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131A -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 - Google Patents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131A
KR20230072131A KR1020210158544A KR20210158544A KR20230072131A KR 20230072131 A KR20230072131 A KR 20230072131A KR 1020210158544 A KR1020210158544 A KR 1020210158544A KR 20210158544 A KR20210158544 A KR 20210158544A KR 20230072131 A KR20230072131 A KR 20230072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speaker cable
oxygen
free copper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석
양훈철
박경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8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2131A/ko
Priority to PCT/KR2021/017397 priority patent/WO2023090503A1/ko
Publication of KR20230072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2Braided wir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 H01B7/0225Three or mor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는, 종래 무산소 동선만을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와 비교하여, 상기 무산소 동선으로 이루어진 도체 자체의 변색 등으로 인한 음질 저하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저음역대부터 고음역대까지 풍부한 음색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고품질의 스피커 케이블 제조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의 경우, 종래 다른 금속들로 도금된 도체만을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과 비교하여, 보다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CONDUCTOR FOR SPEAKER CABLE AND SPEAKER CAB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체의 변색을 방지하여 저음역대부터 고음역대까지 풍부한 음색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 케이블(speaker cable)은, 오디오 앰프 등의 다른 기기들과 스피커를 연결하는 케이블로서, 인터커넥터 케이블과는 달리 구조가 단순한 반면에 플랫 형태로서 가닥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스피커 케이블에 적용되는 도체의 경우, 무산소 동선을 사용하거나 상기 도체의 산화 방지 및 높은 도전성 향상을 목적으로 다른 금속을 도금한 도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다만, 무산소 동선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도체의 변색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음질이 악화되며, 다른 금속을 도금한 도체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제품 제조 비용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저음역대에서의 음역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음향 신호에 대한 간섭 현상 등을 차단하여 보다 좋은 음질을 제공하기 위한 이어폰 또는 스피커 연결을 위한 케이블에 대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에 제안된 기술은, 음향신호를 제공하는 전자기기에, 타단은 이어폰에 연결되는 신호전송 케이블; 상기 케이블 일단을 음향신호를 제공하는 전자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음향신호 단자, 마이크 단자, 및 안테나 단자를 구비한 플러그; 및 상기 케이블 타단을 음향신호를 재생하는 이어폰에 연결하기 위한 접속 블록; 을 포함하되, 상기 신호전송 케이블은, 일단에 구비된 상기 안테나 단자에 의해 전자기기의 전파수신부에 접속되는 스트링 안테나; 일단에 구비된 상기 음향신호 단자를 통해 이어폰에 음향신호를 전달하는 한 쌍의 음향신호선; 및 일단에 구비된 상기 마이크 단자에 연결되고, 실드부에 감싸진 마이크선; 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링 안테나는 상기 음향신호선과 나란하게 상기 신호전송 케이블 피복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스트링 안테나, 음향신호선 및 마이크선은 그 둘레를 감싸는 절연체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고, 상기 안테나 단자는 접지 단자이고, 상기 실드부는 은도금된 구리를 편조한 것이고, 상기 케이블 내에서 마이크선을 감싸면서 케이블 양쪽 단에서는 상기 접지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스트링 안테나, 상기 음향 신호선 및 상기 마이크선의 중심에는 탄력이 있는 합성수지 성분의 코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연결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제안된 기술의 경우, 실드부에 은도금된 구리를 편조하여 포함함으로써, 실드부 형성에 따른 외부 간섭 현상을 막아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나. 음향신호선 자체의 도체들의 내부 변색 등으로 인한 음질 불량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으로 음향 신호 전달 역할을 하는 도체 자체의 변색을 방지하여 저음역대부터 고음역대까지 풍부한 음색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스피커 케이블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2529호(2014.04.01.)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언급한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복합도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에 있어서, 상기 복합도체는, 복수개의 소선을 갖는 집합도체가 꼬여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소선은 무산소 동선 및 상기 무산소 동선의 외주면에 은도금층을 형성한 은도금 무산소 동선을 포함하며, 하기 수식 1을 만족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를 제공한다.
