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652B1 -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652B1
KR101812652B1 KR1020170103362A KR20170103362A KR101812652B1 KR 101812652 B1 KR101812652 B1 KR 101812652B1 KR 1020170103362 A KR1020170103362 A KR 1020170103362A KR 20170103362 A KR20170103362 A KR 20170103362A KR 101812652 B1 KR101812652 B1 KR 101812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storage unit
suction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주)세기시스템
김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기시스템, 김성호 filed Critical (주)세기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103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8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tributing fluidising gas, e.g. gri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3Containers, e.g. vials, bottles, syringes, mai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풍을 순환시켜 식기를 건조함과 동시에 소독할 수 있는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 내부 공기를 급속도로 가열하여 순환시킴으로써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의 내부 중앙의 식기까지 골고루 건조 및 소독할 수 있으며, 건조 시간이 단축됨으로 인해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시스템 {omitted}
본 발명은 열풍을 순환시켜 식기를 건조함과 동시에 소독할 수 있는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와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종래 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0-0115013호에서는 식기 건조,살균기를 제시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군대 또는 대수의 인원에 식사를 제공할 때 사용되는 식기를 건조,살균하여 식기에 기생하는 세균에 의해 식중독 등의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식기건조,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은 사용 후 세척된 식판을 수용하여 건조,살균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에 각각 반투명의 문을 구비하여 건조,살균과정 중에 램프에서 발생하는 빛이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본체와 문 사이에 센서를 구비하여 문을 개방하였을 때 램프의 작동을 멈추게 하였고, 외측 상부에 각종 기기들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제어스위치를 구비하여 기기의 작동여부 및 작동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본체와;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본체로 열풍을 보내 수용된 식판를 건조하는 것으로, 전기를 인가받아 가열되어 열을 발산하는 히터와/ 히터의 후방에 구비되어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본체로 보내 식판을 건조하는 송풍기와/ 히터에 의해 발산된 열풍을 본체의 격벽에 다수 구비된 열풍입구로 보내어 식판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한 이송관으로 된 건조장치와; 본체의 상측에 구비되어 원적외선을 발산하여 식판에 기생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살균램프와;식판을 본체에 거취하여 건조장치를 통하여 공급되는 열풍을 통하여 식판을 건조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식판을 거취하기 위한 틀이 되며, 살균램프에서 조사된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사각판과/ 사각판을 일부를 절개한 후 절개부를 상향되도록 절곡하여 식판을 거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절개부의 절단면은 하부로 일부 함몰되어 식판을 거취할 때 절개부와 절단면에 식판이 끼워져 식판이 고정도록 한 걸기구와/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식판이 거취된 걸이구를 본체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걸이구가 슬라이딩되어 전후이동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부재로 된 거취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밀폐구조에서는 식기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장치 내부에 형성되는 수증기로 인해 건조 효율이 떨어지고, 열풍이 식기에 골고루 닿게 하기 위해서는 각 식기가 수용된 칸 마다 송풍기를 구비해야 하므로 전력 소모가 클 수 밖에 없다. 또한 송풍기로 열풍을 불어넣기만 할 뿐, 강제순환방식이 아니어서 공기순환이 느려져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0-0115013호 (2010.10.27.)