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398A - 고체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체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398A
KR20230137398A KR1020237029023A KR20237029023A KR20230137398A KR 20230137398 A KR20230137398 A KR 20230137398A KR 1020237029023 A KR1020237029023 A KR 1020237029023A KR 20237029023 A KR20237029023 A KR 20237029023A KR 20230137398 A KR20230137398 A KR 20230137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solid pharmaceutical
certain embodiments
pharmaceutical composition
dis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9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막심 푸치코프
롤란트 하그
마르크 프피스터
Original Assignee
갈비타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갈비타 아게 filed Critical 갈비타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13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3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89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63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 A61K49/0069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or galenical form, e.g. emulsions, microspheres the agent being in a particular physical galenical form
    • A61K49/0089Particulate, powder, adsorbate, bead, sphere
    • A61K49/0091Microparticle, microcapsule, microbubble, microsphere, microbead, i.e. having a size or diameter higher or equal to 1 micro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1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차 및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주형 담체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a) 1차 구조 및 2차 내부 구조를 형성하는 담체 물질을 주형 물질과 조합하는 단계, b)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는 단계; c) 변형된 주형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및 d)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 가능한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에 관한 것이다. 압축된 담체 물체를 수득하기 위해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를 압축하는 단계를 본 발명의 방법에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이 압축된 담체 물체를 제조하는데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담체 입자 또는 압축된 담체 물체를 포함하는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체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1차 및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주형 담체 입자 (templated carrier particles)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a) 1차 구조 및 2차 내부 구조를 형성하는 담체 물질을 주형 물질과 조합하는 단계; b) 상기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는 단계; c) 상기 변형된 주형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및 d)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 가능한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 (carrier particle)에 관한 것이다. 압축된 담체 물체 (carrier matter)를 수득하기 위해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를 압축하는 단계를 본 발명의 방법에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이 압축된 담체 물체를 제조하는데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담체 입자 또는 압축된 담체 물체를 포함하는 고체 약학 조성물 (solid pharmaceutical composition)에 관한 것이다.
고체 약학 조성물의 약물 전달에는 디자인에 대한 몇 가지 문제가 수반된다. 고체 약학 조성물의 붕해 시간은 치료 효과의 개시를 지연시킨다. 약물 로딩 용량은 고체 약학 조성물에 대한 최대 투여량을 제한한다. 기계적 안정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고체 약학 조성물의 저장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고체 약학 조성물을 삼키는 것은 환자, 특히 소아 및/또는 노인 환자에게는 문제가 될 수 있다.
고체 약학 조성물의 목적하는 약물 전달 특성을 개선시키면 통상 고체 약학 조성물의 다른 특성에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를 초래한다. 예를 들어, 경질의 기계적으로 안정한 고체 약학 조성물은 통상 붕해 시간이 더 길며 (예를 들어, Kitazawa, S. et al., 1975, The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27(10), 765-770 참조), 삼키는 것이 더 어려울 수 있다.
주형 약물 담체 입자 (templated drug carrier particles)는 현대 약물 전달에 널리 사용되며, 활성 약학적 성분의 부위-특이적 (예컨대, 조직-특이적) 전달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Rosenholm, J. M., et al., 2010 Nanoscale, 2(10), 1870-1883 참조). 액체 중 중공이 있는 담체 입자를 제조하는 기술은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WO1999047253; Donath, E., et al., 1998,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37(16), 2201-2205 참조). 그러나, 투여 가능한 형태의 고체 약학 조성물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담체 입자의 적용에 대해서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목적하는 약물 전달 특성을 갖는 고체 약학 조성물을 수득하기 위한 개선된 수단 및 방법이 필요하다.
상기 기술적 문제는 본원에 개시된 구체예에 의해 그리고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하기 구체예에 관한 것이다: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 (carrier particles)를 제조하는 방법:
a) 담체 물질을 주형 물질과 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담체 물질은 주형 물질 주위에 1차 구조를 형성하는 것인 단계;
b)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는 단계;
c) 변형된 주형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및
d)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
2. 구체예 1에 있어서, 주형 물질은 무기 물질이거나 또는 주로 무기 물질로 구성되는 방법.
3. 구체예 1 또는 2에 있어서, 담체 물질은 무기 물질이거나 또는 주로 무기 물질로 구성되는 방법.
4. 구체예 3 또는 4에 있어서, 담체 물질 및 주형 물질은 무기 염이거나 또는 주로 무기 염으로 구성되는 방법.
5. 구체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담체 물질을 주형 물질과 조합하는 단계는 주형 물질 상에 담체 물질의 화학적 침전 (chemical precipitation), 층화 (layering) 및/또는 결정화 (crystallization)를 포함하는 방법.
6. 구체예 1 또는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는 단계는 600℃ 내지 120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 구체예 6에 있어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는 단계는 600℃ 내지 90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8. 구체예 6 또는 7에 있어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는 단계는 소성 (calcination)을 포함하는 방법.
9. 구체예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는 단계는 후속하는 물의 부가를 포함하는 방법.
10. 구체예 9에 있어서, 물의 부가는 발열 반응인 방법.
11. 구체예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주형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는 변형된 주형 물질을 용해하여 2차 내부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2. 구체예 2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주형 물질은 칼슘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방법.
13. 구체예 3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담체 물질은 칼슘 포스페이트 및 마그네슘 포스페이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염 및/또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방법.
14. 구체예 13에 있어서, 담체 입자는 직경이 1 내지 300 μm인 방법.
15. 구체예 13 또는 14에 있어서, 담체 입자는 표면적이 15 m2/g 내지 400 m2/g인 방법.
16. 구체예 13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2차 내부 구조는 직경 크기가 0.2 μm 이상 및 1.5 μm 이하의 범위인 소공(pores)을 포함하는 방법.
17. 구체예 13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수득된 담체 입자에서 2차 내부 구조의 전체 부피는 입자 부피의 10% 이상 내지 90% 이하의 범위인 방법.
18. 구체예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 가능한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 (carrier particle).
19. 구체예 18에 있어서, 로딩 용량 (loading capacity)이 ≥60% v/v인 담체 입자.
20. 구체예 18 또는 19에 있어서, 치료제를 포함하는 담체 입자.
2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압축된 담체 물체 (carrier matter)를 제조하는 방법:
a) i) 구체예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담체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또는
ii) 구체예 18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담체 입자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를 압축하여 압축된 담체 물체를 수득하는 단계.
22. 구체예 18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담체 입자 또는 구체예 21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를 포함하는 고체 약학 조성물 (solid pharmaceutical composition).
23. 구체예 22, 21 또는 20에 있어서, 치료제는 항불안제 (anxiolytic agents), 진정제 (sedative agents), 마약성 진통제 (narcotic agents), 항우울제 (antidepressant agents), 항편두통제 (anti-migraine agents), 항염증제 (anti-inflammatory agents) 및 항감염제 (anti-infective agents)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체 약학 조성물,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담체 입자.
24. 구체예 22 또는 23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쥬반트 (adjuvant)를 포함하는 고체 약학 조성물.
25. 구체예 24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쥬반트는 붕해제, 활택제 및 유동성 증진제 (flowability enhancement agents)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체 약학 조성물.
26. 구체예 24 또는 25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쥬반트는 맛 변경제 (taste altering agents), 냄새 변경제 (smell altering agents) 및 외관 변경제 (appearance altering agents)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체 약학 조성물.
27. 구체예 26에 있어서, 맛 변경제는 인공 감미료, 산도 변형제, 검, 셀룰로스 유도체, 경화 지방 (hard fats) 및 염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체 약학 조성물.
28.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구체예 22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구체예 19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구체예 20에 따른 담체 입자.
29. 구체예 28에 있어서,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담체 입자.
30. 구체예 28에 있어서, 소아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담체 입자; 또는
구체예 29에 있어서,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는 노인 및 소아의 질환 또는 장애인 고체 약학 조성물,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담체 입자.
31. 구체예 28에 있어서,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통증, 감염, 편두통, 수면 장애 및 우울 장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담체 입자; 또는
구체예 29 또는 30에 있어서, 소아 질환 또는 장애,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 또는 노인 및 소아의 질환 또는 장애는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통증, 감염, 편두통, 수면 장애 및 우울 장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체 약학 조성물,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담체 입자.
32. 구체예 28에 있어서, 수의학적 (veterinary)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담체 입자.
33. 진단 목적 (diagnostic purposes)에 사용하기 위한, 구체예 22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구체예 21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구체예 20에 따른 담체 입자.
34. 구체예 33에 있어서, 섬광조영술 (scintigraphy)에 사용하기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담체 입자.
따라서, 제1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a) 담체 물질을 주형 물질과 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담체 물질은 주형 물질 주위에 1차 구조를 형성하는 것인 단계; b)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는 단계; c) 변형된 주형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및 d)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놀랍게도, 담체 입자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변형을 수행한 주형 물질로 제조되는 경우 목적하는 약물 전달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원에 제공된 수단 및 방법은 환자, 특히 소아 및 노인 환자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의 의학적 치료에 유용하다. 본원에 제공된 개선된 수단 및 방법은 유효성, 안전성, 약동학적 특성, 물리적 안정성, 화학적 안정성, 약물 로딩 용량 및/또는 붕해 시간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약물 전달 특성이 증진된 고체 약학 조성물을 수득 가능하게 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담체 입자 (carrier particle)"는 대상체에게 무독성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독성이 없는 물질을 지칭하며, 이는 고체 약학 조성물의 목적하는 약물 전달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담체 입자에 치료제를 로딩하지 않는 한 대상체에게 투여 시에 상기 담체 입자는 치료 효과가 없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치료 효과가 없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담체 입자에 치료제를 로딩하지 않는 한 상기 담체 입자는 약리학적으로 불활성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담체 입자는 물에 용해되지 않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용해되지 않는다. 고체 약학 조성물의 본원에 기재된 목적하는 약물 전달 특성은 유효성, 안전성, 약동학적 특성 (예를 들어, 생체이용률), 물리적 안정성, 화학적 안정성, 약물 로딩 용량 및/또는 붕해 시간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에서, 고체 약학 조성물의 목적하는 약물 전달 특성에는 물리적 안정성, 약물 로딩 용량 및 붕해 시간이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고체 약학 조성물의 목적하는 약물 전달 특성에는 고체 약학 조성물의 높은 약물 로딩 용량 (예를 들어, 약물 로딩 용량 (v/v) ≥50%, ≥55%, ≥60%, ≥65%, ≥70%, ≥75%, ≥80%, 바람직하게는 ≥60%, 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임), 고체 약학 조성물의 적은 붕해 시간 (예를 들어, ≤15s, ≤14s, ≤13s, ≤12s, ≤11s, ≤10s, 바람직하게는 ≤10s) 및/또는 물리적 안정성 (예를 들어, 정제 경도 (tablet hardness)는 11 mm 정제의 경우 ≥200N, ≥210N ≥220N, ≥230N, ≥240N, 또는 ≥250N, 또는 6 mm 정제의 경우 ≥40N, ≥50N, ≥60N, 바람직하게는 6 mm 정제의 경우 ≥50N임 (예를 들어, 실시예 4 참조))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는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는 구형 (sphere), 구상체 (spheroid) 및/또는 비드 (bead)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 1 참조). 주형 물질의 제거는 적어도 하나의 소공을 대체로 균일한 구조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참조). 담체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건조 환경에서 중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에 기재된 담체 입자는 건조 시에 붕괴되지 않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붕괴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1차 구조 (primary structure)"는 주형 물질을 포함하는 담체 물질의 층을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1차 구조는 담체 입자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추가 구조 요소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은 꽃잎 형태 (petals))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2차 내부 구조 (secondary internal structure)"는 중공 내부 구조 (예를 들어, 도 2 참조)를 지칭하며, 여기서 중공 내부 구조의 내부면은 결정화 개시점 (crystallization initiation points)에서 조밀하다. 그러므로, 2차 내부 구조는 담체 입자 내부에 결정화를 가능하게 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담체 물질 (carrier material)"은 본 발명의 담체 입자를 위한 원료를 포함하는 물질 또는 혼합물을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담체 물질은 무기 염이거나 또는 무기 염을 상당한 정도로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담체 물질은 물에 불용성 (insoluble)이거나 또는 난용성 (poorly soluble)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담체 물질은 용매에 용해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담체 물질 또는 담체 물질의 전구물질은 액체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담체 물질은 비-폴리머 (non-polymer)이거나 또는 비-폴리머를 상당한 정도로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주형 물질 (template material)"은 담체 입자의 1차 구조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주형 역할을 하기에 적합한 입자를 포함하는 고체 물질을 지칭한다. 주형 물질내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구형, 구상체 및/또는 비드의 형태를 갖는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은 비-폴리머이거나 또는 비-폴리머를 상당한 정도로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은 균일하거나 또는 거의 균일한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은 분포 너비 (distribution width) (식 (D90 - D10)/D50으로 정의됨)가 약 ≤5, 약 ≤4.5, 약 ≤4, 약 ≤3.5, 약 ≤3, 약 ≤2.8, 약 ≤2.4, 약 ≤2, 약 ≤1.8, 약 ≤1.6, 약 ≤1.4, 약 ≤1.2, 약 ≤1, 약 ≤0.9, 약 ≤0.8, 약 ≤0.7, 약 ≤0.6, 약 ≤0.5, 약 ≤0.4, 약 ≤0.3, 약 ≤0.2, 또는 약 ≤0.1이다. 이와 같이 주형 물질은 변형 가능하고 담체 물질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안정성을 가진 임의의 물질이다. 담체 물질을 주형 물질과 조합하는 단계 중에 주형 물질이 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합 액체 (combining liquid)에 난용성인 주형 물질을 사용해야 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은 디클로로메탄, 디에틸 에테르, 톨루엔, 에탄올, 메탄올, 디메틸 설폭시드, 초임계 CO2 (supercritical CO2), 디메틸 케톤, 2-프로판올, 1-프로판올, 포화 알칸, 알켄, 알카디엔 (alkadienes), 지방산, 글리세롤, 실리콘 오일, 감마-부티로락톤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용매에 난용성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은 물에 난용성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은 용해도 변경제 (solubility altering agents) (예: 염수 (salt water))를 포함하는 수성 용액에 난용성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용어 "난용성 (poorly soluble)"은 25℃에서의 용해도가 약 <100mg/L, <80mg/L, <60mg/L, <40mg/L, <20mg/L, <10mg/L, <9mg/L, <8mg/L, <7mg/L, <6mg/L, <5mg/L, <4mg/L, <3mg/L, <2mg/L, <1mg/L, <0.9mg/L, <0.8mg/L, <0.7mg/L, <0.6mg/L, <0.5mg/L, <0.4mg/L, <0.3mg/L, <0.2mg/L, <100μg/L, <90μg/L, <80μg/L, <70μg/L, <60μg/L, <50μg/L, <40μg/L, <30μg/L, <25μg/L 또는 <20μg/L인 것을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은 염 (salt)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은 유기 염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은 카보네이트 염이거나 또는 카보네이트 염을 상당한 정도로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은 염기성 옥시드 (basic oxide)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변형 (transforming)"은 조합에서 주형 물질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화학적 단계에 의해 주형 물질의 특성을 변경하는 것을 지칭한다. "변형 (transforming)"의 물리적 단계는 물질에 에너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에너지는 온도 상승 및/또는 압력 변경의 형태로 적용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변형 (transforming)"의 물리적 단계는 주형 물질에서 흡열 화학 반응을 유도한다. "변형 (transforming)"의 화학적 단계는 화학 반응물을 주형 물질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변형 (transforming)"의 화학적 단계에 제공된 반응물은 주형 물질과 반응하지만, 담체 물질과는 반응하지 않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반응하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에서, "변형 (transforming)"의 화학적 단계에 제공된 화학 반응물은 액체 형태, 용해된 형태 및/또는 기체 형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이러한 2차 내부 구조는 높은 약물 로딩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담체 입자가 약물과 함께 담체 입자의 표면 뿐만 아니라 2차 내부 구조의 내부로 로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로딩된 제제 또는 약물은 다공성 담체 벽을 통한 확산에 의해 담체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표적 부위 (예를 들어, 환자의 점막)에서 소정의 안정성을 갖는 담체 입자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담체 입자는 표적 부위에 (예를 들어 점막에의 부착에 의해) 남을 수 있고, 특정 약물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로딩된 제제가 흡수 부위에서 연속적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로딩된 제제의 불쾌한 맛을 차폐하는 담체 입자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로딩된 제제의 방출 속도는 주형 물질의 기하학적 구조 및/또는 확산 속도 변형제 (diffusion rate modifiers) 예컨대 붕해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러므로, 불쾌한 맛은 지각 위치 (예를 들어, 혀)로 더 적은 정도로 확산된다.
본원에 기재된 2차 내부 구조는 담체 입자 내부에 효율적인 약물 로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2차 내부 구조는 예를 들어 용매 로딩을 위해 소공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더 적은 노력으로 로딩될 수 있고 및/또는 특히 높은 로딩 용량을 갖는 담체 입자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입자간 힘 (interparticle forces)에 유익한 특히 표면적이 큰 담체 입자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입자간 힘은 물이 부재한 경우 담체 입자들 간에 작용하여 담체 입자 클러스터의 기계적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기계적 안정성의 증가는 약학 조성물, 예컨대 정제와 같은 고체 약학 조성물에서 담체 입자의 사용 시에 추가적인 안정화 물질에 대한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담체 입자들 간에 작용하는 입자간 힘은 물에 의해 감소될 수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예컨대 정제와 같은 고체 약학 조성물의 적은 붕해 시간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이 하나 이상의 목적하는 약물 전달 특성을 증진시키는데 유익한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형 물질은 무기 물질이거나 또는 주로 무기 물질로 구성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주로 구성되는 (consists primarily of)"은 물질과 관련하여, 물질의 적어도 50%, 적어도 60%, 적어도 70%, 적어도 80%,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6%, 적어도 97%,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로 구성되는 것을 지칭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물질은 무기 물질이거나 또는 주로 무기 물질로 구성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물질 및 주형 물질은 무기 염이거나 또는 주로 무기 염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자들은 무기 물질/염이 하나 이상의 목적하는 약물 전달 특성을 증진시키는데 유익한 특정 목적하는 크기의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안정한 무-독성 담체 입자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이 하나 이상의 목적하는 약물 전달 특성을 증진시키는데 유익한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형 물질은 담체 물질과 주형 물질을 조합하기 전에 액체에 현탁된다.
주형 물질은 (예를 들어,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 용기에서 교반하에 조합 액체 (예를 들어, 물)에 현탁될 수 있다. 설정된 교반 속도는 안정한 난류 혼합 (turbulent mixing)을 보장하여 입자 응집을 방지하고, 이는 입자를 개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물질을 주형 물질과 조합하는 단계는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 및 본원에 기재된 담체 물질을 조합 액체에 부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합 액체는 디클로로메탄, 디에틸 에테르, 톨루엔, 에탄올, 메탄올, 디메틸 설폭시드, 초임계 CO2, 디메틸 케톤, 2-프로판올, 1-프로판올, 포화 알칸, 알켄, 알카디엔, 지방산, 글리세롤, 실리콘 오일, 감마-부티로락톤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용매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합 액체는 물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합 액체는 용해도 변경제 (예를 들어, 염수)를 포함하는 수성 용액이다.
담체 물질을 주형 물질과 조합하는 단계 중에 주형 물질이 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합 액체의 양과 비교하여 주형 물질의 양의 적절한 비율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적절한 비율은 조합 액체 중 주형 물질의 용해도에 따라 좌우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주형 물질 및 조합 액체의 양은 주형 물질의 약 0.05%(w/w) 미만, 약 0.04%(w/w) 미만, 약 0.03%(w/w) 미만, 약 0.02%(w/w) 미만, 약 0.01%(w/w) 미만, 약 0.0095%(w/w) 미만, 약 0.009%(w/w) 미만, 약 0.0085%(w/w) 미만, 약 0.0008%(w/w) 미만, 약 0.0075%(w/w) 미만, 약 0.007%(w/w) 미만, 약 0.0065%(w/w) 미만, 약 0.06%(w/w) 미만, 약 0.0055%(w/w) 미만 또는 약 0.005%(w/w) 미만이 조합 액체에 용해되도록 선택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물질을 주형 물질과 조합하는 단계는 주형 물질 상에 담체 물질의 화학적 침전, 층화, 및/또는 결정화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화학적 침전 (chemical precipitation)"은 화학 물질을 불용성 형태로 전환시킴으로써 화학 물질을 용액에서 고체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지칭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물질의 전구물질을 조합하여 주형 물질의 표면과의 화학 반응에서 담체 물질을 형성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담체 물질의 가용성 전구물질은 인산 (phosphoric acid)이다.
본 발명자들은 전환 등급 (conversion grade)이 담체 물질의 전구물질을 조합하여 주형 물질의 표면과의 화학 반응에서 담체 물질을 형성하는 구체예와 관련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전환 등급이 너무 낮으면 구멍 (holes)이 있거나 또는 쉘 (shells)이 부서지는 입자가 유발될 수 있는 반면에, 전환 등급이 너무 높으면 내부 공동 (inner cavity)의 크기가 감소되어 예를 들어 디칼슘 포스페이트의 외부 결정이 더 많이 생성되어, 이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슬래브 (hydroxyapatite slabs)로 추가로 전환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전환 등급은 약 30% 내지 약 60%, 약 35% 내지 55%, 또는 약 40% 내지 약 50%이다.
본원에 기재된 화학적 침전 중의 온도는 물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칼슘 포스페이트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보다 열역학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형태이다. 그러므로, 온도가 너무 낮고 오르토인산의 칼슘 카보네이트로의 급속 또는 제어되지 않은 부가는 침전을 유발하고 더 많은 디칼슘 포스페이트를 수득하여 처리하기 더 어려운 별개의 결정을 생성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화학적 침전 중의 온도는 약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약 100℃, 더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95℃, 더 바람직하게는 약 80℃ 내지 약 95℃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물질의 가용성 전구물질은 주형 물질에 용액으로 부가되고, 담체 물질의 가용성 전구물질을 불용성 담체 물질로 전환시키는 반응물의 부가에 의해 주형 물질 상에 분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담체 물질의 가용성 전구물질은 소듐 포스페이트 및 칼슘 클로라이드이다 (예를 들어, Despotovic, R., et al., 1975, Calc. Tis Res. 18, 13-26 참조).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층화 (layering)"는 주형 물질 상에 담체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부가하는 기술을 지칭한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층화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echer, G. H. J. D., et al., 1992, Thin solid films, 210, 831-835; Donath, E., et al., 1998,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37(16), 2201-2205; Caruso, F, et al., 1998, Science, 282(5391), 1111-1114 참조). 일부 구체예에서, 정전기적 상호작용 (예를 들어, Decher, G. H. J. D., et al., 1992, Thin solid films, 210, 831-835에 기재된 바와 같음), 수소 결합 (예를 들어, Such, G. K. et al., 2010, Chemical Society Reviews, 40(1), 19-29에 기재된 바와 같음), 소수성 상호작용 (예를 들어, Serizawa, T., Kamimura, S., et al., 2002, Langmuir, 18(22), 8381-8385에 기재된 바와 같음), 및/또는 공유 커플링 (예를 들어, Zhang, Y., et al., 2003, Macromolecules, 36(11), 4238-4240에 기재된 바와 같음), 전기도금 및 전착 (예를 들어, Chandran, R., Panda, S.K. & Mallik, A. A short review on the advancements in electroplating of CuInGaSe2 thin films. Mater Renew Sustain Energy 7, 6 (2018)에 기재된 바와 같음)이 주형 물질 상에 적어도 하나의 층을 제조하기 위해, 특히 주형 물질 상에 다층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활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결정화 (crystallization)"는 과포화 용액 (super-saturated solution)으로부터 화학 물질의 전환 과정을 지칭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담체 물질이 주형 물질에 과포화 용액으로 부가되고, 화학적 침전의 개시에 의해 주형 물질 상에 분포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물질을 주형 물질과 조합하는 단계는 주형 물질 상에 담체 물질의 화학적 침전 및 결정화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물질을 주형 물질과 조합하는 단계는 주형 물질 상에 담체 물질의 화학적 층화 및 결정화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물질을 주형 물질과 조합하는 단계는 주형 물질 상에 담체 물질의 화학적 침전 및 층화를 포함한다.
