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8709A -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 - Google Patents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8709A
KR20230138709A KR1020220036658A KR20220036658A KR20230138709A KR 20230138709 A KR20230138709 A KR 20230138709A KR 1020220036658 A KR1020220036658 A KR 1020220036658A KR 20220036658 A KR20220036658 A KR 20220036658A KR 20230138709 A KR20230138709 A KR 20230138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guide
charger
tank
cip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원태
Original Assignee
(주)대성후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후드텍 filed Critical (주)대성후드텍
Priority to KR1020220036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8709A/ko
Publication of KR20230138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7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4Devices for supporting or handling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01Cleaning of filling devices
    • B67C3/002Cleaning of filling devices using cups or dummies to be placed under the fill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7/00Concurrent cleaning, filling, and closing of bottles; Processes or devices for at least two of these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7/00Concurrent cleaning, filling, and closing of bottles; Processes or devices for at least two of these operations
    • B67C7/0006Conveying; Synchronising
    • B67C2007/006Devic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ntainer filling

Abstract

본 발명은 식음료 제조 설비의 충전기로서, 식음료 제조 공정 중 CIP 공정에 필요한 컵을 공정 수행 전 자동으로 탈부착되게 하는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노즐 부분을 갖는 다수의 탱크(10)가 일렬로 회전 작동하는 본체 부재(100)와; 상기 탱크(10)의 위치에 구비되는데, 상기 탱크(10)의 하부로 컵(CUP)을 전후 이동 및 승강시켜 상기 노즐 부분에 컵(CUP)을 탈착되게 하는 컵 장착 부재(200)와; 상기 다수의 탱크(10)가 회전하는 중에 상기 컵 장착 부재(200)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게 유도하는 컵 유도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Container filling apparatus with Cup automatic mounting function}
본 발명은 식음료 제조 설비의 충전기로서, 식음료 제조 공정 중 CIP 공정에 필요한 컵을 공정 수행 전 자동으로 탈부착되게 하는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음료는 자동화된 제조 설비에서 충전기를 이용해 대량으로 생산하며, 통상 식음료 제조는 병 투입 공정, 투입된 병을 세척하는 RINSING(세척), 세척 완료된 병에 내용물을 투입하는 FILLING(충전), 내용물이 투입된 병에 뚜껑을 결합하는 CAPPING(뚜껑 체결), 뚜껑이 결합된 병을 배출하여 완료하는 공정 순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식음료 제조는 공정 완료후 잔류 제품의 배출, 알칼리세정, 산 세정, 물 헹굼 등으로 선행 제품의 내용물을 세척하는 현장세정(Clean-In-Place:CIP) 공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76836호를 살펴보면, 공급라인 및 세척액 공급라인을 통해 물과 세척액과 같은 유체를 공급하고 회수라인을 통해 상기 물과 세척액과 같은 유체를 회수함으로써 충전기를 자동 세척하기 위한 현장세정기에 있어서, 상기 회수라인의 말단부에 유입관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회수라인으로 유출되는 유체 중 일부를 강제 유입한 후, 상기 공급라인 및 세척액 공급라인에 연결된 유출관을 통하여 강제 유출시키는 가압펌프를 포함하는 순환용 가압펌프를 구비하는 현장세정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CIP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충전기의 내용물 주입을 위한 탱크의 CIP 공정이 필요하며, 탱크의 CIP 공정은 세척 전에 탱크의 노즐 부분을 컵을 이용해 막아 세척을 수행함으로 탱크의 노즐 부분에 컵을 장착시키는 작업이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충전기 탱크의 노즐 부분에 컵을 장착시키는 작업을 수동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수동 작업에 따라 작업시간이 증가하여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으며,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76836호(2011.10.19)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음료 제조 설비의 CIP 공정 중 충전기 탱크의 노즐 부분에 컵을 장착시키는 작업을 컵 유도 부재, 컵 장착 부재 등을 이용해 자동으로 수행되게 충전기를 구성함으로써, CIP 공정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줄여 대량생산을 용이하게 하면서 생산성을 향상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노즐을 갖는 다수의 탱크가 일렬로 회전 작동하는 본체 부재와;
상기 탱크의 위치에 구비되는데, 상기 탱크의 하부로 컵을 전후 이동 및 승강시켜 상기 노즐에 컵을 탈착되게 하는 컵 장착 부재와;
상기 다수의 탱크가 회전하는 중에 상기 컵 장착 부재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게 유도하는 컵 유도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CIP 공정 중 충전기 탱크의 노즐 부분에 컵을 장착시키는 작업이 자동 수행됨에 따라 CIP 공정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줄어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의 전체 구성도.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요부 구성도.
