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156A - 살균건조기 - Google Patents

살균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156A
KR20230139156A KR1020220037453A KR20220037453A KR20230139156A KR 20230139156 A KR20230139156 A KR 20230139156A KR 1020220037453 A KR1020220037453 A KR 1020220037453A KR 20220037453 A KR20220037453 A KR 20220037453A KR 20230139156 A KR20230139156 A KR 20230139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pace
air
flow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희
Original Assignee
(주)에센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센루 filed Critical (주)에센루
Priority to KR1020220037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156A/ko
Publication of KR20230139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15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3Containers, e.g. vials, bottles, syringes, m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제품인 젖병을 청결하게 살균 및 건조하면서 제품에서 환경호르몬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살균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살균건조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일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살균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설치되어 살균공간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상부자외선모듈과, 하부에 설치되어 살균공간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하부자외선모듈이 설치되어 살균공간으로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하부팬모듈과, 타면에 형성되어 살균공간의 공기의 유동 통로가 되는 제1유동홀모듈과, 제1유동홀모듈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격된 제2유동홀모듈을 포함하여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용기수용부 및 내부에 복수 개의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용기수용부의 후면에 설치되는 제습하우징모듈과, 제습하우징모듈의 상단에 있는 설치공간에 제1유동홀모듈과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용기수용부의 살균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메인흡입팬모듈과, 전원이 인가되면 일면에서는 열을 발생하고 타면에서는 열을 흡수하는 펠티어모듈과, 펠티어모듈의 일면에 부착되는 냉각모듈과, 펠티어모듈의 타면에 부착되는 발열모듈과, 제습하우징모듈의 하단의 설치공간에 제2유동홀모듈과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수용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모듈에서 냉각시킨 후, 발열모듈에서 가열한 후 용기수용부의 살균공간으로 배출시키는 메인송풍팬모듈이 구비되는 제습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수용부는 제2유동홀모듈과 일측 방향으로 이격된 제3유동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유동홀모듈에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수용공간 가운데 본체부와 용기수용부의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보조메인흡입팬모듈과, 보조메인흡입팬모듈에서 배출된 공기를 가열하는 PCT발열모듈과, PCT발열모듈에서 가열된 공기를 살균하는 플라즈마모듈과, 플라즈마모듈에서 살균된 공기를 용기수용부의 살균공간으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가이드모듈이 구비된 히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살균건조기{Sterilizer}
본 발명은 살균장치와 관련된 기술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영유아가 사용하는 젖병을 살균하는 젖병살균건조기와 관련된 기술이다.
병, 젖병, 수저, 그릇 등 식기류에는 많은 세균들이 묻어 있다. 많은 사람은 세균이 묻은 식기류를 사용하면서 세균에 감염된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는 세균이 묻은 젖병을 사용하였을 시, 성인 보다 쉽게 세균에 감염될 수 있다. 이에, 영유아가 사용하는 용품은 살균건조기에서 살균되어 사용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무엇보다 젖병은 영유아의 입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영유아가 사용하는 여타의 제품보다 살균건조가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현재에는 젖병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실하게 살균 건조할 수 있는 살균장치들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10739호 개시된 광원 탈부착이 가능한 젖병 살균기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대다수의 살균건조기는 열풍건조 방식으로 용품을 살균 및 건조하고 있어 플라스틱 제품에서 환경호르몬이 방출되도록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0739호 (공개일자: 2018.10.11)
