(21b)에 삽입되며 슬라이더(21)와 락 플레이트(25)의 마찰을 줄여주는 슬라이더 컵(22), 슬라이더컵(22)을 따라 이동하며 걸림홀(11)에 삽입 또는 해제되는 락 플레이트(25), 락 플레이트(25)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락 핀(24), 일 단은 버튼(30)에 고정되며, 타 단은 한 쌍의 락 핀(24)에 고정되는 락 스프링(23), 락 플레이트(25)가 슬라이더 컵(22) 내로 이동하며 걸림홀(11)로부터 이탈하도록 제어하는 버튼(30)을 포함한다.
버튼(30)은 락 핀(24)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버튼(30)은 전방으로 돌출한 레버(32)를 구비하며, 레버(32)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상대 거리가 멀어지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된 한 쌍의 암(31)을 구비한다. 버튼(30)의 중앙에는 버튼(30)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푸쉬 스프링(50)이 설치된다.
또한, 슬라이더(21) 및 록킹 기구와 결합되는 하우징(40)을 구비하며, 하우징(40)은 사용자가 슬라이더(21)를 상, 하방으로 조절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손잡이(41)를 구비한다. 또한, 하우징(40)은 버튼(30)의 레버(32)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홀(42)과, 락 스프링(23)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43)도 구비한다. 락 스프링(23)의 중앙부는 하우징(40)의 고정홀(43)에 고정되고, 양 단부는 각각 한 쌍의 락 핀(24)에 결합된다.
그런데, 락 플레이트(25)가 레일 브라켓(10)의 걸림홀(11)에 삽입되어 정상적인 락킹이 이루어지지 않고, 걸림홀(11) 사이에서 비정상적으로 정지하여 높이 조절을 멈추었을 때나, 차량의 운행 또는 충돌로 발생한 흔들림으로 인해, 락 플레이트(25)가 관성에 의해 걸림홀(11)에서 이탈하였을 때와 같이 비정상적인 위치에서 락 플레이트(25)가 위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의 사고 또는 충돌 발생 시에 락 플레이트(25)는 바로 아래측에 위치한 걸림홈(11)으로 내려가 다시 락킹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관성에 의해 슬라이더(21)가 빠르게 레일 브라켓(10)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승객에게 적절한 구속력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승객의 체형에 따라 안전벨트의 웨빙이 승객의 목에 쓸리거나 상해를 가할 수 있는 등 정상적인 안전벨트의 착용 상태가 아닐 경우 충격에 의해 완벽히 보호될 수 없다.
따라서, 레일 브라켓에서 비정상적인 위치에 정지한 슬라이더를 정상적인 락킹 위치로 안내할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10-2215942호
실시예는 락 플레이트가 레일 브라켓의 걸림홀에 삽입되지 않는 위치에서 슬라이더가 정지한 경우 차량의 충격에 의해 슬라이더가 빠르게 레일 브라켓을 따라 미끄러질 때, 락 플레이트가 최 근접 위치의 결합홀에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구조를 구비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체에 고정 설치되며, 베이스와 베이스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측벽과 간격부를 사이에 두고 측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측벽에 복수 개 형성된 걸림홀을 구비하는 레일 브라켓; 레일 브라켓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 브라켓에 결합되며, 양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슬롯을 구비하는 슬라이더; 슬라이더와 레일 브라켓 사이에 개재되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슬라이더 컵; 슬라이더의 슬롯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관통홀을 구비하는 락 플레이트; 락 플레이트의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단에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락 핀; 락 핀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며, 플랜지부에 의해 락 핀에 고정되는 락 스프링; 및 락 핀 간의 거리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하며, 측벽의 간격부는, 락 플레이트를 걸림홀로 안내하는 챔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 챔퍼는 하측에 위치한 걸림홀로 락 플레이트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측벽이 얇아지며 측벽 내측면이 경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 슬라이더, 슬라이더 컵, 락 플레이트, 락 핀 및 락 스프링이 고정되며, 레일 브라켓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하우징과 레일 브라켓은 서로 걸림되어 하우징의 상방 이동 가능 위치를 제한하는 이동제한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는, 레일 브라켓의 결합홀 사이의 간격부에 챔퍼 구조를 구비하여, 락 플레이트가 결합홀 사이에 제대로 삽입되지 않은 경우 슬라이더가 미끌어질 때 바로 하단의 결합홀로 락 플레이트가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정상 위치에서 정지하지 못한 슬라이더가 관성 등에 의해 빠르게 레일 브라켓을 따라 미끄러질 때 곧바로 락 플레이트를 결합홀과 결합시켜 슬라이더를 정지시켜 승객에게 적절한 구속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의 