화학적 침전 공정은 주형 물질의 전구물질 용액을 담체 물질 상으로 또는 담체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내로 펌핑 (pumping)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음). 이러한 공정 중에, 담체 물질은 주형 물질의 표면 상에서 (예를 들어, 결정 라멜라 구조 (crystalline lamellae structure)의 형태로) 성장을 시작할 수 있고, 따라서 계층 (stratum layer)을 형성할 수 있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은 담체 물질로 전환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은 담체 물질에 대해 적어도 약 20%, 약 30%, 약 40%, 약 50%, 약 60% 또는 약 70%로 전환된다.
화학적 침전, 층화 및/또는 결정화를 통해 주형 물질 상에 담체 물질을 미세하고 및/또는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이러한 미세하고 및/또는 균일한 분포는 2차 내부 구조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이 주형 물질 상에 담체 물질의 화학적 침전, 층화 및/또는 결정화를 사용하여 특히 미세하고 및/또는 균일한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는 단계는 약 600℃ 내지 약 1200℃, 바람직하게는 약 600 내지 약 900℃, 바람직하게는 약 600℃ 내지 839℃, 바람직하게는 약 650℃ 내지 약 70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는 단계는 840℃ 내지 120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한다.
재분산성 (redispersability)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가열 단계 중에 입자간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 조건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는 입자간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 물질을 부가할 필요는 없지만 (예를 들어, 실시예 1 참조), 다른 구체예에서는 입자간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물질 (예를 들어, 소결 방지제 (anti-sintering agents))이 본원에 기재된 가열 단계 중에 및/또는 가열 단계 전에 부가된다. 이러한 소결 방지제는 예를 들어 Okada, M., et al., 2014, Journal of nanoparticle research, 16(7), 1-9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의 변형은 임의의 적합한 온도 또는 임의의 적합한 온도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의 변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변형을 위한 최소한의 적합한 온도는 소정의 온도, 예를 들어 약 210℃ (예를 들어, 주형 물질로서 은 및 금 카보네이트의 경우), 약 840℃ (예를 들어, 주형 물질로서 칼슘 카보네이트의 경우), 약 900℃, 약 1000℃ 또는 약 1200℃ (예를 들어, 주형 물질로서 포타슘 및/또는 소듐 카보네이트의 경우)로 설정한다. 당업자는 주형 물질의 분해 온도로부터 적절한 최소 적정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온도 증가는 변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지만, 담체 물질의 용융으로 불완전한 담체 입자의 형성 또는 담체 입자의 경도 감소와 같은 담체 입자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담체 물질의 용융을 방지하기 위해,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의 변형을 위한 최대 적정 온도는 담체 물질의 용융 온도 미만으로 설정한다. 담체 입자의 표면적을 증진시키는 목적하는 구조 (예를 들어, 담체 입자의 표면 상의 꽃잎 형태, 예를 들어, 도 1 참조)의 변형 및/또는 손실이 담체 물질의 용융 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이미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의 변형을 위한 최대 적정 온도는 담체 물질의 용융 온도보다 약 100℃, 약 200℃, 약 400℃, 약 500℃, 또는 약 600℃ 낮게 설정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는 단계는 주형 물질의 대략적인 분해 온도 내지 담체 물질의 대략적인 용융 온도, 바람직하게는 주형 물질의 대략적인 분해 온도 내지 담체 물질의 용융 온도보다 약 400℃ 낮은 온도, 더 바람직하게는 주형 물질의 대략적인 분해 온도 내지 담체 물질의 용융 온도보다 약 500℃ 낮은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는 단계는 840℃ 내지 1600℃, 바람직하게는 840℃ 내지 1200℃, 더 바람직하게는 약 110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기 위한 가열 기간은 주형 물질, 담체 물질, 온도 범위, 입자 크기 및/또는 목적하는 담체 입자 표면적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기 위한 가열 기간은 예를 들어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약 1시간일 수 있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기 위한 가열 기간은 약 5분 내지 약 24시간, 약 10분 내지 약 12시간, 20분 내지 약 4시간이다.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기 위한 가열 (예를 들어, 소정의 범위의 온도, 예컨대 840℃ 내지 1200℃ 또는 600℃ 내지 900℃의 온도로의 가열)은 임의의 가열 패턴 예컨대 온도의 선형 증가에 의해 또는 하나 이상의 예열 단계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예열 단계는 주형 물질을 소정의 범위의 온도, 예를 들어 840℃ 내지 1200℃ 또는 600℃ 내지 900℃의 온도로 가열하기 전에 온도를 소정의 온도 수준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열은 예를 들어 바람직하지 않은 휘발성 성분 예컨대 용매의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기 위해 소정의 범위의 온도, 예를 들어 840℃ 내지 1200℃의 온도로 가열하는 동안 압력이 감소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기 위해 소정의 범위의 온도, 예를 들어 840℃ 내지 1200℃의 온도로 가열하는 동안 압력이 증가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기 위한 가열은 흡열 화학 반응을 유도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기 위해 소정의 범위의 온도, 예를 들어 840℃ 내지 1200℃의 온도로 가열하는 동안 부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불활성 물질 (예를 들어, 불활성 기체 (noble gas))이 공급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기 위한 가열은 주형 물질의 휘발성 분획의 증발을 유도한다.
소정의 범위의 온도, 예를 들어 840℃ 내지 1200℃의 온도로의 가열은 주형 물질의 변형을 개시할 수 있지만 담체 물질은 변경시키지 않거나 또는 동일한 정도로 변경시키지 않는다. 이는 변경된 특성을 기반으로 변형된 주형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더 낮은 온도 (예를 들어, 약 600℃ 내지 약 839℃ 또는 600℃ 내지 약 900℃)를 사용하여 꽃잎 형태의 구조를 더 큰 정도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수득된 정제의 경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온도가 권장 범위보다 더 높은 경우, 입자의 미세한 꽃잎 구조가 용융되고, 감소되며, 꽃잎 구조의 가요성이 감소되므로; 이러한 과열된 물질로 제조된 정제의 경도는 크게 감소한다. 과열된 물질로 제조된 의약품 콤팩트 (pharmaceutical compacts)는 캡핑 (capping) 및 라미네이션 (lamination)을 나타내며, 의약품 제제에서 동등하게 잘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이 주형 물질의 변형을 위한 가열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법이 하나 이상의 목적하는 약물 전달 특성을 증진시키는데 유익한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는 단계는 소성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소성 (calcination)"은 고체 또는 고체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공기 또는 산소의 공급하에 상기 고체 또는 고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높은 온도 (예를 들어, 840℃ 내지 1200℃ 또는 600℃ 내지 900℃)로 가열하는 것을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소성은 카보네이트 (예를 들어, 카보네이트 염 예컨대 칼슘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주형 물질을 이산화탄소로의 분해를 유도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소성은 금속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주형 물질을 금속 옥시드, 바람직하게는 염기성 옥시드로의 분해를 유도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소성은 수화된 주형 물질의 수분 제거에 의한 분해를 유도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소성은 주형 물질내 휘발성 물질의 분해를 유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이 주형 물질의 변형을 위한 소성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법이 하나 이상의 목적하는 약물 전달 특성을 증진시키는데 유익한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는 단계는 후속하는 물을 부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후속하는 물의 부가는 화학 반응에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지만, 담체 물질은 변경시키지 않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다. 이는 변경된 특성을 기반으로 변형된 주형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후속하는 물의 부가는 금속 옥시드와 반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 중 변형 단계가 물의 부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법이 하나 이상의 목적하는 약물 전달 특성을 증진시키는데 유익한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물의 부가는 발열 반응을 가능하게 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발열 반응 (exothermic reaction)"은 전체 표준 엔탈피 변화가 음 (negative)인 반응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후속하는 물의 부가는 발열 화학 반응에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지만, 담체 물질은 변경시키지 않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다. 이는 변경된 특성을 기반으로 변형된 주형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염기성 옥시드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용량 (dose)에서 독성이 없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독성이 없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후속하는 물의 부가는 염기성 옥시드와 반응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후속하는 물의 부가는 산화리튬, 산화나트륨, 산화칼륨, 산화루비듐, 산화세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스트론튬, 산화바륨, 및 산화비스무트 (III)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염기성 옥시드와 반응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후속하는 물의 부가는 산화마그네슘 및/또는 산화칼슘과 반응한다.
본원에 기재된 발열 반응은 후속하는 주형 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발열 반응 중에 방출되는 힘 및/또는 발열 반응의 생성물의 특성은 밀도를 감소시키고 및/또는 용해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도가 3.34 g/cm3인 산화칼슘과 물의 발열 반응은 밀도가 2.21 g/cm3인 수산화칼슘을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열 반응을 통해 물을 부가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2차 구조 형성을 지원하고 후속하는 주형 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형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는 변형된 주형 물질을 용해시켜서 2차 내부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2차 내부 구조는 변형된 주형 물질은 용해시키지만 담체 물질은 용해시키지 않는 용매에 용해시켜서 변형된 주형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주형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는 변형된 주형 물질을 물 또는 수성 용액으로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수성 용액의 pH는 변형된 주형 물질의 용해 전에 변경하여 수성 용액에서 변형된 주형 물질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담체 물질의 용해도를 감소시킨다.
일부 구체예에서, 주형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는 변형된 주형을 유기 용매로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용해에 의한 주형 물질의 제거는 담체 물질에 대해 특히 마일드 (mild)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마일드한 제거는 1차 담체 물질 구조의 유지를 지원하고, 약물 로딩 공정 중에 결정화에 특히 유익한 2차 내부 구조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형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가 변형된 주형 물질의 용해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2차 내부 구조의 형성을 지원한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주형 물질은 금속 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주형 물질은 Li2CO3, LiHCO3, Na2CO3, NaHCO3, Na3H(CO3)2, MgCO3, Mg(HCO3)2, Al2(CO3)3, K2CO3, KHCO3, CaCO3, Ca(HCO3)2, MnCO3, FeCO3, NiCO3, Cu2CO3, CuCO3, ZnCO3, Rb2CO3, PdCO3, Ag2CO3, Cs2CO3, CsHCO3, BaCO3, 및 (BiO)2CO3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주형 물질은 Fe, Mg, Al, Mn, V, Ti, Cu, Ga, Ge, Ag, Au, Sm, U, Zn, Pt 및 Sn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주형 물질은 Si, S, Sb, I 및 C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금속 (non-metal)을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주형 물질은 금속 카보네이트를 50%, 60%, 70%, 80%, 90%, 95%, 96%, 97%, 98% 또는 99% 초과로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주형 물질은 Li2CO3, LiHCO3, Na2CO3, NaHCO3, Na3H(CO3)2, MgCO3, Mg(HCO3)2, Al2(CO3)3, K2CO3, KHCO3, CaCO3, Ca(HCO3)2, MnCO3, FeCO3, NiCO3, Cu2CO3, CuCO3, ZnCO3, Rb2CO3, PdCO3, Ag2CO3, Cs2CO3, CsHCO3, BaCO3, 및 (BiO)2CO3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카보네이트를 50%, 60%, 70%, 80%, 90%, 95%, 96%, 97%, 98% 또는 99% 초과로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주형 물질은 마그네슘 카보네이트를 50%, 60%, 70%, 80%, 90%, 95%, 96%, 97%, 98% 또는 99% 초과로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형 물질은 칼슘 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주형 물질은 칼슘 카보네이트를 50%, 60%, 70%, 80%, 90%, 95%, 96%, 97%, 98% 또는 99% 초과로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칼슘 카보네이트는 무수 칼슘 카보네이트 (anhydrous calcium carbonate), 칼슘 카보네이트 및/또는 수화된 칼슘 카보네이트 예컨대 CaCO3·H2O 및/또는 칼슘 카보네이트 6수화물을 포함하는 복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칼슘 카보네이트는 무수 칼슘 카보네이트이다.
본원에 기재된 금속 카보네이트는 주형 물질의 표면에 구별되는 특성을 가진 담체 물질 (예를 들어, 금속 카보네이트와 H3PO4의 반응에 의한 불용성 금속 포스페이트)을 생성하기 위한 기초로서 사용될 수 있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형 물질이 금속 카보네이트 예컨대 칼슘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방법이 특히 효율적이라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물질은 칼슘 포스페이트 및 마그네슘 포스페이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염 및/또는 복합체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물질은 마그네슘 포스페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염 및/또는 복합체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물질은 칼슘 포스페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염 및/또는 복합체를 포함한다.
칼슘 포스페이트 및 마그네슘 포스페이트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특히 낮고, 적절한 내열성을 나타낸다. 또한, 칼슘 포스페이트 및 마그네슘 포스페이트는 전형적으로 약리학적으로 불활성이며 무-독성이다. 그러므로, 칼슘 포스페이트 및 마그네슘 포스페이트는 강력하고 (robust), 무-독성이며, 본원에 기재된 주형 물질을 분해 없이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담체 물질이 칼슘 포스페이트 및 마그네슘 포스페이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염 및/또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방법이 특히 효율적이라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주형 물질은 다양한 구조, 예를 들어 분체 (powder) (예컨대 D50이 약 1.9 μm, 2.3 μm, 3.2 μm, 4.5 μm, 5.5 μm, 6.5 μm 또는 14 μm인 분체; 입자 크기 범위가 약 1 내지 100 μm, 100 μm 내지 300 μm 또는 300 μm 내지 600 μm인 분체) 또는 나노입자 (nanoparticles)를 가질 수 있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형 물질은 직경이 1 내지 300 μm인 입자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형 물질은 입자로 구성되고, 상기 입자의 약 50%, 약 60%, 약 70%, 약 80%, 약 90%, 약 95%, 약 98%, 약 99%는 직경이 1 내지 300 μm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형 물질은 중간 직경 (median diameter)이 약 1 내지 300 μm, 약 1 내지 250 μm, 약 1 내지 200 μm, 약 1 내지 150 μm, 약 1 내지 100 μm, 약 1 내지 90 μm, 약 1 내지 80 μm, 약 1 내지 70 μm, 약 1 내지 60 μm, 약 1 내지 50 μm, 약 1 내지 40 μm, 약 1 내지 30 μm 또는 약 1 내지 20 μm인 입자를 포함한다.
주형 물질의 입자 크기는 담체 입자의 직경에 영향을 미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형 물질의 입자는 담체 입자의 중간 직경과 대략 동일한 중간 직경을 갖는다. 주형 물질 및 담체 물질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층화 및/또는 결정화에 의해 조합되는 구체예에서, 담체 입자는 주형 물질과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또는 더 큰 중간 직경을 갖는다.
주형 물질 및 담체 물질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학적 침전에 의해 조합되는 구체예에서, 담체 입자는 주형 물질과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또는 더 작은 중간 직경을 갖는다.
당업자는 주형 물질로부터의 담체 물질, 담체 물질, 및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주형 물질을 담체 물질과 조합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을 예측할 수 있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입자는 직경이 1 내지 300 μm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파라미터 및 물질을 조정하는 것 외에, 소정의 크기의 입자는 밀링 (milling), 체질 (sieving)을 포함하는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atel, R. P., et al., 2014, Asian Journal of Pharmaceutics (AJP), 2(4); DAVID, J., and PETER, R., 2006, Fundamentals of Early Clinical Drug Development: From Synthesis Design to Formulation, 247; US5376347A 참조). 입자 크기 및 형태 측정은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 예컨대 레이저 회절 (laser diffraction) 또는 인 시투 현미경법 (in situ microscopy)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Kempkes, M., Eggers, J., & Mazzotti, M., 2008, Chemical Engineering Science, 63(19), 4656-4675; Allen, T. (2013). Particle size measurement. Springer).
일부 적용에서는 담체 입자 직경이 특히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입자는 폐내 (intrapulmonary) 투여 및/또는 비강 (nasal) 투여에 사용하기 위해 직경이 약 1 내지 20 μm, 약 1 내지 15 μm, 약 1 내지 10 μm, 또는 약 1 내지 5 μm이다. 일부 적용에서는 확산 표면을 증가시키고 로딩된 제제의 방출을 가속화하기 위해 담체 입자 직경이 특히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적용에서는 담체 입자의 유동성을 증진시키고 추가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더 큰 담체 입자 직경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입자는 직경이 약 5 내지 300 μm, 약 10 내지 250 μm, 약 15 내지 200 μm, 또는 약 20 내지 150 μm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담체 입자가 소정의 범위의 직경을 갖는 본 발명의 방법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담체 입자의 추가 처리 (예: 유동성) 및/또는 적용 (예: 확산 표면)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입자는 표면적이 15m2/g 내지 400 m2/g 또는 30m2/g 내지 400m2/g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입자는 질소를 기체로 사용한 5-포인트 BET (Brunnauer-Emmet-Teller) 표면적 분석에 의해 측정되는 표면적이 약 15m2/g 내지 400 m2/g, 약 30m2/g 내지 400m2/g, 약 50m2/g 내지 350m2/g, 약 70m2/g 내지 320m2/g, 약 90m2/g 내지 300m2/g 또는 약 100m2/g 내지 280m2/g이다.
대안적으로, 담체 입자의 표면적은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kashkina, L.V., Ezerskii, M.L., 2000, Pharm Chem J 34, 324-326; Bauer, J. F., 2009, Journal of Validation Technology, 15(1), 37-45 참조).
담체 입자의 표면적은 예를 들어 담체 물질의 입자 크기, 담체 물질, 및/또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파라미터 (예를 들어, 가열, 가열 기간)에 의한 표면 구조 변경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입자는 흡착제 (adsorber)로서 사용된다.
본원에 기재된 담체 입자의 비표면적 (specific surface)이 더 커지면 입자가 접촉 시에 강한 반 데르 발스 (Van der Waals)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효과는 최종 제형의 인장 강도 (tensile strength)가 더 높아진다. 이러한 반 데르 발스 상호작용은 물을 부가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으며, 입자 클러스터의 붕해를 지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담체 입자의 표면적이 15m2/g 내지 400 m2/g, 바람직하게는 30m2/g 내지 400m2/g인 경우 본 발명의 방법이 기계적 안정성 및 붕해 능력을 가능하게 한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2차 내부 구조는 직경 크기의 범위가 0.2 μm 이상 1.5 μm 이하인 소공을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2차 내부 구조는 직경 크기가 약 ≥ 0.2 μm, 약 ≥ 0.3 μm, 약 ≥ 0.4 μm, 약 ≥ 0.5 μm, 약 ≥ 0.6 μm, 약 ≥ 0.7 μm, 약 ≥ 0.8 μm, 약 ≥ 0.9 μm, 약 ≥ 1 μm, 약 ≥ 1.1 μm, 약 ≥ 1.2 μm, 약 ≥ 1.3 μm, 또는 약 1.5 μm인 소공을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2차 내부 구조는 직경 크기의 범위가 약 ≥ 0.2 μm 내지 ≤ 1.5 μm, 약 ≥ 0.3 μm 내지 ≤ 1.5 μm, 약 ≥ 0.4 μm 내지 ≤ 1.5 μm, 약 ≥ 0.5 μm 내지 ≤ 1.5 μm, 약 ≥ 0.6 μm 내지 ≤ 1.5 μm, 약 ≥ 0.7 μm 내지 ≤ 1.5 μm, 약 ≥ 0.8 μm 내지 ≤ 1.5 μm, 약 ≥ 0.9 μm 내지 ≤ 1.5 μm, 약 ≥ 1 μm 내지 ≤ 1.5 μm, 약 ≥ 1.1 μm 내지 ≤ 1.5 μm, 약 ≥ 1.2 μm 내지 ≤ 1.5 μm 또는 약 ≥ 1.3 μm 내지 ≤ 1.5 μm인 소공을 포함한다.
담체 입자의 소공 크기는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arkl, D. et al.,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538(1-2), 188-214 참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다공성 구조는 소공이 특히 큰 크기를 갖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큰 소공 크기는 담체 입자 상에 약물 로딩을 용이하게 하고, 담체 입자로부터 약물 방출을 가속화한다.
주형 물질의 입자 직경의 90%를 초과하는 소공 크기 직경은 담체 입자에 불안정성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최대 소공 크기는 주형 물질의 입자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2차 내부 구조는 직경 크기가 약 ≤ 270 μm, 약 ≤ 225 μm, 약 ≤ 180 μm, 약 ≤ 135 μm, 약 ≤ 90 μm, 약 ≤ 81 μm, 약 ≤ 72 μm, 약 ≤ 63 μm, 약 ≤ 54 μm, 약 ≤ 45 μm, 약 ≤ 36 μm, 약 ≤ 27 μm, 또는 약 ≤ 18 μm 직경인 소공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2차 내부 구조가 소정의 직경 크기를 갖는 소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법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담체 입자로의 후속하는 약물 로딩 및 약물 방출에 특히 유용하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수득된 담체 입자에서 2차 내부 구조의 전체 부피는 수지-포매된 입자의 단면 이미지 (resin-embedded particles' crossection images)의 SEM 및 SEM-FIB의 이미지 분석에 의해 결정되는, 입자 부피의 ≥ 10% 내지 ≤ 90%의 범위이다. 내부 구조 및 입자의 부피 비율 (volume ratio)을 측정하기 위한 대체 분석 방법에는 담체 물질의 실제 결정 밀도 (true crystalline density)에 대한 담체 물질의 탭 벌크 (tapped bulk)의 비율로서 다공도 계산 (porosity calculation)을 포함한다.
2차 내부 구조의 전체 부피는 주형 물질의 제거로 인해 발생하는 입자 내부의 부피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2 참조).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2차 내부 구조의 전체 부피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수득된 담체 입자의 평균 내부 부피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2차 내부 구조의 전체 부피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수득된 담체 입자의 중간 내부 부피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수득된 담체 입자에서 2차 내부 구조의 전체 부피는 입자 부피의 약 10%, 약 15%, 약 20%, 약 25%, 약 30%, 약 35%, 약 40%, 약 50%, 약 60%, 약 70%, 또는 약 80% 초과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수득된 담체 입자에서 2차 내부 구조의 전체 부피는 입자 부피의 약 10%, 약 15%, 약 20%, 약 25%, 약 30%, 약 35%, 약 40%, 약 50%, 약 60%, 약 70%, 또는 약 80% 초과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수득된 담체 입자에서 2차 내부 구조의 전체 부피는 입자 부피의 약 ≥ 10% - ≤ 90%, 약 ≥ 15% - ≤ 90%, 약 ≥ 20% - ≤ 90%, 약 ≥ 25% - ≤ 90%, 약 ≥ 30% - ≤ 90%, 약 ≥ 35% - ≤ 90%, 약 ≥ 40% - ≤ 90%, 약 ≥ 45% - ≤ 90%, 약 ≥ 50% - ≤ 90%, 약 ≥ 55% - ≤ 90%, 약 ≥ 60% - ≤ 90%, 약 ≥ 65% - ≤ 90%, 약 ≥ 70% - ≤ 90%, 약 ≥ 10% - ≤ 80%, 약 ≥ 15% - ≤ 80%, 약 ≥ 20% - ≤ 80%, 약 ≥ 25% - ≤ 80%, 약 ≥ 30% - ≤ 80%, 약 ≥ 35% - ≤ 80%, 약 ≥ 40% - ≤ 80%, 약 ≥ 45% - ≤ 80%, 약 ≥ 50% - ≤ 80%, 약 ≥ 55% - ≤ 80%, 약 ≥ 60% - ≤ 80%, 약 ≥ 65% - ≤ 80%, 약 ≥ 70% - ≤ 80%, 약 ≥ 10% - ≤ 70%, 약 ≥ 15% - ≤ 70%, 약 ≥ 20% - ≤ 70%, 약 ≥ 25% - ≤ 70%, 약 ≥ 30% - ≤ 70%, 약 ≥ 35% - ≤ 70%, 약 ≥ 40% - ≤ 70%, 약 ≥ 45% - ≤ 70%, 약 ≥ 50% - ≤ 70%, 약 ≥ 55% - ≤ 70%, 약 ≥ 60% - ≤ 70%, 약 ≥ 65% - ≤ 70%, 약 ≥ 10% - ≤ 60%, 약 ≥ 15% - ≤ 60%, 약 ≥ 20% - ≤ 60%, 약 ≥ 25% - ≤ 60%, 약 ≥ 30% - ≤ 60%, 약 ≥ 35% - ≤ 60%, 약 ≥ 40% - ≤ 60%, 약 ≥ 45% - ≤ 60%, 약 ≥ 50% - ≤ 60%, 약 ≥ 55% - ≤ 60%, 약 ≥ 10% - ≤ 50%, 약 ≥ 15% - ≤ 50%, 약 ≥ 20% - ≤ 50%, 약 ≥ 25% - ≤ 50%, 약 ≥ 30% - ≤ 50%, 약 ≥ 35% - ≤ 50%, 약 ≥ 40% - ≤ 50% 또는 약 ≥ 45% - ≤ 50%의 범위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 가능한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입자는 로딩 용량이 ≥ 72% v/v, ≥ 70% v/v, ≥ 68% v/v, ≥ 66% v/v, ≥ 64% v/v, ≥ 62% v/v, 또는 ≥ 60% v/v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입자는 로딩 용량이 ≥ 60% v/v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로딩 용량 (loading capacity)"은 전체 담체 입자의 부피와 비교하여 제제의 로딩에 사용될 수 있는 담체 입자의 부피를 지칭한다. 따라서, 로딩 용량이 60% v/v인 담체 입자는 제제를 담체 입자 부피의 60%로 로딩할 수 있다. 담체 입자의 부피는 담체 입자의 직경으로부터 계산된다. 그러므로, 내부 구조의 부피는 이러한 계산을 위한 담체 입자 부피의 일부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담체 입자 상에 로딩되는 제제는 로딩 용매로 이루어지고, 로딩 용매가 제거되어 로딩을 완료한다.
