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175B1 - 인테리어용 데코시트 - Google Patents

인테리어용 데코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175B1
KR102079175B1 KR1020190125107A KR20190125107A KR102079175B1 KR 102079175 B1 KR102079175 B1 KR 102079175B1 KR 1020190125107 A KR1020190125107 A KR 1020190125107A KR 20190125107 A KR20190125107 A KR 20190125107A KR 102079175 B1 KR102079175 B1 KR 102079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layer
adhesive layer
organism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스트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스트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스트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190125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을 이용하여 심미감을 높이되 해당 생물에 대응하는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가구나 벽면 등의 대상물에 부착하는 인테리어용 데코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물에 필름 형태로 부착되는 데코시트에 있어서, 상기 데코시트는 하면에 분리 가능한 제1이형지가 구비되되 접착제에 의해 대상물 표면과 접착하는 제1접착층과, 상기 제1접착면 상면에 균일하지 않은 패턴을 갖도록 접착되되 건조된 다수의 생물이 보호체에 의해 외부환경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적층되는 생물접착층 및 상기 생물접착층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생물과 대응하는 향기를 외부로 발산하는 발향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생물접착층은 상기 제1접착면과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장시간으로 사용으로 인하여 상기 생물이 손상시에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테리어용 데코시트{INTERIOR DECORATION SHEET}
본 발명은 생물을 이용하여 심미감을 높이되 해당 생물에 대응하는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가구나 벽면 등의 대상물에 부착하는 인테리어용 데코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용 시트는 문짝이나 가구의 표면에 부착되어 외관을 보기 좋게 하는 것이다. 최근에, 이러한 장식용 시트에 발향 기능을 부가한 장식용 시트가 등장하고 있다.
종래의 장식용 시트 중에는 향기가 발하도록 하기 위해 시트의 표면에 단순히 향료를 도포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렇게 시트의 표면에 단순히 향료를 도포한 것은 그 향기가 오랫동안 지속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259181호에 개시된 종래 기술의 장식용 시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캐리어(34)에 향료성분을 함유시켜 발향체(30, 31)를 제조한 다음, 시트 성형시 성형 폴리염화비닐 등의 시트성형 재료에 상기 발향체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이다.
여기에서, 캐리어(34)로서 다공성 고분자 수지나 실리카 등과 같은 다공성 무기재료를 사용한 경우에는 향료성분을 캐리어(34)의 다공에 함침시켜 다공형 발향체(31)를 제조한다. 그리고, 캐리어(34)로서 우레아 수지나 멜라민 수지 등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얇은 필름형태로 제작된 캐리어(34)로 향료성분(32)을 캡슐화하여 캐리어(34)의 내부에 향료입자가 함유된 캡슐형 방향체(30)를 제조한다.
이렇게 시트성형시 시트성형재료에 상기 발향체를 혼합하여 제조한 종래의 장식용 시트는, 발향체(30, 31)가 시트(10) 내부로 완전히 완전히 매입된 상태 또는 일부분이 시트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일부분이 시트 외부로 노출된 발향체(30, 31) 중에서 다공성 발향체(31)에 함침된 향료성분(32)은 자연스럽게 휘발하면서 향기가 발하게 되고, 일부분이 시트 외부로 노출된 발향체(30, 31) 중에서 캡슐형 발향체(30)는 장식용 시트가 부착된 가구를 닦을 때 생기는 마찰에 의해 캡슐이 파괴되고, 이에 따라 향료성분이 휘발되어 향기가 발하게 된다. 또한, 시트(10) 내부로 완전히 매입된 발향체(30,31)에 함유된 향료성분(32)은 성형재료나 캐리어(34)에 의해 향료성분(32)의 발산이 다소 저지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는 향료성분(32)이 발산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정도의 불투과성이 아니기 때문에, 시트(10) 내부에 완전히 매입된 발향체(30,31)에 함유된 향료성분(32)도 다소 기간이 경과하면 시트(10) 외부로 발산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시트에서 지속적인 향기를 발산한다는 장점은 있으나, 일정시간 이후에 시트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감소되면 해당 시트 전체를 교체해야 향기의 발산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아울러 심미감을 위한 시트의 무늬는 창작에 의한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해당 이미지와 상관없는 향기를 발산하고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이질감이 높은 문제점을 주고 있다.