[수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수식 1에서, X는, 상기 복합도체에 포함된 복수개의 소선 중 무산소 동선의 개수를 의미하고, Y는 상기 도체에 포함된 복수개의 소선 중 은도금 무산소 동선의 개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은도금 무산소 동선은, 0.5㎛ 내지 2.0㎛의 두께의 은도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도체를 구성하는 집합도체는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집합도체는, 19개 이상 내지 69개 이하의 소선이 꼬여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도체는 중심에 배치되는 집합도체인 중심도체 주위에 6개의 집합도체로 구성된 1층 집합도체가 꼬여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심도체는 복수 개의 무산소 동선이 꼬여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층 집합도체는 복수 개의 무산소 동선이 꼬여서 형성된 집합도체 및 복수 개의 은도금 무산소 동선이 꼬여서 형성된 집합도체가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상기 도체를 절연시키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외측에 내부 구성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층을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는, 종래 무산소 동선만을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와 비교하여, 상기 무산소 동선으로 이루어진 도체 자체의 변색 등으로 인한 음질 저하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저음역대부터 고음역대까지 풍부한 음색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고품질의 스피커 케이블 제조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의 경우, 종래 다른 금속들로 도금된 도체만을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과 비교하여, 보다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도 1에서, OFC는 무산소 동선을 나타내고, G-OFC는 은도금된 무산소 동선을 나타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케이블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복합도체)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를 진행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를 통하여 제조예 2로부터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 대한 스피커 케이블의 음역대별 음질 평가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의 설명은 실시예들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 관한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의미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새로운 기술의 출현, 심사기준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용어는 출원인에 의해 임의로 선정될 수 있고, 이 경우 임의로 선정되는 용어의 의미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사전적 의미만이 아닌, 명세서의 전반적인 맥락을 반영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와 같은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되는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및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이 더 포함되는 경우 또한 해당 용어로부터 의도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합도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전선"의 의미와 동일하여, 상기 용어 "케이블" 및 "전선"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고, 따라서 이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피커 케이블"은, 스피커를 앰프 또는 마이크 등의 다른 기기와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케이블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원형 케이블 또는 플랫 케이블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상기 복합도체는, 복수개의 소선이 꼬여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선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구리, 알루미늄 또는 다른 금속이 도금된 구리 합금일 수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리 또는 다른 금속이 도금된 구리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선이 구리일 경우, 산소의 함유량이 없는 무산소 동선인 것이 바람직하여, 무산소 동선을 사용할 경우, 전기적 전송률을 높일 수 있으며 잡음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무산소 동선의 경우 저음역에서 풍부한 음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무산소 동선이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도체 변색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음질이 악화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소선이 다른 금속이 도금된 구리 합금일 경우, 전술한 무산소 동선의 외주면에 은도금층을 형성한 은도금 무산소 동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은도금층을 무산소 동선에 형성하는 경우, 도체의 산화를 억제하여 도체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음역에서 풍부한 음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은도금선이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저음역에서 음색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는 무산소 동선과 은도금 무산소 동선을 복합 적용함으로써, 도체 자체의 산화 방지와 높은 도전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도체 내부 변색을 방지함으로써, 저음역대에서 고음역대까지의 넓은 범위에서의 풍부한 음역대에서 잡음이 없는 고품질의 음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합도체의 경우, 19개 이상 내지 69개 이하의 소선수를 가지는 집합도체가 꼬여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도체는 중심에 배치되는 집합도체인 중심도체 주위에 6개의 집합도체로 구성된 1층 집합도체가 꼬여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집합도체의 수가 7개일 경우, 중심에 배치된 집합도체인 중심도체는 무산소 동선이 꼬여서 형성될 수 있고, 중심도체 주위에 무산소 동선이 꼬여서 형성된 집합도체 3개 및 은도금 무산소 동선이 꼬여서 형성된 집합도체 3개가 1층 집합도체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1층 집합도체는, 복수 개의 무산소 동선이 꼬인 집합도체 및 복수 개의 은도금 무산소 동선이 꼬인 집합도체가 번갈아 또는 교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은도금 무산소 동선 및 무산소 동선은 교차적으로 위치 및 접촉되도록 하여 무산소 동선이 산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집합도체를 이루는 소선의 개수가 19개 이상 내지 69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소선 개수가 19개 미만일 경우, 동일한 소선경을 갖는 도체를 적용한다면 집합도체의 층 수가 늘어나 복합도체의 제조 공정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으며, 소선경이 큰 도체를 적용한다면 은이 도금되는 비율이 감소하여 전도성이 떨어지고, 소선경 증가로 유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소선 개수가 69개를 초과할 경우, 복합 도체의 외경이 전체적으로 증가하여 상용 단자에 접속이 불가하기 때문에 단자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복합도체에 포함된 복수개의 소선이 꼬이는 방향은, 예를 들어 S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꼬일 수 있으며,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의 경우, 포함된 상기 복합도체를 이루는 소선의 개수에 따라 특정 비율의 무산소 동선 및 은도금 무산소 동선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무산소 동선에 발생할 수 있는 도체 자체의 변색을 방지하여 음질 저하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을 물론, 저음역에서 고음역까지 넓은 범위의 풍부한 음색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활용한 스피커 케이블의 제조 시, 보다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는 하기 수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수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수식 1에서, X는, 상기 복합도체에 포함된 복수개의 소선 중 무산소 동선의 개수를 의미하고, Y는 상기 도체에 포함된 복수개의 소선 중 은도금 무산소 동선의 개수를 의미한다.
