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8212A -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8212A
KR20230138212A KR1020220035973A KR20220035973A KR20230138212A KR 20230138212 A KR20230138212 A KR 20230138212A KR 1020220035973 A KR1020220035973 A KR 1020220035973A KR 20220035973 A KR20220035973 A KR 20220035973A KR 20230138212 A KR20230138212 A KR 20230138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pair
electronic components
electronic component
hand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윤성
조영환
박승길
김솔비
Original Assignee
(주)테크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윙 filed Critical (주)테크윙
Priority to KR1020220035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8212A/ko
Priority to TW112110926A priority patent/TW202401028A/zh
Priority to CN202310293387.3A priority patent/CN116803551A/zh
Publication of KR20230138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21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electric or electromagnetic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는 다양한 제작공차, 길이를 가진 전자부품들을 적절히 파지할 수 있고, 전자부품의 안착 상태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는 구성들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작 과정에서 다양하나 제작공차와 길이를 가지는 전자부품들이 모두 어댑터에 적절히 안착 파지되면서도, 안착 자세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부품이 테스터에 정확히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서 핸들러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ADAPTOR OF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에서 사용될 수 있는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생산된 전자부품(예를 들면 반도체소자, 기판, SSD 등)은 테스터에 의해 테스트된 후 양품과 불량품으로 나뉘어서 양품만이 출하된다.
전자부품은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만 테스트될 수 있는데, 이 때 전자부품을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전자부품이 테스트될 수 있게 지원하는 장비가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이하 '핸들러'라 약칭함)이다.
핸들러는 새로운 전자부품의 개발에 동반해서 제안 및 제작되고 있으며, 안정화를 위한 다양한 차후 개발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근자에 들어 여러 전자소자들이 탑재된 대형의 전자부품인 에스에스디(SSD : Solid State Drive)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초기 에스에스디의 수요가 적어서 소량만이 생산되었을 때는 에스에스디를 수작업에 의해 직접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그 연결을 해제하였으나, 그 수요가 폭증하면서 수작업에 의한 테스트의 지원은 곤란한 상태에 이르렀다.
그런데, 에스에스디의 두께, 구조 및 무게 등이 종래의 전자부품들과는 달라서 종래의 핸들러를 그대로 적용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에스에스디와 같은 대형 전자부품의 테스트 지원에 적합한 핸들러 개발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50483호 및 10-2019-0061291호로 제안한 바 있다.
에스에스디는 탑재된 전자소자의 종류나 그 전용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규격을 가질 수 있는데, 그러한 다양한 규격의 전자부품에 대한 테스트를 지원하기 위한 핸들러가 요구된다. 그러나 핸들러는 고가이고 그 규모가 크기 때문에 생산 비용 및 설치 장소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규격을 가지는 전자부품들의 테스트를 하나의 핸들러에서 소화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각각 규격이 다른 전자부품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해당 전자부품의 규격에 맞는 부품들의 교체가 필요하고, 부품의 교체가 필요 없다고 하더라도 새로운 전자부품의 공급을 위한 휴지 시간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핸들러와 테스터의 가동률이 하락하고, 잡다한 인력의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핸들러의 1주기 가동이나 연속적인 가동 시에도 별도의 휴지 시간이 요구되지 않는 핸들러가 필요하다.