국내등록실용 제20-259181호(공고일: 2001.12.18.) 국내공개특허 제10-2003-64097호(공개일: 2003.07.31.) 국내등록특허 제10-0544338호(공고일: 2006.01.23.)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것으로, 본 발명은 시트에 구비된 향기를 발산하는 구성이 교체 가능하게 해당 시트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장시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산되는 향기의 농도가 감소되면 이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에 새겨지는 이미지 대신에 생물을 사용하여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갖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생물이 풍기는 향기가 발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산하는 향기와 이미지 간의 이질감이 없는 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용 데코시트는 대상물에 필름 형태로 부착되는 데코시트에 있어서, 상기 데코시트는 하면에 분리 가능한 제1이형지가 구비되되 접착제에 의해 대상물 표면과 접착하는 제1접착층과, 상기 제1접착층 상면에 균일하지 않은 패턴을 갖도록 접착되되 건조된 다수의 생물이 보호체에 의해 외부환경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적층되는 생물접착층 및 상기 생물접착층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생물과 대응하는 향기를 외부로 발산하는 발향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생물접착층은 상기 제1접착층과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장시간으로 사용으로 인하여 상기 생물이 손상시에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향수단은 상기 생물접착층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제2접착층, 상기 제2접착층 상면에 두께를 갖도록 도포되되 외기 노출에 의해 향기의 발산과 함께 소멸하는 발향액을 경화시켜 층을 이루는 발향층 및 상기 발향층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발향층이 외부 공기와 접촉하여 소멸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이형지를 포함하되, 상기 발향층은 상기 생물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생물접착층 상면에 다수가 균일하지 않은 패턴을 갖도록 구비되며, 발향액의 향기는 건조되기 이전의 상기 생물에서 발산되는 향기와 동일한 향기를 발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향수단은 상기 생물접착층 상부에 다수 형성된 홈부 및 상기 홈부에 삽입되되 외기 노출에 의해 향기의 발산과 함께 소멸하는 발향액을 경화하여 성형한 발향체를 포함하되, 발향액의 향기는 건조되기 이전의 상기 생물에서 발산되는 향기와 동일한 향기를 발산하도록 하며, 상기 홈부의 형성 위치는 상기 생물 상부에 밀집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향수단은 상기 생물접착층 상부에 다수 형성된 홈부 및 상기 홈부 내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삽입되되 액상의 물질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흡수체 및 액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흡수체에 흡수되되 외부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향기가 발산될 수 있도록 증발하는 발향액을 포함하되, 발향액의 향기는 건조되기 이전의 상기 생물에서 발산되는 향기와 동일한 향기를 발산하도록 하며, 상기 홈부의 형성 위치는 상기 생물 상부에 밀집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생물접착층 상면에 구비된 발향수단이 상기 생물접착층과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발향수단에 의해 발산되는 향기의 농도가 감소하면 새로운 발향수단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데코시트의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실물인 생물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해당 생물(210)과 대응하는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수단을 사용하여 해당 이미지와 향기 간의 이질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용 데코시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제1실시예인 발향수단을 사용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4는 도 1에 대한 제2실시예인 발향수단을 사용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대한 제3실시예인 발향수단을 사용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대한 생물을 확대한 도면.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용 데코시트(이하, 간략하게 '데코시트'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대상물(10)이란 주방 가구, 인테리어 가구는 물론, 주방의 벽면이나 실내의 벽면 등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코시트(1)가 부착되어 해당 데코시트(1)에 의해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일련의 것을 의미하며, 하기에는 주방 가구를 예시적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먼저,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코시트(1)는 제1접착층(100), 생물접착층(200) 및 발향수단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착층(100)은 상면에 후술하는 생물접착층(200)을 이루는 생물(210)이 부착되되 그 하면은 대상물(10)에 부착되어 본 발명인 데코시트(1)가 해당 대상물(10)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접착층(100)은 판 형상을 이루되 방수성이나 불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접착지와 상기 접착지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통상의 접착 성분인 에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접착제가 도포되어 대상물(10)과 생물(210)이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1접착층(100) 하면은 본 발명에 따른 데코시트(1)가 상품으로 판매시에 외기에 의한 접착력의 저하는 물론, 이물질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이형지(110)가 상기 제1접착층(100) 전체 면적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제1접착층(100) 상면과 하면은 접착력을 서로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해당 상면에 접착되는 후술하는 생물접착층(200)이 탈착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며, 그 하면은 대상물(10)과 접착한 이후에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접착력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이유는 하기에 설명하는 생물접착층(200)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도 2 참조)
그리고 생물접착층(200)은 본 발명인 데코시트(1)에 실질적인 이미지를 제공하여 불특정 다수인들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생물(210)과 보호체(220)를 포함하여 제1접착층(100)에 소정 두께를 갖도록 구비된다.