상기 수식 1을 만족할 경우, 상기 복합도체에 포함된 복수개의 소선 중 무산소 동선과 은도금 무산소 동선의 포함 비율이 특정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무산소 동선에 발생할 수 있는 도체 자체의 변색을 방지하여 음질 저하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를 활용한 스피커 케이블의 제조 시, 보다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은도금 무산소 동선은, 0.5㎛ 내지 2.0㎛의 두께의 은도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께 범위의 은도금층을 포함할 경우, 무산소 동선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전성이 매우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합도체 전체적인 직경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은도금에 필요한 은의 양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을 보다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는, 상기 복합도체를 1개를 가진 원형 케이블을 제조할 수도 있고, 상기 복합도체를 2개 이상 포함하여 원형 케이블 또는 플랫 케이블 형태의 케이블들을 제조할 수 있으며,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스피커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케이블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케이블(10)은,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100); 상기 도체를 절연시키는 절연층(200); 및 상기 절연층 외측에 내부 구성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기본 수지로 포함하는 절연층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절연층 조성물에는 다양한 추가적인 구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산화방지제, UV 안정제, 가교제 및 가교조제 등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 또는 이들의 조합이 포함될 경우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상기 절연층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물성간 조화와 제품 적용 측면에서 상기 첨가제는 적절한 범위 내에서 조절되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케이블은, 전술한 성분 이외에도,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로는 고분자량 왁스, 저분자량 왁스, 폴리올레핀 왁스, 파라핀 왁스, 파라핀 오일, 금속 비누, 유기 실리콘,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마이드, 지방 알콜, 강화제, 이형제, UV 흡수제, 안정화제, 색소, 염료, 착색제, 대전방지제, 발포제 및 금속 불활성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케이블(10)은, 상기 절연층(200) 외측에 내부 구성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층(300)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층은, 상기 절연층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 케이블 시스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시스용 조성물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스피커 케이블 최외곽을 형성하는 층에 요구되는 물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 수지 및 기타 추가적인 수지들을 단독 또는 혼합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고분자 수지 이외에도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함되는 기타 첨가제 등의 종류 및 혼합 함량은, 요구되는 물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 및 채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도체의 제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복합도체)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에 대한 제조 공정을 설명하면, 복수개의 무산소동을 준비한 후, 신선공정(선재)을 진행하였다. 이후, 상기 신선된 무산소동 선재를 집합 가공을 하되, 일부의 무산소동 선재에 대해서는 은도금 공정을 먼저 진행한 후 집합 가공을 하였다. 집합 가공이 완료된 무산소동 선재로 구성된 집합 도체 및 은도금 무산소동 선재로 구성된 집합 도체에 대하여 복합 공정을 진행하여 복합 도체를 최종적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스피커 케이블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각각의 무산소 동선 및 은도금 무산소 동선을 포함하여 제조한 스피커 케이블 샘플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구조 7/65/0.15㎜ 7/65/0.15㎜ 7/65/0.15㎜
은도금 동선 비율(%) 42.9 0 100
무산소 동선 비율(%) 57.1 100 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 1]과 같은 비율로 무산소 동선 및 은도금 동선을 꼬아서 스피커 케이블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샘플들 각각에 대하여 후술하는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예] 음역대별 음질 평가
상기 제조예 2로부터 제조된 스피커 케이블에 대한 음질 평가를 위하여, 도 4와 같은 측정 시스템에 의해 음질 불량 여부를 평가하였다(단, 도 4에서는 앰프, 음원(LP, CDP 등)은 생략됨). 도 4를 참고하여 음역대별 음질 평가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음원(LP 또는 CDP)을 재생시킨 후, 인터커넥터 케이블을 통해 앰프 신호 전송을 하였으며, 전송된 신호는 Passive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이 가청영역대의 주파수를 마이크로 취득하였고, 오디오 분석기 시스템을 통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특히,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음을 재생한 후, 저음 영역 및 고음 영역을 나누어 잡음 발생 여부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 대한 상기 평가에 따른 결과를 하기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를 통하여 제조예 2로부터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 대한 스피커 케이블의 음역대별 음질 평가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무산소동을 100% 사용한 스피커 케이블(비교예 1)의 경우, 저음역대(2.5kHz) 영역에서 잡음이 검출되었고, 산화의 영향으로 예상되는 고음역대(7.5~10kHz) 영역에서의 잡음이 검출되었다. 이러한 발생 잡음은 저음을 혼탁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고음영역에서도 귀가 따가운 소리가 나타나는 결과가 발생되었다. 또한 은도금선을 100% 사용한 스피커 케이블(비교예 2)의 경우, 약 5kHz의 영역에서 이상 음질이 감지되었다. 반면, 무산소동과 은도금 무산소동 선재를 함께 사용한 복합도체를 포함한 스피커 케이블(실시예)의 경우, 상기 이상 신호가 발생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잡음이 모두 발생되지 않고 제거된 결과가 나타났으며, 넓은 주파수에서 매끄러운 음질이 나타남을 실제 청음 테스트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는, 종래 무산소 동선만을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와 비교하여, 상기 무산소 동선으로 이루어진 도체 자체의 변색 등으로 인한 음질 저하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저음역대부터 고음역대까지 풍부한 음색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고품질의 스피커 케이블 제조에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OFC: 무산소 동선
