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004A -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004A
KR20230141004A KR1020220040000A KR20220040000A KR20230141004A KR 20230141004 A KR20230141004 A KR 20230141004A KR 1020220040000 A KR1020220040000 A KR 1020220040000A KR 20220040000 A KR20220040000 A KR 20220040000A KR 20230141004 A KR20230141004 A KR 20230141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s block
urethane resin
layer
resin laye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구
Original Assignee
이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구 filed Critical 이동구
Priority to KR1020220040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1004A/ko
Publication of KR20230141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5Membranes impermeable
    • E02D2450/106Membranes impermeable for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8Membranes multi-lay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 주차장의 바닥면에 발생되는 균열과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은 바닥구체콘크리트층(100)의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S1)와, 정리된 바닥구체콘크리트층의 표면에 EPS 블록 배수판(200)을 배열하는 단계(S2)와, 배열된 EPS 블록 배수판들끼리 결속시키는 단계(S3)와, 배열된 EPS 블록 배수판의 상부에 와어어 와어어 메쉬층(400)을 형성시키는 단계(S4)와, 메쉬층의 상부에 우레탄수지층(500)을 형성시키는 단계(S5)와, 우레탄수지층의 상부에 탑코팅층(600)을 형성시키는 단계(S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Floor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parking lot using EPS block drainage plate and urethane resin layer}
본 발명은 지하 주차장의 바닥면에 발생되는 균열과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 또는 건축물을 신축하게 되면 지하구조물의 시공이 필수로 수반된다.
대부분 이러한 지하구조물은 지상 건축물의 연면적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하여 지하 주차장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차량의 하중에 대하여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바닥면을 견고하게 시공하게 된다.
아울러, 지하수에 대한 내압이 낮아져 주위로부터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지하주차장은 바닥 시공시 적절한 배수 및 방수처리가 수반되어야 한다.
대표적인 지하 주차장의 바닥 방수 시공방법으로 배수판을 이용하는 공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수판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수판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먼저, 굴토된 지층(2) 위에 잔토,자갈 또는 버럭 등으로 굴토마감면(3)을 평탄하게 형성하고, 그 위에 몰탈을 타설하여 버림콘크리트층(4)을 소정의 높이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버림콘크리트층(4)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구체콘크리트층(5)을 소정의 높이로 형성하되, 상기 바닥구체콘크리트층(5)은 상기 바닥구체콘크리트층(5)에서 토출된 지하수가 집수정(8)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배를 주어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구체콘크리트층(5) 위에 배수판(6)을 설치한 후 상기 배수판(6) 위에 몰탈을 타설하여 누름콘크리트층(7)을 10c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여 시공을 완료한다.
이러한 종래의 배수판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은 배수판(6) 하부로 토출되는 지하수가 상기 배수판(6)의 하부면에 가득 채워지더라도 상기 배수판(6)에 형성된 공기층에 의해 보온 및 단열이 되기 때문에 상기 배수판(6)의 상부에 타설된 누름콘크리트층(7)에 결로, 습기 또는 누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효과가 인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판을 이용한 지하층 바닥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하여 바닥구체콘크리트층(4)과 배수판(6) 사이가 들뜨면서 누름콘크리트층(7) 상부로 차량이 이동할 때 소음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둘째, 누름콘크리트층(7)의 표면박리 및 들뜸으로 인한 잦은 민원과 하자보수 비용 부담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누름콘크리트층(7)의 변형방지를 위해 누름콘크리트층(7) 표면에 시공된 줄눈을 시공하는 경우, 줄눈을 중심으로 심화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배수판(6) 하부로 침투수가 유입되면서 지하 주차장의 바닥의 온도가 내려가게 되는데, 이때 외부에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지하 주차장 바닥의 온도가 노점온도 이하게 되면서 