도 4 내지 도 7은 도 1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따른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수의 탱크(10)가 일렬로 회전 작동하는 본체 부재(100); 탱크(10)에 컵(CUP)을 이동시켜 노즐 부분에 컵(CUP)을 탈착되게 하는 컵 장착 부재(200); 컵 장착 부재(200)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게 유도하는 컵 유도 부재(3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 부재(100)는, 노즐 부분을 갖는 다수의 탱크(10)를 일렬로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체 부재(100)는 충전기(1)에서 식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필수 설비이며, 식음료에 내용물을 투입시키기 위한 다수의 탱크(10)가 일렬로 구비되고, 탱크(10)는 내용물이 분사되는 노즐 부분을 갖는다.
이때, 본체 부재(100)는 충전기(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0)가 하부에 구비되고, 본체 부재(100)의 탱크(10)에 식음료의 내용물을 공급하는 밸브, 실린더 등 식음료 제조에 필요한 설비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 부재(100)는 노즐 부분을 갖는 다수의 탱크(10)가 둘레에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탱크(10)를 회전 작동되게 하는 로테이트부(110); 및 상기 로테이트부(110)를 선택적으로 승강 작동되게 하는 승강부(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로테이트부(110)는 연속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로테이트부(110)의 둘레로 다수의 탱크(10)가 일렬로 배치되어 식음료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승강부(120)는 로테이트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탱크(10)에 컵(CUP)을 탈착 시키는 과정에 대응하여 로테이트부(110)를 선택적으로 승강 작동되게 하는 동력을 제공한다.
이때, 승강부(120)는 컵 유도 부재(300)가 컵 장착 부재(200) 측으로 전진하거나 후진하는 작동에 대응하여 로테이트부(110)를 승강 작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120)는 모터(121a)의 동력으로 스크류(121b)가 회전하면서 승강 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121); 및 상기 스크류(121b)의 승강 높이를 감지하여 승강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스케일(122);로 구성된다.
상기 액추에이터(121)는 로테이트부(110)와 지지부(20) 사이로 외주에 나선을 갖는 스크류(121b)가 결합되며, 스크류(121b)는 로테이트부(110)의 상부에 구비된 모터(121a)를 통해 회전이 가능하고, 스크류(121b)가 회전하면 상하 이동이 가능하여 로테이트부(110)가 승강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자스케일(122)은 로테이트부(110)와 지지부(20) 사이에 구비되어 스크류(121b)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로테이트부(110)와 지지부(20)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며, 감지된 거리 값을 기반으로 모터(121a)의 작동이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컵 장착 부재(200)는; 상기 탱크(10)의 위치에 구비되는데, 상기 탱크(10)의 하부로 컵(CUP)을 전후 이동 및 승강시켜 상기 노즐 부분에 컵(CUP)을 탈착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컵 장착 부재(200)는 탱크(10)의 하부에서 컵(CUP)을 전후 이동되게 하여 상기 탱크(10)의 노즐 부분에 컵(CUP)을 선택적 공급시키는 컵슬라이드유닛(210); 및 상기 컵슬라이드유닛(210)을 승강 작동시켜 상기 컵(CUP)을 탱크(10)에 선택적으로 탈착되게 하는 리프트(2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컵슬라이드유닛(210)은 컵 유도 부재(300)에 의해 전후 이동될 수 있고, 컵슬라이드유닛(210)에 안착되는 컵(CUP)을 탱크(10)의 노즐 부분 하부로 전진시켜 공급되게 하고, CIP 공정이 완료되면 노즐 부분에 장착되었던 컵(CUP)을 후퇴 복귀시킨다.
상기 리프트(220)는 컵슬라이드유닛(210)을 통해 탱크(10)의 노즐 부분 하부로 공급된 컵(CUP)을 노즐 부분 측으로 상승시켜 노즐 부분에 장착되게 하거나, CIP 공정이 완료되면 노즐 부분에 장착된 컵(CUP)을 하강시켜 분리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컵슬라이드유닛(210)은 리프트(220)에 고정되는 제1플레이트(211); 상기 제1플레이트(211)에 고정블럭(212a)을 통해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212); 및 상기 제2플레이트(212)에 마련되어 컵 유도 부재(300)가 선택적 연결되며, 상기 컵 유도 부재(300)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제2플레이트(212)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롤러(213);로 구성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211)는 리프트(220)를 통해 탱크(10)의 노즐 부분 하부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제1플레이트(211)에는 식음료의 병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가 마련된다.
