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848A - 음향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 - Google Patents

음향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848A
KR20230140848A KR1020220039611A KR20220039611A KR20230140848A KR 20230140848 A KR20230140848 A KR 20230140848A KR 1020220039611 A KR1020220039611 A KR 1020220039611A KR 20220039611 A KR20220039611 A KR 20220039611A KR 20230140848 A KR20230140848 A KR 20230140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acoustic cable
acoustic
lay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석
양훈철
고현진
박경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9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0848A/ko
Priority to PCT/KR2022/005047 priority patent/WO2023191164A1/ko
Publication of KR20230140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84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09Details relating to the conductive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12Arrangements for exhibiting specific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reducing conductor losses when carrying alternating current, e.g. due to skin effect

Landscapes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체 구조를 변형하여, 저항 및 주파수 사이에서 발생하는 표피효과의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음향 신호 전송 효과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케이블은, 도체를 굵은 소선경에 의한 중심 도체층과 얇은 소선에 의한 주변 도체층으로 형성함으로써, 저주파 영역에서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굵은 소선경에 의해 형성된 중심 도체층에 의해 저주파 영역에서의 도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외곽층에 얇은 소선으로 형성된 집합도체가 배치됨으로써, 유연성을 높인 동시에 표피 효과를 억제할 수 있어, 신호 전송 효과를 극대화시킴은 물론 음질도 향상시킬 수 있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향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CONDUCTOR FOR ACOUSTIC CABLE AND ACOUSTIC CABLE INCLUDING THEREOF}
본 발명은 음향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체 구조를 변형하여, 저항 및 주파수 사이에서 발생하는 표피효과의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음향 신호 전송 효과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 케이블(Speaker cable)은, 오디오 앰프 등의 음향 기기와 스피커를 연결하는 케이블로, 다소 복잡한 구조의 인터커넥터 케이블(Interconnector cable)과는 달리 그 구조가 단순한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 케이블은 도체의 작은 소선경의 집합 혹은 집복합 구조로 제작된다. 스피커 케이블을 구성하는 도체는 작은 소선경으로 인해 낮은 주파수 영역에서 표피 효과를 발생시키고, 신호 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피커 케이블을 구성하는 도체는, 산소 함량이 낮은 무산소동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작은 소선경의 도체는 제조 공정 상, 신선과 집합시 발생하는 가공경화에 의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고온의 파이프 내를 통과시키는 공정 어닐링(Process annealing)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공정 어닐링은 도체 생산속도 상 노출되는 시간이 짧은 관계로, 어닐링의 3단계 즉, 회복, 재결정, 및 결정립 성장 중 회복, 재결정이 일어나는 재료의 연화 수준에 불과하다.
음향용 제품의 음질은 결정립의 사이즈가 영향을 미치는데, 결정립 사이즈가 클수록 신호 전송에 유리하다. 하지만, 기존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되는 도체는 결정립 사이즈에 변화를 줄 수 없으므로, 음질 향상에 한계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7316호(2006. 09. 18. 등록)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표피 효과를 저감시키는 도체 구조 및 포스트 어닐링 열처리를 적용함으로써, 신호 전송 효과를 극대화시킴은 물론 음질도 향상시킬 수 있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음향케이블용 도체로서, 상기 도체는, 1개 이상의 복수의 도체선이 꼬여서 형성되는 중심 도체층; 및 복수의 소선이 꼬여서 집합도체를 형성하고, 상기 집합도체 복수 개가 꼬여서 복합도체를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중심 도체층을 둘러싸는 주변 도체층을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심 도체층은, 1개 내지 7개의 도체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체는, 30㎛ 내지 150㎛의 평균 결정립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체는,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분석 시, (111) 결정방위에서 가장 큰 피크값(Intensity)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체는, 상기 중심 도체층에 상기 주변 도체층을 연합한 후 진공 열처리로에서 500℃내지 650℃의 범위에서 포스트 어닐링(post annealing)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스트 어닐링은,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체는, 10㎛ 내지 20㎛의 평균 결정립 크기를 갖는 무산소동을 상기 포스트 어닐링을 통해 30㎛ 내지 150㎛의 평균 결정립 크기로 성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체선은, 0.5㎟ 내지 4.0㎟의 공칭 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선은, 0.41㎜ 이하의 Class 5의 선재 또는 0.21㎜ 이하의 Class 6 선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심 도체층의 복수의 도체선의 꼬임 피치는, 상기 중심 도체층의 층심경의 10배 내지 20배이고, 상기 집합 도체의 복수의 소선의 꼬임 피치는, 상기 집합 도체 외경의 10배 내지 20배이며, 상기 복합 도체의 꼬임 피치는, 상기 복합 도체 외경의 10배 내지 