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778A - 밴드케이블 - Google Patents

밴드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778A
KR20230137778A KR1020220035663A KR20220035663A KR20230137778A KR 20230137778 A KR20230137778 A KR 20230137778A KR 1020220035663 A KR1020220035663 A KR 1020220035663A KR 20220035663 A KR20220035663 A KR 20220035663A KR 20230137778 A KR20230137778 A KR 20230137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ad
base pad
band memb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1827B1 (ko
Inventor
손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20035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182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3566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81827B1/ko
Publication of KR20230137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1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1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밴드케이블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밴드케이블은: 차체에 면접되는 베이스패드, 베이스패드에 연결되고 차체와 베이스패드의 결속을 안내하는 결속부, 베이스패드의 일측 테두리 또는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차체에 면접되는 영역을 연장하는 연장패드, 연장패드의 일측 테두리 또는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고 와이어 하네스를 감싸서 정렬하도록 가요성을 갖는 밴드부재, 및 와이어 하네스를 감싼 밴드부재를 베이스패드 또는 연장패드에 고정하는 밴드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밴드케이블{WIRING BAND-CABLE}
본 발명은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와 밴드케이블을 결속 안내하기 위한 슬리브를 차체에 접하는 베이스패드에 일체로 구비한 채, 베이스패드에 연장패드를 연장하여 차체에 대한 지지 면적을 증대하며, 연장패드의 테두리에서 연장패드의 축 방향을 따라 밴드부재를 연장하여 와이어 하네스를 감쌀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밴드케이블이 차체에 안정적으로 접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각종 전장류의 부품들이 탑재되어 있으며, 전장류의 부품들은 통상 와이어 하네스라고 지칭되는 전선을 매개로 배선되어져 연결되는데, 이러한 배선류의 와이어 하네스는 차량 내에 복잡하게 연결된 다수 개의 전선들 중 유사한 연결부위로 배선되는 다수개의 전선을 한곳으로 묶은 다발형태로 배선되어 있다.
따라서, 다수개의 전선이 한곳에 다발형태로 묶기 위해서는 밴드케이블이라고 지칭되는 부품을 사용하여 다발형태로 배선되는 다수개의 전선을 한 묶음으로 결속시키고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밴드케이블은 와이어 하네스를 패널에 고정시키기 위해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걸림홈이 마련된 밴드부, 밴드부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측에 걸림홈과 맞물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체결구가 마련된 몸체부, 몸체부 일단에 구비되어 패널에 결합되는 앵커부로 구성된다.
앵커부는 몸체부 일단에서 돌출 형성된 고정축과, 고정축 양측에 몸체부 측으로 돌출된 걸림편, 걸림편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로 구성된다. 돌기가 패널 삽입홀의 측단 가장자리에 걸림으로써 앵커부가 패널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관련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049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차량의 배선용 밴드케이블은 비교적 굵은 직경의 와이어번들을 감아 정렬시, 차체에 고정 연결되는 앵커부가 차체패널과 유격된 채 흔들림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차체패널과의 연결 부위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체와 밴드케이블을 결속 안내하기 위한 슬리브를 차체에 접하는 베이스패드에 일체로 구비한 채, 베이스패드에 연장패드를 연장하여 차체에 대한 지지 면적을 증대하며, 연장패드의 테두리에서 연장패드의 축 방향을 따라 밴드부재를 연장하여 와이어 하네스를 감쌀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밴드케이블이 차체에 안정적으로 접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밴드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케이블은: 차체에 면접되는 베이스패드; 상기 베이스패드에 연결되고, 상기 차체와 상기 베이스패드의 결속을 안내하는 결속부; 상기 베이스패드의 일측 테두리 또는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차체에 면접되는 영역을 연장하는 연장패드; 상기 연장패드의 일측 테두리 또는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고, 와이어 하네스를 감싸서 정렬하도록 가요성을 갖는 밴드부재; 및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감싼 상기 밴드부재를 상기 베이스패드 또는 상기 연장패드에 고정하는 밴드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스터드볼트; 상기 베이스패드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터드볼트를 상기 베이스패드를 통해 축 삽입 안내하도록 결속홀을 통공한 슬리브; 및 상기 결속홀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슬리브에 축 삽입되는 상기 스터드볼트가 삽입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밴드고정부는, 상기 베이스패드와 상기 연장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체로 고정되고, 축 방향을 따라 고정홀을 통공한 고정블록; 상기 고정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블록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장되는 걸림돌부; 및 상기 밴드부재의 일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밴드부재가 상기 고정홀에 축 삽입되는 방향으로 당기는 외력이 제거시, 상기 걸림돌부에 걸려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요철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패드는 상기 고정홀의 일측으로 축 삽입된 상기 밴드부재를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홀과 연결되는 커팅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패드는 상기 밴드부재에 장력 발생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절개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밴드케이블은 종래 기술과 달리 차체와 밴드케이블을 결속 안내하기 위한 슬리브를 차체에 접하는 베이스패드에 일체로 구비한 채, 베이스패드에 연장패드를 연장하여 차체에 대한 지지 면적을 증대하며, 연장패드의 테두리에서 연장패드의 축 방향을 따라 밴드부재를 연장하여 와이어 하네스를 감쌀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밴드케이블이 차체에 안정적으로 접하면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이 차체에 고정된 채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이 차체에 고정된 채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이 차체에 고정된 채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이 차체에 고정된 채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이 차체에 고정된 채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이 차체에 고정된 채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100)은 베이스패드(110), 결속부(120), 연장패드(130), 밴드부재(140) 및 밴드고정부(150)를 포함한다.