상기 제2플레이트(212)는 제1플레이트(211)의 상부에 고정블럭(212a)을 통해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고정블럭(212a)은 제2플레이트(212)의 끼움 공간을 갖도록 제1플레이트(211)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제2플레이트(212)의 양측이 고정블럭(212a)에 각각 끼워져 지지되면서 제2플레이트(212)가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유도롤러(213)는 제2플레이트(212)의 후방 측 하부에 결합되며, 하단에 제자리 회전 가능한 롤러가 마련되고, 유도롤러(213)는 컵 유도 부재(300)의 가이드(310)에 마련된 가이드면(311)에 접촉되어 밀리는 구조로 제2플레이트(212)의 전후 이동을 위한 동력 전달 기능을 한다.
더불어, 상기 리프트(220)는 컵슬라이드유닛(210)에 연결되는 서포트(221); 및 상기 서포트(221)에 연결되고, 상기 컵슬라이드유닛(210)의 승강 작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리프트실린더(2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221)는 탱크(10)의 양측으로 각각 수직 결합되는데, 서포트(221)는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 측이 관통되어 지지되고, 서포트(221)의 상단은 리프트실린더(222)에 연결되며, 서포트(221)의 하단은 컵슬라이드유닛(210)이 연결된다.
이때, 리프트실린더(222)의 로드가 상향 작동하면 서포트(221)가 상승하면서 이에 대응하여 컵슬라이드유닛(210)이 상승 작동하고, 리프트실린더(222)의 로드가 하향 작동하면 서포트(221)가 하강하면서 이에 대응하여 컵슬라이드유닛(210)이 하강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컵 유도 부재(300)는; 상기 다수의 탱크(10)가 회전하는 중에 상기 컵 장착 부재(200)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게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컵 유도 부재(300)는 컵(CUP)이 탱크(10)의 노즐 부분에 탈착되는 과정에서 컵 장착 부재(200) 측으로 선택적 이동되고, 컵 유도 부재(300)는 기본적으로 본체 부재(100)로부터 후퇴하여 인접하게 위치된다.
한편, 상기 컵 유도 부재(300)는 컵 장착 부재(200)의 일측에 밀착되는 가이드면(311)을 갖고, 상기 가이드면(311)의 각도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컵 장착 부재(200)을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게 하는 가이드(3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310)는 삼각 판체 형태를 갖으며, 가이드(310)의 양단으로 가이드면(311)이 측벽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310)는 다수의 탱크(10)가 회전하는 중에 다수의 컵 장착 부재(200)에 각각 구비된 유도롤러(213)가 가이드면(311)에 순차적으로 접촉되게 하여 상기 다수의 컵 장착 부재(200)를 연속으로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게 하는 유도부(312);가 마련된다.
상기 유도부(312)는 가이드(310)의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면(311)을 통해 가이드(310)의 내측으로 유도롤러(213)가 통과하여 안내되는 공간으로 형성되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 장착 부재(200) 측으로 가이드(310)가 전진하면 본체 부재(100)의 회전 중에 컵슬라이드유닛(210)의 유도롤러(213)가 가이드(310)의 내측으로 진입하면서 가이드면(311)에 유도롤러(213)가 접촉되고, 가이드면(311)의 각도에 대응하여 유도롤러(213)가 밀리는 작용에 따라 컵 장착 부재(200)의 컵슬라이드유닛(210)이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유도부(312)는 본체 부재(100)의 회전에 따라 연속으로 컵슬라이드유닛(210)의 유도롤러(213)가 가이드(310)에 진입하면서 다수의 컵 장착 부재(200)에 대하여 연속으로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컵 유도 부재(300)는 상기 가이드(310)를 회전축(321)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여 상기 가이드면(311)의 각도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플레이트(320); 및 상기 가이드(310)를 회전축(321)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동력을 전달시키는 제1전후실린더(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320)는 가이드(310)가 회전축(321)을 통해 결합 지지되며, 이 상태에서 가이드(310)가 회전축(3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가이드(310)의 양단부 가이드면(311)에 대한 각도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플레이트(320)는 제2전후실린더(340)에 결합되어 전후 이동 작동 가능하다.