2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도체; 상기 도체를 감싸는 반도전층; 및 상기 반도전층을 감싸는 시스층;을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향 케이블은, 스피커용, 파워코드용, 인터커넥터용 및 스피커 점퍼 케이블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체를 굵은 소선경에 의한 중심 도체층과 얇은 소선에 의한 주변 도체층으로 형성함으로써, 저주파 영역에서 도전성을 확보한 음향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굵은 소선경에 의해 형성된 중심 도체층에 의해 저주파 영역에서의 도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외곽층에 얇은 소선으로 형성된 집합도체가 배치됨으로써, 유연성을 높인 동시에 표피 효과를 억제할 수 있어, 신호 전송 효과를 극대화시킴은 물론 음질도 향상시킬 수 있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향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향 케이블에 적용되는 도체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한 도체에 대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미세 조직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도체에 대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경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도체에 대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선재 저항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도체에 대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측정한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향 케이블이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향 케이블의 음질 특성 측정을 위한 측정 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의한 음향 케이블의 음질 특성 측정을 위한 측정 시스템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전선"의 의미와 동일하여, 상기 용어 "케이블" 및 "전선"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고, 따라서 이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향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 케이블(10)은 도체(100), 도체를 감싸는 반도전층(200), 및 반도전층(200)을 감싸는 시스층(300)으로 이루어진다.
도체(100)는 음향 케이블(10)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으로, 중심 도체층과 주변 도체층을 포함한다. 도체(100)의 구조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음향 케이블에 사용되던 도체는 작은 소선경의 집합 혹은 집복합 구조로 제작되었다. 작은 소선경에 의해 형성된 도체를 사용한 종래의 음향 케이블에서는 낮은 주파수 영역에서 발생하는 표피 효과와 함께 신호 손실이 발생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도 2에서와 같이 도체(100)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기존 소선경의 집합 혹은 집복합 구조로 형성되던 도체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한다.
반도전층(200)은 도체(100)와 시스층(300)의 사이에 형성된다. 반도전층(200)은 탄소 함유 화합물이 일부 포함된 수지로부터 형성하기 때문에, 음향 케이블(10)에 적용시 미세한 신호 대역이나 저신호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호 왜곡에 따른 음질 불량과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차폐 기능을 보완하고, 코어 부분에서 도체(100)의 신호 전송량을 보완하는 기능을 한다.
반도전층(200)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기본 수지로 포함하는 반도전층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반도전층 조성물에는 다양한 추가적인 구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산화방지제, UV 안정제, 가교제 및 가교조제 등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시스층(300)은 반도전층(200)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 시스용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 시스용 조성물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음향 케이블(10)의 최외곽을 형성하는 층에 요구되는 물성을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예를 들어, 베이스 수지, 및 기타 추가적인 수지들을 단독 혹은 2가지 이상 혼합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일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음량 케이블(10)은 전술한 성분 이외에도,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첨가제로는 고분자량 왁스, 저분자량 왁스, 폴리올레핀 왁스, 파라핀 왁스, 파라핀 오일, 금속 비누, 유기 실리콘,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마이드, 지방 알콜, 강화제, 이형제, UV 흡수제, 안정화제, 색소, 염료, 착색제, 대전방지제, 발포제 및 금속 불활성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향 케이블에 적용되는 도체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도체(100)는 도 1에서 도시한 음향 케이블(10)의 중심에 위치하는 도체(100)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체(100)는 중심 도체층(110)와 중심 도체층(110)을 둘러싸는 주변 도체층(120)으로 이루어진다.
중심 도체층(110)은 복수의 도체선(11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중심 도체층(110)은 1개 이상의 복수의 도체선(112)이 꼬여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도체선(112)으로 이루어지는 중심 도체층(110)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중심 도체층(110)은 1개 내지 7개의 도체선(1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체선(112)은 30㎛ 내지 150㎛의 평균 결정립 크기를 갖을 수 있다. 또한, 도체선(112)은 10㎛ 내지 20㎛의 평균 결정립 크기를 갖는 무산소동을 포스트 어닐링(post annealing) 공정을 통해 30㎛ 내지 150㎛의 평균 결정립 크기로 성장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선(112)은, 0.5㎟ 내지 4.0㎟의 공칭 단면적을 갖을 수 있다. 즉, 상기 도체선(112)으로 전술한 범위의 공칭 단면적을 갖는 굵은 소선경의 도체를 사용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본 음향 케이블(10)에 대한 저주파 영역에서의 도전성을 확보한다.