결로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넷째, 지하층 바닥의 기둥 주위에 배치된 배수판(6)을 통해 기둥으로 물이 스며들어 기둥에 도포한 페인트가 벗겨지는 하자가 발생되기 때문에 이를 막고자 기둥 주위로부터 20 내지 30cm 정도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수판(6)을 배열하고는 있으나, 이 경우 상기 배수판(6) 위에 타설되는 몰탈이 배수판(6)의 하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기둥 주위와 배수판(6) 사이를 비닐과 테이프로 철저히 보양해 주어야 하므로 작업량과 시간이 크게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64308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결로 발생이 완벽하게 차단되고 누름콘크리트층의 손상으로 인한 하자 발생이 방지되며 바닥구체콘크리트층과 배수판 사이가 들뜨지 않게 되고 작업량과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은 바닥구체콘크리트층의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와, 정리된 바닥구체콘크리트층의 표면에 EPS 블록 배수판을 배열하는 단계와, 배열된 EPS 블록 배수판들끼리 결속시키는 단계와, 결속된 EPS 블록 배수판의 상부에 와어어 메쉬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메쉬층의 상부에 우레탄수지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우레탄수지층의 상부에 탑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닥구체콘크리트층의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는 연마장비를 이용하여 바닥구체콘크리트층의 표면을 평탄화시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열된 EPS 블록 배수판을 결속시키는 단계는 각 EPS 블록 배수판의 연결부위를 테이핑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열된 EPS 블록 배수판을 결속시키는 단계는 각 EPS 블록 배수판의 연결부위에 결합된 연결핀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결속된 EPS 블록 배수판의 상부에 메쉬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EPS 블록 배수판의 상부에 레벨표시봉을 수직으로 끼우는 단계를 더 거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은 바닥구체콘크리트층의 표면에 EPS 블록 배수판을 깔고 EPS 블록 배수판의 상부에 와어어 메쉬층을 형성시킨 다음 메쉬층의 상부에 우레탄수지층을 형성시키고 우레탄수지층의 상부에 탑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달리 누름콘크리트층을 시공하지 않기 때문에 누름콘크리트층 시공에 소요되는 기간, 비용 및 인원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EPS 블록 배수판을 기둥에 밀착시켜도 되므로 EPS 블록 배수판의 배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누름콘크리층의 균열 및 이로 인한 차량 이동시 발생되는 소음 등으로 인한 하자 발생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우레탄수지층이 누름콘크리트층에 비하여 대폭 얇은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바닥 평활도가 우수해지며, 흡음성과 쿠션성이 우수하므로 차량 이동시 소음 및 진동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EPS 블록 배수판과 우레탄수지층이 단열재 및 방수재 역할을 하게 되므로 지하 침투수에 대한 별도의 방수작업이 요구되지 아니하며 주차장 바닥의 온도가 크게 저하되지 않아 고온 다습한 외부공기 유입에 따른 결로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수판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EPS 블록 배수판의 사시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지하 주차장은 지하구조물의 바닥도 포함하는 개념이며, 건물의 옥상으로도 확장 적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EPS 블록 배수판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은 바닥구체콘크리트층 표면 정리 단계(S1)와, EPS 블록 배수판 배열 단계(S2)와, EPS 블록 배수판 결속 단계(S3)와, 와어어 와어어 메쉬층 형성 단계(S4)와, 우레탄수지층 형성 단계(S5)와, 탑코팅층 형성 단계(S6)를 포함한다.
<바닥구체콘크리트층 표면 정리 단계>
바닥구체콘크리트층(100)의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S1)는 바닥구체콘크리트층(100)의 표면에 휨, 단차, 들뜸, 레이턴스, 취약부 및 현저한 돌기물이 존재하지 않도록 바닥구체콘크리트층(100)의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과정으로서, 바닥구체콘크리트층(100)의 표면의 오물 먼지 등을 제거한 후에 연마장비(Finisher)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하도록 한다.
단, 배수에 지장이 없도록 집수정 쪽으로 0.1% 이상의 구배를 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닥구체콘크리트층(100)은 충분히 건조된 상태이어야 하며 누수가 있는 부분은 방수처리를 한다.
<EPS 블록 배수판 배열 단계>
바닥구체콘크리트층(100)의 표면이 정리되면, 정리된 바닥구체콘크리트층(100)의 표면에 EPS 블록 배수판(200)들을 배열한다.
작업의 효율을 높일수 있도록 작업자들은 EPS 블록 배수판(200)들을 일정 수량 단위로 소운반하여 바닥구체콘크리트층(100)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분산 배열한 다음, 분산 배열된 EPS 블록 배수판(200)들을 주변으로 확장배열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EPS 블록 배수판(200)을 기둥(A) 주위나 벽체 끝부부에 일정간격을 띄우지 않고 밀착되게 배열하도록 한다.