상기 제1전후실린더(330)는 고정플레이트(320)와 가이드(310) 사이에 양단이 연결되며, 제1전후실린더(330)의 로드가 신축 작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310)를 회전축(321)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동력을 전달시킨다.
이때, 제1전후실린더(330)는 가이드(310)의 양단부 가이드면(311)에 대한 각도 전환을 선택적 수행되게 하면서 컵슬라이드유닛(210)의 전진 또는 후진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컵 유도 부재(300)는 컵슬라이드유닛(210)에 가이드(310)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켜 선택적으로 위치되게 하는 제2전후실린더(3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전후실린더(340)는 본체 부재(100)에 결합되고, 제2전후실린더(340)의 로드에 고정플레이트(320)가 연결되며, 제2전후실린더(340)의 로드가 신축 작동하는 과정에서 고정플레이트(320)에 결합된 가이드(310)가 컵슬라이드유닛(210)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게 한다.
이때, 제2전후실린더(340)는 컵슬라이드유닛(210)의 전진 또는 후진 작동이 필요하면 가이드(310)를 컵슬라이드유닛(210) 측으로 전진시키고, 대기상태에서는 제2전후실린더(340)가 가이드(310)를 후진시켜 본체 부재(100)로부터 이격되게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 장착 부재(200) 측으로 컵 유도 부재(300)가 전진하여 위치될 수 있도록 본체 부재(100)의 승강부(120)가 작동하여 본체 부재(100)의 로테이트부(110)를 상승시켜 컵 유도 부재(300)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그 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 유도 부재(300)의 가이드(310)를 제2전후실린더(340)를 이용해 전진시켜 가이드(310)의 상부로 컵슬라이드유닛(210)의 유도롤러(213)가 위치되게 한다.
이때, 컵슬라이드유닛(210)의 전진 또는 후진 작동에 대응하여 가이드면(311)의 각도를 전환되게 하는데, 도 5에서는 컵슬라이드유닛(210)의 전진을 위한 동작으로 제1전후실린더(330)를 후진시켜 가이드(310)를 회전축(321) 중심으로 당겨지게 회전시킨다.
그 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부재(100)의 승강부(120)가 작동하여 본체 부재(100)의 로테이트부(110)를 하강시키면서 컵슬라이드유닛(210)의 유도롤러(213)가 가이드(310)의 유도부(3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본체 부재(100)가 회전하면 유도롤러(213)가 가이드면(311)의 경사에 의해 밀착되어 밀리면서 컵슬라이드유닛(210)이 전진하게 된다.
이때, 컵슬라이드유닛(210)의 상부에는 컵(CUP)이 안착된 상태이므로, 컵슬라이드유닛(210)의 전진에 따라 컵(CUP)이 탱크(10)의 노즐 중앙까지 전진하게 된다.
그 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 장착 부재(200)의 리프트(220)를 이용해 컵슬라이드유닛(210)을 상승 시키면 탱크(10)의 노즐 중앙까지 전진한 컵(CUP)이 탱크(10)의 노즐 측으로 장착되고, 컵(CUP)이 탱크(10)에 장착되면 탱크(10)에 대한 CIP 공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과정을 역순으로 진행하면 탱크(10)에 장착된 컵(CUP)를 탱크(10)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CIP 공정을 위한 컵(CUP)을 자동으로 탱크(10)에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 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으로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수준에서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충전기 100; 본체 부재
110; 로테이트부 120; 승강부
200; 컵 장착 부재 210; 컵슬라이드유닛
220; 리프트 300; 컵 유도 부재
310; 가이드 320; 고정플레이트
330; 제1전후실린더 340; 제2전후실린더

Claims (9)

  1. 노즐 부분을 갖는 다수의 탱크(10)가 일렬로 회전 작동하는 본체 부재(100)와;
    상기 탱크(10)의 위치에 구비되는데, 상기 탱크(10)의 하부로 컵(CUP)을 전후 이동 및 승강시켜 상기 노즐 부분에 컵(CUP)을 탈착되게 하는 컵 장착 부재(200)와;
    상기 다수의 탱크(10)가 회전하는 중에 상기 컵 장착 부재(200)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게 유도하는 컵 유도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100)는 노즐 부분을 갖는 다수의 탱크(10)가 둘레에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탱크(10)를 회전 작동되게 하는 로테이트부(110); 및
    상기 로테이트부(110)를 선택적으로 승강 작동되게 하는 승강부(120);를 더 포함한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120)는 모터(121a)의 동력으로 스크류(121b)가 회전되면서 승강 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121); 및
    상기 스크류(121b)의 승강 높이를 감지하여 승강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스케일(122);을 더 포함한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장착 부재(200)는 탱크(10)의 하부에서 컵(CUP)을 전후 이동되게 하여 상기 탱크(10)의 노즐 부분에 컵(CUP)을 선택적 공급시키는 컵슬라이드유닛(210); 및