로딩할 제제를 로딩 용매에 용해시키고, 담체 입자와 접촉시켜서 후자의 완전한 습윤을 보장한다. 로딩 용매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용매 제거 방법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로딩 용매는 증발, 진공-보조 증발, 대기 건조, 진공-동결 건조, 대기압에서의 동결 건조, 분무 건조, 유동층 장치에서의 분무 건조, 마이크로웨이브 보조 건조, 전기분무-보조 건조, 유전 건조 (dielectric drying), 유동층 보조 약물 로딩 및 용매-흡착 방법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으로 제거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용매-흡착 방법 (solvent-sorption method)은 고전단 과립화 (high shear granulation)를 포함한다.
적절한 로딩 용매의 선택은 용매 독성, 용매 부분 증기압, 로딩할 제제의 특성 (예를 들어, 로딩할 제제의 pH-안정성 및/또는 용해도) 및/또는 담체 물질의 특성에 따라 좌우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로딩 용매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용매,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 디에틸 에테르, 톨루엔, 에탄올, 메탄올, 디메틸 설폭시드, 초임계 CO2, 디메틸 케톤, 2-프로판올, 1-프로판올, 포화 알칸, 알켄, 알카디엔, 지방산, 글리세롤, 실리콘 오일, 감마-부티로락톤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로딩 용매는 물이다.
일부 로딩 용매 예컨대 물은 높은 표면 장력을 가지므로, 이례적으로 큰 소공 크기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담체 입자의 소공(들)에 진입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추가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로딩 용매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활성제 (surface-active agent) 예컨대 텐사이드 (tenside)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로딩 용매의 부가는 증가된 압력하에 수행하여, 로딩 용매가 담체 입자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지원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 상에 및 담체 입자 내로의 로딩은 로딩 용매 중에 로딩할 제제의 용해도를 감소시키는 반용매 (antisolvent)의 부가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반용매는 물, 디클로로메탄, 디에틸 에테르, 톨루엔, 에탄올, 메탄올, 디메틸 설폭시드, 초임계 CO2, 디메틸 케톤, 2-프로판올, 1-프로판올, 포화 알칸, 알켄, 알카디엔, 지방산, 글리세롤, 실리콘 오일, 감마-부티로락톤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반용매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로딩 용매는 증발에 의해, 예를 들어 온도 증가 및/또는 압력 감소에 의해 제거된다. 로딩 용매 제거를 위한 최대 온도는 로딩된 제제의 열 안정성에 따라 좌우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입자는 플라시보 (placebo)로서 사용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담체 입자는 치료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제 (therapeutic agent)"는 대상체에게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 시에 대상체에게 치료적 유익을 제공하는 물질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지칭한다. 치료제는 질병 또는 의학적 병태를 치료, 제어 또는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타입의 약물, 의약, 의약품, 호르몬, 항생제, 성장 인자 및/또는 생체활성 물질일 수 있다. 당업자는 용어 "치료제"가 법적 승인 (regulatory approval)을 받은 약물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담체 입자는 표적 부위로의 부착에 의해 부위-특이적 치료제 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담체 입자는 점막에 부착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담체 입자는 비강, 협측, 설하, 기관지내, 질, 요도 또는 직장 조직에 부착되어 부위-특이적 치료제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치료제는 국소로 작용하는 효소 (예를 들어, 리소자임의 협측 적용)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치료제는 국소로 (예를 들어, 기관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적용) 및/또는 전신으로 (예를 들어, 기관지 인슐린 적용) 작용하는 펩티드, 호르몬 및/또는 소분자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치료제는 항당뇨병 약물 예컨대 인슐린이다. 그러므로,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담체 입자는 전형적으로 주사 (injection) 또는 주입 (infusion)에 의해 투여되는 치료제의 비강, 협측, 설하, 기관지내, 질, 요도 또는 직장 투여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담체 입자는 부위-특이적 치료제 전달을 가능하게 하고, 위치-특이적 조건 (예: 위산) 및/또는 효소 (예: 소화 효소 또는 간 효소)에 의한 분해 및/또는 실질적인 1차-통과 효과 (first-pass effect)를 방지할 수 있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치료제는 GI관 및/또는 간에 의해 분해되는 치료제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치료제는 대상체에게 유효량의 경구 투여 시에 치료 효과를 갖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치료제는 소분자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치료제는 <1600 Da, <1500 Da, <1400 Da, <1300 Da, <1200 Da, <1100 Da, <1000 Da, <900 Da, <800 Da, <700 Da, <600 Da, 또는 <500 Da의 분자량을 갖는다.
담체 입자가 치료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는 치료제의 저장 (storage), 치료 및/또는 분석 방법에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추가로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담체 입자가 치료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가 다목적 용도 (multipurpose uses)를 가질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압축된 담체 물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된 담체 물체의 제조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를 압축하여 압축된 담체 물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압축된 담체 물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a)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를 압축하여 압축된 담체 물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압축된 담체 물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a)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를 압축하여 압축된 담체 물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압축된 담체 물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a)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를 압축하여 압축된 담체 물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압축된 담체 물체 (compacted carrier matter)"는 담체 입자들 간에 작용하는 부착력으로 하나 초과의 담체 입자의 클러스터 (clusters)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압축하는 (compacting)"은 압축된 담체 물체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 초과의 입자 (예를 들어, 담체 입자)에 압력을 적용하는 것을 지칭하며, 여기서 담체 입자는 압력의 해제 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압축하는 기술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Odeku, O. A. et al., 2007, Pharmaceutical Reviews, 5(2) 참조). 압축 기술의 예로는 타정 (tableting), 롤러 압밀 (roller compaction), 슬러깅 (slugging), 브리케팅 (briquetting) 및/또는 원심분리 (centrifugation)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 기재된 압축된 담체 물체는 특히 안정하고, 특히 안정한 약학 조성물을 수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 3 참조). 압축 중에, 본원에 기재된 담체 입자의 넓은 표면적은 기계적 안정성을 가능하게 하는 강한 입자간 반 데르 발스 부착력을 형성한다. 섭취 시에, 물이 입자들 사이로 (예: 모세관력에 의해) 들어가고, 거리-의존성 반 데르 발스 부착력이 감소하여, 압축된 담체 물체가 붕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압축된 담체 물체가 특정 기계적 안정성 및/또는 빠른 붕해 시간을 가능하게 한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고체 약학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담체 입자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를 포함하는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를 포함하는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고체 약학 조성물은 경구, 설하, 협측, 비강, 기관지, 직장, 요도 및/또는 질내 투여를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고체 약학 조성물은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좌제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고체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고체 약학 조성물은 물에 의해 붕해되어 삼킴을 용이하게 하고 및/또는 부위-특이적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고체 약학 조성물은 발포성 정제 (effervescent tablet), 구강 붕해 정제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분산성 정제 (dispersible tablet), 원심 과립 (efference granulate), 구강 붕해 과립 (orally disintegrating granulate) 및 분산 과립 (dispersible granulate)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고체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로, 필름-코팅된 정제이고 및/또는 필름-코팅된 과립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정제 또는 과립을 코팅하는 필름은 맛 차폐, 냄새 차폐, 외관 변경 및 치료제 방출 변형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필름-코팅 정제 및/또는 필름-코팅 과립은 즉시 방출, 지연 방출 (예: 정기적-방출) 및 pH-제어 방출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변형된-방출을 위해 디자인된다. 변형-방출 정제를 디자인하는 방법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US6419954; Pietrzak, K. et al., 2015, European journal of pharmaceutics and biopharmaceutics, 96, 380-387; de Sousa Rodrigues, L. A., et al., 2013, Colloids and Surfaces B: Biointerfaces, 103, 642-651 참조). 이들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목적하는 시점에 치료제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방출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필름-코팅 정제 및/또는 필름-코팅 과립의 방출 구획에 치료제의 압축 저장을 가능하게 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필름-코팅된 과립은 정제에 포함되며, 코팅은 정제의 붕해 후 또는 정제 파괴 후에도 pH-제어된 방출을 가능하게 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고체 약학 조성물은 섭취 전에 붕해되거나 또는 입안에서 붕해될 수 있는 정제 또는 캡슐이다.
전술한 고체 약학 조성물 디자인 중 일부는 (예를 들어, 블리스터 팩 (blister packs)에서) 물리적 저항성의 결여 및 고농도의 치료제를 포함하는 능력의 제한과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은 치료제를 고농도로 포함하는 콤팩트하고 안정한 고체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수단 및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고체 약학 조성물이 특정 목적하는 약물 전달 특성을 갖는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항불안제, 진정제, 마약성 진통제, 항우울제, 항편두통제, 항염증제 및 항감염제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항불안제, 진정제, 마약성 진통제, 항우울제, 항편두통제, 항염증제 및 항감염제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항불안제, 진정제, 마약성 진통제, 항우울제, 항편두통제, 항염증제 및 항감염제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항불안제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항불안제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항불안제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항불안제 (anxiolytic agent)"는 스트레스, 불안, 신경증 및 강박 장애를 포함하는 불안 또는 정서 장애가 있는 환자의 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약학 화합물을 지칭한다. 항불안 약물은 통상적으로 광범위하게 2개의 카테고리로 나눈다: 벤조디아제핀 (benzodiazepines) 및 비-벤조디아제핀 (non-benzodiazepines).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불안제는 벤조디아제핀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불안제는 클로나제팜, 디아제팜, 에스타졸람, 플루니트라제팜, 로라제팜, 미다졸람, 니트라제팜, 옥사제팜, 트리아졸람, 테마제팜, 클로르디아제폭시드, 알프라졸람, 클로바잠, 클로라제페이트, 에티졸람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벤조디아제핀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불안제는 비-벤조디아제핀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불안제는 세로토닌 1A 효능제, 바르비투레이트, 카바메이트, 항히스타민, 오피오이드 및 Z-약물 (Z-drugs)의 부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벤조디아제핀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불안제는 부스피론, 아모바르비탈, 아프로바르비탈, 부타바르비탈, 메포바르비탈, 메토헥시탈, 펜토바르비탈, 페노바르비탈, 프리미돈, 세코바르비탈, 티오펜탈, 메프로바메이트, 카리소프로돌, 티바메이트, 로바메이트, 잘레플론, 졸피뎀, 조피클론, 에스조피클론, 클로르페니라민, 덱스클로르페니라민, 디멘하이드리네이트, 디펜하이드라민, 프로메타진, 트리메프라진, 가바펜틴, 프레가발린, 트라마돌, 타펜타돌, 모르핀, 디아모르핀, 하이드로모르폰, 옥시모르폰, 옥시코돈, 하이드로코돈, 메타돈, 프로폭시펜, 메페리딘, 펜타닐, 코데인, 카펜타닐, 레미펜타닐, 알펜타닐, 수펜타닐, 페니부트, 메비카르 및 감마-하이드록시부티르산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벤조디아제핀을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진정제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진정제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진정제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진정제 (sedative agent)"는 과민성 또는 흥분을 감소시켜 진정을 유도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진정제는 바르비투레이트, 벤조디아제핀, Z-약물, 전신 마취제, 약초 진정제, 메타쿠알론/메타쿠알론 유사체, 골격근 이완제, 오피오이드 및 항정신병제의 부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진정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진정제는 아모바르비탈, 아프로바르비탈, 부타바르비탈, 메포바르비탈, 메토헥시탈, 펜토바르비탈, 페노바르비탈, 프리미돈, 세코바르비탈, 티오펜탈, 클로나제팜, 디아제팜, 에스타졸람, 플루니트라제팜, 로라제팜, 미다졸람, 니트라제팜, 옥사제팜, 트리아졸람, 테마제팜, 클로르디아제폭시드, 알프라졸람, 클로바잠, 클로라제페이트, 에티졸람, 잘레플론, 졸피뎀, 조피클론, 에스조피클론, 클로르페니라민, 덱스클로르페니라민, 디멘하이드리네이트, 디펜하이드라민, 프로메타진, 트리메프라진, 케타민, 에스케타민, 아플로쿠알론, 클로로쿠알론, 디프로쿠알론, 에타쿠알론, 메타쿠알론, 메틸메타쿠알론, 메브로쿠알론, 메클로쿠알론, 니트로메타쿠알론, 칸나비노이드, 바클로펜, 메프로바메이트, 카리소프로돌, 시클로벤자프린, 메탁살론, 메토카바몰, 티자니딘, 클로니딘, 클로르족사존, 오르페나드린, 가바펜틴, 프레가발린, 트라마돌, 타펜타돌, 모르핀, 디아모르핀, 하이드로모르폰, 옥시모르폰, 옥시코돈, 하이드로코돈, 메타돈, 프로폭시펜, 메페리딘, 펜타닐, 코데인, 카펜타닐, 레미펜타닐, 알펜타닐, 수펜타닐, 올란자핀, 클로자핀, 티오틱센, 할로페리돌, 플루페나진, 프로클로르페라진, 트리플루오페라진, 록사핀, 퀘티아핀, 아세나핀, 감마-하이드록시부티르산 및 덱스트로메토르판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진정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마약성 진통제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마약성 진통제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마약성 진통제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마약성 진통제 (narcotic agent)"는 무감각 (numbing) 또는 마비 (paralyzing) 특성을 갖는 향정신성 화합물 (psychoactive compound)을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마약성 진통제는 바르비투레이트, 벤조디아제핀, Z-약물, 전신 마취제 및 오피오이드의 부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마약성 진통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마약성 진통제는 아모바르비탈, 아프로바르비탈, 부타바르비탈, 메포바르비탈, 메토헥시탈, 펜토바르비탈, 페노바르비탈, 프리미돈, 세코바르비탈, 티오펜탈, 클로나제팜, 디아제팜, 에스타졸람, 플루니트라제팜, 로라제팜, 미다졸람, 니트라제팜, 옥사제팜, 트리아졸람, 테마제팜, 클로르디아제폭시드, 알프라졸람, 클로바잠, 클로라제페이트, 에티졸람, 잘레플론, 졸피뎀, 조피클론, 에스조피클론, 클로르페니라민, 덱스클로르페니라민, 디멘하이드리네이트, 디펜하이드라민, 프로메타진, 트리메프라진, 케타민, 에스케타민, 트라마돌, 타펜타돌, 모르핀, 디아모르핀, 하이드로모르폰, 옥시모르폰, 옥시코돈, 하이드로코돈, 메타돈, 프로폭시펜, 메페리딘, 펜타닐, 코데인, 카펜타닐, 레미펜타닐, 알펜타닐, 수펜타닐, 덱스트로메토르판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마약성 진통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진정제는 또한 항불안제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마약성 진통제는 또한 항불안제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진정제는 또한 마약성 진통제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항우울제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항우울제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항우울제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항우울제 (antidepressant agent)"는 우울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특성을 갖는 치료제를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우울제는 SSRI, SNRI, SMS, SARI, NRI, NDRI, TCA, TeCA, MAOI의 부류로부터 선택된 항우울제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우울제는 아고멜라틴, 에스케타민, 케타민, 탄도스피론, 티아넵틴, 메트랄인돌, 모클로베마이드, 피를인돌, 톨록사톤, 카록사존, 셀레길린, 이소카복사지드, 페넬진, 트라닐시프로민, 아목사핀, 마프로틸린, 미안세린, 미르타자핀, 세티프틸린, 아미트립틸린, 아미트립틸린옥시드, 클로미프라민, 데시프라민, 디벤제핀, 디메타크린, 도설레핀, 독세핀, 이미프라민, 로페프라민, 멜리트라센, 니트록사제핀, 노르트립틸린, 녹시프틸린, 오피프라몰, 피포페진, 프로트립틸린, 트리미프라민, 부프로피온, 아토목세틴, 레복세틴, 테닐옥사진, 빌옥사진, 트라조돈, 빌라조돈, 보르티옥세틴, 데스벤라팍신, 둘록세틴, 레보밀나시프란, 밀나시프란, 벤라팍신, 시탈로프람, 에스시탈로프람, 플루옥세틴, 플루복사민, 파록세틴 및 세르트랄린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항우울제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항편두통제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항편두통제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항편두통제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항편두통제 (anti-migraine agent)"는 급성 편두통 증상의 치료에 유용한 특성을 갖는 치료제를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편두통제는 파라세타몰, NSAID 및 트립탄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약제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편두통제는 아세틸살리실산,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디클로페낙, 인도메타신, 피록시캄 및 페닐부타존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NSAID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편두통제는 수마트립탄, 알모트립탄, 엘레트립탄, 프로바트립탄, 나라트립탄, 리자트립탄 및 졸미트립탄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트립탄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편두통제는 NSAID 및 트립탄 조합물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편두통제는 NSAID 및 항구토제 (antiemetic) 조합물, 예를 들어 NSAID 및 돔페리돈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항염증제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항염증제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항염증제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항염증제 (anti-inflammatory agent)"는 염증 및/또는 종창을 감소시키는 치료제를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염증제는 NSAID, 항류코트리엔, 면역 선택적 항염증 유도체,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스테로이드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항염증제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염증제는 아세틸살리실산,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디클로페낙, 인도메타신, 피록시캄, 페닐부타존, 프레드니손, 베타메타손, 부데소니드, 코르티손, 덱사메타손, 하이드로코르티손, 메틸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솔론, 트람시놀론, 플루티카손, 인플릭시맙, 아달리무맙, 세르톨리주맙 페골, 골리무맙, 에타네르셉트, 커큐민, IL-1RA, 카나키누맙, 알로푸리놀, 콜히친, 프레드니손, 펜톡시필린, 로수바스타틴 및 옥시푸리놀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항염증제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항감염제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항감염제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제는 항감염제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항감염제 (anti-infective agent)"는 병원체의 감염에 대한 치료에 유용한 특성을 갖는 치료제를 지칭한다. 항감염제는 특히 병원체의 성장, 생존, 복제, 기능 및/또는 전파를 방지, 저해, 억제, 감소, 유해 영향 및/또는 방해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감염제는 아메바구제제 (amebicides), 구충제 (anthelmintic), 항진균제 (antifungals), 항말라리아제 (antimalarial agents), 항생제 (antibiotics) 및 항바이러스 약물 (antiviral drugs)의 부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치료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구충제 (anthelmintic)"는 연충 (helminth) 예컨대 흡충, 회충 및 촌충의 감염에 대한 치료에 유용한 특성을 갖는 치료제를 지칭한다. 구충제는 특히 연충의 성장, 생존, 복제, 기능 및/또는 전파를 방지, 저해, 억제, 감소, 유해 영향 및/또는 방해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구충제는 피란텔, 이베르멕틴, 메벤다졸, 알벤다졸, 프라지콴텔 및 밀테포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치료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감염제는 항진균제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항진균제 (antifungal)"는 진균 감염에 대한 치료에 유용한 특성을 갖는 치료제를 지칭한다. 항진균제는 특히 진균의 성장, 생존, 복제, 기능 및/또는 전파를 방지, 저해, 억제, 감소, 유해 영향 및/또는 방해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진균제는 아졸 항진균제, 에키노칸딘 및 폴리엔의 부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항진균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진균제는 보리코나졸, 이트라코나졸, 포사코나졸, 플루코나졸, 케토코나졸, 클로트리마졸 및 미코나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항진균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감염제는 아메바구제제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아메바구제제 (amebicide)"는 아메바 감염에 대한 치료에 유용한 특성을 갖는 치료제를 지칭한다. 아메바구제제는 특히 아메바의 성장, 생존, 복제, 기능 및/또는 전파를 방지, 저해, 억제, 감소, 유해 영향 및/또는 방해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아메바구제제는 니타족사니드, 클로로퀸, 파로모마이신, 메트로니다졸 및 티니다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치료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감염제는 항생제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항생제 (antibiotic)"는 박테리아-관련 질병에 대한 치료에 유용한 특성을 갖는 치료제를 지칭한다. 항생제는 특히 박테리아의 성장, 생존, 복제, 기능 및/또는 전파를 방지, 저해, 억제, 감소, 유해 영향 및/또는 방해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생제는 마크롤라이드 (예: 에리스로마이신), 페니실린 (예: 나프실린), 세팔로스포린 (예: 세파졸린), 카바페넴 (예: 이미페넴), 모노박탐 (예: 아즈트레오남), 다른 베타-락탐 항생제, 베타-락탐 억제제 (예: 설박탐), 옥살린 (예: 리네졸리드), 아미노글리코시드 (예: 겐타마이신), 클로람페니콜, 설폰아미드 (예: 설파메톡사졸), 글리코펩티드 (예: 반코마이신), 퀴놀론 (예: 시프로플록사신), 테트라사이클린 (예: 미노사이클린), 트리메토프림, 메트로니다졸, 클린다마이신, 무피로신, 리파마이신 (예: 리팜핀), 스트렙토그라민 (예: 퀴누프리스틴 및 달포프리스틴), 지단백질 (예: 답토마이신) 및 폴리엔 (예: 암포테리신 B)의 부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항생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생제는 에리스로마이신, 나프실린, 세파졸린, 이미페넴, 아즈트레오남, 겐타마이신, 설파메톡사졸, 반코마이신, 시프로플록사신, 트리메토프림, 리팜핀, 메트로니다졸, 클린다마이신, 테이코플라닌, 무피로신, 아지트로마이신, 클라리트로마이신, 오플록사신, 로메플록사신, 노르플록사신, 날리딕신산, 스파르플록사신, 페플록사신, 아미플록사신, 가티플록사신, 목시플록사신, 게미플록사신, 에녹사신, 플레록사신, 미노사이클린, 리네졸리드, 테마플록사신, 토수플록사신, 클리나플록사신, 설박탐, 클라불란산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항생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감염제는 항바이러스 약물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항바이러스 약물 (antiviral drug)"은 바이러스-관련 질병의 치료에 유용한 특성을 갖는 치료제를 지칭한다. 바이러스-관련 질병의 치료에 유용한 특성은 특히 바이러스의 성장, 생존, 복제, 기능 및/또는 전파를 방지, 저해, 억제, 감소, 유해 영향 및/또는 방해하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바이러스 약물은 뉴클레오시드 유사체, 피로포스페이트 유사체, 뉴클레오시드 역전사효소 억제제, 비-뉴클레오시드 역전사효소 억제제, 프로테아제 억제제, 인테그라제 억제제, 진입 억제제, 비환식 구아노신 유사체, 비환식 뉴클레오시드 포스포네이트 유사체, 및 5-치환된 2'-데옥시우리딘 유사체의 부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항바이러스 약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항바이러스 약물은 아바카비르, 아시클로비르, 아데포비르, 아만타딘, 암프레나비르, 아수나프레비르, 아타자나비르, 보세프레비르, 브리부딘, 시도포비르, 코비시스타트, 다사부비르, 다클라타스비르, 다루나비르, 델라비르딘; 디다노신; 디피복실, 도코사놀, 돌루테그라비르, 에파비렌즈, 엘바스비르, 엘비테그라비르, 엠트리시타빈, 엔푸비르타이드, 엔테카비르, 에트라비린, 팜시클로비르, 파비피라비르, 포미비르센, 포삼프레나비르, 포스카르네트, 간시클로비르, 그라조프레비르, 이독수리딘, 이미퀴모드, 인디나비르, 인터페론 알파콘 1, 라미부딘, 라니나미비르 옥타노에이트, 레디파스비르, 로피나비르, 마라비록, 넬피나비르, 네비라핀, 옴비타스비르, 오셀타미비르, 팔리비주맙, 파리타프레비르, 페길화 인터페론 알파 2a, 펜시클로비르, 페라미비르, 포도필록스, 랄테그라비르, 리바비린, 릴피비린, 리만타딘, 리토나비르, RSV-IGIV, 사퀴나비르, 시메프레비르, 소포스부비르, 스타부딘, 텔라프레비르, 텔비부딘, 테노포비르 알라펜아미드, 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 푸마레이트, 티프라나비르, 트리플루리딘, 발라시클로비르, 발간시클로비르, 바니프레비르, variZIG, 비다라빈, VZIG, 잘시타빈, 자나미비르 및 지도부딘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항바이러스 약물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치료제는 본원에 기재된 약물 부류로부터 선택된 약물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치료제는 본원에 기재된 치료제의 프로드러그 (prodrug)이고, 상기 프로드러그는 치료 효과 전에, 예를 들어 담체 입자의 표적 부위에서 활성화된다. 프로드러그 및 이의 디자인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Rautio, J. et al., 2008,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7(3), 255-270; Dubey, S., and Valecha, V., 2014, World Journal of Pharmaceutical Research, 3(7), 277-297 참조).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치료제는 본원에 기재된 치료제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치료제는 본원에 기재된 치료제의 구조적 유사체이고, 본원에 기재된 치료제와 동등한 치료 적응증에 사용된다.