한편, 종래 소품종 대량 생산 제품인 반도체소자의 경우 수 백 개 이상의 반도체소자를 실을 수 있는 테스트트레이를 구비시키고, 다수의 픽커로 직접 반도체소자들을 파지하여 테스트트레이의 인서트에 삽입시키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반도체소자의 정밀한 위치를 인서트에서도 잡아주고, 테스터와의 연결 과정에서도 그 위치를 잡아주기 때문에 다소 정밀성이 떨어져도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반도체소자를 포함한 여러 전자소자들을 가지는 에스에스디와 같은 전자부품은 적용 장치의 다양성에 대응하여 다품종 소량 생산화 되는 추세인데다가 여러 종류의 테스트를 거쳐야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모든 테스터의 테스트소켓이 동일한 위치에 존재함이 아니다보니, 전자부품의 종류나 테스터의 종류별로 고가의 테스트트레이의 제작과 그에 맞는 핸들러를 갖추어야만 했다. 이를 고려하지 아니하고, 그리퍼(Gripper)로 직접 전자부품을 파지한 상태에서 테스트소켓에 전자부품을 연결시키는 것은 상당한 문제점이 있음이 그간의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은 다양한 종류만큼 다양한 길이와 폭을를 지니며, 제작의 특성상 동일 종류의 전자부품이라 하여도 가공오차 등으로 그 크기가 100% 일치되게 제작되기가 어렵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그리퍼로 전자부품을 파지하려는 경우 전자부품을 제대로 파지하지 못하여 소실되거나 너무 강한 가압력에 의해 전자부품이 파손되기도 한다. 물론, 그리퍼가 전자부품을 잘 파지하도록 조절한다고 하더라도, 전자부품의 어느 부위를 파지하느냐, 그 파지의 강도가 얼마냐에 따라서 전자부품이 파지와 함께 뒤틀리거나 회전하는 등의 상황이 발생되어 그리퍼로 파지한 전자부품이 테스트소켓에 정밀하게 접촉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확인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구동부의 정밀제어가 가능하여야 하고, 모든 전자부품에 대응되어야 하므로 구동축도 매우 길어야만 한다. 그리고 파손이나 뒤틀어짐, 요구되지 않는 회전 방지를 위해 상황별 토크제어까지도 가능한 고가의 모터를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점은 장비의 비대화와 함께 높은 생산단가를 요구하기 때문에 실효성이 없다. 또한, 그리퍼에 의한 전자부품의 정확한 파지위치 등을 설정하기 위한 오토티칭까지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밀한 접촉을 하도록 구현하여야 하는데, 이는 실로 막대한 비용과 기술력을 요하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에스에스디의 경우 종류에 관계없이 그 폭은 가공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지만, 그 길이는 탑재된 전자소자의 수량이나 크기 등에 따라 종류별로 다양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앞서 특허출원 10-2020-0073725호로 범용성이 있는 핸들러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핸들러에 어댑터를 구비시키는 발명(이하 '선출원기술'이라 함)을 제안한 바 있다. 어댑터는 전자부품을 테스터로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캐리어로서 기능하도록 고안되었으며, 핸들러가 크기가 다른 많은 종류의 전자부품들에 적응될 수 있게 함으로써 핸들러의 범용성을 부가시키고 있다.
어댑터와 관련된 부분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댑터는 제작공차에 의한 오차 범위 내의 폭을 가지는 모든 에스에스디의 양단을 적절히 파지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에스에스디라는 전자부품이 가질 수 있는 통상적인 길이 범위(가장 길이가 짧은 에스에스디부터 가장 길이가 긴 에스에스디까지의 범위)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에스에스디를 파지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어댑터에 에스에스디를 정확하게 안착시키는 특징구조가 필요하다. 여기서 특징구조는 어댑터 주변 구성들에 대한 것일 수도 있지만, 어댑터 자체적인 구성들에 대한 것도 요구된다. 만일 에스에스디의 안착에 불량이 발생하면, 이는 차후 에스에스디와 테스터 간의 적절한 전기적인 연결을 방해하는 원인이 된다.
넷째, 어댑터에 안착된 에스에스디의 자세가 정확히 유지되어야 한다. 대게의 경우 핸들러는 각종 작동 충격이 발생할 뿐더러, 어댑터는 전자부품을 가진 상태로 이동해야만 한다. 그런데, 작동 충격에 의하거나 이동 과정에서 흔들림 등의 원인에 의해 에스에스디의 적절한 안착이 유지되지 못하고 불량이 발생하면, 이 또한 궁극적으로 에스에스디와 테스터 간의 전기적인 연결에 불량을 발생시킨다.
그래서 위의 점들이 모두 고려된 어댑터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본 발명은 오차범위 내의 제작공차나 길이에 관계없이 어댑터가 다양한 전자부품을 적절히 파지 할 수 있게 하는 기술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안출되었다.