락킹 메커니즘이 간격부에서 정지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의 레일 브라켓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의 레일 브라켓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의 하우징 이탈 방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의 하우징 이탈 방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는, 차체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홀(122)이 배치되는 레일 브라켓(100), 레일 브라켓(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 브라켓(100) 내에 설치되며 양 측에 한 쌍의 슬롯(212)을 구비하는 슬라이더(210) 및 슬라이더(210)의 슬롯(212)에 결합되며, 걸림홀(122)과의 접촉 시에는 슬라이더(210)의 이동을 구속하고 걸림홀(122)으로부터 이탈시에는 슬라이더(210)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동작하는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록킹 매커니즘은, 슬라이더(210)와 레일 브라켓(100)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더 컵(220), 슬라이더 컵(220)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락 플레이트(250), 각 락 플레이트(250)에 삽입되는 한 쌍의 락 핀(240), 락 핀(24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락 스프링(230)을 포함한다.
슬라이더 컵(220)은 슬라이더(210)의 하면과 맞닿는 플레이트 형태이다. 슬라이더(210)나 레일 브라켓(100), 락 플레이트(250) 등은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제조된다. 따라서 락 플레이트(250)가 슬라이더(210)의 슬롯(212)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마찰이 발생하며, 윤활이 필요하다. 그러나 슬라이더 컵(220)은 강성과 무관하여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락 플레이트(250)의 이동 시 마찰을 줄여준다.
또한 슬라이더(210)의 슬롯(212)에 삽입되며 슬롯(212)을 따라 이동하며 걸림홀(122)에 삽입 또는 해제되는 락 플레이트(250), 락 플레이트(25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락 핀(240), 일 단은 버튼(300)에 고정되며, 타 단은 한 쌍의 락 핀(240)에 고정되는 락스프링(230), 락 플레이트(250)가 슬라이더 컵(220) 내로 이동하며 걸림홀(122)로부터 이탈하도록 제어하는 버튼(300)을 포함한다.
락 핀(240)은 상단에 플랜지부(미도시)를 구비하며, 락 스프링(230)은 플랜지부(미도시)의 하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락 핀(240)의 플랜지부(미도시)가 락 스프링(230)이 상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버튼(300)은 락 핀(240)의 상대적인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버튼(300)은 전방으로 돌출한 레버(320)를 구비하며, 레버(320)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상대 거리가 멀어지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된 한 쌍의 암(310)을 구비한다. 버튼(300)의 중앙에는 버튼(300)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푸쉬 스프링(500)이 설치된다.
또한, 슬라이더(210) 및 록킹 기구와 결합되는 하우징(400)을 구비하며, 하우징(400)은 사용자가 슬라이더(210)를 상, 하방으로 조절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손잡이(410)를 구비한다. 또한, 하우징(400)은 버튼(300)의 레버(320)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홀(420)과, 락 스프링(23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430)도 구비한다. 락 스프링(230)의 중앙부는 하우징(400)의 고정홀(430)에 고정되고, 양 단부는 각각 한 쌍의 락 핀(24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의 버튼(30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그에 따라 버튼(300)이 구비한 암(310)에 의해 한 쌍의 락 핀(24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 즉 각 락 핀(240)이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락 핀(240)이 결합된 락 플레이트(250)도 슬라이더 컵(220)의 가이드 리브(224)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락 플레이트(250)와 레일 브라켓(100)의 결합홈(110) 간의 결합이 해제되며, 슬라이더(210)는 레일 브라켓(100) 내에서 상, 하 이동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원하는 높이에서 버튼(300)의 레버(320)를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버튼(300)이 푸쉬 스프링(500)에 의해 상방으로 밀려난다. 그에 따라 락 핀(240)과 접하는 암(31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며, 락 핀(240) 역시 락 스프링(230)에 의해 서로 간격이 멀어지게 된다. 그에 따라, 락 플레이트(250)도 바깥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락 플레이트(250)가 레일 브라켓(100)의 걸림홀(122)에 삽입된다.