    상기 컵슬라이드유닛(210)을 승강 작동시켜 상기 컵(CUP)을 탱크(10)에 선택적으로 탈착되게 하는 리프트(220);를 더 포함한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컵슬라이드유닛(210)은 리프트(220)에 고정되는 제1플레이트(211);
    상기 제1플레이트(211)에 고정블럭(212a)을 통해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212); 및
    상기 제2플레이트(212)에 마련되어 컵 유도 부재(300)가 선택적 연결되며, 상기 컵 유도 부재(300)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제2플레이트(212)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롤러(213);를 더 포함한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220)는 컵슬라이드유닛(210)에 연결되는 서포트(221); 및
    상기 서포트(221)에 연결되고, 상기 컵슬라이드유닛(210)의 승강 작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리프트실린더(222);를 더 포함한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유도 부재(300)는 컵 장착 부재(200)의 일측에 밀착되는 가이드면(311)을 갖고, 상기 가이드면(311)의 각도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컵 장착 부재(200)을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게 하는 가이드(310);를 더 포함한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컵 유도 부재(300)는 상기 가이드(310)를 회전축(321)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여 상기 가이드면(311)의 각도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플레이트(320); 및
    상기 가이드(310)를 회전축(321)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동력을 전달시키는 제1전후실린더(330);를 더 포함한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310)는 다수의 탱크(10)가 회전하는 중에 다수의 컵 장착 부재(200)에 각각 구비된 유도롤러(213)가 가이드면(311)에 순차적으로 접촉되게 하여 상기 다수의 컵 장착 부재(200)를 연속으로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게 하는 유도부(312);를 더 포함한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
KR1020220036658A 2022-03-24 2022-03-24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 KR202301387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658A KR20230138709A (ko) 2022-03-24 2022-03-24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658A KR20230138709A (ko) 2022-03-24 2022-03-24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709A true KR20230138709A (ko) 2023-10-05

Family

ID=8829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658A KR20230138709A (ko) 2022-03-24 2022-03-24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870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836B1 (ko) 2010-10-15 2011-10-25 (주)대성후드텍 순환용 가압펌프를 구비하는 현장세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836B1 (ko) 2010-10-15 2011-10-25 (주)대성후드텍 순환용 가압펌프를 구비하는 현장세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62420A2 (en) Rotary filling machine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ids
EP1908726A1 (en) Isobaric rotary filling machine with CIP-provision for the cleaning of every filling-valve
CN102320540A (zh) 一种酱油灌装机
CN114142185B (zh) 一种电池注液设备
CN105059496A (zh) 一种8200t化学成品油船的水洗舱装置
CN207533639U (zh) 可升降反应釜清洗装置
KR20230138709A (ko) Cip 공정의 컵 자동 탈부착 기능을 갖는 충전기
KR20070114442A (ko) 노즐 회전 및 승강 분사식 용기 세척장치
KR100338299B1 (ko) 생수통 세척장치
CN103464429A (zh) 单工位缸套自动清洗机
CN211035185U (zh) 一种罐体自动升降灌装机
CN110979771B (zh) 一种非接触式液体灌装装置
CN106216341A (zh) 一种水桶冲洗设备和水桶冲洗方法
CN202246007U (zh) 一种酱油灌装机
CN104707829B (zh) 一种桶装水水桶碱洗冲洗工艺
KR101076836B1 (ko) 순환용 가압펌프를 구비하는 현장세정기
CN213202343U (zh) 一种饮料生产用灌装装置
CN104668255B (zh) 容器的内喷洗装置
KR100764241B1 (ko) 화학약품충전시스템
CN204211875U (zh) 纺丝机
CN204602762U (zh) 容器的内喷洗装置
CN220238300U (zh) 一种具备自清洗功能的消毒液制备装置
JPH09216693A (ja) 充填バルブとその洗浄装置
EP0728667A1 (en) Liquid filling apparatus and method
CN219031740U (zh) 一种化妆品灌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