본원에 제공된 수단 및 방법은 본원에 기재된 항불안제, 진정제, 마약성 진통제, 항우울제, 항편두통제, 항염증제 및/또는 항감염제의 약물 전달 및 작용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일부 치료제는 완전한 치료 가능성을 펼치기 위해 빠른 흡수를 필요로 한다. 본원에 기재된 다른 치료제는 통상적으로 연하곤란이 있거나 또는 만성 섭취가 필요한 환자에게 투여된다. 제공된 수단 및 방법은 치료제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고 흡수를 촉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수단 및 방법이 항불안제, 진정제, 마약성 진통제, 항우울제, 항편두통제, 항염증제 및/또는 항감염제의 치료 효과를 증진 및/또는 지원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고체 약학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아쥬반트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아쥬반트 (adjuvant)"는 사용된 투여량에서 수혜자에게 일반적으로 무독성이고, 담체 입자,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치료제가 아닌 고체 약학 조성물의 성분을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아쥬반트는 부착방지제, 결합제, 충전제, 코팅제, 붕해제, 맛 변경제, 냄새 변경제, 외관 변경제, 유동성 증진제, 활택제, 보존제, 및 흡착제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쥬반트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아쥬반트는 표적 부위, 예를 들어 점막에서 담체 입자의 부착을 개선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아쥬반트의 함량은 고체 약학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40 중량%이다.
아쥬반트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촉진하거나 또는 목적하는 약물 전달 특성을 추가로 증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이 적어도 하나의 아쥬반트에 의해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쥬반트는 붕해제, 활택제 및 유동성 증진제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쥬반트는 붕해제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붕해제 (disintegrant)"는 고체 약학 조성물을 붕해시키고, 수분과 접촉 시에 치료제를 방출하는, 고체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물질을 지칭한다. 붕해 특성을 갖는 물질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Desai, P. M. t al., 2016,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105(9), 2545-2555 참조).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붕해제의 함량은 고체 약학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 중량% 내지 25 중량%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붕해제는 셀룰로스 유도체, 전분, 벤토나이트, 소듐 알기네이트, 펙틴 및 가교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붕해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붕해제는 소듐 셀룰로스 글리콜레이트, 틸로스, 프리모젤, 엑스플로탭, 벤토나이트, 소듐 알기네이트, 펙틴 및 크로스포비돈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붕해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붕해제는 부위 특이적 약물 전달을 위해 특성을 변경하는 (예를 들어, 점막부착성 증가) 붕해제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붕해제는 알칼리 환경에서 젤리화 (jellifies)되는 붕해제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붕해제는 크로스카르멜로스 나트륨을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쥬반트는 활택제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활택제 (lubricant)"는 고체 약학 조성물이 제조 공정 중에 상기 고체 약학 조성물과 접촉하는 장비에 달라붙고 및/또는 함께 뭉치는 것을 방지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활택제 특성을 갖는 물질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Wang, J., et al., 2010, European journal of pharmaceutics and biopharmaceutics, 75(1), 1-15; US 5843477; Paul, S. et al., 2018, Europe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117, 118-127 참조).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활택제의 함량은 고체 약학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25 내지 5 중량%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활택제는 친수성 활택제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활택제는 소수성 활택제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활택제는 고체 지방산 또는 이의 염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활택제는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미리스트산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활택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활택제는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스테아르산, 소듐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붕산, Carbowax (PEG) 4000/6000, 소듐 올레에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Mg-라우릴 설페이트, 금속 (Mg, Ca, Na) 스테아레이트, 스테로텍스 (Sterotex), 탈크, 왁스, Stear-O-Wet, 글리세릴 베헤네이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활택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활택제는 유동성 증진제의 추가 특성을 갖는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활택제는 붕해제의 추가 특성을 갖는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쥬반트는 유동성 증진제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유동성 증진제 (flowability enhancement agent)"는 입자간 마찰 및 응집을 감소시키는 물질을 지칭한다. 유동성 증진 특성을 갖는 물질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Augsburger, L. L., and Shangraw, R. F, 1966, Effect of glidants in tableting.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55(4), 418-423; Armstrong, N. A., 2008, In Pharmaceutical Dosage Forms-Tablets (pp. 267-284). CRC Press 참조). 소정의 유동성 증진제는 소정의 농도 범위에서만 유동성을 증진시킨다. 따라서, 고체 약학 조성물 중 유동성 증진제의 농도는 특정 유동성 증진제에 따라 좌우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유동성 증진제는 실리카 겔, 발연 실리카, 탈크 및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및 수화된 소듐 실리코알루미네이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동성 증진제를 포함한다.
적절한 유동성의 예측 및 결정을 위한 기술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Hildebrandt, C, et al., 2019, Pharmaceutical development and technology, 24(1), 35-47; Morin, G., & Briens, L, 2013, AAPS Pharmscitech, 14(3), 1158-1168 참조).
붕해제, 활택제 및/또는 유동성 증진제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촉진하거나 또는 목적하는 약물 전달 특성을 추가로 증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의 특성이 붕해제, 활택제 및/또는 유동성 증진제에 의해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쥬반트는 맛 변경제, 냄새 변경제 및 외관 변경제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쥬반트는 냄새-변경제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냄새 변경제 (smell altering agent)"는 인간 대상체 및/또는 후각계 (olfactometer)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냄새 변경을 유도할 수 있는 임의의 아쥬반트를 지칭한다. 후각계 예컨대 흐름-후각계 (flow-olfactometers), 동적 희석 후각계 (dynamic dilution olfactometers) 및 필드 후각계 (field olfactometers)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고체 약학 조성물의 냄새를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냄새-변경제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US 20120164217; US 6667059 참조).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냄새 변경제는 레몬 오일, 라일락, 인동덩굴 (honeysuckle), 장미, 카네이션과 같은 꽃 유래의 향유 (scented oils), 및 GRAS 상태를 갖는 다른 이러한 오일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향료 (scenting agent)이다. GRAS 상태의 오일 (oils with GRAS status)에는 바질 (ocimum basilicum), 베르가못 (citrus bergamia), 블랙 페퍼 (piper nigrum), 계피 (cinnamomum cassia), 시나몬 (cinnamomum zeylanicum), 클라리 세이지 (clary sage) (salvia sclarea), 정향 (eugenia caryophyllata), 고수 (coriandrum sativum), 쿠민 (cuminum cyminum), 회향 (foeniculum vulgare), 제라늄 (pelargonium graveolens), 생강 (zingiber officinale), 그레이프프루트 (grapefruit) (citrus x paradisi), 주니퍼 베리 (juniper berry) (juniperus communis), 레몬 (citrus limon), 레몬그라스 (lemongrass) (cymbopogon flexuosus), 라임 (citrus aurantifolia), 마저럼 (marjoram) (origanum majorana), 레몬밤 (melissa) (melissa officinalis), 오레가노 (oregano) (origanum vulgare), 페퍼민트 (mentha piperita), 페티그레인 (petitgrain) (citrus aurantium), 로만 카모마일 (roman chamomile) (anthemis nobilis), 로즈마리 (rosmarinus officinalis), 스피어민트 (mentha spicata), 탄제린 (tangerine) (citrus reticulate), 타임 (thyme) (thymus vulgaris), 와일드 오렌지 (wild orange) (citrus sinensis) 및 일랑일랑 (ylang ylang) (cananga odorata)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냄새-변경제의 함량은 고체 약학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이다. 담체 입자의 비표면적이 높을수록 냄새-변경제의 작용이 강화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냄새-변경제는 고체 의약품의 섭취 중에 섭취하는 대상체가 인지하는 냄새를 변경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냄새 변경제는 고체 의약품의 섭취 후에 섭취하는 대상체가 인지하는 냄새를 변경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쥬반트는 외관-변경제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외관-변경제 (appearance-altering agent)"는 고체 약학 조성물의 색상 및/또는 형태를 변경하는 아쥬반트를 지칭한다.
외관 변경제 및 이의 용도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Biswal, P. K. et al.,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al, Chemical & Biological Sciences, 5(4). 참조).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외관-변경제는 온전한 고체 약학 조성물의 외관을 변경시킨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외관 변경제는 붕해된 고체 약학 조성물의 외관을 변경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외관-변경제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의 식별, 풍미 인지 (예를 들어, 체리 맛의 경우 적색), 브랜드 식별, 품질 인지 및/또는 위조 방지를 가능하게 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외관-변경제의 함량은 고체 약학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이다. 담체 물질의 비표면적이 높을수록 외관-변경제의 작용이 강화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쥬반트는 맛 변경제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맛 변경제 (taste altering agent)"는 고체 약학 조성물의 풍미를 변경하는 아쥬반트를 지칭한다. 풍미의 결정은 다양한 질량 분광분석 기술 또는 인간에 의한 관능 테스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맛 변경제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Ahire, S. B, et al., 2012, Pharma Science Monitor, 3(3); US20070122475; WO1998043675 참조).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맛 변경제는 레몬, 오렌지, 그레이프프루트, 베리 풍미, 페퍼민트, 감초 및 멘톨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맛 변경제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맛 변경제는 만자네이트, 디아세틸, 아세틸 프로피오닐, 아세토인, 이소아밀 아세테이트, 벤즈알데히드, 신남알데히드,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리모넨, 에틸 데카디에노에이트, 알릴 헥사노에이트, 에틸 말톨, 2,4-디티아펜탄, 에틸바닐린, 메틸 살리실레이트, Carbomer 934, Carbomer 971, Carbomer 974, PEG-5M, 카라기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덱스트란 설페이트, 알긴산, 디엘란 검, 크산탄 검, 아연 염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맛 변경제이다.
본원에 기재된 맛 변경제의 함량은 맛 변경제의 세기에 따라 좌우된다. 담체 입자의 비표면적이 높을수록 맛 변경제의 맛 변경 작용이 강화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외관 변경제의 함량은 고체 약학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이다.
본원에 기재된 냄새 변경제 및 외관 변경제, 특히 맛 변경제의 사용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의 냄새, 맛 및/또는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냄새, 맛 및/또는 외관의 개선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의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맛 변경제, 냄새 변경제 및/또는 외관 변경제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의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맛 변경제는 인공 감미료, 산도 변형제, 검, 셀룰로스 유도체, 경화 지방 및 염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담체 입자의 표면적이 높을수록 후각 (olfactory sensation)에 대한 본원에 기재된 맛 변경제의 효과가 강화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인공 감미료 (artificial sweetener)"는 당 (sugar)과 같은 단맛을 제공하는 아쥬반트를 지칭한다. 인공 감미료는 식물 추출물의 제조를 통해 유도되거나 또는 화학적 합성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인공 감미료는 수크랄로스, 타우마틴, 네오헤스페리딘, 아스파탐, 사카린, 아세설팜,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소르비톨 및 스테비아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인공 감미료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사용되는 인공 감미료의 농도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고 인공 감미료의 강도에 따라 좌우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산도 변형제 (acidity modifiers)"는 약학 조성물의 섭취 시에 인지되는 산도를 변경하는 아쥬반트를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산도 변형제는 시트르산, 인산 및/또는 이의 염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사용되는 산도 변형제의 농도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고 산도 변형제의 강도 및 변형되는 산도에 좌우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검 (gum)"은 약학 조성물의 섭취 시에 인지되는 컨시스턴시 (consistency)를 변경하는 아쥬반트를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검은 표적 부위, 예를 들어 점막에서 담체 입자의 부착을 개선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검은 알기네이트 에스테르, 카라기난, 크산탄, 아가-아가 (agar-agar), 펙틴, 펙틴산, 아라비아 검, 트라가칸트 검 및 카라야 검, 구아 검, 및 4차화된 구아 검 (quaternized guar gums)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검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셀룰로스 유도체 (cellulose derivative)"는 약학 조성물의 불쾌한 맛을 차폐하거나 또는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폴리사카라이드 폴리머 예컨대 셀룰로스 에테르 유도체 및 셀룰로스 에스테르 유도체를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셀룰로스 유도체는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및 카복시메틸 셀룰로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셀룰로스 유도체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셀룰로스 유도체는 수-불용성 폴리머, 예컨대 에틸 셀룰로스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셀룰로스 유도체는 수-불용성 폴리머, 예컨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의 폴리머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셀룰로스 유도체는 비-이온성 셀룰로스 에테르, 예컨대 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셀룰로스 유도체는 음이온성 에테르 유도체 예컨대 소듐 카복시메틸 셀룰로스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내의 담체 입자는 불쾌한 맛을 차폐하기 위해 셀룰로스 유도체로 코팅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맛 변경제 예컨대 경화 지방 및/또는 염은 좋은 맛의 인지를 유도하거나 또는 증진시킨다.
일부 구체예에서, 맛 변경제 예컨대 셀룰로스 유도체 또는 검은 불쾌한 맛(예를 들어, 쓴맛)의 확산을 감소시킨다.
맛 변경제, 특히 본원에 기재된 맛 변경제의 사용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의 맛을 개선하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의 성분의 맛을 차폐시킬 수 있다. 맛의 개선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의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공 감미료, 산도 변형제, 검, 셀룰로스 유도체, 경화 지방 및/또는 염이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의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이다.
문구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또는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은 또한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을 의미할 수 있다.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은 본원에 기재된 증상 및/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 예컨대 특정 질환 또는 장애에 관한 ICD-11의 설명에서의 증상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ICD-11 for mortality and morbidity statistics) 또는 DSM-5에 기재된 증상 또는 진단 기준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2013)일 수 있다.
문구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또는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은 소아 환자, 성인 및/또는 노인 환자를 포함한, 모든 연령 그룹의 치료를 지칭할 수 있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은 본원에 기재된 치료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는 본원에 기재된 치료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는 본원에 기재된 치료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치료제는 유효 용량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는 약물 전달을 촉진하고 및/또는 약물 전달 특성 개선에 의해 치료제의 치료 효과를 증진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가 치료를 개선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 (geriatric disease or disorder)"는 노인 (elderly people)에게 영향을 미치는 질환 또는 장애를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는 주로 노인, 즉 더 젊은 성인 및 소아보다 더 큰 환자 그룹에게 영향을 미치는 질환 또는 장애, 구체적으로 노인이 환자 모집단의 적어도 40%, 50%, 60%, 70%, 80% 또는 90%인 질환 또는 장애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는 연령-관련 이환율 및/또는 사망률이 증가한 질환 또는 장애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문구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은 노인 환자의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서의 용도를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노인은 소정의 연령 이상인 사람 예컨대 50, 55, 60, 65, 70, 75, 80 또는 85세 이상의 사람이다. 그러나, 일부 거동은 신체의 노화를 가속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자는 호흡기 예비력 (respiratory system reserve)을 더 일찍 소모하여 폐와 다른 장기의 노화 과정을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노인은 연령 이외의 다른 기준 또는 추가적인 기준에 의해 정의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노인은 소정의 연령-관련 이환 (예를 들어, 담배 소비, 암, 당뇨병)을 가진 성인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노인은 소정의 연령 가속 이환 (예를 들어, 유전 질환 또는 장애)을 가진 성인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노인은 소정의 가이드라인 예컨대 Singh, S., & Bajorek, B., 2014, Pharmacy practice, 12(4), 489에 의해 분석 및/또는 기재된 가이드라인 중 하나에 의해 정의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는 골다공증, 당뇨병, 암, 양성 전립선 비대증 및 심혈관 질병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질환 또는 장애이다.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에는 인지 기능 저하, 우울증, 요실금, 쇠약, 비타민 D 결핍, 신부전 및 만성 통증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제는 노인 환자의 고유한 요구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표준 성인 의약품과 다르다. 노령의 신체는 더 젊은 성인의 신체와 생리학적으로 다르며, 예를 들어, 노년기에는 다양한 장기 시스템의 쇠퇴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이전의 건강 문제, 생활 방식 선택 및 남아 있는 예비력 (reserves)에 따라 노인 환자의 치료에 다른 요인이 관련될 수 있다. 노인 환자의 치료와 관련된 이러한 요인에는 예를 들어 경구 약물을 삼키는 능력의 제한, 치료에 대한 순응도, 흡수 변경, 분포 변경, 대사작용 변경, 배출 변경, 약물 상호작용 가능성 증가, 약물 유해 반응 가능성 증가, 삶의 질 문제 증가, 사회적 지원 감소 및 기능적 능력 감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수단 및 방법은 노인 환자의 치료에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어, 개선된 목적하는 약물 전달 특성 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치료제를 고용량으로 포함하는 ODT의 빠른 붕해 시간은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와 관련하여 약물 흡수를 개선하고, 순응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체 약학 조성물의 기계적 안정성 개선은 고체 약학 조성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개봉을 더 용이하게 하며 기능적 능력이 감소한 노인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포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가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개선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소아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소아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소아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소아 질환 또는 장애 (pediatric disease or disorder)"는 유아 (infants) 및 소아 (children)에게 영향을 미치는 질환 또는 장애를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소아 질환 또는 장애는 유아 및 소아, 즉 성인 및 노인보다 더 큰 환자 그룹인 유아 및 소아에게 주로 영향을 미치는 질환 또는 장애, 구체적으로 유아 및 소아가 환자 모집단의 적어도 40%, 50%, 60%, 70%, 80% 또는 90%인 질환 또는 장애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문구 "소아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은 유아 또는 소아의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서의 용도를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유아 및 소아는 소정의 연령 이하 예컨대 21, 20, 19,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5, 4, 3, 2, 1 또는 0.5세 이하의 사람이다. 연령 이외의 다른 또는 추가 요인이 소아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유아 및 소아는 소정의 체중 이하 예컨대 44kg, 42kg, 40kg, 38kg, 36kg, 34kg, 32kg, 30kg, 28kg, 26kg, 24kg, 22kg 또는 20kg 이하인 사람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유아 및 소아는 또 다른 성숙 마커 (maturation marker) 또는 추가 성숙 마커에 의해 정의된 사람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소아 질환 또는 장애는 소아 환자의 통증 및/또는 소아 환자의 감염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소아 질환 또는 장애는 빈혈, 천식, 수두, 디프테리아, 백혈병, 홍역, 볼거리, 폐렴, 소아마비, 결핵, 백일해, 라임병 (Lyme disease), 발열, 다운 증후군 (down's syndrome), 충치, 낭성 섬유증, 샤가스병 (Chagas disease), 칸디다증, 암, 및 세기관지염 (bronchiolitis)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질환 또는 장애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소아 질환 또는 장애는 정신 장애 예컨대 소아 범불안 장애 (pediatric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및/또는 유년기-발병 양극성 장애 (childhood-onset bipolar disorder)이다.
유아 또는 신생아의 신체는 성인의 신체와 생리학적으로 상당히 다르다. 소아는 단순히 "작은 성인"이 아니다. 유아 또는 신생아의 미성숙한 생리 (physiology)를 고려해야 하며, 소아 환자의 치료와 관련된 요인을 고려해야 할 수도 있다. 소아 환자의 치료와 관련된 이러한 요인에는 예를 들어 경구 약물을 삼키는 능력의 제한, 치료에 대한 순응도, 흡수 변경, 분포 변경, 대사작용 변경, 배출 변경, 발달 문제에 대한 우려 및 기능적 능력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수단 및 방법은 소아 환자의 치료에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어, 개선된 목적하는 약물 전달 특성 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치료제를 고용량으로 포함하는 ODT의 빠른 붕해 시간은 소아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와 관련하여 약물 흡수를 개선하고, 순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제공된 수단 및 방법은 ODT의 특히 낮은 수분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실시예 6 참조). 이러한 특성은 결합된 많은 부피의 수분이 국소 종창과 그에 따른 질식 위험 (choking hazard)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관련이 있다. 질식 위험은 모든 환자 그룹과 관련이 있지만, 특히 소아과에서, 예를 들어 훈련되지 않은 간병인 (예: 부모)의 적용에 의해 및/또는 밤과 같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관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가 소아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개선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는 노인 및 소아의 질환 또는 장애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는 노인 및 소아의 질환 또는 장애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는 노인 및 소아의 질환 또는 장애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노인 및 소아의 질환 또는 장애 (geriatric and pediatric disease or disorder)"는 노인 뿐만 아니라 유아 및/또는 소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질환 또는 장애를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노인 및 소아의 질환 또는 장애는 노인 환자 및 소아 환자, 즉 비-노인 성인 (non-geriatric adults)보다 더 큰 환자 그룹인 노인 환자 및 소아 환자에게 주로 영향을 미치는 질환 또는 장애, 특히 노인 환자 및 소아 환자가 환자 모집단의 적어도 51%, 60%, 70%, 80% 또는 90%인 질환 또는 장애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문구 "노인 및 소아의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은 노인 환자 및 소아 환자의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서의 용도를 지칭한다.
노인 환자 및 소아 환자는 중복되는 제한 사항 및 요구 사항을 갖는다. 노인 환자 및 소아 환자의 치료와 관련된 요인에는 예를 들어 경구 약물을 삼키는 능력의 제한, 치료에 대한 순응도, 흡수 변경, 분포 변경, 대사작용 변경, 배출 변경, 및 기능적 능력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수단 및 방법은 노인 환자 및 소아 환자의 치료에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어, 개선된 목적하는 약물 전달 특성 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치료제를 고용량으로 포함하는 ODT의 빠른 붕해 시간은 노인 및 소아의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와 관련하여 약물 흡수를 개선하고, 순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가 노인 및 소아의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개선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통증, 감염, 편두통, 수면 장애, 및 우울 장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통증, 감염, 편두통, 수면 장애, 및 우울 장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통증, 감염, 편두통, 수면 장애, 및 우울 장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이다.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통증, 감염, 편두통, 수면 장애, 및 우울 장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은 치료 중에 치료제들의 섭취를 복잡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수단 및 방법은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통증, 감염, 편두통, 수면 장애 및 우울 장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질환 또는 장애와 관련하여 치료제들의 섭취를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가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통증, 감염, 편두통, 수면 장애 및 우울 장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개선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불안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불안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불안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불안 장애 (anxiety disorder)"는 과도한 공포 및 불안 및 관련 행동 장애의 특징을 공유하는 장애를 지칭한다.
본원에 기재된 불안 장애의 예는 공황 발작, 광장공포증, 급성 스트레스 장애, 특정 공포증, 공황 장애, 향정신성 물질 불안 장애, 기질적 불안 장애, 강박 불안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분리 불안 장애, 사회 불안 장애 및 범불안 장애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언급되는 불안은 또한 상황적 불안 (situational anxiety) (예를 들어, 공연 전에 공연자가 경험하는 불안)을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불안 장애는 DSM-5에 따라 진단된 불안 장애이다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2013).
불안 장애의 증상에는 불안, 초조 (restlessness), 피로, 집중 곤란, 과민성, 근육 긴장, 수면 장애, 공포, 발한, 떨림, 위장관 문제, 심박수 증가, 호흡률 증가, 자살 생각 및 자살 행동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불안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체 약학 조성물은 항불안제 (anxiolytic agent),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항불안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불안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축된 담체 물체는 항불안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항불안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불안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축된 담체 물체는 항불안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항불안제를 포함한다.