또, 본 발명은 어댑터에 전자부품을 정확하게 안착시키고, 안착된 후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적절히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안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는 상호 대향하며,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함으로써 전자부품의 후단 부위를 양단에서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하는 한 쌍의 파지레버;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가 직선 이동이 가능할 수 있게 설치되는 설치프레임;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상호 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력을 가하기 위한 간격조작기구; 및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간격조작기구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가해지던 조작력이 제거되면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가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는 상호 마주보는 면에 전자부품의 양단 파지 및 전후 방향의 이동 안내를 위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홈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격조작기구는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간격조작기구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접촉되어 있고,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직선 이동시에는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 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조작력을 가하고,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전방으로 직선 이동시에는 조작력이 해제되도록 구비되는 조작부분; 을 가진다.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상기 조작부분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조작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홈은 후방으로 갈수록 패인 깊이가 얇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분은 상기 조작홈에 대응되는 돌출 부위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돌출 부위가 상기 경사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 간의 간격이 변동된다.
상기 작동부재는 일 측이 상기 설치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타 측이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들; 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프레임은 상기 어댑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테스트핸드의 위치설정홈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설정돌기를 좌우 양 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상기 설치프레임의 전단 부위에는 전자부품의 전단 부위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을 이루는 좌우 벽체에는 전자부품의 전단 부위의 양 측단이 지지될 수 있는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자부품의 전단 부위가 상기 수용홈을 이루는 좌우 벽체 사이에 삽입되면서도 상기 지지턱에 의해 받쳐지는 구조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과 상기 수용홈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안내홈은 와상의 상태로 파지된 전자부품의 수명을 유지시키는 수평 유지 구간, 상기 수평 유지 구간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하 방향의 폭이 넓어지는 폭 증가 구간, 상기 폭 증가 구간의 후방으로 상기 폭 증가 구간의 전단보다 동일하거나 더 확장된 폭을 가지는 개방 구간을 가진다.
상기 어댑터는 전자부품의 하단을 받치기 위한 한 쌍의 받침돌기를 가지는 받침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받침돌기에는 와상으로 안착된 전자부품의 하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는 상기 받침돌기가 통과될 수 있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프레임에는 상기 어댑터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기의 위치고정핀들이 삽입될 수 있는 위치고정홈들이 좌우 양 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작 과정에서 제작공차가 있는 경우에도 전자부품이 어댑터에 적절히 파지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전자부품이 모두 어댑터에 적절히 안착될 수 있어서, 핸들러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탄성부재에 의한 파지레버의 밀착 파지, 안내홈 및 지지턱의 계단구조에 의해 자세 변환 과정에서도 전자부품이 지지될 수 있는 점 등에 의해 전자부품의 안착 상태가 적절히 유지될 수 있다.
넷째, 안내홈의 수평유지구간에서 전자부품(ED)의 후단 부위가 정밀하게 평평함이 유지될 수 있어서 전자부품과 테스터 간의 전기적인 연결에 불량 발생의 소지가 최소화되고, 이로 인해 핸들러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전자부품과 테스터 간의 전기적인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가 적용될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에 대한 개념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핸들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어댑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어댑터에 적용된 파지레버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7은 도 6의 파지레버에 있는 안내홈에 대한 가상적 발췌도이다.
도 8은 도 7의 안내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9는 도 4의 어댑터와 테스트핸드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전자부품과 테스터의 전기적인 연결에 대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가 적용되는 핸들러는 에스에스디와 같이 전자부품의 접촉단자 측 부위가 테스터의 테스트슬릿에 삽입되는 방식일 경우에 보다 적절히 적용된다.
예를 들면, 도 1에서와 같이 테스터(TESTER)에는 테스트슬릿(S)이 구비되고, 해당 테스트슬릿(S)에 전자부품(ED)의 접촉단자(T) 측 부위가 삽입됨으로써 전자부품(ED)과 테스터(TESTER)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핸들러의 대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이하 '어댑터'라 약칭함)가 사용될 수 있는 핸들러(HR)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핸들러(HR)에 대한 개략적인 입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들러(HR)는 연결부분(CP), 스택커부분(SP) 및 이송장치(TA)를 포함한다.
연결부분(CP)은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ED)을 고객트레이로부터 인출하여 테스터(TESTER)로 공급하거나, 테스트가 종료된 전자부품(ED)을 테스터(TESTER)로부터 회수하여 고객트레이에 싣는다.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는 이 연결부분(CP)에서 사용된다.