본 발명은 플라스틱 제품을 건조할 때, 제품에서 환경호르몬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살균건조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일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살균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설치되어 살균공간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상부자외선모듈과, 하부에 설치되어 살균공간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하부자외선모듈이 설치되어 살균공간으로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하부팬모듈과, 타면에 형성되어 살균공간의 공기의 유동 통로가 되는 제1유동홀모듈과, 제1유동홀모듈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격된 제2유동홀모듈을 포함하여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용기수용부 및 내부에 복수 개의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용기수용부의 후면에 설치되는 제습하우징모듈과, 제습하우징모듈의 상단에 있는 설치공간에 제1유동홀모듈과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용기수용부의 살균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메인흡입팬모듈과, 전원이 인가되면 일면에서는 열을 발생하고 타면에서는 열을 흡수하는 펠티어모듈과, 펠티어모듈의 타면에 부착되는 냉각모듈과, 펠티어모듈의 일면에 부착되는 발열모듈과, 제습하우징모듈의 하단의 설치공간에 제2유동홀모듈과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본체부와 용기수용부의 수용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모듈에서 냉각시킨 후, 발열모듈에서 가열한 후 용기수용부의 살균공간으로 배출시키는 메인송풍팬모듈이 구비되는 제습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수용부는 제2유동홀모듈과 일측 방향으로 이격된 제3유동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유동홀모듈, 제2유동홀모듈 및 제3유동홀모듈은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유동홀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유동홀모듈에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수용공간 가운데 본체부와 용기수용부의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보조메인흡입팬모듈과, 보조메인흡입팬모듈에서 배출된 공기를 가열하는 PCT발열모듈과, PCT발열모듈에서 가열된 공기를 살균하는 플라즈마모듈과, 플라즈마모듈에서 살균된 공기를 용기수용부의 살균공간으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가이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습하우징모듈은 제1유동홀모듈과 중첩되는 제1타공홀 그리고 제2유동홀모듈과 중첩되는 제2타공홀을 포함하여 일면이 용기수용부의 후면에 설치되는 하우징덮개과, 내부에 복수 개의 칸막이가 설치되어 제1설치공간 내지 제4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일면이 하우징덮개의 타면과 연결되는 하우징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살균건조기는 타면에 복수 개의 배출홀이 형성되고 필터가 설치되어 메인흡입팬모듈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하는 후면케이스부와 본체부의 일면에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프레임모듈과 도어프레임모듈의 내부에 설치된 LED 표시모듈이 구비된 도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제품을 청결하게 살균 및 건조하면서 제품에서 환경호르몬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살균기의 내부의 습기를 가열한 후 냉각시키고 이를 다시 수증기로 만들어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제품을 안전하게 소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살균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살균건조기를 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살균건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살균건조기의 구성요소들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습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히터부제습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체부에서 도어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상부자외선모듈 및 하부자외선모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살균건조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청구항을 비롯해 청구항을 뒷받침하는 설명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건조기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살균건조기의 사시도이다.
살균건조기(1)는 내부습도값과 설정습도값의 연산값 그리고 살균온도가 설정온도 일례로 40도 이하에서 플라스틱 제품인 젖병을 살균 및 소독하며 환경호르몬이 나오지 않게 젖병을 살균 및 건조할 수 있다. 특히, 살균건조기(1)는 살균기의 내부의 습기를 흡입한 후 이를 가열해 기화한 후, 냉각하면서 습기를 제거한 쾌적한 공기를 용기수용부(20)의 내부로 배출시키면서 젖병을 안전하게 소독한다.
살균건조기(1)는 본체부(10)의 타면에 도어부(6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부(60)가 개방되면서 용기수용부(20)의 내부로 플라스틱 재질의 젖병 및 각종 식기류 등을 넣은 후 젖병 및 각종 식기류를 살균 및 건조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균건조기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살균건조기를 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살균건조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살균건조기의 구성요소들의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의 제습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히터부제습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체부에서 도어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살균건조기(1)는 본체부(10), 용기수용부(20), 제습부(3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아울러, 살균건조기(1)는 이러한 구성요소 외에 히터부(40), 후면케이스부(50) 및 도어부(60)를 구성요소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0)는 내부에 수용공간(100)이 형성되어 살균건조기(1)의 몸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용기수용부(20)가 설치되고 일면에는 제습부(30)가 설치된다. 그리고 후면케이스부(50)가 제습부(30)를 수용해 본체부(10)의 일면으로 설치되고 본체부(10)의 타면으로 도어부(60)가 설치될 수 있다.
용기수용부(20)는 내부에 젖병 또는 식기류를 수용하고 젖병 및 식기류에 자외선을 조사하며 습한 공기를 건조하게 만들어 젖병 및 식기류에 있는 세균을 살균한다. 이와 같은 용기수용부(2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기수용부(20)는 타면이 개구 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자외선모듈(210), 하부자외선모듈(221), 하부팬모듈(220), 제1유동홀모듈(231), 제2유동홀모듈(232) 및 제3유동홀모듈(233)을 포함한다.
