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154A -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 - Google Patents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154A
KR20230139154A KR1020220037450A KR20220037450A KR20230139154A KR 20230139154 A KR20230139154 A KR 20230139154A KR 1020220037450 A KR1020220037450 A KR 1020220037450A KR 20220037450 A KR20220037450 A KR 20220037450A KR 20230139154 A KR20230139154 A KR 20230139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ent
wallpaper
board
interior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애임
Original Assignee
와진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진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진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7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154A/ko
Publication of KR20230139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1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04F13/0887Adhesiv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adhesive foils or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wood or with an outer layer of 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 도배된 벽지의 재질에 맞게 부착부재를 선택하여 심미감이 저하되지 않게 템바보드를 도배의 방식으로 벽지 외면에 고정시키되 향기를 발산시키는 발향부재를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후각적으로 사용자의 쾌적함을 함께 구현시킬 수 있는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벽이나 벽지 외면에 부착되는 인테리어용 템바보드에 있어서, 상기 템바보드는 인테리어적 심미감 도출을 위한 모양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가 벽지 외면에 부착되거나 벽지가 도배된 건물 내벽과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후면에 구비되는 부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몸체가 건물 내벽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제1부착체 또는 상기 몸체가 벽지 외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부착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Wood tempera board for interior with the function of emitting fragrance}
본 발명은 이미 도배된 벽지의 재질에 맞게 부착부재를 선택하여 심미감이 저하되지 않게 템바보드를 도배의 방식으로 벽지 외면에 고정시키되 향기를 발산시키는 발향부재를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후각적으로 사용자의 쾌적함을 함께 구현시킬 수 있는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에 관한 것이다.
밋밋하고 단조로운 실내 환경에서 벗어나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고자 인테리어 자재를 벽면에 부착하거나 설치하는 경우가 날로 확대되고 있다.
이때의 인테리어 자재로서 도배를 이용한 벽지, 시트지 등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실제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다.
하지만, 위에서 소개한 통상적인 인테리어 자재의 경우, 단순히 벽면을 화려하게 연출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할 뿐 그 패턴을 임의로 변경시키기 곤란하다.
즉, 인테리어를 위해 벽면에 이미 부착되어 있는 벽지나 시트지를 임으로 또한 수시로 바꾸기는 곤란한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작업의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는 목재를 소재로하는 템바보드가 개시되어 있으며, 템바보드는 입체적인 심미감을 갖되 이미 도배가 이루어진 벽지 외면에 도배의 형식으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템바보드의 경우, 벽지의 재질 즉, 합지벽지인 경우에는 상기 템바보드에 도포된 접착제를 통해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나, 날로 진보된 벽지의 종류인 실크벽지의 경우에는 그 외면에 이물질이나 얼룩이 묻지 않게 코팅막 처리가 되어 있어 접착제의 접착력이 유지되지 않아 타카 등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벽면에 도배된 벽지에 고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타카의 노출로 인한 심미감이 저하되어 인테리어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종래의 템바보드의 경우, 입체적인 심미감은 존재하나 후각에 의한 쾌적함 창출은 불가하여 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도반하게 된다.
물론, 벽지나 템바보드를 성형시에 향기가 발산되는 물질을 혼합하여 향기가 발산되는 방식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향기를 유지하기 위한 리필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장시간의 사용 이후에는 그 향기의 농도가 점차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2081322호(공고일:2020.02.25.) 국내등록실용 제20-0415142호(공고일:2006.04.27.)