스택커부분(SP)은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ED)들이 실린 고객트레이를 연결부분(CP)으로 공급하기 위해 핸들러(HR)로 반입된 고객트레이들을 보관하거나, 테스트가 종료된 전자부품(ED)들이 실린 고객트레이를 연결부분(CP)으로부터 회수하여 핸들러로부터 반출하기에 앞서 보관한다. 또한, 스택커부분(SP)은 보관하고 있는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ED)이 실린 고객트레이를 이송장치(TA)로 공급하거나, 테스트가 종료된 전자부품(ED)이 실린 고객트레이들을 이송장치(TA)로부터 회수한다.
이송장치(TA)는 연결부분(CP)과 스택커부분(SP) 간에 고객트레이를 이송시킨다. 즉,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ED)들이 실린 고객트레이는 이송장치(TA)에 의해 스택커부분(SP)으로부터 연결부분(CP)으로 전달되고, 테스트가 종료된 전자부품(ED)들이 실린 고객트레이는 이송장치(TA)에 의해 연결부분(CP)으로부터 스택커부분(SP)으로 전달된다.
<어댑터가 관계하는 전자부품의 개략적인 흐름에 대한 설명>
핸들러(HR)와 관련해서는 선출원기술에서 자세히 설명되었기 때문에 어댑터 위주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어댑터가 거치대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핸드(도시되지 않음)가 고객트레이(CT)로부터 전자부품(ED)을 인출하여 어댑터에 안착시킨다. 이 때 이동핸드가 어댑터에 전자부품(ED)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개방기(도시되지 않음)가 어댑터를 개방시킨다.
전자부품(ED)이 안착된 어댑터는 거치대와 함께 세팅위치에서 파지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회전에 의해 세워지게 된다. 테스트핸드(도시되지 않음)는 세워진 상태의 어댑터를 파지한 후 이동하여 전자부품(ED)을 테스터(TESTER)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 후, 전자부품(ED)에 대한 테스트가 종료되면, 반대의 작동을 거쳐 테스트가 종료된 전자부품(ED)이 고객트레이(CT)로 실린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에 대한 설명>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00)에 대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어댑터(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어댑터(100)는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 설치프레임(120), 간격조작기구(130), 탄성부재(141 내지 144)들 및 받침부재(150)를 포함한다.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는 상호 대향하게 구비되며, 설치프레임(120)에 있는 안내봉(125, 126)들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좌우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그래서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가 와상인 전자부품(ED)의 후단 부위를 양단에서 파지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 간의 간격이 넓어지면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가 전자부품(ED)의 파지를 해제하는 개방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동핸드에 의해 전자부품(ED)이 어댑터(100)에 안착되거나 어댑터(100)로부터 인출되려면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가 전자부품(ED)의 파지를 해제하는 개방상태가 되어야 한다.
도 6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각각 2개의 조작홈(OG)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홈(OG)은 파지레버(111, 112)와 간격조작기구(130)가 접촉하는 부위에 형성된다. 동일 파지레버(111, 112)에 각각 있는 2개의 조작홈(OG)은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그리고 조작홈(OG)은 후방으로 갈수록 패인 깊이가 얕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에는 상호 마주보는 면이면서 조작홈(OG)의 상측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안내홈(GG)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GG)은 전자부품(ED)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예를 들면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이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이동하는 과정이나 테스트가 종료된 전자부품이 테스터로부터 인출되어 어댑터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자부품(ED)의 이동을 안내한다. 더 나아가,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가 전자부품(ED) 후단 부위의 양단을 파지한 상태인 경우에는 안내홈(GG)에 전자부품(ED)의 양단이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걸리므로, 안내홈(GG)이 전자부품(ED)을 파지하는 기능도 가진다.
안내홈(GG)은 도 7의 가상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가는 방향으로 수평 유지 구간(HM), 폭 증가 구간(WG), 관통 구간(TS) 및 개방 구간(OS)을 순차적으로 가진다.