불안 환자는 치료 순응도가 낮은 경향이 있으며, 공황 발작과 같은 불안 장애의 일부 증상은 치료제의 빠른 작용 개시를 보장하기 위해 치료제의 빠른 흡수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수단 및 방법은 불안 장애와 관련하여 치료제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고, 흡수를 가속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가 불안 장애의 치료를 개선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양극성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양극성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양극성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양극성 장애 (bipolar disorder)"는 기분 에피소드 (mood episodes)와 같은 구별되는 기간에 발생하는 비정상적으로 강렬한 감정 상태를 특징으로 하는 장애를 지칭한다. 과도하게 의기양양하거나 또는 지나치게 흥분한 상태를 조증 에피소드 (manic episode)라고 하며, 극도로 슬프거나 또는 절망적인 상태를 우울증 에피소드 (depressive episode)라고 한다. 양극성 장애의 증상에는 기분 순환 (즉, 조증 에피소드, 우울증 에피소드 및 정상 기분 사이에서 순환), 피해에 대한 강박적인 공포, 심한 공격성, 영역 공격성, 열 조절장애 (thermal dysregulation), 야간 발한 (night sweats), 불면증, 수면 상태 유지 불능, 와해된 언어 (disorganized speech), 말이 빨라짐 (rapid speech), 크게 말함 (loud speech), 불분명하게 말함 (unclear speech), 특이한 음색 (unusual speech timbre), 와해된 사고 (disorganized thoughts), 과도한 의식화 (excessive ritualization), 과도기적 대상에 대한 신뢰 (reliance on transitional objects), 비축 (hoarding), 극심한 분리 불안, 환각, 망상, 단것에 대한 갈망 (sweet cravings)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증 에피소드를 경험하는 개인은 또한 통상적으로 우울증 에피소드 또는 증상, 또는 조증과 우울증의 특징이 동시에 나타나는 혼합 에피소드를 경험한다. 이러한 에피소드는 통상 "정상적인" 기분의 기간으로 구분되지만, 일부 개인의 경우 우울증과 조증이 빠른 주기로 빠르게 번갈아 나타난다. 극도의 조증 에피소드는 때때로 정신병적 증상 예컨대 망상 및 환각을 유발할 수 있다. 양극성 장애가 이환된 환자는 적어도 하나의 조증 또는 경조증 (경증 조증) 에피소드를 경험하였다. 완전한 조증과 우울증이 있는 환자는 양극성 I 장애 (bipolar I disorder)가 있는 것으로 표시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양극성 장애는 양극성 I 장애를 지칭한다. 경조증과 우울증이 있는 환자는 양극성 II 장애 (bipolar II disorder)가 있는 것으로 기재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양극성 장애는 양극성 II 장애를 지칭한다.
에피소드의 발병은 급성인 경향이 있으며, 증상은 수일에서 수주에 걸쳐 발생한다. 조증 또는 조증 에피소드의 증상에는 기분 변화 (mood changes) 및 행동 변화 (behavioral changes) 모두를 포함한다. 기분 변화에는 장기간 "흥분 (high)"하거나 또는 지나치게 행복하거나 또는 외향적인 기분; 극도로 과민한 기분, 동요, "조마조마함 (jumpy)" 또는 "초조함 (wired)"을 포함한다. 행동 변화에는 매우 빠르게 말함, 한 생각에서 다른 생각으로 건너뛰기, 빠르게 생각함; 쉽게 산만해짐; 새로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과 같은 목표-지향적 활동 증가; 불안함; 적은 수면량; 자신의 능력에 대한 비현실적인 믿음; 충동적으로 행동하고 많은 즐거운 일에 참여함; 및 흥청망청한 소비 (spending sprees), 충동적인 섹스, 충동적인 사업 투자와 같은 고위험 행동을 포함한다. 우울증 또는 우울증 에피소드의 증상에는 기분 변화 및 행동 변화 모두를 포함한다. 기분 변화에는 장기간의 걱정 또는 공허함; 및 한때 즐겼던 활동에 대한 관심 상실을 포함한다. 행동 변화에는 피곤해하거나 또는 "느려지는 (slowed down)" 느낌; 집중하고, 기억하고, 결정을 내리는데 문제가 있고; 안절부절하거나 또는 과민하고; 식사, 수면 또는 기타 습관의 변화; 및 죽음 또는 자살을 생각하거나, 또는 자살 시도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양극성 장애의 치료는 소아기-발병 양극성 장애의 치료이다. 소아기-발병 양극성 장애는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소아기-발병 양극성 장애는 소아기 양극성 질문지 (Childhood Bipolar Questionaire: CBQ)의 사용에 의해 검출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양극성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체 약학 조성물은 진정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진정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양극성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축된 담체 물체는 진정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진정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양극성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축된 담체 물체는 진정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진정제를 포함한다.
양극성 환자는 치료 순응도가 낮은 경향이 있으며, 우울증 에피소드 중에 자살 생각과 같은 양극성 장애의 일부 증상은 치료제의 빠른 작용 개시를 보장하기 위해 치료제의 빠른 흡수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수단 및 방법은 양극성 장애와 관련하여 치료제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고, 흡수를 가속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가 양극성 장애의 치료를 개선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통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통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통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통증 (pain)"은 실제 또는 잠재적인 조직 손상과 관련되거나 또는 이와 관련된 것과 유사한 불쾌한 감각 및 감정적 경험을 지칭한다. 통증을 결정하는 방법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으며, 통증 측정 척도 (pain measurement scales), 냉압 테스트 (cold pressor tests) 및 돌로리미터 (dolorimeters)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통증은 두통 통증, 목 통증, 연하통, 치통, 인후통, 흉막통, 관절통, 뼈 통증, 근육통, 급성 통증, 지연성 통증 (delayed-onset pain), 신경통, 통증 장애, 발작성 극심한 통증 장애, 만성 통증, 통각 과민 (hyperalgesia), 통각 저하, 통각 병증 (hyperpathia), 연련 통증 (referred pain), 골반통, 직장통, 암-유발 통증, 금단-유발 통증 (withdrawal-induced pain), 등 통증 (back pain) 및 허리 통증 (low back pain)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통증은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통증은 예를 들어 NRS-11 (Numeric Rating Scale)에 따라 무통증 (no pain), 경증 통증 (mild pain), 중등도 통증 (moderate pain) 및 중증 통증 (severe pain)의 부류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Farrar, J. T., et al., 2001, Pain, 94(2), 149-158 참조).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중증 통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중등도 통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경증 통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통증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체 약학 조성물은 마약성 진통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마약성 진통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통증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축된 담체 물체는 마약성 진통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마약성 진통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통증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축된 담체 물체는 마약성 진통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마약성 진통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통증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체 약학 조성물은 진통제 (analgesic agent)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통증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축된 담체 물체는 진통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통증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축된 담체 물체는 진통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진통제는 파라세타몰 및/또는 NSAID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진통제는 아세틸살리실산,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디클로페낙, 인도메타신, 피록시캄 및 페닐부타존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NSAID이다.
통증, 특히 급성 통증의 치료는 치료제의 빠른 작용 개시를 보장하기 위해 치료제의 빠른 흡수를 필요로 한다. 또한 인후통과 같은 특정 형태의 통증은 치료제 섭취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수단 및 방법은 통증과 관련하여 치료제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고, 흡수가 가속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가 통증 치료를 개선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감염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감염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감염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감염 (infection)"은 하나 이상의 전염성 병원체가 대상체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조직으로 침입, 이들의 증식, 및 감염성 병원체 및 이들이 생성하는 독소에 대한 숙주 조직의 반응을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감염은 일차 감염 (primary infection)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감염은 기회 감염 (opportunistic infection)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감염은 이차 감염 (secondary infection)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감염을 야기하는 병원체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진균 또는 기생충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감염은 하기도 감염, HIV 감염, 설사병, 결핵 및 말라리아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감염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감염은 바이러스 (virus) 감염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감염은 아데노비리데 (Adenoviridae), 아넬로비리데 (Anelloviridae), 아레나비리데 (Arenaviridae), 아스트로비리데 (Astroviridae), 분야비리데 (Bunyaviridae), 분야바이러스 (Bunyavirus), 칼리시비리데 (Caliciviridae), 코로나비리데 (Coronaviridae), 필로비리데 (Filoviridae), 플라비비리데 (Flaviviridae), 헤파드나비리데 (Hepadnaviridae), 헤르페스비리데 (Herpesviridae), 오르토믹소비리데 (Orthomyxoviridae), 파필로마비리데 (Papillomaviridae), 파라믹소비리데 (Paramyxoviridae), 파르보비리데 (Parvoviridae), 피코르나비리데 (Picornaviridae), 뉴모비리데 (Pneumoviridae), 폴리오마비리데 (Polyomaviridae), 폭스비리데 (Poxviridae), 레오비리데 (Reoviridae), 레트로비리데 (Retroviridae), 라브도비리데 (Rhabdoviridae), 라브도바이러스 (Rhabdovirus) 및 토가비리데 (Togaviridae)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속 (genus)으로부터 유래한 바이러스의 감염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감염은 하기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러스의 감염이다: 아이치 바이러스 (Aichi virus), 호주 박쥐 리사바이러스 (Australian bat lyssavirus), BK 폴리오마바이러스 (BK polyomavirus), 반나 바이러스 (Banna virus), 바마 포레스트 바이러스 (Barmah forest virus), 분얌웨라 바이러스 (Bunyamwera virus), 분야바이러스 라 크로세 (Bunyavirus La Crosse), 분야바이러스 스노우슈 헤어 (Bunyavirus snowshoe hare), 세르코피테신 헤르페스바이러스 (Cercopithecine herpesvirus), 찬디푸라 바이러스 (Chandipura virus), 치쿤구냐 바이러스 (Chikungunya virus), 코사바이러스 A (Cosavirus A), 카우폭스 바이러스 (Cowpox virus), 콕사키바이러스 (Coxsackievirus), 크리미안-콩고 출혈열 바이러스 (Crimean-Congo hemorrhagic fever virus), 덴기 바이러스 (Dengue virus), 도리 바이러스 (Dhori virus), 두그베 바이러스 (Dugbe virus), 두벤헤이지 바이러스 (Duvenhage virus), 동부 말 뇌염 바이러스 (Eastern equine encephalitis virus), 에볼라바이러스 (Ebolavirus), 에코바이러스 (Echovirus), 뇌척수심근염 바이러스 (Encephalomyocarditis virus), 엡스타인-바아 바이러스 (Epstein-Barr virus), 유럽 박쥐 리사바이러스 (European bat lyssavirus), GB 바이러스 C/간염 G 바이러스 (GB virus C/Hepatitis G virus), 한탄 바이러스 (Hantaan virus), 헨드라 바이러스 (Hendra virus), A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A virus), B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B virus), C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C virus), E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E virus), 간염 델타 바이러스 (Hepatitis delta virus), 호스폭스 바이러스 (Horsepox virus), 인간 아데노바이러스 (Human adenovirus), 인간 아스트로바이러스 (Human astrovirus),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Human coronavirus), 인간 시토메갈로바이러스 (Human cytomegalovirus), 인간 엔테로바이러스 68 (Human enterovirus 68), 인간 엔테로바이러스 70 (Human enterovirus 70), 인간 헤르페스바이러스 1 (Human herpesvirus 1), 인간 헤르페스바이러스 2 (Human herpesvirus 2), 인간 헤르페스바이러스 6 (Human herpesvirus 6), 인간 헤르페스바이러스 7 (Human herpesvirus 7), 인간 헤르페스바이러스 8 (Human herpesvirus 8),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인간 파필로마바이러스 1 (Human papillomavirus 1), 인간 파필로마바이러스 2 (Human papillomavirus 2), 인간 파필로마바이러스 16 (Human papillomavirus 16), 인간 파필로마바이러스 18 (Human papillomavirus 18), 인간 파라인플루엔자 (Human parainfluenza), 인간 파보바이러스 B19 (Human parvovirus B19), 인간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Human respiratory syncytial virus), 인간 리노바이러스 (Human rhinovirus), 인간 SARS 코로나바이러스 (Human SARS coronavirus), 인간 스푸마레트로바이러스 (Human spumaretrovirus), 인간 T-림프친화 바이러스 (Human T-lymphotropic virus), 인간 토로바이러스 (Human torovirus),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Influenza A virus),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 (Influenza B virus), 인플루엔자 C 바이러스 (Influenza C virus), 이스파한 바이러스 (Isfahan virus), JC 폴리오마바이러스 (JC polyomavirus), 일본 뇌염 바이러스 (Japanese encephalitis virus), 주닌 아레나바이러스 (Junin arenavirus), KI 폴리오마바이러스 (KI Polyomavirus), 쿤진 바이러스 (Kunjin virus), 라고스 박쥐 바이러스 (Lagos bat virus), 레이크 빅토리아 마르버그바이러스 (Lake Victoria marburgvirus), 란갓 바이러스 (Langat virus), 라싸 바이러스 (Lassa virus), 로드스데일 바이러스 (Lordsdale virus), 루핑병 바이러스 (Louping ill virus), 림프구 맥락수막염 바이러스 (Lymphocytic choriomeningitis virus), 마추포 바이러스 (Machupo virus), 마야로 바이러스 (Mayaro virus), MERS 코로나바이러스 (MERS coronavirus), 홍역 바이러스 (Measles virus), 멘고 뇌심근염 바이러스 (Mengo encephalomyocarditis virus), 메르켈 세포 폴리오마바이러스 (Merkel cell polyomavirus), 모콜라 바이러스 (Mokola virus), 몰루스쿰 콘타지오숨 바이러스 (Molluscum contagiosum virus), 멍키폭스 바이러스 (Monkeypox virus), 볼거리 바이러스 (Mumps virus), 머레이 밸리 뇌염 바이러스 (Murray valley encephalitis virus), 뉴욕 바이러스 (New York virus), 니파 바이러스 (Nipah virus), 노워크 바이러스 (Norwalk virus), 오니옹-니옹 바이러스 (O'nyong-nyong virus), 오르프 바이러스 (Orf virus), 오로퓨스 바이러스 (Oropouche virus), 피친데 바이러스 (Pichinde virus), 폴리오바이러스 (Poliovirus), 푼타 토로 플레보바이러스 (Punta toro phlebovirus), 푸말라 바이러스 (Puumala virus), 광견병 바이러스 (Rabies virus), 리프트 밸리 열 바이러스 (Rift valley fever virus), 로사바이러스 A (Rosavirus A), 로스 리버 바이러스 (Ross river virus), 로타바이러스 A (Rotavirus A), 로타바이러스 B (Rotavirus B), 로타바이러스 C (Rotavirus C), 풍진 바이러스 (Rubella virus), 사기야마 바이러스 (Sagiyama virus), 살리바이러스 A (Salivirus A), 샌드플라이 열 시실리안 바이러스 (Sandfly fever sicilian virus), 삿포로 바이러스 (Sapporo virus), SARS 코로나바이러스 2 (SARS coronavirus 2), 셈리키 포레스트 바이러스 (Semliki forest virus), 서울 바이러스 (Seoul virus), 시미안 포미 바이러스 (Simian foamy virus), 시미안 바이러스 5 (Simian virus 5), 신드비스 바이러스 (Sindbis virus), 사우샘프턴 바이러스 (Southampton virus), 세인트 루이스 뇌염 바이러스 (St. louis encephalitis virus), 진드기-매개 포와산 바이러스 (Tick-borne powassan virus), 토크 테노 바이러스 (Torque teno virus), 토스카나 바이러스 (Toscana virus), 우쿠니에미 바이러스 (Uukuniemi virus), 박시니아 바이러스 (Vaccinia virus),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Varicella-zoster virus), 바리올라 바이러스 (Variola virus), 베네수엘라 말 뇌염 바이러스 (Venezuelan equine encephalitis virus), 소수포 구내염 바이러스 (Vesicular stomatitis virus), 서부 말 뇌염 바이러스 (Western equine encephalitis virus), WU 폴리오마바이러스 (WU polyomavirus),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West Nile virus), 야바 멍키 종양 바이러스 (Yaba monkey tumor virus), 야바-유사 질병 바이러스 (Yaba-like disease virus), 황열병 바이러스 (Yellow fever virus) 및 지카 바이러스 (Zika virus).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감염은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bacterium)의 감염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감염은 아비오트로피아 (Abiotrophia), 아크로모박터 (Achromobacter), 아시드아미노코커스 (Acidaminococcus), 아시도보락스 (Acidovorax), 아시네토박터 (Acinetobacter), 악티노바실루스 (Actinobacillus), 악티노바큘룸 (Actinobaculum), 악티노마두라 (Actinomadura), 악티노마이세스 (Actinomyces), 아에로코커스 (Aerococcus), 아에로모나스 (Aeromonas), 아피피아 (Afipia), 아그로박테리움 (Agrobacterium), 알칼리게네스 (Alcaligenes), 알로이오코커스 (Alloiococcus) 알테로모나스 (Alteromonas), 아미콜라타 (Amycolata), 아미콜라톱시스 (Amycolatopsis), 안아에로보스피릴룸 (Anaerobospirillum), 안아에로르하브두스 (Anaerorhabdus), "안길리나 (Anguillina)", 아라크니아 (Arachnia), 아르카노박테리움 (Arcanobacterium), 아르코박터 (Arcobacter), 아르트로박터 (Arthrobacter), 아토포비움 (Atopobium), 아우레오박테리움 (Aureobacterium), 바실루스 (Bacillus), 박테로이데스 (Bacteroides), 발네아트릭스 (Balneatrix), 바르토넬라 (Bartonella), 베르게옐라 (Bergeyella), 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um), 빌로필라 (Bilophila), 브란하멜라 (Branhamella), 보렐리아 (Borrelia), 보르데텔라 (Bordetella), 브라키스피라 (Brachyspira), 브레비바실루스 (Brevibacillus), 브레비박테리움 (Brevibacterium), 브레분디모나스 (Brevundimonas), 브루셀라 (Brucella), 버크홀데리아 (Burkholderia), 부티악셀라 (Buttiauxella), 부티리비브리오 (Butyrivibrio), 칼림마토박테리움 (Calymmatobacterium), 캄필로박터 (Campylobacter), 카프노사이토파가 (Capnocytophaga), 카르디오박테리움 (Cardiobacterium), 카토넬라 (Catonella), 세데세아 (Cedecea), 셀룰로모나스 (Cellulomonas), 센티페다 (Centipeda), 클라미디아 (Chlamydia), 클라미도필라 (Chlamydophila), 크로모박테리움 (Chromobacterium), 키세오박테리움 (Chyseobacterium), 크리세오모나스 (Chryseomonas), 시트로박터 (Citrobacter), 클로스트리디움 (Clostridium), 콜린셀라 (Collinsella), 코마모나스 (Comamonas), 코리네박테리움 (Corynebacterium), 콕시엘라 (Coxiella), 크립토박테리움 (Cryptobacterium), 델프티아 (Delftia), 더마박터 (Dermabacter), 더마토필루스 (Dermatophilus), 데술포모나스 (Desulfomonas), 데술포비브리오 (Desulfovibrio), 디알리스터 (Dialister), 디켈로박터 (Dichelobacter), 돌로시코커스 (Dolosicoccus), 돌로시그라눌룸 (Dolosigranulum), 에드워드시엘라 (Edwardsiella), 에거텔라 (Eggerthella), 에를리키아 (Ehrlichia), 에이케넬라 (Eikenella), 엠페도박터 (Empedobacter), 엔테로박터 (Enterobacter), 엔테로코커스 (Enterococcus), 에르위니아 (Erwinia), 에리시펠로트릭스 (Erysipelothrix), 에스케리치아 (Escherichia), 유박테리움 (Eubacterium), 에윈겔라 (Ewingella), 엑시구오박테리움 (Exiguobacterium), 파클라미아 (Facklamia), 필리팍터 (Filifactor), 플라비모나스 (Flavimonas), 플라보박테리움 (Flavobacterium), 플렉시스피라 (Flexispira), 프란시셀라 (Francisella), 푸소박테리움 (Fusobacterium), 가드네렐라 (Gardnerella), 게멜라 (Gemella) 글로비카텔라 (Globicatella), 고르도나 (Gordona), 헤모필루스 (Haemophilus), 하프니아 (Hafnia), 헬리코박터 (Helicobacter), 헬로코커스 (Helococcus), 홀데마니아 (Holdemania), 이그나비그라눔 (Ignavigranum), 존스넬라 (Johnsonella), 킨겔라 (Kingella), 클레브시엘라 (Klebsiella), 코쿠리아 (Kocuria), 코세렐라 (Koserella), 쿠르티아 (Kurthia), 키토코커스 (Kytococcus), 락토바실루스 (Lactobacillus), 락토코커스 (Lactococcus), 라우트로피아 (Lautropia), 레클레르시아 (Leclercia), 레지오넬라 (Legionella), 레미노렐라 (Leminorella), 렙토스피라 (Leptospira), 렙토트리키아 (Leptotrichia), 루코노스톡 (Leuconostoc), 리스테리아 (Listeria), 리스토넬라 (Listonella), 메가스페라 (Megasphaera), 메틸로박테리움 (Methylobacterium), 마이크로박테리움 (Microbacterium), 마이크로코커스 (Micrococcus), 미추오켈라 (Mitsuokella), 모빌룬쿠스 (Mobiluncus), 모엘레렐라 (Moellerella), 모락셀라 (Moraxella), 모르가넬라 (Morganella), 미코박테리움 (Mycobacterium), 미코플라스마 (Mycoplasma), 미로이데스 (Myroides), 네이세리아 (Neisseria), 노카르디아 (Nocardia), 노카르디옵시스 (Nocardiopsis), 오크로박트룸 (Ochrobactrum), 오에스코비아올리겔라 (OeskoviaOligella), 오리엔티아 (Orientia), 파에니바실루스 (Paenibacillus), 판토에아 (Pantoea), 파라클라미디아 (Parachlamydia), 파스테렐라 (Pasteurella), 페디오코커스 (Pediococcus), 펩토코커스 (Peptococcus), 펩토스트렙토코커스 (Peptostreptococcus), 포토박테리움 (Photobacterium), 포토라브두스 (Photorhabdus), 플레시오모나스 (Plesiomonas) 포르피리모나스 (Porphyrimonas), 프레보텔라 (Prevotella), 프로피오니박테리움 (Propionibacterium), 프로테우스 (Proteus), 프로비덴시아 (Providencia), 슈도모나스 (Pseudomonas), 슈도노카르디아 (Pseudonocardia), 슈도라미박터 (Pseudoramibacter), 사이크로박터 (Psychrobacter), 라넬라 (Rahnella), 랄스토니아 (Ralstonia), 로도코커스 (Rhodococcus), 리케치아 (Rickettsia), 로찰리메아 (Rochalimaea), 로세오모나스 (Roseomonas), 로티아 (Rothia), 루미노코커스 (Ruminococcus), 살모넬라 (Salmonella), 셀레노모나스 (Selenomonas), 세르풀리나 (Serpulina), 세라티아 (Serratia), 쉬웨넬라 (Shewenella), 시겔라 (Shigella), 심카니아 (Simkania), 슬라키아 (Slackia), 스핑고박테리움 (Sphingobacterium), 스핑고모나스 (Sphingomonas), 스피릴룸 (Spirillum), 스타필로코커스 (Staphylococcus), 스테노트로포모나스 (Stenotrophomonas), 스토마토코커스 (Stomatococcus), 스트렙토바실루스 (Streptobacillus), 스트렙토코커스 (Streptococcus), 스트렙토마이세스 (Streptomyces), 숙시니비브리오 (Succinivibrio), 수테렐라 (Sutterella), 수토넬라 (Suttonella), 타투멜라 (Tatumella), 티시에렐라 (Tissierella), 트라불시엘라 (Trabulsiella), 트레포네마 (Treponema), 트로페리마 (Tropheryma), 차카무렐라 (Tsakamurella), 투리셀라 (Turicella), 우레아플라스마 (Ureaplasma), 바고코커스 (Vagococcus), 베일로넬라 (Veillonella), 비브리오 (Vibrio), 위크셀라 (Weeksella), 볼리넬라 (Wolinella), 크산토모나스 (Xanthomonas), 크세노르하브두스 (Xenorhabdus), 여시니아 (Yersinia) 및 요케넬라 (Yokenella)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속 (genus)으로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의 감염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감염은 하기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의 감염이다: 악티모마이세스 유로페우스 (Actimomyces europeus), 악티모마이세스 게오르지에 (Actimomyces georgiae), 악티모마이세스 게렌세리에 (Actimomyces gerencseriae), 악티모마이세스 그라에베니치이 (Actimomyces graevenitzii), 악티모마이세스 이스라엘리이 (Actimomyces israelii), 악티모마이세스 메예리 (Actimomyces meyeri), 악티모마이세스 나에슬룬디이 (Actimomyces naeslundii), 악티모마이세스 뉴이이 뉴이이 (Actimomyces neuii neuii), 악티모마이세스 뉴이이 아니트라투스 (Actimomyces neuii anitratus), 악티모마이세스 오돈톨리티쿠스 (Actimomyces odontolyticus), 악티모마이세스 라딘가에 (Actimomyces radingae), 악티모마이세스 투리센시스 (Actimomyces turicensis), 악티모마이세스 비스코수스 (Actimomyces viscosus), 아르트로박터 크레아티놀리티쿠스 (Arthrobacter creatinolyticus), 아르트로박터 쿰민시이 (Arthrobacter cumminsii), 아르트로박터 볼루웬시스 (Arthrobacter woluwensis), 바실루스 안트라시스 (Bacillus anthracis), 바실루스 세레우스 (Bacillus cereus), 바실루스 시르쿨란스 (Bacillus circulans), 바실루스 코아굴란스 (Bacillus coagulans), 바실루스 리체니포르미스 (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루스 메가테리움 (Bacillus megaterium), 바실루스 미로이데스 (Bacillus myroides), 바실루스 푸밀루스 (Bacillus pumilus), 바실루스 스파에리쿠스 (Bacillus sphaericus), 바실루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바실루스 투린지엔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보렐리아 아프젤리이 (Borrelia afzelii), 보렐리아 안데르소니이 (Borrelia andersonii), 보렐리아 비세티이 (Borrelia bissettii), 보렐리아 부르그도르페리 (Borrelia burgdorferi), 보렐리아 가리니이 (Borrelia garinii), 보렐리아 자포니카 (Borrelia japonica), 보렐리아 루시타니에 (Borrelia lusitaniae), 보렐리아 타누키이 (Borrelia tanukii), 보렐리아 투르디 (Borrelia turdi), 보렐리아 발라이시아나 (Borrelia valaisiana), 보렐리아 카우카시카 (Borrelia caucasica), 보렐리아 크로시두라에 (Borrelia crocidurae), 보렐리아 레쿠렌티스 (Borrelia recurrentis), 보렐리아 두토니 (Borrelia duttoni), 보렐리아 그라인게리 (Borrelia graingeri), 보렐리아 헤름시이 (Borrelia hermsii), 보렐리아 히스파니카 (Borrelia hispanica), 보렐리아 라티스체위이 (Borrelia latyschewii), 보렐리아 마쪼티이 (Borrelia mazzottii), 보렐리아 파르케리 (Borrelia parkeri), 보렐리아 페르시카 (Borrelia persica), 보렐리아 레쿠렌티스 (Borrelia recurrentis), 보렐리아 투리카타에 (Borrelia turicatae), 보렐리아 베네주엘렌시 (Borrelia venezuelensi), 보르데텔라 브론치셉티카 (Bordetella bronchiseptica), 보르데텔라 힌지이 (Bordetella hinzii), 보르데텔라 홀름세이 (Bordetella holmseii), 보르데텔라 파라페르투시스 (Bordetella parapertussis), 보르데텔라 페르투시스 (Bordetella pertussis), 보르데텔라 트레마툼 (Bordetella trematum), 클로스트리디움 아브소눔 (Clostridium absonum), 클로스트리디움 아르겐티넨세 (Clostridium argentinense), 클로스트리디움 바라티이 (Clostridium baratii), 클로스트리디움 비페르멘탄스 (Clostridium bifermentans),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제린키이 (Clostridium beijerinckii),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Clostridium butyricum), 클로스트리디움 카다베리스 (Clostridium cadaveris), 클로스트리디움 카르니스 (Clostridium carnis), 클로스트리디움 셀라툼 (Clostridium celatum), 클로스트리디움 클로스트리디오포르메 (Clostridium clostridioforme), 클로스트리디움 코클레아리움 (Clostridium cochlearium), 클로스트리디움 코클레아툼 (Clostridium cocleatum), 클로스트리디움 팔락스 (Clostridium fallax), 클로스트리디움 고니이 (Clostridium ghonii), 클로스트리디움 글리콜리쿰 (Clostridium glycolicum), 클로스트리디움 하에몰리티쿰 (Clostridium haemolyticum), 클로스트리디움 하스티포르메 (Clostridium hastiforme), 클로스트리디움 히스톨리티쿰 (Clostridium histolyticum), 클로스트리디움 인돌리스 (Clostridium indolis), 클로스트리디움 인노쿠움 (Clostridium innocuum), 클로스트리디움 이레굴라레 (Clostridium irregulare), 클로스트리디움 렙툼 (Clostridium leptum), 클로스트리디움 리모숨 (Clostridium limosum), 클로스트리디움 말레노미나툼 (Clostridium malenominatum), 클로스트리디움 노비이 (Clostridium novyi), 클로스트리디움 오로티쿰 (Clostridium oroticum), 클로스트리디움 파라푸트리피쿰 (Clostridium paraputrificum), 클로스트리디움 필리포르메 (Clostridium piliforme), 클로스트리디움 푸트레파시엔스 (Clostridium putrefasciens), 클로스트리디움 라모숨 (Clostridium ramosum), 클로스트리디움 셉티쿰 (Clostridium septicum), 클로스트리디움 소르델리이 (Clostridium sordelii), 클로스트리디움 스페노이데스 (Clostridium sphenoides), 클로스트리디움 스포로게네스 (Clostridium sporogenes), 클로스트리디움 서브테르미날레 (Clostridium subterminale), 클로스트리디움 심비오숨 (Clostridium symbiosum), 클로스트리디움 테르티움 (Clostridium tertium), 클로스트리디움 테타니 (Clostridium tetani), 에스케리치아 콜리 (Escherichia coli), 에스케리치아 페르구소니이 (Escherichia fergusonii), 에스케리치아 헤르마니이 (Escherichia hermanii), 에스케리치아 불네리스 (Escherichia vulneris),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Enterococcus avium), 엔테로코커스 카셀리플라부스 (Enterococcus casseliflavus), 엔테로코커스 세코룸 (Enterococcus cecorum), 엔테로코커스 디스파르 (Enterococcus dispar), 엔테로코커스 두란스 (Enterococcus durans), 엔테로코커스 파에칼리스 (Enterococcus faecalis),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움 (Enterococcus faecium), 엔테로코커스 플라베센스 (Enterococcus flavescens), 엔테로코커스 갈리나룸 (Enterococcus gallinarum), 엔테로코커스 히라에 (Enterococcus hirae), 엔테로코커스 말로도라투스 (Enterococcus malodoratus), 엔테로코커스 문드티이 (Enterococcus mundtii), 엔테로코커스 슈도아비움 (Enterococcus pseudoavium), 엔테로코커스 라피노수스 (Enterococcus raffinosus), 엔테로코커스 솔리타리우스 (Enterococcus solitarius), 헤모필루스 아에깁티우스 (Haemophilus aegyptius), 헤모필루스 아프로필루스 (Haemophilus aphrophilus), 헤모필루스 파라프로필루스 (Haemophilus paraphrophilus), 헤모필루스 파라인플루엔자에 (Haemophilus parainfluenzae), 헤모필루스 세그니스 (Haemophilus segnis), 헤모필루스 두크레이이 (Haemophilus ducreyi),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Haemophilus influenzae), 클레브시엘라 오르니톨리티카 (Klebsiella ornitholytica), 클레브시엘라 옥시토카 (Klebsiella oxytoca), 클레브시엘라 플란티콜라 (Klebsiella planticola),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에 (Klebsiella pneumoniae), 클레브시엘라 오자에나에 (Klebsiella ozaenae), 클레브시엘라 테리게나 (Klebsiella terrigena), 리스테리아 이바노비이 (Lysteria ivanovii),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 (Lysteria monocytogenes), 미코박테리움 아브세수스 (Mycobacterium abscessus), 미코박테리움 아프리카눔 (Mycobacterium africanum), 미코박테리움 알베이 (Mycobacterium alvei), 미코박테리움 아시아티쿰 (Mycobacterium asiaticum), 미코박테리움 아우룸 (Mycobacterium aurum), 미코박테리움 아비움 (Mycobacterium avium), 미코박테리움 보헤미쿰 (Mycobacterium bohemicum), 미코박테리움 보비스 (Mycobacterium bovis), 미코박테리움 브란데리 (Mycobacterium branderi), 미코박테리움 브루마에 (Mycobacterium brumae), 미코박테리움 셀라툼 (Mycobacterium celatum), 미코박테리움 켈로나에 (Mycobacterium chelonae), 미코박테리움 추벤세 (Mycobacterium chubense), 미코박테리움 콘플루엔티스 (Mycobacterium confluentis), 미코박테리움 콘스피쿠움 (Mycobacterium conspicuum), 미코박테리움 쿠키이 (Mycobacterium cookii), 미코박테리움 플라베센스 (Mycobacterium flavescens), 미코박테리움 포르투이툼 (Mycobacterium fortuitum), 미코박테리움 가디움 (Mycobacterium gadium), 미코박테리움 가스트리 (Mycobacterium gastri), 미코박테리움 게나벤세 (Mycobacterium genavense), 미코박테리움 고르도나에 (Mycobacterium gordonae), 미코박테리움 구디이 (Mycobacterium goodii), 미코박테리움 헤모필룸 (Mycobacterium haemophilum), 미코박테리움 하시쿰 (Mycobacterium hassicum), 미코박테리움 인트라셀루라레 (Mycobacterium intracellulare), 미코박테리움 인테르젝툼 (Mycobacterium interjectum), 미코박테리움 헤이델베렌세 (Mycobacterium heidelberense), 미코박테리움 칸사시이 (Mycobacterium kansasii), 미코박테리움 렌티플라붐 (Mycobacterium lentiflavum), 미코박테리움 레프라에 (Mycobacterium leprae), 미코박테리움 말모엔세 (Mycobacterium malmoense), 미코박테리움 마리눔 (Mycobacterium marinum), 미코박테리움 마이크로게니쿰 (Mycobacterium microgenicum), 미코박테리움 마이크로티 (Mycobacterium microti), 미코박테리움 무코게니쿰 (Mycobacterium mucogenicum), 미코박테리움 네오아우룸 (Mycobacterium neoaurum), 미코박테리움 논크로모게니쿰 (Mycobacterium nonchromogenicum), 미코박테리움 페레그리눔 (Mycobacterium peregrinum), 미코박테리움 플레이 (Mycobacterium phlei), 미코박테리움 스크로풀라세움 (Mycobacterium scrofulaceum), 미코박테리움 시모이데이 (Mycobacterium shimoidei), 미코박테리움 시미에 (Mycobacterium simiae), 미코박테리움 스메그마티스 (Mycobacterium smegmatis), 미코박테리움 스줄가이 (Mycobacterium szulgai), 미코박테리움 테라에 (Mycobacterium terrae), 미코박테리움 서모레시스타빌레 (Mycobacterium thermoresistabile), 미코박테리움 트리플렉스 (Mycobacterium triplex), 미코박테리움 트리비알레 (Mycobacterium triviale), 미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 (Mycobacterium tuberculosis), 미코박테리움 투시에 (Mycobacterium tusciae), 미코박테리움 울세란스 (Mycobacterium ulcerans), 미코박테리움 바카에 (Mycobacterium vaccae), 미코박테리움 볼린스키이 (Mycobacterium wolinskyi), 미코박테리움 제노피 (Mycobacterium xenopi), 미코플라스마 부칼레 (Mycoplasma buccale), 미코플라스마 파우시움 (Mycoplasma faucium), 미코플라스마 페르멘탄스 (Mycoplasma fermentans), 미코플라스마 게니탈리움 (Mycoplasma genitalium), 미코플라스마 호미니스 (Mycoplasma hominis), 미코플라스마 리포필룸 (Mycoplasma lipophilum), 미코플라스마 오랄레 (Mycoplasma orale), 미코플라스마 페네트란스 (Mycoplasma penetrans), 미코플라스마 피룸 (Mycoplasma pirum), 미코플라스마 뉴모니에 (Mycoplasma pneumoniae), 미코플라스마 프리마툼 (Mycoplasma primatum), 미코플라스마 살리바리움 (Mycoplasma salivarium), 미코플라스마 스페르마토필룸 (Mycoplasma spermatophilum),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Pseudomonas aeruginosa), 슈도모나스 알칼리게네스 (Pseudomonas alcaligenes),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 (Pseudomonas chlororaphis),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 (Pseudomonas fluorescens), 슈도모나스 루테올라 (Pseudomonas luteola), 슈도모나스 멘도시나 (Pseudomonas mendocina), 슈도모나스 몬테일리이 (Pseudomonas monteilii), 슈도모나스 오리지하비탄스 (Pseudomonas oryzihabitans), 슈도모나스 페르토시노게나 (Pseudomonas pertocinogena), 슈도모나스 슈달칼리게네스 (Pseudomonas pseudalcaligenes), 슈도모나스 푸티다 (Pseudomonas putida), 슈도모나스 스투체리 (Pseudomonas stutzeri), 리케치아 아프리카에 (Rickettsia africae), 리케치아 아카리 (Rickettsia akari), 리케치아 아우스트랄리스 (Rickettsia australis), 리케치아 코노리이 (Rickettsia conorii), 리케치아 펠리스 (Rickettsia felis), 리케치아 호네이 (Rickettsia honei), 리케치아 자포니카 (Rickettsia japonica), 리케치아 몬골로티모나에 (Rickettsia mongolotimonae), 리케치아 프로와제키이 (Rickettsia prowazekii), 리케치아 리케치아에 (Rickettsia rickettsiae), 리케치아 시비리카 (Rickettsia sibirica), 리케치아 슬로바카 (Rickettsia slovaca), 리케치아 티피 (Rickettsia typhi), 살모넬라 콜레라에수이스 콜레라에수이스 (Salmonella choleraesuis choleraesuis), 살모넬라 콜레라에수이스 아리조나에 (Salmonella choleraesuis arizonae), 살모넬라 콜레라에수이스 본고리 (Salmonella choleraesuis bongori), 살모넬라 콜레라에수이스 디아리조나에 (Salmonella choleraesuis diarizonae), 살모넬라 콜레라에수이스 호우테나에 (Salmonella choleraesuis houtenae), 살모넬라 콜레라에수이스 인디카 (Salmonella choleraesuis indica), 살모넬라 콜레라에수이스 살라마에 (Salmonella choleraesuis salamae),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Salmonella enteritidis), 살모넬라 티피 (Salmonella typhi),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Salmonella typhimurium), 시겔라 보이디이 (Shigella boydii), 시겔라 디센타에리아에 (Shigella dysentaeriae), 시겔라 플렉스네리 (Shigella flexneri), 시겔라 손네이 (Shigella sonnei),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리쿨라리스 (Staphylococcus auricularis),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 카파티스 (Staphylococcus capitis capitis), 스타필로코커스 c. 우레올리티쿠스 (Staphylococcus c. ureolyticus), 스타필로코커스 카프라에 (Staphylococcus caprae),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코커스 코니이 코니이 (Staphylococcus cohnii cohnii), 스타필로코커스 c. 우레알리티쿠스 (Staphylococcus c. urealyticus),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미디스 (Staphylococcus epidermidis), 스타필로코커스 에쿠오룸 (Staphylococcus equorum), 스타필로코커스 갈리나룸 (Staphylococcus gallinarum), 스타필로코커스 헤몰리티쿠스 (Staphylococcus haemolyticus), 스타필로코커스 호미니스 호미니스 (Staphylococcus hominis hominis), 스타필로코커스 h. 노보비오셉티시우스 (Staphylococcus h. novobiosepticius), 스타필로코커스 히이쿠스 (Staphylococcus hyicus), 스타필로코커스 인테메디우스 (Staphylococcus intermedius), 스타필로코커스 루그두넨시스 (Staphylococcus lugdunensis), 스타필로코커스 파스테우리 (Staphylococcus pasteuri), 스타필로코커스 사카롤리티쿠스 (Staphylococcus saccharolyticus), 스타필로코커스 사프로피티쿠스 (Staphylococcus saprophyticus), 스타필로코커스 쉬레이페리 쉬레이페리 (Staphylococcus schleiferi schleiferi), 스타필로코커스 s. 코아굴란스 (Staphylococcus s. coagulans), 스타필로코커스 시우리 (Staphylococcus sciuri), 스타필로코커스 시물란스 (Staphylococcus simulans), 스타필로코커스 와르네리 (Staphylococcus warneri), 스타필로코커스 크실로수스 (Staphylococcus xylosus),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아에 (Streptococcus agalactiae), 스트렙토코커스 카니스 (Streptococcus canis), 스트렙토코커스 디스갈락티아에 디스갈락티아에 (Streptococcus dysgalactiae dysgalactiae), 스트렙토코커스 디스갈락티아에 에퀴시밀리스 (Streptococcus dysgalactiae equisimilis), 스트렙토코커스 에퀴 에퀴 (Streptococcus equi equi), 스트렙토코커스 에퀴 주에피데미쿠스 (Streptococcus equi zooepidemicus), 스트렙토코커스 이니아에 (Streptococcus iniae), 스트렙토코커스 포르시누스 (Streptococcus porcinus),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 (Streptococcus pyogenes), 스트렙토코커스 안지노수스 (Streptococcus anginosus), 스트렙토코커스 콘스텔라투스 콘스텔라투스 (Streptococcus constellatus constellatus), 스트렙토코커스 콘스텔라투스 파린기디스 (Streptococcus constellatus pharyngidis), 스트렙토코커스 인테메디우스 (Streptococcus intermedius), 스트렙토코커스 미티스 (Streptococcus mitis),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 (Streptococcus oralis), 스트렙토코커스 산귀니스 (Streptococcus sanguinis), 스트렙토코커스 크리스타투스 (Streptococcus cristatus),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이 (Streptococcus gordonii),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산귀니스 (Streptococcus parasanguinis),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Streptococcus salivarius), 스트렙토코커스 베스티불라리스 (Streptococcus vestibularis), 스트렙토코커스 크리세티 (Streptococcus criceti),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 (Streptococcus mutans), 스트렙토코커스 라티 (Streptococcus ratti),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누스 (Streptococcus sobrinus), 스트렙토코커스 아시도미니무스 (Streptococcus acidominimus), 스트렙토코커스 보비스 (Streptococcus bovis), 스트렙토코커스 에퀴누스 (Streptococcus equinus),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에 (Streptococcus pneumoniae), 스트렙토코커스 수이스 (Streptococcus suis), 비브리오 알기놀리티쿠스 (Vibrio alginolyticus), V. 카르카리아에 (V, carchariae), 비브리오 콜레라에 (Vibrio cholerae), C. 신신나티엔시스 (C. cincinnatiensis), 비브리오 담셀라 (Vibrio damsela), 비브리오 플루비알리스 (Vibrio fluvialis), 비브리오 푸르니시이 (Vibrio furnissii), 비브리오 홀리사에 (Vibrio hollisae), 비브리오 메츠크니코비이 (Vibrio metschnikovii), 비브리오 미미쿠스 (Vibrio mimicus), 비브리오 파라헤몰리티쿠스 (Vibrio parahaemolyticus),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Vibrio vulnificus), 여시니아 페스티스 (Yersinia pestis), 여시니아 알도바에 (Yersinia aldovae), 여시니아 베르코비에리 (Yersinia bercovieri),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Yersinia enterocolitica), 여시니아 프레데리크세니이 (Yersinia frederiksenii), 여시니아 인테메디아 (Yersinia intermedia), 여시니아 크리스텐세니이 (Yersinia kristensenii), 여시니아 몰라레티이 (Yersinia mollaretii), 여시니아 슈도투베쿨로시스 (Yersinia pseudotuberculosis) 및 여시니아 로데이 (Yersinia rohdei).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감염은 적어도 하나의 진균 (fungus)의 감염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감염은 칸디다 (Candida), 아스페르길루스 (Aspergillus), 크립토코커스 (Cryptococcus), 히스토플라스마 (Histoplasma), 뉴모시스티스 (Pneumocystis), 및 스타키보트리스 (Stachybotrys)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속 (genus)으로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진균의 감염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감염은 하기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진균의 감염이다: 아스페르길루스 푸미가투스 (Aspergillus fumigatus), 아스페르길루스 플라부스 (Aspergillus flavus),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Aspergillus Niger),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칸디다 두블리니엔시스 (Candida dubliniensis), 칸디다 글라브라타 (Candida glabrata) (토룰롭시스 글라브라타 (Torulopsis glabrata), 칸디다 귀리에르몬디이 (Candida guilliermondii) (피치아 귀리에르몬디이 (Pichia guilliermondii); 야마다지마 귀리에르몬디이 (Yamadazyma guilliermondii)), 칸디다 크루세이 (Candida krusei)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 (Issatchenkia orientalis)), 칸디다 루시타니아에 (Candida. lusitaniae) (클라비스포라 루시타니아에 (Clavispora lusitaniae)), 칸디다 파랍실로시스 (Candida parapsilosis), 칸디다 슈도트로피칼리스 (Candida pseudotropicalis) (C. 케피르 (C. kefyr); 클루이베로마이세스 시세리스포루스 (Kluyveromyces cicerisporus); K. 프라길리스 (K. fragilis); K. 막시아누스 (K. marxianus)), 칸디다 트로피칼리스 (Candida Tropicalis), 코시디오이데스 임미티스 (Coccidioides immitis), 크립토코커스 네오포르만스 (Cryptococcus neoformans), 뉴모시스티스 카리니이 (Pneumocystis carinii), 뉴모시스티스 지로베시 (Pneumocystis jiroveci), 블라스토마이세스 데마티티디스 (Blastomyces dermatitidis) 및 히스토플라스마 캅술라툼 (Histoplasma capsulatum).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감염은 적어도 하나의 기생충 (parasite)의 감염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감염은 외부기생충 (Ectoparasites), 원생동물 유기체 (Protozoan organisms), 및 연충 (Helminths) 예컨대 촌충 (Tapeworms), 흡충 (Flukes), 및/또는 회충 (Roundworms)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속 (genus)으로부터 유래한 적어도 하나의 기생충의 감염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감염은 아칸트아메바 속 (Acanthamoeba spp.), 안실로스토마 두오데날레 (Ancylostoma duodenale), 네카토르 아메리카누스 (Necator americanus), 안지오스트론길루스 (Angiostrongylus), 아니사키스 (Anisakis), 아라크니다 (Arachnida), 익소디다에 (Ixodidae) 및 아르가시다에 (Argasidae), 아라크니다 (Arachnida): 트롬비쿨리데 (Trombiculidae), 아르키아칸토세팔라 (Archiacanthocephala), 모닐리포르미스 모닐리포르미스 (Moniliformis moniliformis), 아스카리스 종 아스카리스 룸브리코이데스 (Ascaris sp. Ascaris lumbricoides), 바베시아 B. 디베르겐스 (Babesia B. divergens), B. 비게미나 (B. bigemina), B. 에퀴 (B. equi), B. 마이크로프티 (B. microfti), B. 둔카니 (B. duncani), 발라무티아 만드릴라리스 (Balamuthia mandrillaris), 발란티디움 콜리 (Balantidium coli), 바일리사스카리스 프로시오니스 (Baylisascaris procyonis), 베르티엘라 무크로나타 (Bertiella mucronata), 베르티엘라 스투데리 (Bertiella studeri), 블라스토시스티스 속 (Blastocystis spp.), 브루기아 말라이이 (Brugia malayi), 브루기아 티모리 (Brugia timori), 세스토다 (Cestoda), 타에니아 물티셉스 (Taenia multiceps), 시미시다에 (Cimicidae), 시멕스 렉툴라리우스 (Cimex lectularius), 시멕스 헤밉테루스 (Cimex hemipterus), 클로노르키스 시넨시스 (Clonorchis sinensis), 클로노르키스 비베리니 (Clonorchis viverrini), 코클리오미이아 호미니보락스 (Cochliomyia hominivorax), 크립토스포리디움 속 (Cryptosporidium spp.), 시클로스포라 카예타넨시스 (Cyclospora cayetanensis), 데모덱스 폴리쿨로룸 (Demodex folliculorum), 데모덱스 브레비스 (Demodex brevis), 데모덱스 카니스 (Demodex canis), 데르마니수스 갈리나에 (Dermanyssus gallinae), 데마토비아 호미니스 (Dermatobia hominis), 디크로코엘리움 덴드리티쿰 (Dicrocoelium dendriticum), 디엔트아메바 프라길리스 (Dientamoeba fragilis), 디옥토피메 레날레 (Dioctophyme renale), 디필로보트리움 라툼 (Diphyllobothrium latum), 드라쿤쿨루스 메디넨시스 (Dracunculus medinensis), 에키노코커스 그라눌로수스 (Echinococcus granulosus), 에키노코커스 물틸로쿨라리스 (Echinococcus multilocularis), E. 보겔리 (E. vogeli), E. 올리가르트루스 (E. oligarthrus), 에키노스토마 에키나툼 (Echinostoma echinatum), 엔트아메바 히스톨리티카 (Entamoeba histolytica), 엔테로비우스 베르미쿨라리스 (Enterobius vermicularis), 엔테로비우스 그레고리이 (Enterobius gregorii), 파시올라 헤파티카 (Fasciola hepatica), 파시올라 기간틱 (Fasciola gigantic), 파시올롭시스 부스키 (Fasciolopsis buski), 기아르디아 람블리아 (Giardia lamblia), 그나토스토마 스피니게룸 (Gnathostoma spinigerum), 그나토스토마 히스피둠 (Gnathostoma hispidum), 할리세팔로부스 긴기발리스 (Halicephalobus gingivalis), 히메놀레피스 나나 (Hymenolepis nana), 히메놀레피스 디미누타 (Hymenolepis diminuta), 인섹타 (Insecta), 디프테라 (Diptera), 이소스포라 벨리 (Isospora belli), 라엘랍스 에키드니나 (Laelaps echidnina), 레시마니아 속 (Leishmania spp.), 린구아툴라 세라타 (Linguatula serrata), 리포니소이데스 산귀네우스 (Liponyssoides sanguineus), 로아 로아 필라리알 (Loa loa filarial), 만소넬라 스트렙토세르카 (Mansonella streptocerca), 메타고니무스 요코가와이 (Metagonimus yokogawai), 메토르키스 콘정투스 (Metorchis conjunctus), 나에글레리아 포우레리 (Naegleria fowleri), 오에스트로이데아 (Oestroidea), 칼리포리데 (Calliphoridae), 사르코파기데 (Sarcophagidae), 온코세르카 볼불루스 (Onchocerca volvulus), 오피스토르키스 비베리니 (Opisthorchis viverrini), 오피스토르키스 펠리네우스 (Opisthorchis felineus), 클로노르키스 시넨시스 (Clonorchis sinensis), 오르니토니수스 바코티 (Ornithonyssus bacoti), 오르니토니수스 부르사 (Ornithonyssus bursa), 오르니토니수스 실비아룸 (Ornithonyssus sylviarum), 파라고니무스 웨스테르마니 (Paragonimus westermani), 파라고니무스 아프리카누스 (Paragonimus africanus), 파라고니무스 칼리엔시스 (Paragonimus caliensis), 파라고니무스 켈리코티 (Paragonimus kellicotti), 파라고니무스 스크르자비니 (Paragonimus skrjabini), 파라고니무스 우테로빌라테랄리스 (Paragonimus uterobilateralis), 페디쿨루스 휴마누스 카피티스 (Pediculus humanus capitis), 페디쿨루스 휴마누스 휴마누스 (Pediculus humanus humanus), 플라스모디움 팔시파룸 (Plasmodium falciparum), 플라스모디움 비박스 (Plasmodium vivax), 플라스모디움 오발레 쿠르티시 (Plasmodium ovale curtisi), 플라스모디움 오발레 월리케리 (Plasmodium ovale wallikeri), 플라스모디움 말라리에 (Plasmodium malariae), 플라스모디움 노레시 (Plasmodium knowlesi), 프티루스 푸비스 (Pthirus pubis), 리노스포리디움 시베리 (Rhinosporidium seeberi), 사르코시스티스 보비호미니스 (Sarcocystis bovihominis), 사르코시스티스 수이호미니스 (Sarcocystis suihominis), 사르콥테스 스카비에이 (Sarcoptes scabiei), 시스토소마 헤마토비움 (Schistosoma haematobium), 시스토소마 자포니쿰 (Schistosoma japonicum), 쉬스토소마 만소니 (Schistosoma mansoni), 쉬스토소마 인테칼라툼 (Schistosoma intercalatum), 쉬스토소마 메콘기 (Schistosoma mekongi), 쉬스토소마 종 (Schistosoma sp.), 시포납테라 (Siphonaptera), 풀리시네 (Pulicinae), 스피로메트라 에리나세이유로파에이 (Spirometra erinaceieuropaei), 스트론길로이데스 스테르코랄리스 (Strongyloides stercoralis), 타에니아 사기나타 (Taenia saginata), 타에니아 솔리움 (Taenia solium), 텔라지아 칼리포니엔시스 (Thelazia californiensis), 텔라지아 칼리페다 (Thelazia callipaeda), 톡소카라 카니스 (Toxocara canis), 톡소카라 카티 (Toxocara cati), 톡사스카리스 레오닌 (Toxascaris leonine), 톡소플라스마 곤디이 (Toxoplasma gondii), 트리키넬라 스피랄리스 (Trichinella spiralis), 트리키넬라 브리토비 (Trichinella britovi), 트리키넬라 넬소니 (Trichinella nelsoni), 트리키넬라 나티베 (Trichinella native), 트리코빌하르지아 레겐티 (Trichobilharzia regenti), 쉬스토소마티데 (Schistosomatidae), 트리코모나스 바기날리스 (Trichomonas vaginalis), 트리추리스 트리치우라 (Trichuris trichiura), 트리추리스 불피스 (Trichuris vulpis), 트리파노소마 브루세이 (Trypanosoma brucei), 트리파노소마 크루지 (Trypanosoma cruzi), 툰가 페네트란스 (Tunga penetrans) 및 우체레리아 반크로프티 (Wuchereria bancrofti)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생충의 감염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감염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체 약학 조성물은 항감염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항감염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감염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축된 담체 물체는 항감염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항감염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감염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축된 담체 물체는 항감염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항감염제를 포함한다.