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즉,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 내부 공기를 급속도로 가열하여 순환시킴으로써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의 내부 중앙의 식기까지 골고루 건조 및 소독할 수 있으며, 건조 시간이 단축됨으로 인해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식기(60)를 세워 보관하는 식기보관부(100); 식기보관부(100)의 측면에서 식기보관부(100)를 가열하는 히팅부(200); 식기보관부(100)의 공기를 흡입하여 히팅부(200)로 전달하는 공기순환부(300); 공기순환부(30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의 공기를 식기보관부(100)로 흡입시키는 배출흡입제어부(400);를 포함하고, 히팅부(200)는 히팅부(200)의 내부 공기를 가열함과 동시에 식기보관부(100)의 측면을 가열하는 히터(210), 히터(21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식기보관부(100)로 배출되도록 식기보관부(100)와 히팅부(200)의 사이 격벽에 구멍으로 형성된 다수의 열기배출구(220)를 포함하되, 히터(210)가 히팅부(2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열기배출구(220)는 히터(210)가 형성되지 않은 히팅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히터(210)를 구성하는 열선은 세로로 긴 'U' 또는 뒤집은 'U' 형상의 열선이 다수 결합된 것이고, 공기순환부(300)는 식기보관부(100)의 공기가 공기순환부(300)로 흡입되도록 식기보관부(100)와 공기순환부(300)의 사이 격벽 중앙에 다수의 구멍으로 형성된 집중흡입부(320), 집중흡입부(320)의 상부에서 하부 공기를 상방으로 흡입시켜 측방으로 배출시키는 순환팬(310), 배출흡입제어부(400)에서 흡입되는 외기가 식기보관부(100)로 유입되도록 식기보관부(100)와 공기순환부(300)의 사이 격벽 및 집중흡입부(320)와 최대한 이격된 위치에 구멍으로 형성되는 외기관통구(330)를 포함하고, 배출흡입제어부(400)는 공기순환부(30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공기순환부(30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내기배출부(410), 외부의 공기를 식기보관부(100)로 흡입시키도록 공기순환부(300)의 상부 일측에서부터 식기보관부(100)의 상부까지 형성된 외기흡입부(420)를 포함하며, 내기배출부(410)와 외기흡입부(420)는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50)의 상부에서 최대한 멀리 이격시켜 설치되고, 내기배출부(410)는 공기순환부(300)의 상부 일측에서 소정길이로 외부로 돌출된 개폐관(411), 개폐관(411)을 가로질러 형성되며 개폐모터(414)에 의해 회전하는 개폐축(413), 개폐축(413)에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개폐관(411)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는 개폐날개(412), 개폐날개(412)에 의해 개폐관(411)이 개방될 때 공기순환부(300)의 공기를 개폐관(411)을 통해 강제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내기배출팬(417)을 포함하고, 외기흡입부(420)는 공기순환부(300)의 상부 일측에 소정길이 외부로 돌출되며 하부로 외기관통구(330)까지 이어지는 개폐관(421), 개폐관(421)을 가로질러 형성되며 개폐모터(424)에 의해 회전하는 개폐축(423), 개폐축(423)에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개폐관(421)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는 개폐날개(422), 개폐관(421)의 전단에 형성되는 공기필터(426), 개폐날개(422)에 의해 개폐관(421)이 개방될 때 외부의 공기를 개폐관(421)을 통해 강제로 식기보관부(100)로 흡입시키는 외기흡입팬(427)을 포함하며, 개폐날개(412,422)는 개폐관(421,422) 폐쇄시 개폐관에 닿는 모서리에 탄성있는 재질의 패킹(412a,422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 또는
상기의 장치를 이용한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시스템은, 열풍 순환 모드에 의해 식기보관부(100)의 내부 온도가 올라가다가 일정 수준 이상 도달하면 강제 배출흡입 모드로 전환되고, 강제 배출흡입 모드에 의해 식기보관부(100)의 내부 온도가 내려가다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열풍 순환 모드로 전환되며, 열풍 순환 모드는 순환팬(310)과 히터(210)를 가동시키고 내기배출팬(417)과 외기흡입팬(427)을 정지시켜 내기배출부(410)와 외기흡입부(420)가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것이고, 강제 배출흡입 모드는 순환팬(310)과 히터(210)를 가동시키고 내기배출팬(417)과 외기흡입팬(427)을 가동시켜 내기배출부(410)와 외기흡입부(420)가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시스템을 제시한다.
삭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 내부 공기를 급속도로 가열하여 순환시킴으로써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의 내부 중앙의 식기까지 골고루 건조 및 소독할 수 있으며, 건조 시간이 단축됨으로 인해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에 대한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배출흡입제어부에 대한 평면도.
도 5는 공기순환부에 대한 평면도.
도 6은 식기보관부에 대한 평면도.
도 7은 배출흡입제어부에 의한 강제 배출 및 흡입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순환팬에 의한 공기 순환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내기배출부와 외기흡입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개폐관의 구성에 대한 평면도.
도 13은 개폐관의 폐쇄(a) 및 개방(b)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설명 중 "상", "하" 등의 방향 한정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2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하는 것일 뿐, 기준선(또는 도면)을 달리하면 방향도 달리 지시될 것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는 도 2와 같이 식기보관부(100), 히팅부(200), 공기순환부(300) 및 배출흡입제어부(400)로 구성된다.