수평 유지 구간(HM)은 그 상하 폭이 전자부품(ED)의 상하 두께와 거의 동일할 정도로 폭이 좁아서 전자부품(ED)의 양단을 적절히 파지하면서도 전자부품(ED)의 후단에 있는 접촉단자(T)가 있는 부위의 수평이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폭 증가 구간(WG)은 수평 유지 구간(HM)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자부품(ED)이 안착되는 과정에서 이동핸드에 의해 흡착 파지된 부위 외의 영역에서 중력에 의해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양 파지레버(111, 112)에 의해 전자부품(ED)의 양단이 적절히 파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관통 구간(TS)은 폭 증가 구간(WG)의 전단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후술할 받침부재(150)의 좌우 양 측 받침돌기가 통과될 수 있는 관통홈(TG)의 전후방향으로의 폭에 대응된다.
개방 구간(OS)은 폭 증가 구간(WG)의 전단과 최소한 동일하거나 더 확장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홈(GG)은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위와 같이 도 7과 같은 형태를 가진 안내홈(GG)은 도 8의 과장도에서와 같이 전자부품(ED)이 일정한 방향으로 휘어진 경우에도 어댑터(100)가 전자부품(ED)을 파지하는데 있어서 문제의 소지를 없게 하면서도, 후단의 접촉단자(T) 측 부위는 그 수평도가 유지되게 함으로써 접촉단자(T) 측 부위가 테스트슬릿(S)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게 기여한다.
설치프레임(120)은 파지레버(111, 112), 간격조작기구(130), 탄성부재(141 내지 146)들 및 받침부재(150)를 설치 및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설치프레임(120)은 그 전단 부위의 좌우 양측에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된 위치설정돌기(121)를 가진다.
위치설정돌기(121)들은 도 9의 참고도에서와 같이 테스트핸드(400)의 파지면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설정홈(SG)과 관계한다. 즉, 테스트핸드(400)가 설치프레임(120)을 파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어댑터(100)를 파지하였을 때, 위치설정홈(SG)에 위치설정돌기(121)가 삽입된다. 그래서 차후 테스트핸드(400)가 어댑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어댑터(100)에 전후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설치프레임(120)의 위치가 고정되고 유지되므로, 결국 어댑터(100)의 위치가 고정되고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설정돌기(121)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면 족하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설치프레임(120)에 위치설정홈이 형성되고, 테스트핸드(400)에 위치설정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설치프레임(120)은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의 좌우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좌우 방향으로 긴 형태의 안내봉(125, 126)을 가진다. 물론 파지레버(111, 112)에는 안내봉(125, 126)들이 삽입 통과되는 통과구멍(TH)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 설치프레임(120)의 전단 부위에는 전자부품(ED)의 전단 부위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AG)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홈(AG)을 이루는 좌우 벽체에는 전자부품의 전단 부위의 양 측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J)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전자부품(ED)의 전단 부위 양 측이 지지턱(J)에 의해 지지되면서도 양 벽체 사이에 정밀하게 삽입되어서 정렬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전자부품(ED)의 적절한 안착과 적절한 안착의 유지를 도모한다. 이에 따라 와상인 상태에서도 전자부품(ED)이 적절히 정렬될 수 있고, 자세 변환에 의해 입상으로 된 상태에서도 전자부품(ED)이 적절히 정렬될 수 있다.
안내홈(GG)과 마찬가지로 수용홈(AG)도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는 전자부품이 안착되는 어댑터(100)의 안착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즉, 안내홈(GG)과 수용홈(AG)을 포함하는 안착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길이의 전자부품(ED)들이 그 길이의 제약 없이 모두 안내홈(GG)과 수용홈(AG)에 걸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간격조작기구(130)는 설치프레임(120)에 설치되며,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에 상호 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력을 가한다. 이를 위해 간격조작기구(13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게 설치프레임(120)에 설치되며, 조작부분(131), 밀판(132) 및 전달봉(133)을 포함한다.
조작부분은(131) 좌우 양측에 각각 2개씩의 구름롤러(R)를 가지고 있고, 구름롤러(R)들은 좌우 양측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부위를 형성한다.
구름롤러(R)들은 조작홈(OG)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구름롤러(R)들은 그 일부가 조작홈(OG)에 삽입된 상태로 조작홈(OG)을 이루는 면에 접촉된다. 즉, 간격조작기구(130)의 조작부분(131)의 양단이 구름롤러(R)를 통해 파지레버(111, 112)에 접촉되어 있는 것이다. 그래서 간격조작기구(130)가 후방으로 이동할 시에는 이동할수록 구름롤러(R)들이 조작홈(OG)의 패인 깊이가 얕아져 가는 경사면과 접촉되므로, 자연스럽게 간격조작기구(130)가 양 파지레버(111, 112) 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양 파지레버(111, 112)에 조작력을 가하게 된다.