상부자외선모듈(210)과 하부자외선모듈(221)은 용기수용부(20)의 내부공간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장치가 된다. 그리고 하부팬모듈(220)은 용기수용부(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용공간(200)으로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장치가 된다. 이와 같은 상부자외선모듈(210)과 하부팬모듈(220)의 특징은 도 8을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용기수용부(20)의 타면에 형성된 제1유동홀모듈(231), 제2유동홀모듈(232) 및 제3유동홀모듈(233)은 살균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유동 또는 외부의 공기가 살균공간으로 유동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제1유동홀모듈(231), 제2유동홀모듈(232) 및 제3유동홀모듈(233)은 일면에 타공된 유동홀과 이러한 유동홀을 덮는 유동홀뚜껑을 포함한다. 이때, 유동홀뚜껑은 복수 개의 홀이 타공되어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유동홀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유동홀모듈(231)은 용기수용부(20)의 타면에 형성되어 살균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유동홀모듈(232)은 일면에 제1유동홀모듈(231)과 이격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기가 살균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3유동홀모듈(233)은 제2유동홀모듈(232)과 일측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본체부(10)와 용기수용부(20)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를 살균공간(200)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제습부(30)는 용기수용부(20)에 있는 습한 공기의 수분을 기화한 후, 건조한 공기를 용기수용부(20)로 공급하며 젖병 및 식기류를 건조시킨다. 이와 같은 제습부(30)는 제습하우징모듈(310), 메인흡입팬모듈(320), 펠티어모듈(330), 냉각모듈(340), 발열모듈(350), 메인송풍팬모듈(360) 및 물받이모듈(370)을 포함한다. 아울러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습부(30)는 사운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습하우징모듈(3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면에 제1홀 및 제2홀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습하우징모듈(310)은 내부에 복수 개의 설치공간(3121~3124)이 형성되며 용기수용부(20)의 후면에 설치된다. 제습하우징모듈(310)은 하우징덮개(311) 그리고 하우징몸체(31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덮개(311)는 제1유동홀모듈(231)과 중첩되는 제1타공홀(3111) 그리고 제2유동홀모듈(232)과 중첩되는 제2타공홀(3112)을 포함하여 일면이 용기수용부(20)의 후면에 설치되는 덮개가 된다. 그리고 하우징몸체(312)는 내부에 복수 개의 칸막이가 설치되어 제1설치공간(3121) 내지 제4설치공간(3124)이 형성되어 일면이 하우징덮개(311)의 타면과 연결되는 몸체가 된다. 이러한 하우징몸체(312)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칸막이가 설치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칸막이는 복수 개의 설치공간 즉, 제1설치공간(3121) 내지 제4설치공간(3124)을 형성한다. 이때, 제1설치공간(3121)의 타면에는 제1홀(31211)이 형성되고 제4설치공간(3124)의 타면에는 제2홀(31212)이 형성된다.
제습하우징모듈(310)은 제1홀(31211)이 용기수용부(20)의 제1유동홀모듈(231) 그리고 제2홀(31212)이 용기수용부(20)의 제2유동홀모듈(232)과 중첩되도록 용기수용부(20)의 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메인흡입팬모듈(320)은 제습하우징모듈(310)의 상단에 있는 설치공간 즉, 제1설치공간(3121)의 제1유동홀모듈(231)과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용기수용부(20)의 살균공간의 공기를 흡입한다.
메인송풍팬모듈(360)은 제습하우징모듈(310)의 하단에 있는 설치공간 즉, 제4설치공간(3124)의 제2유동홀모듈(232)과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용기수용부(20)의 살균공간의 공기를 배출한다. 이때, 제2홀(31212)이 형성된 제습하우징모듈(310)의 타면에는 냉각모듈(340)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냉각모듈(340)의 타면에는 고정모듈(345)을 통해 펠티어모듈(330)이 설치된다. 그리고 펠티어모듈(330)의 타면에는 발열모듈(35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펠티어모듈(330)은 전원이 인가되면 일면에서는 열을 발생하고 타면에서는 열을 흡수한다.