살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지의 재질에 상관 없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템바보드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되 설치하고자 하는 템바보드에 향기를 발산시키기 위한 발향액의 리필이 가능한 구조의 템바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는 건물 내벽이나 벽지 외면에 부착되는 인테리어용 템바보드에 있어서, 상기 템바보드는 인테리어적 심미감 도출을 위한 모양부(120)가 형성된 몸체(100) 및 상기 몸체(100)가 벽지 외면에 부착되거나 벽지가 도배된 건물 내벽과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 후면에 구비되는 부착부재(200)를 포함하되, 상기 부착부재(200)는 상기 몸체(100)가 건물 내벽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제1부착체(210) 또는 상기 몸체(100)가 벽지 외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부착체(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부착체(210)는 외면에 벽지와 접착되는 제1접착층(215)이 도포되되 판의 형상을 항시 유지하는 플레이트(211) 및 도포된 제1접착층(215)이 외기와 접촉하지 못하게 상기 플레이트(211) 외면에 분리 가능하게 접착되는 제1이형지(21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부착체(220)는 상기 몸체(100) 후면에 도포되되 벽지 또는 제1부착체(210)와 접착되는 제2접착층(223)이 외기와 접촉하지 못하도록 상기 몸체(100)와 분리 가능하게 접착되는 제2이형지(22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양부(120)는 구부러짐이 자유로운 플렉시블한 형태의 설치판(110) 외면과 이어지게 돌출 형성되어 입체감을 주는 다수의 돌출부(121)와, 다수의 상기 돌출부(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발향부재(130) 및 다수의 상기 돌출부(121) 사이에 동일 또는 비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공간부(12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향부재(130)는 내부에 스펀지(133)가 인입되되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131)와, 상기 케이스(131)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135) 및 상기 덮개(135) 일측 또는 양측에 천공 형성된 주입구(137)를 포함하되, 상기 발향부재(130)는 상기 주입구(137)를 통해 외부에서 주입되는 발향액이 스펀지(133)에 흡수된 이후에 상기 주입구(137)를 통해 공기중으로 비산되어 발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벽지의 재질에 따라 사용자가 제1부착체 또는 제2부착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몸체를 벽지에 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몸체에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향기를 발산시키는 발향액을 발향부재에 주입 후, 공기중에 비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미감의 상승과 더불어 후각을 통한 실내의 쾌적함을 유발시켜 힐링의 요소가 될 수 있는 효과도 함께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에 대한 제1부착체와 제2부착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에 대한 설치판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에 대한 몸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대한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에 대한 발향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대한 발향부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에 대한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이하, 간략하게 '템바보드'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템바보드(1)는 크게 인테리어적인 심미감을 창출하기 위한 몸체(100) 및 상기 몸체(100)를 벽지나 건물의 내벽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부재(20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몸체(100)는 후에 설명하는 부착부재(200)를 통해 벽지나 건물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되 불특정 다수인에게 인테리적인 심미감을 표현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향기를 발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설치판(110), 모양부(120) 및 발향부재(130)를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의 몸체(100)는 가공성이 뛰어나 인테리어적 가구 등을 제작하기 위한 중밀도 섬유판재(MDF:Medium Density Fiberboard)를 소재로 하여 성형한다.
여기서, 중밀도 섬유판재란 사용이 어려운 목재를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만들고, 그 분말의 목재에 섬유다발과 접착제를 혼합하여 열과 함께 가해지는 압력을 통해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한 목재를 의미한다.
이러한 중밀도 섬유판재는 상술한 장점 이외에 표면이 매끄럽게 제작 가능하여 문양이 인쇄된 종이나 비닐은 물론, 무늬목을 그 표면에 씌워 사용할 수 있으며, 바향성이 적어 수축과 팽창이 낮고, 가격이 저렴하여 대량생산에 용이성을 갖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의 몸체(100)를 구성하는 설치판(110)은 파손의 우려가 없이 구부러짐이 자유로운 플렉시블한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밀도가 0.35g/㎤ 미만이되 두께는 1mm 이내로 제작되며, 돌출부(121)는 이와 상반되게 밀도가 0.85g/㎤ 이상이되 두께는 최소 2cm 이상으로 강성을 갖도록 제작된다.
상술한 내용과 연계하여 예컨대 설치판(1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되 그 전면에는 모양부(120)와 이어지게 형성되며, 후면에는 제1부착체(210) 또는 제2부착체(220)에 의해 건물 내벽이나 벽지와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설치판(110)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해 일정한 너비를 갖는 판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모양부(120)는 설치판(110) 전면과 이어지게 돌출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21) 및 다수의 상기 돌출부(121) 간의 이격된 간격으로 인하여 인하여 형성된 공간부(12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불특정 다수인으로 하여금 입체적인 심미감이 유발되어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창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돌출부(121)는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사각의 형상을 갖는 기둥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나, 이 또한 그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작자의 요청에 의해 단면이 반원의 형상이거나 다각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돌출부(121)는 설치판(110)과 대비하여 구부러짐이 구현되지 않는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여기서, 공간부(125)는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내부 체적의 패턴을 갖도록 성형되는 것은 물론,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내부 체적을 갖는 형상으로도 가능하며, 바람직한 내부 체적의 크기는 후에 설명하는 발향부재(130)가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한다.
또한, 발향부재(13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0)를 벽지나 내벽에 고정 설치한 이후에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공기중에 향기를 비산시켜 실내의 쾌적한 분위기가 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케이스(131), 스펀지(133) 및 덮개(135)를 포함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부로 보여지는 상기 케이스(131) 및 덮개(135) 외면은 몸체(100)의 무늬와 동일한 인쇄지(미도시)가 접착되어 상기 몸체(100)와 상기 발향부재(130) 간의 일체성이 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케이스(131)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를 재료로 하여 성형되되 상부가 개방된 함체의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는 발향액이 흡수되기 위한 스펀지(133)가 인입된다.