반대로, 간격조작기구(130)가 전방으로 이동할 시에는 이동할수록 구름롤러(R)들이 조작홈(OG)의 패인 깊이가 깊어져가는 경사면과 접촉되므로, 자연스럽게 양 파지레버(111, 112)에 가해지던 조작력이 해제되어 간다.
밀판(132)은 개방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간격조작기구(130)로 정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를 받는다. 즉, 개방기는 밀판(132)을 통해 후방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간격조작기구(130)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공급하며, 이러한 개방기의 구동력에 의해 간격조작기구(13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달봉(133)은 전단이 밀판(132)에 고정 결합되고, 후단이 조작부분(131) 측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밀판(132)을 후방으로 미는 개방기의 외력을 조작부분(131)으로 전달한다.
탄성부재(141 내지 144)들은 그 일 측은 설치프레임(120)에 접하고, 그 타 측은 파지레버(111, 112)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탄성부재(141 내지 144)들은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들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들에 탄성력을 가한다. 이에 따라, 간격조작기구(130)에 의해서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에 가해지던 조작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41 내지 144)들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가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전자부품(ED)을 파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탄성부재(141 내지 144)들은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가 전자부품(ED)을 파지할 수 있는 가압력을 발생시키고 유지시키는 작동부재로서의 기능을 하며, 더 나아가서는 어댑터(100)를 폐쇄시키는 기능을 한다. 물론, 작동부재로서 모터나 실린더 등을 고려할 수 있지만, 별도의 설정 없이 가공오차가 범위 내에 있는 전자부품의 모든 폭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로 작동부재를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탄성부재(141 내지 144)들은 그 압축 정도에 따라서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 간의 간격이 결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탄성부재(141 내지 144)들이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들 간의 파지폭(한 쌍의 파지레버가 전자부품을 파지하기 위해서 이격되어야 하는 폭)을 가변시키는 가변소자로서도 기능함을 의미한다. 즉, 탄성부재(141 내지 144)의 압축 정도에 따라서 파지레버(111, 112)는 다양한 폭을 가지는 전자부품(ED)들을 파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받침부재(150)는 한 쌍의 파지레버(111, 112)가 전자부품(ED)의 파지를 해제하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와상으로 안착된 전자부품(ED)의 하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따라서 받침부재(150)에는 좌우 양 측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받침돌기가 구비되고, 이 받침돌기에는 전자부품(ED)의 하단을 받치기 위한 받침턱(151)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부재(150)는 대략 'ㅛ' 또는 'U'자 형태로 형성되어서 설치프레임(120)에 고정되고, 좌우 양단의 받침돌기가 상방으로 돌출되어서 관통홈(FG)를 통과하게 되며, 받침돌기의 상측 영역에 받침턱(151)을 가진다. 참고로, 본 실시에에서는 받침부재(150)가 설치프레임(120)에 일체로 구비되고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고정수단에 의해 설치프레임(120)에 고정되거나 설치프레임(120)으로부터 해체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계속해서 위와 같은 어댑터(1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초기 또는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ED)이 교체됨에 따라 작업자는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ED)의 규격에 맞는 어댑터(100)를 거치대에 안착시킨다. 이 후, 이동핸드가 고객트레이로부터 인출해 온 전자부품(ED)을 어댑터(100)에 안착시키고자 할 때, 개방기가 간격조작기구(130)를 후방으로 민다. 이 때, 설치프레임(120)은 위치고정홈(FG)에 의해 거치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기의 가압력에 의해 간격조작기구(130)만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구름롤러(R)가 조작홈(OG)의 경사면에 접촉된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파지레버(111, 112)에 좌우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됨으로써, 양 파지레버(111, 112) 간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어댑터(100)가 개방된다.
