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8698A - 콘스크린 형태의 예비필터가 구비된 용수여과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스크린 형태의 예비필터가 구비된 용수여과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8698A
KR20230138698A KR1020220036617A KR20220036617A KR20230138698A KR 20230138698 A KR20230138698 A KR 20230138698A KR 1020220036617 A KR1020220036617 A KR 1020220036617A KR 20220036617 A KR20220036617 A KR 20220036617A KR 20230138698 A KR20230138698 A KR 20230138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liminary filter
filter
manhole
inle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 코리아 인바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리아 인바이텍 filed Critical (주) 코리아 인바이텍
Priority to KR1020220036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8698A/ko
Publication of KR20230138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85Funnel filter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스크린 형태의 예비필터가 구비된 용수여과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입포트 내부에 예비필터인 콘스크린을 설치하되, 상기 콘스크린은 유입포트의 내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용수의 유량저항을 최소화하면서도, 콘스크린과 근접한 위치에 맨홀을 설치함으로써 콘스크린의 이물질 제거가 간편한 용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스크린 형태의 예비필터가 구비된 용수여과장치 및 방법{Strainer and method equipped with cone screen type preliminary filter}
본 발명은 콘스크린 형태의 예비필터가 구비된 용수여과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입포트 내부에 예비필터인 콘스크린을 설치하되, 상기 콘스크린은 유입포트의 내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용수의 유량저항을 최소화하면서도, 콘스크린과 근접한 위치에 맨홀을 설치함으로써 콘스크린의 이물질 제거가 간편한 용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이너(Strainer)라고 불리는 용수여과장치는 댐과 같은 수원에서 최초로 공급되는 용수가 산업용수 또는 식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소형의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장치로써, 용수에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이물질이 걸러지지 않을 경우, 스트레이너의 고장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막대나 나뭇조각 등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이물질이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하단 가장자리에 노출되게 부착될 경우, 역세 시에 역세관의 회전을 불가능하도록 방해하거나, 역세관의 정렬을 방해하는 등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예비여과장치를 구비하거나, 또는 그물망 형태의 예비필터를 용수여과장치에 구비함으로써, 1차적으로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이물질을 걸러낸 후, 용수여과장치로 큰 크기의 이물질이 걸러진 용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별도의 예비여과장치는 많은 작업 공간을 차지하여 비효율적이며, 그물망 형태의 예비필터는 유량저항이 발생하여 용수여과장치로 유입되는 유량이 적어지는 결과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예비필터는 막힘 현상이 빈번하여 그 기능을 유지하도록 내부 막의 주기적인 세척이 필요하나, 이러한 세척을 위하여 용수여과장치 본체 전체를 분리해야 하므로, 많은 번거로움이 따른다.
한편, 예비 여과 스크린이 구비된 용수여과장치에 관한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0917661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입포트 내부에 예비필터인 콘스크린을 설치하되, 상기 콘스크린은 유입포트의 내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용수의 유량저항을 최소화하면서도, 콘스크린과 근접한 위치에 맨홀을 설치함으로써 콘스크린의 이물질 제거가 간편한 용수여과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장치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포트; 상기 유입포트 내부에 설치되어 오염수에서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예비필터; 상기 예비필터와 별개로 설치되어, 상기 예비필터를 통과한 오염수의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걸러내는 여과수단; 상기 여과수단에서 오염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배출포트; 상기 여과수단에서 걸러진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배출하는 드레인포트; 및 상기 여과수단에서 걸러진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드레인포트 측으로 유도하는 역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스크린 형태의 예비필터가 구비된 용수여과장치는 유입포트 내부에 예비필터인 콘스크린을 설치하되, 상기 콘스크린은 상기 유입포트의 내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콘스크린과 근접한 위치에는 맨홀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용수여과장치는 예비필터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이물질이 걸러진 후, 용수여과장치에 의한 여과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큰 크기의 이물질에 의한 고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예비필터장치를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용수여과장치 내부에 콘스크린을 추가 설치하므로, 많은 장소를 차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수여과장치에 구비된 예비필터는 용수의 흐름방향을 따라 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예비필터의 필터 총면적을 증가시켜 용수의 흐름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평면구조로 스크린을 형성할 경우, 타공 홀의 총 면적이 작아서 유량이 감소되지만, 콘 형상으로 전체 면적을 크게 형성할 경우, 타공 홀의 총 면적이 커지므로 유량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콘 형상으로 인하여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의 총면적이 증대되므로, 청소 주기를 더 길게 할 수 있다.