펠티어모듈(330)의 타면에는 발열모듈(350)이 부착되고 일면에는 냉각모듈(340)이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펠티어모듈(330)은 발열모듈(350)을 통해 타면에서 습한 공기를 기화시키고, 냉각모듈(340)을 통해 일면에서 기화된 공기를 냉각시킨다. 이때, 펠티어모듈(330)을 통해 많은 양의 기화된 공기가 냉각되면 그에 대응해 물이 발생하고 되고, 발생된 물은 물받이모듈(37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습부(30)는 본체부(10)와 용기수용부(20)의 사이의 공간의 습한 공기를 건조한 공기로 변화시키고 본체부(10)의 내부와 본체부(10)의 외부 온도차이에 발생되는 습기를 제거한 후, 용기수용부(20)의 살균공간으로 건조한 공기를 배출한다. 이때, 발열모듈(350)은 일례로 히트 싱크가 될 수 있고, 냉각모듈(340)은 일례로 냉각시키는 싱크가 될 수 있다.
물받이모듈(370)은 냉각모듈(340)의 내부 하단부에 위치하여 냉각모듈(340)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하, 살균건조기(1)에 포함되는 히터부(40), 후면케이스부(50) 및 도어부(6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히터부(40)는 후면케이스부(50)와 용기수용부(20) 사이의 습한 공기를 건조한 공기로 변화시키고 본체부(10)의 내부와 본체부(10)의 외부 온도차이에 발생되는 습기를 제거한 후, 용기수용부(20)의 살균공간으로 건조한 공기를 배출한다. 이러한 히터부(40)는 보조메인흡입팬모듈(410)과, PCT발열모듈(420)과, 플라즈마모듈(430) 그리고 공기배출가이드모듈(44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보조메인흡입팬모듈(410)은 제3유동홀모듈(233)에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수용공간(100) 가운데 본체부(10)와 용기수용부(20)의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한다. 이와 같은 보조메인흡입팬모듈(4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유동홀모듈(233)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여 본체부(10)와 용기수용부(20) 사이에서 순환하는 공기를 원활하게 흡입하여 공기배출가이드모듈(440)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보조메인흡입팬모듈(410)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PCT발열모듈(420)에 의해 가열된다. 이때, PCT발열모듈(420)은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특성을 나타내며 전류가 흐르면 자기 발열하고, 자동적으로 고저항화 한다.
PCT발열모듈(4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플라즈마모듈(430)에 의해 살균된다. 여기서, 플라즈마모듈(430)은 PCT발열모듈(420)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열에너지를 인가하여 공기에 남아 있는 세균을 멸균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모듈(430)은 공기에 남아 있는 세균을 멸균하면서 깨끗한 공기가 용기수용부(20)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모듈(430)은 제습하우징모듈(310)의 탈취, 곰팡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후면케이스부(50)는 내부에 제습부(30)를 수용해 본체부(10)의 외주면과 연결되는 케이스가 된다. 이러한 후면케이스부(50)는 일면에 복수 개의 배출홀(510)과 필터(5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면케이스부(50)는 제습부(30)를 통해 배출되는 기체가 필터(520)에 의해 배출되고, 외부 이물질 및 세균이 필터링 된 후 유입되도록 한다.
도어부(60)는 본체부(10)의 일면에 설치되어 회동하는 도어가 된다. 이러한 도어부(60)는 도어프레임모듈(610)을 포함하여 본체부(10)의 일면의 하단에 힌지로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본체부(10)의 일면을 개폐한다. 일례로, 도어부(60)는 개방될 때는 본체부(10)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본체부(10)의 일면을 닫을 때는 본체부(10)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본체부(10)를 개폐한다.
도어프레임모듈(610)은 내부에 LED 표시모듈(620)이 설치된다. LED 표시모듈(620)은 외부에서 직류전원이 인가되어 작동될 수 있다. 아울러, 펠티어모듈(330)과 플라즈마모듈(430)의 작동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LED 표시모듈(620)은 습도센서모듈(630)과 연결되어 습도센서모듈(63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습도센서모듈(630)은 용기수용부(20)의 살균공간(200)의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된다.