어댑터(100)의 개방이 완료되면, 이동핸드가 전자부품(ED)을 어댑터(100)에 안착시킨다. 이 때, 전자부품(ED)의 후단 부위는 받침부재(151)의 받침턱(151)에 걸쳐지고, 전자부품(ED)의 전단 부위는 지지턱(J)에 걸쳐지게 됨으로써, 전자부품(ED)이 정확한 수평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어댑터(100)에 놓이게 된다.
이 후, 이동핸드가 전자부품(ED)의 파지를 해제한 후 다른 위치로 이동하면, 개방기가 간격조작기구(130)에 가하는 외력을 제거시킨다. 그러면 탄성부재(141 내지 144)의 탄성력에 의해 양 파지레버(111, 112) 간의 간격이 좁혀지고, 간격조작기구(130)도 전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전자부품(ED)의 좌우 양단이 파지레버(111, 112)의 안내홈(GG)에 삽입됨으로써 어댑터(100)에 의한 전자부품(ED)의 파지가 완료된다. 이 때, 가공오차 범위 내에 있는 전자부품(ED)의 좌우 폭에 따라 탄성부재(141 내지 144)의 압축/팽창 정도는 자연스럽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파지이 탄성 압축
이 때, 안내홈(GG)의 형상으로 인해 전자부품(ED)의 후단 부위는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부품(ED)이 일정 정도 휘어져 있더라도 전자부품이 안내홈(GG)을 통해 파지레버(111, 112)에 의해 적절히 파지될 수 있다. 또한, 전자부품(ED)의 좌우 폭에 더 넓은 공차가 있더라도 수용홈(AG)의 폭이 충분히 넓기 때문에 전자부품(ED)의 후단 부위가 수용홈(AG)을 이루는 벽에 끼이는 상황이 발생되지는 않는다.
한편, 거치대에 안착되어 있던 어댑터(100)는 수직으로 세워진다. 이 때, 수직으로 세워진 전자부품(ED)의 하단은 안내홈(GG)가 지지턱(J)을 이루는 벽면에 의해 지지되므로 그 안착상태가 적절히 유지된다.
수직으로 세워진 어댑터(100)는 테스트핸드(400)에 의해 파지되며, 이 과정에서 위치설정돌기(121)가 위치설정홈(SG)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어댑터(100)가 정확한 설정위치에 위치되게끔 테스트핸드(400)에 파지된다. 게다가 차후 어댑터(100)에 가해지는 외력에도 설치프레임(120)의 위치가 고정되고 유지될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어댑터(100)도 그 위치가 고정되고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계속하여 테스트핸드(400)가 어댑터(100)를 테스터(TESTER) 측으로 이동시켜서 어댑터(100)와 테스트슬릿(S) 간의 위치가 정확히 설정되면, 테스트핸드(300)에 있는 개방요소가 간격조작기구(130)를 미세하게 밀어 양 파지레버(111, 112) 간의 간격을 미세하게 넓히고, 그 상태에서 테스트핸드(400)에 있는 연결요소가 전자부품(ED)을 테스트소켓 측으로 밀어 전자부품(ED)의 접촉단자(T)가 있는 후단 부위가 테스트소켓에 있는 테스트슬릿(S)에 삽입되게 한다.