감염 증상 예컨대 식욕 감퇴, 오심 및 구토는 치료 중 치료제 섭취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수단 및 방법은 감염과 관련하여 치료제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고, 흡수를 가속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가 감염의 치료를 개선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편두통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편두통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편두통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편두통 (migraine)"은 오심, 구토 또는 빛에 대한 민감성을 포함하는 증상을 동반할 수 있는 두통 (headaches)을 지칭한다. 편두통과 관련된 통증은 전형적으로 편측성 박동성 통증 (unilateral throbbing pain)으로 설명된다. 편두통은 시각 장애 (visual disturbances) 예컨대 전조 (aura), 섬광 (flashing lights), 물결 모양의 선, 이상한 맛 또는 냄새, 무감각 (numbness), 저림 (tingling), 현기증, 이명 또는 신체 일부의 크기나 모양이 뒤틀린 느낌이 선행될 수 있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편두통은 전조가 없는 편두통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편두통은 전조가 있는 편두통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편두통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체 약학 조성물은 항편두통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항편두통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편두통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축된 담체 물체는 항편두통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항편두통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편두통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축된 담체 물체는 항편두통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항편두통제를 포함한다.
편두통 증상 예컨대 식욕 감퇴, 오심, 흡수 감소 및 구토는 치료 중 치료제 섭취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편두통 발작은 조기에 치료하면 덜 심각한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수단 및 방법은 편두통과 관련하여 치료제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고, 흡수를 가속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가 편두통의 치료를 개선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수면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수면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수면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수면 장애 (sleeping disorder)"는 수면 및 수면 상태 유지와 관련된 장애를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수면 장애는 만성 불면증, 불규칙한 수면-각성 일정, 규칙적인 수면 일정이 유지될 수 없는 교대근무, 시차증 (jet-lag), 우울증-관련 수면 장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수면 장애이다. 용어 "불면증 (insomnia)"은 환자가 부적절하거나 또는 편안하지 않은 수면을 인지하는 것과 관련된 모든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수면 장애는 일반 의료 행위에서 발견되는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이다. 불면증은 성인 인구의 13% 내지 45%에서 보고되는, 흔한 호소 증상이다. 수면 장애의 증상에는 밤에 잠드는 것에 대한 빈번하거나 또는 지속적인 어려움, 빈번한 야간 각성, 및/또는 이른 아침에 기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불면증 (sleeplessness) 자체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연령, 성별, 개인의 정신병리학적 상태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노인과 여성에서 특히 중요하다. 그러므로, 수면 장애의 치료는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수면 유도 및 수면 연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수면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체 약학 조성물은 마약성 진통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마약성 진통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수면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축된 담체 물체는 마약성 진통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마약성 진통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수면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축된 담체 물체는 마약성 진통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마약성 진통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수면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체 약학 조성물은 진정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진정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수면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축된 담체 물체는 진정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진정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수면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축된 담체 물체는 진정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진정제를 포함한다.
수면 장애의 증상은 치료제의 빠른 작용 개시를 보장하기 위해 치료제의 빠른 흡수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수단 및 방법은 수면 장애와 관련하여 치료제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고, 흡수를 가속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가 수면 장애의 치료를 개선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우울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우울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우울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우울 장애 (depressive disorder)"는 전형적으로 지속되는 슬픈 기분 및/또는 대부분의 활동에 대한 관심 또는 즐거움의 상실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 장애를 지칭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우울 장애는 주요 우울 장애, 단극성 우울증, 불안증적 우울증 (depression with anxious distress), 기분저하증 (dysthymia) (또한, 기분저하 장애 (dysthymic disorder)라고 함), 비정형 우울증 (atypical depression), 우울증 (기분), 멜랑콜리형 우울증 (melancholic depression), 정신병적 우울증, 노인 우울증, 정신사회적 스트레스-관련 우울증, 및 산후 우울증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우울 장애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우울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체 약학 조성물은 항우울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항우울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우울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축된 담체 물체는 항우울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항우울제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우울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압축된 담체 물체는 항우울제, 구체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항우울제를 포함한다.
우울 장애가 있는 환자는 치료 순응도가 낮은 경향이 있으며, 우울증 에피소드 동안 자살 생각과 같은 우울 장애의 일부 증상은 치료제의 빠른 작용 개시를 보장하기 위해 치료제의 빠른 흡수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수단 및 방법은 우울 장애와 관련하여 치료제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고, 흡수를 가속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가 우울 장애의 치료를 개선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소아 질환 또는 장애는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통증, 감염, 편두통, 수면 장애 및 우울 장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는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통증, 감염, 편두통, 수면 장애 및 우울 장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노인 및 소아의 질환 또는 장애는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통증, 감염, 편두통, 수면 장애 및 우울 장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소아 질환 또는 장애는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통증, 감염, 편두통, 수면 장애 및 우울 장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는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통증, 감염, 편두통, 수면 장애 및 우울 장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으로서, 노인 및 소아의 질환 또는 장애는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통증, 감염, 편두통, 수면 장애 및 우울 장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소아 질환 또는 장애는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통증, 감염, 편두통, 수면 장애 및 우울 장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는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통증, 감염, 편두통, 수면 장애 및 우울 장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담체 입자에 관한 것으로서, 노인 및 소아의 질환 또는 장애는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통증, 감염, 편두통, 수면 장애 및 우울 장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수의학적 (veterinary)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수의학적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수의학적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담체 입자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수의학적 질환 또는 장애 (veterinary disease or disorder)"는 본원에 기재된 치료제로 치료될 수 있는 비-인간 동물의 임의의 질환 또는 장애를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비-인간 동물 (non-human animal)은 척추동물 유기체를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비-인간 동물은 포유동물을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비-인간 동물은 소, 돼지, 마우스, 래트, 고양이, 개, 낙타, 라마, 말, 염소, 토끼, 오비스 (ovis), 햄스터, 기니피그, 고래, 조류 (예를 들어, 오리, 닭, 거위), 비-인간 영장류, 원숭이, 유인원 (apes), 개코원숭이 (baboons) 및 침팬지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비-인간 동물을 지칭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수의학적 질환 또는 장애는 탄저병 (Anthrax), 브루셀라증 (Brucellosis), 캄필로박테리아증 (Campylobacteriosis), 전염성 농창 (Contagious ecthyma), 크립토스포리디움증 (Cryptosporidiosis), 대장균 (E. coli.), 인플루엔자 (Influenza), 렙토스피라증 (Leptospirosis), 리스테리아증 (Listeriosis), Q 열 (Q fever), 광견병 (Rabies), 백선 (Ringworm), 및 살모넬라증 (Salmonellosis)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질환 또는 장애를 지칭한다.
비-인간 동물에 대한 치료제의 투여는 비-인간 동물의 협력의 제한으로 인해 복잡할 수 있다. 수의학적 질환 또는 장애는 투여를 추가로 방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인간 동물은 수의학적 질환 또는 장애로 인해 또는 협력 의지의 부족으로 인해 약물을 삼키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단 및 방법은 비-인간 동물에 대한 치료제의 비강, 협측, 설하, 기관지내, 질, 요도 및/또는 직장 투여를 가능하게 하고, 용이하게 하며, 및/또는 가속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가 수의학적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개선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진단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진단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진단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담체 입자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진단 마커를 포함하고 및/또는 진단 마커가 로딩된 고체 약학 조성물, 압축된 담체 물체, 및/또는 담체 입자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기재된, 용어 "진단 마커 (diagnostic marker)"는 대상체에게 투여 시에 이미징 기술에 유용한 임의의 마커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진단 마커는 Fe, Mg, Al, Mn, V, Ti, Cu, Ga, Ge, Ag, Au, Sm, U, Zn, Pt 및 Sn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을 포함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진단 마커는 Si, S, Sb, I, 및 C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비-금속 (non-metal)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진단 마커는 적어도 하나의 조영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진단 마커는 적어도 하나의 농축된 동위원소를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농축된 동위원소는 테크네튬-99m, 요오드-123 및/또는 탈륨-201이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원에 기재된 진단 마커는 감마 방사선을 방출한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섬광조영술에 사용하기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섬광조영술에 사용하기 위한 압축된 담체 물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섬광조영술에 사용하기 위한 담체 입자에 관한 것이다.
섬광조영술에서 본 발명의 수단 및 방법의 사용은 본원에 기재된 소정의 진단 마커에 의해 가능해질 수 있다.
진단 목적과 관련하여, 진단 절차의 속도 및 정확도를 위해 (예를 들어, 진단 마커)의 간단하고, 빠르며 및/또는 표적 특이적 전달이 중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단 및 방법은 진단 절차에서 진단 마커의 전달을 개선, 촉진 및/또는 가속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입자가 진단 절차를 개선하거나 또는 촉진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a", "an", 및 "the"는 관사의 문법적 대상 중 하나 또는 하나 초과 (즉,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를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또는 (or)"은 대안 중 하나, 둘 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및/또는 (and/or)"은 대안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문맥상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단어 "포함한다 (comprise)", "포함하다 (comprises)" 및 "포함하는 (comprising)"은 명시된 단계 또는 요소 또는 단계들 또는 요소들의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요소 또는 단계들 또는 요소들의 그룹을 배제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할 것이다.
용어 "포괄한다 (include)" 및 "포함한다 (comprise)"는 동의어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preferably)"는 일련의 옵션 중 하나의 옵션을 의미하며, 다른 옵션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e.g.)"는 언급된 예에 제한되지 않는 하나의 예를 의미한다. "구성되는 (consisting of)"은 문구 "구성되는 (consisting of)" 다음에 오는 모든 것을 포함하고, 이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약 (about)" 또는 "대략 (approximately)"은 주어진 값 또는 범위의 "20% 이내",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일 구체예", "구체예", "특정 구체예", "관련 구체예", "소정의 구체예", "부가적인 구체예", "일부 구체예", "특이적 구체예" 또는 "추가 구체예"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언급은 구체예와 관련하여 기재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구체예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여러 곳에서 전술한 문구가 출현한다고 해서 반드시 모두 동일한 구체예를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체예에서 특징의 긍정적인 언급은 특정 구체예에서 특징을 배제하기 위한 근거로 제공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약제, 예를 들어 치료제의 "유효량 (effective amount)"은 목적하는 치료적 또는 예방적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기간 동안 투여량으로 유효한 양을 지칭한다. 또한, 유효량은 개별 환자의 병력, 연령, 체중, 가족력, 유전자 구성 (예를 들어, HLA 유전자형), 심근염의 병기, (존재하는 경우) 이전 또는 동시 치료의 타입, 및 치료할 대상체의 다른 개별 특성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대상체 (subject)"는 동물, 예컨대 영장류 (예: 인간, 비-인간 영장류, 예를 들어 원숭이 및 침팬지), 비-영장류 (예: 소, 돼지, 낙타, 라마, 말, 염소, 토끼, 양, 햄스터, 기니피그, 고양이, 개, 래트, 마우스, 말 및 고래), 또는 조류 (예: 오리 또는 거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 주형 물질 제거 전에 담체 입자의 전자 현미경 사진 스캔. 계층 (stratum layer)의 라멜라 구조는 꽃잎 형태 (petals)로 보인다.
도 2: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주형 반전 입자 (templated inverted particles: TIP)의 전자 현미경 사진 스캔. 중공 공극 (hollow voids)은 입자로부터 주형 물질을 제거한 결과이다.
도 3: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개략도.
도 4: A) 에폭시 수지에 포매된 TIP 입자의 단면. 더 큰 내부 직경 (가장 긴 화살표로 표시)은 23.6 마이크로미터 (micrometers)이고, 더 짧은 내부 직경 (두 번째로 가장 긴 화살표로 표시)은 18.8 마이크로미터이다. 작은 화살표들 간의 거리 (쉘 두께)는 각각 (a) 5.87, (b) 4.63, (c) 6.06, (d) 5.27, 및 (e) 5.14 마이크로미터이다. TM4000 5kV 7.5mm x 2.50k BSE L; 스케일 20.0μm B) 수개의 입자들의 개요.
도 5: 이버멕틴 (Ivermectin)이 로딩된 TIP 입자. 공 모양의 구조는 로딩된 이버멕틴에 해당한다. TM4000 5kV 7.8mm x 3.00k BSE H; 스케일 10.0μm.
도 6: Partek ODT 붕해. 정제를 증류수에 넣고 10초 후에 촬영한 사진. 전체 붕해 시간은 약 60초이다.
도 7: TIP ODT 붕해. 증류수와 접촉 후 6초 후에 촬영한 사진. 이때, 정제는 완전히 붕해된다.
도 8: 정제를 증류수에 투하하고 1분 후에 촬영한 정제 붕해 사진. 8a) CN1292803C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제 (좌측) 및 TIP ODT (우측) 간의 붕해 시간 비교. 8b) US8940203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콤팩트 (compacts)에 대한 붕해 시간 테스트. 다공성 물체 (porous object)를 증류수에 투하하고 1분 후에 촬영한 사진. 붕해의 징후가 관찰되지 않았다.
도 9: 도가니 (crucible)로부터 추출한 후에 수득된 다공성 세라믹 (porous ceramic)의 사진
도 10: US8940203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된 입자로부터의 정제. 정제는 약하고, 다이 (die)로부터 배출된 후에 부서진다.
도 11: US8940203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된 수득된 세라믹의 SEM 현미경 사진. 내부 소공을 보여주기 위해 구조를 절단한다. 다공성 구조가 사진에서 명확하게 보인다 (큰 소공).
도 12: 단일 소공의 확대 사진. 주변 물질은 미세다공성 소결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이다.
도 13: 소결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세라믹을 절단하여 내부 다공성 구조를 보여준다.
실시예
실시예 1: 주형 약물 담체의 제조
주형 물질 (칼슘 카보네이트 200 g, Natura 330, Lehmann&Foss&Co., Germany)을, 650 ml의 물 부피를 갖는 매끈한 유리 라이닝 또는 배플 처리된 반응기 용기 (용기 부피 1.2 리터 (liters))에서 격렬하게 교반 (200-700 RPM)하면서 물에 현탁하였다. 반응기 및 교반기 기하학적 형태와 함께 설정된 교반 속도는 Re>10e+4 (즉, 안정한 난류 혼합 (turbulent mixing))를 보장해야 한다. 화학적 침전 공정은 분 (minute) 당 1.4 g의 산 용액으로 칼슘 카보네이트 물 현탁액에 오르토인산의 용액 (41.1 ml H3PO4 (85%)를 탈이온수로 최대 150 ml까지 희석함)을 펌핑하여 수행하였다. 이러한 공정 중에,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Ca10(PO4)6(OH)2) 라멜라가 주형 물질의 표면에서 성장하기 시작하여 계층을 형성하였다 (1차 구조). 반응의 화학량론 (stoichiometry)은 하기와 같다:
2 CaCO3 (고체) + 1.2 H3PO4 (액체) → 0.2 Ca10(PO4)6(OH)2 + 1.6 H2O + 2 CO2 (기체)
주형 물질 및 담체 물질을 1시간 동안 1100℃로 가열하여 주형 물질의 CaO 형성을 유도하였다. 부흐너 깔때기 (Buechner funnel)를 사용하여 물 (2 리터)을 부가하여, 주형 물질에서 Ca(OH)2 형성을 유도하고 변형된 주형 물질을 용해 및 제거하였다. 이 단계를 15회 반복하였다.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는 여과, 및 물과 용해된 주형 물질의 제거 후에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용매에 치료제 로딩
미다졸람 염산염 (Haenseler AG, Switzerland) 3.5 g을 에탄올 (50 ml)에 용해시켰다. 담체 입상 물질 (100 g)을 에탄올/약물 용액과 혼합하고, 40℃ 수조 온도 및 100 mbar 압력하에 회전식 증발기에서 건조시켰다.
실시예 3: 아쥬반트 예컨대 냄새-변형제, 맛-변형제 및 붕해제의 첨가
수득된 약물-로딩된 입자를, 10 ml당 1 방울의 풍미제 농도로 갖는 라즈베리 방향제 (Givaudan, Switzerland)의 에탄올 용액과 혼합하고, 진공 캐비넷 (vacuum cabinet)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시클라메이트 및 사카린 분체 혼합물, Sanaro SA, Switzerland, (1%, w/w)을 로딩 및 풍미 담체 입자의 건조 분체에 부가하였다. 분체 혼합은 Turbula 블렌더에서 10분 동안 수행하였다.
후속하여 붕해제를 부가하였다: 5% (w/w)에 해당하는 양의 나트륨 전분 글리콜레이트 (Pharmatrans SANAQ, Switzerland)를 이전에 제조한 분체 혼합물과 블렌딩하였다.
실시예 4: 압축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담체 입자를 Korsch XP 1 - R&D Single Punch Press를 사용하여 압축하여 인장 강도가 ≥ 2.5MPa인 6 mm의 오목한 정제 (concave tablet)를 수득하였다.
인장 강도는 Stanley, P.; Newton, J.M. The tensile fracture stress of capsule-shaped tablets. J. Pharm. Pharmacol. 1980, 32(12), 852-854 및 Pitt, K.G.; Newton, J.M.; Stanley, P. Tensile fracture of doubly-convex cylindrical discs under diametral loading. J. Mater. Sci. 1988, 23, 2723-2728에 따라 계산하였다.
등록된 정제 경도는 60 N이었고, 해당 인장 강도는 2.51 MPa이다.
실시예 5
주형 반전 입자 (TIP) 약물 담체의 제조
분쇄된 칼슘 카보네이트 (Ph. Eur, USP NF, BP 등급)를 출발 물질로 사용하였다. 카보네이트 분체 200 g을 필요한 배치 크기에 맞게 선택된 2.5L 부피의 교반기 반응기 용기에서 처리하였다.
카보네이트 입자를 150 ml의 4M 인산 (Ph. Eur, USP NF, BP 등급)으로 처리하여 전환율 40% 내지 50%v/v로 수득하였다. 4M 인산의 전체 부피를 2.5 ml/분의 펌핑 속도로 도입하였다.