생물접착층(200)을 이루는 생물(2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식물이나 얇게 절단한 생과일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제1접착층(100) 상면에 부착시에는 일정량의 수분만을 함유할 수 있도록 건조과정이 이루어진 생물(21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생과일을 이용한 생물의 두께는 수분의 함유량을 낮추되 그 단면의 형상이 표현될 수 있도록 건조가 용이하되 건조 이후에도 그 본연의 형상은 유지할 수 있을 정도를 갖도록 약 0.02 내지 0.05mm의 두께를 갖도록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접착층(100)에 접착되는 생물(210)의 수분량(단위 %)은 최소 1 내지 1.8의 수분함량을 갖도록 건조하여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해당 수분함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제1접착층(100)에 수작업으로 작업자가 부착시나 상기 제1접착층(100)에 부착된 생물(210)이 후술하는 보호체(220)가 도포된 상태에서 롤러(미도시) 등으로 압착하여 본 발명인 데코시트(1)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작업을 실행시에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수분함유량이 기준치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미생물에 의한 번식되는 시간이 빨라져 생물(210)의 색상 변화(변질) 등이 예상되기에 수분함량은 기준치 이내로 맞추는 것이다.(도 6 참조)
상술한 이유에서 제1접착층(100) 상면에 접착되는 생물(210)은 상기 제1접착층(100) 상면과 탈착이 용이하게 하여 상기 생물(210)이 손상되거나 사용자의 기호에 의해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생물(210) 상부에 도포되는 보호체(220)와 일체로 상기 제1접착층(100)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접착층(100) 상면에 형성된 접착력은 생물접착층(200)과 탈착이 용이한 정도의 접착력을 갖도록 하여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제1접착층(100) 하면은 그 상면과는 달리 접착력의 강도를 높여 대상물(10)과 접착한 이후에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제1접착층(100) 상면에 접착되는 생물(2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데코시트(1)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균일하지 않은 패턴을 갖도록 부착되며, 해당 생물(210)은 그 상부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되는 보호체(220)에 의해 외부환경으로부터 상기 생물(210)이 손상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보호체(220)는 생물이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될 수 있게 투명한 실리콘이나 합성고무의 재질을 사용한다.
이때, 보호체(220) 상면에는 후술하는 발향수단의 실시예에 따라 그 상면에 제2접착층(330)이 도포되거나 균일하지 않은 패턴을 갖는 홈부(230)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홈부(230)의 깊이는 생물(210)에 간섭을 주지 않을 정도의 깊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발향수단은 상술한 생물(210)과 대응하는 향기를 발산시켜 심미감의 향상으로 인한 인테리어적인 장점 이외에 후각으로도 향상된 데코시트(1)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발향수단은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제1실시예>
본 발명에서 제1실시예에 의한 발향수단은 상술한 생물접착층(200) 상면에 판 형상을 갖도록 접착되는 발향층(350) 및 상기 발향층(350)이 상기 생물접착층(200)에 부착되지 위한 제2접착층(330)을 포함한다.(도 2 및 도 3 참조)
발향층(350)은 생물접착층(200) 상부에 소정이 두께를 갖도록 접착되되 외기와 같은 공기 접촉에 의해 향기를 발산함과 동시에 소멸하는 재료인 발향액을 경화시켜 사용한다.
발향층(350)은 생물접착층(200)의 면적에 따라 그 두께를 달리하여 발향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며, 장시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상기 발향층(350)이 소멸되면 상기 생물접착층(200)에서 분리하여 다른 발향층(350)의 접착을 통해 지속적인 향기 발산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발향층(350) 하면에는 상기 생물접착층(200)과 탈착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게 제2접착층(330)이 구비된다.