그리고 테스트가 종료되면 어댑터(100)가 전자부품(ED)을 고정하는 상태로 조작되고, 이어서 테스트핸드(400)에 의해 전자부품(ED)이 테스트슬릿(S)으로부터 인출된다. 인출된 전자부품(ED)은 반대과정을 거쳐 이동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고객트레이(CT)에 실리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111, 112 : 파지레버
GG : 안내홈
HM : 수평 유지 구간
WG : 폭 증폭 구간
OS : 개방 구간
OG : 조작홈
TH : 통과구멍
TG : 관통홈
120 : 설치프레임
121 : 위치설정돌기
125, 126 : 안내봉
AG : 수용홈
J : 지지턱
130 : 간격조작기구
131 : 조작부분
141 내지 144 : 탄성부재
R : 구름롤러

Claims (10)

  1. 상호 대향하며,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함으로써 전자부품의 후단 부위를 양단에서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하는 한 쌍의 파지레버;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가 직선 이동이 가능할 수 있게 설치되는 설치프레임;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상호 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력을 가하기 위한 간격조작기구; 및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간격조작기구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가해지던 조작력이 제거되면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가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는 상호 마주보는 면에 전자부품의 양단 파지 및 전후 방향의 이동 안내를 위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홈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작기구는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간격조작기구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접촉되어 있고,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직선 이동시에는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 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조작력을 가하고,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전방으로 직선 이동시에는 조작력이 해제되도록 구비되는 조작부분; 을 가지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상기 조작부분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조작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홈은 후방으로 갈수록 패인 깊이가 얇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분은 상기 조작홈에 대응되는 돌출 부위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돌출 부위가 상기 경사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조작부분의 위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 간의 간격이 변동되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일 측이 상기 설치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타 측이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들; 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은 상기 어댑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테스트핸드의 위치설정홈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설정돌기를 좌우 양 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가지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의 전단 부위에는 전자부품의 전단 부위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을 이루는 좌우 벽체에는 전자부품의 전단 부위의 양 측단이 지지될 수 있는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자부품의 전단 부위가 상기 수용홈을 이루는 좌우 벽체 사이에 삽입되면서도 상기 지지턱에 의해 받쳐지는 구조로 정렬될 수 있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과 상기 수용홈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와상의 상태로 파지된 전자부품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 유지 구간, 상기 수평 유지 구간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하 방향의 폭이 넓어지는 폭 증가 구간, 상기 폭 증가 구간의 후방으로 상기 폭 증가 구간의 전단보다 동일하거나 더 확장된 폭을 가지는 개방 구간을 가지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9. 제1 항에 있어서,
    전자부품의 하단을 받치기 위한 한 쌍의 받침돌기를 가지는 받침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받침돌기에는 와상으로 안착된 전자부품의 하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파지레버에는 상기 받침돌기가 통과될 수 있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에는 상기 어댑터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기의 위치고정핀들이 삽입될 수 있는 위치고정홈들이 좌우 양 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KR1020220035973A 2022-03-23 2022-03-23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KR20230138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973A KR20230138212A (ko) 2022-03-23 2022-03-23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TW112110926A TW202401028A (zh) 2022-03-23 2023-03-23 電子部件測試用分選機的適配器
CN202310293387.3A CN116803551A (zh) 2022-03-23 2023-03-23 电子部件测试用分选机的适配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973A KR20230138212A (ko) 2022-03-23 2022-03-23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212A true KR20230138212A (ko) 2023-10-05

Family

ID=8807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973A KR20230138212A (ko) 2022-03-23 2022-03-23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138212A (ko)
CN (1) CN116803551A (ko)
TW (1) TW2024010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214A (ko) * 2021-02-08 2022-08-17 (주)테크윙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401028A (zh) 2024-01-01
CN116803551A (zh)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6680B2 (en) Insert and electronic component handl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US4816754A (en) Contactor and probe assembly for electrical test apparatus
US7841071B2 (en) Position-correction device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a component holder for electronic components
JPH0582231A (ja) 電気コネクタ組立装置
KR20210156053A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링시스템
KR20230138212A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KR102561144B1 (ko) 전자부품의 테스트를 지원하는 핸들러용 픽킹장치
KR20230140807A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어댑터
CN116020754A (zh) 电子部件分选机用搁置器
TW201917809A (zh) 具承置單元之輸送裝置及其應用之測試分類設備
TWI790096B (zh) 電子部件測試用分選機的適配器
KR102473315B1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가압장치
US632366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ntact test between an integrated circuit device an a socket
CN115591813A (zh) 用于电子部件测试的分选机的中继装置及操作方法
EP01947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 positioning of a solid component for a robotic pickup
KR20230159152A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중계장치 및 작동방법
CN108325864B (zh) 测试分选机用加压装置
KR100297393B1 (ko) 번인 테스터 소팅 핸들러용 로딩 및 언로딩 픽커의 얼라인 장치
KR20230022567A (ko) 전자부품 테스터용 소켓가이더
TW201930845A (zh) 壓蓋模組、具壓蓋模組之測試裝置及其應用之測試分類設備
KR20230001222A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거치기
TWI822108B (zh) 載盤、搬運裝置及作業機
CN219284862U (zh) 插拔力自动检测系统
KR101045277B1 (ko) 테스트 핸들러용 하이픽스보드 클램핑장치
CN214979133U (zh) 针脚校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