레일 브라켓(100)은 단면이 전체적으로 C형상으로,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측벽(120), 레일 브라켓(100)을 따라 이동하는 락킹 메커니즘이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절곡부(130)를 포함한다. 절곡부(130)는 측벽(120)의 전단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측벽(120)에는 락 플레이트(250)가 삽입되는 걸림홀(122)이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된다. 즉 측벽(120)의 소정 구간에서 걸림홀(122)과 간격부(124)가 번갈아 복수 개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의 락킹 메커니즘이 간격부에서 정지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락 플레이트(250)가 레일 브라켓(100)이 걸림홀(122) 사이의 간격부(124)에 위치할 때 버튼(300)에서 손을 떼면, 락 플레이트(250)는 걸림홀(122)로 삽입되지 못한 채 마찰력에 의해 간격부(124)에 정지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간격부(124)에 정지한 슬라이더(250)가 차량의 충돌 또는 충격에 의해 발생한 관성력에 의해 빠르게 하강할 때, 슬라이더(250)의 이동 거리가 길어지지 않도록 락 플레이트(250)를 정지한 간격부(124)의 바로 다음 걸림홀(122)로 안내해주는 구조가 필요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의 레일 브라켓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의 레일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의 레일 브라켓(100)은, 간격부(124)에 락 플레이트를 걸림홀(122)로 안내하는 챔퍼(124a) 구조를 구비한다. 보통 시트벨트에 하중이 가해지거나,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자중에 의해 슬라이더를 비롯한 부품들이 레일 브라켓(100)을 따라 하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챔퍼(124a)는 각 간격부(124)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간격부(124)에 정지하던 락 플레이트는 챔퍼(124a)에 의해 바로 아랫 단에 위치한 걸림홀(122)로 삽입된다.
챔퍼(124a)는 간격부(124)의 두께를 줄여 만든 것으로 측벽의 외면은 그대로 두고, 측벽의 내측면에 경사를 만든 것이다. 이때, 챔퍼(124a)는 간격부(124)의 두께가 하방으로 갈수록 점점 얇아져서, 자연스럽게 락 플레이트가 걸림홀(122)로 안내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의 하우징 이탈 방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의 하우징 이탈 방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는, 레일 브라켓(100)에 하우징(4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한다.
