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024A - 한과 포장기 - Google Patents

한과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024A
KR20230140024A KR1020220038609A KR20220038609A KR20230140024A KR 20230140024 A KR20230140024 A KR 20230140024A KR 1020220038609 A KR1020220038609 A KR 1020220038609A KR 20220038609 A KR20220038609 A KR 20220038609A KR 20230140024 A KR20230140024 A KR 20230140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wa
film
unit
korea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향집
Original Assignee
최향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향집 filed Critical 최향집
Priority to KR1020220038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0024A/ko
Publication of KR20230140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02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5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packaging of confection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6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과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한과 포장기는, 필름 포장지 및 한과를 이동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한과를 일정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안내부; 상기 필름의 양 가장자리가 상기 한과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롤러부; 상기 필름의 양가장자리를 접합하는 접합부; 및 상기 필름 포장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한과 포장기{Korean traditional cookie pa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한과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한과는 우리나라의 전통 과자류로서, 다식, 정과, 과편, 강정 등을 의미한다. 한과는 쌀, 밀가루, 견과류 등의 곡물을 주 재료로 하여 제조된다. 한과의 제조 방법은 쌀, 밀가루 등의 주재료를 분쇄하여 혼합하고 여기에 견과류, 꿀 등의 재료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이를 성형하여 유탕처리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후 물엿이나 꿀 등으로 표면을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한과는 표면의 점성이 높아 포장이나 유통 과정 중에 서로 달라붙거나 포장기에 달라붙어 불량을 발생하는 등 포장 및 유통에 어려움이 있다.
종래에는 일반적인 과자용 포장기를 이용하여 한과를 포장하였으나, 앞서 언급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어려웠다.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0790735호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2112335호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042178호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577808호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971106호
본 발명은 한과를 효율적으로 포장할 수 있는 한과 포장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자동화를 통해 균일한 포장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하여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고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한과 포장기는, 필름 포장지 및 한과를 이동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한과를 일정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안내부; 상기 필름의 양 가장자리가 상기 한과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롤러부; 상기 필름의 양가장자리를 접합하는 접합부; 및 상기 필름 포장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부는 한과를 일정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날개 및 상기 날개를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한과가 일정한 간격으로 지나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날개를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한과 포장기는 한과를 효율적으로 포장할 수 있다.
또한, 자동화를 통해 균일한 포장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하여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고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한과 포장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을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은 도 1을 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4는 한과를 포장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한과 포장기(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한과 포장기(100)는, 필름 포장지(20) 및 한과(10)를 이동하는 이송부(110); 상기 이송부(110)에 의해 이동하는 한과(10)를 일정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안내부(120); 상기 필름의 양 가장자리가 상기 한과(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롤러부(130); 상기 필름의 양가장자리를 접합하는 접합부(140); 및 상기 필름 포장지(20)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는 절단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필름 포장지(20)를 공급하는 필름 공급부(160) 및 상기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과(10)는 PVC, PVA, PP, PE 등의 수지로된 필름 포장지(20)에 의해 포장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상기 필름 포장지(20) 상에 한과(10)를 올려 놓는다. 이후 상기 필름 포장지(20)의 양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한과(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올려 놓는다. 이때, 상기 필름 포장지(20)의 양 가장자리 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필름 포장지(20)의 겹쳐진 부분을 가열하여 상기 필름 포장지(20)의 양 가장자리가 서로 접합되도록 한다. 이후, 필름 포장지(20)를 적당한 길이로 자르고 자른 부분을 접합하면 포장이 완료된다.