덮개(135)는 케이스(131)의 개구된 상부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31)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일측 또는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상기 케이스(131) 내부와 연통하는 주입구(137)가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137)를 통해 발향액이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덮개(135)를 개방하지 않고도 주입구(137)를 통해 주입된 발향액이 안내되어 스펀지(133)를 통해 흡수될 수 있게 상기 덮개(135) 내부에는 상기 주입구(137)와 이어지는 경사면(13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경사면(139) 끝단은 직각의 형태를 갖도록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케이스(131) 상부와 형상 맞춤으로 끼움 결합하여 덮개(135)와 상기 케이스(131)가 억지 끼움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발향액을 주입하기 위해 발향부재(130)를 관통공(123)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공간부(12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주입구(137)를 통하여 발행액을 주입시킬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게 되며, 주입 후, 스펀지(133)에 흡수된 발향액은 상기 주입구(137)를 통해 공기중으로 비산되어 상기 몸체(100) 주변으로 향기가 발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사용자는 몸체(100)에 다수 형성된 발향부재(130)를 통해 발향액의 비산량을 늘리기도 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수의 상기 발향부재(130) 중 어느 특정 위치에 있는 상기 발향부재(130) 내측으로 발향액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비산량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재(200)는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지의 재질에 따라 상술한 몸체(100)를 해당 벽지에 부착시키거나 상기 벽지가 도배된 건물의 내벽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부착체(210) 또는 제2부착체(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1부착체(210)는 몸체(100)와 벽지가 서로 접착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구성으로 플레이트(211) 및 제1이형지(213)를 포함한다.
플레이트(211)는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체(100)와 서로 마주보는 전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제1접착층이 제1이형지(213)에 의해 외기로부터 차단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여, 벽지의 재질 특성상 몸체(100)를 구성하는 설치판(110)이 서로 접착되지 않는 재질인 실크벽지(P2)인 경우에는 해당 벽지와 상기 설치판(110) 사이에 플레이트(211)를 배치 후, 타카나 나사 등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211)를 건물의 내벽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이형지(213)를 분리시켜 제1접착층에 상기 설치판(110)이 면접할 수 있도록 접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템바보드(1)가 실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2부착체(220)는 몸체(100)와 벽지가 서로 접착이 가능한 합지벽지(P1)인 경우에 사용하며, 해당 벽지와 서로 마주보는 설치판(110)의 후면에 구비되어 제2이형지(221)의 분리를 통해 상기 설치판(110) 후면에 도포된 제2접착층이 노출되어 벽지와의 접착을 통해 몸체(1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술한 중밀도 섬유판재(MDF)로 가공한 몸체(100)를 구성하는 설치판(110)은 벽지의 재질이 종이재질의 합지인 합지벽지(P2)인 경우에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 접착이 가능하나, 해당 벽지의 재질이 실크 즉, 부직포와 종이가 이중구조를 이루어 코팅 처리된 실크벽지인 경우에는 그 코팅막에 의해 접착제의 기능이 저하되기에 몸체(100)와 벽지 간의 접착이 이루어지더라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떨어지는 접착력의 저하를 야기하게 된다.
하여, 종래에는 건물의 실내에 도배된 벽지가 실크벽지(P1)인 경우에 접착층은 무시된 체, 타카나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몸체(100)에 형성된 공간부(125)를 통해 설치판(110)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100)를 벽지에 고정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해당 체결수단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심미감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벽지의 재질이 접착제에 붙지 않는 실크벽지인 경우에 몸체(100)와 함께 포장되어 제공되는 플레이트(211)를 선택 후, 상기 플레이트(211)를 체결수단에 의해 우선적으로 고정시킨 후, 상기 플레이트(211) 외면에 구비된 제1이형지(213)를 분리하여 제1접착층(215)을 통해 몸체(100)를 접착할 수 있으므로, 심미감이 상실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게 한 것이다.