아울러, 사운드모듈(650)은 도어부(60)가 닫히면서 도어센서(미도시)에서 발생된 신호와 전원버튼(101) 눌려져 발생된 신호가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으로 인가되어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에서 수신된 신호를 연산하여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작동된다. 이때, 사운드모듈(650)은 ‘삑~’ 소리를 낼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살균건조기의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도 7의 상부자외선모듈 및 하부자외선모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그리고 도 9 내지 도 14는 살균건조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자외선모듈(210)은 용기수용부(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살균공간(200)의 하방으로 자외선을 조사한다. 그리고 하부자외선모듈(221)은 하부팬모듈(220)의 날에 설치되어 살균공간(200)의 상방으로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때, 하부팬모듈(22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자외선을 살균공간(200)으로 조사한다. 상부자외선모듈(210)과 하부자외선모듈(221)은 위 아래로 자외선을 살균공간(200)에 조사하며 용기수용부(20)의 넓은 살균공간(200)에 자외선이 닿도록 하며 살균공간(200)에 넓게 배치된 식기류 및 젖병 등을 내부 및 외부에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하부팬모듈(2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날개, 제2날개 및 제3날개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살균공간(200) 내부의 공기를 아래에서 위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하부팬모듈(220)은 세 개의 날개를 포함하여 살균공간(200)을 도는 와류(A)를 원활하게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팬모듈(220)은 사용자가 전원버튼을 눌러 작동될 수 있고, LED 표시모듈(620)을 통해 작동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하부팬모듈(220) 이외에도 전원버튼에 의해 제습부(30)가 작동되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팬모듈(220)에 의해 살균공간(200)의 위로 상승하는 공기가 생성된다. 이때, 상승하는 공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흡입팬모듈(320)의 흡입력에 의해 제1유동홀모듈(231)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후, 제1유동홀모듈(231)로 빠져나간 공기의 일부는 본체부(10)의 외부 그리고 나머지 일부는 본체부(10)와 용기수용부(2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부(30)와 히터부(40)에 의해 건조한 공기로 가변 되어 제2유동홀모듈(232) 및 제3유동홀모듈(233)을 통해 용기수용부(20)의 살균공간(200)으로 다시 들어오게 된다. 이때, 하부팬모듈(220)에 의해 상승한 공기는 제2유동홀모듈(232)로 배출되는 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습한 공기가 된다.
이때, 공기후면케이스부(50)와 용기수용부(20) 사이에 있는 공기(D)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부(30) 그리고 히터부(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기화되고 냉각되면서 고온 건조한 상태로 변환된다.
이와 같은 제습부(30) 그리고 히터부(40)는 도 14의 빨간 빗금부 즉, 본체부(10)와 용기수용부(20) 사이에 있는 습한 공기(D)를 건조한 공기(C)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건조된 공기는 용기수용부(20)에 있는 젖병의 물기를 머금고 하부팬모듈(220)에 의해 다시 상승한다. 이후, 제습부(30)를 통해 제1유동홀모듈(231)로 흡입되어 공기후면케이스부(50)와 용기수용부(20)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된 공기는 다시 제습부(30) 그리고 히터부(40)에 의해 건조된 후, 용기수용부(20)의 살균공간(200)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제습부(30) 그리고 히터부(40)는 살균공간(200)의 내부 공기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며 살균공간(200)의 내부에 건조한 공기를 반복적으로 공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살균건조기(1)는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단계 그리고 (2-1)와 (2-2) 단계 그리고 (3-1)와 (3-2) 단계의 과정을 통해 용기수용부의 내부에서 고온 건조한 께끗한 공기가 지속하여 순환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살균건조기(1)는 전술한 도어프레임모듈(610)의 내부에 설치된 마이크로컨트롤럿 유닛이 마이크로컨트롤럿 유닛에 기 설정된 설정습도값과 습도센서모듈(630)에서 측정한 용기수용부(20)의 살균공간(200)의 내부습도값을 연산하여 그에 대응해 작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살균건조기(1)는 살균공간(200)의 내부습도값이 설정습도값 보다 큰 경우 상부자외선모듈(210)과 하부자외선모듈(221) 그리고 하부팬모듈(220) 그리고 제습부(30)와 히터부(40)가 살균공간(200)의 내부습도값이 설정습도값 보다 작아 질 때까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며 플라스틱 제품인 젖병을 환경호르몬이 나오지 않도록 안전하게 살균 및 소독할 수 있다.