상기 EPS 블록 배수판(200)은 단열성, 시공성, 차음성, 배수성이 뛰어난 EPS(Expanded Poly Styrol) 소재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EPS 소재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하나로서 가볍고 맛과 냄새가 없어 생활용품, 장난감, 전기절연체, 전자제품의 케이스 및 포장재로 널리 이용되며 발포와 성형을 거쳐 초경량성, 환경친화성, 내수성, 내압축성, 자립성 및 경제성 등을 극대화시킨 비드법보온판 1종 또는 2종이 적용될 수 있다.(국토교통부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설계기준"의 단열재 등급분류에 따름)
이와 같은 EPS 블록 배수판(200)은 칼, 톱, 전열성 등으로 원하는 대로 자를 수 있고 접착제 또는 못으로 부착, 고정하기 용이하여 시공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며, 독립 밀폐기포로 형성된 구조적 특성상 습기의 통과는 물론 장시간 물 속에 넣어도 흡수량이 극히 적고, 변질될 우려도 매우 적다.
상기 EPS 블록 배수판(200)은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닥구체콘크리트층(100)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부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돌출부(210)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하부의 중앙에도 돌출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EPS 블록 배수판(200)은 보온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지하 주차장 바닥의 단열성 및 보온성을 향상시켜 결로현상을 막아주게 된다.
<EPS 블록 배수판 결속 단계>
EPS 블록 배수판(200)의 배열이 완료되면, 배열된 EPS 블록 배수판(200)들끼리 결속시켜 이후에 시공할 우레탄수지가 EPS 블록 배수판(200) 사이로 유출되지 않도록 마감한다.
이 경우, 상기 EPS 블록 배수판(200)들의 결속은 각 EPS 블록 배수판(200)의 연결부위를 테이프(300)를 이용하여 결속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EPS 블록 배수판(200)들의 결속은 각 EPS 블록 배수판(200)의 연결부위에 결합된 연결핀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EPS 블록 배수판(200)의 상부에는 연결핀을 고정시킬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된다.
<와어어 와어어 메쉬층 형성 단계>
EPS 블록 배수판(200)들끼리 결속이 완료되면, 결속된 EPS 블록 배수판(200)의 상부에 미리 준비된 와어어 와어어 메쉬를 깔아 와어어 메쉬층(400)을 형성시킨다.
한편, 와어어 메쉬층(400)을 형성시킨 이후에, 상기 EPS 블록 배수판(200)의 상부에 레벨표시봉(220)을 수직으로 끼우는 단계를 더 거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EPS 블록 배수판(200)의 상부에는 레벨표시봉(220)을 고정시킬 수 있는 홈부(230)가 형성된다.
<우레탄수지층 형성 단계>
와어어 메쉬층(400)이 형성되면, 와어어 메쉬층(400)의 상부에 우레탄수지를 타설하여 10 내지 15mm 정도의 두께를 가진 우레탄수지층(500)을 형성시킨다.
작업자는 프라이어를 먼저 도포하여 충분히 건조시킨 다음, 전동교반기를 사용하여 우레탄수지를 고르게 1차 타설하고, 보행이 가능할 정도로 건조가 이루어지면 목표로 하는 높이까지 2차 타설한 후 건조시키는 방식으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작업자는 레벨표시봉(220)에 표시된 타설높이를 주시하면서 우레탄수지를 타설하게 되며, 그 결과 우레탄수지층(500)의 두께를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벨표시봉(220)은 우레탄수지의 타설이 완료되면 제거한다.
따라서, 많은 장비와 인력이 요구되지 않으면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우레탄수지와 이종재료로 이루어진 상기 와어어 메쉬층(400)은 우레탄수지층(500)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은 우레탄수지는 수경화성 도막방수재로서, 액상조성물과 무기분체분말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상조성물과 무기분체분말을 적정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액상조성물과 무기분체분말을 혼합한 주제에 경화제를 적정 중량비로 혼합하며 제조한다.
상기 우레탄수지는 경화제로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며 자극적인 냄새도 없어 친환경적이다.
또한, 상기 우레탄수지는 경화제로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습기가 많은 지역에서 시공이 가능하며 내구성, 내후성, 내한성, 내약품성이 매우 높다.
<탑코팅층 형성 단계>
우레탄수지층(500)의 건조가 완료되면, 롤러나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우레탄수지층(500)의 상부에 탑코팅층(600)을 형성시켜 시공을 완료한다.
탑코팅층(600)은 우레탄수지층(500)을 보호해 주며 에폭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EPS 블록 배수판(200) 및 우레탄수지층(500)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지하 주차장의 바닥을 시공하게 되면, 누름콘크리트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누름콘크리층의 온도변화에 의한 수축팽창 또는 수화열로 인한 균열과 차량 이동시 발생되는 소음 등으로 인한 하자 발생 문제가 일거에 해결되며, 누름콘크리트층의 시공으로 인하여 필수적으로 거쳐야 했던 하절기 3주, 동절기 4주 이상의 양생기간을 우레탄수지층(500) 및 탑코팅층(600) 건조에 필요한 2 내지 3일로 대폭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누름콘크리트층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 및 인원도 절감할 수 있게 되며, 줄눈 형성과 같은 후속 작업도 요구되지 않게 되고, 우레탄수지층(500)이 10cm 두께의 누름콘크리트층에 비하여 10 내지 15mm 정도의 대폭 얇은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바닥 평활도가 우수해진다.