베이스패드(110)는 차체(10)에 면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결속부(120)와 연장패드(130)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베이스패드(110)는 차체(10)에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편의상 판 형상으로 도시한다.
결속부(120)는 베이스패드(110)에 연결되고, 차체(10)와 베이스패드(110)의 결속을 안내한다.
예로서, 결속부(120)는 스터드볼트(122), 슬리브(124) 및 스토퍼(126)를 포함한다.
스터드볼트(122)는 차체(10)에 고정된 채 차체(10)의 상측이나 하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슬리브(124)는 베이스패드(110)에서 일측(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대응되는 스터드볼트(122)를 베이스패드(110)를 통해 축 삽입 안내하도록 결속홀(125)을 통공한다. 그래서, 결속홀(125)은 슬리브(124)와 베이스패드(110)에 걸쳐 통공 형성되어 스터드볼트(122)의 축 삽입을 허용한다.
아울러, 스토퍼(126)는 슬리브(124)에 대응되는 결속홀(125)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슬리브(124)에 축 삽입되는 스터드볼트(122)가 삽입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스토퍼(126)는 결속홀(125)에 축 삽입된 스터드볼트(122)를 (탄성) 가압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래서, 슬리브(124)와 베이스패드(110)는 대응되는 스터드볼트(122)에 결속된다.
물론, 베이스패드(11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차체(10)에 면접된 채 차체(10)에 결속될 수 있다.
한편, 연장패드(130)는 베이스패드(110)의 일측 테두리 또는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차체(10)에 면접되는 영역을 확장한다.
이때, 연장패드(130)는 정렬되는 와이어 하네스(20)의 하측에 접하게 된다. 이로써, 연장패드(130)는 와이어 하네스(20)의 하중에 의해 가압력이 작용함에 따라 차체(10)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연장패드(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베이스패드(110)보다 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밴드부재(140)는 연장패드(130)의 일측 테두리 또는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고, 와이어 하네스(20)를 감싸서 정렬하도록 가요성을 갖는다.
특히, 평면상, 베이스패드(110), 연장패드(130) 및 밴드부재(140)가 동일 평면상에서 순서대로 배치된다.
그래서, 밴드부재(140)는 연장패드(130)에 접하여 지지되는 와이어 하네스(20)를 감싸면서 슬리브(124) 방향으로 절곡된 채 장력이 발생됨에 따라, 기존에 상부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되는 스트랩 대비, 베이스패드(110)와 연장패드(130)가 차체(10)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4참조)
이때, 밴드부재(1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밴드고정부(150)는 와이어 하네스(20)를 감싼 밴드부재(140)를 베이스패드(110) 또는 연장패드(130)에 고정한다.
이를 위해, 밴드고정부(150)는 고정블록(152), 걸림돌부(154) 및 요철부(156)를 포함한다.
고정블록(152)은 베이스패드(110)와 연장패드(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체로 고정되고, 축 방향을 따라 고정홀(153)을 통공한다. 이때, 고정홀(153)은 고정블록(152)과 베이스패드(110)에 걸쳐 통공 형성한다.
아울러, 고정블록(152)은 둘레면 일부가 슬리브(124)와 일체로 제작되고, 하측면이 베이스패드(110)와 일체로 제작된다. 이로써, 고정블록(152)은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물론, 고정블록(15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걸림돌부(154)는 고정홀(153)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블록(152)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된다. 물론, 걸림돌부(15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고정블록(152)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요철부(156)는 밴드부재(140)의 일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밴드부재(140)가 고정홀(153)에 축 삽입되는 방향으로 당기는 외력이 제거시, 걸림돌부(154)에 걸려 밴드부재(140)가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임의의 요철부(156)가 대응되는 걸림돌부(154)에 걸림으로써, 밴드부재(140)는 고정홀(153)에 삽입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밴드부재(140)가 고정홀(153)을 통해 베이스패드(110) 측으로 고정블록(152)에 축 삽입되는 바, 베이스패드(110)와 간섭이 발생된다.