반응기 처리는 탈이온수에서 수행하였다. 오르토인산의 첨가 속도는 2.5 ml/분으로 제어된다. 반응기 용기의 온도는 전체 활성화 단계 중에, 즉 오르토인산을 부가하는 동안 90-95℃로 유지되어야 한다.
수득된 물질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최종 세척 단계 중에, 최종 생성물의 유동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입자 표면 거칠기를 줄이기 위해 상승된 전단 응력하에 입자를 처리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러한 중간 물질은 본원에서 TIP-L로 불린다.
TIP-L은 꽃잎 형태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40 내지 50%가 표면에 단단하게 부착되어 있고, 나머지 60 내지 50%는 칼슘 카보네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단계는 650℃ 내지 700℃ 사이의 온도 범위의 고온 오븐에서 소성하는 것이다. 소성 단계는 일정한 온도에서 14시간 이상 동안 수행하였다.
소성된 물질을 세척하여 나머지 주형 물질을 0℃의 물, TIP 물질 200 g당 약 30 L의 물로 용해시켰다. 세척된 물질을 선반 건조기 (shelf drier)에서 건조시키고, 백 (bags) 또는 드럼 (drums)으로 포장하였다.
실시예 6
TIP 물질은 외부 직경이 약 20-60 마이크론 (microns)인 단일 중공 입자이며, 단일 TIP 입자의 30% (v/v) 이상을 차지하는 중공 공동 및 다공성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쉘로 구성된다. TIP 입자는 종횡비 (aspect ratio)가 1에 가까운 다면체 기하학을 가지고 있다. 각 TIP 입자는 단일 유닛 (도 4의 A)이며, 다른 입자와 실질적으로 응집되지 않는다 (도 4의 B).
TIP 입자에 간단한 용매 증발 방법으로 약학적 API를 로딩하여 허용 가능한 유동성을 갖는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입자를 수득하였으며, ODT/ODF 제제 개발에 적합한 경질의 빠르게 붕해되는 정제를 생성하였다 (도 5).
로딩된 API 물질은 TIP 입자 내에, 주로 각 개별 TIP 입자의 중공 공동에 함유되었다 (도 5). 상기 분자에 따라, 상기 API는 공동에서 결정형 또는 비결정형으로 존재한다.
이버멕틴의 로딩은 용매 증발 공정에 의해 달성하였다.
0.100 g의 이버멕틴 (LOT)을 무수 에탄올 (100 ml)에 용해시키고, 0.200 g의 TIP 물질과 혼합하였다. 용매 제거는 회전 증발기 (Buechi, Switzerland)에서 300 mbar 압력 및 50-60℃ 온도에서 수행하였다. 용기 회전 속도는 50 RPM으로 설정하였다. 질소 기체 주입 속도는 분당 200 cc이다. 15분 후에, 압력을 200 mbar로 30분, 그 다음에 100 mbar로 15분, 그 다음에 20 mbar로 15분으로 설정하였다.
로딩 공정은 용기에 남은 분체가 눈에 보이는 액체 흔적 없이 건조된 경우에 마무리된다.
수득된 분체는 SEM 하에 시각적으로 외부 결정화의 흔적에 대해 검사하였다. TIP 입자의 내부 공동으로의 로딩은 도 5에서 SEM 현미경 사진으로 확인하였다.
로딩된 TIP 물질을 붕해제 (3%, w/w), 감미제 (약 1%, w/w) 및 방향제 (약 0.5%, w/w)와 블렌딩하였다.
TIP 입자의 혼합에는 간단한 분체 블렌딩을 사용하였다. 수득된 분체 혼합물을 0.5톤 압축력 하에 직접 타정하였다.
TIP 물질은 지용성 비타민 또는 방향제와 같은 오일-함유 용액을 응고시키는데 적합하다. TIP 물질로 제조된 정제는 기계적 강도가 높으며, 예를 들어 5x1 mm 정제의 경도는 50 N에 이르며, 이는 6.4 MPa의 인장 강도와 동등하다.
수득된 TIP-정제는 최소한의 (예: 30% (w/w)) 액체를 필요로 하는 초고속 붕해를 갖는다. 후자는 ODT/FDT 고체 제형의 경우 TIP 물질을 매우 매력적으로 만든다. 상기 정제의 붕해 후에, TIP 입자는 온전한 상태로 남아 있었고; 이들은 30% 이상의 물과 결합하지 않는다.
실시예 7 - CN1292803C에 공개된 참조 방법
참조 주형 물질을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그리고 CN1292803C의 하기 단계에 따라 제조하였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폴리스티렌 비드를 사용하여 주형 물질을 제조하였다. PVC 비드는 [J. Wang, F. Wang, H. Duan, Y. Li, J. Xu, Y. Huang, B. Liu, T. Zhang, ChemSusChem 2020, 13, 6426.]에 공개된 방법에 따라 "용매 교환 (solvent exchange)" 기전 후에 구상화 (spheroidization)에 의해 제조하였다.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플라스틱을 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용해시키고, 물-에탄올 혼합물을 함유하는 액체에 조심스럽게 적하하였다. 비드가 즉시 형성된다. 이들 비드를 건조시키고, 다음 단계에서 주형으로 사용하였다.
결합제 (용해된 폴리스티롤, Styropor)로 습윤시킨 PVC 비드를 10 mm 타정 다이 (tableting die)에 배치하고, 상부 및 하부 펀치로 살짝 고정하여 비드가 서로 붙도록 하여 정제의 형태를 취하였다.
수득된 응집체를 건조시켜서 입자들 간에 소공을 확보하였다.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입자를 분산제와 혼합하여 균일한 덩어리를 수득하고, 주형 복합체를 그 안에 침지시켜서 다공성 구조 내부에 HA-PVA-PVB (Mowiol 8-88, Sigma-Aldrich, 폴리비닐 알코올 및 미량의 폴리비닐 부티랄의 혼합물) 혼합물이 완전히 침투하도록 하였다. 수득된 몰드 (mold)를 80-100℃의 오븐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이러한 마지막 두 단계를 5회 반복하였다. 5회차 건조 후에, 몰드를 머플 오븐 (muffle oven)에 넣었다. 오븐 온도를 분당 5℃의 속도로 600℃까지 올렸다. 상기 온도에 도달한 후에, 오븐을 600℃에서 2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2시간 유지의 종료 시에, 상기 온도는 5℃/분의 속도로 1100℃로 설정하였다. 상기 오븐은 1100℃에서 4시간 동안 유지하였고; 그 후, 가열을 중지하고, 오븐을 밤새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수득된 소결된 몰드를 절단하여 내부 구조를 조사하였다. 생성된 물질의 SEM 사진은 도 13에 제시되어 있다.
도 1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구조가 형성되었으며, 소공은 사용된 PVC 주형의 크기와 동일하다. 수득된 구조를 7x2mm 정제 (약 70 mg)로 압축하고, 경도를 테스트하였다. 수득된 콤팩트는 테스트하기에 너무 약했고, 측정된 경도는 0이거나 또는 검출할 수 없었다. 상기 정제는 취급하기 매우 어려웠고, 손가락으로 가볍게 터치하면 1차 입자로 부서졌다.
(도 6에서와 같이) 몰드의 다공성 구조는 압축 후 소실되었다. 깨지기 쉬운 정제로 인해, 정제 붕해를 테스트할 수 없었다.
결론
중공 구조를 가진 입자를 제조하는 참조 방법은 경구 약물 전달에서 이러한 입자를 추가로 사용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정제는 약해서, 환자 또는 숙련된 의료진이 취급하기에 불가능하였다. 이를 정제로 압축하면 전체 주형 구조가 손실된다.
실시예 8 - US8940203에 공개된 참조 방법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코-메타크릴산) (pNIPAM-MA)은 합성하지 않고, Sigma-Aldrich (lot MKCF2244)로부터 구입하였다. 다른 모든 단계는 US8940203의 실시예 1에 따라 수행하였다.
슬러리 제조
1.25 g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Hap, 21223-1KG, Sigma-Aldrich)를 800℃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0.05 g의 분산제 (폴리아크릴산) (PAA, Sigma-Aldrich, lot STBG0155V)를 50 ml 유리 비이커에서 함께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1 ml의 pNIPAM-MA 하이드로겔 용액 (1 부피의 pNIPAM-MA 대 1 부피의 증류수)을 균질화기 (Polytron PT2100, Switzerland)로 혼합하였다.
폴리에틸렌 입자를 분쇄된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체질하였고; 체로부터의 크기 분획은 850 내지 1000 마이크로미터 (micrometers)를 취하였다. 수득된 폴리에틸렌 입자 120 mg을 pNIPAM-MA 하이드로겔이 담긴 비이커에 부가하고, 손으로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수득된 물질을 비이커로부터 50 ml 세라믹 도가니로 옮겼다. 상기 도가니는 몰드 기학학적 구조 (mold geometry)로 사용하였다.
소결 절차
도가니에서 제조한 물질의 소결은 특허 US8940203에 따랐다.
본 공정은 4단계로 구성된다:
단계 1: 2시간 내에 650℃로 가열 (분당 약 5℃), 30분 동안 유지.
단계 2: 분당 20℃로 1100℃로 가열; 10분 동안 유지.
단계 3: 1100℃에서 3시간 10분 동안 유지.
단계 4: 25℃로 냉각.
수득된 다공성 세라믹 (도 9)은 소결 단계가 수행된 도가니 형태를 따른다. 수득된 세라믹의 약한 구조로 인해 추출 중에 형태가 손실되었다 (도 9). 수득된 펠렛 및 분쇄된 분체의 표면으로부터 SEM 사진 (HITACHI TM4000, Japan)을 촬영하였다 (도 11 및 도 12).
다공성 세라믹 펠렛을 1000 마이콘 (micon) 체를 통해 분쇄하고, 분체 (100 mg)를 사용하여 1000 kg 압축력으로 정제 (직경 5 mm)를 압축하였다. 압축된 분체는 깨지기 쉬운 정제를 형성하였으며, 다이에서 이를 꺼낸 직후에 붕해되었다. Out-of-die 경도 (Dr.Schleuniger, Switzerland)는 분체를 가볍게 터치하면 부서졌기 때문에 측정할 수 없었다 (도 10).
이러한 사실로 인해, 정제가 형성되지 않아서, 수득된 정제의 붕해 시간은 측정하지 않았다. SEM 사진은 사용된 PE 폴리머 주형 크기의 중공 공동을 가진 소결된 HA 입자의 블록을 보여준다. 이러한 블록은 더 작은 입자로 분쇄될 수 있지만; 그러나 중공 구조가 이러한 작업 중에 손실되었다. 그러므로, API의 로딩은 분쇄된 물질의 표면에 흡착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온전한 물질의 유동성은 단일 입자이기 때문에 측정할 수 없다. 분쇄된 물질의 유동성은 거칠고 불규칙한 형태의 입자로 인해 좋지 않았다.
결론
중공 구조를 가진 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제안된 방법은 경구 약물 전달에 이러한 입자를 추가로 사용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정제는 약해서, 환자 또는 숙련된 의료진이 취급하기에 불가능하였다. 전체 주형 구조는 분쇄 단계 후 또는 이를 정제로 압축한 후에 손실된다.
실시예 9 본 발명의 방법의 생성물에 대한 Partek ODT, 실시예 7 및 8의 생성물의 비교
1차 목표는 TIP 물질을 포함한, 전술한 설명에 따른 입자의 형성 및 특성을 연구하고, 이러한 특성을 TIP 요건과 비교하는 것이었다.
비교 실험의 목록:
1. 입자 형태. TIP는 직경이 약 50-100 마이크론인 다공성 쉘을 가진 단일 입자 중공 캡슐이다. 실시예 6, 7 및 8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물질을 SEM 현미경으로 조사하고 측정할 것이다.
2. 입자 압축성. 실시예 6, 7 및 8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물질의 동일한 양으로부터 직경 11 mm의 정제를 제조할 것이다. 정제는 1 톤 (tonne)의 압축 압력으로 압축하고, 정제 경도 테스터로 측정할 것이다. 예상 경도 > 50N.
3. 정제 붕해. 실시예 6, 7 및 8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물질을 3% w/w의 크로스카르멜로스 나트륨과 혼합하고, 0.5톤의 압축력으로 압축할 것이다. TIP-ODT를 제조하기 위해, TIP 물질을 사용한다. TIP-L ODT를 제조하기 위해, TIP-L 물질을 사용한다. TIP 및 TIP-L ODT에 대한 크로스카르멜로스 나트륨의 양은 동일하다. 붕해 시간에 대해 정제를 연구할 것이다. 완전한 붕해에 대한 예상 값은 < 10초이다.
4. 약물 로딩. 실시예 6, 7 및 8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물질에 이버멕틴의 포화 에탄올 용액으로부터 이버멕틴 약물 물질을 로딩할 것이다. 건조는 케미컬 후드 (chemical hood) 하에 건조 캐비넷에서 수행할 것이다. 예상 로딩 용량은 50%이다. 로딩 성공은 여분의 입상 결정화 없이 SEM 현미경으로 조사할 것이다 (Preisig et al., Drug loading into porous calcium carbonate microparticles by solvent evaporation, EJPB, 87-3, 2014).
TIP 및 TIP-L 물질의 특성규명
TIP 물질의 SEM 현미경 사진은 도 4에 제시되어 있다.
TIP ODT의 특성규명 및 비교 분석
TIP로 제조된 정제의 정제 붕해 시간을 기존 제제 및 특허 제제와 비교하였다. 특허 US8940203 및 CN1292803C의 제제들을 TIP 정제와 비교하였다. ODT의 전통적인 제제로서, 준비된 혼합물인 EMPROVE® ESSENTIAL Partek® ODT (Partek ODT) 만니톨-기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에 제시된다. 직경이 11 mm이고 중량이 약 300 mg인 정제 또는 다공성 구조에 대해 파라미터를 측정하였다. 정제를 500 kg 압축력으로 압축하였다. 특허 US8940203 및 CN1292803C에 따라 제조된 제형은 압축되지 않고 소결 후 주조물 (cast)로부터 그대로 사용하였다.
서로 다른 물질로 제조된 콤팩트 및 제형의 성능 특성.
TIP-ODT TIP-L ODT Partek ODT US8940203 CN1292803C
붕해 시간, s <10초 <10초 약 60초 붕해되지 않음 붕해되지 않음
경도, N 60 120 111 0 0
도 6 (Partek ODT) 및 7 (TIP-ODT)은 붕해 10초 후의 비디오 스크린샷을 보여준다. 실험 결과 및 비디오 스크린샷으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TIP ODT는 Partek ODT 혼합물보다 유의미하게 더 빠르게 붕해된다. 실시예 7 및 8에 따라 제조된 제제는 도 8a/b에 제시된 바와 같이 붕해되지 않았다. TIP-L ODT의 경도는 Partek ODT 및 TIP ODT의 경도보다 더 높다. 실시예 7 및 8의 제제에 따라 제조된 정제는 표준 의약품 테스트 장비로 측정하기에 충분히 안정하지 않았다. 열 처리 후 정제 경도의 감소는 열 응력 (thermal stress) 하에 TIP 입자의 꽃잎 형태의 탄성율 (elasticity) 변화에 기인한다.

Claims (34)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carrier particles)를 제조하는 방법:
    a) 담체 물질(carrier material)을 주형 물질(template material)과 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담체 물질은 주형 물질 주위에 1차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b)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는 단계;
    c) 변형된 주형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및
    d)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주형 물질은 무기 물질이거나 또는 주로 무기 물질로 구성되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담체 물질은 무기 물질이거나 또는 주로 무기 물질로 구성되는, 방법.
  4.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담체 물질 및 주형 물질은 무기 염이거나 또는 주로 무기 염으로 구성되는, 방법.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담체 물질을 주형 물질과 조합하는 단계는 주형 물질 상에 담체 물질의 화학적 침전 (chemical precipitation), 층화 (layering) 및/또는 결정화 (crystallization)를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1 또는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는 단계는 600℃ 내지 120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는 단계는 600℃ 내지 90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는 단계는 소성 (calcination)을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6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형 물질을 변형시키는 단계는 후속하는 물의 부가를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물의 부가는 발열 반응인,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형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는 변형된 주형 물질을 용해하여 2차 내부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2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형 물질은 칼슘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3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담체 물질은 칼슘 포스페이트 및 마그네슘 포스페이트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염 및/또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담체 입자는 직경이 1 내지 300 μm인, 방법.
  15. 청구항 13 또는 14에 있어서, 담체 입자는 표면적이 15 m2/g 내지 400 m2/g인, 방법.
  16. 청구항 13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차 내부 구조는 직경 크기가 0.2 μm 이상 및 1.5 μm 이하의 범위인 소공(pores)을 포함하는, 방법.
  17. 청구항 13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수득된 담체 입자에서 2차 내부 구조의 전체 부피는 입자 부피의 10% 이상 내지 90% 이하의 범위인, 방법.
  18. 청구항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 가능한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 (carrier particle).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로딩 용량 (loading capacity)이 60% v/v 이상인, 담체 입자.
  20. 청구항 18 또는 19에 있어서, 치료제를 포함하는 담체 입자.
  2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압축된 담체 물체 (carrier matter)를 제조하는 방법:
    a) i) 청구항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담체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또는
    ii) 청구항 18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담체 입자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2차 내부 구조를 갖는 담체 입자를 압축하여 압축된 담체 물체를 수득하는 단계.
  22. 청구항 18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담체 입자 또는 청구항 21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를 포함하는, 고체 약학 조성물.
  23. 치료제는 항불안제 (anxiolytic agents), 진정제 (sedative agents), 마약성 진통제 (narcotic agents), 항우울제 (antidepressant agents), 항편두통제 (anti-migraine agents), 항염증제 (anti-inflammatory agents) 및 항감염제 (anti-infective agents)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청구항 22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청구항 21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청구항 20에 따른 담체 입자.
  24. 청구항 22 또는 23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쥬반트 (adjuvant)를 포함하는 고체 약학 조성물.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쥬반트는 붕해제, 활택제 및 유동성 증진제 (flowability enhancement agents)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체 약학 조성물.
  26. 청구항 24 또는 25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쥬반트는 맛 변경제 (taste altering agents), 냄새 변경제 (smell altering agents) 및 외관 변경제 (appearance altering agents)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체 약학 조성물.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맛 변경제는 인공 감미료, 산도 변형제, 검, 셀룰로스 유도체, 경화 지방 (hard fats) 및 염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체 약학 조성물.
  28.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청구항 22 내지 27 중 어느 항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청구항 19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청구항 20에 따른 담체 입자.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노인성 (geriatric)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담체 입자.
  30. 청구항 28에 있어서, 소아 (pediatric)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담체 입자; 또는
    청구항 29에 있어서,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는 노인 및 소아의 질환 또는 장애인, 고체 약학 조성물,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담체 입자.
  31. 청구항 28에 있어서,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통증, 감염, 편두통, 수면 장애 및 우울 장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담체 입자; 또는
    청구항 29 또는 30에 있어서, 소아 질환 또는 장애, 노인성 질환 또는 장애, 또는 노인 및 소아의 질환 또는 장애는 불안 장애, 양극성 장애, 통증, 감염, 편두통, 수면 장애 및 우울 장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체 약학 조성물,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담체 입자.
  32. 청구항 28에 있어서, 수의학적 (veterinary)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담체 입자.
  33. 진단 목적 (diagnostic purposes)에 사용하기 위한, 청구항 22 내지 27 중 어느 항에 따른 고체 약학 조성물, 청구항 21에 따라 제조된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청구항 20에 따른 담체 입자.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섬광조영술 (scintigraphy)에 사용하기 위한, 고체 약학 조성물, 압축된 담체 물체, 또는 담체 입자.
KR1020237029023A 2021-01-28 2022-01-26 고체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373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54125.5 2021-01-28
EP21154125 2021-01-28
PCT/EP2022/051799 WO2022162023A1 (en) 2021-01-28 2022-01-26 Soli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398A true KR20230137398A (ko) 2023-10-04

Family

ID=7441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9023A KR20230137398A (ko) 2021-01-28 2022-01-26 고체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4284347A1 (ko)
JP (1) JP2024508373A (ko)
KR (1) KR20230137398A (ko)
CN (1) CN116801870A (ko)
AU (1) AU2022215028A1 (ko)
CA (1) CA3200444A1 (ko)
IL (1) IL303952A (ko)
WO (1) WO20221620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11543A1 (en) * 2022-07-27 2024-01-31 Galvita AG Methods for loading template inverted carriers
CN116478882A (zh) * 2023-05-05 2023-07-25 石河子大学 能够提高绵羊日增重和饲料转化率的产酸的混合菌制剂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1945B2 (ja) 1991-07-22 2000-06-12 大阪瓦斯株式会社 無機質均一微小球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7727552B1 (en) 1997-03-28 2010-06-01 Eisai R&D Management Co., Ltd. Oral pharmaceutical preparations decreased in bitterness by masking
US5843477A (en) 1997-09-30 1998-12-01 Bayer Corporation Lubricants for use in tabletting
EP1064088B1 (en) 1998-03-19 2002-12-04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Fabrication of multilayer-coated particles and hollow shells via electrostatic self-assembly of nanocomposite multilayers on decomposable colloidal templates
US6419956B1 (en) 1999-12-30 2002-07-16 Ancile Pharmaceuticals Odor-masking coating for a pharmaceutical preparation
US6419954B1 (en) 2000-05-19 2002-07-16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Tablets and methods for modified release of hydrophilic and other active agents
ES2323264T3 (es) 2001-08-01 2009-07-10 Novartis Ag Composicion para enmascaramiento del sabor.
CN1292803C (zh) 2005-01-13 2007-01-03 西安理工大学 空心球结构人工骨填料的制备方法
JP2013503847A (ja) 2009-09-04 2013-02-04 キャプシュゲル・ベルジウム・エヌ・ヴィ 着香カプセル
TWI411595B (zh) 2010-04-07 2013-10-11 Univ Kaohsiung Medical 以溫感水膠製備含多孔性陶瓷組合物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62023A1 (en) 2022-08-04
CN116801870A (zh) 2023-09-22
AU2022215028A1 (en) 2023-06-29
EP4284347A1 (en) 2023-12-06
IL303952A (en) 2023-08-01
JP2024508373A (ja) 2024-02-27
CA3200444A1 (en)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hosh et al. A review on new generation orodispersible tablets and its future prospective
AU2008239683B2 (en) Melatonin tablet and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KR20230137398A (ko) 고체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75682A (ko) 오피오이드 의존증의 치료를 위한 남용-방지성 약학 조성물
MX2012010607A (es) Proceso de manufacturacion de una forma de dosificacion multifasica de rapida disolucion liofilizada.
Bangale et al. New generation of orodispersible tablets: recent advances and future propects.
Vishali et al. Orodispersible tablets: A review
Bhatt Mouth dissolving tablets challenges, preparation strategies with a special emphasis on losartan potassium–A review
A AlHusban et al. Recent patents and trends in orally disintegrating tablets
JP2009544706A (ja) 高用量の経口的に溶解可能/分解可能な凍結乾燥剤形
Prajapati et al. Formation, evaluation and optimization of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of Cinnarizine
JP6479658B2 (ja) 超速崩壊錠剤及びその製造方法
EP4311543A1 (en) Methods for loading template inverted carriers
JP6257642B2 (ja) 圧縮成形によって得られる口腔分散性錠剤
JP6469234B2 (ja) 超速崩壊錠剤及びその製造方法
Verma et al. Buccal film: an advance technology for oral drug delivery
Reddy et al. Rapidly disintegrating oramucosal drug delivery technologies
JP6513702B2 (ja) 超速崩壊錠剤及びその製造方法
Balaji et al. Fast dissolving oral films for immediate drug release: a review
More et al. Orodispersible tablet-A novel drug delivery system
Hemalatha et al. ORODISPERSIBLE TABLET BASED TECHNOLOGY FOR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Dave et al. A review on promising novel drug delivery system-bioadhesive drug delivery system
Awad et al. Fast-disintegrating tablets: a novel approach in pharmaceutical preparation
Reddy et al. Fast dissolving drug delivery system-A review
OKOLIE FORMULATION AND OPTIMIZATION OF MODIFIED RELEASE IBUPROFEN ORAL DISINTEGRATING TABLET BY DIRECT COMPRESSION