상기 이송부(110)는 상기 필름 포장지(20) 및 한과(10)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110)는 컨베이어밸트일 수 있으나, 상기 필름 포장지(20) 및 한과(10)를 일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도 1에서 상기 이송부(110)는 한과(10)가 이송되는 전체 영역에 배치되어 있지만, 롤러부(130), 접합부(140) 및 절단부(150)의 하단에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110)의 상부에 필름 포장지(20)가 배치되고 그 위에 한과(10)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부(110)가 상기 필름 포장지(20) 및 한과(10)를 우측을 이동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안내부(120)는 상기 이송부(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한과(10)가 필름 포장지(2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과(10)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안내부(120)에 의해 한과(10)가 통과하는 경로가 한정되기 때문에 한과(10)가 상기 안내부(120)를 통과하면서 필름 포장지(2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20)는 한과(10)를 일정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날개(121) 및 상기 날개(121)를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122)는 상기 한과(10)가 일정한 간격으로 지나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날개(121)를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재(122)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왕복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두 쌍의 날개(121)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거나 넓어질 수 있다.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회전부재(122)를 왕복 회전하는 경우, 한과(10)가 상기 날개(121)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시간은 주기적으로 주어지게 되며, 한과(10) 각각의 거리가 일정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22)가 왕복하여 회전하는 회전각도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10 내지 30도일 수 있다.
상기 날개(121)는 'ㄴ'자 형상이거나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날개(121)는 'ㄷ'자 형상이다. 이를 통해 필름 포장지(20)의 중앙에서 벗어나 배치된 한과(10)를 안정적으로 필름 포장지(20)의 중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롤러부(130)는 상기 이송부(110)의 이송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한과(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롤러축 및 상기 한 쌍의 롤러축에 각각 배치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한과(10)의 상부에서 한과(1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롤러는 각기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한과(10)의 우측에 위치한 롤러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한과(10)의 좌측에 위치한 롤러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롤러 및 한과(10) 사이에는 필름 포장지(20)가 배치된다. 상기 롤러가 회전하면서 필름 포장지(20)를 한과(10)의 상부로 끌어당기게 되어, 도 4와 같이 필름 포장지(20)의 양 가장자리가 서로 포개어진다.
상기 롤러부(130)는 상기 롤러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과(10)의 크기에 맞추어 알맞은 높이에서 한과(10)를 포장할 수 있다.
접합부(140)는 상기 롤러부(130)에서 포개어진 필름 포장지(20)의 양 가장자리 부분을 접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접합부(140)는 열을 발생하는 히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필름 포장지(20)를 가열하여 열융착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상기 히터부재는 열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열선이나 코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부(140)는 상기 이송부(110)의 이송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한과(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접합축 및 상기 한 쌍의 접합축에 각각 배치된 접합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롤러의 내부에는 상기 히터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합롤러는 상기 한과(10)의 상부에서 한과(1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접합롤러는 각기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한과(10)의 우측에 위치한 접합롤러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한과(10)의 좌측에 위치한 접합롤러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접합롤러 및 한과(10) 사이에는 앞서 롤러부(130)에서 양 가장자리가 포개어진 필름 포장지(20)가 배치된다. 상기 접합롤러가 회전하면서 필름 포장지(20)를 한과(10)의 상부로 다시 한번 더 끌어당기게 되고, 상기 접합롤러의 내부에 배치된 히터부재에 의해 상기 필름 포장지(20)가 가열되어 열융착된다.
상기 접합부(140)는 상기 접합롤러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과(10)의 크기에 맞추어 알맞은 높이에서 한과(10)를 포장할 수 있다.
절단부(150)는 상기 접합부(140)에 의해 한과(10)를 둘러 싼 채로 이송된 필름 포장지(20)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고, 절단면을 접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절단부(150)는 상기 필름 포장지(20)를 절단하는 칼날, 상기 칼날의 일 측에 배치된 접합부(140)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부(140)재는 열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열선이나 코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 공급부(160)는 권취된 필름 포장지(20)를 보관하고, 상기 이송부(110)의 이송작업에 따라 필요한만큼의 필름 포장지(20)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필름 공급부(160)는 상기 이송부(11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제어부(170)는 이송부(110), 안내부(120), 롤러부(130), 접합부(140), 절단부(150) 등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은 각 구성요소를 동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으며, 이를 구동함으로써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컴퓨터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이송부(110), 안내부(120), 롤러부(130), 접합부(140), 절단부(150) 등의 구성요소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함으로써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한과 포장기, 110: 이송부, 120: 안내부, 121: 날개, 122: 회전부재, 130: 롤러부, 140: 접합부, 150: 절단부, 160: 필름 공급부, 170: 제어부, 10: 한과, 20: 필름 포장지