식기보관부(100)는 다수의 식기(60)를 세워 보관하는 부분으로서, 도 2 및 도 3과 같이 식기수납판(110)과 식기수납판고정부(120)로 구성된다.
식기수납판(110)은 식기(60)가 수납되는 판으로서, 식기보관부(100)의 내부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공기관통구(1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식기수납판(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보관부(100)의 내부에서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고, 식기(60)를 수납한 채 식기보관부(100)의 외부로 꺼내는 등 인입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식기수납판고정부(120)는 식기보관부(100)의 측벽에서 식기수납판(11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도 3과 같이 세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고정홈(1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식기수납판고정부의 고정홈(121)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121a,미도시)를 이용하여 원하는 높이에 높이조절부재(121a)를 결합시킨 뒤 그 위로 식기수납판(110)이 얹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공지의 구성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식기고정부(113)는 다수의 돌기로 형성되어 수납되는 식기(6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히팅부(200)는 식기보관부(100)의 측면에서 식기보관부(100)를 가열하는 부분으로서, 도 2 및 도 3과 같이 히터(210)와 열기배출구(220)로 구성된다. 즉,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50)의 측벽이 이중벽으로 형성되어 이중벽 사이 공간이 히팅부(200)가 되는 것이다.
히터(210)는 히팅부(200)의 내부 공기를 가열함과 동시에 식기보관부(100)의 측면을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부(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하는 순환팬(310)에 의해 히팅부(200)의 내부 공기는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식기보관부(100)로 배출되므로 히터(210)가 히팅부(200)의 상부에만 위치하더라도 히팅부(200)의 하부까지 열기를 제공할 수 있는 바, 히터의 열선 배치를 최소화하여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특히, 히터(210)를 구성하는 열선이 세로로 길게 놓임으로써 히팅부(200)의 상부 공기가 하부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세로로 긴 'U' 또는 뒤집은 'U' 형상의 열선이 다수 결합되도록 한다. 이 때, 식기보관부(100)의 양측 상부(Z2,Z3)에 수납되는 식기(60)는 히터(210)의 열이 바로 전달되는 영역에 위치하므로 히터(210)의 열에 의해 건조 및 살균되는 효과가 있다(도 9 참고).
열기배출구(220)는 히터(21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식기보관부(100)로 배출되도록 식기보관부(100)와 히팅부(200)의 사이 격벽에 형성된 구멍으로서, 식기보관부(100)와 히팅부(200)의 사이 격벽 전면에 걸쳐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식기보관부(100)의 내부 공기 순환을 가속화시키기 위해 도 9와 같이 히터(210)가 형성되지 않은 히팅부(200)의 하부에만 열기배출구(220)가 형성되면 열기배출구(220)로 배출되는 열기의 속도가 빨라져 식기보관부(100)의 양옆에서 배출되어 부딪혀 중앙 상방으로 이동하는 열기의 속도와 양 또한 많아지게 되므로 히터(210)의 열이 직접 닿지 않는 식기보관부(100)의 중앙 상부(Z1) 및 하부(Z4)의 건조 효율을 더욱 높을 수 있게 된다.
공기순환부(300)는 식기보관부(100)의 공기를 흡입하여 히팅부(200)로 전달하는 부분으로서, 도 2 및 도 5와 같이 식기보관부(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간이며 순환팬(310), 집중흡입부(320), 외기관통구(330)로 구성된다.
순환팬(310)은 하부 공기를 상방으로 흡입시켜 측방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순환팬모터(311)에 의해 작동된다. 구조 특성상 순환팬모터(311)는 배출흡입제어부(400)가 형성된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5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될 것이다.
집중흡입부(320)는 식기보관부(100)의 공기가 공기순환부(300)로 흡입되도록 식기보관부(100)와 공기순환부(300)의 사이 격벽에 다수의 구멍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식기보관부(100)와 공기순환부(300)의 사이 격벽 중앙에 다수의 구멍이 집중적으로 형성되고, 바로 상부에 순환팬(310)에 형성되어, 순환팬(310) 가동시 식기보관부(100) 내부의 공기가 상부 중앙으로 집중적으로 흡입되도록 구성한다. 순환팬(310)에 의해 집중흡입부(320)로 흡입된 공기는 공기순환부(300)를 거쳐 히팅부(200)로 유입된다. 이를 위해서는 공기순환부(300)와 히팅부(200)는 물리적으로 연결된 공간이어야 할 것이다.