주변 도체층(120)은 중심 도체층(110)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복수의 소선을 꼬아서 집합도체(122)를 형성한 후, 이 집합도체 복수개를 꼬아서 복합도체(124)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집합도체(122)를 구성하는 소선은, 0.41㎜ 이하의 Class 5의 선재 또는 0.21㎜ 이하의 Class 6 선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 도체층(110)에는 0.5㎟ 내지 4.0㎟의 공칭 단면적을 갖는 굵은 소선경의 도체를 적용하고, 주변 도체층(120)에는 Class 5급 이하의 얇은 소선의 도체를 적용함으로써, 저주파 영역에서의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심 도체층(110)과 주변 도체층(120)으로 구성되는 도체(100)는, 상기 중심 도체층에 상기 주변 도체층을 연합한 후 진공 열처리로에서 500℃ 내지 650℃의 범위에서 포스트 어닐링(post annealing)을 한다. 여기서, 포스트 어닐링 공정은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한 도체에 대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미세 조직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다양하게 환경에 변화를 주어 미세 조직을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a)는 OFC(Oxygen-Free Copper) 신선재의 미세조직을 측정한 것이다. 이때, OFC 신선재의 결정립 사이즈는 약 10㎛ 내지 20㎛이며, 포스트 어닐링 후 30㎛ 내지 150㎛ 수준으로 성장하였다.
(a)의 OFC 신선재를 다양한 조건에서 미세 조직을 측정한 결과를 (b) 내지 (d)에 도시하였다. (b)는 OFC 신선재를 어닐링 한 후의 미세조직을 측정한 것이고, (c)는 OFC 신선재를 어닐링과 극저온 처리를 모두 한 후의 미세조직을 측정한 것이다. 또한, (d)는 OFC 신선재를 극저온 처리한 후의 미세조직을 측정한 것이다. 여기서, (c)의 극저온 처리후의 미세조직 결과에서는 조직적인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극저온 처리의 경우, 금속을 드라이아이스 또는 액화질소에 침지하여 냉각한 후, 급격히 상온 또는 100℃ 정도로 승온하여, 금속 내부에 생성된 응력을 반대방향의 응력(예를 들면, 압축잔류응력을 승온 시 발생하는 열응력으로 인장방향 응력으로 변경)으로 변경시킴으로서, 잔류응력을 저감시키는 공정이다. 이는 결정립 성장과는 다른 방식의 응력제거 기술이다. 즉, 잔류응력은 일부 제거되었다고 하나, 신호전송에 손실을 주는 결정립계(Grain size)의 개수 변화는 없기 때문에 큰 효과는 없다고 할 수 있다.
도 3b에서, (a)는 일반 무산소동 도체의 미세조직을 나타낸 것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체(100)의 미세조직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도체에 대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경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언급한 5가지 조건에서와 동일한 조건에서 각각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a)는 OFC 신선재의 경도로 82.4Hmv로 측정되었다. (b)는 어닐링 후의 경도로 44.9Hmv로 측정되었다. (c)는 어닐링 및 극저온 처리 후의 경도로 49.0Hmv으로 측정되었다. (d)는 극저온 처리 후의 경도로 61.6Hmv으로 측정되었다
위 수치를 참조하면, (a)의 OFC 신선재의 경도 대비 (b)의 어닐링 후 경도는 4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는 음향 케이블(10)의 성능과는 무관하다. 즉, 경도가 낮아져도 음향 케이블(10)로서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오히려, 경도가 낮아짐에 따라, 유연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도체에 대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선재 저항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언급한 5가지 조건에서와 동일한 조건에서 각각의 선재 저항을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선재 저항의 측정은 (a) 내지 (d) 모두 1SQ 도체 기준이다.
(a)는 OFC 신선재의 선재 저항으로 18.21mΩ/m으로 측정되었다. (b)는 어닐링 후의 선재 저항으로 18.043mΩ/m으로 측정되었다. (c)는 어닐링 및 극저온 처리 후의 선재 저항으로 18.041mΩ/m으로 측정되었다. (d)는 극저온 처리 후의 선재 저항으로 18.14mΩ/m으로 측정되었다.