또한, 벽지의 재질이 접착제를 통해 몸체(100)와 접착할 수 있는 합지벽지인 경우에는 상술한 제1부착체(210)는 생략한 체, 제2이형지(221)의 분리를 통해 설치판(110) 외면에 도포된 제2접착층(223)을 노출시켜 해당 제2접착층(223)이 벽지 외면과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몸체(1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선택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템바보드(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벽지의 재질에 따라 사용자가 제1부착체(210) 또는 제2부착체(220)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몸체(100)를 벽지에 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몸체(100)에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향기를 발산시키는 발향액을 발향부재(130)에 주입 후, 공기중에 비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미감의 상승과 더불어 후각을 통한 실내의 쾌적함을 유발시켜 힐링의 요소가 될 수 있는 효과도 함께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
100: 몸체
110: 설치판 120: 모양부
121: 돌출부 123: 관통공
125: 공간부 130: 발향부재
131: 케이스 133: 스펀지
135: 덮개 137: 주입구
139; 경사면
200: 부착부재
210: 제1부착체 211: 플레이트
213: 제1이형지 215: 제1접착층
220: 제2부착체 221: 제2이형지
223: 제2접착층
P1: 합지 벽지
P2: 실크 벽지

Claims (5)

  1. 건물 내벽이나 벽지 외면에 부착되는 인테리어용 템바보드에 있어서,
    상기 템바보드는
    인테리어적 심미감 도출을 위한 모양부(120)가 형성된 몸체(100); 및
    상기 몸체(100)가 벽지 외면에 부착되거나 벽지가 도배된 건물 내벽과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 후면에 구비되는 부착부재(200);를 포함하되,
    상기 부착부재(200)는
    상기 몸체(100)가 건물 내벽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제1부착체(210) 또는 상기 몸체(100)가 벽지 외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부착체(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착체(210)는
    외면에 벽지와 접착되는 제1접착층(215)이 도포되되 판의 형상을 항시 유지하는 플레이트(211); 및
    도포된 제1접착층(215)이 외기와 접촉하지 못하게 상기 플레이트(211) 외면에 분리 가능하게 접착되는 제1이형지(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착체(220)는
    상기 몸체(100) 후면에 도포되되 벽지 또는 제1부착체(210)와 접착되는 제2접착층(223)이 외기와 접촉하지 못하도록 상기 몸체(100)와 분리 가능하게 접착되는 제2이형지(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양부(120)는
    구부러짐이 자유로운 플렉시블한 형태의 설치판(110) 외면과 이어지게 돌출 형성되어 입체감을 주는 다수의 돌출부(121);
    다수의 상기 돌출부(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발향부재(130); 및
    다수의 상기 돌출부(121) 사이에 동일 또는 비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공간부(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부재(130)는
    내부에 스펀지(133)가 인입되되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131);
    상기 케이스(131)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135); 및
    상기 덮개(135) 일측 또는 양측에 천공 형성된 주입구(137);를 포함하되,
    상기 발향부재(130)는 상기 주입구(137)를 통해 외부에서 주입되는 발향액이 스펀지(133)에 흡수된 이후에 상기 주입구(137)를 통해 공기중으로 비산되어 발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
KR1020220037450A 2022-03-25 2022-03-25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 KR202301391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450A KR20230139154A (ko) 2022-03-25 2022-03-25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450A KR20230139154A (ko) 2022-03-25 2022-03-25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154A true KR20230139154A (ko) 2023-10-05

Family

ID=8829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450A KR20230139154A (ko) 2022-03-25 2022-03-25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15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142Y1 (ko) 2006-02-17 2006-04-27 장재식 건축용 복합보드
KR102081322B1 (ko) 2017-11-22 2020-02-25 서상열 자유롭게 교체 변경 가능한 인테리어 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142Y1 (ko) 2006-02-17 2006-04-27 장재식 건축용 복합보드
KR102081322B1 (ko) 2017-11-22 2020-02-25 서상열 자유롭게 교체 변경 가능한 인테리어 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32174A (ja) ホルダ付き空気清浄器
KR20230139154A (ko) 발향기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목재 소재의 템바보드
KR20220000166A (ko) 향기나는 화기 방향제
JP2008156876A (ja) アルデヒド類消臭床材
US20060130221A1 (en) Multi-function toilet device
US20130168402A1 (en) Covering to extend the useful life and regulate the potency of air freshening products
JP3707691B2 (ja) 建築用,家具用等の機能性パネル材の構造
KR100861445B1 (ko) 숯을 이용한 벽걸이용 액자 겸용 건축용 내장판넬
GB2180450A (en) Artificial plants
KR102079175B1 (ko) 인테리어용 데코시트
JPS6245706Y2 (ko)
JPH10329275A (ja) 放香性合成樹脂成形体
CN211673074U (zh) 一种鞋柜安装功能件
EP0278951A1 (en) Improvements in artificial plants
CN211795085U (zh) 一种柜子
JP3218071U (ja) 消臭、防カビ、抗菌用のフローリング
KR20240080790A (ko) 모형을 형성하는 방향제 발산 장치
KR200352677Y1 (ko) 도어용 손잡이
KR102257989B1 (ko) 비팽창부재가 결합된 편백나무 가습부재가 포함된 천연 가습기
JP3096788U (ja) 檜frp複合浴槽
JP2005323786A (ja) 靴中敷き
JPH01322063A (ja) 建築内装材
KR890003302Y1 (ko) 벽걸이 겸용 탁상용 메모꽂이
JP2526974Y2 (ja) 芳香器の納め構造
KR200296996Y1 (ko) 거치가 용이한 향 발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