외기관통구(330)는 배출흡입제어부(400)에서 흡입되는 외기가 식기보관부(100)로 유입되도록 식기보관부(100)와 공기순환부(300)의 사이 격벽에 형성되는 구멍으로서, 후술하는 외기흡입부(420)의 개폐관(421)이 연결된다. 집중흡입부(320)로 흡입되는 공기와 혼합되지 않도록 집중흡입부(320)와 외기관통구(330)의 위치는 최대한 이격시킴이 바람직하다. 집중흡입부(320)가 공기순환부(30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될 것이므로, 외기관통구(330)는 최대한 외곽으로 배치한다.
배출흡입제어부(400)는 공기순환부(30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의 공기를 식기보관부(100)로 흡입시키는 부분으로서, 도 2 및 도 4와 같이 내기배출부(410), 외기흡입부(420)로 구성된다. 내기배출부(410)와 외기흡입부(420)는 도 1 및 도 10과 같이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50)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함으로써 외기흡입부(420)와 내기배출부(410)가 최대한 멀리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기배출부(410)를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S)가 다시 외기흡입부(42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50)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순환과정에서의 공기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인 것이다.
내기배출부(410)는 공기순환부(30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공기순환부(30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도 12 및 도 13과 같이 개폐관(411), 개폐날개(412), 개폐축(413) 및 내기배출팬(417,미도시)으로 구성된다.
개폐관(411)은 공기순환부(300)의 상부 일측에서 소정길이로 외부로 돌출된 관으로서, 공기순환부(300)에서 외부로 빠져나가는 공기의 이동통로가 된다.
개폐축(413)은 개폐관(411)을 가로질러 형성되며 개폐모터(414)에 의해 회전하며, 개폐날개(412)는 개폐축(413)에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개폐관(411)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내기배출팬(417)은 배출팬모터(417a)에 의해 작동되는 팬(FAN)으로서 개폐날개(412)에 의해 개폐관(411)이 개방될 때 공기순환부(300)의 공기를 개폐관(411)을 통해 강제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하부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것이다.
외기흡입부(420)는 외부의 공기를 식기보관부(100)로 흡입시키도록 공기순환부(300)의 상부 일측에서부터 식기보관부(100)의 상부까지 형성되며, 도 12 및 도 13과 같이 개폐관(421), 개폐날개(422), 개폐축(423), 개폐모터(424) 및 외기흡입팬(427,미도시)을 기본 구성으로 하며 공기필터(4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관(421)은 공기순환부(300)의 상부 일측에 소정길이 외부로 돌출되며 하부로 외기관통구(330)까지 이어지는 관으로서, 외부에서 식기보관부(1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통로가 된다.
개폐축(423)은 개폐관(421)을 가로질러 형성되며 개폐모터(424)에 의해 회전하며, 개폐날개(422)는 개폐축(423)에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개폐관(421)을 개방(도 13(b))하거나 폐쇄(도 13(a))시키는 역할을 한다.