(a)의 OFC 신선재의 선재 저항 대비 (b)의 어닐링 후의 선재 저항은 0.9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도전율이 1% 정도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도체에 대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측정한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케이블은, 전술한 포스트 어닐링 공정을 거친 음향 케이블로서,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분석 시, 피크 위치(peak position) 2θ값이 40° 내지 50° 범위일 수 있고, 상기 피크 위치 2θ값이 40° 내지 50° 범위 내인 피크는 후술하는 (111) 피크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OFC 신선재 및 어닐링 후의 XRD(X-ray diffraction) 분석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XRD 분석 그래프에서, B는 OFC 신선재에 대한 결과이고, A는 포스트 어닐링을 진행한 후의 결과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잔류응력(가공경화)이 클수록 (200) 피크(peak)와 (220) 피크가 높은 경향이 있다. 여기서, OFC 신선재에서 높은 220 피크가 확인되었다. 반면, 포스트 어닐링을 진행한 후, (200) 및 (220) 피크가 제거되고, (111) 피크가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향 케이블이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케이블(10a, 10b)은 중심 도체층(110)과 주변 도체층(120)으로 구성된 도체(100)와, 도체를 감싸는 반도전층(200)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스피커(20a, 20b)와 음향 기기(30)를 연결하는 케이블이다.
음향 기기(30)는 내부에 파워 앰프(32) 및 프리 앰프(34)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파워 앰프(32) 및 프리 앰프(34)는 인터커넥터 케이블(36)에 의해 연결된다. 하지만, 음향 기기(30)의 외부의 스피커(20a, 20b)와 연결시에는 음향 케이블(10a, 10b)을 사용한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체(100)를 적용한 음향 케이블(10a, 10b)을 사용하면, 종래에 기공지된 OCC(Ohno Continuous Casting) 프로세스나 극처온 처리 대비 우수한 음질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케이블은, 스피커용, 파워코드용, 인터커넥터용 및 스피커 점퍼 케이블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음역대별 음질 평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향 케이블의 음질 특성 측정을 위한 측정 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은 측정 시스템을 설계하여 음역대별 음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제로는, 앰프 및 음원(LP, CDP 등)이 포함되어야 하나, 이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먼저 음원이 재생되면, 인터커넥터 케이블을 통해 앰프 신호 전송이 되며, 해당 신호는 Passive 스피커(40)를 통해 가청음으로 나타난다. 본 실험은 이 가청영역의 주파수를 마이크(50)를 통해 취득하고, 오디오 분석기(60)를 통해 분석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이에 의해 음질 특성을 측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평가는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음을 재생한 후, 저음 영역 및 고음 영역에서의 잡음 여부를 평가하였다.
도 9는, 도 8에 의한 음향 케이블의 음질 특성 측정을 위한 측정 시스템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a)는 은도금 도체 8AWG의 음역대별 품질 평가 분석을 실시한 예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케이블(10)의 음역대별 품질 평가 분석을 실시한 예이다(사용 음원: 베토벤 운명). (a)와 (b)의 평가에 따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스피커케이블 중 Hi-End 도체 제품인 8AWG 집복합 은도금도체 (구조: 7/65/0.15㎜)(a)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케이블(b)의 음역대별 품질 평가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음역대 비교예 실시예
저음역대 양호 우수
중음역대 우수 양호
고음역대 열위 우수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은도금 스피커케이블은 도체사이즈가 비교적 증가하고, 도전율이 높은 은도금을 사용하여 중음역대의 신호가 우수하였으나 고음역대는 신호 검출이 잘 되지 않았으며, 본 발명에 의한 구조에서는 중음역의 신호는 은도금 제품 대비 약간 낮은 경향이 있으나 저음역과 고음역에 고르게 신호가 분포하고 있으며, 음량뿐만 아니라 표현력 또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음향 케이블
100: 도체
110: 중심 도체층
112: 도체선
120: 주변 도체층
122: 집합도체
124: 복합도체
200: 반도전층
300: 시스층

Claims (12)

  1. 음향케이블용 도체로서,
    상기 도체는,
    1개 이상의 복수의 도체선이 꼬여서 형성되는 중심 도체층; 및
    복수의 소선이 꼬여서 집합도체를 형성하고, 상기 집합도체 복수 개가 꼬여서 복합도체를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중심 도체층을 둘러싸는 주변 도체층을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도체층은, 1개 내지 7개의 도체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30㎛ 내지 150㎛의 평균 결정립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분석 시, (111) 결정방위에서 가장 큰 피크값(Intensity)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상기 중심 도체층에 상기 주변 도체층을 연합한 후 진공 열처리로에서 500℃ 내지 650℃의 범위에서 포스트 어닐링(post annealing)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어닐링은,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10㎛ 내지 20㎛의 평균 결정립 크기를 갖는 무산소동을 상기 포스트 어닐링을 통해 30㎛ 내지 150㎛의 평균 결정립 크기로 성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선은, 0.5㎟ 내지 4.0㎟의 공칭 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선은, 0.41㎜ 이하의 Class 5의 선재 또는 0.21㎜ 이하의 Class 6 선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도체층의 복수의 도체선의 꼬임 피치는, 상기 중심 도체층의 층심경의 10배 내지 20배이고, 상기 집합 도체의 복수의 소선의 꼬임 피치는, 상기 집합 도체 외경의 10배 내지 20배이며, 상기 복합 도체의 꼬임 피치는, 상기 복합 도체 외경의 10배 내지 2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케이블용 도체.