레일 브라켓(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10), 측벽(120), 절곡부(130)를 구비하는데, 레일 브라켓(100)의 최 상단부는 측벽(120)에 절곡부가 형성되지 않고 전방을 향해 연장된 이탈 방지부(140)를 구비한다. 이탈방지부(140)가 전방으로 돌출된 높이는, 절곡부(130)의 높이보다 높다. 이때, 하우징(400) 또한 이탈 방지용 리브(440)를 구비한다. 이탈 방지용 리브(440)는 하우징(400)의 손잡이(410) 후면에서 후방을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 이탈 방지용 리브(440)는 절곡부(130) 전면을 따라 슬라이딩할 때는 이탈 방지용 리브(440)를 구속하거나 간섭하는 상대물이 없으며, 하우징(400)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레일 브라켓(100)의 이탈방지부(140)와 맞닿을 때 하우징(400)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때, 절곡부(130)는 측벽으로부터 절곡되고, 이탈 방지부(140)는 절곡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절곡부(130)의 절곡을 용이하게 위해 절곡부(130)와 이탈 방지부(140) 사이에는 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100:레일 브라켓 110: 베이스
120: 측벽 122: 걸림홀
124: 간격부 124a: 챔퍼
130: 절곡부 132: 홈
140: 이탈 방지부 210: 슬라이더
212: 슬롯 220: 슬라이더 컵
230: 락 스프링 240:락 핀
250: 락 플레이트 300: 버튼
400: 하우징 410: 손잡이
420: 홀 430: 고정홀
440: 이탈 방지 리브 500: 푸쉬 스프링

Claims (3)

  1. 차체에 고정 설치되며, 베이스와 베이스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측벽과 간격부를 사이에 두고 측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측벽에 복수 개 형성된 걸림홀을 구비하는 레일 브라켓;
    레일 브라켓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 브라켓에 결합되며, 양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슬롯을 구비하는 슬라이더;
    슬라이더와 레일 브라켓 사이에 개재되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슬라이더 컵;
    슬라이더의 슬롯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관통홀을 구비하는 락 플레이트;
    락 플레이트의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단에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락 핀;
    락 핀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며, 플랜지부에 의해 락 핀에 고정되는 락 스프링; 및
    락 핀 간의 거리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하며,
    측벽은, 락 플레이트를 걸림홀로 안내하는 챔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
  2. 제1항에 있어서,
    챔퍼는, 하측에 위치한 걸림홀로 락 플레이트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측벽이 얇아지며 측벽 내측면이 경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
  3.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더, 슬라이더 컵, 락 플레이트, 락 핀 및 락 스프링이 고정되며, 레일 브라켓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하우징과 레일 브라켓은 서로 걸림되어 하우징의 상방 이동 가능 위치를 제한하는 이동제한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
KR1020220040542A 2022-03-31 2022-03-31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 KR202301412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542A KR20230141226A (ko) 2022-03-31 2022-03-31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
PCT/KR2022/018241 WO2023191232A1 (ko) 2022-03-31 2022-11-17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542A KR20230141226A (ko) 2022-03-31 2022-03-31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226A true KR20230141226A (ko) 2023-10-10

Family

ID=88203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542A KR20230141226A (ko) 2022-03-31 2022-03-31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1226A (ko)
WO (1) WO202319123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942B1 (ko) 2019-05-22 2021-02-16 (유)삼송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411B1 (ko) * 1989-09-11 1991-10-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중앙처리장치의 메모리 확장장치
KR100736463B1 (ko) * 2006-08-08 2007-07-09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시트벨트 위치 조절장치
WO2015119014A1 (ja) * 2014-02-06 2015-08-1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ハイトアジャスタ装置、ハイトアジャスタ装置を含んだシートベルト装置、およびハイトアジャスタ装置の製造方法
KR102093797B1 (ko) * 2018-06-15 2020-03-26 (유)삼송 시트벨트 가이드 루프 높이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942B1 (ko) 2019-05-22 2021-02-16 (유)삼송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232A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7572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8657380B2 (en) Seat assembly having a moveable headrest assembly
JP2018095152A (ja) スライドレール支持構造体
JP2003252086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11414045B2 (en) Anchor position adjustment device
KR20230141226A (ko)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
JP6982507B2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KR102093797B1 (ko) 시트벨트 가이드 루프 높이 조절 장치
JP2019209698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10036609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2215942B1 (ko)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
JP6176715B2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736463B1 (ko) 시트벨트 위치 조절장치
US6385823B1 (en) Buckle with noise prevention mechanism
JP6466095B2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US6427297B1 (en) Buckle with smooth tongue insertion mechanism
JP5944786B2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KR102118015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웨빙가이드
EP1374714B1 (en) Safety belt buckle
KR102350615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KR20210067580A (ko)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EP4344942A1 (en) Seat rail locking device for vehicle
JP2021187245A (ja) スライドレール
GB2348402A (en) Adjustable guide means for a vehicle safety belt
JP6993888B2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