외기흡입팬(427)은 흡입팬모터(427a)에 의해 작동되는 팬(FAN)으로서, 개폐날개(422)에 의해 개폐관(421)이 개방될 때 외부의 공기를 개폐관(421)을 통해 강제로 식기보관부(100)로 흡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공기필터(426)는 개폐관(421)의 전단에 형성되어 식기보관부(100)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데, 제습제(426a)를 내장하게 되면 먼지나 유해물질을 걸러낼 뿐만 아니라 건조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여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외부 공기(A1)는 공기필터(426)를 거치면서 건조하고 깨끗한 공기(A2)로 바뀌어 개폐관(411)을 통해 식기보관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내기배출부 및 외기흡입부의 개폐날개(412,422)는 각각 패킹(412a,422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킹(412a,422a)은 탄성있는 재질로서 개폐관(421,422) 폐쇄시 개폐관에 닿는 개폐날개(412,422)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것이다. 이는 개폐관 폐쇄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열풍 순환식 식기소독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열풍 순환 모드 (도 8, 9)
순환팬
(310)
히터
(210)
내기배출부
(410)
내기배출팬
(417)
외기흡입부
(420)
외기흡입팬
(427)
가동 가동 폐쇄 정지 폐쇄 정지
먼저, 표 1과 같이 히팅부(200)의 히터(210)를 가동하여 식기보관부(100)의 내부를 가열시키는데, 이와 동시에 공기순환부(300)의 순환팬(310)을 가동하여 식기보관부(100)의 내부 공기가 공기순환부(300)로 흡입되어 히팅부(200)를 거쳐 가열된 후 다시 식기보관부(100)로 배출되는 순환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순환팬(310)에 의해 식기보관부(100)의 공기가 공기순환부(300)로 흡입(B3,B4)되고, 흡입된 공기는 순환팬(310)에 의해 밀려나면서 히팅부(200)로 유입(B5,B6)된다. 히팅부(200)로 유입된 공기는 히터(210)에 의해 가열되면서 이동하여 다시 식기보관부(100)로 배출(B7,B8)된다. 이 때 식기보관부(100)의 양옆에서 불어나오는 공기(B1,B2)는 중앙에서 부딪쳐 위로 밀려올라가는 상승 기류(F)를 형성하게 된다. 이는 다시 주변의 열기 및 수증기와 함께 집중흡입부(320)를 통해 공기순환부(300)로 흡입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식기보관부(100)에 보관된 식기(60)의 물이 증발하면서 식기보관부(100)의 상부 및 공기순환부(300)에는 수증기(S)가 쌓이게 된다.
2. 강제 배출/흡입 모드 (도 7)
순환팬
(310)
히터
(210)
내기배출부
(410)
내기배출팬
(417)
외기흡입부
(420)
외기흡입팬
(427)
가동 정지 개방 가동 개방 가동
식기보관부(100)의 내부 온도가 올라가다가 일정 수준 이상까지 도달하면 표 2와 같이 히터(210)의 가동을 중단하고 배출흡입제어부(400)의 내기배출부(410)와 외기흡입부(420)를 동시에 개방시킨다. 내기배출부(410)의 내기배출팬(417) 및 외기흡입부(420)의 외기흡입팬(427) 역시 동시에 가동시킴으로써 식기보관부(100)의 상부 및 공기순환부(300)에 쌓인 수증기(S)를 강제로 배출시키고, 건조한 공기(A2)를 식기보관부(100)로 강제 흡입시키는 것이다. 이 때 외부공기(A1)는 공기필터(426)를 거치면서 건조한 공기(A2)로 바뀐다.
소정 시간동안 배출흡입제어부(400)에 의한 공기의 강제 흡입 및 배출이 진행되고 나면 식기보관부(100)의 내부 온도가 내려가게 되는데,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내기배출부(410)와 외기흡입부(420)를 동시에 폐쇄시키고 내기배출팬(417) 및 외기흡입팬(427)의 가동을 중단시키며, 히터(210)를 가동시켜 다시 열풍 순환 모드로 진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식기보관부
110 : 식기수납판
112 : 공기관통구
113 : 식기고정부
120 : 식기수납판고정부
121 : 고정홈
121a : 높이조절부재
200 : 히팅부
210 : 히터
220 : 열기배출구
300 : 공기순환부
310 : 순환팬
311 : 순환팬모터
320 : 집중흡입부
330 : 외기관통구
400 : 배출흡입제어부
410 : 내기배출부
411 : 개폐관
412 : 개폐날개
412a : 패킹
413 : 개폐축
414 : 개폐모터
417 : 내기배출팬
417a : 배출팬모터
420 : 외기흡입부
421 : 개폐관
422 : 개폐날개
422a : 패킹
423 : 개폐축
424 : 개폐모터
426 : 공기필터
426a : 제습제
427 : 외기흡입팬
427a : 흡입팬모터
50 :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
60 : 식기

Claims (3)

  1. 다수의 식기(60)를 세워 보관하는 식기보관부(100);