더하여 콘 형상의 콘스크린은 이물질이 중앙으로 모이게 되어, 작업자는 중앙에 모인 이물질을 집중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대부분의 이물질을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어 청소가 신속하고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용수여과장치는 유입포트 내측에 볼트와 너트의 결합에 의해 조립 설치되므로, 필요한 경우 콘스크린만을 떼어내어 분리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예비필터와 근접한 위치에는 맨홀이 형성되어 있어, 용수여과장치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맨홀의 개방구로 손이나 소도구 등을 집어넣어 간편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간편한 세척이 가능하므로, 예비필터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비필터는 유입포트 내측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유입포트의 내주면을 따라 5~10mm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므로, 용수의 이격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격통로는 유량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유량의 유입을 정체시키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용수여과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유입포트의 단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콘스크린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콘스크린의 결합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스크린 형태의 예비필터가 구비된 용수여과장치(1)(이하 '용수여과장치'라 함)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용수여과장치(1)는 유입포트(11) 내부에 예비필터인 콘스크린(21)을 설치하되, 상기 콘스크린(21)은 상기 유입포트(11)의 내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용수의 유량 저항을 최소화하면서도, 콘스크린(21)과 근접한 위치에 맨홀(30)을 설치함으로써 콘스크린(21)의 이물질 제거가 간편하도록 한 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용수여과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예비필터부(20)와, 맨홀(30)과, 여과수단(40)과, 역세수단(50)을 포함한다.
먼저, 본체(10)의 내부는 격벽(18)에 의해 상하부로 구분된다. 격벽(18)에는 본체(10)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오염수 통과구가 여과수단(40)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오염수 통과구의 상부에는 여과수단(40)이 설치되어 용수에 대한 여과를 수행할 수 있다.
본체(10)는 펌프(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포트(11)와, 유입 포트를 통해 유입된 오염수가 여과수단(40)에 의해 걸러지면, 오염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배출포트(14)와, 여과수단(40)에서 걸러진 오염물질과 오염수의 일부를 포함하는 역세수를 배출하는 드레인포트(16)를 갖는다.
이때, 본 발명의 용수여과장치(1)는 상기 유입포트(11)가 통상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유입포트(11) 내측면에 예비필터부(20)가 볼트(25)와 너트(26)를 이용하여 설치되며, 상기 예비필터부(20)는 콘스크린(21)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콘스크린(21)은 용수에 대한 여과가 수행되기 이전에, 유입된 용수에 포함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는 예비필터의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상기 콘스크린(21)은 용수의 흐름방향을 따라 끝단이 뾰족하게 또는 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콘스크린(21)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용수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 개의 타공홀(22)이 형성되거나, 또는 그물망 구조로 형성된다.
콘스크린(21)이 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예비필터의 필터 총 면적을 증가시켜 용수의 흐름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콘스크린(21)의 총 면적이 넓어질 경우, 유입포트(11) 단면에 콘 형상으로 타공홀(22)의 갯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비필터에 더 많은 용수가 통과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용수 처리량의 감소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반면 콘스크린(21) 형태가 아니라 평면 형태로 예비필터가 형성될 경우, 타공홀(22) 구멍의 개수가 감소되어 타공홀(22) 구멍의 총 면적이 작아져 유량이 감소된다.
또한 이러한 콘 형상으로 인하여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의 총면적이 증대되므로, 청소 주기를 더 길게 할 수 있다.