더욱이, 살균건조기(1)는 살균공간(200)의 내부습도값이 설정습도값 보다 큰 경우 상부자외선모듈(210)과 하부자외선모듈(221) 그리고 하부팬모듈(220) 그리고 제습부(30)와 히터부(40)가 살균공간(200)의 내부습도값이 설정습도값 보다 작아 질 때까지 살균공간(200)의 공기를 반복하여 건조하게 소독하며 용기수용부(20)의 위치한 젖병 등을 안전하게 소독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제습부(30) 그리고 히터부(4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후면케이스부(50)와 용기수용부(20) 사이에 있는 공기(D)를 건조한 공기로 변화시키고 본체부(10)의 내부와 본체부(10)의 외부 온도차이에 발생되는 습기를 반복하여 제거한 후, 변화된 건조한 공기를 반복하여 용기수용부(20)의 살균공간(200)으로 배출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 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살균건조기
10: 본체부
100: 수용공간 101: 전원버튼
20: 용기수용부
200: 살균공간 210: 상부자외선모듈
220: 하부팬모듈 221: 하부자외선모듈
231: 제1유동홀모듈 232: 제2유동홀모듈
233: 제3유동홀모듈
30: 제습부
310: 제습하우징모듈
3121: 제1설치공간 3122: 제2설치공간
3123: 제3설치공간 3124: 제4설치공간
311: 하우징덮개
3111: 제1타공홀 3112: 제2타공홀
312: 하우징몸체
31211: 제1홀 31212: 제2홀
320: 메인흡입팬모듈 330: 펠티어모듈
340: 냉각모듈 345: 고정모듈
350: 발열모듈 360: 메인송풍팬모듈
370: 물받이모듈
40: 히터부
410: 보조메인흡입팬모듈 420: PCT발열모듈
430: 플라즈마모듈 440: 공기배출가이드모듈
50: 후면케이스부
510: 배출홀 520: 필터
60: 도어부
610: 도어프레임모듈 620: LED 표시모듈
630: 습도센서모듈 640: 온도제어모듈
650: 사운드모듈
A: 와류
B: 습한 공기 C: 뜨거워진 공기
D: 본체부와 용기수용부의 사이에 있는 공기

Claims (5)

  1. 내부에 수용공간(100)이 형성된 본체부(10);
    일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살균공간(200)이 형성되고, 상부에 설치되어 살균공간(200)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상부자외선모듈(210)과, 하부에 설치되어 살균공간(200)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하부자외선모듈(221)이 설치되어 살균공간(200)으로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하부팬모듈(220)과, 타면에 형성되어 살균공간(200)의 공기의 유동 통로가 되는 제1유동홀모듈(231)과, 제1유동홀모듈(231)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격된 제2유동홀모듈(232)을 포함하여 본체부(10)의 수용공간(100)에 삽입되는 용기수용부(20) 및
    내부에 복수 개의 설치공간(3121~3124)이 형성되며 용기수용부(20)의 후면에 설치되는 제습하우징모듈(310)과, 제습하우징모듈(310)의 상단에 있는 설치공간에 제1유동홀모듈(231)과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용기수용부(20)의 살균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메인흡입팬모듈(320)과, 전원이 인가되면 일면에서는 열을 발생하고 타면에서는 열을 흡수하는 펠티어모듈(330)과, 펠티어모듈(330)의 일면에 부착되는 냉각모듈(340)과, 펠티어모듈(330)의 타면에 부착되는 발열모듈(350)과, 제습하우징모듈(310)의 하단의 설치공간에 제2유동홀모듈(231)과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수용공간(100)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모듈(340)에서 냉각시킨 후, 발열모듈(350)에서 가열한 후 용기수용부(20)의 살균공간(200)으로 배출시키는 메인송풍팬모듈(360)이 구비되는 제습부(30)를 포함하는, 살균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용기수용부(20)는,