또한, 우레탄수지층(500)의 특성상 흡음성과 쿠션성이 우수하므로 차량 이동시 소음 및 진동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EPS 블록 배수판(200)과 우레탄수지층(500)이 단열재 및 방수재 역할을 하게 되므로 지하 침투수에 대한 별도의 방수작업이 요구되지 아니하며 주차장 바닥의 온도가 크게 저하되지 않게 되므로 고온 다습한 외부공기 유입에 따른 결로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바닥구체콘크리트층 200...EPS 블록 배수판
210...돌출부 220...레벨표시봉
230...홈부 300...테이프
400...와어어 메쉬층 500...우레탄수지층
600...탑코팅층

Claims (5)

  1. 바닥구체콘크리트층의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
    정리된 바닥구체콘크리트층의 표면에 EPS 블록 배수판을 배열하는 단계;
    배열된 EPS 블록 배수판들끼리 결속시키는 단계;
    결속된 EPS 블록 배수판의 상부에 와어어 와어어 메쉬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메쉬층의 상부에 우레탄수지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우레탄수지층의 상부에 탑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구체콘크리트층의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는
    연마장비를 이용하여 바닥구체콘크리트층의 표면을 평탄화시켜 이루어지도록 한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된 EPS 블록 배수판을 결속시키는 단계는
    각 EPS 블록 배수판의 연결부위를 테이핑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된 EPS 블록 배수판을 결속시키는 단계는
    각 EPS 블록 배수판의 연결부위에 결합된 연결핀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된 EPS 블록 배수판의 상부에 메쉬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EPS 블록 배수판의 상부에 레벨표시봉을 수직으로 끼우는 단계를 더 거치도록 한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
KR1020220040000A 2022-03-31 2022-03-31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 KR202301410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000A KR20230141004A (ko) 2022-03-31 2022-03-31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000A KR20230141004A (ko) 2022-03-31 2022-03-31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004A true KR20230141004A (ko) 2023-10-10

Family

ID=88292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000A KR20230141004A (ko) 2022-03-31 2022-03-31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100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089B1 (ko) 2005-03-09 2006-11-10 엄기형 결로방지용 배수판을 이용한 지하층 바닥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089B1 (ko) 2005-03-09 2006-11-10 엄기형 결로방지용 배수판을 이용한 지하층 바닥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7752B1 (en) Composite cement panel
JP5576207B2 (ja) 据付け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368711B1 (ko) 건물 위 옥상에서 단열, 방수 및 방근을 동시에 해결하는 방수, 방근공법
CN109057412B (zh) 聚氨酯卫浴底盘及其生产方法
CN108797903B (zh) 屋面防水结构及其施工工艺
CN113931384A (zh) 一种钢结构泄压屋面施工方法
KR20120097091A (ko) 옥상 바닥의 누수 방지용 배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06829513U (zh) 一种屋面防水结构
KR20230141004A (ko) Eps 블록 배수판 및 우레탄수지층을 이용한 지하 주차장의 바닥 시공방법
KR100330989B1 (ko) 옥상방수의 하자보수를 위한 패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55222Y1 (ko)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물
CN104929322A (zh) 屋面刚性防水层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752214B1 (ko) 침투식 액체 방수제, 아스팔트 및 보강그리드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CN107119858B (zh) 一种屋面防水结构及其施工工艺
CN114876075A (zh) 一种车库顶板防渗水施工方法
CN112922030A (zh) 底板预铺防水卷材搭接边的施工方法及底板侧模支撑结构
KR100542380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230141005A (ko) 공동주택 발코니의 반건식 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JP7400174B2 (ja) 構造物の防水工法
JP2724017B2 (ja) 防水層保護床材
CN104805966B (zh) 屋面防水的施工方法
CN109736425A (zh) 一种预制混凝土压顶结构及其制作方法
TW305906B (en) Construction method of roofs having characteristics of weather resistance
RU59663U1 (ru) Кровля для здания с плоской крышей
CN210315683U (zh) 一种地下室底板止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