더하여 콘 형상의 콘스크린(21)은 이물질이 중앙으로 모이게 되어, 작업자는 중앙에 모인 이물질을 집중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대부분의 이물질을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어 청소가 신속하고 편리하다.
상기 타공홀(22)은 용수의 유량을 제한하지 않을 정도의 직경이면서, 또한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입포트(11)의 내측에는 결합용 유입포트 브라켓(12)이 구비되어 있고, 또한 상기 콘스크린(21)의 외측에는 결합용 콘스크린 브라켓(24)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콘스크린 브라켓(24)은 콘스크린(21)의 외주면과 수직하게 설치되되, 용수의 흐름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도록 용수의 흐름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된다.
이러한 방향으로 브라켓이 설치되는 것은 유량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필요시에 유입포트(11) 내부에 콘스크린(21)을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용자는 유입포트(11) 내측에 형성된 결합용 유입포트 브라켓(12)과, 콘스크린(21)에 형성된 결합용 콘스크린 브라켓(24)을 맞대어 콘스크린고정볼트(25)와 너트(26)를 사용하여 결합하거나, 또는 필요시에 해제하여 세척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콘스크린(21)은 유입포트(11)의 내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결합용 브라켓에 의하여 유입포트(11)의 내주면과 5~10mm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콘스크린(21)과 유입포트(11) 사이에는 5~10mm 너비의 이격통로(23)가 형성된다.
만약 이격통로(23)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콘스크린(21) 필터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용수여과장치(1)의 본체(10)로 유입되는 용수의 유량이 저하되면서 콘스크린(21)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할 수 있다. 즉, 상기 이격통로(23)는 유량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용수의 유입이 정체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브라켓을 사용하여 이격통로(23)를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유입포트와 콘스크린 사이에 이격통로(23)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외의 결합부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맨홀(30)은 유입포트(11)의 일측에 예비필터부(20)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작업자가 예비필터부(20)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맨홀(30)의 상부에는 맨홀(30)을 개폐할 수 있는 맨홀덮개(31)가 구비되며, 상기 맨홀덮개(31)는 맨홀고정볼트(32)와 너트(33)를 이용하여 설치된다.
작업자가 예비필터부(20)의 이물질 청소를 위하여 상기 맨홀덮개(31)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단부측 개폐밸브(미도시)를 잠가 오염수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고, 그에 대응되는 단부측 개폐밸브(미도시) 또한 잠가 여과수의 유출이 차단되도록 하되, 드레인포트(16)의 개폐밸브(미도시)를 열어 용수여과장치(1)의 용수가 드레인포트(16)를 통해 모두 빠져나가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간단한 공구를 사용하여 맨홀덮개(31)에 고정된 맨홀고정볼트(32)와 너트(33)를 해제함으로써 맨홀(30)을 개방할 수 있다.
맨홀(30)이 개방되면, 작업자는 맨홀(30)의 개방구 내부로 손을 넣어 콘스크린(21) 내측에 걸러진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맨홀(30)의 개방구로 손 외에도 집게나 브러시 등의 다른 소도구들을 사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용수여과장치(1)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예비필터가 막히지 않도록 주기적인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유입포트(11) 내부에 설치된 콘스크린(21)은 볼트(25)와 너트(26)에 의해 조립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 콘스크린(21)만을 떼어내어 분리 세척하는 것도 용이하다.
여과수단(40)은 본체(10)의 격벽(18) 상부에 다수 개 설치된다. 예를 들어, 여과수단(40)은 본체(10)의 대략 중앙 둘레를 따라 8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여과수단(40)은 원통형을 이루며, 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개방된 하부로 용수가 유입되어 여과수단(40)의 측면을 통과하면서 용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걸러지되, 상기 여과수단(40)은 입자 크기의 미세한 오염물질까지 걸러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지속적인 여과 작용에 의해 여과수단(40)의 내측벽면에 끼이는 이물질의 양이 많아지는 경우, 여과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포트(11)로 유입되는 오염수의 압력과 배출포트(14)를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의 압력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는 유입포트(11) 측에 설치된 압력계(미도시)와 배출포트(14) 측에 설치된 압력계(미도시)의 압력 차이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진 것을 확인하면, 여과수단(40)에 낀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시점으로 판단하고, 모터(53)를 가동하여 역세를 수행할 수 있다.