    제2유동홀모듈(232)과 일측 방향으로 이격된 제3유동홀모듈(233)을 더 포함하는, 살균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제3유동홀모듈(233)에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수용공간(100) 가운데 본체부(10)와 용기수용부(20)의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보조메인흡입팬모듈(410)과, 보조메인흡입팬모듈(410)에서 배출된 공기를 가열하는 PCT발열모듈(420)과, PCT발열모듈(420)에서 가열된 공기를 살균하는 플라즈마모듈(430)과, 플라즈마모듈(430)에서 살균된 공기를 용기수용부(20)의 살균공간(200)으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가이드모듈(440)이 구비된 히터부(40)를 더 포함하는, 살균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제습하우징모듈(310)은,
    제1유동홀모듈(231)과 중첩되는 제1타공홀(3111) 그리고 제2유동홀모듈(232)과 중첩되는 제2타공홀(3112)을 포함하여 일면이 용기수용부(20)의 후면에 설치되는 하우징덮개(311)과,
    내부에 복수 개의 칸막이가 설치되어 제1설치공간(3121) 내지 제4설치공간(3124)이 형성되어 일면이 하우징덮개(311)의 타면과 연결되는 하우징몸체(312)를 포함하는, 살균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타면에 복수 개의 배출홀(510)이 형성되고 필터(520)가 설치되어 메인흡입팬모듈(32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본체부(10)의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하여 본체부(10)의 후면에 설치되는 후면케이스부(50)와
    본체부(10)의 일면에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프레임모듈(610)과 도어프레임모듈(610)의 내부에 설치된 LED 표시모듈(620)이 구비된 도어부(60)를 포함하는, 살균건조기.
KR1020220037453A 2022-03-25 2022-03-25 살균건조기 KR20230139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453A KR20230139156A (ko) 2022-03-25 2022-03-25 살균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453A KR20230139156A (ko) 2022-03-25 2022-03-25 살균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156A true KR20230139156A (ko) 2023-10-05

Family

ID=8829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453A KR20230139156A (ko) 2022-03-25 2022-03-25 살균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15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739A (ko) 2017-03-30 2018-10-11 (주)제니컴 광원 탈부착이 가능한 젖병 살균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739A (ko) 2017-03-30 2018-10-11 (주)제니컴 광원 탈부착이 가능한 젖병 살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793B1 (ko) 유아용품 살균 소독장치
US7179436B2 (en) Sterilization system and method
KR102371733B1 (ko) 전기 소독기
KR20130124094A (ko) 가정용 살균기 겸용 건조기
KR101812652B1 (ko)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시스템
KR20200120484A (ko) 휴대용 자외선 소독 용기
CN205494453U (zh) 一种烘干消毒装置
US20230321292A1 (en) Shoe care apparatus
KR101678176B1 (ko) 유축기가 포함된 유아용품 살균기
KR200417529Y1 (ko) 전기 식기 소독기
KR200393540Y1 (ko) 식기 소독기
KR20230139156A (ko) 살균건조기
KR20140107937A (ko) 플라즈마 멸균 건조기
KR20170069459A (ko) 살균건조기 겸용 식품건조기
KR102371732B1 (ko) 전기 소독기
KR20140005500U (ko) 젖병 소독건조기
KR100883689B1 (ko) 젖병소독기
KR102336122B1 (ko) 전기 소독기
CN113101383B (zh) 一种台嵌式消毒柜
US20070140895A1 (en) Sterilization system and method
KR20220118809A (ko) 사물인터넷 적용 신발 보관함
KR200438002Y1 (ko) 식기 소독기
KR20210141899A (ko) 다목적 자외선 살균기
KR200418256Y1 (ko) 차량용 매트 건조 및 살균기
KR200405798Y1 (ko) 식기 소독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