G-OFC: 은도금 무산소 동선
10: 스피커 케이블
100: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200: 반도전층
300: 시스층

Claims (8)

  1. 복합도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에 있어서,
    상기 복합도체는, 복수개의 소선을 갖는 집합도체가 꼬여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소선은 무산소 동선 및 상기 무산소 동선의 외주면에 은도금층을 형성한 은도금 무산소 동선을 포함하며,
    하기 수식 1을 만족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수식 1]
    Figure pat00003

    상기 수식 1에서, X는, 상기 복합도체에 포함된 복수개의 소선 중 무산소 동선의 개수를 의미하고, Y는 상기 도체에 포함된 복수개의 소선 중 은도금 무산소 동선의 개수를 의미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은도금 무산소 동선은, 0.5㎛ 내지 2.0㎛의 두께의 은도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도체를 구성하는 집합도체는,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도체는, 19개 이상 내지 69개 이하의 소선이 꼬여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도체는, 중심에 배치되는 집합도체인 중심도체 주위에 6개의 집합도체로 구성된 1층 집합도체가 꼬여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도체는, 복수 개의 무산소 동선이 꼬여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1층 집합도체는, 복수 개의 무산소 동선이 꼬여서 형성된 집합도체 및 복수 개의 은도금 무산소 동선이 꼬여서 형성된 집합도체가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상기 도체를 절연시키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외측에 내부 구성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층을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
KR1020210158544A 2021-11-17 2021-11-17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 KR20230072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544A KR20230072131A (ko) 2021-11-17 2021-11-17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
PCT/KR2021/017397 WO2023090503A1 (ko) 2021-11-17 2021-11-24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544A KR20230072131A (ko) 2021-11-17 2021-11-17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131A true KR20230072131A (ko) 2023-05-24

Family

ID=86397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544A KR20230072131A (ko) 2021-11-17 2021-11-17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72131A (ko)
WO (1) WO202309050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529B1 (ko) 2012-12-13 2014-04-07 크레신 주식회사 이어폰 연결 케이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5040A (ja) * 1994-04-12 1995-12-22 Minoru Edamoto オーディオ用等のケーブル
JP5286707B2 (ja) * 2006-08-31 2013-09-11 日立電線株式会社 可とう性非ハロゲン電線
US9349503B1 (en) * 2015-11-19 2016-05-24 Yun-Chin Teng Grounding conductive cable structure
KR101721667B1 (ko) * 2016-03-08 2017-04-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용 연선 도체 와이어
KR101792153B1 (ko) * 2016-05-16 2017-10-3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내굴곡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열선 케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529B1 (ko) 2012-12-13 2014-04-07 크레신 주식회사 이어폰 연결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0503A1 (ko)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3344B2 (ja) シールドツイストペアケーブル
US7541538B1 (en) Multiconductor cable structures
JP3669562B2 (ja) 端末加工性に優れた差動信号伝送ケーブル
JP2010080097A (ja) 同軸ケーブル
CN102301432B (zh) 电缆屏蔽结构
US6583360B1 (en) Coaxial audio cable assembly
US20220215986A1 (en) Cable
KR20230072131A (ko) 스피커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케이블
KR102207956B1 (ko) 고차폐성 및 고절연성을 갖는 오디오케이블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오디오케이블
JPS60101807A (ja) 電力伝送ケーブル
CN105679420A (zh) 一种多功能音响线缆
CN210640048U (zh) 一种低通滤波导线
WO2021134865A1 (zh) 高速线缆及其单元结构
CN113205920A (zh) 一种星形八类网线及其制造方法
CN202332356U (zh) 抗扭绞柔软发泡型音频电缆
KR20230072132A (ko) 스피커 케이블
JP6893419B2 (ja) 同軸ケーブル
JP2019003764A (ja) オーディオ用ケーブル及びスピーカー接続方法
KR100820496B1 (ko) 전자파 차폐를 위한 통신 케이블
CN218730014U (zh) 高档音频线圈用聚氨酯自粘漆包线
KR20230140848A (ko) 음향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
KR101120365B1 (ko) 코팅형 금속 차폐층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동축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10327608A1 (en) Composite layer for wrap structure of transmission cable
JP3237235U (ja) ツイストペアケーブルの構造
CN216980145U (zh) 双芯电缆改良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