역세수단(50)은 여과수단(40)이 순차적으로 역세수를 배출하도록 유도하는 수단으로,
모터(53)와, 상기 모터(53)에 의해 회전하는 본체(10) 중앙에 형성된 샤프트(51)와, 상기 샤프트(51)의 하부에 여과수단(40)으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수를 드레인포트(16)로 유도하는 역세암(52)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샤프트(51)가 회전하면, 역세암(52)의 일단이 격벽(18)의 하부에서 오염수 통과구와 맞닿으면서 각각의 여과수단(40)과 마주하게 된다.
본체(10)의 내부는 강한 수압이 가해져 있고, 드레인포트(16)로 연결된 본체(10)의 외측은 대기압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10) 내부의 수압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해 역세가 수행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역세암(52)이 여과수단(40)의 하부 오염수 통과구와 맞닿으면, 본체(10) 상부의 여과수가 여과수단(40)을 통과하면서, 여과수단(40)에 걸려 있는 이물질들을 휩쓸어서 드레인포트(16)로 배출시킨다.
하나의 여과수단(40)에 대한 역세가 완료되면, 역세암(52)이 모터(53)에 의해 이동하여 다른 여과수단(40)의 역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례차례 여과수단(40)에 대하여 역세하여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역세암(52)이 어느 하나의 여과수단(40)과 마주하여 역세수를 배출하는 과정을 '역세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1차적으로 예비필터부(20)의 콘스크린(21)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을 제거한 후, 큰 이물질이 제거된 용수에 대하여 여과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막대나 나뭇조각 등의 이물질이 역세 시에 역세관을 막거나, 역세관의 회전을 불가능하도록 방해하는 등의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스크린 형태의 예비필터가 구비된 용수여과장치(1)는 이하 작동 과정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필터링 과정>
먼저, 본 발명의 용수여과장치(1)는 좌측의 유입포트(11)를 따라 용수가 유입되면, 1차적으로 예비필터인 콘스크린(21)에 의해 다수의 타공 홀로 오염수가 통과되면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이 걸러진다.
상기 콘스크린(21)은 예비필터의 필터 총면적을 증가시켜 용수의 흐름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콘스크린(21)은 유입포트(11) 내측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유입포트(11)의 내주면을 따라 5~10mm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므로, 용수의 이격통로(2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격통로(23)는 유량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유량의 유입을 정체시키지 않는다.
이후, 상기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이 걸러진 오염수가 격벽(18) 하부를 지나 오염수 통과구를 통해 여과수단(40) 내측으로 오염수가 유입되면서, 2차적으로 여과수단(40)에 의해 미세한 오염물질이 걸러진다. 오염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는 본체(10) 상부와 연결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수여과장치(1)는 별도의 예비필터장치를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용수여과장치(1) 내부에 콘스크린(21)을 추가 설치하는 것이므로, 장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역세 과정>
역세가 이루어질 경우, 모터(53)의 구동에 따라 샤프트(51)가 회전하면서, 역세암(52)의 일단이 격벽(18)의 하부에서 오염수 통과구와 맞닿으면서 각각의 여과수단(40)과 마주하게 된다.
본체(10)의 내부는 강한 수압이 가해져 있고, 드레인포트(16)로 연결된 본체(10)의 외측은 대기압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10) 내부의 수압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해 역세가 수행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역세암(52)이 여과수단(40)의 하부 오염수 통과구와 맞닿으면, 본체(10) 상부의 여과수가 여과수단(40)을 통과하면서, 여과수단(40)에 걸려 있는 이물질들을 휩쓸어서 드레인포트(16)로 배출시킨다.