그래서, 밴드부재(140)가 와이어 하네스(20)를 감싸고 나서 고정블록(152)을 통해 고정홀(153)의 하측으로 인출되도록 삽입된 후, 고정블록(152)의 하부로 인출된 밴드부재(140)는 절단되어야 한다. 그리고 나서, 베이스패드(110)와 슬리브(124)가 차체(10)의 스터드볼트(122)에 결속된다. 고정블록(152)의 하부로 인출되는 밴드부재(140)가 절단됨에 따라, 베이스부재는 차체(10)에 안정적으로 면접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패드(110)는 고정홀(153)의 일측으로 축 삽입된 밴드부재(140)를 절단할 수 있도록 고정홀(153)과 연결되는 커팅공간부(112)를 형성한다. 특히, 커팅공간부(112)는 베이스패드(110)의 하측으로 개방되는 고정홀(153)의 해당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형성된다.
작업자는 커팅도구(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커팅공간부(112)에서 밴드부재(140)를 커팅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밴드부재(140)는 베이스패드(110)의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은 채 와이어 하네스(20)를 정렬 고정하게 된다.
또한, 연장패드(130)는 밴드부재(140)에 장력 발생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절개홀부(132)를 형성한다.
즉, 밴드부재(140)가 연장패드(130)의 일측 테두리나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와이어 하네스(20)를 감싸도록 상부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시, 연장패드(130)가 이에 연동되어 상부 방향으로 휘어지려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연장패드(130)는 와이어 하네스(20)의 하측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비교적 강도가 큰 경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연장패드(130)가 상부 방향으로 휘려는 힘이 작용할 경우 파손될 우려가 있다.
절개홀부(132)가 연장패드(130)에 형성됨으로써, 연장패드(130)는 상부 방향으로 소정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그래서, 연장패드(130)는 파손이 방지된다.
물론, 절개홀부(132)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차체 20: 와이어 하네스
100: 밴드케이블 110: 베이스패드
112: 커팅공간부 120: 결속부
122: 스터드볼트 124: 슬리브
126: 스토퍼 130: 연장패드
132: 절개홀부 140: 밴드부재
150: 밴드고정부 152: 고정블록
153: 고정홀 154: 걸림돌부
156: 요철부

Claims (5)

  1. 차체에 면접되는 베이스패드;
    상기 베이스패드에 연결되고, 상기 차체와 상기 베이스패드의 결속을 안내하는 결속부;
    상기 베이스패드의 일측 테두리 또는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차체에 면접되는 영역을 연장하는 연장패드;
    상기 연장패드의 일측 테두리 또는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고, 와이어 하네스를 감싸서 정렬하도록 가요성을 갖는 밴드부재; 및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감싼 상기 밴드부재를 상기 베이스패드 또는 상기 연장패드에 고정하는 밴드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스터드볼트;
    상기 베이스패드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터드볼트를 상기 베이스패드를 통해 축 삽입 안내하도록 결속홀을 통공한 슬리브; 및
    상기 결속홀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슬리브에 축 삽입되는 상기 스터드볼트가 삽입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고정부는,
    상기 베이스패드와 상기 연장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체로 고정되고, 축 방향을 따라 고정홀을 통공한 고정블록;
    상기 고정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블록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장되는 걸림돌부; 및
    상기 밴드부재의 일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밴드부재가 상기 고정홀에 축 삽입되는 방향으로 당기는 외력이 제거시, 상기 걸림돌부에 걸려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드는 상기 고정홀의 일측으로 축 삽입된 상기 밴드부재를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홀과 연결되는 커팅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패드는 상기 밴드부재에 장력 발생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절개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KR1020220035663A 2022-03-22 밴드케이블 KR102681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663A KR102681827B1 (ko) 2022-03-22 밴드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663A KR102681827B1 (ko) 2022-03-22 밴드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778A true KR20230137778A (ko) 2023-10-05
KR102681827B1 KR102681827B1 (ko) 2024-07-0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1947Y2 (ko)
KR101089079B1 (ko)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US9231316B2 (en)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having an insertion groove
JPH0231570B2 (ko)
CN111886766B (zh) 连结具
KR102681827B1 (ko) 밴드케이블
KR20230137778A (ko) 밴드케이블
KR200431314Y1 (ko) 밴드케이블
WO2017199842A1 (ja) クリップ
JP4312042B2 (ja) 結束バンドの固定構造
US6259028B1 (en) Grommet holder and method of bending and guiding a wiring harness
KR101110791B1 (ko) 밴드케이블 어셈블리
KR102290434B1 (ko) 차량의 와이어링용 클립장치
KR102673109B1 (ko) 스터드 타입 밴드케이블
JP2000270448A (ja) ワイヤハーネス取付用バンド
KR102496087B1 (ko) 와이어 하네스 정렬용 밴드케이블
KR102681826B1 (ko) 밴드케이블
KR200431313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20230030462A (ko) 밴드케이블
KR102290435B1 (ko) 밴드케이블
KR102661262B1 (ko) 밴드 케이블
KR102507032B1 (ko) 차체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자동차용 배선클립
KR20240029267A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WO2023243392A1 (ja) ワイヤハーネス
JP2022118940A (ja) 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