이때, 제2접착층(330)은 상술한 제1접착층(100)과 동종의 재료를 사용하며, 생물접착층(200)과의 탈부착이 용이한 접착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생물접착층(200)과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발향층(350)은 상기 생물접착층(200) 전체 면적과 대응하는 면적을 갖도록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나, 필요에 따라 상기 생물접착층(200)에 구비된 생물(21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다수 부착되어 해당 생물(210)의 종류(꽃이나 과일 등)에 대응하는 향기를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3 참조)
한편, 도시한 바와 같이,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층(350) 상면에는 제2이형지(34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상물(10)과의 부착이 완전히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제2이형지(340)를 상기 발향층(350)에서 분리하여 원하지 않는 향기의 발산 즉, 상기 발향층(350)의 소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발향층(350)은 생물접착층(200) 전체면적에 대응하여 부착되지 않고 상기 생물접착층(200) 내측에 구비된 생물(210)의 상부에만 구비되어 원가를 절감하면서도 해당 생물(210)과 대응하는 발향의 효과는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본 발명에서의 제2실시예에 의한 발향수단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같은 접착제를 통한 부착이 아닌, 암수형태로 끼움 결합하는 방식으로 향기를 발산하기 위한 것으로, 고형화된 통상의 발향체(310)를 사용한다.(도 4 참조)
이를 위해, 생물접착층(200) 상면 즉, 보호체(220)에는 소정 깊이를 갖는 다수의 홈부(230)가 불특정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홈부(230)에 발향체(310)가 형상맞춤으로 끼움 삽입되어 외부에 향기가 발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호체(220)에 형성된 홈부(230)는 생물(210)이 위치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포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부(230)에 삽입되는 발향체(310)는 건조되기 이전의 생물(210)에서 발산되는 향기와 대응하는 향기를 발산하여 상기 생물(210)의 이미지만으로도 어떠한 상기 발향체(310)를 선택하여야 하는지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예>
본 발명에서의 제3실시예에 의한 발향수단은 상술한 제1 또는 제2실시예와 달리, 액상의 발향액(320)을 사용하여 향기를 발산시키기 위한 구성이다.(도 5 참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의 제3실시예는 상술한 제2실시예에서의 보호체(220)에 형성된 홈부(230)와 함께 흡수체(360)를 더 포함하며,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300C)에 따른 발향수단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상기 홈부(230)의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제2실시예에서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발향체(310)는 액상으로 이루어진 발향액(320)을 흡수할 수 있는 스펀지 등과 같은 재질의 것이 사용되며, 보호체(220)에 다수 형성된 홈부(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홈부(2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홈부(230)에 삽입된 흡수체(360)는 사용자가 직접 주입하는 발향체(310)를 흡수하되 흡수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흡수체(360)에 흡수된 상기 발향액(320)이 소멸할 때까지 공기 중에 향기가 발산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발향액(320)의 향기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되기 이전의 생물(210)이 발산하는 향기와 대응하는 향기를 발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향수단은 필요에 따라 제2실시예의 발향체(310)와 제3실시예인 발향액(320)이 흡수되는 흡수체(360)가 함께 구비될 수 있도록 보호체(220)에 형성된 다수의 홈부(23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홈부(230)는 필요에 따라 생물(210)의 상부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로 이루어진 발향수단은 그 나름대로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제1실시예인 발향수단의 경우에는 본 발명인 데코시트(1)가 구비되는 실내의 면적이 넓은 곳에 사용되어 생물(210)과 대응되는 많은 양의 향기를 장시간동안 발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제2실시예인 발향수단은 상기 제1실시예와 달리, 많은 양의 향기를 발산하지는 못하지만 홈부(230)에 발향체(310)를 끼움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향기 발산이 가능해져 사용이 용이하고, 제3실시예인 발향수단은 향기가 퍼지는 범위나 그 향기의 지속시간이 오래가지 못하나 사용자의 관심도에 따라 짙은 농도의 발향액(320) 향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데코시트(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생물접착층(200) 상면에 구비된 발향수단이 상기 생물접착층(200)과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발향수단에 의해 발산되는 향기의 농도가 감소하면 새로운 발향수단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대상물(10)에 부착되는 데코시트(1)의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생물접착층(200) 내측에 실물인 생물(210)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해당 생물(210)과 대응하는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수단을 사용하여 해당 이미지와 향기 간의 이질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용 데코시트
100: 제1접착층
110: 제1이형지
200: 생물접착층
210: 생물 220: 보호체
230: 홈부
310: 발향체 320: 발향액
330: 제2접착층 340: 제2이형지
350: 발향층 360: 흡수체

Claims (4)

  1. 대상물(10)에 필름 형태로 부착되는 데코시트(1)에 있어서,
    상기 데코시트(1)는
    하면에 분리 가능한 제1이형지(110)가 구비되되 접착제에 의해 대상물(10) 표면과 접착하는 제1접착층(100);
    상기 제1접착층(100) 상면에 균일하지 않은 패턴을 갖도록 접착되되 건조된 다수의 생물(210)이 보호체(220)에 의해 외부환경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적층되는 생물접착층(200); 및