  11. 제 1 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체;
    상기 도체를 감싸는 반도전층; 및
    상기 반도전층을 감싸는 시스층;을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케이블은, 스피커용, 파워코드용, 인터커넥터용 및 스피커 점퍼 케이블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케이블.
KR1020220039611A 2022-03-30 2022-03-30 음향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 KR20230140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611A KR20230140848A (ko) 2022-03-30 2022-03-30 음향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
PCT/KR2022/005047 WO2023191164A1 (ko) 2022-03-30 2022-04-07 음향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611A KR20230140848A (ko) 2022-03-30 2022-03-30 음향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848A true KR20230140848A (ko) 2023-10-10

Family

ID=8820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611A KR20230140848A (ko) 2022-03-30 2022-03-30 음향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0848A (ko)
WO (1) WO202319116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316Y1 (ko) 2006-07-13 2006-09-25 율삼엔지니어링(주) 노이즈 제거 스피커 케이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9805B2 (en) * 2003-07-16 2005-11-29 Chang-Chi Lee Structure of audio signal cable
KR100767718B1 (ko) * 2006-03-02 2007-10-17 주식회사 엠에이씨티 고속가공용 전극선 및 그 제조방법
JP4914153B2 (ja) * 2006-09-07 2012-04-11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オーディオ・ビデオ信号用銅導体
FR2915621B1 (fr) * 2007-04-26 2009-07-17 Nexans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 conducteur electrique isole de classe 5
KR102348281B1 (ko) * 2017-05-31 2022-01-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로봇용 케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316Y1 (ko) 2006-07-13 2006-09-25 율삼엔지니어링(주) 노이즈 제거 스피커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164A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1538B1 (en) Multiconductor cable structures
TW558724B (en) Signal propagation cable, and data propagation method using terminal device and signal propagation cable
US7170008B2 (en) Audio signal cable
CN102301432B (zh) 电缆屏蔽结构
JP5601146B2 (ja) スピーカーボイスコイル用巻線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140848A (ko) 음향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
US10128022B1 (en) Lightweight carbon nanotube cable comprising a pair of plated twisted wires
KR20240018753A (ko) 음향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
KR20230072131A (ko)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
JP4914153B2 (ja) オーディオ・ビデオ信号用銅導体
KR20230161870A (ko) Av 기기 하네스용 단자 및 그 제조 방법
TWI521549B (zh) Coaxial cable
JP2013040386A (ja) イヤホンケーブル用導体及びイヤホンケーブル
CN101702339A (zh) 高屏蔽音视频信息组合电缆
CN207833939U (zh) 信号导线
KR20230072132A (ko) 스피커 케이블
WO2021134865A1 (zh) 高速线缆及其单元结构
CN203055495U (zh) 具有填充式光杆的音频线结构
JP3373901B2 (ja) スピーカー用複合ケーブル
JP2013518360A (ja) 電線のシールド構造
CN210535378U (zh) 一种超细耐弯曲以太网数据线
CN105679418A (zh) 一种径向防水电缆及制造方法
CN202796116U (zh) 一种太阳能仪表传感器信号线
JPH08959B2 (ja) オーディオ用および画像用銅線の製造法
JPS62290008A (ja) オ−デイオ、ビデオ機器用電気導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