하나의 여과수단(40)에 대한 역세가 완료되면, 역세암(52)이 모터(53)에 의해 이동하여 다른 여과수단(40)의 역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례차례 여과수단(40)에 대하여 역세하여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1차적으로 예비필터부(20)의 콘스크린(21)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을 제거한 후, 큰 이물질이 제거된 용수에 대하여 여과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막대나 나뭇조각 등의 이물질이 역세 시에 역세관을 막거나, 역세관의 회전을 불가능하도록 방해하는 등의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세척 과정>
작업자가 예비필터부(20)의 이물질 청소를 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단부측 개폐밸브(미도시)를 잠가 오염수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고, 그에 대응되는 단부측 개폐밸브(미도시) 또한 잠가 여과수의 유출이 차단되도록 하되, 드레인포트(16)의 개폐밸브(미도시)를 열어 용수여과장치(1)의 용수가 드레인포트(16)를 통해 모두 빠져나가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간단한 공구를 사용하여 맨홀덮개(31)에 고정된 맨홀고정볼트(32)와 너트(33)를 해제함으로써 맨홀(30)을 개방한다.
맨홀(30)의 개방구는 작업자가 예비필터부(20)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맨홀(30)의 개방구 내부로 손을 집어 넣어 콘스크린(21) 내측에 걸러진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들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맨홀(30)의 개방구로 손 외에도 집게나 브러시 등의 다른 소도구들을 사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용수여과장치(1)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예비필터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입포트(11) 내부에 설치된 콘스크린(21)은 볼트(25)와 너트(26)에 의해 조립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 콘스크린(21)만을 떼어내어 분리 세척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스크린 형태의 예비필터가 구비된 용수여과장치는 유입포트 내부에 예비필터인 콘스크린을 설치하되, 상기 콘스크린은 상기 유입포트의 내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콘스크린과 근접한 위치에는 맨홀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용수여과장치는 예비필터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이물질이 걸러진 후, 용수여과장치에 의한 여과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큰 크기의 이물질에 의한 고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예비필터장치를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용수여과장치 내부에 콘스크린을 추가 설치하므로, 많은 장소를 차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수여과장치에 구비된 예비필터는 용수의 흐름방향을 따라 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예비필터의 필터 총면적을 증가시켜 용수의 흐름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평면구조로 스크린을 형성할 경우, 타공 홀의 총 면적이 작아서 유량이 감소되지만, 콘 형상으로 전체 면적을 크게 형성할 경우, 타공 홀의 총 면적이 커지므로 유량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콘 형상으로 인하여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의 총면적이 증대되므로, 청소 주기를 더 길게 할 수 있다.
더하여 콘 형상의 콘스크린은 이물질이 중앙으로 모이게 되어, 작업자는 중앙에 모인 이물질을 집중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대부분의 이물질을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어 청소가 신속하고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용수여과장치는 유입포트 내측에 볼트와 너트의 결합에 의해 조립 설치되므로, 필요한 경우 콘스크린만을 떼어내어 분리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예비필터와 근접한 위치에는 맨홀이 형성되어 있어, 용수여과장치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맨홀의 개방구로 손이나 소도구 등을 집어넣어 간편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간편한 세척이 가능하므로, 예비필터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비필터는 유입포트 내측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유입포트의 내주면을 따라 5~10mm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므로, 용수의 이격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격통로는 유량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유량의 유입을 정체시키지 않는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용수여과장치
10: 본체
11: 유입포트
12: 결합용 유입포트 브라켓
14: 배출포트
16: 드레인포트
18: 격벽
20: 예비필터부
21: 콘스크린
22: 타공홀
23: 이격통로
24: 결합용 콘스크린 브라켓
25: 콘스크린고정볼트
26: 콘스크린고정너트
30: 맨홀
31: 맨홀덮개
32: 맨홀고정볼트
33: 맨홀고정너트
40: 여과수단
50: 역세수단
51: 샤프트
52: 역세암
53: 모터

Claims (5)

  1.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포트;
    상기 유입포트 내부에 설치되어 오염수에서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예비필터;
    상기 예비필터와 별개로 설치되어, 상기 예비필터를 통과한 오염수의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걸러내는 여과수단;
    상기 여과수단에서 오염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배출포트;
    상기 여과수단에서 걸러진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배출하는 드레인포트; 및
    상기 여과수단에서 걸러진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드레인포트 측으로 유도하는 역세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필터가 구비된 용수여과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필터는 콘스크린 형태로 형성되어,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거나, 또는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필터가 구비된 용수여과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예비필터는 브라켓에 의해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오염수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필터가 구비된 용수여과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포트의 일측에는,
    상기 예비필터와 소정 거리 이내에 형성된 맨홀이 구비되며,
    작업자는 상기 맨홀을 개방하여 예비필터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필터가 구비된 용수여과장치.