    상기 생물접착층(200)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생물(210)과 대응하는 향기를 외부로 발산하는 발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생물접착층(200)은 상기 제1접착층(100)과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장시간으로 사용으로 인하여 상기 생물(210)이 손상시에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발향수단은
    상기 생물접착층(200)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제2접착층(330), 상기 제2접착층(330) 상면에 두께를 갖도록 도포되되 외기 노출에 의해 향기의 발산과 함께 소멸하는 발향액을 경화시켜 층을 이루는 발향층(350) 및 상기 발향층(350)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발향층(350)이 외부 공기와 접촉하여 소멸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이형지(340)를 포함하되,
    상기 발향층(350)은 상기 생물(210)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생물접착층(200) 상면에 다수가 균일하지 않은 패턴을 갖도록 구비되며, 발향액(320)의 향기는 건조되기 이전의 상기 생물(210)에서 발산되는 향기와 동일한 향기를 발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데코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수단은
    상기 생물접착층(200) 상부에 다수 형성된 홈부(230) 및 상기 홈부(230)에 삽입되되 외기 노출에 의해 향기의 발산과 함께 소멸하는 발향액(320)을 경화하여 성형한 발향체(310)를 포함하되,
    발향액(320)의 향기는 건조되기 이전의 상기 생물(210)에서 발산되는 향기와 동일한 향기를 발산하도록 하며, 상기 홈부(230)의 형성 위치는 상기 생물(210) 상부에 밀집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데코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수단은
    상기 생물접착층(200) 상부에 다수 형성된 홈부(230) 및 상기 홈부(230) 내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삽입되되 액상의 물질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흡수체(360) 및 액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흡수체(360)에 흡수되되 외부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향기가 발산될 수 있도록 증발하는 발향액(320)을 포함하되,
    발향액(320)의 향기는 건조되기 이전의 상기 생물(210)에서 발산되는 향기와 동일한 향기를 발산하도록 하며, 상기 홈부(230)의 형성 위치는 상기 생물(210) 상부에 밀집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데코시트.
KR1020190125107A 2019-10-10 2019-10-10 인테리어용 데코시트 KR102079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107A KR102079175B1 (ko) 2019-10-10 2019-10-10 인테리어용 데코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107A KR102079175B1 (ko) 2019-10-10 2019-10-10 인테리어용 데코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175B1 true KR102079175B1 (ko) 2020-02-19

Family

ID=69670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107A KR102079175B1 (ko) 2019-10-10 2019-10-10 인테리어용 데코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1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974A (ko) * 1999-03-29 2000-10-25 이창진 향기치료 요법에 쓰는 약용식물을 사용한 기능성 벽지
KR200259181Y1 (ko) 2001-01-11 2002-01-05 (주) 파로마티디에스 향기나는 합성수지시트
KR20030064097A (ko) 2002-01-25 2003-07-31 이선수 향기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544338B1 (ko) 2002-11-13 2006-01-23 (주)건웅 향기나는 장식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83640A (ko) * 2005-01-18 2006-07-21 한현주 발향기능을 가진 띠벽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974A (ko) * 1999-03-29 2000-10-25 이창진 향기치료 요법에 쓰는 약용식물을 사용한 기능성 벽지
KR200259181Y1 (ko) 2001-01-11 2002-01-05 (주) 파로마티디에스 향기나는 합성수지시트
KR20030064097A (ko) 2002-01-25 2003-07-31 이선수 향기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544338B1 (ko) 2002-11-13 2006-01-23 (주)건웅 향기나는 장식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83640A (ko) * 2005-01-18 2006-07-21 한현주 발향기능을 가진 띠벽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242B1 (ko) 조립식 황토타일
CN210813912U (zh) 具有香薰机功能的雪花玻璃球
KR102079175B1 (ko) 인테리어용 데코시트
KR101526143B1 (ko) 기능성 유리구슬 장식판
KR101548878B1 (ko) 흡착중화제를 함유한 기능성 자연벽지
KR102127721B1 (ko) 향기 방출용 디퓨저
US20080279729A1 (en) Aroma porcelain wall deco
CN211817539U (zh) 一种具有持续香味的墙纸
KR102123865B1 (ko) 싱크대용 도어
KR200418067Y1 (ko) 기능성 지류
KR200398017Y1 (ko) 건축 및 가구용 마감재
KR20170093564A (ko)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성 성형물
KR20100125200A (ko) 자연소재와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와 그 제조방법
JP4937534B2 (ja) 多孔成形体
KR200216484Y1 (ko) 도어용 장식틀
KR200380254Y1 (ko) 기능성 지류
EP2308340A1 (e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environments
KR20120007791U (ko) 향기 패치
CN214799570U (zh) 一种带香味和可以持久挥发并可变化香味的手机壳
KR100885607B1 (ko) 기능성 숯
KR20170064787A (ko) 습도 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구
KR200419826Y1 (ko) 기능성 통기 벽지
KR200297350Y1 (ko) 실내 마감재
KR20060083640A (ko) 발향기능을 가진 띠벽지
KR100914154B1 (ko) 향기나는 몰딩용 전사지의 제조방법 및 향기나는건축내장용 몰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