Claims (2)

  1. 필름 포장지 및 한과를 이동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한과를 일정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안내부;
    상기 필름의 양 가장자리가 상기 한과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롤러부;
    상기 필름의 양가장자리를 접합하는 접합부; 및
    상기 필름 포장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한과 포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한과를 일정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날개 및 상기 날개를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한과가 일정한 간격으로 지나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날개를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하는 것인,
    한과 포장기.

KR1020220038609A 2022-03-29 2022-03-29 한과 포장기 KR20230140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609A KR20230140024A (ko) 2022-03-29 2022-03-29 한과 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609A KR20230140024A (ko) 2022-03-29 2022-03-29 한과 포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024A true KR20230140024A (ko) 2023-10-06

Family

ID=8829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609A KR20230140024A (ko) 2022-03-29 2022-03-29 한과 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0024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735B1 (ko) 2007-09-19 2008-01-02 장성환 포장장치
KR101042178B1 (ko) 2008-10-14 2011-06-16 이명준 식품 포장 시스템 및 포장 방법
KR101577808B1 (ko) 2015-05-13 2015-12-16 주식회사 삼정지비엘 떡 포장기의 컷팅장치
KR101971106B1 (ko) 2018-09-07 2019-08-13 신동호 식품 포장기
KR102112335B1 (ko) 2018-12-04 2020-05-18 신동호 공간 확보형 식품 포장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735B1 (ko) 2007-09-19 2008-01-02 장성환 포장장치
KR101042178B1 (ko) 2008-10-14 2011-06-16 이명준 식품 포장 시스템 및 포장 방법
KR101577808B1 (ko) 2015-05-13 2015-12-16 주식회사 삼정지비엘 떡 포장기의 컷팅장치
KR101971106B1 (ko) 2018-09-07 2019-08-13 신동호 식품 포장기
KR102112335B1 (ko) 2018-12-04 2020-05-18 신동호 공간 확보형 식품 포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023361A (ja) フィルム駆動アセンブリ、フォーマショルダ、及びフォーマショルダベースプレートの組み合わせ体
JP2008094427A (ja) 製袋包装システム
US9561618B2 (en) Form-fill-seal machine
US20100043352A1 (en) Longitudinal sealing mechanism
JP2006143325A (ja) 製袋包装システム
KR20230140024A (ko) 한과 포장기
JP6139226B2 (ja) 包装機
JP2007039050A (ja) エンドシール装置および四方シール包装機
JP2006069641A (ja) ヒートシール装置、充填密封装置、ヒートシール方法、充填密封方法、製袋充填装置
JP2005153985A (ja) 充填包装機
JP2007106489A (ja) 包装機並びに耳折り装置
JP5038754B2 (ja) ピロー包装機
JP2021017270A (ja) フィルム折れ線癖付装置及びフィルム折れ線癖付方法
KR102350431B1 (ko) 포장기계시스템의 사이드 실링장치
JP6542167B2 (ja) 横型ピロー包装機
WO2006043393A1 (ja) 製袋包装システム
KR100300269B1 (ko) 자동랩필름포장기
JP2017145017A (ja) 包装装置及び包装方法
JPS6013762Y2 (ja) フイルムのサイドシ−ル装置
JP6877040B2 (ja) 製袋包装機
JP6920733B2 (ja) ピロー包装機
JP5186205B2 (ja) 袋包装体整形装置
JPH0628920B2 (ja) フィルムシート材熱溶断・溶着装置
KR102497766B1 (ko) 파우치형 포장지 제조장치
JP2019214397A (ja) 折曲げ装置およびピロー包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