  5. 유입포트 내부에 설치된 예비필터에서 용수의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단계;
    상기 예비필터와 별개로 설치된 여과수단에서, 상기 예비필터를 통과한 용수의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걸러내는 단계;



    오염수의 유입 및 유출에 대한 개폐밸브를 잠그고, 드레인 개폐밸브를 열어 용수여과장치의 용수가 드레인포트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하는 단계;
    상기 드레인포트에 의해 용수가 빠져나가면, 상기 유입포트 일측의 맨홀의 덮개에 고정된 볼트와 너트를 해제하여 맨홀을 개방하는 단계;
    상기 맨홀이 개방되면, 작업자가 상기 맨홀로 손 또는 작업공구를 집어넣어, 상기 예비필터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필터가 구비된 용수여과방법.
KR1020220036617A 2022-03-24 2022-03-24 콘스크린 형태의 예비필터가 구비된 용수여과장치 및 방법 KR20230138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617A KR20230138698A (ko) 2022-03-24 2022-03-24 콘스크린 형태의 예비필터가 구비된 용수여과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617A KR20230138698A (ko) 2022-03-24 2022-03-24 콘스크린 형태의 예비필터가 구비된 용수여과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698A true KR20230138698A (ko) 2023-10-05

Family

ID=88294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617A KR20230138698A (ko) 2022-03-24 2022-03-24 콘스크린 형태의 예비필터가 구비된 용수여과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86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3413B1 (en) Intake filter for water collection system with pressure activated backwash valve
KR20230138698A (ko) 콘스크린 형태의 예비필터가 구비된 용수여과장치 및 방법
KR101064635B1 (ko) 자체 세정 기능을 갖춘 필터
JP4225997B2 (ja) 濾過装置
JP5768391B2 (ja) 濾過装置
JP4376068B2 (ja) ストレーナーの逆洗システム
CN109224581A (zh) 刮刀式过滤器
KR101414789B1 (ko) 백워싱 필터 장치
US7105090B2 (en) Backflushing filter
KR20090106961A (ko) 셀프 클리닝 필터 장치
US200401493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 water filter
KR20010000766A (ko) 싸이클론식 연속여과기의 자동 역세 장치
JP6468411B1 (ja) ダブルストレーナ型濾過機
KR101081709B1 (ko) 개폐식 폐수내 협잡물 제거장치
KR101972113B1 (ko) 역세척 앵글밸브
JP6190433B2 (ja) 濾過装置
JP6560579B2 (ja) ろ過装置
EP3838371B1 (de) Fluidfilter und verfahren zur abreinigung eines fluidfilters
CN219002283U (zh) 污水集中处理设备
JP6378592B2 (ja) ストレーナ
CN216878115U (zh) 一种过滤器
JP4242994B2 (ja) 濾過装置
JP3822543B2 (ja) カスパック用フイルターハウジング装置
JP2858980B2 (ja) サイクロンの異物除去方法
CN212651430U (zh) 一种过滤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