    식기보관부(100)의 측면에서 식기보관부(100)를 가열하는 히팅부(200);
    식기보관부(100)의 공기를 흡입하여 히팅부(200)로 전달하는 공기순환부(300);
    공기순환부(30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의 공기를 식기보관부(100)로 흡입시키는 배출흡입제어부(400);를 포함하고,

    히팅부(200)는
    히팅부(200)의 내부 공기를 가열함과 동시에 식기보관부(100)의 측면을 가열하는 히터(210),
    히터(21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식기보관부(100)로 배출되도록 식기보관부(100)와 히팅부(200)의 사이 격벽에 구멍으로 형성된 다수의 열기배출구(220)를 포함하되,
    히터(210)가 히팅부(2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열기배출구(220)는 히터(210)가 형성되지 않은 히팅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히터(210)를 구성하는 열선은 세로로 긴 'U' 또는 뒤집은 'U' 형상의 열선이 다수 결합된 것이고,

    공기순환부(300)는
    식기보관부(100)의 공기가 공기순환부(300)로 흡입되도록 식기보관부(100)와 공기순환부(300)의 사이 격벽 중앙에 다수의 구멍으로 형성된 집중흡입부(320),
    집중흡입부(320)의 상부에서 하부 공기를 상방으로 흡입시켜 측방으로 배출시키는 순환팬(310),
    배출흡입제어부(400)에서 흡입되는 외기가 식기보관부(100)로 유입되도록 식기보관부(100)와 공기순환부(300)의 사이 격벽 및 집중흡입부(320)와 최대한 이격된 위치에 구멍으로 형성되는 외기관통구(330)를 포함하고,

    배출흡입제어부(400)는
    공기순환부(30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공기순환부(30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내기배출부(410),
    외부의 공기를 식기보관부(100)로 흡입시키도록 공기순환부(300)의 상부 일측에서부터 식기보관부(100)의 상부까지 형성된 외기흡입부(420)를 포함하며,
    내기배출부(410)와 외기흡입부(420)는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50)의 상부에서 최대한 멀리 이격시켜 설치되고,

    내기배출부(410)는
    공기순환부(300)의 상부 일측에서 소정길이로 외부로 돌출된 개폐관(411),
    개폐관(411)을 가로질러 형성되며 개폐모터(414)에 의해 회전하는 개폐축(413),
    개폐축(413)에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개폐관(411)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는 개폐날개(412),
    개폐날개(412)에 의해 개폐관(411)이 개방될 때 공기순환부(300)의 공기를 개폐관(411)을 통해 강제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내기배출팬(417)을 포함하고,

    외기흡입부(420)는
    공기순환부(300)의 상부 일측에 소정길이 외부로 돌출되며 하부로 외기관통구(330)까지 이어지는 개폐관(421),
    개폐관(421)을 가로질러 형성되며 개폐모터(424)에 의해 회전하는 개폐축(423),
    개폐축(423)에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개폐관(421)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는 개폐날개(422),
    개폐관(421)의 전단에 형성되는 공기필터(426),
    개폐날개(422)에 의해 개폐관(421)이 개방될 때 외부의 공기를 개폐관(421)을 통해 강제로 식기보관부(100)로 흡입시키는 외기흡입팬(427)을 포함하며,

    개폐날개(412,422)는
    개폐관(421,422) 폐쇄시 개폐관에 닿는 모서리에 탄성있는 재질의 패킹(412a,422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
  2. 제 1 항의 장치를 이용한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시스템은,
    열풍 순환 모드에 의해 식기보관부(100)의 내부 온도가 올라가다가 일정 수준 이상 도달하면 강제 배출흡입 모드로 전환되고,
    강제 배출흡입 모드에 의해 식기보관부(100)의 내부 온도가 내려가다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열풍 순환 모드로 전환되며,

    열풍 순환 모드는
    순환팬(310)과 히터(210)를 가동시키고 내기배출팬(417)과 외기흡입팬(427)을 정지시켜 내기배출부(410)와 외기흡입부(420)가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것이고,
    강제 배출흡입 모드는
    순환팬(310)과 히터(210)를 가동시키고 내기배출팬(417)과 외기흡입팬(427)을 가동시켜 내기배출부(410)와 외기흡입부(420)가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시스템.



  3. 삭제
KR1020170103362A 2017-08-16 2017-08-16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시스템 KR101812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362A KR101812652B1 (ko) 2017-08-16 2017-08-16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362A KR101812652B1 (ko) 2017-08-16 2017-08-16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652B1 true KR101812652B1 (ko) 2017-12-27

Family

ID=60938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362A KR101812652B1 (ko) 2017-08-16 2017-08-16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6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846B1 (ko) 2019-01-15 2019-11-21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전기 식기 소독장
CN112274660A (zh) * 2020-10-30 2021-01-29 程培春 一种肿瘤科医用消毒柜
CN112294978A (zh) * 2020-10-30 2021-02-02 程培春 一种手术科消毒柜
KR102341748B1 (ko) 2021-06-08 2021-12-20 박종록 소독기 제조방법
KR102357950B1 (ko) 2021-09-28 2022-02-08 박종록 소독기 제조방법
KR102412495B1 (ko) * 2021-06-29 2022-06-23 전운하 식판 건조기
KR102642464B1 (ko) * 2023-05-17 2024-02-29 흥부산업 주식회사 전기 식기 소독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248B2 (ja) * 1995-08-07 2000-08-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記録再生装置
JP2002010965A (ja) * 2000-06-29 2002-01-15 Hoshizaki Electric Co Ltd 熱風式保管庫
KR200351015Y1 (ko) 2004-02-12 2004-05-17 주식회사 파세코 식기건조기의 열풍 재순환구조
KR200393540Y1 (ko) 2005-06-09 2005-08-22 이승구 식기 소독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248B2 (ja) * 1995-08-07 2000-08-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記録再生装置
JP2002010965A (ja) * 2000-06-29 2002-01-15 Hoshizaki Electric Co Ltd 熱風式保管庫
KR200351015Y1 (ko) 2004-02-12 2004-05-17 주식회사 파세코 식기건조기의 열풍 재순환구조
KR200393540Y1 (ko) 2005-06-09 2005-08-22 이승구 식기 소독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846B1 (ko) 2019-01-15 2019-11-21 주식회사 신성하인스 전기 식기 소독장
CN112274660A (zh) * 2020-10-30 2021-01-29 程培春 一种肿瘤科医用消毒柜
CN112294978A (zh) * 2020-10-30 2021-02-02 程培春 一种手术科消毒柜
CN112294978B (zh) * 2020-10-30 2022-04-26 山东博科消毒设备有限公司 一种手术科消毒柜
CN112274660B (zh) * 2020-10-30 2022-07-12 程培春 一种肿瘤科医用消毒柜
KR102341748B1 (ko) 2021-06-08 2021-12-20 박종록 소독기 제조방법
KR102412495B1 (ko) * 2021-06-29 2022-06-23 전운하 식판 건조기
KR102357950B1 (ko) 2021-09-28 2022-02-08 박종록 소독기 제조방법
KR102642464B1 (ko) * 2023-05-17 2024-02-29 흥부산업 주식회사 전기 식기 소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652B1 (ko)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풍 순환식 식기 살균 및 건조 시스템
KR102544917B1 (ko) 욕실관리기
KR102046846B1 (ko) 전기 식기 소독장
KR20150004420U (ko) 건조 및 살균 기능이 구비된 의류 관리 장치
KR200393540Y1 (ko) 식기 소독기
KR200417529Y1 (ko) 전기 식기 소독기
US10240806B2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US10393403B2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KR101034760B1 (ko) 식기 건조,살균기
KR102057057B1 (ko) 오존발생용 uv램프를 이용한 냉장고용 살균장치
CN113101383B (zh) 一种台嵌式消毒柜
KR200435151Y1 (ko) 살균장치
KR20090038954A (ko) 멸균 온풍기
KR102336122B1 (ko) 전기 소독기
CN113101384B (zh) 一种台嵌式消毒柜
KR20110029251A (ko) 식기 건조 및 살균기
JP2007195846A (ja) 消毒保管装置
KR200438002Y1 (ko) 식기 소독기
KR20190109937A (ko) 전기 소독기
KR102642464B1 (ko) 전기 식기 소독기
CN215504505U (zh) 一种台嵌式消毒柜
CN214762342U (zh) 一种台嵌式消毒柜
KR102645225B1 (ko) 가정용 공기청정기
CN113101381B (zh) 一种台嵌式消毒柜
CN217660796U (zh) 一种厨房用具消毒机及集成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